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986B1 - 하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986B1
KR102200986B1 KR1020180050141A KR20180050141A KR102200986B1 KR 102200986 B1 KR102200986 B1 KR 102200986B1 KR 1020180050141 A KR1020180050141 A KR 1020180050141A KR 20180050141 A KR20180050141 A KR 20180050141A KR 102200986 B1 KR102200986 B1 KR 102200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electrical conductivity
conductivity sensor
air supply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5833A (ko
Inventor
장신요
신풍식
안진
최영준
정득모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102018005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986B1/ko
Publication of KR20190125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를 저장하는 유입수 저장조, 상기 유입수 저장조 후단에 배치되는 제 1 침전조, 상기 제 1 침전조 후단에 배치되며, 무산소조 및 호기조를 포함하는 미생물 반응조, 상기 미생물 반응조 후단에 배치되는 제 2 침전조, 상기 호기조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무산소조는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호기조는 제 2 전기 전도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수 저장조는 제 3 전기 전도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 상기 제 2 전기 전도도 센서 및 상기 제 3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을 기반으로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하수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하수 처리 장치{APPARATUS FOR TREATING WASTE WATER}
본 발명은 하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정된 재원으로 하수도 보급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하폐수 처리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MLE(Modified Ludzack & Ettinger Process, 이하 "MLE"라 한다), A2O(Anaerobic Anoxic Oxic Process, 이하, "A2O"라 한다), VIP, UCT, Bardenpho, Johannesburg Process 등 전탈질계열의 고도처리공정은 반응액의 내부순환과 슬러지 반송이 함께 소요되므로 시설비와 운전비 소요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하수 처리 과정에서 최대 공기 공급량을 유지하면서 호기조에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필요 이상의 공기를 공급하는데 잉여 비용이 소비되고 있다.
본 발명은 공기 공급량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운전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한 하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 수질 변화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하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장치는 하수를 저장하는 유입수 저장조, 상기 유입수 저장조 후단에 배치되는 제 1 침전조, 상기 제 1 침전조 후단에 배치되며, 무산소조 및 호기조를 포함하는 미생물 반응조, 상기 미생물 반응조 후단에 배치되는 제 2 침전조, 상기 호기조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무산소조는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호기조는 제 2 전기 전도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수 저장조는 제 3 전기 전도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 상기 제 2 전기 전도도 센서 및 상기 제 3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을 기반으로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 값이 제 1 전기 전도도 값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제 2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2 전기 전도도 값보다 크면,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 값이 제 1 전기 전도도 값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제 2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2 전기 전도도 값보다 작으면,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와 상기 제 2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차이 값보다 크면,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와 상기 제 2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차이 값보다 작으면,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호기조에서 배출되는 하수 일부를 상기 무산소조로 유입하는 내부 반송 라인 및 상기 제 2 침전조에서 배출되는 하수 일부를 상기 무산소조로 유입하는 외부 반송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산소조는 제 1 무산소조, 제 2 무산소조 및 제 3 무산소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무산소조는 상기 제 1 침전조에 인접하고, 상기 제 3 무산소조는 상기 호기조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1 전기 전도도 값보다 크면, 상기 내부 반송 라인 및 상기 외부 반송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1 무산소조에 연결하며,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1 전기 전도도 값보다 작으면, 상기 내부 반송 라인 및 상기 외부 반송 라인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2 무산소조 또는 제 3 무산소조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1 전기 전도도 값 이상의 값을 제 1 시간 이상 유지하면, 상기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3 무산소조, 상기 제 2 무산소조 및 상기 제 1 무산소조에 단계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3 전기 전도도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저장소의 하수 일부를 상기 무산소조로 바이 패스하고, 상기 제 1 침전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처리수 저장조로 바이 패스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전도도 값보다 크면, 내부 반송 펌프 또는 외부 반송 펌프를 제어하여 내부 반송량 또는 외부 반송량을 감소시키며,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전기 전도도 값보다 작으면, 상기 내부 반송 펌프 또는 상기 외부 반송 펌프를 제어하여 내부 반송량 또는 외부 반송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공급량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운전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 수질 변화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장치와 비교예에서의 질소 제거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비교예에서의 공기 공급량/유입량 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장치에서의 공기 공급량/유입량 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장치(100)는 유입수 저장조(110), 제 1 침전조(120), 미생물 반응조(B), 제 2 침전조(150), 처리수 저장조(160), 공기 공급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유입수 저장조(110)는 처리될 하수가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유입수 전기 전도도 센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입수 전기 전도도 센서(111)는 제 3 전기 전도도 센서(111)로 혼용될 수 있다.
유입수 전기 전도도 센서(111)는 유입수 저장조(110)에 저장된 하수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을 제어부(18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유입수 저장조(110)는 설정된 수위까지 하수를 저장할 수 있으며, 설정된 수위에서 펌프 및 밸브를 제어하여 저장된 하수를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유입수 전기 전도도 센서(11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값(제 3 전기 전도도 값) 보다 작으면, 제어부(180)는 유입수 저장조(110)와 미생물 반응조(B)의 무산소조(130)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라인(L1)의 밸브(V1)를 개방하여, 바이패스 라인(L1)으로 유입수 저장조(110)의 하수를 직접 무산소조(130)로 유입할 수 있다.
여기서, 유입수 전기 전도도 센서(11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값(제 3 전기 전도도 값) 보다 작은 경우는, 강우 시일 수 있다.
즉, 강우 시에는 상대적으로 청정한 강우가 하수에 혼합된 상태이며, 하수의 양이 급증하게 되므로, 제어부(180)는 바이패스 라인(L1)의 밸브(V1)를 제어하여, 유입수 저장조(110) 및 제 1 침전조(120)에 유입 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강우 시에 바이패스 라인(L2)의 밸브(V2)를 제어하여, 제 1 침전조(120)를 거친 일차 처리수가 미생물 반응조(B)를 거치지 않고 처리수 저장조(16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합류식 하수도에서 평상시보다 많은 양을 일차 처리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생물 반응조(B)로 유입되는 수질 부하 변동을 감소시켜 무산소조(130)의 질소처리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유입수 전기 전도도 센서(11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값(제 3 전기 전도도 값) 보다 큰 경우는, 유입 부하가 높은 고부하 시일 수 있다. 이때에는 제 1 침전조(120)에서 침전된 일차 슬러지가 인발 밸브(V3) 및 인발 펌프(122)를 통해 배출되는 양을 평소보다 증가시켜 미생물 반응조(B)의 수질 부하 변동을 감소시켜 처리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다음의 일련의 경험식을 이용하여 유입수 전기 전도도 센서(11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으로 공기공급량을 산정할 수 있고, 공기 공급부(170)에서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고려하여 호기조(14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필요산소량(AOR) = OD1 + OD2 + OD3 + OD4
여기서 OD1 = BOD 산화에 필요한 산소량
OD2 = 내생호흡에 필요한 산소량
OD3 = 질산화 반응에 필요한 산소량
OD4 = 용존산소농도의 유지에 필요한 산소량
여기서, OD2와 OD4는 일정한 상수 개념으로 실험실 분석자료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OD1과 OD3은 필요산소량에 대부분을 차지한다. BOD와 암모니아성질소는 실험실 분석자료를 통해 BOD/암모니아성질소 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요산소량 다음의 계산식과 같이 간단하게 표기할 수 있다.
OD1 = 0.6 × BOD 부하(kg/d) = 0.6 × A × 암모니아성질소 부하(kg/d)
여기서 A = BOD/암모니아성질소 비
OD3 = 4.57 × 암모니아성질소 부하(kg/d)
필요산소량(AOR) = (0.6 × A + 4.57) × 암모니아성질소 부하 + B
= (0.6 × A + 4.57) × 암모니아성질소 × 유입유량 + B
여기서 B = 내생호흡, 용존산소농도의 유지에 필요한 산소량
전기전도도 = 암모니아성질소 × C
여기서 C = 암모니아성질소/전기전도도 비
필요산소량(AOR) = (0.6 × A + 4.57) × 전기전도도 × 유입유량 × C + B
위 식을 통하여 필요산소량을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예측할 수 있게 된다.
Figure 112018042951510-pat00001
여기서 SOR : T1 ℃에서의 청수상태에서의 산소공급량, kgO2/d
AOR : 생물반응조 T2 ℃에서의 필요산소량, kgO2/d
T1 : 포기장치성능의 기준 청수온도(20℃)
T2 : 생물반응조 혼합액의 수온(℃)
Cs1 : 청수 T1 ℃에서의 포화산소농도
Cs2 : 청수 T2 ℃에서의 포화산소농도
CO : 혼합액의 DO 농도
a : KLa의 보정계수(저부하법 0.93, 고부하법 0.83)
b : 산소포화농도 보정계수(저부하법 0.97, 고부하법 0.95)
γ : 산기수심에 의한 Cs의 보정계수
여기서 γ =1/2 × [(10.332 + h)/10.332 + 1]
h : 산기수심(m)
P : 처리장에서 대기압(kPa abs)
각 설계인자를 입력하면 계수화 할 수 있으며 이를 D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42951510-pat00002
D : 청수 상태의 성능을 고려한 계수
공기공급량(Gs) = SOR/(EA ×ρ×Qw) × (273+T2)/273 × 100
여기서, EA : 청수 중 산소전달효율(SOTE, %)
ρ : 공기밀도(1.293 kg공기/Nm3)
Qw : 공기중 산소함유중량(0.232 kgO2/kg-공기)
각 설계인자를 입력하면 계수화 할 수 있으며 이를 E로 나타내었다.
공기공급량(Gs) = E ×SOR
E : 산소전달효율, 산소함유량 등을 고려한 계수
공기공급량(Gs) = E ×SOR = E × D × AOR
= E × D × (0.6 × A + 4.57) × 전기전도도 × 유입유량 × C + B
= F × 전기전도도 × 유입유량 + B
F : A, C, D, E를 고려한 계수
여기서, 유입유량은 유입수 저장조(110) 및 제 1 침전조(120)에서 무산소조(130)로 유입되는 라인에서 측정된 유량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침전조(120)는 유입된 하수를 침전 또는 고액분리 등을 통해 하수에서 슬러지를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침전조(120)에서 분리된 슬러지는 인발 밸브(V3) 및 인발 펌프(122)를 통해 배출되며, 배출된 슬러지는 제 2 침전조(150)에서 배출된 슬러지와 함께 슬러지 저장조(미도시)에 유입될 수 있다.
제 1 침전조(120)에서 슬러지가 분리된 하수는 미생물 반응조(B)의 무산소조(130)에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수 전기 전도도 센서(11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는, 제 1 침전조(120)에서 인발 밸브(V3) 및 인발 펌프(122)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 양을 증가시키며, 유입수 전기 전도도 센서(11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는 바이패스 라인(L2)의 밸브(V2) 및 펌프(121)를 제어하여, 제 1 침전조(120)의 일차 처리수를 미생물 반응조(B)를 거치지 않고 처리수 저장조(160)로 바로 유입할 수 있다.
미생물 반응조(B)는 무산소조(130)와 호기조(140)를 포함한다.
무산소조(130)는 탈질산화의 반응조로써, 산소가 없는 무산소 상태에서 질산성 질소가 질소가스 등으로 환원될 수 있다.
무산소조(130)는 무산소조 전기 전도도 센서(131) 및 교반 유닛(1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산소조 전기 전도도 센서(131)는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131)로 혼용될 수 있다.
무산소조 전기 전도도 센서(131)는 무산소조(130)에 저장된 하수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을 제어부(18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무산소조 전기 전도도 센서(13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값(제 1 전기 전도도 값) 보다 크면, 제어부(180)는 암모니아성질소의 농도가 높아진 것으로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더 많은 공기 공급량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공기 공급부(170)를 제어하여 호기조(14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무산소조 전기 전도도 센서(13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값(제 1 전기 전도도 값) 보다 작으면, 제어부(180)는 필요 이상의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공급부(170)를 제어하여 호기조(14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삭제
무산소조(130)에는 제 1 침전조(120)에서 유입되는 라인, 유입수 저장조(110)에서 바이패스로 유입되는 라인(L1), 호기조(140)에서 유입되는 내부 반송 라인(L3) 및 제 2 침전조(150)에서 유입되는 외부 반송 라인(L4)을 통해 하수 또는 슬러지가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무산소조(130)는 격벽을 통해 제 1 무산소조(130a), 제 2 무산소조(130b) 및 제 3 무산소조(130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무산소조(130)가 3개의 무산소조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산소조(130)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무산소조(130a)는 상대적으로 제 1 침전조(120)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전단 무산소조로 혼용될 수 있다.
제 2 무산소조(130b)는 제 1 무산소조(130a)와 제 3 무산소조(130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무산소조(130c)는 상대적으로 호기조(140)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후단 무산소조로 혼용될 수 있다.
한편, 제 1 무산소조(130a), 제 2 무산소조(130b) 및 제 3 무산소조(130c) 각각에는 별도의 교반 유닛(132)이 배치될 수 있다.
교반 유닛(132)은 제어부(18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 1 무산소조(130a), 제 2 무산소조(130b) 및 제 3 무산소조(130c) 각각은 공기 공급부(170)에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호기조(140)는 질산화의 반응조로써, 공기 공급으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암모니아성질소 산화가 수행될 수 있다.
호기조(140)는 호기조 전기 전도도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호기조 전기 전도도 센서(141)는 호기조(140)에 저장된 하수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을 제어부(18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호기조 전기 전도도 센서(141)는 제 2 전기 전도도 센서(141)로 혼용될 수 있다.
한편, 호기조 전기 전도도 센서(14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값(제 2 전기 전도도 값) 보다 크면, 제어부(180)는 공기 공급부(170)를 제어하여, 호기조(14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호기조 전기 전도도 센서(14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값(제 2 전기 전도도 값) 보다 작으면, 제어부(180)는 공기 공급부(170)를 제어하여, 호기조(14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무산소조 전기 전도도 센서(13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과 호기조 전기 전도도 센서(14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술한 전기 전도도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차이 값을 유지하도록 공기 공급부(170)를 제어하여 호기조(14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술한 전기 전도도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차이 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술한 전기 전도도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차이 값을 유지하도록 공기 공급부(170)를 제어하여 호기조(14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2 침전조(150)는 유입된 하수를 침전 또는 고액분리 등을 통해 하수에서 슬러지를 분리할 수 있다.
제 2 침전조(150)에서 슬러지가 분리된 처리수는 처리수 저장조(160)에 유입될 수 있으며, 분리된 슬러지는 외부 반송 라인(L3)을 통해 무산소조(130)에 유입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침전조(150)에서 배출된 슬러지는 제 1 침전조(120)에서 배출된 슬러지와 함께 슬러지 저장조(미도시)에 유입될 수 있다.
처리수 저장조(160)는 하수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처리수 저장조(160)는 설정된 수위까지 하수를 저장할 수 있으며, 설정된 수위에서 펌프 및 밸브를 제어하여 저장된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다.
공기 공급부(170)는 공기 공급 수단(171)과 무산소조(130) 및 호기조(140)에 연결된 라인의 개폐를 각각 담당하는 밸브(V4, V5)를 포함한다.
공기 공급 수단(171)은 펌프 또는 송풍 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공기 공급 수단(171)은 산소 발생 유닛에 연결될 수 있으며, 고농도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기 공급 수단(171) 및 밸브(V5, V5) 각각은 제어부(18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하수 처리 장치(100)를 총괄 제어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수 전기 전도도 센서(111), 무산소조 전기 전도도 센서(131) 및 호기조 전기 전도도 센서(141)의 전기 전도도 측정값에 따라 공기 공급부(170)의 공기 공급 수단(171) 및 밸브(V4, V5) 각각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무산소조 전기 전도도 센서(131) 및 호기조 전기 전도도 센서(14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공기 공급부(170)를 제어하여 호기조(14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무산소조 전기 전도도 센서(131) 및 호기조 전기 전도도 센서(14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공기 공급부(170)를 제어하여 호기조(14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무산소조(130)의 전기 전도도 값을 기반으로 공기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무산소조 전기전도도
(μS/cm)
0~
1,300
1,300~
1,400
1,400~
1,500
1,500~
1,600
1,600~
1,700
1,700~
1,800
1,800
이상
공기공급량/유입유량 비
(㎥/㎥)
25 30 35 40 47 55 63
또한, 제어부(180)는 무산소조 전기 전도도 센서(13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1 전기 전도도 값을 기설정된 제 1 시간 이상 유지하면, 질산화효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호기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늘리기 위해 무산소조(130)에 공기를 공급하여, 무산소조(130)에서 호기조 반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호기조에 포함되는 호기성 생물은 반송 라인(L3, L4)을 통해 호기조(140)에서 무산소조(130)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무산소조(130)에 공기를 공급하면 무산소조(130)에서 호기조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무산소조 전기 전도도 센서(13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 및 지속 시간을 통해 후단에 배치된 제 3 무산소조(130c)에만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보다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늘리기 위해서는 제 2 무산소조(130b) 및 제 1 무산소조(130a)에 단계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무산소조 전기 전도도 센서(131) 및 호기조 전기 전도도 센서(14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내부 반송 펌프(142) 및/또는 외부 반송 펌프(151)를 제어하여 무산소조(130)에 공급되는 내부 및 외부 반송 양을 각각 또는 동시에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무산소조 전기 전도도 센서(131) 및 호기조 전기 전도도 센서(14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내부 반송 펌프(142) 및/또는 외부 반송 펌프(151)를 제어하여 무산소조(130)에 공급되는 내부 및 외부 반송 양을 각각 또는 동시에 증가 시킬 수 있다.
여기서, 내부 반송 펌프(142) 및/또는 외부 반송 펌프(151)를 제어하는 기준이 되는 기설정된 값은 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무산소조 전기 전도도 센서(13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1 전기 전도도 값보다 크면, 내부 반송 라인(L3) 및 외부 반송 라인(L4)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무산소조(130a)에 연결하여, 무산소조(130)에서의 질소 처리 기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무산소조(130)에서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늘릴 수 있으며, 무산소조 전기 전도도 센서(13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1 전기 전도도 값보다 작으면, 내부 반송 라인(L3) 및 외부 반송 라인(L4) 중 적어도 하나를 제 3 무산소조(130c)에 연결하여, 무산소조(130)에서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줄여 무산소조(130)에서의 인 처리 기능을 강화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유입수 전기 전도도 센서(11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값(제 3 전기 전도도 값) 보다 작으면, 제어부(180)는 유입수 저장조(110)와 미생물 반응조(B)의 무산소조(130)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라인(L1)의 밸브(V1)를 개방하여, 바이패스 라인(L1)으로 유입수 저장조(110)의 하수를 직접 무산소조(130)로 유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유입수 전기 전도도 센서(111)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값(제 3 전기 전도도 값) 보다 작은 경우는, 강우 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강우 시에는 상대적으로 청정한 강우가 하수에 혼합된 상태이며, 하수의 양이 급증하게 되므로, 제어부(180)는 바이패스 라인(L1)의 밸브(V1)를 제어하여, 유입수 저장조(110) 및 제 1 침전조(120)에 유입 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장치와 비교예에서의 질소 제거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비교예에서의 공기 공급량/유입량 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장치에서의 공기 공급량/유입량 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장치와 비교예에서의 질소 제거 효율 및 공기 공급량/유입량 비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다음의 [표 2]는 비교예 1 내지 3과 실시예에서의 공기공급량/유입유량 비를 나타낸 것이며, [표 3]은 비교예 1 내지 3과 실시예에서의 질소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 2]를 참조하면, 비교예 1 내지 3은 공기공급량 일정하게 유지하는 공정이며, 특히 비교예 3은 최대 공기공급량 유지하는 공정이다.
공기공급량/유입유량 비(㎥/㎥)
비교예 1 36
비교예 2 28
비교예 3 46
실시예 22 ~ 51(평균: 36)
유입수(mg/L) 제거율(%)
암모니아성질소 총질소(이온) 암모니아성질소 총질소(이온)
비교예 1 136.2 144.2 33.5 21.2
비교예 2 151.2 152.4 23.2 9.4
비교예 3 208.5 211.7 62.9 22.4
실시예 158.4 163.6 43.9 30.7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비교예 3은 공기공급량/유입유량 비 46 ㎥/㎥에서 암모니아성질소 제거율 62.9%로 가장 높았으나, 비교예 1 및 2는 총질소(이온) 제거율은 각각 21.2%, 22.4%로 유사하였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장치는 질소 제거 효율이 30.7%로 비교예 3에 비해 대략 8% 이상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장치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대략 20% 이상의 공기 공급량을 절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장치는 공기 공급량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운전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처리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하수 처리 장치
110: 유입수 저장조
120: 제 1 침전조
B: 미생물 반응조
130: 무산소조:
140: 호기조
150: 제 2 침전조
160: 처리수 저장조
170: 공기 공급부
180: 제어부

Claims (9)

  1. 하수를 저장하는 유입수 저장조;
    상기 유입수 저장조 후단에 배치되는 제 1 침전조;
    상기 제 1 침전조 후단에 배치되며, 무산소조 및 호기조를 포함하는 미생물 반응조;
    상기 미생물 반응조 후단에 배치되는 제 2 침전조;
    상기 호기조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호기조에서 배출되는 하수 일부를 상기 무산소조로 유입하는 내부 반송 라인; 및
    상기 제 2 침전조에서 배출되는 하수 일부를 상기 무산소조로 유입하는 외부 반송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무산소조는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호기조는 제 2 전기 전도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수 저장조는 제 3 전기 전도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 상기 제 2 전기 전도도 센서 및 상기 제 3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을 기반으로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량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1 전기 전도도 값을 기설정된 제 1 시간 이상 유지하면, 질산화효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호기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늘리기 위해 상기 무산소조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무산소조에서 호기조 반응을 수행하고,
    상기 무산소조는 제 1 무산소조, 제 2 무산소조 및 제 3 무산소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무산소조는 상기 제 1 침전조에 인접하고, 상기 제 3 무산소조는 상기 호기조에 인접하고,
    상기 제 1 무산소조, 제 2 무산소조 및 제 3 무산소조 각각은 상기 공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1 전기 전도도 값 이상의 값이 기설정된 제 1 시간 이상 유지하면, 상기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 3 무산소조, 상기 제 2 무산소조 및 상기 제 1 무산소조에 단계적으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늘리고,
    상기 제어부는 하기의 [수식 1]을 통해 상기 제 3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으로 공기공급량을 산정하고,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호기조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1 전기 전도도 값보다 크면, 상기 내부 반송 라인 및 상기 외부 반송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1 무산소조에 연결하며,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1 전기 전도도 값보다 작으면, 상기 내부 반송 라인 및 상기 외부 반송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제 상기 2 무산소조 또는 상기 제 3 무산소조에 연결하는 하수 처리 장치.
    [수식 1]
    공기공급량(Gs) = E ХSOR
    Figure 112021500046754-pat00007

    AOR = (0.6 × A + 4.57) × 전기전도도 × 유입유량 × C + B
    (여기서, SOR : T1 ℃에서의 청수상태에서의 산소공급량(kgO2/d), AOR : 생물반응조 T2 ℃에서의 필요산소량(kgO2/d), T1 : 포기장치성능의 기준 청수온도(20℃), T2 : 생물반응조 혼합액의 수온(℃), Cs1 : 청수 T1 ℃에서의 포화산소농도, Cs2 : 청수 T2 ℃에서의 포화산소농도, CO : 혼합액의 DO 농도, α : KLa의 보정계수(저부하법 0.93, 고부하법 0.83), β : 산소포화농도 보정계수(저부하법 0.97, 고부하법 0.95), γ : 산기수심에 의한 Cs의 보정계수<γ =1/2 Х [(10.332 + h)/10.332 + 1]>, h : 산기수심(m), P : 처리장에서 대기압(kPa abs), A : BOD/암모니아성질소 비, B = 내생호흡, 용존산소농도의 유지에 필요한 산소량, C : 암모니아성질소/전기전도도 비, D : 청수 상태의 성능을 고려한 계수 및 E : 산소전달효율, 산소함유량 등을 고려한 계수를 나타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 값이 제 1 전기 전도도 값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제 2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2 전기 전도도 값보다 크면,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 값이 제 1 전기 전도도 값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제 2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2 전기 전도도 값보다 작으면,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하수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와 상기 제 2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차이 값보다 크면,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와 상기 제 2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차이 값보다 작으면,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하수 처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제 3 전기 전도도 값보다 작으면,
    상기 유입수 저장조의 하수 일부를 상기 무산소조로 바이 패스하고,
    상기 제 1 침전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처리수 저장조로 바이 패스하는 하수 처리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전기 전도도 값보다 크면, 내부 반송 펌프 또는 외부 반송 펌프를 제어하여 내부 반송양 또는 외부 반송양을 감소 시키며,
    상기 제 1 전기 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전기 전도도 값이 기설정된 전도도 값보다 작으면, 상기 내부 반송 펌프 및 상기 외부 반송 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내부 반송양 또는 외부 반송양을 증가 시키는 하수 처리 장치.
KR1020180050141A 2018-04-30 2018-04-30 하수 처리 장치 KR102200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141A KR102200986B1 (ko) 2018-04-30 2018-04-30 하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141A KR102200986B1 (ko) 2018-04-30 2018-04-30 하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833A KR20190125833A (ko) 2019-11-07
KR102200986B1 true KR102200986B1 (ko) 2021-01-11

Family

ID=68579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141A KR102200986B1 (ko) 2018-04-30 2018-04-30 하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9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1258A (ja) * 2003-12-04 2005-06-23 Japan Steel Works Ltd:The 高濃度アンモニア含有ガスの亜硝酸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447B1 (ko) * 2010-06-28 2013-02-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폐수 처리 공정의 규칙기반 실시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012722B1 (ko) * 2011-12-09 2019-08-22 주식회사 씨스 이엔지 체류시간 최적화를 위한 수질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연속식 생물학적 수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1258A (ja) * 2003-12-04 2005-06-23 Japan Steel Works Ltd:The 高濃度アンモニア含有ガスの亜硝酸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833A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966B1 (ko) 혐기조 및 반송라인과 결합된 2단탈질 방식의 엠비알 폐수처리 장치
KR101473050B1 (ko) 생물학적 질소 제거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담체
JP5608027B2 (ja) 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曝気風量制御方法
KR20150096407A (ko) 향상된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화 방법 및 폭기 성능
US9656897B2 (en) Dual return activated sludge process in a flow-equaliz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JP2012200705A5 (ko)
JP4114128B2 (ja) 廃水浄化装置および方法
KR102200986B1 (ko) 하수 처리 장치
KR102020743B1 (ko) 일차 슬러지를 재순환하는 것을 이용한 하수 처리 장치
CN215516829U (zh) 高氨氮污水深度脱氮处理装置
KR20170060503A (ko)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JP3379199B2 (ja) 活性汚泥循環変法の運転制御方法
US6592757B2 (en) Selector contact stabiliz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JP2022042384A (ja) 有機性排水の処理方法及び有機性排水の処理装置
CN113443713A (zh) 高氨氮污水深度脱氮处理装置和方法
JP2022042385A (ja) 有機性排水の処理方法及び有機性排水の処理装置
KR20110057882A (ko) 고농도 유기물 및 질소 함유 폐수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JPH05154496A (ja) 嫌気−好気活性汚泥処理装置の運転制御方法
KR100810960B1 (ko) 표준활성슬러지시설을 이용한 경제적인 질소, 인 제거장치
JP6822833B2 (ja) 排水処理システム及び排水処理方法
WO2022050025A1 (ja) 有機性排水の処理方法及び有機性排水の処理装置
KR102239139B1 (ko) 미생물의 비산소소비속도를 이용한 회분식 수처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회분식 수처리 장치
JPS5843290A (ja) 活性汚泥法による汚水処理装置の自動制御方法
JP2005349324A (ja) 高度下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7173901B2 (ja) 有機性排水の処理方法及び有機性排水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