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732B1 -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732B1
KR102200732B1 KR1020180161873A KR20180161873A KR102200732B1 KR 102200732 B1 KR102200732 B1 KR 102200732B1 KR 1020180161873 A KR1020180161873 A KR 1020180161873A KR 20180161873 A KR20180161873 A KR 20180161873A KR 102200732 B1 KR102200732 B1 KR 102200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lten metal
hole
coil springs
nozz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570A (ko
Inventor
방정진
김종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61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7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28Plates therefor
    • B22D41/34Supporting, fixing or center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28Plates therefor
    • B22D41/36Treating the plates, e.g. lubricating,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60Pouring-nozzl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 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는 용융금속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가지며, 하부면에 제1 홀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홀의 개폐를 제어하는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홀을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와, 제3 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접하는 면의 면압을 유지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과, 상기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에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이동라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 {METAL MELTS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본 발명은 용융금속을 저장하고, 저장된 용융금속을 주형이나 턴디쉬로 배출하기 위한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판과 같은 제품은 제선 공정, 제강 공정, 정련처리 공정, 주조 공정, 열연 공정, 냉연 공정 등 여러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제선 공정 및 제강 공정을 통해 형성된 용강은 용강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후 주조 공정을 위해 주형이나 턴디쉬 등 다른 장치로 배출된다.
용강과 같은 용융금속을 저장하기 위한 용융금속 저장 장치는 용융금속을 저장하는 본체와, 저장된 용융금속을 주형이나 턴디쉬 등으로 배출하기 위한 노즐을 포함한다.
본체 및 노즐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용융금속을 배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에 형성된 홀 및 노즐에 형성된 홀이 중첩되지 않는다. 반면, 용융금속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본체에 형성된 홀 및 노즐에 형성된 홀이 중첩된다.
노즐의 경우, 슬라이딩 작동되는 한 쌍의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는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간의 슬라이딩 면의 면압이 부여 및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각각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노즐은 고온과 과중량의 용융금속을 저장하는 본체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고, 용융금속 배출시 용융금속의 복사열에 노출되므로, 열 변형이 문제된다. 코일 스프링의 열 변형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간의 슬라이딩 면의 면압이 약해지면 플레이트들 간에 갭이 생길 수 있고, 갭을 통하여 용융금속이 누설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23589호 (2005.03.10.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융금속을 저장하고, 저장된 용융금속을 주형이나 턴디쉬로 배출하기 위한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에 있어서, 용융금속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체 하부에 배치되는 노즐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간의 면압을 유지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의 열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용융금속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는 본체 및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체는 용융금속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가지며, 하부면에 제1 홀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홀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때, 노즐 어셈블리는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복수의 코일 스프링 및 유체이동라인을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의 제1 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홀을 구비한다. 제2 플레이트는 제3 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접하는 면의 면압을 유지한다. 유체이동라인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에 유체를 분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유체이동라인은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과 각각 마주보는 복수의 출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는 제2 플레이트에 유체이동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이동라인의 출구가 복수의 코일 스프링과 마주보고 있어, 가스와 같은 유체가 복수의 코일 스프링에 직접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코일 스프링의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의 저장 공간으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체이동라인의 입구는 상기 가스 저장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니플(nipple)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유체이동라인의 입구는 상기 니플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이동라인은 상기 제2 플레이트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유체이동라인은 상기 제2 플레이트 하부면 및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는 면압 빔(Face Pressure Beam)이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 케이스와 상기 면압 빔이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는 제2 플레이트에 유체이동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이동라인의 출구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간의 면압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코일 스프링과 마주보고 있어, 유체가 복수의 코일 스프링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코일 스프링의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노즐 어셈블리의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간의 면압을 유지할 수 있어, 용융금속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노즐 어셈블리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로부터 용융금속이 주형이나 턴디쉬로 배출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노즐 어셈블리에서 코일 스프링의 배치 위치 및 결합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에서 노즐 어셈블리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치에서 가스가 복수의 코일 스프링에 분사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는 용융금속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저장된 용융금속을 주형이나 턴디쉬 등으로 배출하기 위해 본체(110)의 하부에 배치된 노즐 어셈블리(120)를 포함한다.
본체(110) 및 노즐 어셈블리(120) 각각에는 홀(도 2의 111, 112, 113)이 형성되어 있다. 용융금속을 배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110)에 형성된 홀(도 2의 111) 및 노즐 어셈블리(120)에 형성된 홀(도 2의 113)이 중첩되지 않는다. 반면, 용융금속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본체(110)에 형성된 홀(111) 및 노즐 어셈블리(120)에 형성된 홀(113)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홀들의 중첩 정도에 따라 배출되는 용융금속의 유량이 제어될 수 있다. 홀들의 중첩 정도를 제어하기 위해 노즐 어셈블리(120)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노즐 어셈블리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노즐 어셈블리(120)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되는 한 쌍의 제1 플레이트(121) 및 제2 플레이트(122)가 마련되어 있다. 제2 플레이트(122)는 제1 플레이트(121) 하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121)는 고정되어 있고, 제2 플레이트(122)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122)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유압 실린더(미도시)와 같은 구동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22)의 측면에는 유압 실린더와 결합될 수 있는 연결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플레이트(121) 및 제2 플레이트(122)는 각각 플레이트 자체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제1 플레이트와 제1 플레이트가 장착된 프레임, 제2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장착된 프레임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체에는 제1 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 어셈블리의 제1 플레이트(121)에는 제1 홀(111)로부터 연장되는 제2 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 어셈블리의 제2 플레이트(122)에는 제3 홀(113)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 어셈블리는 본체의 제1 홀의 개폐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제3 홀(113)의 위치에 따라 제1 홀의 개폐 여부 및 개폐 정도가 조절된다.
도 1에서는 본체(110)에 형성된 제1 홀 및 노즐 어셈블리(120)에 형성된 제2 홀 및 제3 홀이 중첩되어 용융금속이 배출될 수 있는 예를 나타내었다. 반면, 도 2에서는 제2 플레이트(122)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본체(110)의 제1 홀(111)과 노즐 어셈블리(120)의 제3 홀(113)이 중첩되지 않아 용융금속이 배출되지 않는 예를 나타내었다.
도 3은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로부터 용융금속이 주형이나 턴디쉬로 배출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10)에 형성된 홀 및 노즐 어셈블리(120)에 형성된 홀이 중첩되어 본체(110)에 저장된 용융금속(101)이 주형이나 턴디쉬(210)으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플레이트(121) 및 제2 플레이트(122)가 상호 접하는 슬라이딩 면(123)에 일정한 면압을 부여하기 위해 코일 스프링이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일 스프링은 제2 플레이트(122)의 양 측면에 각각 복수개 배치된다. 이는 이하의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노즐 어셈블리에서 코일 스프링의 배치 위치 및 결합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코일 스프링(309)는 제1 플레이트(12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플레이트(121)가 장착되는 제1 프레임(304))와 제2 플레이트(122)(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플레이트(122)가 장착되는 제2 프레임(305)에 각각 결합된다.
제2 프레임(305)의 양 측면에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309)을 수용하는 스프링 케이스(307)가 결합된다. 제1 프레임(304)의 양 측면에는 면압 빔(Face Pressure Beam)(306)이 배치된다. 스프링 케이스(307)는 면압 빔(306)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309)의 상부에는 스프링 푸셔(spring pusher)(308)가 결합되고, 스프링 푸셔(308)와 면압 빔(306)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압 빔(306)이 고정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를 작동시켜 제2 프레임(305)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면압 빔(306)과 스프링 푸셔(308)가 결합되어, 코일 스프링(309)의 외향 탄성력에 의하여 제1 프레임(304)에 장착된 제1 플레이트가 제2 프레임에 장착된 제2 플레이트 쪽으로 가압되면서 면압이 발생 및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노즐 어셈블리(120)는 고온과 과중량의 용융금속(101)을 저장하는 본체(110)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고, 또한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용융금속 배출시 용융금속의 복사열(201)에 의해 열 변형에 대한 부하를 직접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받는다. 만약 코일 스프링의 열 변형에 의해 제1 플레이트(121) 및 제2 플레이트(122)가 상호 접하는 슬라이딩 면(123)의 면압이 약해지면 제1 플레이트(121)와 제2 플레이트(122) 사이에 갭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갭을 통하여 용융금속이 누설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코일 스프링의 온도 제어를 위해 노즐 어셈블리에 유체이동라인이 포함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에서 노즐 어셈블리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치에서 가스가 복수의 코일 스프링에 분사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체이동라인(310)은 제2 플레이트(122)(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제2 프레임(305))에 형성된다.
유체이동라인(310)은 복수의 코일 스프링에 유체를 분사하여, 복수의 코일 스프링 각각의 온도를 낮춘다. 이를 위해 유체이동라인(310)은 복수의 코일 스프링(309)과 각각 마주보는 복수의 출구(312)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유체이동라인(310)의 출구(312)가 복수의 코일 스프링(309) 측면과 마주보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유체이동라인(310)의 출구(312)가 복수의 코일 스프링(309)의 다른 면과 마주볼 수 있다.
유체이동라인(310)은 하나의 입구에서 시작하여 복수의 라인으로 분기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코일 스프링(309)과 각각 마주보는 복수의 출구(312)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는 코일 스프링(309)이 제2 프레임(305)의 양 측면에 각각 4개씩 총 8개가 배치되고, 유체이동라인(310)의 출구(312) 역시 총 8개가 배치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체이동라인(310)에는 불활성 가스와 같은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유체이동라인(310)을 통해 복수의 코일 스프링(309)에 가스가 공급되면서 복수의 코일 스프링(309)은 냉각될 수 있다.
한편, 용융금속의 교반 또는 정련을 위하여 본체(도 1의 110)의 저장 공간으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저장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이동라인(310)의 입구는 가스 저장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체이동라인(310)의 입구는 별도의 가스 저장부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2 플레이트(122)의 일측면에는 니플(nipple)(311)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유체이동라인(310)의 입구는 니플(311)에 연결될 수 있다. 니플(311)의 타단은 배관과 결합되어 가스 저장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유체이동라인(310)의 입구는 니플(311)을 통하여 가스 저장부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유체이동라인(310)은 상기 제2 플레이트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체이동라인은 별도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제2 플레이트 하부면 및 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유체이동라인을 통해 가스가 복수의 스프링으로 분사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체는 냉각수가 될 수 있고, 유체이동라인을 통해 냉각수가 복수의 스프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작동의 예는 다음과 같다.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의 본체(110) 내에서 정련 처리가 완료된 후, 용융금속의 배출 준비를 위해 노즐 어셈블리(120)의 제2 플레이트(122)에 설치된 연결부(124)에 유압 실린더가 연결된다.
이때, 가스 저장부와 제2 플레이트(122)에 형성된 유체이동라인(310)의 입구를 연결하게 되면, 제2 플레이트(122)에 형성된 유체이동라인(310)을 통해 복수의 코일 스프링(309)에 가스가 공급되게 된다.
노즐 어셈블리(120)의 제2 플레이트(122)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본체(110)의 제1 홀(111)과 제2 플레이트(122)의 제3 홀(113)이 중첩되면,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 내의 용융금속이 제1 홀(111), 제2 홀(112) 및 제3 홀(113)을 통해 배출되어 주형 또는 턴디쉬(210)에 주입된다.
이때 본 발명의 경우, 고온 고중량의 용융금속이 주형 또는 턴디쉬(210)에 주입되면서 노즐 어셈블리(120)에 고압력과 고열이 발생되더라도 제2 플레이트(122)에 형성된 유체이동라인(310)을 통해 취입되는 가스에 의해 코일 스프링(309)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어 장력 등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플레이트(121)와 제2 플레이트(122) 간의 슬라이딩 면의 면압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309)의 열 변형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용융금속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10 : 본체 111 : 제1 홀
112 : 제2 홀 113 : 제3 홀
120 : 노즐 어셈블리 121 : 제1 플레이트
122 : 제2 플레이트 123 : 슬라이딩 면
124 : 유압실린더 연결부 210 : 주형 또는 턴디쉬
304 : 제1 프레임 305 : 제2 프레임
306 : 면압 빔 307 : 스프링 케이스
308 : 스프링 푸셔 309 : 코일 스프링
310 : 유체이동라인 311 : 니플

Claims (6)

  1. 용융금속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가지며, 하부면에 제1 홀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저장 공간으로 교반 또는 정련을 위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저장부; 및
    상기 본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홀의 개폐를 제어하는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홀로부터 연장되는 제2 홀을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와,
    제3 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접하는 면의 면압을 유지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과,
    상기 제2 플레이트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에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이동라인를 포함하며,
    유체가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에 직접 분사되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상기 유체이동라인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과 각각 마주보는 복수의 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니플(nipple)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유체이동라인의 입구는 상기 니플을 통하여 상기 가스 저장부와 연결되는,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는 면압 빔(Face Pressure Beam)이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 케이스와 상기 면압 빔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
  6. 삭제
KR1020180161873A 2018-12-14 2018-12-14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 KR102200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873A KR102200732B1 (ko) 2018-12-14 2018-12-14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873A KR102200732B1 (ko) 2018-12-14 2018-12-14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570A KR20200073570A (ko) 2020-06-24
KR102200732B1 true KR102200732B1 (ko) 2021-01-08

Family

ID=7140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873A KR102200732B1 (ko) 2018-12-14 2018-12-14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73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070A (ja) * 1985-08-29 1987-03-04 Nippon Steel Corp シ−ル機構を持つたスライデイングノズル装置
JPH06154975A (ja) * 1992-11-26 1994-06-03 Kurosaki Refract Co Ltd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装置における摺動プレートのメタルバンド冷却機構および同メタルバンドの冷却方法
KR20050023589A (ko) 2003-08-28 2005-03-10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의 슬라이딩 노즐구용 필러
US8960508B2 (en) * 2008-05-16 2015-02-24 Krosaki Harima Corporation Sliding nozz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570A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732B1 (ko)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
US6051822A (en) Method of operating an inductor
EP0577834A1 (en) Plate brick cartridge for slide valve device and slide valve device using the cartridge
KR101172900B1 (ko) 전로 고온공기 분사장치
KR101202704B1 (ko) 예열구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턴디쉬 커버
KR102307684B1 (ko)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US20230311200A1 (en) Apparatus for creating at least one metal component and method therefor
KR100953811B1 (ko) 냉온수기용 안전코크
KR102171771B1 (ko) 주조 장치, 그 예열 방법 및 주조 방법
KR102528981B1 (ko) 가열장치 및 가열방법
KR20180073196A (ko) 레이들의 휠러 막힘 방지 장치
JP2007061880A (ja) 射出成形装置
KR101842166B1 (ko) 도금조용 커버장치
US6226314B1 (en) Assembly of a tapping device and a cooled inductor
KR20180057416A (ko) 슬라이드 게이트의 면압풀림 방지장치
KR101451315B1 (ko) 다이캐스팅 금형용 냉각라인 어셈블리
KR101522094B1 (ko) 중심 유지 기능을 갖는 스토퍼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장치
KR20030081692A (ko) 저압 주조용 냉각장치
KR102115890B1 (ko)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
KR102135755B1 (ko) 저장 장치 및 투입 방법
KR100546730B1 (ko) 연속 금속 장입 주조 방법 및 장치
KR20170064828A (ko) 비상 안전 잠금기능을 구비한 래들의 슬라이드게이트 작동장치
KR102010075B1 (ko) 래들 슬라이딩 게이트 제어 방법
KR100337436B1 (ko) 용강주입기의 슬라이드 게이트 냉각장치
KR20030022997A (ko) 턴디쉬 잔탕 냉각용 냉각수 자동 분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