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092B1 -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092B1
KR102202092B1 KR1020190129759A KR20190129759A KR102202092B1 KR 102202092 B1 KR102202092 B1 KR 102202092B1 KR 1020190129759 A KR1020190129759 A KR 1020190129759A KR 20190129759 A KR20190129759 A KR 20190129759A KR 102202092 B1 KR102202092 B1 KR 102202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riensis
strain
bicella
ornit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규
김경순
Original Assignee
한국엔디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엔디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엔디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9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12R1/0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bes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를 제공하고,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와 탱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WEISSELLA KOREENSIS ND824 STRAIN HAVING IMPROVED PRODUCTIVITY OF ORNITHINE AND COMPOSITION COMPRISINGNG THE SAME}
본 발명은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 및 상기 균주와 탱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에너지 소모량에 비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많아 체내에 과잉된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된 상태를 말하고, 심혈관계의 질환, 당뇨, 호흡기 질환 또는 골관절염과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음식을 통해 섭취한 지방 중 일부를 체내에 흡수되지 않고 배출하게 하는 약물치료를 통해 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약물치료 방법은 음식을 통해 섭취한 지방의 일부가 배출되어 복통, 가스배출, 변비, 두통 또는 심리적 불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비만치료제 개발을 위해 천연물을 활용한 항비만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개발된 연구 결과물에 의하면 작용기전 별로 식욕억제에 관여하는 물질로서 하이드록시시트릭산 (HCA: Hydroxycitric Acid), 올리브라(olibra), 치커리(chicory) 또는 이눌린(inulin) 등의 식이섬유 등이 있으며, 지방의 소화와 흡수를 저해하는 물질로서 특허문헌에 기재된 키토산(keto acid) 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이 사용될 수 있다는 연구 보고들이 나오고 있다. 또한, 열 발생을 유도하여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고추의 캡사이신(capsaicin)과 녹차의 카테킨(catechin) 또는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등이 있고, 지질대사를 조절하는 L-카르니틴(L-carnitine), 공액리놀레산(CLA: Conjugated Linoleic A) 및 우유 칼슘과 관련 단백질이 있다.
항비만 효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소재 이외에 다양한 천연물을 활용한 항비만 소재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항비만 소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86170호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를 제공하고,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와 탱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르니틴(ornithine) 생성능을 갖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 ND824 균주(기탁번호: KCTC 13838B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와 탱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와 탱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와 탱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를 탱자추출물에 접종하여 발효시킨 탱자발효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를 제공할 수 있다. 체내에서 생성된 오르니틴은 지방세포의 중성지방 생성을 억제하고, 지방산과 중성지방의 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효소의 농도를 낮춰 항비만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뿐만 아니라 식체, 소화장애, 복푸팽만, 변비, 자궁 하수증, 위하수, 탈환 또는 위염에 효과가 있는 탱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께 함유하여 항비만 효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4종류 유산균의 생장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4종류 유산균의 오르니틴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의 기탁증이다.
도 4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16S rRNA 번호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탱자추출물, 배양액 및 탱자추출물이 포함된 배양액 간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4주간 시제품별 섭취에 따른 그룹별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4주간 시제품별 섭취에 따른 그룹별 중성지방의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바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 ND824 균주(기탁번호: KCTC 13838BP)를 제공한다.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는 김치, 된장 또는 청국장과 같은 발효식품에서 분리되고, 오르니틴(ornithine) 생성능을 갖는다.
오르니틴은 지방세포의 중성지방 생성을 억제하고, 지방산과 중성지방의 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효소의 농도를 낮춰 항비만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와 탱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탱자추출물에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를 접종하여 탱자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탱자를 분쇄기를 통해 분쇄하고, 분쇄된 탱자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탱자추출물을 제조하며, 멸균기를 통해 탱자추출물을 멸균하고, 멸균된 탱자추출물에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를 접종하여 30~45℃에서 60~80시간 동안 발효시켜 탱자발효물을 제조하며, 제조된 탱자발효물을 동결건조시킨다. 본 발명은 탱자 5~24중량%, 증류수 75~94% 및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0.1~5중량%의 함량으로 탱자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탱자는 정유 성분으로 혈압 강하에 좋은 D-리모넨,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리나롤(linalool), 변이원 억제 작용이 있는 리나리 아세테이트(linaly acetate), 항알러지 작용이 뛰어난 테피네올(tepineol), 비타민 A의 전구물질인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및 플라보노이드인 헤스페리딘(hesperidin)을 함유하고 있다.
탱자는 함유된 성분에 의해 식체, 소화장애, 복부팽만, 변비, 자궁하수증, 위하수, 탈한 또는 위염에 효과가 있다. 또한 탱자는 오렌지나 밀감류 등 감귤류 과일에 풍부한 구연산(citric acid)을 함유하고 있다. 구연산은 단백질, 지방질 또는 탄수화물의 대사작용을 도와 지방을 제거하는 효능이 탁월하여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 유용할 수 있다.
탱자는 비타민 C가 풍부하여 항산화 효능이 뛰어나고, 이러한 효능에 의해 각종 질환이나 피부를 보호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와 탱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께 포함유하여 비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항비만 효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균주 분리 방법>
본 발명은 대상 균주를 선정하기 위해 김치, 된장 또는 청국장과 같은 발효식품과 탱자에서 다양한 유산균을 분리하였고, 균주의 동정을 위해 QIAamp® DNA MiniKit(Qiagen)과 같은 시약초자류를 사용하여 각 균주의 genomic DNA를 분리 및 정제하였다.
Real-Time PCR의 template DNA의 활용을 위해 QIAamp® DNA MiniKit를 사용하여 염색체 DNA를 추출하였다. 순수 배양한 균체를 튜브에 모은 다음에 소정의 tissue lysis buffer와 proteinase K를 넣고 설정된 온도와 시간으로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시료에 소정의 무수에탄올을 넣어 섞은 다음에 컬럼에 넣어 미량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설정된 rpm으로 원심분리 시켰다.
원심분리된 컬럼을 통과한 여액은 버리고, washing buffer 1과 2를 넣어 세척하며, 컬럼에 흡착된 DNA에 elution buffer를 넣어 소정의 시간동안 방치한 후 설정된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DNA를 얻었다.
16S rRNA gene을 통해 동정한 결과 최종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바이셀라 코리엔시스를 얻어냈다.
도 1은 4종류 유산균의 생장률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본 발명은 각 유산균의 최적 생장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48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36시간에 최적의 생장조건을 찾아냈고, 바이셀라 코리엔시스는 48시간까지 생장하였다.
[표 1]은 탱자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4종류의 생장 유산균 농도를 나타낸 표이다.
24시간 배양 무첨가 1mg/ml 5mg/ml 10mg/ml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Figure 112019106439816-pat00001
Figure 112019106439816-pat00002
Figure 112019106439816-pat00003
Figure 112019106439816-pat00004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Figure 112019106439816-pat00005
Figure 112019106439816-pat00006
Figure 112019106439816-pat00007
Figure 112019106439816-pat00008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Figure 112019106439816-pat00009
Figure 112019106439816-pat00010
Figure 112019106439816-pat00011
Figure 112019106439816-pat00012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Figure 112019106439816-pat00013
Figure 112019106439816-pat00014
Figure 112019106439816-pat00015
Figure 112019106439816-pat00016
본 발명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유산균에 탱자추출물이 포함되어도 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안정적으로 생장할 수 있다.
<오르니틴 생성능 분석>
도 2는 4종류 유산균의 오르니틴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본 발명자는 오르니틴의 생성능을 통해 항비만 활성이 가장 높은 유산균을 선정하기 위해 4종류의 유산균의 오르니틴 농도를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241.32ppm으로 가장 높은 수치가 나왔고, 다음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이 114.46ppm의 수치가 나왔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오르니틴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최적의 균주임을 확인하였고,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라는 균주로 명명하였으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하여 2019년 4월 19일자로 기탁번호 KCTC 13838BP를 부여받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의 기탁증이고, 도 4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16S rRNA 번호를 나타낸 것이다.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내산성 분석>
본 발명자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의 내산성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소재에 위치한 메디넥스에 분석의뢰를 하였고, [표 2]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의 내산성을 나타낸 표이다.
PH 4 PH 3.5 PH 3 PH 2.5 PH 2
생장 확인 검출 검출 검출 검출 불검출
내산성 조건으로 PH 4, 3.5, 3, 2.5 및 2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본 발명자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PH 2.5의 조건까지 생장하였기 때문에 내산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PH 2.5의 조건까지 생장하였다는 의미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위액의 산도까지 견딜 수 있다는 것을 의미이다.
<항산화활성 분석>
도 5는 탱자추출물, 배양액 및 탱자추출물이 포함된 배양액 간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본 발명자는 탱자추출물이 첨가된 배양액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전자공여능분석의 한 방법인 DPPH(diphenyl-2picrylhydrazyl) 시약을 이용하였고, 대조군을 탱자추출물과 탱자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배양액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자추출물,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배양된 배양액 및 탱자추출물이 첨가된 배양액 모두에서 항산화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탱자추출물에서는 31.8%, 탱자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배양액에서는 69.8% 및 탱자추출물이 첨가된 배양액에서는 78.1%가 나왔다. 따라서 탱자추출물이 첨가된 배양액이 대조군보다 항산화활성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균활성 분석>
유산균은 유해균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물질을 생성하므로, 본 발명자는 탱자추출물이 첨가된 배양액에 항균활성이 있는지 분석하였고, [표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조군으로는 탱자추출물로만 구성된 물질이다.
[표 3]은 탱자추출물이 포함된 배양액의 항균활성을 나타낸 표이다.
시료 대상균주 초기균체수
(cfu/ml)
24시간후 균체수
(cfu/ml)
항균력
(%)
탱자추출물 E. coli
Figure 112019106439816-pat00017
Figure 112019106439816-pat00018
32
S. aureus
Figure 112019106439816-pat00019
Figure 112019106439816-pat00020
63
탱자추출물
+ 배양액
E. coli
Figure 112019106439816-pat00021
Figure 112019106439816-pat00022
77
S. aureus
Figure 112019106439816-pat00023
Figure 112019106439816-pat00024
88
본 발명자는 대상균주를 그람음성균의 대표적인 Escherichia coli로 선정하였고, 그람양성균의 대표적인 Staphylococcus aureus를 선정하여 항균활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탱자추출물에서는 E. coliS. aureus에서 항균활성이 각각 32%와 63%가 나왔고, 탱자추출물이 첨가된 배양액에서는 E. coliS. aureus에서 항균활성이 각각 77%와 88%가 나왔으므로, 본 발명의 탱자추출물이 첨가된 배양액이 대조군보다 항균력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효성 평가>
실험용 마우스를 활용한 유효성 평가는 대조 1그룹과 실험군 6그룹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고, 각 그룹당 10마리의 마우스에 대해 4주동안 진행하면서 분변 및 혈청시료를 공급받았다.
[표 4]는 마우스의 그룹별 구성을 나타낸 표이다.
그룹 분류 개체 수
(n)
1 대조군 고지방 식이 사료 10
2 시험물질투여군 고지방 식이 사료+탱자추출물 10
3 시험물질투여군 고지방 식이 사료+가르시니아 추출물 10
4 시험물질투여군 고지방 식이 사료+바이셀라 코리엔시스 10
5 시험물질투여군 고지방 식이 사료+탱자추출물+
가르시니아 추출물
10
6 시험물질투여군 고지방 식이 사료+탱자추출물+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10
7 시험물질투여군 고지방 식이 사료+탱자추출물+
가르시니아 추출물+바이셀라 코리엔시스
10
모든 그룹의 마우스에게 고콜레스테롤 사료인 고지방 식이 사료를 급여하였다. 또한 대조군은 무균수를 투여하고, 시험물질투여군은 분류된 시험물질을 투여하였으며, 매일 1회 4주간 경구투여를 진행하였고, 투여량은 100ul/회이다.
[표 5]는 그룹별 마우스의 평균 체중을 나타낸 표이다.
평균 0주 1주 2주 3주 4주 증가폭
대조군 24.41 25.93 27.42 28.09 29.01 4.60
탱자 24.42 26.06 27.78 28.33 28.57 4.15
가르시니아 24.39 25.56 27.29 28.36 28.61 4.22
바이셀라 24.39 25.67 26.85 27.76 28.27 3.88
탱자+가르시니아 24.34 25.07 26.59 27.06 28.11 3.77
탱자+바이셀라 24.45 25.13 26.52 27.67 28.36 3.91
탱자+가르시니아+바이셀라 24.35 24.38 25.53 26.68 27.88 3.53
4주간의 식이 이후 각 그룹별 체중변화를 확인한 결과, 대조군 그룹에서는 체중변화가 24.41g에서 29.01g으로 4.6g이 증가되었고, 탱자추출물과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함유된 시제품의 그룹에서는 24.45g에서 28.36g으로 3.91g이 증가되어 대조군보다 15%의 체중 감소율이 나왔다. 바이셀라 코리엔시스만 함유된 제품의 그룹에서는 24.39g에서 28.27g으로 3.88g이 증가되어 대조군보다 15.7%의 체중 감소율이 나왔다. 탱자추출물, 가르시니아 및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함유된 시제품의 그룹에서는 24.35g에서 27.88g으로 3.53g이 증가되어 대조군보다 23.3%의 체중 감소율이 나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체중 감소 기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그룹별 마우스의 혈청시료를 통해 혈액 내에 존재하는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측정하였고, 도 6은 4주간 시제품별 섭취에 따른 그룹별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대조군에서는 평균 200.5mg/dL의 수치가 측정되었고, 탱자추출물만 함유된 시제품에서는 평균 191.9mg/dL의 수치가 측정되었으며, 가르시니아 추출물만 함유된 시제품에서는 평균 190.8mg/dL의 수치가 측정되었고, 바이셀라 코리엔시스만 들어간 시제품에서는 평균 186.0mg/dL의 수치가 측정되었으므로, 본 발명의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탱자추출물이나 가르시니아 추출물보다 수치가 더 낮음을 확인하였다.
탱자추출물, 가르시니아 추출물 및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함유된 시제품에서는 평균 184.4mg/dL의 수치가 측정되었으므로, 본 발명의 탱자추출물과 바이셀라 코리엔시스에 가르시니아 추출물을 더 첨가하면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더욱 낮출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7은 4주간 시제품별 섭취에 따른 그룹별 중성지방의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각 그룹별 중성지방에 대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탱자추출물, 가르시니아 및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중성지방을 낮추는 기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탱자추출물, 가르시니아 추출물 및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함유된 시제품에서는 평균 151.5mg/dL의 수치가 측정되었으므로, 본 발명의 탱자추출물과 바이셀라 코리엔시스에 가르시니아 추출물을 더 첨가하면 중성지방의 수치를 더욱 낮출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장내 세균은 에너지의 균형과 대사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장내 유해한 세균은 특정 독소를 내뿜는데, 이중 일부가 혈관에 들어가게 되면 백혈구에 염증을 일으켜 식욕 억제 호르몬을 저하시키는 등 면역 기능을 떨어뜨려 비만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장내 유해한 세균을 감소시키고, 유익한 세균을 증가시키는 시제품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동결건조된 각 시제품별 장내세균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고, [표 6]과 [표 7]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표 6]과 [표 7]은 각 그룹별 장내세균에 대한 평균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섭취전_
비피도박테리움
섭취후_
비피도박테리움
섭취전_
락토바실러스
섭취후_
락토바실러스
대조군 382,726,424 201,886,088 16,789,106,754 518,798,630
탱자 75,608,471 91,633,364 4,671,646,436 1,298,639,900
가르시니아 825,365,702 271,493,931 4,497,510,115 836,227,825
바이셀라 240,413,943 186,190,776 2,308,640,289 105,175,848
탱자+가르시니아 1,647,052,599 1,389,137,877 4,695,968,042 1,782,788,671
탱자+바이셀라 239,302,832 558,963,612 2,698,723,885 3,246,289,328
탱자+가르시니아
+바이셀라
156,380,330 1,084,251,478 2,138,313,103 5,532,430,750
섭취전_
클로스트리듐
섭취후_
클로스트리듐
섭취전_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섭취후_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대조군 663,563,647,682 660,903,204,999 365,824,208 63,584,191
탱자 465,433,993,670 1,518,938,064,115 411,266,729 344,354,186
가르시니아 818,029,878,625 852,054,829,754 680,236,539 171,142,235
바이셀라 1,697,629,380,613 2,090,954,108,310 400,264,026 1,586,707,276
탱자+가르시니아 2,898,779,956,027 4,657,673,264,862 381,739,807 224,777,467
탱자+바이셀라 3,732,760,659,820 3,252,119,514,473 465,478,290 1,265,366,606
탱자+가르시니아
+바이셀라
1,250,102,396,514 1,098,947,624,785 156,582,011 1,114,664,799
마우스 분변을 통한 장내세균 유효성평가는 섭취전과 섭취후 2차에 걸쳐 검사가 진행되었고, 분석항목은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spp.),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p.),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spp.) 및 바이셀라 코리엔시스로 하였다. 유익균은 비피도박테리움, 락토바실러스 및 바이셀라 코리엔시스이다. 유해균은 클로스트리듐이다.
7그룹군에 대한 섭취전 시료 70개와 섭취후 시료 70개의 시료로 총 140개의 시료를 장내세균의 genomic DNA를 분리 및 정제를 하고, Real-Time PCR을 통해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균체수 환산을 위한 standard curve에 Ct값을 대입하여 균체수를 검출하였다.
고지방 식이와 무균수만 섭취한 대조군의 경우 비피도박테리움, 락토바실러스 및 바이셀라 코리엔시스의 균이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클로스트리듐은 변동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바이셀라 코리엔시스만 함유된 시제품을 섭취한 그룹에서는 비피도박테리움과 락토바실러스의 수치는 감소되었지만, 바이셀라 코리엔시스의 수치가 3배이상의 균체수 증가를 확인하였고, 시제품을 섭취하여 장내에 존재하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의 균체수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탱자추출물과 가르시니아 추출물이 함유된 제품의 경우 바이셀라 코리엔시스의 균이 함유되지 않아 바이셀라 코리엔시스의 균체수 증가가 없었고, 탱자추출물과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함유된 시제품에서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의 균체수 증가을 확인하였다.
탱자추출물, 가르시니아 추출물 및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함유된 제품을 섭취한 그룹에서는 유익균인 비피도박테리움, 락토바실러스 및 바이셀라 코리엔시스의 균체수가 모두 증가하였고, 유해균인 클로스트리듐의 균체수는 감소됨을 것을 확인하였다. 제품의 섭취로 인한 바이셀라 코리엔시스의 균체수는 섭취전에 비해 7배의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탱자추출물에 오르니틴 생산능을 갖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를 더 첨가함으로써, 항산화활성과 항균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수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장내 유익한 유산균의 균체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와 탱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뿐만 아니라 발효유 또는 화장품 원료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110> Korea NDLAB <120> WEISSELLA KOREENSIS ND824 STRAIN HAVING IMPROVED PRODUCTIVITY OF ORNITHINE AND COMPOSITION COMPRISINGNG THE SAME <130> RND19-0103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25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Weissella koreensis is the predominant lactic acid bacteria (LAB) isolated from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vegetable food <400> 1 attgcaatga gtggcgaacg ggtgagtaac acgtgggaaa cctacctctt agcaggggat 60 aacatttgga aacaaatgct aataccgtat aataattaaa accgcatggt tttagtttaa 120 aagatggtct tgctatcact aagagatggt cccgcggtgt attagttagt tggtgaggta 180 atggctcacc aagacaatga tacatagccg agttgagaga ctgaccggcc acaatgggac 240 tgagacacgg cccatactcc tacgggaggc agcagtaggg aatcttccac aatggacgaa 300 agtctgatgg agcaacgccg cgtgtgtgat gaagggtttc ggctcgtaaa acactgttgt 360 aagagaagaa tgacattgag agtaactgtt caatgtgtga cggtatctta ccagaaagga 420 acggctaaat acgtgccagc agccgcggta atacgtatgt tccaagcgtt atccggattt 480 attgggcgta aagcgagcgc agacggttat ttaagtctga agtgaaagcc ctcggctcaa 540 ccgaggaatt gctttggaaa ctggataact tgagtgcagt agaggaaagt ggaactccat 600 gtgtagcggt gaaatgcgta gatatatgga agaacaccag tggcgaaggc ggctttctgg 660 actgtaactg acgttgaggc tcgaaagtgt gggtagcaaa caggattaga taccctggta 720 gtccacactg taaacgatga gtgctagttg ttcgagggtt tccgcccttg agtgacgaag 780 ctaacgcatt aagcactccg cctggggagt acgaccgcaa ggttgaaact caaaggaatt 840 gacggggacc cgcacaagcg gtggagcatg tggtttaatt cgaagcaacg cgaagaacct 900 taccaggtct tgacatcctt tgaccactcc agagatggag ctttcccttc ggggacaaag 960 tgacaggtgg tgcatggttg tcgtcagctc gtgtcgtgag atgttgggtt aagtcccgca 1020 acgagcgcaa cccttattgt tagttgccag catttagttg ggcactctag caagactgcc 1080 ggtgacaaac cggaggaagg cggggatgac gtcaaatcat catgcccctt atgacctggg 1140 ctacacacgt gctacaatgg caagtacaac gagtcgccaa cccgcgaggg tgcgcaaatc 1200 tcttaaagct tgtctcagtt cggactgtag gctgcaactc gcctacacga 1250

Claims (5)

  1. 탱자추출물 5~24중량%, 증류수 75~94중량% 및 바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 ND824 균주(기탁번호: KCTC 13838BP) 0.1~5중량%인 탱자발효물.
  2. 제1항의 탱자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의 탱자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4. 제1항의 탱자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5. 삭제
KR1020190129759A 2019-10-18 2019-10-18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2202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759A KR102202092B1 (ko) 2019-10-18 2019-10-18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759A KR102202092B1 (ko) 2019-10-18 2019-10-18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092B1 true KR102202092B1 (ko) 2021-01-12

Family

ID=7412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759A KR102202092B1 (ko) 2019-10-18 2019-10-18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0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170A (ko) 2000-10-23 2001-09-10 강창환 비만 해소 기능의 생식 타입 차(茶) 조성물
KR20090080797A (ko) * 2008-01-22 2009-07-27 한국식품연구원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균주, 김치발효용 스타터 및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
KR20110081672A (ko) * 2010-01-08 2011-07-1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ok1-6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김치
KR20120021788A (ko) * 2010-08-17 2012-03-0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일염으로부터 유래한 신규균주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ms1-14
KR20140017932A (ko) * 2012-08-02 2014-02-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KR20170142040A (ko) * 2016-06-16 2017-12-27 이경애 탱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방부 활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170A (ko) 2000-10-23 2001-09-10 강창환 비만 해소 기능의 생식 타입 차(茶) 조성물
KR20090080797A (ko) * 2008-01-22 2009-07-27 한국식품연구원 오르니틴 고생성능을 갖는 균주, 김치발효용 스타터 및오르니틴 고함유 김치의 제조방법
KR20110081672A (ko) * 2010-01-08 2011-07-1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ok1-6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김치
KR20120021788A (ko) * 2010-08-17 2012-03-0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일염으로부터 유래한 신규균주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ms1-14
KR20140017932A (ko) * 2012-08-02 2014-02-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KR20170142040A (ko) * 2016-06-16 2017-12-27 이경애 탱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방부 활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8 Technology Transfer Commercialization Project, Final Report, Task No.: 1711079897, ‘Development of Functional Probiotics Containing Fermentation Extract for Obesity Control and Prevention’ (Jun. 7, 2019) *
2018년 기술이전사업화 사업, 최종보고서, 과제번호: 1711079897, ‘비만억제 및 예방을 위한 탱자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개발’(2019.06.07.)*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gaeguri&logNo=221481431220&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2019.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18806B (zh) 一种益生菌发酵南瓜、胡萝卜蔬菜粉的制备方法
JP2017536093A (ja) 微生物製剤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微生物製剤
JP5249817B2 (ja) フルクタン含有食品からの免疫賦活発酵食品
CN109125525B (zh) 防治心血管疾病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3127146A1 (zh) 一种能够缓解铅毒性的植物乳杆菌及其用途
TWI673057B (zh) 新穎副乾酪乳桿菌(Lactobacillus paracasei)株
SG171922A1 (en) Novel lactobacillus plantarum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2018153182A (ja) 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ルムtci378、およびそれを用いた脂肪の減少および胃腸機能の改善における使用
KR101379404B1 (ko) 황금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및 면역 증강 조성물
US20130309212A1 (en) Lactobacillus salivarius and method for preparing metabolite thereof, composition of lactobacillus salivarius and metabolite thereof and use of the composition
KR101965582B1 (ko)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홍삼 유효성분의 체내 흡수 및 혈중 농도 유지시간이 개선된 발효홍삼 농축액 및 그 발효홍삼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396842B1 (ko) 오미자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및 면역 증강 조성물
KR101109746B1 (ko) 균체외 다당을 생성하고 건강기능성 효과를 갖는 신규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CN108938789A (zh) 一种含有低聚木糖的调节肠道微生态多菌联合制剂
JP2013116089A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効果を有する乳酸菌株、その乳酸菌株を含む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剤、及びその乳酸菌株を含む飲食品
KR101446309B1 (ko)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균주 및 그 용도
CN1305383C (zh) 一种含有双歧杆菌冻干粉的奶粉制品及其制备方法
JP2022522151A (ja) 新規なラクトバチルスサケイcvl-001菌株又はその培養液を含む骨疾患又は代謝性疾患改善、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KR102202092B1 (ko)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nd824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90072923A (ko) 식용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면역활성 증진 기능성 음료 및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7128459B2 (ja) 腸内細菌叢改善剤
KR20220059972A (ko) 비타민 k2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3514B1 (ko) 포도씨 분말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
KR101409762B1 (ko) 류코노스톡 락티스 hy6001을 이용한 기능성 칡즙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727274B1 (ko) 젓갈로부터 분리된 공액리놀레산 생산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