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736B1 - 탈착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탈착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736B1
KR102201736B1 KR1020140005115A KR20140005115A KR102201736B1 KR 102201736 B1 KR102201736 B1 KR 102201736B1 KR 1020140005115 A KR1020140005115 A KR 1020140005115A KR 20140005115 A KR20140005115 A KR 20140005115A KR 102201736 B1 KR102201736 B1 KR 102201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hmd device
hmd
input signal
lookup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342A (ko
Inventor
조은형
김종호
이도영
김지환
천시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5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736B1/ko
Priority to US14/212,962 priority patent/US9348142B2/en
Priority to EP14878991.0A priority patent/EP3095005B1/en
Priority to PCT/KR2014/002311 priority patent/WO2015108234A1/en
Publication of KR20150085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342A/ko
Priority to US15/142,078 priority patent/US959982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involving arrangement aiming to get less bulky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특히 안경에 탈부착될 수 있는 초소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탈착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디바이스에 있어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HMD가 안경에 결착되었는지 디텍트하는 결착 센서 유닛, 상기 HMD가 결착된 상기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결착 센서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HMD가 상기 안경에 결착됨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안경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디텍트된 상기 입력 신호를 전달 받고,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입력 신호와 관련된 컨트롤 인풋을 획득하고, 상기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는 펑션을 실행하는, HMD 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etachabl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특히 안경에 탈부착될 수 있는 초소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디바이스가 경량화되면서 유저는 HMD 디바이스를 안경처럼 착용할 수 있다. 유저는 HMD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다만, 유저가 안경을 착용하는 유저의 경우, 유저는 HMD 디바이스를 착용하기 위해 자신의 안경을 벗고, HMD 디바이스를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HMD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유저들의 시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는 유저가 착용하는 안경과 크기 및 모양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HMD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유저는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에 초점이 맞지 않아 비주얼 정보를 제공받는데 불편함이 있을 수 있었다. 또한, 유저가 HMD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는 유저가 착용하는 안경과 다른 크기 및 모양을 갖기 때문에 유저가 HMD 디바이스를 착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유저가 HMD 디바이스를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 HMD 디바이스는 안경 크기로 제작되어 휴대하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HMD 디바이스는 안경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소형화로 제작되고, 유저가 사용하는 안경에 부착되어 유저의 안경 특성을 고려한 비주얼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본 명세서는, 탈부착이 가능한 HMD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HMD 디바이스가 안경에 결착됨을 디텍트하고, 결착된 안경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HMD 디바이스가 안경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펑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HMD 디바이스가 결착된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HMD 디바이스가 결착된 안경의 터치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영역인 입력 신호 센싱 영역의 길이에 기초하여 펑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HMD 디바이스가 안경에 결착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펑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HMD 디바이스가 결착된 안경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에서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HMD 디바이스와 HMD 디바이스를 착용한 유저의 눈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HMD 디바이스의 초점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HMD 디바이스가 결착되는 안경에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HMD 디바이스가 결착되는 안경 프레임 표면에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탈착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디바이스에 있어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HMD가 안경에 결착되었는지 디텍트하는 결착 센서 유닛, 상기 HMD가 결착된 상기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결착 센서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HMD가 상기 안경에 결착됨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안경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디텍트된 상기 입력 신호를 전달 받고,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입력 신호와 관련된 컨트롤 인풋을 획득하고, 상기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는 펑션을 실행하는, HMD 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탈착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상기 HMD가 상기 안경에 결착됨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안경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HMD가 결착된 상기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센서 유닛으로부터 전달 받는 단계,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입력 신호와 관련된 컨트롤 인풋을 획득하고, 상기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는 펑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MD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HMD 디바이스는 안경에 탈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HMD 디바이스는 HMD 디바이스가 안경에 결착됨을 디텍트하고, 결착된 안경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식별 정보에 따라 룩업 테이블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HMD 디바이스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컨트롤 하는 펑션을 실행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HMD 디바이스는 HMD 디바이스가 결착된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펑션을 실행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HMD 디바이스는 HMD 디바이스가 결착된 안경을 터치하여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영역인 입력 신호 센싱 영역의 길이에 기초하여 펑션을 실행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HMD 디바이스는 HMD 디바이스가 안경에 결착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펑션을 실행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HMD 디바이스는 HMD 디바이스가 결착된 안경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에서 인증을 실행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HMD 디바이스는 HMD 디바이스와 HMD 디바이스를 착용한 유저의 눈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HMD 디바이스의 초점을 조절하고, 유저에게 뚜렷한 영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HMD 디바이스는 HMD 디바이스가 결착되는 안경에 인디케이터를 표시하여 유저가 HMD를 쉽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HMD 디바이스는 HMD 디바이스가 결착되는 안경 프레임 표면에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코팅하여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불가능한 HMD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HMD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가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100)가 전류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가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가 입력 신호 센싱 영역의 길이에 따라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가 입력 신호 센싱 영역의 위치에 따라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가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가 유저의 시야에 따라 초점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가 결착되는 안경에 표시되는 인디케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착형 HMD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Head Mount Display Device, 이하 ‘HMD 디바이스’라 지칭하기로 한다.)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에 따라, HMD 디바이스는 탈착형 HMD일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HMD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결착 센서 유닛(120), 센서 유닛(130) 및 컨트롤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비주얼 정보란,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사진, 그림 등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리얼 오브젝트와 관련된 증강 현실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입체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되는 안경의 특성 및 안경을 착용하는 유저의 시력을 고려하여 비주얼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및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되는 안경 렌즈의 크기, 두께 또는 안경을 착용하는 유저의 눈과 HMD 디바이스(100)의 거리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의 위치 및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가 착용된 안경 및 안경 유저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의 초점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0에서 후술한다. 또한,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광학적 씨-스루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결착 센서 유닛(120)은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되었는지 디텍트할 수 있다.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전자기 패턴(electromagnetic pattern)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전류를 발생시키고, 전류의 발생 주기, 지속 시간 및 세기를 제어하여 다양한 전자기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과 결착되는 결착 부위에 전자기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결착 부위는 HMD 디바이스(100)와 안경이 결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에 결착될 수 있도록 안경테 모양의 홈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되면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되는 경우, 결착 센서 유닛(120)은 결착 부위에서 출력되는 전자기 패턴의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되는 안경은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때,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은 구리, 알루미늄, 금 또는 탄소나노튜브와 같이 안경에 코팅되어 안경에 미세 전류를 흐를 수 있게 하는 물질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결착 센서 유닛(120)은 출력되는 전자기 패턴이 전도성 물질로 코팅된 안경에 의해 변화됨을 센싱하여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되었음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결착 센서 유닛(100)는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안경에 결착되어 변화되는 자기장을 센싱하여 HMD 디바이스(100)에 안경이 결착되었음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결착 센서 유닛(120)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신호를 이용하여 HMD 다비아스(100)가 안경에 결착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되는 안경은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결착 센서 유닛(120)은 RFID 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결착 센서 유닛(120)은 RFID 리더를 이용하여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의 RFID 태그 정보를 확인하고,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결착 센서 유닛(120)은 바코드 리더를 포함하고, 바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되었음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결착 센서 유닛(120)은 카메라 유닛을 더 포함하고, QR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되었음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라, 결착 센서 유닛(120)은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됨을 디텍트할 수 있는 센서 유닛을 지칭할 수 있으며, 상술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유닛(130)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초소형으로 제작되고, 안경에 결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닛(130)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입력 신호를 컨트롤러(140)로 전달하여 컨트롤 인풋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컨트롤하는 컨트롤 인풋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은 전도성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으로 미세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미세 전류는 안경 중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부분으로 흐를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으로 미세 전류를 인가한 경우, 센서 유닛(130)은 안경이 터치될 때 변화하는 미세신호를 입력 신호로써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이 터치되는 경우, 센서 유닛(130)은 안경에 코팅된 전도성 물질에 대한 전기 전도도 또는 전자기 패턴이 변화되는 것을 센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경에서 터치되는 영역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전류를 인가하는 제 1 접점과 제 1 접점에서 인가된 전류를 수신하는 제 2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전류 수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류 수신 유닛 제 1 접점에서 인가된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 수신 유닛은 제 2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수신 유닛은 제 2 접점의 위치를 조절하여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영역인 입력 신호 센싱 영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후술한다.
또한,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HMD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결착 센서 유닛(120)과 센서 유닛(130)은 통합된 센서 유닛일 수 있다. 상술한 통합된 센서 유닛은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되었는지 여부 및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동시에 디텍트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됨을 디텍트하고, 결착된 안경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식별 정보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에 관한 특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의 종류, 안경의 외형, 안경의 부품, 안경이 코팅된 물질의 재질, 안경의 전도성, 안경 중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영역의 길이, 안경 렌즈 크기 및 안경의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에도 식별 정보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되는 안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는 상술한 RFID 신호, 바코드,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결착 센서 유닛(120)을 이용하여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됨과 동시에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식별 정보를 획득하면,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와 관련된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룩업 테이블은 주어진 입력 신호에 대한 기설정된 값들의 집합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러(140)는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펑션을 실행하는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140)는 입력 신호를 센서 유닛(130)으로부터 전달 받고, 룩업 테이블에서 입력 신호와 매칭되는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룩업 테이블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풋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테이블일 수 있다. 이때, 룩업 테이블은 획득한 식별 정보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6b에서 후술한다.
컨트롤러(140)가 입력 신호를 전달 받은 경우, 컨트롤러(140)는 룩업 테이블에서 전달 받는 입력 신호와 관련된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컨트롤 인풋에 따라 HMD 디바이스(100)의 펑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펑션은 HMD 디바이스(100)에서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7a 내지 도 7c에서 후술한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스토리지 유닛(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토리지 유닛은 동영상, 오디오, 이미지,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컨트롤러(140)는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되면, 안경 유저의 유저 정보를 더 획득하고, 유저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유저 정보는 상술한 식별 정보에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유저 정보는 안경 유저에 의해 별도로 설정된 정보로서, 안경을 사용하는 유저에 대응하는 정보일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된 상태에서 안경의 유저에 의해 실행되는 펑션에 대한 정보, 데이터 또는 보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유저가 자신의 안경에 HMD 디바이스(100)를 결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140)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에서 실행되는 펑션, 데이터, 그 밖에 보안 정보를 유저별로 저장할 필요성이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다수의 유저를 구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탈착 가능한 HMD 디바이스(100)는 다수의 유저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HMD 디바이스(2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HMD 디바이스(210)는 안경처럼 유저에 의해 착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210)는 안경이나 헬멧 형태로 제작되어 유저가 착용할 수 있다. 유저는 착용된 HMD 디바이스(210)에 디스플레이 된 비주얼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유저는 HMD 디바이스(210)를 착용하여 외부의 노출을 모두 차단하고, HMD 디바이스(210)로 디스플레이 되는 비주얼 정보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HMD 디바이스(210)는 입체 영상이나 증강 현실 영상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210)는 콘솔 게임이나, 3D 자동차 게임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유저는 착용된 안경이나 헬멧 형태의 HMD 디바이스(210)를 사용하여 외부 시선을 모두 차단하고, 비주얼 정보를 감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저는 상술한 HMD 디바이스(2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유저는 시야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저가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 유저는 안경을 제거하고, HMD 디바이스(210)를 착용할 수 있다. 다만, HMD 디바이스(210)는 유저의 안경 특징이나 시력 정보 등을 반영하여 제작되지 않고, 일정한 규격에 따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유저의 안경 특징 및 유저의 시력 정보와 HMD 디바이스(210)가 다른 경우, 유저는 HMD 디바이스(210)를 착용하여도 비주얼 정보를 명확하게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HMD 디바이스(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에 탈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초소형으로 제작되고, 유저가 착용하는 안경(310)에 탈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초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안경(310) 일부에 부착될 수 있을만큼 소형화로 제작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의 렌즈 또는 템플 부분에 착용되어 유저의 시야가 위치하는 부분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의 다른 부분에 부착되어 유저에게 비주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결착되는 안경(310)의 위치에 따라 유저의 다양한 제어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유저가 HMD 디바이스(100)에 제어 입력을 전달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초소형으로 제작되어 안경(310)에 부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제공되는 제어 입력이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에 결착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제어 입력을 제공하여 다양한 유저의 제어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결착되는 안경(310)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HMD 디바이스(100)의 결착 위치에 따라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의 좌측 렌즈 부분 또는 안경(310)의 우측 렌즈 부분에 착용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310)의 우측 렌즈 부분에 착용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가 시청하는 영상을 재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의 좌측 렌즈 부분에 착용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가 듣는 음악 재생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도,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의 다른 부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가 착용되는 안경(310)의 크기 및 길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가 착용되는 안경(310)의 크기 및 길이를 표준화하고, 규격화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가 착용되는 안경(310)은 전도성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도성 물질은 알루미늄, 금 또는 탄소나노튜브와 같이 안경(310)에 코팅되어 안경(310)에 전류를 흐를 수 있게 하는 물질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전류는 미세 전류로서 유저의 인풋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도성 물질은 안경(310) 프레임 전체에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물질은 안경(310) 프레임 중 일부에 코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HMD 디바이스(100)는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초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영역을 HMD 디바이스(100)가 착용된 안경(310)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가 착용된 안경(310)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전류를 안경(310)으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에 인가된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HMD 디바이스(100)는 터치 인풋에 의해 변화된 전류를 수신하고,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에 부착되고, 안경(310)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310)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에 결착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결착 센서 유닛(120)을 이용하여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310)에 결착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에 결착되는 부분에 전자기 패턴을 출력하고,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안경(310)에 의해 변화되는 전자기 패턴을 디텍트하여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310)에 결착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RFID 신호, 바코드, QR 코드 등으로 안경(310)에 결착됨을 디텍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는다.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310)에 결착됨을 디텍트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으로 전류를 인가하고, 인가된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접점(410)으로 안경(310)으로 전류를 인가하고, 제 2 접점(420)으로 안경(310)으로 인가된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안경(310)이 HMD 디바이스(100)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은 경우, 안경(310)의 프레임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접점(410)으로 전류를 안경(310)으로 인가하고, 인가된 전류는 안경(310)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제 2 접점(420)으로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전류를 인가하는 제 1 접점(410) 및 제 2 접점(420)을 하나의 접점일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이 결착된 위치에 하나의 접점을 생성하고, 하나의 접점으로 전류를 인가하고 수신할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에 결착되어 전류를 인가하고 수신하는 접점을 통해 안경(310)에서의 전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전류는 안경(310) 프레임 중에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영역에만 흐를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310)에 결착됨을 디텍트하고, 안경(310)에 전류를 인가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30)을 이용하여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310)은 HMD 디바이스(100)에 의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때, 유저(430)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을 터치할 수 있다. 유저(430)가 안경(310)을 터치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 프레임 중 유저(430)에 의해 터치되는 지점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터치되는 지점의 전류는 유저(430)의 터치 입력에 의해 변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전류가 변화되는 지점을 디텍트하여 유저(430)가 안경(310)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430)가 안경(310)을 두번 터치하거나, 슬라이드로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가 안경(310)의 복수 지점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100)가 전류 수신 유닛(510)을 더 포함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HMD 디바이스(100)는 전류 수신 유닛(5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류 수신 유닛(510)은 HMD 디바이스(100)와 전선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전류 수신 유닛(510)은 HMD 디바이스(100)에 의해 안경(310)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전류 수신 유닛(510)은 HMD 디바이스(100)에 의해 안경(310)으로 인가된 전류를 수신하는 제 2 접점(4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 수신 유닛(510)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의 다른 부분에 결착될 수 있다.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의 렌즈 부분으로서, 유저의 시야가 미치는 위치에 결착될 수 있다. 전류 수신 유닛(510)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의 렌즈와 연결된 안경의 템플 부분에 결착될 수 있다. 전류 수신 유닛(510)이 안경(310)에 결착된 경우, 전류를 인가하는 제 1 접점(410)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위치하고, 안경(310)으로 인가된 전류를 수신하는 제 2 접점(420)은 전류 수신 유닛(510)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접점(410)을 통해 안경(310)으로 전류를 인가하고, 전류 수신 유닛(100)은 제 2 접점(420)으로 안경(310)으로 인가된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류는 안경(310) 중 전류가 인가되는 제 1 접점(410)과 전류를 수신하는 제 2 접점(420) 사이에만 흐를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위치와 전류 수신 유닛(510)이 결착된 위치에만 전류를 흐르도록 하고, 전류가 흐르는 영역에서만 유저의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 중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 접점(410)과 제 2 접점(420)은 안경(310) 중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와 전류 수신 유닛(510) 사이 영역을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은 안경(310) 중 HMD 디바이스(100)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에 대응하는 유저의 터치 인풋만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안경(310) 중에서 HMD 디바이스(100)를 제어하는 인풋을 입력하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된 경우, 유저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을 터치하여 HMD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전류 수신 유닛(510)이 결착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310)의 우측 렌즈에 결착되고, 전류 수신 유닛(510)이 우측 템플에 결착되는 경우,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은 안경(310)의 우측 템플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가 좌측 렌즈에 결착되고, 전류 수신 유닛(510)이 좌측 템플에 결착되는 경우,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은 안경(310)의 좌측 템플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 또는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가 전류 수신 유닛(510)이 결착됨을 디텍트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접점(410) 및 제 2 접점(420)의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제 1 접점(410) 및 제 2 접점(420)의 위치를 디텍트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 및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가 스레스홀드 길이 이상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영상을 재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가 스레스홀드 길이 미만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음악을 재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위치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안경(310)의 좌측 템플에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이 위치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입체 영상을 재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안경(310)의 우측 템플에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이 위치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증강 현실을 디스플레이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위치 및 길이를 모두 고려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유저 또는 HMD 디바이스(100)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 또는 위치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a 내지 도 8b에서 후술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100)가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310)에 결착됨을 디텍트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의 식별 정보(640)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식별 정보(640)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되는 안경(310)마다 구별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의 종류, 안경의 외형, 안경의 부품, 안경이 코팅된 물질의 재질, 안경의 전도성, 안경 중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영역의 길이, 안경 렌즈 크기 및 안경의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에도 식별 정보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되는 안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310)에 결착됨을 디텍트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 RFID 신호, 바코드 또는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식별 정보(640)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과 기설정된 값에 의해서 식별 정보(640)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HMD 디바이스(100)가 식별 정보(640)를 획득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식별 정보(640)와 관련된 룩업 테이블(650)을 획득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룩업 테이블(650)을 획득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30)으로부터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이때, 룩업 테이블(650)은 주어진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값들의 집합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룩업 테이블(650)은 유저(430)가 안경(310)을 터치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와 매칭되는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는 값일 수 있다. 또한, 룩업 테이블(650)은 획득한 식별 정보(640)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룩업 테이블(650)은 식별 정보(640) 중 안경(310) 코팅된 전도성 물질의 재질,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안경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룩업 테이블(650)에서 입력 신호와 관련된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인풋은 HMD 디바이스(100)가 실행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컨트롤 인풋일 수 있다. 일 예로, 유저가 안경(310)을 한번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원 클릭을 실행하는 컨트롤 인풋을 룩업 테이블(650)에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유저가 안경(310)을 슬라이드로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를 실행하는 컨트롤 인풋을 룩업 테이블(650)에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서, 유저가 두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멀티 터치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풋을 룩업 테이블(650)에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룩업 테이블(650)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풋을 포함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유저 또는 HMD 디바이스(100)에 의해 변경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가 컨트롤 인풋을 획득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는 펑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펑션은 HMD 디바이스(100)에서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가 음악을 재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가 원 클릭을 실행하는 컨트롤 인풋을 룩업 테이블(650)에서 획득하면, 재생되는 음악을 정지시키거나 다시 재생하는 펑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가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가 원 클릭을 실행하는 컨트롤 인풋을 룩업 테이블(650)에서 획득하면, 메뉴에 있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펑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고려하여 획득한 컨트롤 인풋으로 실행하는 펑션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라, 도 6a는 HMD 디바이스(100)가 식별 정보(640)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됨을 디텍트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식별 정보(640)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의 RFID 신호(610)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310)은 안경에 대한 식별 정보(640)를 기록한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RFID 리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RFID 리더를 이용하여 안경(310)에 대한 식별 정보(640)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의 바코드(620)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310)은 안경에 대한 식별 정보(640)를 기록한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바코드 리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바코드 리더를 이용하여 안경(310)에 포함된 바코드(620)를 디텍트하고,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에 대한 식별 정보(640)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의 QR 코드(630)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310)은 안경에 대한 식별 정보(640)를 기록한 QR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QR 코드(630)를 디텍트하고,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에 대한 식별 정보(640)을 획득할 수 있다.
그 밖에도, HMD 디바이스(100)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통해서 안경(310)을 디텍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HMD 디바이스(100)가 식별 정보(640)를 획득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식별 정보(640)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650)을 획득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 룩업 테이블(650)을 획득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식별 정보(640)에 포함된 정보를 반영하여 룩업 테이블(650)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안경에 대한 식별 정보(640)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안경은 알루미늄으로 코팅되고, 안경(310) 프레임 전체 영역에 전도성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제 2 안경에 대한 식별 정보(640)를 획득할 수 있다. 제 2 안경은 탄소 나노 튜브로 코팅되고, 안경(310)의 우측 템플 영역만이 전도성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안경이 식별된 경우와 제 2 안경이 식별된 경우에 룩업 테이블(650)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룩업 테이블(650)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와 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는 테이블일 수 있다. 이때, 알루미늄으로 전체가 코팅된 제 1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와 탄소 나노 튜브로 우측 템플 영역이 코팅된 제 2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룩업 테이블(650)은 제 1 안경과 제 2 안경의 안경 특징을 고려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룩업 테이블(650)은 식별 정보(640)에 기초하여 안경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640)는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안경(310)에 대한 특징을 나타낸 정보일 수 있다.
도 6b는 HMD 디바이스(100)가 획득한 룩업 테이블(650)에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풋을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HMD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30)으로부터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획득한 룩업 테이블(650)에서 매칭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430)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을 터치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는 유저(430)가 전도성을 띄는 안경(310)을 터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는 신호일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입력 신호를 디텍트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룩업 테이블(650)에서 입력 신호에 매칭되는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430)가 안경(310)을 한번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원클릭하는 컨트롤 인풋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가 안경(310)을 두번 연속으로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더블 클릭하는 컨트롤 인풋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가 안경(310)을 슬라이드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슬라이드 입력 신호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가 안경(310)의 복수 지점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멀티 터치하는 컨트롤 인풋으로 획득할 수 있다. 즉, 유저(430)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을 터치함으로서, 탈착형 HMD 디바이스(100)에 제어 입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복수 개의 룩업 테이블(65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한 룩업 테이블(650)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에 인풋에 의해 룩업 테이블(650)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유저는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한 룩업 테이블(650)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유저의 특징을 고려한 룩업 테이블(650)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는 룩업 테이블(650)에서 입력 신호에 매칭되는 컨트롤 인풋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유저의 인풋에 따라 업데이트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HMD 디바이스(100)는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따라 컨트롤 인풋에 매칭되는 펑션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에 매칭되는 펑션을 유저의 인풋에 의해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유저는 룩업 테이블에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컨트롤 인풋과 컨트롤 인풋에 대응되는 펑션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제어 입력을 획득하는 것이 제한적인 HMD 디바이스(100)에 다양한 제어 입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30)을 이용하여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의 특징 정보를 더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특징 정보는 안경의 종류, 안경의 외형, 안경의 부품, 안경이 코팅된 물질의 재질, 안경의 전도성, 안경 중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영역의 길이, 안경 렌즈 크기 및 안경의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에도 특징 정보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되는 안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특징 정보는 상술한 식별 정보(640)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HMD 디바이스(100)는 특징 정보를 센서 유닛(130)을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식별 정보(640)는 RFID 신호, 바코드, QR 코드 등의 기설정된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그러나, 특징 정보는 HMD 디바이스(100)가 센서 유닛(130)을 이용하여 착용된 안경(310)으로부터 직접 디텍트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30)으로 획득한 특징 정보를 전달 받고, 특징 정보와 식별 정보(640)가 매칭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특징 정보와 식별 정보(640)가 매칭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기존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유지할 수 있다. 다만, 특징 정보와 식별 정보(640)가 매칭되지 않은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30)으로부터 전달 받은 식별 정보(640)를 기초로 룩업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가 부착된 안경(310)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전도성 물질이 마모되거나, 유저가 부품을 교체하여 식별 정보와 다른 특징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가 식별 정보(640)를 기초로 하여 룩업 테이블(650)을 설정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가 획득한 입력 신호는 룩업 테이블에서 매칭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HMD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30)을 이용하여 HMD 디바이스(100)가 부착된 안경(310)의 특징 정보를 더 디텍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가 부착된 안경(310)의 변화된 정보를 확인하고, 변화된 정보에 따라 룩업 테이블(650)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640)를 갱신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가 특징 정보 및 식별 정보(640)를 비교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변화된 특징 정보가 일정한 오차 범위 내이면 동일한 식별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식별 정보(640)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식별 정보(640)를 기초로 룩업 테이블(650)을 획득하되, 특징 정보를 확인하여 룩업 테이블(650)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제어 입력에 대한 인식률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100)가 입력 신호 센싱 영역의 길이에 따라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은 제 1 접점(410)과 제 2 접점(420) 사이 영역일 수 있다. 즉,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에 전류가 흐르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은 유저가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접점(410)과 제 2 접점(420)의 위치를 제어하여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전류 수신 유닛(510)이 안경(310)에 결착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전류 수신 유닛(510)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의 다른 부분에 결착될 수 있다. 전류 수신 유닛(510)이 안경(310)에 결착된 경우, 전류 수신 유닛(510)은 안경(310)에 결착된 위치에 제 2 접점(42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가 제 1 접점(410)으로 안경(310)에 전류를 인가하면 전류 수신 유닛(510)은 제 2 접점(420)을 이용하여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30)을 이용하여 전류가 흐르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에서의 전류 변화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가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을 터치할 때 발생하는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을 결정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가 스레스홀드 길이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가 스레스홀드 길이 이하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룩업 테이블(710)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가 스레스홀드 길이 초과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2 룩업 테이블(720)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 1 룩업 테이블(710)과 제 2 룩업 테이블(720)은 동일한 입력 신호에 대해 다른 컨트롤 인풋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가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룩업 테이블(710)과 제 2 룩업 테이블(720)에서 동일한 입력 신호에 대해 다른 컨트롤 인풋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가 메뉴 선택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 1 룩업 테이블(710)의 제 1 입력 신호(730)은 메뉴를 선택하는 원 클릭에 대한 컨트롤 인풋일 수 있다. 반면, HMD 디바이스(100)가 메뉴 선택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 2 룩업 테이블(720)의 제 1 입력 신호(730)는 메뉴를 선택할 수 없는 잠금 모드 설정을 하는 컨트롤 인풋일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에 따라 룩업 테이블을 다르게 설정하고, 동일한 입력 신호에 대해 다른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일 예로서, 룩업 테이블은 유저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룩업 테이블은 유저에 의해 갱신되거나, 외부 서버를 통해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이 스레스홀드 길이 이하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메뉴 선택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이 스레스홀드 길이 초과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갤러리 이미지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의 인터페이스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스레스홀드 길이를 갖을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스레스홀드 길이에 대한 각 구간마다 다른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스레스홀드 길이에 대한 각 구간마다 다른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가 스레스홀드 길이 이하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룩업 테이블(710)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는 전류 수신 유닛(510)이 안경(310)에 결착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이 우측 템플에 위치할 때의 제 1 룩업 테이블(710)과 좌측 템플에 위치할 때의 제 1 룩업 테이블(710)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가 제 1 룩업 테이블(710)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풋을 획득하는 경우, 제 1 입력 신호(730)는 원클릭하는 컨트롤 인풋일 수 있다. 이때, 제 1 입력 신호(730)는 유저가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을 한번 터치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일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가 제 1 룩업 테이블(710)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풋을 획득하는 경우, 제 2 입력 신호(740)는 더블 클릭하는 컨트롤 인풋일 수 있다. 이때, 제 2 입력 신호(740)는 유저가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같은 위치를 두번 터치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 1 룩업 테이블(710)은 멀티 터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풋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7b를 참조하면,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가 스레스홀드 길이 초과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2 룩업 테이블(720)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는 전류 수신 유닛(510)이 안경(310)에 결착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이 우측 템플에 위치할 때의 제 2 룩업 테이블(720)과 좌측 템플에 위치할 때의 제 2 룩업 테이블(720)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가 제 2 룩업 테이블(720)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풋을 획득하는 경우, 제 1 입력 신호(730)는 잠금 모드 설정하는 컨트롤 인풋일 수 있다. 이때, 제 1 입력 신호(730)는 유저가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을 한번 터치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일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가 제 2 룩업 테이블(720)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풋을 획득하는 경우, 제 2 입력 신호(740)는 잠금 모드 해제하는 컨트롤 인풋일 수 있다. 이때, 제 2 입력 신호(740)는 유저가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같은 위치를 두번 터치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 2 룩업 테이블(720)은 멀티 터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풋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7c를 참조하면,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에 따라 다른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가 스레스홀드 길이 이하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룩업 테이블(710)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가 스레스홀드 길이 초과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2 룩업 테이블(720)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스레스홀드 길이는 획득하는 룩업 테이블을 결정하는 임계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스레스홀드 길이는 일정한 오차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저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스레스홀드 길이를 D1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인풋에 의해 D1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스레스홀드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가 D1보다 길고 D2(미도시)보다 작은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다른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거나, 다른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가 D2보다 길고 D3(미도시) 보다 작은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다른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거나, 다른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스레스홀드 길이를 조절하여 복수의 룩업 테이블 또는 인터페이스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100)가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위치에 따라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의 템플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안경(310)의 템플은 안경(310) 프레임 중 유저가 안경 결착시 유저의 얼굴 옆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은 레프트 템플 및 라이트 템플을 포함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310)에 결착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결착된 안경(31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모드는 서로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모드는 동일한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서로 다른 룩업 테이블을 가질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이 레프트 템플에 위치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레프트 템플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가 좌측 렌즈에 결착되고, 전류 수신 유닛(510)이 레프트 템플에 위치하여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이 레프트 템플에 위치하면 레프트 템플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이 라이트 템플에 위치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라이트 템플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가 우측 렌즈에 결착되고, 전류 수신 유닛(510)이 라이트 템플에 위치하여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이 라이트 템플에 위치하면 라이트 템플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레프트 템플 모드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룩업 테이블(810)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라이트 템플 모드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2 룩업 테이블(820)을 획득할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이 위치에 따라 다른 모드로 동작하고, 서로 다른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레프트 템플 모드에서 실행되는 인터페이스와 라이트 템플 모드에서 실행되는 인터페이스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레프트 템플 모드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메뉴 선택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룩업 테이블(810)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라이트 템플 모드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음악을 재생하는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제 2 룩업 테이블(820)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레프트 템플 모드에서 실행되는 인터페이스와 라이트 템플 모드에서 실행되는 인터페이스를 동일하게 설정하고, 룩업 테이블만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8a는 레프트 템플 모드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가 획득하는 제 1 룩업 테이블(8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레프트 템플 모드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는 HMD 디바이스(100)에 의해 기설정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제 1 인터페이스는 유저에 의해 기설정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제 1 인터페이스를 실행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룩업 테이블(810)을 획득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제 1 입력 신호(830)를 전달 받은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룩업 테이블(810)에 기초하여 원 클릭의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 1 입력 신호(830)는 유저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을 한번 터치하는 제어 입력일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가 제 2 입력 신호(840)를 전달 받은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룩업 테이블(810)에 기초하여 더블 클릭의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 2 입력 신호(840)는 유저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의 동일 지점을 두 번 터치하는 제어 입력일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가 제 3 입력 신호(850)를 전달 받은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1 룩업 테이블(810)에 기초하여 슬라이드의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 3입력 신호(850)는 유저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을 슬라이드로 터치하는 제어 입력일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를 전달 받고, 제 1 룩업 테이블(810)을 기초하여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는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유저 또는 HMD 디바이스(100)에 의해 변경되어 설정될 수 있다.
도 8b는 라이트 템플 모드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가 획득하는 제 2 룩업 테이블(820)을 나타낸 도면이다. 라이트 템플 모드인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2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인터페이스는 음악을 재생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다만, 제 2 인터페이스는 HMD 디바이스(100) 또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MD 디바이스(100)가 음악을 재생하는 제 2 인터페이스를 실행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2 룩업 테이블(820)을 획득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제 1 입력 신호(830)를 전달 받은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2 룩업 테이블(820)에 기초하여 음악을 재상하는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 1 입력 신호(830)는 유저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을 한번 터치하는 제어 입력일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가 제 2 입력 신호(840)를 전달 받은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2 룩업 테이블(820)에 기초하여 음악을 멈추는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 2 입력 신호(840)는 유저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의 동일 지점을 두 번 터치하는 제어 입력일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가 제 3 입력 신호(850)를 전달 받은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제 2 룩업 테이블(820)에 기초하여 음악을 다음 곡으로 이동하는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 3입력 신호(850)는 유저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310)을 슬라이드로 터치하는 제어 입력일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를 전달 받고, 제 2 룩업 테이블(820)을 기초하여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는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유저 또는 HMD 디바이스(100)에 의해 변경되어 설정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100)가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HMD 디바이스(100)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식별 정보를 외부 서버(91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서버(910)는 HMD 디바이스(100)와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서버(910)는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기관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외부 서버(910)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별도의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유저는 외부 서버(910)를 이용하여 HMD 디바이스(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HMD 디바이스(100)가 인증되면 HMD 디바이스(10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부착형 HMD 디바이스(100)는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의 유저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유저는 자신에 대한 데이터 및 기타 보안 정보를 구별하기 위해 별도의 외부 서버를 구비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HMD 디바이스(100)가 식별 정보를 외부 서버(910)로 송신한 경우, 외부 서버(910)는 송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을 HMD 디바이스(1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 외부 서버(910)를 통해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HMD 디바이스(100)는 외부 서버(910)로 인증된 경우에만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보안 등급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초소형으로 제작되는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HMD 디바이스(100)는 복수 개의 룩업 테이블을 외부 서버(910)에 저장하고, 필요한 룩업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9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외부 서버로(910)를 이용하여 룩업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HMD 디바이스(100)는 외부 서버(910)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서버(910)는 인증된 기관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910)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서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식별 정보를 외부 서버(910)로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서버(910)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신호(92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인증 신호(920)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한 안경(310)을 이용하여 HMD 디바이스(100)가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신호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가 인식할 수 없는 식별 정보를 획득한 경우, 외부 서버(910)는 HMD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신호(920)를 생성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없을 수 있다. 즉, 인증 신호(920)는 HMD 디바이스(100)가 송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HMD 디바이스(100)가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컨트롤 인풋에 따라 펑션을 실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신호일 수 있다.
외부 서버(910)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인증 신호(920)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외부 서버(910)는 HMD 디바이스(100)로부터 식별 정보와 함께 보안 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인증 신호(92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보안 키는 외부 서버(910)와 HMD 디바이스(100) 사이에 기설정된 값으로 상호 인증할 수 있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HMD 디바이스(100)의 사용에 대한 보안 등급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외부 서버(910)가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신호(920)를 생성하면, 외부 서버(910)는 인증 신호(920)를 HMD 디바이스(100)로 송신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인증 신호(920)를 수신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인증 신호(920)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입력 신호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라, 외부 서버(910)는 HMD 디바이스(100)가 획득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서버(910)는 새로운 안경에 대한 식별 정보를 HMD 디바이스(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송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안경(310)을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가 부착될 수 있는 안경(310)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외부 서버(910)는 HMD 디바이스(100)가 획득하는 룩업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는 외부 서버(910)를 이용하여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안경에 대한 룩업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외부 서버(910)로부터 갱신된 룩업 테이블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룩업 테이블에 따라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유저는 외부 서버(910)를 이용하여 HMD 디바이스(100)에 대한 룩업 테이블 및 제어 입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100)가 유저의 시야에 따라 초점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310)에 결착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되는 안경(310)은 각각의 안경(310)마다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은 각각의 안경(310)마다 렌즈 크기, 두께가 다를 수 있다. 이때, 유저(1010)는 안경(310)의 렌즈를 통해 HMD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하는 비주얼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따라서,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1010)가 착용하는 안경(310) 렌즈의 크기 및 두께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에 대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1010)마다 서로 다른 초점을 갖도록 하여 비주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 렌즈의 두께, 크기를 기초로 비주얼 정보에 대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1010)의 시력 정보, 유저의 눈과 HMD 디바이스(100)의 거리 또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에 대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1010)의 교정 시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교정 시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비주얼 정보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 인풋에 의해 교정 시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교정 시력은 유저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의 유저의 시력일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획득한 교정 시력과 HMD 디바이스(100)와 유저(1010) 눈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비주얼 정보에 대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100)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HMD 디바이스(100)는 복수 개의 룩업 테이블 중에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복수 개의 룩업 테이블 중 획득한 룩업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가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지 못한 것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310) 결착되어 유저의 제어 입력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HMD 디바이스(100)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1110)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HMD 디바이스(100)는 룩업 테이블(11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유저는 디스플레이된 룩업 테이블(1110)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통해 HMD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HMD 디바이스(100)가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인식 오류 정보(11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인식 오류 정보(1120)는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3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인식 오류 정보(1120)는 HMD 디바이스(100)가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서, 인식 오류 정보(1120)는 HMD 디바이스(100)가 룩업 테이블에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컨트롤 인풋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제어 입력을 실행할 수 없을 때 인식 오류 정보(11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인식 오류 정보(1120)를 피드백으로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은 비주얼 피드백, 오디오 피드백 또는 택타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되는 안경(310)에 표시되는 인디케이터(1210)를 나타낸 도면이다.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310)에 결착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 프레임 중 여러 부분에 결착될 수 있다.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의 우측 렌즈 부분에 결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의 좌측 렌즈 부분에 결착될 수 있다. 다만,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에 결착되어 비주얼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하여야 하는바, 유저의 시야가 미치는 부분에 결착될 수 있다.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시야가 가장 가깝게 미치는 부분에 결착될 수 있다. 이때, 안경(310)은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되는 부분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터(1210)는 안경(310)에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될 수 있도록 홈 구조로 표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디케이터(1210)는 안경(310)의 홈 구조로 표시되어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1210)는 안경(310)의 좌측 렌즈 부분 또는 우측 렌즈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HMD 디바이스(100)는 인디케이터(1210) 부분으로 안경(310)에 결착되어 유저에게 비주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인디케이터(1210)는 전류 수신 유닛(510)이 결착되는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디케이터(1210)는 전류 수신 유닛(510)이 결착될 수 있도록 홈 구조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인디케이터(1210)는 상술한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121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스레스홀드 길이를 표시하여 HMD 디바이스(100) 획득하는 룩업 테이블을 유저가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3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착형 HMD 디바이스(100)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HMD 디바이스(100)는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S131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HMD 디바이스(100)는 결착 센서 유닛(120)을 이용하여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되었는지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는 전자기 패턴(electromagnetic pattern)을 생성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전류를 발생시키고, 전류의 발생 주기, 지속 시간 및 세기를 제어하여 다양한 전자기 패턴을 생성하고, 안경과 결착되는 결착 부위에 전자기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결착 센서 유닛(120)을 이용하여 결착 부위에서 출력되는 전자기 패턴의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되는 안경은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때,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은 구리, 알루미늄, 금 또는 탄소나노튜브와 같이 안경에 코팅되어 안경에 미세 전류를 흐를 수 있게 하는 물질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HMD 디바이스(100)는 출력되는 전자기 패턴이 전도성 물질로 코팅된 안경에 의해 변화됨을 센싱하여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되었음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안경에 결착되어 변화되는 자기장을 센싱하여 HMD 디바이스(100)에 안경이 결착되었음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신호, 바코드, QR 코드 등을 이용하여 HMD 다비아스(100)가 안경에 결착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라, HMD 디바이스(100)가 안경에 결착됨을 디텍트할 수 있는 센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후, HMD 디바이스(100)는 결착된 안경(3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320) 이때, 도 6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 정보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되는 안경(310)마다 구별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의 종류, 안경의 외형, 안경의 부품, 안경이 코팅된 물질의 재질, 안경의 전도성, 안경 중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영역의 길이, 안경 렌즈 크기 및 안경의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에도 식별 정보는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되는 안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 RFID 신호, 바코드 또는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식별 정보(640)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310)과 기설정된 값에 의해서 식별 정보(640)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후, HMD 디바이스(100)는 식별 정보와 관련된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S1330) 이때, 도 6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룩업 테이블(650)은 주어진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값들의 집합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룩업 테이블(650)은 유저(430)가 안경(310)을 터치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와 매칭되는 컨트롤 인풋을 설정한 값일 수 있다. 또한, 룩업 테이블(650)은 획득한 식별 정보(640)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룩업 테이블(650)은 식별 정보(640) 중 안경(310) 코팅된 전도성 물질의 재질,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안경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c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길이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은 제 1 접점(410)과 제 2 접점(420) 사이 영역일 수 있다. 즉,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은 안경(310)에 전류가 흐르는 영역으로 유저가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HMD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520)의 위치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룩업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HMD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으로부터 HMD 디바이스(100)가 결착된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1340) 이때, 도 1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HMD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안경이 터치될 때 변화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이 터치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에 코팅된 전도성 물질에 대한 전기 전도도 또는 전자기 패턴이 변화되는 것을 센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경에서 터치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전류를 인가하는 제 1 접점과 제 1 접점에서 인가된 전류를 수신하는 제 2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HMD 디바이스(100)는 전류 수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류 수신 유닛 제 1 접점에서 인가된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 수신 유닛은 제 2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수신 유닛은 제 2 접점의 위치를 조절하여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영역인 입력 신호 센싱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그 후, HMD 디바이스(100)는 룩업 테이블에서 입력 신호와 관련된 컨트롤 인풋을 획득할 수 있다.(S1350) 이때, 도 6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 인풋은 HMD 디바이스(100)가 실행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컨트롤 인풋일 수 있다. 일 예로, 유저가 안경(310)을 한번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원 클릭을 실행하는 컨트롤 인풋을 룩업 테이블(650)에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유저가 안경(310)을 슬라이드로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를 실행하는 컨트롤 인풋을 룩업 테이블(650)에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서, 유저가 두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는 멀티 터치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룩업 테이블에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룩업 테이블(650)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포함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유저 또는 HMD 디바이스(100)에 의해 변경되어 설정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그 후, HMD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는 펑션을 실행할 수 있다.(S1360) 이때, 도 6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펑션은 HMD 디바이스(100)에서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가 음악을 재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가 원 클릭을 실행하는 컨트롤 인풋을 룩업 테이블(650)에서 획득하면, 재생되는 음악을 정지시키거나 다시 재생하는 펑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HMD 디바이스(100)가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HMD 디바이스(100)가 원 클릭을 실행하는 컨트롤 인풋을 룩업 테이블(650)에서 획득하면, 메뉴에 있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펑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HMD 디바이스(100)는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고려하여 획득한 컨트롤 인풋으로 실행하는 펑션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HMD 디바이스(100)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HMD 디바이스(100) 및 제어 방법은 디바이스에 구비된 컨트롤러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컨트롤러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컨트롤러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컨트롤러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컨트롤러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송신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컨트롤러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 HMD 디바이스
110 : 디스플레이 유닛
120 : 결착 센서 유닛
130 : 센서 유닛
140 : 컨트롤러
310 : 안경
510 : 전류 수신 유닛
910 : 외부 서버

Claims (20)

  1. 탈착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디바이스에 있어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HMD가 안경에 결착되었는지 디텍트하는 결착 센서 유닛;
    상기 HMD가 결착된 상기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결착 센서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HMD가 상기 안경에 결착됨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안경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고,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디텍트된 상기 입력 신호를 전달 받고,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입력 신호와 관련된 컨트롤 인풋을 획득하고,
    상기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는 펑션을 실행하고,
    상기 HMD가 결착된 상기 안경의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의 초점에 대응되는 상기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HMD.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MD는,
    상기 안경으로 전류를 인가하는 제 1 접점; 및
    상기 제 1 접점에서 인가된 상기 전류를 수신하는 제 2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제 1 접점에서 인가되고 상기 제 2 접점에서 수신된 상기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HMD가 결착된 상기 안경이 터치될 때 발생하는 상기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HMD.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HMD는,
    상기 전류를 수신하는 전류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류 수신 유닛이 결착됨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2 접점을 상기 전류 수신 유닛이 결착된 위치로 설정하는, HMD.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류 수신 유닛이 결착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접점과 상기 제 2 접점 사이 영역을 상기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입력 신호 센싱 영역으로 설정하는, HMD.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 신호 센싱 영역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을 결정하되,
    상기 입력 신호 센싱 영역의 길이가 스레스홀드 길이 이하이면 제 1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입력 신호와 관련된 상기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입력 신호 센싱 영역의 길이가 상기 스레스홀드 길이 초과이면 제 2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입력 신호와 관련된 상기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HMD.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은 레프트 템플 및 라이트 템플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 신호 센싱 영역이 상기 레프트 템플에 위치하면 레프트 템플 모드로 설정하되, 상기 레프트 템플 모드는 제 1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입력 신호와 관련된 상기 컨트롤 인풋을 획득하고,
    상기 입력 신호 센싱 영역이 상기 라이트 템플에 위치하면 라이트 템플 모드로 설정하되, 상기 라이트 템플 모드는 제 2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입력 신호와 관련된 상기 컨트롤 인풋을 획득하는, HMD.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바코드, QR 코드 및 RFI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HMD.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안경의 코팅 재질, 상기 안경의 전도성, 상기 안경 중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영역의 길이, 상기 안경의 렌즈 크기 및 상기 안경의 렌즈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을 결정하는, HMD.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MD는,
    상기 식별 정보, 상기 룩업 테이블 및 인증 신호를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더 포함하는, HMD.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상기 룩업 테이블을 상기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HMD.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서버가 송신하는 상기 인증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인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이 인증되면 상기 룩업 테이블을 획득하는, HMD.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HMD가 상기 안경에 결착됨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안경 유저의 유저 정보를 더 획득하는, HMD.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폴더를 생성하고,
    상기 HMD가 결착된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실행된 상기 펑션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HMD.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은 상기 HMD가 결착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HMD.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룩업 테이블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룩업 테이블을 유저 인풋에 의해 설정하는, HMD.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HMD가 결착된 상기 안경에 대한 특징 정보를 더 디텍트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디텍트된 상기 특징 정보를 전달 받고, 상기 특징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매칭하되,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특징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을 유지하고,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특징 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룩업 테이블을 갱신하는, HMD.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펑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컨트롤하는, HMD.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의 프레임 표면은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코팅된, HMD.
  20. 삭제
KR1020140005115A 2014-01-15 2014-01-15 탈착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1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115A KR102201736B1 (ko) 2014-01-15 2014-01-15 탈착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4/212,962 US9348142B2 (en) 2014-01-15 2014-03-14 Detachable head mou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4878991.0A EP3095005B1 (en) 2014-01-15 2014-03-19 Detachable head mou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4/002311 WO2015108234A1 (en) 2014-01-15 2014-03-19 Detachable head mou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5/142,078 US9599823B2 (en) 2014-01-15 2016-04-29 Detachable head mou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115A KR102201736B1 (ko) 2014-01-15 2014-01-15 탈착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342A KR20150085342A (ko) 2015-07-23
KR102201736B1 true KR102201736B1 (ko) 2021-01-12

Family

ID=5352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115A KR102201736B1 (ko) 2014-01-15 2014-01-15 탈착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348142B2 (ko)
EP (1) EP3095005B1 (ko)
KR (1) KR102201736B1 (ko)
WO (1) WO201510823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453A (ko) 2021-11-25 2023-06-01 오영휘 안경 탈장착이 가능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20240069122A (ko) 2022-11-11 2024-05-20 박서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8747A (ja) * 2014-02-21 2015-09-03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ウェアラブル機器
US9870049B2 (en) * 2015-07-31 2018-01-16 Google Llc Reflective lenses to auto-calibrate a wearable system
US9298283B1 (en) 2015-09-10 2016-03-29 Connectivity Labs Inc. Sedentary virtual reality method and systems
US10691250B2 (en) * 2015-09-24 2020-06-2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preventing reflection of an operation in an output
GB2557569B (en) * 2016-09-09 2022-07-06 Displaylink Uk Ltd Adjusting display data
US10739850B2 (en) * 2017-09-29 2020-08-1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Prescription glasses with eye gaze tracking and electro optical signaling to a HMD
WO2020102818A1 (en) * 2018-11-16 2020-05-22 Mira Labs, Inc. Reflective lens headset configuration detection
CN110308560B (zh) * 2019-07-03 2022-09-30 南京玛克威信息科技有限公司 Vr设备的控制方法
US20220182760A1 (en) * 2020-12-04 2022-06-09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ivate audio channels
US11693477B2 (en) 2020-12-07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ns clip for receiving user lens and head mounte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user lens is inserted into lens clip
US11928306B2 (en) * 2021-05-19 2024-03-12 Snap Inc. Touchpad navigation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 device
US11880542B2 (en) * 2021-05-19 2024-01-23 Snap Inc. Touchpad input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 device
CN116022158B (zh) * 2023-03-30 2023-06-06 深圳曦华科技有限公司 多域控制器协作的驾驶安全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9498A (ja) * 1999-03-17 2002-11-19 ザ マイクロオプティ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眼鏡又他の頭部・ボーン・フレームのコンパクトな画像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07148131A (ja) 2005-11-29 2007-06-14 Kazuyuki Hogo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20100079356A1 (en) * 2008-09-30 2010-04-01 Apple Inc.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8069B2 (ja) * 2004-01-07 2008-12-1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DE102004026825A1 (de) * 2004-06-02 2005-12-22 Carl Zeiss Modulares System zum Aufbau einer auf dem Kopf eines Benutzers zu tragenden Anzeigevorrichtung
JP5030595B2 (ja) 2007-01-09 2012-09-19 スカラ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5212901B2 (ja) 2008-09-25 2013-06-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眼鏡型の画像表示装置
JP5126682B2 (ja) 2008-12-10 2013-01-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EP2619749A4 (en) * 2010-09-21 2017-11-15 4IIII Innovations Inc. Head-mounted peripheral vision display systems and methods
KR101841105B1 (ko) * 2011-01-04 2018-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US8203502B1 (en) 2011-05-25 2012-06-19 Google Inc. Wearable heads-up display with integrated finger-tracking input sensor
JP5884502B2 (ja) 2012-01-18 2016-03-15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9498A (ja) * 1999-03-17 2002-11-19 ザ マイクロオプティ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眼鏡又他の頭部・ボーン・フレームのコンパクトな画像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07148131A (ja) 2005-11-29 2007-06-14 Kazuyuki Hogo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20100079356A1 (en) * 2008-09-30 2010-04-01 Apple Inc.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453A (ko) 2021-11-25 2023-06-01 오영휘 안경 탈장착이 가능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KR20240069122A (ko) 2022-11-11 2024-05-20 박서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5005A1 (en) 2016-11-23
US20150199064A1 (en) 2015-07-16
KR20150085342A (ko) 2015-07-23
EP3095005A4 (en) 2017-08-09
WO2015108234A1 (en) 2015-07-23
EP3095005B1 (en) 2024-02-14
US9599823B2 (en) 2017-03-21
US20160246060A1 (en) 2016-08-25
US9348142B2 (en)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736B1 (ko) 탈착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6802482B (zh) 联接器以及头戴式显示装置
US10261579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JP6083880B2 (ja) 入出力機構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CN112181140B (zh) 自动校准穿戴式眼睛跟踪系统的独特反射镜片
US2018036549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wearable computing device
KR102247831B1 (ko)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EP2929424B1 (en) Multi-touch interactions on eyewear
TWI575252B (zh) 具有輸入及輸出結構之可戴式裝置
KR10165579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78490Y1 (ko) 헤드 마운트 장치
US20140204021A1 (en) Eyeglasses type operation device, eyeglasses type operat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s
KR10229710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JP6277673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7537368A (ja) 視線によって制御されるヘッドマウント型ディスプレイ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60216792A1 (en) Head mount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head mounted display
US20170115736A1 (en) Photo-Based Unlock Patterns
KR20160056659A (ko) 착용형 전자 장치
JP6303274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6740584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76578B2 (ja) 入力装置、入力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9922364B1 (en) Voice initiated purchase request
KR20180044292A (ko) 투시 안경에 대한 보조 아이템 선택
JP2016149587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JP2016139174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