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124B1 - 탄성끈 직조장치 - Google Patents

탄성끈 직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124B1
KR102202124B1 KR1020200096341A KR20200096341A KR102202124B1 KR 102202124 B1 KR102202124 B1 KR 102202124B1 KR 1020200096341 A KR1020200096341 A KR 1020200096341A KR 20200096341 A KR20200096341 A KR 20200096341A KR 102202124 B1 KR102202124 B1 KR 102202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ving
supply
tension
yarn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우
Original Assignee
오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우 filed Critical 오영우
Priority to KR1020200096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48Auxiliary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D04C1/12Cords, lines, or t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끈 직조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거치되어 탄성사와 일반사를 공급하는 실공급수단과, 상기 실공급수단의 하측에 설치되어 실공급수단에서 공급된 실을 직조하여 탄성끈을 만드는 직조수단을 포함하는 탄성사 직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조수단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직조모터; 상기 직조모터의 상측에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구비되고, 상기 직조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직조회전축; 상기 직조회전축과 연동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형상의 스핀들; 상기 스핀들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홈이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직조봉;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단에 고리 형상의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하측에 커버핀이 힌지 결합되고, 하단에 상기 가이드홈의 외부로 노출되는 캠편이 형성된 코바늘; 상기 스핀들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실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고무사와 일반사를 상기 코바늘에 걸어주는 실걸이편; 중공형상을 이루고 상기 스핀들과 직조봉 사이에 상하측으로 분할 설치되고 각각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하단에 하단캠경사면이 형성되는 상부캠 및 상기 상부캠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단에 상단캠경사면이 형성되는 하부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단캠경사면과 상단캠경사면 사이에 캠편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상부캠과 하부캠이 회전하면, 상기 코바늘이 순차적으로 승강하면서 탄성끈이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성끈 직조장치{Apparatus for weaving elatic string}
본 발명은 직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탄성사와 일반사를 직조하여 탄성을 신축성 있는 탄성끈을 직조할 수 있는 탄성끈 직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축성이 있는 끈이나 줄, 로프는 각종 제품에 많이 사용된다.
특히, 최근 마스크의 폭발적인 수요로 인해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도록 귀에 걸수 있는 마스크끈의 생산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종래 마스크끈과 같은 탄성끈이나 탄성줄을 직조하기 위한 장치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사와 일반사를 혼합하여 직조하는 방식으로 제조했다.
즉, 고무사와 일반사를 엮는 방식으로 제조하는데, 고무사는 일정한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일반사를 직조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 고무사에 일정한 장력을 줄 수 있는 텐션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여 완성된 탄성끈의 경우 원하는 만큼 신축성을 가지지 못하거나 균일한 탄성을 유지하지 못하여 제품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탄성끈을 자동으로 직조하는 장치의 경우 일정 시간동안 생산량의 한계가 있었다.
또 캠방식으로 코바늘을 이용하여 직조하는 구조의 경우 캠에 이물질이 유입되면 코바늘의 원활한 승강에 방해가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06248(2017.2.7.) "32사 탄성스트링 제조용 편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80390(2003.4.2.) "코바늘 편직된 고무실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편물리본을 제조하기 위한 시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2184(2017.11.22.) "덧버선 강화밴드의 편직방법과 그 장치"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사인 고무사에 적절한 텐션을 가한 상태로 일반사와 직조할 수 있는 탄성끈 직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캠방식에 의한 코바늘의 승강시 캠에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캠작동이 원활한 구조를 가지는 탄성끈 직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끈 직조장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거치되어 탄성사와 일반사를 공급하는 실공급수단과, 상기 실공급수단의 하측에 설치되어 실공급수단에서 공급된 실을 직조하여 탄성끈을 만드는 직조수단을 포함하는 탄성사 직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조수단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직조모터; 상기 직조모터의 상측에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구비되고, 상기 직조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직조회전축; 상기 직조회전축과 연동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형상의 스핀들; 상기 스핀들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홈이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직조봉;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단에 고리 형상의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하측에 커버핀이 힌지 결합되고, 하단에 상기 가이드홈의 외부로 노출되는 캠편이 형성된 코바늘; 상기 스핀들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실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고무사와 일반사를 상기 코바늘에 걸어주는 실걸이편; 중공형상을 이루고 상기 스핀들과 직조봉 사이에 상하측으로 분할 설치되고 각각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하단에 하단캠경사면이 형성되는 상부캠 및 상기 상부캠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단에 상단캠경사면이 형성되는 하부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단캠경사면과 상단캠경사면 사이에 캠편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상부캠과 하부캠이 회전하면, 상기 코바늘이 순차적으로 승강하면서 탄성끈이 직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단캠경사면과 하단캠경사면은 각각 내측단이 외측단보다 높게 형성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공급수단은,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공급모터; 상기 공급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공급구동풀리; 상기 직조수단의 상측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공급회전축; 상기 공급회전축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구동풀리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공급종동풀리; 상기 공급회전축 사이에 거치되어 상기 공급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고무사를 상기 직조수단으로 공급하는 고무사롤; 상기 공급회전축의 상측에 거치되어 일반사를 상기 직조수단으로 공급하는 일반사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고무사롤의 좌우이동을 차단하도록 차단디스크 한 쌍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공급모터 일측에 설치되는 텐션모터; 상기 텐션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텐션구동풀리;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텐션회전축; 상기 텐션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텐션풀리와 연동되는 텐션종동풀리; 상기 텐션회전축과 밀착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텐션수단이 더 구비되어, 일반사의 공급속도를 고무사의 공급속도보다 빠르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직조수단에서 직조된 탄성끈이 상기 텐션회전축과 텐션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탄성끈에 일정한 텐션이 가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무사의 공급속도를 일반사 공급속도보다 느리게 하는 동시에, 텐션수단에 의해 직조수단으로부터 인출되는 탄성끈에 적절한 텐션을 가하기 때문에 상기 직조수단으로 인입되는 고무사에도 적절한 텐션이 가해진 상태에서 탄성끈이 직조되므로 완성된 탄성끈의 외주면이 울퉁불퉁하지 않고 매끈하며 단면이 원형으로 직조되므로 품질이 우수하고 신축성이 뛰어나다.
둘째, 상부캠과 하부캠의 경사면이 단이진 형상을 가지므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이물질에 의해 캠편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는다. 그리고 캠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가 내측단보다 낮은 외측단에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캠 작동이 이루어져 생산성이 크게 증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탄성끈 직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텐션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직조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직조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캠 또는 하부캠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탄성끈 직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사와 신축성이 없는 복수가닥의 일반사를 혼합, 직조하여 신축성 있는 탄성끈을 만드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크게 프레임부(100), 실공급수단(200) 및 직조수단(300)을 포함하역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프레임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프레임들이 단부간에 연결되어 장방형의 골격을 이루는 구조이다.
상기 프레임부(100)에 상기 실공급수단(200)과 직조수단(300)이 설치 및 구비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실공급수단(200)과 직조수단(300)의 크기 형상이나 구조에 맞춰 상기 프레임부(100)의 각 프레임을 배치하여 구조가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상기 실공급수단(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실공급수단(200)은 상기 직조수단(300)에 고무사와 일반사를 공급해주는 것으로 공급모터(210), 공급구동풀리(220), 공급회전축(230), 공급종동풀리(240), 고무사롤(250), 일반사롤(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모터(21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타측에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모터(210)의 구동축에는 공급구동풀리(220)가 결합되어 회전구동된다.
또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 상측, 다시 말해서 상기 직조수단(300)의 위에 한 쌍의 공급회전축(230)이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공급회전축(230)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데, 그 간격은 상기 고무사롤(250)의 외경보다 짧은 간격을 가져야 한다.
이때, 상기 공급회전축(230)의 단부에 각각 공급종동풀리(240)가 결합되고, 한 쌍의 공급종동풀리(240)와 상기 공급구동풀리(220)는 함께 벨트로 연동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구동풀리(220)와 공급종동풀리(240)는 모두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공급회전축(230)도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공급회전축(230) 사이에는 고무사롤(250)이 거치된다.
상기 고무사롤(250)은 고무사가 권취된 롤이며 상기 공급회전축(230) 사이에 거치되어 접촉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공급회전축(230)들이 회전하면 마찰에 의해 상기 고무사롤(250)도 회전하면서 고무사가 풀어진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공급회전축(230)에 거치된 고무사롤(250)이 회전하는 동안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급회전축(230) 중 어느 하나에 차단디스크(231) 한 쌍이 결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차단디스크(231)의 간격은 상기 고무사롤(250)보다 약간 크게 구비되어 차단디스크(231) 사이에 고무사롤(250)이 수용되게 한다.
또한, 상기 공급회전축(230)의 상측에는 일반사롤(260)이 회전 가능하게 거치된다.
이를 위해, 거치바(261)가 다수개 구비된다. 일반사롤(260)의 수에 따라 거치바(261)의 수가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텐션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프레임부(100)의 하부 외측면에는 텐션수단(4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텐션수단(400)은 상기 고무사롤(250)에서 공급되는 고무사에 일정한 텐션(tension)을 가한 상태에서 직조가 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종래 탄성끈 제조시 고무사에 텐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일반사와 직조하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렇게 직조된 탄성끈은 외주면이 울퉁불퉁해지는 해지고 단면이 정확한 원형이 아닌 형상이 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상기 텐션수단(400)은 텐션모터(410), 텐션구동풀리(420), 텐션회전축(430), 텐션종동풀리(440), 텐션롤러(4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급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고무사에 텐션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텐션모터(410)는 상기 공급모터(210)의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모터(210)의 구동축에는 텐션구동풀리(420)가 결합되어 회전 구동된다.
또 상기 프레임부(100)의 하부 외측면에 수평으로 텐션회전축(4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텐션회전축(430)의 단부에는 텐션종동풀리(440)가 결합되고 상기 텐션구동풀리(420)와 벨트로 연동된다.
상기 텐션회전축(430)의 일측에는 텐션롤러(450)가 구비된다. 상기 텐션롤러(450)는 상기 텐션회전축(430)과 면접촉하도록 별도의 스프링(460)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상기 직조수단(300)에 의해 직조된 탄성끈(S)이 상기 직조수단(300)의 하향 인출되면서 상기 텐션회전축(430)과 텐션롤러(450) 사이를 지난 후 별도의 보빈(미도시)에 감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텐션회전축(43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텐션롤러(450)와 텐션회전축(430) 사이를 지나는 탄성끈 사이에 마찰로 인해 탄성끈(S)에 인장력이 걸린 상태로 상기 직조수단(300)으로부터 인출될 것이다.
동시에 상기 공급모터(2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고무사롤(250)의 회전속도가 상기 일반사롤(260)의 회전속도보다 느리게 공급되게 함으로써 상기 고무사롤(250)에서 풀리는 고무사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즉, 일반사에 비해 고무사가 천천히 풀리도록 제어함으로써 고무사에 일정한 텐션이 걸리게 한다.
대략 상기 일반사롤(260)의 회전속도가 상기 고무사롤(250)의 회전속도보다 5 ~ 20배 정도 빠르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배 보다 작은 경우 상기 고무사롤(250)에 텐션이 작게 가해지므로 직조된 탄성끈(S)의 외주면이 울퉁불퉁하고 단면이 정확하게 원형이 되지 못한다.
만일, 20배 보다 큰 경우 상기 고무사롤(250)에 과한 텐션이 가해지므로 직조된 탄성끈(S)은 경화된 상태가 되어 신축성이 거의 없게 된다.
참고로 가장 적절한 속도비는 일반사롤의 공급속도가 고무사롤의 공급속도보다 10배 정도 빠르게 제어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7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직조수단(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직조수단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직조수단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내며,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캠 또는 하부캠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직조수단(300)은 크게, 직조모터(310), 직조회전축(320), 스핀들(330), 직조봉(340), 코바늘(350), 실걸이편(360), 상부캠(370) 및 하부캠(3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직조모터(31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일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공급모터(210)의 반대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직조모터(310)의 상측에 수평으로 직조회전축(3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직조회전축(320)은 상기 프레임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단부에 직조종동풀리(321)가 결합되어, 상기 직조모터(310)의 구동축에 결합된 직조구동풀리(311)와 연동된다.
또 상기 프레임부(100)의 측면에 스핀들(3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핀들(330)은 중앙이 빈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조회전축(320)과 연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직조회전축(320)과 상기 스핀들(330)은 연질의 벨트를 권취하여 연동시킬 수 있다. 즉, 벨트 일단은 상기 스핀들(330)의 외주면에 권취되고, 타단은 상기 직조회전축(320)에 권취되게 할 수 있다.
이때, 벨트가 1회 꼬임이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 직조회전축(320)의 회전으로 상기 스핀들(330)은 빠르게 회전할 수 있다. 대략, 상기 스핀들은 2000rpm 내외로 회전 구동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핀들(330)은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고 각 스핀들(330)은 상기 직조회전축(320)과 연동되어 모두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스핀들(330)의 내부에는 직조봉(340)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직조봉(3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상을 이루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홈(34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41)은 슬릿형상으로 가느다랗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341)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다.
이때, 상기 직조봉(340)의 상단 일부는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직조봉(340)과 스핀들(330)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상기 직조봉(340)이 고정축과 같은 역할을 하고 외측에서 상기 스핀들(330)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341)에는 각각 코바늘(350)이 삽입되고, 승강 가능하다.
상기 코바늘(3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고리 형상의 후크(351)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351)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 가능한 커버핀(35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코바늘(350)의 하단에 캠편(353)이 'ㄷ'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코바늘(350)의 두께는 상기 가이드홈(34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코바늘(350)이 상기 가이드홈(341)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 상기 가이드홈(341)에 삽입된 상기 코바늘(350)의 캠편(353)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스핀들(330)의 외주면에는 실걸이편(360)이 부착되어 함께 회전한다.
상기 실걸이편(360)은 대략 'ㄱ'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홀(361)이 형성되어 상기 고무사와 일반사가 통과한다.
상기 실걸이편(360)은 고무사와 일반사를 모아주면서 함께 회전시켜 상기 코바늘(350)에 순차적으로 걸리도록 유도한다.
상기 스핀들(330)과 직조봉(340) 사이에 상부캠(370)과 하부캠(380)이 삽입되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분할 설치된다.
상기 상부캠(370)과 하부캠(380)은 각각 중공관 형상을 이루고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진다. 즉,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캠(370)의 하단에 하단캠경사면(371)이 형성되고,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캠(380)의 상단에 상단캠경사면(38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단캠경사면(371)과 상단캠경사면(381)은 서로 동일한 경사를 가지면서 경사면 궤적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캠(370)과 하부캠(380)은 각각 상기 스핀들(33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341)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캠편(353)이 상기 상부캠(370)과 하부캠(380) 사이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캠편(353)이 상기 상단캠경사면(381)과 하단캠경사면(371) 사이에 맞춤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스핀들(330)의 회전으로 상기 상부캠(370)과 하부캠(380)이 회전하면 상기 캠편(353)은 상기 상단캠경사면(381)과 하단캠경사면(371)이 형성하는 궤적을 따라 승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바늘(350)이 복수개 구비되므로 각 코바늘(350)은 순차적으로 승강하게 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상단캠경사면(381)과 하단캠경사면(371)은 각각 단이진 형상인 것이 좋다.
즉, 각 외측단(373, 383)보다 내측단(372, 382)이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장시간 운전시, 상기 상부캠(370)과 하부캠(380)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면 캠편(353)의 이동이 방해된다. 그리고 상기 캠편(353)의 원활한 이동 및 마찰방지를 위해 윤활제가 주입된 상태로 작동하는데, 장시간 작동시 윤활제가 단시간 내에 소모되었다.
그러나 단이진 형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상대적으로 낮은 외측단(373)에 이물질이 먼저 유입되므로 높은 내측단으로 인해 이물질이 더 이상 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캠편(353)은 이물질로 인해 진행이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단(373)에 충분한 윤활제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윤활제의 소모가 지연된다.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고무사롤(250)과 일반사롤(260)에서 언와인딩된 고무사와 일반사는 각각 상기 실걸이편(360)의 홀(361)을 통과하여 상기 직조봉(340)의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직조모터(310)의 구동으로 상기 직조회전축(320)이 회전하면, 상기 스핀들(330)이 빠르게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실걸이편(360) 및 상기 상부캠(370)과 하부캠(380)도 동시에 회전하게된다.
상기 상부캠(370)과 하부캠(380)의 회전으로 상기 상단캠경사면(381)과 하단캠경사면(371) 사이에 삽입된 상기 코바늘(350)의 각 캠편(353)이 순차적으로 승강하게 되고, 상기 실걸이편(360)이 회전하면서 순차적으로 승강하는 각 코바늘(350)에 고무사와 일반사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승강하는 각 코바늘(350)의 후크(351)에 고무사와 일반사가 순차적으로 걸리면서 직조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은 직조방식은 종래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직조수단(300)이 작동하는 동시에 상기 공급모터(210)도 구동되어 상기 공급회전축(230)이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고무사롤(250)도 회전하면서 고무사를 언와인딩시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직조봉의 하측으로 인출되는 탄성끈(S)은 상기 텐션수단(400)에 의해 텐션이 걸린 상태로 인출되고, 동시에 상기 고무사의 공급속도가 일반사의 공급속도보다 느리게 제어함으로써 고무사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상기 직조봉(340)에 인입되면서 일반사와 함께 직조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프레임부
200 : 실공급수단
210 : 공급모터 220 : 공급구동풀리
230 : 공급회전축 231 : 차단디스크
240 : 공급종동풀리 250 : 고무사롤
260 : 일반사롤 261 : 거치바
300 : 직조수단 310 : 직조모터
311 : 직조구동풀리 320 : 직조회전축
321 : 직조종동풀리 330 : 스핀들
340 : 직조봉 341 : 가이드홈
350 : 코바늘 351 : 후크
352 : 커버핀 353 : 캠편
360 : 실걸이편 361 : 홀
370 : 상부캠 371 : 하단캠경사면
372 : 내측단 373 : 외측단
380 : 하부캠 381 : 상단캠경사면
382 : 내측단 383 : 외측단
400 : 텐션수단
410 : 텐션모터 420 : 텐션구동풀리
430 : 텐션회전축 440 : 텐션종동풀리
450 : 텐션롤러 460 : 스프링
S : 탄성끈

Claims (5)

  1.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거치되어 탄성사와 일반사를 공급하는 실공급수단;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직조모터와, 상기 직조모터의 상측에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구비되고, 상기 직조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직조회전축과, 상기 직조회전축과 연동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형상의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홈이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직조봉과,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단에 고리 형상의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하측에 커버핀이 힌지 결합되고 하단에 상기 가이드홈의 외부로 노출되는 캠편이 형성된 코바늘과, 상기 스핀들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실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고무사와 일반사를 상기 코바늘에 걸어주는 실걸이편과, 중공형상을 이루고 상기 스핀들과 직조봉 사이에 상하측으로 분할 설치되고 각각 상기 스핀들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하단에 하단캠경사면이 형성되는 상부캠 및 상기 상부캠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단에 상단캠경사면이 형성되는 하부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단캠경사면과 상단캠경사면 사이에 캠편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상부캠과 하부캠이 회전하면, 상기 코바늘이 순차적으로 승강하면서 탄성끈을 직조하는 직조수단;을 포함하는 탄성사 직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공급수단은,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공급모터;
    상기 공급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공급구동풀리;
    상기 직조수단의 상측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공급회전축;
    상기 공급회전축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구동풀리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공급종동풀리;
    상기 공급회전축 사이에 거치되어 상기 공급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고무사를 상기 직조수단으로 공급하는 고무사롤;
    상기 공급회전축의 상측에 거치되어 일반사를 상기 직조수단으로 공급하는 일반사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끈 직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캠경사면과 하단캠경사면은 각각 내측단이 외측단보다 높게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끈 직조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고무사롤의 좌우이동을 차단하도록 차단디스크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끈 직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터 일측에 설치되는 텐션모터;
    상기 텐션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텐션구동풀리;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텐션회전축;
    상기 텐션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텐션구동풀리와 연동되는 텐션종동풀리;
    상기 텐션회전축과 밀착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텐션수단이 더 구비되어,
    일반사의 공급속도를 고무사의 공급속도보다 빠르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직조수단에서 직조된 탄성끈이 상기 텐션회전축과 텐션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탄성끈에 일정한 텐션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끈 직조장치.
KR1020200096341A 2020-07-31 2020-07-31 탄성끈 직조장치 KR102202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341A KR102202124B1 (ko) 2020-07-31 2020-07-31 탄성끈 직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341A KR102202124B1 (ko) 2020-07-31 2020-07-31 탄성끈 직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124B1 true KR102202124B1 (ko) 2021-01-12

Family

ID=7412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341A KR102202124B1 (ko) 2020-07-31 2020-07-31 탄성끈 직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62076A (zh) * 2022-08-07 2022-11-01 日喀则农投锦蕃地毯饰材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操作的手编机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1179U (zh) * 1990-02-22 1990-08-29 辽宁柞蚕丝绸科学研究所 包芯带编织机
KR200176272Y1 (ko) * 1999-09-22 2000-03-15 이영조 브레이드끈 편성장치용 캠
KR100380390B1 (ko) 1995-06-20 2003-07-18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코바늘편직된고무실을가진적어도하나의편물리본을제조하기위한시설
KR20040079202A (ko) * 2003-03-06 2004-09-14 황영인 튜브사의 제조장치
KR101706248B1 (ko) 2015-03-31 2017-02-27 여숙자 32사 탄성 스트링 제조용 편조장치
KR101802184B1 (ko) 2016-10-31 2017-11-28 박철환 덧버선 강화밴드의 편직방법과 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1179U (zh) * 1990-02-22 1990-08-29 辽宁柞蚕丝绸科学研究所 包芯带编织机
KR100380390B1 (ko) 1995-06-20 2003-07-18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코바늘편직된고무실을가진적어도하나의편물리본을제조하기위한시설
KR200176272Y1 (ko) * 1999-09-22 2000-03-15 이영조 브레이드끈 편성장치용 캠
KR20040079202A (ko) * 2003-03-06 2004-09-14 황영인 튜브사의 제조장치
KR101706248B1 (ko) 2015-03-31 2017-02-27 여숙자 32사 탄성 스트링 제조용 편조장치
KR101802184B1 (ko) 2016-10-31 2017-11-28 박철환 덧버선 강화밴드의 편직방법과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62076A (zh) * 2022-08-07 2022-11-01 日喀则农投锦蕃地毯饰材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操作的手编机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124B1 (ko) 탄성끈 직조장치
US2503242A (en) Mechanism for twisting together two strands
US4027467A (en) Uniroll false twist device and method
DE2164095C3 (de) Fadenliefer- und -speichervorrichtung für Textilmaschinen
KR101446440B1 (ko) 고무줄끈 제조장치
DE2833781C2 (de) Ziehvorrichtung für Spinnfäden
TW461926B (en) Strand guide device for braiding machine, particularly rotational braiding machine
KR20010037753A (ko) 원형직기
US4026127A (en) Roll feed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KR20090102565A (ko) 알엠원단의 고착이 이루어지는 권취롤러장치
KR102239034B1 (ko) 브레이드사 제조장치
US2196088A (en) Yarn feeding control device for knitting machines
KR100566519B1 (ko) 복합사 연사장치
CN217102471U (zh) 一种改进的纤维织带收卷设备
CN212832118U (zh) 石蜡分配装置、卷绕单元和卷绕机
KR100345908B1 (ko) 실(絲) 트위스팅 방지기
RU20718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хирургической шовной нити
KR20070019951A (ko) 감김 요소 상에 가늘고 긴 섬유상 요소를 감기 위한 장치
US2110088A (en) Yarn furnishing device
CN206916353U (zh) 织带机针筒编织机构
KR200175825Y1 (ko) 원형직기
US89290A (en) Improvement in twisting- and drawing-heads for spinning-machines
KR200235372Y1 (ko) 정방기의 스펀텍스사 방출장치
US2166336A (en) Braiding machine carrier
JP2019203231A (ja) 筒状織物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