KR102202625B1 -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625B1
KR102202625B1 KR1020190163022A KR20190163022A KR102202625B1 KR 102202625 B1 KR102202625 B1 KR 102202625B1 KR 1020190163022 A KR1020190163022 A KR 1020190163022A KR 20190163022 A KR20190163022 A KR 20190163022A KR 102202625 B1 KR102202625 B1 KR 102202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ch pad
height
markers
length
corr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석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06K9/0062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Geometry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은, 발사체가 발사되는 발사대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발사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발사대의 길이와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부착된 복수 개의 마커(Marker)들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마커들간의 거리와 상기 발사대의 제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발사대의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위험 지대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지대는 상기 발사체의 탄도 곡선 및 상기 발사체의 후폭풍 지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LAUNCHER DANGER ZONE USING ARGUMENTED REALITY}
본 발명은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강 현실 상으로 함정 발사대의 위험 지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의 함정은 과거에 비해 다양한 종류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무장이 설치되고 있으나, 함정이라는 특성 상 육상에 비해 무장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제한되어, 발사대의 위험 지대와 함정 근무 인원이 임무 수행을 하는 동선이 겹치게 되어, 함정 근무 인원에 대한 사고 발생 위험이 매우 높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함정에서는 발사대에 장착된 무기가 발사될 때에는, 경고등이나 경보를 울리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발사대 근처의 위험 지대에 존재하는 근무 인원이 직관적으로 발사대 주변의 위험 지대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기가 어렵거나 발사대 근처의 근무 인원이 해당 위험 신호를 듣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함정에 설치된 발사대를 포함하는 무장의 발사 시에 생기는 후폭풍 및 탄도 발사 방향 등의 위험 지대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한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은, 발사체가 발사되는 발사대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발사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발사대의 길이와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부착된 복수 개의 마커(Marker)들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마커들간의 거리와 상기 발사대의 제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발사대의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생성된 위험 지대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지대는 상기 발사체의 탄도 곡선 및 상기 발사체의 후폭풍 지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마커들은, 상기 발사대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마커들인 길이 마커들;및 상기 발사대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마커들인 높이 마커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길이 마커들은, 상기 발사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마커, 상기 발사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마커들은, 상기 발사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3 마커, 상기 발사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4 마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높이 마커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현실 상의 상기 발사대의 높이를 측정하는 단계;및 상기 측정된 발사대의 높이와 미리 저장된 상기 발사대의 제원 데이터 상의 높이를 비교하고, 그 비율을 이용하여 높이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사대의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길이 마커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길이 마커들에 따라 상기 발사대의 길이 보정 정보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및 상기 높이 보정 정보와 상기 길이 보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발사대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높이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높이 마커들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높이 마커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 현실 상의 상기 발사대 높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발사대 높이와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 상의 높이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높이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사대의 길이 보정 정보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마커들 중 상기 제2 마커만 인식될 경우, 상기 제2 마커를 상기 증강 현실 상의 지면에 투영하는 단계;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의 후폭풍 지대 반지름을 상기 높이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후폭풍 지대 반지름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대의 후폭풍 지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후폭풍 지대와 사용자의 위치가 겹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후폭풍 지대를 상기 위험 지대로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발사대의 길이 보정 정보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마커들 중 상기 제1 마커만 인식될 경우,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로부터 상기 발사체 탄도 곡선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높이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발사체 탄도 곡선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발사체 탄도 곡선 데이터를 통해 생성된 보정된 탄도 곡선을 상기 제1 마커 상에 표시하여 상기 위험 지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사대의 길이 보정 정보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 마커들 중 상기 제1 마커와 상기 제2 마커가 모두 인식될 경우, 상기 제1 마커와 상기 제2 마커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 현실 상의 상기 발사대 길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발사대 길이와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 상의 길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길이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길이 보정 정보에 따라 보정된 발사에 탄도 곡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탄도 곡선을 상기 제2 마커에서 상기 제1 마커로 통과하는 연장선 상에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커를 상기 증강 현실 상의 지면에 투영하는 단계;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의 후폭풍 지대 반지름을 상기 높이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후폭풍 지대 반지름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대의 후폭풍 지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후폭풍 지대와 사용자의 위치가 겹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후폭풍 지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시스템은, 발사체가 발사되는 발사대 영상을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발사대 위험 지대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기기;및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에서 상기 발사대를 인식하고, 상기 발사대의 길이와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부착된 복수 개의 마커(Marker)들을 인식하고, 상기 복수 개의 마커들간의 거리와 상기 발사대의 제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발사대의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생성된 위험 지대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위험 지대는 상기 발사체의 탄도 곡선 및 상기 발사체의 후폭풍 지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마커들은, 상기 발사대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마커들인 길이 마커들;및 상기 발사대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마커들인 높이 마커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길이 마커들은, 상기 발사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마커, 상기 발사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마커들은, 상기 발사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3 마커, 상기 발사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4 마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높이 마커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현실 상의 상기 발사대의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발사대의 높이와 미리 저장된 상기 발사대의 제원 데이터 상의 높이를 비교하고, 그 비율을 이용하여 높이 보정 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인식된 길이 마커들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길이 마커들에 따라 상기 발사대의 길이 보정 정보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높이 보정 정보와 상기 길이 보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발사대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높이 마커들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높이 마커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 현실 상의 상기 발사대 높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발사대 높이와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 상의 높이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높이 보정 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한된 면적에 다양한 발사대가 배치된 함정 위에서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발사대의 위험 지대를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위험 지대에 노출됨에 따른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발사대(100) 주변의 위험 지대를 표시하기 위한 마커(Marker)들의 위치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표시되는 발사대(100)의 위험 지대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를 표시하는 방법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400단계의 상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600단계의 상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705)를 통해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를 표기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705), 전자 기기(710), 서버(715)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발사대(100) 주변의 위험 지대를 표시하기 위한 마커(Marker)들의 위치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발사대(100) 주변의 마커들(105, 110, 115, 120)이 인식되면, 증강 현실 상으로 발사대(100) 높이와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참조번호 105인 제1 마커와 참조번호 110인 제2 마커는 상기 발사대(100)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길이 마커들이고, 참조번호 115인 제3 마커와 참조번호 120인 제4 마커는 상기 발사대(100)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높이 마커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표시되는 발사대(100)의 위험 지대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참조번호 210은 발사대(100)에서 발사되는 발사체의 탄도 곡선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220은 발사대(100)에서 발사체가 발사될 때 발생되는 후폭풍 지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후폭풍 지대(220)는 후폭풍 지대 반지름(230)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발사체의 탄도 곡선 정보와 상기 후폭풍 지대 반지름(230) 정보는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로써 미리 저장된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의 표시부를 통해 상기 발사체의 탄도 곡선(210)과 상기 후폭풍 지대(220)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강 현실 상으로 표출해줄 수 있어,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발사대 주변의 위험 지대를 알려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웨어러블 기기(305)는 발사대 영상과 발사대 주변에 위치한 마커들을 촬영하는 카메라, 전자 기기(35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발사대 영상과 마커들을 전송하고, 상기 전자 기기(350)로부터 수신한 증강 현실 상으로 표출될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305)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일 수 있다.
전자 기기(350)는 웨어러블 기기(305)가 촬영한 발사대와 발사대 주변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발사대와 상기 발사대 주변에 위치한 마커들을 인식한 후, 상기 마커들간의 거리와 상기 발사대의 제원 데이터를 비교하여 발사대 높이 보정 정보, 발사대 길이 보정 정보를 계산한다. 그리고, 전자 기기(350)는 상기 계산된 발사대 높이 보정 정보와 발사대 길이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305)에서 표시될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웨어러블 기기(305)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험 지대는 상기 발사대에서 발사될 발차에의 탄도 곡선과 상기 발사체가 발사될 때 발생되는 후폭풍 지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자 기기(350)의 통신부(352)는 웨어러블 기기(305)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기기(350)의 통신부(352)는 웨어러블 기기(305)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제어부(360)에 의해 계산된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웨어러블 기기(305)로 전송한다. 영상 분석부(354)는 통신부(352)를 통해 수신된 웨어러블 기기(305)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발사대(100)가 인식되면, 그 결과를 제어부(360)로 전송한다. 제어부(360)는 상기 영상 분석부(354)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305)로부터 수신된 영상에서 발사대(100)가 인식되면, 마커 인식부(350)로 상기 영상에서 상기 발사대(100) 주변에 존재하는 마커들이 인식되는지를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마커 인식부(356)를 통해 상기 발사대(100) 주변에 존재하는 마커들이 인식된다면, 제어부(360)는 상기 인식된 마커들간의 거리와 저장부(358)에 저장된 발사대(100)의 제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보정 정보란, 웨어러블 기기(305)에서 사용자에게 발사대(100) 주변의 위험 지대를 웨어러블 기기(305)의 표시부를 통해 증강 현실 상으로 표출할 때, 상기 저장부(358)에 저장된 발사대(100)의 제원 데이터의 발사체 탄도 곡선과 후폭풍 지대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웨어러블 기기(305)를 통해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로 발사대의 위험 지대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실제 발사대 길이, 높이 정보와 웨어러블 기기(305)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발사대 길이, 높이 정보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표시될 위험 지대 데이터를 스케일링해야만, 사용자에게 발사대 실제 객체와 이질감 없는 위험 지대 안내를 제공해줄 수 있다.
저장부(358)는 발사대(100)의 높이 및 길이 정보와 발사대(100)에서 발사되는 발사체의 탄도 곡선 데이터와 발사체가 발사될 때 발생되는 후폭풍 지대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전자 기기(350)의 제어부(360)는 웨어러블 기기(305)로부터 발사대(100) 영상이 수신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마커들을 인식하고, 인식된 마커들간의 거리 정보를 통해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정 정보를 통해 위험 지대 데이터를 보정하여 웨어러블 기기(305)로 전송하는 전자 기기(35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를 표시하는 방법 흐름도이다.
먼저, S100단계에서 웨어러블 기기(305)는 영상을 촬영하여 전자 기기(350)로 전송하고, S200단계에서 전자 기기(350)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305)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발사대를 인식하면, S300단계에서 상기 발사대의 길이와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부착된 복수 개의 마커(Marker)들을 인식한다.
S400단계에서 전자 기기(350)는 상기 복수 개의 마커들 중 발사대 높이 마커들이 인식되면, 인식된 높이 마커들간의 거리와 상기 발사대의 제원 데이터 상의 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높이 보정 정보를 생성한다. S400단계의 구체적인 단계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500단계에서 전자 기기(350)는 상기 인식된 복수 객의 마커들 중 길이 마커를 식별하고, S600단계에서 식별된 길이 마커에 따라 발사대 길이 보정 정보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S400단계에서 생성된 높이 보정 정보와 상기 S500단계에서 생성된 길이 보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발사대 위험 지대를 표시하기 위한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기기(305)로 전송한다. S600단계의 구체적인 단계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700단계에서 웨어러블 기기(305)는 상기 전자 기기(350)로부터 수신한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지대를 증강 현실로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400단계의 상세 동작 흐름도이다.
S405단계에서 전자 기기(350)는 높이 마커들인 제3 마커(115)와 제4 마커(120)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S410단계에서 상기 계산된 높이 마커들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발사대(100) 높이를 계산한다. 그리고, S415단계에서 전자 기기(350)는 상기 계산된 발사대 높이와 미리 저장된 발사대 제원 데이터 상의 높이 정보를 비교하고, 420단계에서 높이 보정 정보를 계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600단계의 상세 동작 흐름도이다.
S605단계에서 전자 기기(350)는 거리 마커들(105, 110)이 인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그 중 제2 마커(110)만 인식되었다면, S610단계에서 제2 마커(110)를 지면에 투영하도록 웨어러블 기기(305)를 제어하고, S615단계에서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의 후폭풍 지대 반지름을 상기 높이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그리고, S620단계에서 전자 기기(350)는 위험 지대 표시 가능 거리와 상기 계산된 후폭풍 지대 반지름과의 비교를 통해 후폭풍 지대가 겹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S625단계에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계산된 후폭풍 반지름을 이용하여 후폭풍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S625단계에서 전자 기기(350)는 상기 위험 지대 표시 가능 거리가 상기 후폭풍 지대 반지름보다 작다면, 후폭풍 위험 지대를 알리도록 웨어러블 기기(305)를 제어한다.
반면, 상기 S605단계에서 제1 마커(105)만 인식되었다면, S630단계에서전자 기기(350)는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로부터 상기 발사체 탄도 곡선 데이터를 획득하고, S635단계에서 높이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발사에 탄도 곡선 데이터를 보정하고, S640단계에서 상기 보정된 발사체 탄도 곡선 데이터를 통해 생성된 보정된 탄도 곡선을 상기 제1 마커(105) 상에 표시하여 상기 위험 지대를 표시하기 위한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반면, 상기 S605단계에서 상기 거리 마커들 중 상기 제1 마커(105)와 상기 제2 마커(110)가 모두 인식될 경우, 전자 기기(350)는 S645단계에서 상기 제1 마커(105)와 상기 제2 마커(11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S650단계에서 상기 계산된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 현실 상의 상기 발사대 길이를 계산한다. 그리고, 전자 기기(350)는 S655단계에서 상기 계산된 발사대 길이와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 상의 길이 정보를 비교한 후, S660단계에서 상기 길이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S665단계에서 상기 길이 보정 정보에 따라 보정된 발사에 탄도 곡선을 생성한다.
S670단계에서 전자 기기(350)는 상기 보정된 탄도 곡선을 상기 제2 마커(110)에서 상기 제1 마커(105)로 통과하는 연장선 상에서 표시하도록 웨어러블 기기(305)를 제어하고, S675단계에서 상기 제2 마커(110)를 상기 증강 현실 상의 지면에 투영하도록 웨어러블 기기(305)를 제어한다.
그리고, 전자 기기(350)는 S675단계에서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의 후폭풍 지대 반지름을 상기 높이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그리고, S680단계에서 전자 기기(350)는 위험 지대 표시 가능 거리와 상기 계산된 후폭풍 지대 반지름과의 비교를 통해 후폭풍 지대가 겹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S685단계에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계산된 후폭풍 반지름을 이용하여 후폭풍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705)를 통해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를 표기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서는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일 실시 예와는 달리 전자 기기(710)에서는 발사대의 제원 데이터만을 저장한다. 도 7에서는 전자 기기(705)가 웨어러블 기기(700)가 전송한 영상 정보 중의 마커 식별 처리등을 하지 않고, 수신된 영상 정보와 식별된 발사대의 제원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710)로 송신하고, 서버(710)에서 복수 개의 마커들로부터 발사대의 높이 정보 및 길이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 정보와 길이 정보와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길이 보정 정보와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생성하여 다시 전자 장치(705)로 전송한다. 도 7과 같이 구성할 경우, 비교적 컴퓨팅 파워가 작은 전자 기기(705)를 통해서도 사용자에게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도 7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웨어러블 기기(705)는 S800에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를 전자 기기(710)로 전송한다. 이때 영상 정보는 30Hz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S805단계에서 전자 기기(710)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705)에서 수신한 영상 정보를 30Hz로 서버(715)로 전송하고, S810단계에서 발사대 제원 데이터도 서버(715)로 전송한다. 상기 전자 기기(710)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와 발사대 제원 데이터에 대한 분석이 완료된 서버(715)는 S815단계에서 마커의 식별 여부 정보를 전자 기기(710)로 전달하고, S820에서 보정 정보 및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계산하여 알려준다. S825단계에서 전자 기기(710)는 상기 서버(715)로부터 수신된 보정 정보 및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이용하여 탄도 곡선 및 후폭풍 지대 표시 정보를 웨어러블 기기(705)로 전달하고, 웨어러블 기기(705)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를 제공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705), 전자 기기(710), 서버(715)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조번호 805는 도 7의 S80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이며, 전송주기는 30Hz(TBD)이고, 참조번호 810은 도 7의 S825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이며, 전송주기는 30Hz(TBD)이고, 참조번호 815는 도 7의 S805, S81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이며, 전송주기는 30Hz(TBD)이고, 참조번호 820는 도 7의 S815, S820에서 전송되는 프레임의 구조이며, 전송주기는 마커 식별시 비주기이다.
도 8에 도시된 각 데이터 프레임에서 시작 Byte는 해당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 바이트를 나타내며, Count는 데이터 프레임의 순서를 나타내고, ID는 데이터 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며, 끝 Byte는 해당 데이터 프레임의 마지막 바이트를 나타낸다. 그리고, 각 데이터 프레임에서 영상 데이터, 발사대 제원, 탄도 곡선 및 후폭풍 도시 데이터, 식별 마커 정보, 길이 보정 정보, 위험 지대 정보, 위험 지대 알림은 해당 데이터가 포함되는 영역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에 있어서,
    발사체가 발사되는 발사대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발사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발사대의 길이와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부착된 복수 개의 마커(Marker)들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마커들간의 거리와 상기 발사대의 제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발사대의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위험 지대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지대는 상기 발사체의 탄도 곡선 및 상기 발사체의 후폭풍 지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마커들은, 상기 발사대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마커들인 길이 마커들; 및 상기 발사대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마커들인 높이 마커들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 마커들은, 상기 발사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마커와, 상기 발사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마커들은, 상기 발사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3 마커와, 상기 발사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4 마커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높이 마커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현실 상의 상기 발사대의 높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발사대의 높이와 미리 저장된 상기 발사대의 제원 데이터 상의 높이를 비교하고, 그 비율을 이용하여 높이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높이 마커들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높이 마커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 현실 상의 상기 발사대 높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발사대 높이와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 상의 높이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높이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사대의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길이 마커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길이 마커들에 따라 상기 발사대의 길이 보정 정보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높이 보정 정보와 상기 길이 보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발사대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대의 길이 보정 정보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길이 마커들 중 상기 제2 마커만 인식될 경우, 상기 제2 마커를 상기 증강 현실 상의 지면에 투영하는 단계;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의 후폭풍 지대 반지름을 상기 높이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후폭풍 지대 반지름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대의 후폭풍 지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후폭풍 지대와 사용자의 위치가 겹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후폭풍 지대를 상기 위험 지대로 알리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대의 길이 보정 정보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길이 마커들 중 상기 제1 마커만 인식될 경우,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로부터 상기 발사체 탄도 곡선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높이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발사체 탄도 곡선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발사체 탄도 곡선 데이터를 통해 생성된 보정된 탄도 곡선을 상기 제1 마커 상에 표시하여 상기 위험 지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대의 길이 보정 정보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길이 마커들 중 상기 제1 마커와 상기 제2 마커가 모두 인식될 경우,
    상기 제1 마커와 상기 제2 마커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 현실 상의 상기 발사대 길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발사대 길이와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 상의 길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길이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길이 보정 정보에 따라 보정된 발사에 탄도 곡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탄도 곡선을 상기 제2 마커에서 상기 제1 마커로 통과하는 연장선 상에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커를 상기 증강 현실 상의 지면에 투영하는 단계;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의 후폭풍 지대 반지름을 상기 높이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후폭풍 지대 반지름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대의 후폭풍 지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후폭풍 지대와 사용자의 위치가 겹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후폭풍 지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방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
  10.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발사체가 발사되는 발사대 영상을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발사대 위험 지대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기기;및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에서 상기 발사대를 인식하고, 상기 발사대의 길이와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부착된 복수 개의 마커(Marker)들을 인식하고, 상기 복수 개의 마커들간의 거리와 상기 발사대의 제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발사대의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위험 지대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생성된 위험 지대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위험 지대는 상기 발사체의 탄도 곡선 및 상기 발사체의 후폭풍 지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마커들은, 상기 발사대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마커들인 길이 마커들; 및 상기 발사대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마커들인 높이 마커들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 마커들은, 상기 발사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마커와, 상기 발사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마커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마커들은, 상기 발사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3 마커와, 상기 발사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4 마커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높이 마커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현실 상의 상기 발사대의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발사대의 높이와 미리 저장된 상기 발사대의 제원 데이터 상의 높이를 비교하고, 그 비율을 이용하여 높이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높이 마커들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높이 마커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 현실 상의 상기 발사대 높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발사대 높이와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 상의 높이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높이 보정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인식된 길이 마커들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길이 마커들에 따라 상기 발사대의 길이 보정 정보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높이 보정 정보와 상기 길이 보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발사대 위험 지대를 상기 증강 현실 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길이 마커들 중 상기 제2 마커만 인식될 경우, 상기 제2 마커를 상기 증강 현실 상의 지면에 투영하고, 상기 발사대 제원 데이터의 후폭풍 지대 반지름을 상기 높이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후폭풍 지대 반지름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대의 후폭풍 지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후폭풍 지대와 사용자의 위치가 겹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후폭풍 지대를 상기 위험 지대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90163022A 2019-12-09 2019-12-09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2202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022A KR102202625B1 (ko) 2019-12-09 2019-12-09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022A KR102202625B1 (ko) 2019-12-09 2019-12-09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625B1 true KR102202625B1 (ko) 2021-01-13

Family

ID=7414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022A KR102202625B1 (ko) 2019-12-09 2019-12-09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6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1940A (ko) * 2012-11-14 2014-05-22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실내 훈련용 곡사화기 사격술 모의 훈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20819A (ko) * 2015-04-08 2016-10-1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모션라이더 기반의 인터랙티브 제트스키 가상체험 시스템
KR20190034051A (ko) * 2017-09-22 2019-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Ar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JP2019207531A (ja) * 2018-05-29 2019-12-05 株式会社富士通アドバンストエンジニアリング 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1940A (ko) * 2012-11-14 2014-05-22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실내 훈련용 곡사화기 사격술 모의 훈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20819A (ko) * 2015-04-08 2016-10-1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모션라이더 기반의 인터랙티브 제트스키 가상체험 시스템
KR20190034051A (ko) * 2017-09-22 2019-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Ar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JP2019207531A (ja) * 2018-05-29 2019-12-05 株式会社富士通アドバンストエンジニアリング 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1505A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trajectory and a source of a projectile
US10907923B2 (en) Shooting system using laser beam
US10395116B2 (en) Dynamically created and updated indoor positioning map
WO2011122762A2 (ko) 선도 사격을 모사하는 화기 모사 시스템, 레이저 발사 장치 및 표적 감지 장치
KR20070099614A (ko) 전자 화기 조준기의 안전한 작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RU2008143211A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хирургической операцией по изображениям
KR101032368B1 (ko) 촬영 장치를 이용한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장치 및 방법
US11293722B2 (en) Smart safety contraption and methods related thereto for use with a firearm
CN106152876A (zh) 弹道预测系统
KR102202625B1 (ko) 증강 현실 기반의 발사대 위험 지대 표시 방법 및 시스템
US20080123903A1 (en) Surveying apparatus
CN108474635B (zh) 目标获取装置及其系统
US20230326251A1 (en) Work estimation device, work estim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1316059A (zh) 使用邻近设备确定对象尺寸的方法和装置
CN111566433B (zh) 热瞄准器
CN104482865A (zh) 一种制动器厚度检测的方法及系统
KR101850973B1 (ko) 조준 감시 시스템
CN104455121A (zh) 一种闸瓦剩余厚度检测的方法及系统
KR101546799B1 (ko) 열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는 발칸포용 야간조준기 및 그 방법
CN107883815B (zh) 一种瞄具校准方法、装置、一种瞄具及一种枪械
CN111179349A (zh) 一种一体化激光目标指示器和目标指示方法
JP6894356B2 (ja) 船舶追尾システム
KR20210155931A (ko) 이동 목표물 조준 방법 및 조준 장치
US5806229A (en) Aiming aid for use with electronic weapon sights
KR102011765B1 (ko) 목표물의 조준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