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379A - 차량용 범퍼 백빔과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 백빔과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379A
KR20190106379A KR1020180027806A KR20180027806A KR20190106379A KR 20190106379 A KR20190106379 A KR 20190106379A KR 1020180027806 A KR1020180027806 A KR 1020180027806A KR 20180027806 A KR20180027806 A KR 20180027806A KR 20190106379 A KR20190106379 A KR 20190106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mold
back beam
injection
bumper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계웅
길용길
이산호
박성훈
이성현
정규현
강용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027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6379A/ko
Publication of KR2019010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9Handling of moulded articles or runners, e.g. sorting, stacking, grinding of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3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백빔은 백빔 바디와, 상기 백빔 바디의 단부에 형성된 크래쉬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백빔 바디는 제1 바디 프레임 및 제2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범퍼 백빔과 그의 제조방법{BUMPER BACK BEAN OF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 백빔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부품은 차량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스틸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스틸소재로 이루어질 경우 차량이 무게가 증가되고,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로 구현될 경우, 베터리의 소모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차량부품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프레스 공법과 사출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공정이 매우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단계적 공정으로 인해 불량 발생율이 높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차량부품 중에서 종래기술에 따른 범퍼는 차체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 또는 외부 물체와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가 받는 충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차체 및 탑승자를 보호할 뿐 아니라 후드 및 엔진룸에 장착된 엔진과 각종 장치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범퍼는 외피를 이루는 페이셔와, 페이셔의 형상을 유지시키면서 충돌시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충돌 흡수부재와, 탄성변형 또는 소성변형을 통해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백빔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백빔에는 크래쉬박스가 설치됨으로써 충돌시 충격에 견딜 수 있는 높은 에너지 흡수량을 얻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백빔은 신율이 작은 재료로 이루어질 경우 고속충돌시 끊어짐이 발생되어 강도와 신율을 동시에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경량으로 구현됨과 동시에 신율이 증대되어, 고속으로 충돌시에도 끊어짐 등의 파손을 방지되고, 강성이 증대된 차량용 범퍼 백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하나의 인몰드 금형으로 프레스 가공 및 사출공정이 구현됨에 따라 프레스 공정 후 이동에 따른 온도변화로 인해 이종소개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되고, 생산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된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백빔은 백빔 바디와, 상기 백빔 바디의 단부에 형성된 크래쉬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백빔 바디는 제1 바디 프레임 및 제2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에 결합된다.
또한, 차량용 범퍼 백빔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은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범퍼 백빔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 프레임은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범퍼 백빔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은 프레스 가공되고, 제 2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을 커버하도록 사출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은 열가소성 섬유강화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제1 프레임 바디를 형성하는 성형소재를 마련하는 제1 프레임 바디 성형소재 형성단계와, 프레스 가압 및 사출이 가능한 인몰드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바디 성형소재에 대한 프레스 가압공정과, 사출소재를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에 결합시키는 사출 성형공정을 수행하는 제1 바디 프레임 형성 및 제2 바디 프레임 인몰딩 단계와,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형성 및 제2 바디 프레임 인몰드 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범퍼 백빔을 상기 인몰드 금형으로부터 추출하는 범퍼 백빔 추출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형성 및 제2 바디 프레임 인몰드 성형단계는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가 연화되도록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에 열을 가하는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 예열단계와, 예열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을 형성시키는 프레스 가압단계와, 프레스 가압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에 사출소재를 결합시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에 상기 제2 바디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사출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 프레임은 제1 바디 프레임을 커버하도록 사출성형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몰드 성형단계는
예열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를 상기 인몰드 금형에 대향되도록 이송시키는 인몰드 금형으로 이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몰드 금형은 서로 대향된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에는 선택적으로 사출소재가 유동되는 사출소재 유동홀와, 상기 사출소재 유동홀과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접하는 사출성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을 형성시키고, 상기 사출소재 유동홀을 통해 상기 사출소재를 상기 사출성형부에 제공하여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에 제2 바디 프레임을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섬유강화복합소재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이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 형성단계는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를 적층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출소재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으로 구현됨과 동시에 신율이 증대되어, 고속으로 충돌시에도 끊어짐 등의 파손을 방지되고, 강성이 증대된 차량용 범퍼 백빔을 얻을 수 있고, 하나의 인몰드 금형으로 프레스 가공 및 사출공정이 구현됨에 따라 프레스 공정 후 이동에 따른 온도변화로 인해 이종소개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되고, 생산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된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백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범퍼 백빔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범퍼 백빔에 있어서, 제1 바디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1 바디 프레임의 개략적인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백빔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 바디 프레임 형성 및 제2 바디 프레임 인몰딩 단계에 대한 개략적인 세부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은 도 5에 도시한 차량용 범퍼 백빔의 제조방법의 실제공정에 대한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세부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백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범퍼 백빔의 A-A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범퍼 백빔(1000)는 백빔 바디(1100) 및 크래쉬박스(12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백빔 바디(1100)은 제1 바디 프레임(1110) 및 제2 바디 프레임(122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바디 프레임(1110)은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 프레임(1110)은 연속섬유강화 복합소재(LDF: Large Deformation Formula)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 프레임(1220)는 제1 바디 프레임(1110)을 커버한다.
또한, 제2 바디 프레임(1220)는 제1 바디 프레임(1110)을 커버하도록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 프레임(1220)은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크래쉬박스(1200)는 백빔 바디(1100)의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크래쉬박스(1200)는 제2 바디 프레임(1120)에 연장되도록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범퍼 백빔에 있어서, 제1 바디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1 바디 프레임의 개략적인 후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디 프레임(1110)는 바디부(1111)과 크래쉬박스부(111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111)는 백빔 바디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크래쉬박스부(1112)는 바디부(1111)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크래쉬박스(1200)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바디부(1111)에는 바디 홈부(1111a)가 형성되고, 크래쉬박스부(1112)에는 크레쉬박스 홈부(1112a)가 형성된다.
또한, 바디부(1111)와 크래쉬박스부(1112)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백빔(1000)은 경량으로 구현됨과 동시에 제1 바디 프레임(1110)에 의해 신율이 증대되어, 고속으로 충돌시에도 끊어짐 등의 파손을 방지되고, 제2 바디 프레임에 의해 강성이 증대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백빔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범퍼 백빔의 제조방법(S1000)은 제1 바디 프레임 소재 형성단계(S1100), 제1 바디 프레임 형성 및 제2 바디 프레임 인몰딩 단계(S1200) 및 범퍼 백빔 추출단계(S1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 프레임 소재 형성단계(S1100)는 열가소성 섬유강화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제1 바디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성형소재를 마련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제1 바디 프레임 소재 형성단계(S1100)는 제1 바디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소재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성형재료는 열가소성 섬유강화복합소재가 이용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일례로서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이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에 포함된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연속 유리섬유(GF: continuous glass fiber) 또는 연속 카본 섬유(CF: continuous carbon fib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는 적층 결합되어 성형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바디 프레임 형성 및 제2 바디 프레임 인몰딩 단계(S1200)는 인몰드 금형인 가압 및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제1 바디 프레임을 형성하는 성형소재에 대한 프레스 가압공정과, 제2 바디 프레임을 형성하는 사출소재를 성형소재에 결합시키는 사출 성형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수행하는 단계이다.
또한, 사출소재는 범퍼 백빔에 강성과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SFT: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에 포함된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출소재는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GMT: Glass Mat Reingorced Thermoplastics)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범퍼 백빔 추출단계(S1300)는 제1 바디 프레임 형성 및 제2 바디 프레임 인몰딩 단계(S1200)를 통해 성형된 범퍼 백빔을 가압 및 사출금형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제1 바디 프레임 형성 및 제2 바디 프레임 인몰딩 단계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 바디 프레임 형성 및 제2 바디 프레임 인몰드 성형단계에 대한 개략적인 세부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디 프레임 형성 및 제2 바디 프레임 인몰딩 단계(S1200)는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 예열단계(S1210), 인몰드 금형으로 이송단계(S1220), 프레스 가압단계(S1230) 및 제2 바디 프레임 사출 성형단계(S12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 예열단계(S1210)는 프레스 가압을 위해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를 연화된 상태로 만들기 위해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에 열을 가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인몰드 금형으로 이송단계(S1220)는 예열된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를 프레스 가압 및 사출이 가능한 인몰드 금형에 대향되도록 이송시키는 단계이다.
그리고 프레스 가압단계(S1230)는 예열된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성형품의 형상 즉, 제1 바디 프레임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그리고 제2 바디 프레임 사출 성형단계(S1240)는 프레스 가압에 의해 형성된 제1 바디 프레임에 사출소재를 사출시켜 제1 바디 프레임에 제2 바디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성형단계는 인몰드 금형인 가압 및 사출금형에 인접하도록 예열부를 위치시킴에 따라, 인몰드 금형으로 이송단계(S1220)를 생략하고,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 예열단계(S1210) 이후에 바로 프레스 가압단계(S1230)로 진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성형단계는 인몰드 금형에 예열부를 형성시키고, 예열, 프레스 가압 및 사출성형 단계를 하나의 공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차량용 범퍼 백빔이 제조됨에 따라, 하나의 인몰드 금형으로 프레스 가공 및 사출공정이 구현됨에 따라 프레스 공정 후 이동에 따른 온도변화로 인해 이종소개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되고, 생산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d은 도 5에 도시한 차량용 범퍼 백빔의 제조방법의 실제공정에 대한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세부공정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a는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 예열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를 예열하기 위해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10)를 가열부(110)에 대향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7b는 제1 바디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성형소재를 인몰드 금형으로 이송시킨 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가열부(110)에 의해 예열됨에 따라 연화된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10)를 프레스 가압 및 사출이 가능한 인몰드 금형(120)에 대향되도록 이송시킨다.
이때 인몰드 금형(120)은 서로 대향된 제1 금형(120a) 및 제2 금형(120b)를 포함하고, 제1 금형(120a) 및 제2 금형(120b)에는 선택적으로 사출소재 유동홀(121)과 사출성형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사출소재 유동홀(121)은 사출성형부(122)에 연통되고, 사출성형부(122)는 베이스 바디에 특정형상의 사출재료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즉, 사출소재는 사출소재 유동홀(121)을 통해 사출성형부(122)에 제공되고, 제1 금형(120a) 및 제2 금형(120b)은 제1 바디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되고, 사출성형부(122)는 제1 바디 프레임에 접하도록 위치되어 되고, 제1 바디 프레임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사출소재 유동홀(121)과 사출성형부(122)는 2종 이상의 사출소재가 공급되도록 복수개가 인몰드 금형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c는 프레스 가압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예열된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10)를 제1 금형(120a) 및 제2 금형(120b)으로 가압하여 제1 바디 프레임(10')을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도 7d는 사출성형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사출소재 유동홀(121)을 통해 사출성형부(122)에 제1 바디 프레임 사출소재(20)를 제공하여 제1 바디 프레임(10')에 제2 바디 프레임(20')을 결합시킨다.
또한, 사출소재 유동홀 및 사출성형부는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지고, 다른 사출소재가 제공되는 사출소재 유동홀 및 사출성형부 세트가 추가로 형성되어 제1 바디 프레임에 복수의 커버부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 10': 제1 바디 프레임
20: 제1 바디 프레임 사출소재 20': 제2 바디 프레임
110: 가열부 120b: 및 제2 금형
120: 인몰드 금형 120a: 제1 금형
121: 사출소재 유동홀 122: 사출성형부
1000: 차량용 범퍼 백빔 1100: 백빔 바디
1110: 제1 바디 프레임 1111a: 바디 홈부
1111: 바디부 1112: 크래쉬박스부
1112a: 크레쉬박스 홈부 1120: 제2 바디 프레임
1200: 크래쉬박스 1220: 제2 바디 프레임

Claims (11)

  1. 백빔 바디; 및
    상기 백빔 바디의 단부에 형성된 크래쉬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백빔 바디는 제1 바디 프레임 및 제2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에 결합된
    차량용 범퍼 백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은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차량용 범퍼 백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 프레임은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차량용 범퍼 백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은 프레스 가공되고, 제 2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을 커버하도록 사출성형된
    차량용 범퍼 백빔.
  5. 열가소성 섬유강화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제1 프레임 바디를 형성하는 성형소재를 마련하는 제1 프레임 바디 성형소재 형성단계;
    프레스 가압 및 사출이 가능한 인몰드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바디 성형소재에 대한 프레스 가압공정과, 사출소재를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에 결합시키는 사출 성형공정을 수행하는 제1 바디 프레임 형성 및 제2 바디 프레임 인몰딩 단계; 및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형성 및 제2 바디 프레임 인몰드 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범퍼 백빔을 상기 인몰드 금형으로부터 추출하는 범퍼 백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형성 및 제2 바디 프레임 인몰드 성형단계는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가 연화되도록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에 열을 가하는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 예열단계;
    예열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을 형성시키는 프레스 가압단계; 및
    프레스 가압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에 사출소재를 결합시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에 상기 제2 바디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사출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 프레임은 제1 바디 프레임을 커버하도록 사출성형된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몰드 성형단계는
    예열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를 상기 인몰드 금형에 대향되도록 이송시키는 인몰드 금형으로 이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몰드 금형은
    서로 대향된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에는 선택적으로 사출소재가 유동되는 사출소재 유동홀와, 상기 사출소재 유동홀과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접하는 사출성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로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을 형성시키고, 상기 사출소재 유동홀을 통해 상기 사출소재를 상기 사출성형부에 제공하여 상기 제1 바디 프레임에 제2 바디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섬유강화복합소재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이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바디 프레임 성형소재 형성단계는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를 적층하는 단계인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소재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차량용 범퍼 백빔 제조방법.
KR1020180027806A 2018-03-09 2018-03-09 차량용 범퍼 백빔과 그의 제조방법 KR20190106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806A KR20190106379A (ko) 2018-03-09 2018-03-09 차량용 범퍼 백빔과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806A KR20190106379A (ko) 2018-03-09 2018-03-09 차량용 범퍼 백빔과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379A true KR20190106379A (ko) 2019-09-18

Family

ID=6807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806A KR20190106379A (ko) 2018-03-09 2018-03-09 차량용 범퍼 백빔과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63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064B1 (ko) 2019-11-20 2020-05-07 서진산업 주식회사 멀티 소재와 노치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퍼 백빔
KR102107070B1 (ko) 2019-11-20 2020-05-07 서진산업 주식회사 멀티 소재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퍼 백빔
KR102329896B1 (ko) 2020-11-25 2021-11-24 서진산업 주식회사 알루미늄 보강재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버백빔
CN114789755A (zh) * 2022-02-07 2022-07-2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车身a柱下端补强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064B1 (ko) 2019-11-20 2020-05-07 서진산업 주식회사 멀티 소재와 노치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퍼 백빔
KR102107070B1 (ko) 2019-11-20 2020-05-07 서진산업 주식회사 멀티 소재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퍼 백빔
KR102329896B1 (ko) 2020-11-25 2021-11-24 서진산업 주식회사 알루미늄 보강재 적용 경량화 하이브리드 범버백빔
CN114789755A (zh) * 2022-02-07 2022-07-2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车身a柱下端补强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6379A (ko) 차량용 범퍼 백빔과 그의 제조방법
CN109131190B (zh) 制备层压板的方法、吸能装置、吸能装置组合物及成形工具
CN107107486B (zh) 生产机动车辆的混合结构部件的方法及相应混合结构部件
US9937657B2 (en) Composite article made with unidirectional fibre reinforced tape
CN104797407B (zh) 金属/cfrp复合结构及其制造方法和制造设备
EP2796326B1 (en) Automobile fiber-strengthening resin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automobile fiber-strengthening resin member
US10300632B2 (en) Method of producing preform
CN106114429B (zh) 复合结构汽车保险杠防撞梁及制造方法
JP4051396B1 (ja) 織物加飾樹脂製品の成形方法
RU267133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заготовка для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US8771574B2 (en) Bonding of fibre-reinforced material with an injection-moulding material; component and apparatus for conduct of the process
KR20190056183A (ko) 인몰드 성형을 이용한 차량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과 경량 컨트롤암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92919A (ko) 구조적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그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및 구조적 구성요소
KR101891824B1 (ko) 이종 소재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차체부품 제조 방법
CN101485502A (zh) 一体成型安全头盔及其制作方法
KR102320695B1 (ko) 인몰드 성형을 이용한 차량 범퍼의 로워 스티프너의 제조방법 및 차량 범퍼의 로워 스티프너
KR101026962B1 (ko) 차량용 범퍼빔 제조방법
KR102202378B1 (ko) 브레이크 페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72903A (ko) 에어백 하우징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41683B1 (ko) 차량용 연료 트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20121714A1 (en) Automobile interior components that satisfy impact standard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072904A (ko) 무릎 에어백 하우징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1008127A (ja) 賦形成形型及び賦形成形方法
KR102202379B1 (ko) 차량용 범퍼 빔 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55903A (ko) 원단 일체형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