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378B1 - 브레이크 페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페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378B1
KR102202378B1 KR1020170166839A KR20170166839A KR102202378B1 KR 102202378 B1 KR102202378 B1 KR 102202378B1 KR 1020170166839 A KR1020170166839 A KR 1020170166839A KR 20170166839 A KR20170166839 A KR 20170166839A KR 102202378 B1 KR102202378 B1 KR 102202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edal
mold
injection
injection molding
ped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933A (ko
Inventor
박웅섭
최재훈
김권택
최현진
김상희
황경민
강용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166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3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bre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2Plastic parts manufactured by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은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된 사출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사출 성형부는 서로 다른 2종의 열가소성 섬유복합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출 성형부는 상기 바디부에 사출 성형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섬유복합소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와 사출 성형부를 형성시킴에 따라,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섬유복합소재의 상보적 작용으로 높은 강도와 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페달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페달 및 그의 제조방법{Break-ped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섬유복합소재로 이루어진 바디부 및 사출 성형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페달과, 프레스공정과 사출성형을 동시에 수행하는 인몰드 성형을 이용한 브레이크 페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부품은 차량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스틸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스틸소재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로 인해 무게가 증가되고,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와 같이 연비에 민감한 차종의 경우 연비 또는 베터리의 소모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연비 개선 관점에서 복합소재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 개발이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복합소재를 이용하는 공정과 소재 종류에 따라 효율성, 물성 그리고 원가 측면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적합한 공정 선택이 중요한 설계인자이다.
일반적으로 차량부품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프레스 공법과 사출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적용 가능한 재료와 구조 형상에 대한 한계가 있어 큰 구조 강도를 요구하는 제품에 대한 적용은 상대적으로 작고 단순한 형상으로 제한된다..
한편, 차량부품 중에서 종래기술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은 스틸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급제동과 같은 돌발상황을 위해 높은 강도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가속 페달, 클러치 등의 타 부품과의 간섭과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고려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고정단과 페달부, 패드 부분의 위치가 평행하게 위치되지 못해 브레이크 페달 작동시 비틀림에 의해 구조강도상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두꺼운 단면 또는 중공타입의 형상을 채택하고 있으나 금속 재질은 밀도가 높아 자동차의 연비 개선에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경량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높은 강도 및 경도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섬유복합소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와 사출 성형부를 형성시킴에 따라,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섬유복합소재의 상보적 작용으로 높은 강도와 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페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섬유복합소재를 이용하여 핫프레스 공정과 사출성형공정을 하나의 공정에서 수행함에 따라 생산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설계자유도가 증가되는 브레이크 페달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은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된 사출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사출 성형부는 서로 다른 2종의 열가소성 섬유복합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출 성형부는 상기 바디부에 사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운전자의 발에 가압되는 힘을 상기 바디부에 전달하는 패드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보강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부는 브레이크 피스톤과 연결되는 클레비스(clevis) 연결부와, 브레이크 센서와 연결되는 센서용 브라켓과, 상기 바디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차체에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부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SFT: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제조방법은 열가소성 섬유강화복합소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로 형성되는 성형재료를 마련하는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 형성단계와, 프레스 가압 및 사출이 가능한 인몰드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에 대한 프레스 가압공정과, 사출소재를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에 결합시키는 사출 성형공정을 수행하는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형성 및 사출 성형부 인몰드 성형단계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형성 및 사출 성형부 인몰드 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브레이크 페달을 상기 인몰드 금형으로부터 추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추출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페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형성 및 사출 성형부 인몰드 성형단계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가 연화되도록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에 열을 가하는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 예열단계와, 예열된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를 형성시키는 프레스 가압단계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에 사출소재를 결합시켜 사출 성형부를 형성하는 사출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페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몰드 성형단계는 예열된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를 상기 인몰드 금형에 대향되도록 이송시키는 인몰드 금형으로 이송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페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몰드 금형은 서로 대향된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에는 선택적으로 사출소재가 유동되는 사출소재 유동홀와, 상기 사출소재 유동홀과 연통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에 접하는 사출 성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로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를 가압하여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사출소재 유동홀을 통해 상기 사출소재를 상기 사출 성형부에 제공하여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에 사출 성형부를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페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섬유강화복합소재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 형성단계는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를 적층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페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출소재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SFT: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페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출소재는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GMT: Glass Mat Reingorced Thermoplastics)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섬유복합소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와 사출 성형부를 형성시킴에 따라,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섬유복합소재의 상보적 작용으로 높은 강도와 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페달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섬유복합소재를 이용하여 핫프레스 공정과 사출성형공정을 하나의 공정에서 수행함에 따라 생산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설계자유도가 증가되는 브레이크 페달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의 개략적인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형성 및 사출 성형부 인몰드 성형단계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은 도 5에 도시한 인몰드 성형단계의 실제공정에 대한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세부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의 개략적인 후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000)은 바디부(1100)의 사출 성형부(1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디부(1100)의 사출 성형부(1200)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섬유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레이크 페달(1000)은 바디부(1100)에 사출 성형부(1200)가 사출 성형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바디부(1100)는 열가소성 섬유복합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00)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100)는 적층된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를 프레스 성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사출 성형부(1200)는 패드부(1210), 클레비스(clevis) 연결부(1220), 센서용 브라켓(1230), 마운팅 브라켓 연결부(1240) 및 보강리브(1250)를 포함한다.
그리고 패드부(1210)는 바디부(1100)의 일측단부에 연결되고, 운전자의 발에 가압된 힘을 바디부에 전달한다.
그리고 클레비스(clevis) 연결부(1220)는 브레이크 피스톤(미도시)과 연결되고, 센서용 브라켓(1230)은 브레이크 작동과 관련된 센서와 연결된다.
또한, 보강리브(1250)는 바디부(1100)의 강도 취약부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고, 바디부(1100)의 양측부(1110, 1120)를 연결하고, X자, 그물형상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마운팅 브라켓 연결부(1240)는 바디부(1100)의 타측단부에 연결되고, 차체에 바디부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출 성형부(1200)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SFT: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부(1200)는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GMT: Glass Mat Reingorced Thermoplastics)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의 제조방법(S1000)은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 형성단계(S1100),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형성 및 사출 성형부 인몰드 성형단계(S1200) 및 브레이크 페달 추출단계(S1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 형성단계(S1100)는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를 형성하는 성형재료를 마련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성형재료는 열가소성 섬유강화복합소재가 이용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일례로서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에 포함된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연속 유리섬유(GF: continuous glass fiber) 또는 연속 카본 섬유(CF: continuous carbon fib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는 적층 결합되어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형성 및 사출 성형부 인몰드 성형단계(S1200)는 인몰드 금형인 가압 사출금형을 통해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를 형성시키고,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에 사출소재를 결합시켜 사출 성형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하나의 공정으로 구현시키는 단계이다.
또한, 사출 성형부 사출소재는 브레이크 페달의 세부구성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SFT: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에 포함된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부 사출소재는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GMT: Glass Mat Reingorced Thermoplastics)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 추출단계(S1300)는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형성 및 사출 성형부 인몰드 성형단계(S1200)를 통해 성형된 브레이크 페달을 인몰드 금형인 가압 및 사출금형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형성 및 사출 성형부 인몰드 성형단계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형성 및 사출 성형부 인몰드 성형단계의 세부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형성 및 사출 성형부 인몰드 성형단계(S1200)는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 예열단계(S1210), 인몰드 금형으로 이송단계(S1220), 프레스 가압단계(S1230) 및 사출 성형단계(S12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 예열단계(S1210)는 프레스 가압을 위한 전공정으로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를 연화된 상태로 만들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에 열을 가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인몰드 금형으로 이송단계(S1220)는 예열된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를 프레스 가압 및 사출이 가능한 인몰드 금형에 대향되도록 이송시키는 단계이다.
그리고 프레스 가압단계(S1230)는 예열된 위해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위해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그리고 사출 성형단계(S1240)는 프레스 가압에 의해 형성된 위해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에 사출소재를 결합시켜 사출 성형부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또한, 인몰드 성형단계(S1200)는 인몰드 금형인 가압 및 사출금형에 인접하도록 예열부를 위치시킴에 따라, 인몰드 금형으로 이송단계(S1220)를 생략하고,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 예열단계(S1210) 이후에 바로 프레스 가압단계(S1230)로 진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인몰드 성형단계(S1200)는 인몰드 금형에 예열부를 형성시키고, 예열, 프레스 가압 및 사출성형 단계를 하나의 공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에 도시한 인몰드 성형단계의 실제공정에 대한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세부공정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6a는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 예열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를 예열하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10)를 가열부(110)에 대향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6b는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를 인몰드 금형으로 이송시킨 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가열부(110)에 의해 예열됨에 따라 연화된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10)를 프레스 가압 및 사출이 가능한 인몰드 금형(120)에 대향되도록 이송시킨다.
이때 인몰드 금형(120)은 서로 대향된 제1 금형(120a) 및 제2 금형(120b)를 포함하고, 제1 금형(120a) 및 제2 금형(120b)에는 선택적으로 사출소재 유동홀(121)과 사출부 형성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사출소재 유동홀(121)은 사출부 형성부(122)와 연통되고, 사출부 형성부(122)는 사출 성형부를 형성시키고,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에 사출 성형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출소재는 사출소재 유동홀(121)을 통해 사출부 형성부(122)에 제공되고, 제1 금형(120a) 및 제2 금형(120b)은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의 형상에 대응되고, 사출부 형성부(122)은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에 접하고 사출 성형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사출소재 유동홀(121)과 사출부 형성부(122)는 2종 이상의 사출소재가 공급되도록 복수개가 인몰드 금형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c는 프레스 가압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예열된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10)를 제1 금형(120a) 및 제2 금형(120b)으로 가압하여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를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도 5d는 사출성형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사출소재 유동홀(121)을 통해 사출부 형성부(122)에 사출 성형부 사출소재(20)를 제공하여 사출 성형부를 형성시키고, 사출 성형부를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에 결합시킨다.
또한, 사출소재 유동홀 및 사출부 형성부는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지고, 다른 사출소재가 제공되는 사출소재 유동홀 및 사출부 형성부 세트가 추가로 형성되어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에 복수의 사출 성형부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 20: 사출 성형부 사출소재
110: 가열부 120: 인몰드 금형
120a: 제1 금형 120b: 제2 금형
121: 사출소재 유동홀 122: 사출부 형성부
1000: 브레이크 페달 1100: 바디부
1200: 사출 성형부 1210: 패드부
1220: 연결부 1230: 센서용 브라켓
1240: 마운팅 브라켓 연결부 1250: 보강리브

Claims (12)

  1.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결합된 사출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사출 성형부는 서로 다른 2종의 열가소성 섬유복합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출 성형부는 상기 바디부에 사출 성형되고,
    상기 사출 성형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운전자의 발에 가압되는 힘을 상기 바디부에 전달하는 패드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부를 연결하면서 X자 또는 그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 성형부는
    브레이크 피스톤과 연결되는 클레비스(clevis) 연결부와, 브레이크 작동과 관련된 센서와 연결되는 센서용 브라켓과, 상기 바디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차체에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출 성형부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SFT: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 연결부, 상기 센서용 브라켓 및 상기 클레비스(clevis) 연결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결합된
    브레이크 페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페달.
  5. 삭제
  6. 열가소성 섬유강화복합소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를 형성하는 성형재료를 마련하는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 형성단계;
    프레스 가압 및 사출이 가능한 인몰드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에 대한 프레스 가압공정과, 사출소재를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에 결합시키는 사출 성형공정을 수행하는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형성 및 사출 성형부 인몰드 성형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형성 및 사출 성형부 인몰드 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브레이크 페달을 상기 인몰드 금형으로부터 추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추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형성 및 사출 성형부 인몰드 성형단계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가 연화되도록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에 열을 가하는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 예열단계;
    예열된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를 형성시키는 프레스 가압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에 사출소재를 결합시켜 사출 성형부를 형성하는 사출 성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 성형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운전자의 발에 가압되는 힘을 상기 바디부에 전달하는 패드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 성형부는
    브레이크 피스톤과 연결되는 클레비스(clevis) 연결부와, 브레이크 작동과 관련된 센서와 연결되는 센서용 브라켓과, 상기 바디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차체에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출 성형부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SFT: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페달 제조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몰드 성형단계는
    예열된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를 상기 인몰드 금형에 대향되도록 이송시키는 인몰드 금형으로 이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 페달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몰드 금형은
    서로 대향된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에는 선택적으로 사출소재가 유동되는 사출소재 유동홀와, 상기 사출소재 유동홀과 연통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에 접하는 사출 성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으로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를 가압하여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사출소재 유동홀을 통해 상기 사출소재를 상기 사출 성형부에 제공하여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에 사출 성형부를 형성시키는
    브레이크 페달 제조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섬유강화복합소재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바디부 소재 형성단계는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를 적층하는 단계인
    브레이크 페달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66839A 2017-12-06 2017-12-06 브레이크 페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02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839A KR102202378B1 (ko) 2017-12-06 2017-12-06 브레이크 페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839A KR102202378B1 (ko) 2017-12-06 2017-12-06 브레이크 페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933A KR20190066933A (ko) 2019-06-14
KR102202378B1 true KR102202378B1 (ko) 2021-01-12

Family

ID=6684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839A KR102202378B1 (ko) 2017-12-06 2017-12-06 브레이크 페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3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3222A1 (de) * 2011-01-27 2012-08-02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pedal für Kraftfahrzeuge
JP2016078376A (ja) * 2014-10-20 2016-05-16 東芝機械株式会社 成形品の製造方法、成形品、および成形品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3222A1 (de) * 2011-01-27 2012-08-02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pedal für Kraftfahrzeuge
JP2016078376A (ja) * 2014-10-20 2016-05-16 東芝機械株式会社 成形品の製造方法、成形品、および成形品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933A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7657B2 (en) Composite article made with unidirectional fibre reinforced tape
CN107107486B (zh) 生产机动车辆的混合结构部件的方法及相应混合结构部件
US8216501B2 (en) Process for producing molded parts, in particular decorative part and/or trim part for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US20130082416A1 (en) Compression overmolding process, device therefor and part made therefrom
KR20190056183A (ko) 인몰드 성형을 이용한 차량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과 경량 컨트롤암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8105828A4 (en) Composite laminat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2574334A (zh) 梁材的制造方法和制造装置
KR20090099215A (ko) 연속섬유가 보강된 고강도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공정
KR20190106379A (ko) 차량용 범퍼 백빔과 그의 제조방법
CN110435182A (zh) 一种连续纤维增强热塑性复合材料制件的快速成型工艺
CN104723568A (zh) 用于车辆的背梁
WO2018078501A2 (en) Process and/or substrate and/or sheet for a composite article
KR20200127486A (ko) 이종소재 일체화 구조체 및 일체화 방법
CN115701385A (zh) 自行车架组件的热压接合方法及其成品
KR102200966B1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02378B1 (ko) 브레이크 페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687271B (zh) 制备具有集成增强结构的多壳复合材料构件的方法以及由其制得的多壳复合材料构件
KR102152204B1 (ko) 섬유강화복합소재의 인서트 오버몰딩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현가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현가장치
JP2010158831A (ja) 織物加飾樹脂製品の製造方法及び同方法により製造した織物加飾樹脂製品
KR102320695B1 (ko) 인몰드 성형을 이용한 차량 범퍼의 로워 스티프너의 제조방법 및 차량 범퍼의 로워 스티프너
KR102341683B1 (ko) 차량용 연료 트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JP4100718B2 (ja) 安全履物用の複合プラスチック材料製先芯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3803A (ja) 靴中底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160758A1 (en) Piece made of two fibre reinforced thermoplastic part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90072903A (ko) 에어백 하우징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