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409B1 - 로터리 압축기 - Google Patents

로터리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409B1
KR102201409B1 KR1020140000822A KR20140000822A KR102201409B1 KR 102201409 B1 KR102201409 B1 KR 102201409B1 KR 1020140000822 A KR1020140000822 A KR 1020140000822A KR 20140000822 A KR20140000822 A KR 20140000822A KR 102201409 B1 KR102201409 B1 KR 102201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refrigerant
suction
refrigerant suction
rotary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1142A (ko
Inventor
설세석
사범동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0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409B1/ko
Publication of KR20150081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1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제공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편심 회전하는 롤링피스톤; 상기 롤링피스톤이 수용되는 압축 공간부를 가지는 실린더;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며,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공을 가지는 냉매 흡입부; 및 상기 냉매 흡입부에 연통하며, 상기 냉매 흡입부에서 흡입된 냉매를 상기 실린더의 압축 공간부로 가이드 하는 본체부가 포함되며, 상기 냉매 흡입부의 일방향 높이는, 상기 본체부의 일방향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터리 압축기 {A rotary compressor}
본 발명은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Compressor)는 전기모터나 터빈 등의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나 냉매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작동가스를 압축하여 압력을 높여주는 기계장치로서, 냉장고와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전기기 또는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기를 크게 분류하면, 피스톤(Piston)과 실린더(Cylinder)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 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와, 편심 회전되는 롤러(Roller)와 실린더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 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고 롤러가 실린더 내벽을 따라 편심 회전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로터리 압축기(Rotary compressor) 및 선회 스크롤(Orbiting scroll)과 고정 스크롤(Fixed scroll)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 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이 고정 스크롤을 따라 회전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스크롤식 압축기(Scroll compressor)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압축기에는, 복수 개의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실린더를 함께 운전시키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는 공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복식 로터리 압축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식 로터리 압축기는 양측 실린더에 각각 흡입관을 연결하는 독립 흡입방식이 적용되거나, 상기 양측 실린더 중에서 어느 한개의 실린더에 공용 흡입관을 연결하거나, 또는 양측 실린더 사이에 설치되어 압축공간을 분리하는 중간 플레이트에 한 개의 공용 흡입관을 연결하는 통합 흡입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합 흡입방식이 적용된 복식 로터리 압축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복식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10)는 기액 분리기(2)에 연결된다. 상기 기액 분리기(2)는 증발기(미도시)의 출구측과 상기 로터리 압축기(10)의 입구측의 사이에 제공되며, 냉매 중 가스 냉매를 분리하여 상기 로터리 압축기(10)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터리 압축기(10)는 밀폐된 케이싱(11)의 내부공간 상부에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동 기구부(12)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 하부에는 상기 전동 기구부(12)에서 발생된 동력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제 1 압축 기구부(20, 이하 제 1 압축부) 및 제 2 압축 기구부(30, 이하 제 2 압축부)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11)의 일측에는, 상기 기액 분리기(2)로부터 냉매를 유입하는 가스 흡입관(3)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11)의 상단부에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가스 토출관(4)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 1 압축부(20) 또는 제 2 압축부(30)에서 토출되는 냉매에 의하여 고압(토출압)의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전동 기구부(12)에는, 상기 케이싱(1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자(13)와, 상기 고정자(13)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자(14) 및 상기 회전자(14)에 열박음 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15)이 포함된다. 상기 전동 기구부(12)는 정속 모터일 수도 있고, 인버터 모터일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15)에는, 상기 회전자(14)에 결합되는 축부(16)와, 상기 축부(16)의 하단부에 좌우 양측으로 편심지게 배치되는 제 1 편심부(17) 및 제 2 편심부(18)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편심부(17)와 제 2 편심부(18)는 대략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대칭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편심부(17)와 제 2 편심부(18)에는, 제 1 롤링피스톤(22)과 제 2 롤링피스톤(32)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압축부(20)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 1 압축공간(V1)을 형성하는 제 1 실린더(21)과, 상기 회전축(15)의 제 1 편심부(1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압축공간(V1)에서 선회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제 1 롤링피스톤(22)과, 상기 제 1 롤링피스톤(22)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 1 실린더(21)의 제 1 압축공간(V1)을 제 1 흡입실과 제 1 토출실로 구획하는 제 1 베인(23) 및 상기 제 1 베인(23)의 일측을 탄력 지지하는 제 1 베인 스프링(24)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압축부(30)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실린더(21)의 하측에 설치되고 제 2 압축공간(V2)을 형성하는 제 2 실린더(31)과, 상기 회전축(15)의 제 2 편심부(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압축공간(V2)에서 선회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제 2 롤링피스톤(32)과, 상기 제 2 롤링피스톤(32)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 2 실린더(31)의 제 2 압축공간(V2)을 제 2 흡입실과 제 2 토출실로 구획하는 제 2 베인(33) 및 상기 제 2 베인(33)의 일측을 탄력 지지하는 제 2 베인 스프링(34)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실린더(21)에는, 냉매를 상기 제 1 압축공간(V1)으로 가이드 하는 제 1 실린더흡입부(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실린더(31)에는, 냉매를 상기 제 2 압축공간(V2)으로 가이드 하는 제 2 실린더흡입부(3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2 실린더흡입부(25,35)는 중간 플레이트(40)의 제 1,2 분지유로(43,44)의 각 상측 끝단과 하측 끝단에 접하는 제 1 실린더(21)와 제 2 실린더(31)의 하면 모서리와 상면 모서리에서, 상기 제 1 실린더(21)와 제 2 실린더(31)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모따기 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로터리 압축기(10)에는, 상기 제 1 실린더(21)의 상측에 제공되는 상부 베어링(48)과, 상기 제 2 실린더(31)의 하측에 제공되는 하부 베어링(49) 및 상기 제 1 실린더(21)와 제 2 실린더(31)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상,하부 베어링(48,49)과 함께 상기 제 1,2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중간 플레이트(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부 베어링(48) 및 하부 베어링(49)는 각각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5)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 플레이트(40)에는, 상기 케이싱(11)의 흡입구(11a)와 연통하는 흡입공(41)과, 상기 흡입공(41)을 통하여 흡입된 냉매가 유동하는 흡입유로(42) 및 상기 흡입유로(42)로부터 상기 제 1 실린더흡입부(25) 및 제 2 실린더흡입부(35)로 각각 분지되는 제 1 분지유로(43) 및 제 2 분지유로(44)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1)의 흡입구(11a)는 상기 가스 흡입관(3)과 결합된다.
상기 흡입공(41)은 상기 중간 플레이트(4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유로(42)는 상기 흡입공(41)으로부터 상기 중간 플레이트(4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분지유로(43)와 제 2 분지유로(44)는 상기 흡입유로(42)의 안쪽 끝단부에서 상기 제 1 실린더흡입부(25)와 제 2 실린더흡입부(35)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 즉 상기 흡입유로(42)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략 0°~90° 정도, 상세하게는 30°~60°정도가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압축기(10)에는, 상기 상부 베어링(48)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실린더(21)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제 1 토출밸브(48a) 및 상기 하부 베어링(49)에 제공되어 상기 제 2 실린더(31)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제 2 토출밸브(49a)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리 압축기(10)에는, 상기 상부 베어링(48)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토출밸브(48a)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매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제 1 토출 머플러(48b) 및 상기 하부 베어링(49)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 2 토출밸브(49a)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매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제 2 토출 머플러(49b)가 더 포함된다.
상기한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10)에서의 냉매 압축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전동 기구부(12)의 고정자(13)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회전자(14)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15)이 상기 회전자(14)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전동 기구부(12)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압축부(20)와 제 2 압축부(30)에 전달하고, 상기 제 1 압축부(20)와 제 2 압축부(30)에서는 각각 제 1 롤링피스톤(22)과 제 2 롤링피스톤(32)이 상기 제 1 압축공간(V1) 및 제 2 압축공간(V2)에서 편심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베인(23) 및 제 2 베인(33)은 상기 제 1,2 롤링피스톤(22,32)과 함께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제 1,2 압축공간을 형성하면서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한편, 냉매의 흡입과정에서, 냉매는 상기 기액 분리기(2)로부터 상기 중간 플레이트(40)의 흡입공(41)을 통하여 상기 흡입유로(42)로 흡입되고, 상기 제 1 분지유로(43)로 분지되어 상기 제 1 실린더흡입부(25)를 통하여 상기 제 1 실린더(21)의 제 1 압축공간(V1)으로 흡입 및 압축된다.
상기 제 1 실린더(21)의 제 1 압축공간(V1)에서 냉매의 압축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 1 압축공간(V1)과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제 2 실린더(31)의 제 2 압축공간(V2)은 흡입행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 2 실린더흡입부(35)가 상기 흡입유로(42)와 연통되면서, 상기 흡입유로(42)의 냉매가 상기 제 2 실린더(31)의 제 2 실린더흡입부(35)를 통하여 상기 제 2 압축공간(V2)으로 흡입 및 압축된다.
이러한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 구조에 대하여, 최근에는 세계적인 에너지 규제에 따라 컴팩트(compact)하면서도 고효율을 가지는 로터리 압축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상기 컴팩트한 로터리 압축기의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 플레이트(40)의 높이(A2)를 축소하는 경우, 상기 중간 플레이트(40)에 형성되는 흡입공(41) 또는 흡입유로(42)의 높이(A1)가 이에 대응하여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40)의 높이(A2)는, 냉매가 흡입되는 부분과, 플레이트 본체 부분의 높이를 각각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냉매가 흡입되는 부분과, 플레이트 본체 부분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공(41) 또는 흡입유로(42)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 냉매의 유량저하가 발생되고 냉매의 유로저항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 플레이트(40)의 높이(A2)는 증가시키지 않고 상기 흡입공(41) 또는 흡입유로(42)의 높이(A1)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흡입유로(42)의 외측에 형성되는 중간 플레이트(40)의 두께(A3)가 얇아지게 된다. 상기 중간 플레이트(40)의 두께(A3)가 얇아지게 되면, 상기 가스 흡입관(3)을 상기 중간 플레이트(40)에 조립할 때 구조물이 변형 또는 파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 플레이트(40)의 높이(A2)와, 상기 흡입유로(42)의 높이(A1)를 함께 증가시키면 컴팩트한 압축기의 구현이 어렵고 압축 과정시 발생되는 누설 손실에 의하여 체적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게다가, 높이가 증가한 중간 플레이트(40)에 의하여, 상기 제 1,2 실린더(21,31)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상기 회전축(15)에 가해지는 모멘트(Moment)가 증가하여 상기 회전축(15)의 변형이 크게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독립 흡입방식이 적용된 복식 로터리 압축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복식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구조는 도 1에서 설명한 로터리 압축기의 구조와 비교하여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도 1과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에 대하여는 도 1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로터리 압축기(10)의 케이싱(11)에는, 제 1 흡입구(11a) 및 제 2 흡입구(11b)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구(11a)는 기액 분리기(2)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흡입관(2a)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흡입구(11b)는 상기 기액 분리기(2)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흡입관(2b)에 결합된다.
상기 로터리 압축기(10)에는, 중간 플레이트(40)에 의하여 구획되며 각각 냉매 흡입부를 가지는 제 1 실린더(21) 및 제 2 실린더(3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실린더(21)에는, 그 외주면에 형성되어 냉매가 흡입되는 흡입공(21a) 및 상기 흡입공(21a)으로부터 상기 제 1 실린더(2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흡입유로(21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실린더(31)에는, 그 외주면에 형성되어 냉매가 흡입되는 흡입공 및 상기 흡입공으로부터 상기 제 2 실린더(3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흡입유로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실린더(21)와 제 2 실린더(31)의 냉매 흡입구조는 동일하며, 도 4에는 제 1 실린더의 냉매 흡입구조가 도시된다.
상기 제 1 실린더(21)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제 1 토출밸브(48a)를 통하여 배출되고 제 1 토출 머플러(48b)를 거쳐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를 통하고 상기 가스 토출관(4)을 통하여 압축기(10)로부터 토출된다.
상기 제 2 실린더(31)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제 2 토출밸브(49a)를 통하여 배출되고 제 2 토출 머플러(49b)를 거쳐 소음 저감된다. 그리고, 냉매는 상기 제 2 토출 머플러(49b)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토출 머플러(48b)로 연통되는 안내유로(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제 1 토출 머플러(48b)로 유입되고, 상기 제 1 토출 머플러(48b)를 거쳐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를 통하고 상기 가스 토출관(4)을 통하여 압축기(10)로부터 토출된다.
이러한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 구조에 대하여, 컴팩트한 로터리 압축기의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실린더(21) 또는 제 2 실린더(31)의 높이(B2)를 축소하는 경우, 상기 제 1 실린더(21) 또는 제 2 실린더(31)에 형성되는 흡입공(21a) 또는 흡입유로(21b)의 높이(B1)가 이에 대응하여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흡입공(21a) 또는 흡입유로(21b)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 냉매의 유량저하가 발생되고 냉매의 유로저항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실린더(21) 또는 제 2 실린더(31)의 높이(B2)는 증가시키지 않고 상기 흡입공(21a) 또는 흡입유로(21b)의 높이(B1)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흡입유로(21b)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 1 실린더(21) 또는 제 2 실린더(31)의 두께(B3)가 얇아지게 된다. 상기 제 1 실린더(21) 또는 제 2 실린더(31)의 두께(B3)가 얇아지게 되면, 상기 제 1 흡입관(2a) 및 제 2 흡입관(2b)을 상기 제 1 실린더(21) 및 제 2 실린더(31)에 조립할 때 구조물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한편, 상기 제 1 실린더(21) 또는 제 2 실린더(31)의 높이(B2)와, 상기 흡입유로(21b)의 높이(B1)를 함께 증가시키면 컴팩트한 압축기의 구현이 어렵고 압축 과정시 발생되는 누설 손실에 의하여 체적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컴팩트 하면서도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제공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편심 회전하는 롤링피스톤; 상기 롤링피스톤이 수용되는 압축 공간부를 가지는 실린더;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며,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공을 가지는 냉매 흡입부; 및 상기 냉매 흡입부에 연통하며, 상기 냉매 흡입부에서 흡입된 냉매를 상기 실린더의 압축 공간부로 가이드 하는 본체부가 포함되며, 상기 냉매 흡입부의 일방향 높이는, 상기 본체부의 일방향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복수의 실린더 사이에 제공되는 중간 플레이트에, 상기 냉매 흡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본체이며, 상기 본체부의 일방향 높이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면을 규정하는 제 1 면과,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하면을 규정하는 제 2 면 사이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매 흡입부에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가 포함되며, 상기 외측 연장부에는, 상기 제 1 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면부; 및 상기 제 2 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하면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상기 외측 연장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에는, 실린더 본체 및 상기 실린더 본체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베인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인 홀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실린더의 압축 공간부의 중심부(C1)로부터 상기 냉매 흡입부까지 연장한 선은, 상기 중심부(C1)로부터 상기 베인 홀을 지나는 선에 대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제 1 설정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매 흡입부는 상기 실린더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본체이며, 상기 본체부의 일방향 높이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상면을 규정하는 제 1 면과, 상기 실린더 본체의 하면을 규정하는 제 2 면 사이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매 흡입부에는, 상기 실린더 본체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가 포함되며, 상기 외측 연장부에는, 상기 제 1 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면부; 및 상기 제 2 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하면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냉매 흡입부의 일방향 높이는, 상기 외측 연장부의 상면부로부터 상기 하면부까지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실린더 본체로부터 상기 외측 연장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에는, 실린더 본체 및 상기 실린더 본체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베인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인 홀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냉매 흡입부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매 흡입부에는, 상기 냉매 흡입공에서 흡입된 냉매가 유동하는 흡입 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냉매 흡입부의 일방향 높이는, 상기 흡입유로의 높이와 상기 흡입유로의 외측 두께를 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에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제공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편심 회전하는 롤링피스톤; 상기 롤링피스톤이 수용되는 실린더 본체가 구비되는 복수의 실린더; 상기 복수의 실린더의 사이에 제공되는 플레이트 본체가 구비되는 중간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실린더 또는 중간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냉매를 흡입하는 냉매 흡입부; 및 상기 냉매 흡입부에는, 상기 실린더 본체 또는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외측 연장부의 일방향 높이는, 상기 실린더 본체 또는 플레이트 본체의 일방향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 또는 중간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냉매 흡입부의 크기가, 상기 실린더 또는 중간 플레이트의 본체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냉매의 흡입유량이 증가하고 유로저항을 감소시켜 압축기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린더 본체 또는 중간 플레이트 본체의 크기(높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압축기를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고 냉매 누설에 따른 체적효율 저하를 방지하여 압축기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중간 플레이트 본체의 크기(높이)가 작게 형성되어 제 1,2 실린더간의 거리가 작아질 수 있으므로, 회전축에 가해지는 모멘트가 감소하여 회전축의 변형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축의 변형이 방지되면 회전축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축과 주변 구조의 마찰면적이 감소되어 마모 신뢰성이 향상되고 기계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매 흡입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실린더 또는 중간 플레이트 두께가 설정두께 이상 유지될 수 있으므로, 가스 흡입관을 실린더 또는 중간 플레이트에 조립할 때 구조물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합 흡입방식이 적용된 복식 로터리 압축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식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독립 흡입방식이 적용된 복식 로터리 압축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복식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와 중간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간 플레이트의 흡입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중간 플레이트의 냉매 흡입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와 베어링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냉매 흡입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와 중간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간 플레이트의 흡입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통합 흡입방식이 적용된 복식 로터리 압축기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실린더(100)와, 제 2 실린더의 사이에는 중간 플레이트(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플레이트(200)에는, 상기 기액 분리기(2, 도 1 참조)로부터 냉매를 흡입하는 냉매 흡입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냉매 흡입부(210)는 상기 케이싱(11, 도 1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제 1 실린더(100)가 결합되는 모습이 도시된다. 상기 제 2 실린더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으나, 상기 제 1 실린더(100)의 하측에, 상기 제 1 실린더(100)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 참조).
상기 제 1 실린더(100)에는, 중앙부에 압축공간부(V1)를 가지는 환형의 실린더 본체(110)와, 상기 실린더 본체(1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2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실린더 본체(110)와 돌출부(120)는 소정의 높이(D1)을 형성한다.
상기 압축공간부(V1)에는, 제 1 롤링피스톤(150)이 삽입된다. 상기 제 1 롤링피스톤(150)의 중앙부에는, 회전축(15, 도 1 참조)이 관통 결합되는 축 삽입부(15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롤링피스톤(150)은, 상기 축 삽입부(152)에 의하여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에는, 상기 제 1 롤링피스톤(150)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인(125)이 수용되는 베인 홀(122)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인 홀(122)에는, 상기 베인(125)에 결합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배치되는 탄성부재 수용부(123)가 포함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부(120)의 외주면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27)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11, 도 1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롤링피스톤(15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는 수축 또는 복원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인(125)은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에 따라 상기 베인 홀(122)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중간 플레이트(200)에는, 대략 환형의 플레이트 본체(201) 및 상기 본체(20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냉매 흡입부(210)가 포함된다. 상기 냉매 흡입부(210)는, 그 단부에 냉매의 흡입이 가능한 흡입공(211)을 가지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본체(201)는 상기 실린더 본체(110)의 하측에 결합된다. 상기 플레이트 본체(201)에는, 상기 실린더 본체(110)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면(250)이 포함된다. 상기 결합면(250)은 상기 플레이트 본체(201)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매 흡입부(210)에는, 상기 흡입공(211)으로부터 상기 중간 플레이트(200)의 중앙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입 유로(215) 및 상기 흡입 유로(215)로부터 상기 제 1 실린더(100) 및 제 2 실린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분지유로(220) 및 제 2 분지유로(230)가 포함된다.
냉매는 상기 제 1 분지유로(220) 및 제 1 실린더(100)의 제 1 실린더흡입부(25, 도 1 참조)를 통하여, 상기 압축공간부(V1)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냉매는 상기 제 2 분지유로(230) 및 제 2 실린더의 제 2 실린더흡입부(35)를 통하여, 제 2 실린더의 압축공간부(V2)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냉매 흡입부(210)의 높이(H2)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201)의 높이(A2)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플레이트 본체(201)에는, 상면을 규정하는 제 1 면(201a) 및 하면을 규정하는 제 2 면(201b)이 포함된다. 상기 플레이트 본체(201)의 높이(A2)는 상기 제 1 면(201a)으로부터 상기 제 2 면(201b)까지의 거리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냉매 흡입부(210)에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201)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213)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외측 연장부(213)에는, 상기 제 1 면(201a)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면부(213a) 및 상기 제 2 면(201b)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하면부(213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연장부(213)에는, 상기 제 1 면(201a)으로부터 상기 상면부(213a)로 경사지게 연장되거나, 상기 제 2 면(201a)으로부터 상기 하면부(213b)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214)이 더 포함된다. 도면에는, 상기 경사면(214)이 비스듬하게 경사진 모습이 도시되나, 이와는 달리 수직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냉매 흡입부(210)의 높이(H2)는, 상기 상면부(213a)로부터 상기 하면부(213b)까지의 거리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냉매 흡입부(210)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201)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그 직경이 확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매 흡입부(210)의 또는 외측 연장부(213)의 높이(H2)는, 냉매가 유동하는 크기를 규정하는 흡입공(211) 또는 흡입유로(215)의 높이(H4)와, 상기 흡입유로(215)의 외측 두께(H3)의 합으로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수식이 성립될 수 있다.
(1) A2 < H2, (2) A2 < H4 + 2H3
일례로, 상기 H3의 값이 2mm로 형성되는 경우, (3) A2 < H4 + 4mm의 수식이 성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H3 값은 도 2에서 설명한 두께(A3)와 같거나, 그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H4 값은 도 2에서 설명한 높이(A1)보다 큰 값을 가진다.
즉, 도 7의 플레이트 본체(201) 및 냉매 흡입부(210)의 구조는, 종래(도 2)의 구조와 비교할 때, 플레이트 본체(201)의 높이(A2)는 유지하면서, 상기 흡입공(211) 또는 흡입유로(215)의 높이(H4)를 확대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냉매 흡입부의 확대에 의하여, 냉매의 흡입유량이 증가하고 유로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중간 플레이트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컴팩트 한 압축기의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제 1,2 실린더 간의 거리가 증가하지 않아 축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매 흡입부(21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상기 냉매 흡입부(210)가 상기 제 1 실린더(100)의 돌출부(120)와 간섭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기 냉매 흡입부(210)를 상기 제 1 실린더(100)의 중심으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린더(210)의 중심부(C1)로부터 상기 냉매 흡입부(210)까지 연장한 선은, 상기 중심부(C1)로부터 상기 베인 홀(122)을 지나는 선에 대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제 1 설정각도(θ1)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매 흡입부(210)와 돌출부(12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C1)는, 상기 제 1 실린더(210)의 압축 공간부(V1)의 중심부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중간 플레이트의 냉매 흡입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중간 플레이트의 냉매 흡입부 구조와 비교할 때, 상기 흡입공(211) 또는 흡입유로(215)의 높이는 유지하면서 상기 플레이트 본체(201)의 높이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흡입공(211) 또는 흡입유로(215)의 높이는 A1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플레이트 본체(201)의 높이는 H5로 감소시키도록 구성한다. 즉, 도 2에서 설명한 높이(A2)는 상기 H5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흡입공(211) 또는 흡입유로(215)의 높이가 상기 플레이트 본체(201)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냉매 흡입부(210)의 높이, 즉 상기 흡입공(211) 또는 흡입유로(215)의 높이(A1) 및 상기 흡입유로(215) 외측의 두께(H6)의 합은, 상기 플레이트 본체(201)의 높이(H5)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수식이 성립될 수 있다.
(1) H5 < A1 + H6
일례로, 상기 H6의 값이 2mm로 형성되는 경우, (3) H5 < A1 + 2mm의 수식이 성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H6 값은 도 2에서 설명한 두께(A3)와 같거나, 그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와 베어링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냉매 흡입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독립 흡입방식이 적용된 복식 로터리 압축기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실린더(300)의 상측에는, 상부 베어링(4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린더(300)에는, 상기 기액 분리기(2, 도 1 참조)로부터 냉매를 흡입하는 냉매 흡입부(350)가 형성된다. 상기 냉매 흡입부(350)는 상기 케이싱(11, 도 1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는 제 1 실린더(300)와 상부 베어링(400)의 결합구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제 2 실린더와 하부 베어링의 결합구조에 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 참조). 즉, 이하에서 설명할, 냉매 흡입부의 구조는 제 2 실린더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베어링(400)에는,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 삽입부(410) 및 상기 제 1 실린더(300)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토출 밸브(42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실린더(300)에는, 중앙부에 압축공간부를 가지는 환형의 실린더 본체(310) 및 상기 실린더 본체(3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32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실린더 본체(310)와 돌출부(320)는, 상기 냉매 흡입부(350)가 제공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소정의 높이(B2, 도 4 참조)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320)에는, 제 1 롤링피스톤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인이 수용되는 베인 홀(322)이 포함된다. 상기 베인 홀(322)에는, 상기 베인에 결합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부(320)의 외주면부에 형성되는 관통홀(327)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11, 도 1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20)에는, 상기 냉매 흡입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매 흡입부(350)의 단부에는, 상기 기액 분리기(2)로부터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공(3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 흡입부(350)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공(351)에서 유입된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흡입 유로(35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 유로(352)는 상기 흡입공(351)으로부터 상기 제 1 실린더(30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냉매 흡입부(350)는, 상기 제 1 실린더(300)의 중심부(C2)를 기준으로, 상기 베인 홀(322)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중심부(C2)으로부터 상기 냉매 흡입부(350) 또는 흡입공(351)의 중심까지 연장한 선은, 상기 중심부(C2)로부터 상기 베인 홀(322)을 지나는 선에 대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제 1 설정각도(θ1)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매 흡입부(350)의 높이(H7)는, 상기 실린더 본체(310)의 높이(B2) 또는 돌출부(320) 중 상기 냉매 흡입부(350)를 제외한 부분의 높이(B2)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실린더 본체(310)에는, 상면을 규정하는 제 1 면(310a) 및 하면을 규정하는 제 2 면(310b)이 포함된다. 상기 실린더 본체(310)의 높이(B2)는 상기 제 1 면(310a)으로부터 상기 제 2 면(310b)까지의 거리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냉매 흡입부(350)에는, 상기 실린더 본체(310)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353)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외측 연장부(353)에는, 상기 제 1 면(310a)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면부(353a) 및 상기 제 2 면(310b)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하면부(353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연장부(353)에는, 상기 제 1 면(310a)으로부터 상기 상면부(353a)로 경사지게 연장되거나, 상기 제 2 면(310a)으로부터 상기 하면부(353b)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354)이 더 포함된다.
상기 냉매 흡입부(210)의 높이(H7)는, 상기 상면부(353a)로부터 상기 하면부(353b)까지의 거리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냉매 흡입부(350)는 상기 실린더 본체(31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그 직경이 확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매 흡입부(350)의 높이(H7)는, 냉매가 유동하는 크기를 규정하는 흡입공(351) 또는 흡입유로(352)의 높이(H8)와, 상기 흡입유로(352)의 외측 두께(H9)의 합으로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수식이 성립될 수 있다.
(1) B2 < H7, (2) B2 < H8 + 2H9
일례로, 상기 H9의 값이 2mm로 형성되는 경우, (3) A2 < H8 + 4mm의 수식이 성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H9 값은 도 4에서 설명한 두께(B3)와 같거나, 그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H8 값은 도 4에서 설명한 높이(B1)보다 큰 값을 가진다.
즉, 도 11의 실린더 본체(310) 및 냉매 흡입부(350)의 구조는, 종래(도 4)의 구조와 비교할 때, 실린더 본체(310)의 높이(B2)는 유지하면서, 상기 흡입공(351) 또는 흡입유로(352)의 높이(H8)를 확대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냉매 흡입부의 확대에 의하여, 냉매의 흡입유량이 증가하고 유로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중간 플레이트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컴팩트 한 압축기의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제 1,2 실린더 간의 거리가 증가하지 않아 축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위 제 3 실시예는, 실린더 본체(310)의 높이(B2)는 유지하면서, 상기 흡입공(351) 또는 흡입유로(352)의 높이(H8)를 확대한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종래 구조(도 4)와 비교할 때, 흡입공 또는 흡입유로의 높이(B1)은 유지하면서, 상기 실린더 본체의 높이를 감소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입공 또는 흡입유로의 높이가 상기 실린더 본체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정리하면, 냉매 흡입부의 높이는 플레이트 본체 또는 실린더 본체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본체 또는 실린더 본체를 합하여, "본체부"라 이름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냉매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를 상기 실린더의 압축공간부로 가이드 하는 구조물로서 이해될 수 있다.
10 : 로터리 압축기 11 : 케이싱
15 : 회전축 20 : 제 1 압축 기구부
30 : 제 2 압축 기구부 V1,V2 : 압축공간
100 : 제 1 실린더 110 : 실린더 본체
120 : 돌출부 150 : 제 1 롤링피스톤
200 : 중간 플레이트 210 : 냉매 흡입부
211 : 흡입공 213 : 외측 연장부
214 : 경사면 215 : 흡입유로
300 : 제 1 실린더 310 : 실린더 본체
350 : 냉매 흡입부 351 : 흡입공
352 : 흡입유로 353 : 외측 연장부
354 : 경사면

Claims (17)

  1.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제공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편심 회전하는 롤링피스톤;
    상기 롤링피스톤이 수용되는 실린더 본체를 가지는 복수의 실린더;
    상기 복수의 실린더의 사이에 제공되는 플레이트 본체가 구비되는 중간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본체에 형성되며,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공을 가지는 냉매 흡입부가 포함되고,
    상기 냉매 흡입부에는, 상기 냉매 흡입부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가 포함되고,
    상기 외측 연장부에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면부; 및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하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에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상기 외측 연장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이 포함되는 로터리 압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실린더 본체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베인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인 홀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실린더의 압축 공간부의 중심부(C1)로부터 상기 냉매 흡입부까지 연장한 선은, 상기 중심부(C1)로부터 상기 베인 홀을 지나는 선에 대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제 1 설정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흡입부에는, 상기 냉매 흡입공에서 흡입된 냉매가 유동하는 흡입 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냉매 흡입부의 일방향 높이는, 상기 흡입유로의 높이와 상기 흡입유로의 외측 두께의 2배를 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4.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제공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편심 회전하는 롤링피스톤;
    상기 롤링피스톤이 수용되는 실린더 본체가 구비되는 복수의 실린더;
    상기 복수의 실린더의 사이에 제공되는 플레이트 본체가 구비되는 중간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실린더에 형성되며, 냉매를 흡입하는 냉매 흡입부가 포함되고,
    상기 냉매 흡입부에는,
    상기 냉매 흡입부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가 포함되고,
    상기 외측 연장부에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면부; 및
    상기 실린더 본체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하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실린더 본체로부터 상기 외측 연장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이 포함되는 로터리 압축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실린더 본체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베인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인 홀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냉매 흡입부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
KR1020140000822A 2014-01-03 2014-01-03 로터리 압축기 KR102201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822A KR102201409B1 (ko) 2014-01-03 2014-01-03 로터리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822A KR102201409B1 (ko) 2014-01-03 2014-01-03 로터리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142A KR20150081142A (ko) 2015-07-13
KR102201409B1 true KR102201409B1 (ko) 2021-01-12

Family

ID=53792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822A KR102201409B1 (ko) 2014-01-03 2014-01-03 로터리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4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119B1 (ko) 2017-07-24 2022-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KR20220061678A (ko) * 2020-11-06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606B1 (ko) * 2005-05-19 2012-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머플러 겸용 베어링을 구비한 복식 로터리 압축기
KR101587174B1 (ko) * 2009-12-08 2016-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142A (ko) 201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261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1386481B1 (ko) 밀폐형 압축기
JP2005299653A (ja) ローリングピストン及びそれを備えた回転式圧縮機のガス漏れ防止装置
US9004888B2 (en) Rotary compressor having discharge groove to communicate compression chamber with discharge port near vane groove
KR102591415B1 (ko) 로터리 압축기
KR20100084079A (ko) 로터리 압축기
US9145890B2 (en) Rotary compressor with dual eccentric portion
US9689388B2 (en) Scroll compressor
KR20140142046A (ko) 스크롤 압축기
KR20180080885A (ko) 로터리 압축기
KR102201409B1 (ko) 로터리 압축기
JP5293622B2 (ja) 密閉型ロータリ圧縮機
JP2006177227A (ja) ロータリ式2段圧縮機
JP2013213477A (ja) ロータリー圧縮機
US11448216B2 (en) Rotary compressor
KR200392423Y1 (ko) 복식 로터리 압축기의 실링구조
KR200381016Y1 (ko) 로터리 압축기의 흡입손실 저감 구조
WO2019052080A1 (zh) 泵体组件、流体机械及换热设备
KR101868193B1 (ko) 로터리 압축기
KR20100081810A (ko) 로터리 압축기
US20060177339A1 (en) Horizontal type orbiting vane compressor
JP6843307B1 (ja) ロータリ圧縮機
KR101161440B1 (ko) 로터리 압축기
KR20080012710A (ko) 리니어 압축기의 진동 흡수 구조
KR20050097340A (ko) 밀폐형 압축기용 머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