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704B1 - 예열구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턴디쉬 커버 - Google Patents

예열구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턴디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704B1
KR101202704B1 KR20100109927A KR20100109927A KR101202704B1 KR 101202704 B1 KR101202704 B1 KR 101202704B1 KR 20100109927 A KR20100109927 A KR 20100109927A KR 20100109927 A KR20100109927 A KR 20100109927A KR 101202704 B1 KR101202704 B1 KR 101202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dish
preheating
tube
inner passag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0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338A (ko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0010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704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70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열구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턴디쉬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턴디쉬 커버에 구비된 예열구가 예열시에는 개방되고, 연속주조작업시에는 폐쇄되도록 하는 개폐장치 및 턴디쉬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턴디쉬 커버에 형성된 예열구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예열구에 삽입설치되며, 상하로 관통하는 내부를 갖는 고정관; 고정관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하로 형성된 내부통로가 구비되고,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부통로가 개통 또는 단절되는 이동관; 이동관 외벽 상측에 돌출형성되는 스토퍼; 스토퍼의 일측과 턴디쉬 커버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관을 탄력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온의 복사열을 차단하여 가열버너를 보호함으로써, 가열버너 손상에 따른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열버너에서 방사되는 화염의 방향을 조정하여 턴디쉬 및 턴디쉬 내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예열할 수 있다. 또한 예열 과정이 끝난 후 예열구를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턴디쉬 내부의 온도 하락을 방지함으로써, 용강이 냉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예열구를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턴디쉬 내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턴디쉬 내에 저장된 용강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용강 냉각에 의해 침지노즐의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리비용 및 시간이 절감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예열구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턴디쉬 커버{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HOLE FOR PREHEATING TUNDISH AND TUNDISH COV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예열구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턴디쉬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턴디쉬 커버에 구비된 예열구가 예열시에는 개방되고, 연속주조작업시에는 폐쇄되도록 하는 개폐장치 및 턴디쉬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턴디쉬(tundish)는 래들에 저장된 용강을 수용하여 개재물의 분리 부상 및 용강의 온도를 보존하며 주형으로 용강을 공급하여 연속 주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용기를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디쉬(30)에는 용강이 저장되며, 턴디쉬(30) 상부를 덮는 턴디쉬 커버(10)가 구비된다. 턴디쉬(30)는 연속 주조 공정에서 1450 ℃ 이상의 고온인 용강을 저장하는데, 연속 주조 작업에 앞서 수분제거, 잔류 공기 배출, 용강의 냉각 방지 및 내화물의 열적 스폴링(spalling) 방지 등을 위하여 턴디쉬(30)를 일정 온도(1200 ~ 1300 ℃)로 예열한다. 이 때,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디쉬 커버(10)에 마련된 예열구(20)을 통하여 가열버너(40)의 화염이 턴디쉬(30) 내부로 분사되도록 한다.
그런데 예열 작업시에 발생하는 고온의 복사열이 가열버너(40)의 분사노즐에 다시 전달되어 분사노즐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예열구(20)의 직경(약 300 mm)이 크기 때문에 가열버너(40)의 화염 중 일부가 기온차에 의해 예열구(20)를 통하여 손쉽게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필요한 예열온도를 확보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시키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예열 작업 완료 후 주조를 위해 턴디쉬(30)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턴디쉬(30) 내부의 열이 예열구를 통해 급속하게 유출되어 용강의 온도가 저하되었고, 이로 인해 턴디쉬(30)로부터 몰드(미도시)로 용강을 이송하는 침지노즐(31)이 막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예열구(20)를 통한 열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예열구(20)의 상부에 1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방열커버(미도시)를 덮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나, 그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용강으로부터의 고열로 인해 방열커버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온재를 예열구(20)를 통하여 투입시키기도 하였으나, 투입되는 보온재(11)의 양이 과다해지며 환경오염이 문제되었다. 그리고 예열구(20)를 통해 외부 공기가 다량으로 유입되어(도 1의 (b) 참조) 용강의 표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용강의 산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고온의 복사열을 차단하여 가열버너를 보호할 수 있는 예열구 개폐장치 및 턴디쉬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열버너에서 방사되는 화염의 방향을 조정하여 턴디쉬 및 턴디쉬 내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예열할 수 있는 예열구 개폐장치 및 턴디쉬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열 과정이 끝난 후 예열구를 효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턴디쉬 내부 온도 및 용강의 온도의 하락을 방지할 수 있는 예열구 개폐장치 및 턴디쉬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예열 과정이 끝난 후 예열구를 효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턴디쉬 내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고 용강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예열구 개폐장치 및 턴디쉬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턴디쉬 커버에 형성된 예열구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예열구에 삽입설치되며, 상하로 관통하는 내부를 갖는 고정관; 고정관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하로 형성된 내부통로가 구비되고,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부통로가 개통 또는 단절되는 이동관; 이동관 외벽 상측에 돌출형성되는 스토퍼; 스토퍼의 일측과 턴디쉬 커버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관을 탄력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관의 내부통로는 상측 단부가 개방되고, 하측 단부가 폐쇄되며, 하측 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염배출구를 구비하며, 이동관이 이동하여 화염배출구가 고정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내부통로가 개통되고, 이동관이 이동하여 화염배출구가 고정관 내부로 은폐되는 경우에는 내부통로가 단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예열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스토퍼의 일측에는 탄성체의 인장 또는 압축 방향을 가이드하는 탄성체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예열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내부통로의 하측 단부에 돌출형성되어 내부통로를 화염배출구 방향으로 분기시키는 분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턴디쉬 커버는 턴디쉬의 상면을 덮는 턴디쉬 커버 본체; 턴디쉬 커버 본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예열구; 예열구에 삽입설치되며, 상하로 관통하는 내부를 갖는 고정관; 고정관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하로 형성된 내부통로가 구비되고,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부통로가 개통 또는 단절되는 이동관; 이동관 외벽 상측에 돌출형성되어 걸림턱을 구비하는 스토퍼; 스토퍼의 일측과 턴디쉬 커버 본체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관을 상측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턴디쉬 커버 본체 상면에는 탄성체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요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온의 복사열을 차단하여 가열버너를 보호함으로써, 가열버너 손상에 따른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열버너에서 방사되는 화염의 방향을 조정하여 턴디쉬 및 턴디쉬 내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예열할 수 있다.
또한 예열 과정이 끝난 후 예열구를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턴디쉬 내부의 온도 하락을 방지함으로써, 용강이 냉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예열구를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턴디쉬 내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턴디쉬 내에 저장된 용강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용강 냉각에 의해 침지노즐의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리비용 및 시간이 절감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예열구를 갖는 턴디쉬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a)는 예열과정을, (b)는 주조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열구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열구 개폐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열구 개폐장치 및 턴디쉬 커버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예열구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턴디쉬 커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열구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열구 개폐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턴디쉬 커버(10)에 형성된 예열구(20)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예열구에 삽입설치되며, 상하로 관통하는 내부를 갖는 고정관(100); 고정관(100)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하 이동에 의해 상하로 형성된 내부통로(210)가 개통 또는 단절되는 이동관(200); 이동관(200) 외벽 상측에 돌출형성되는 스토퍼(300); 스토퍼(300)의 일측과 턴디쉬 커버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관(200)을 탄력지지하는 탄성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강을 담는 용기인 턴디쉬(30)의 상부를 덮어 턴디쉬(30) 내부를 보온하기 위한 턴디쉬 커버(10)에는 턴디쉬(30)를 예열하기 위해 마련된 예열구(20)가 있다.턴디쉬 커버(10)에 마련된 예열구(20)를 통하여 가열버너(40)의 화염이 턴디쉬(30) 내부로 분사되도록 한다.
고정관(100)은 예열구(20)에 삽입설치되어 이동관(20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치로서, 상하로 관통하는 내부를 갖는다. 즉, 고정관(1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단면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 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예시한다. 고정관(100) 내부에는 이동관(200)이 삽입되며, 고정관(100) 내부는 이동관(200)이 상하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동관(200)은 가열버너(40)의 화염을 턴디쉬(30) 내부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고정관(100) 내부에 삽입설치되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관(200)은 상하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통로(210)를 갖는데, 내부통로(210)를 통해 가열버너(40)의 화염 및 열기가 턴디쉬(30) 내부로 전달된다. 이동관(200)의 단면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 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이동관(200)이 고정관(100) 내부에 삽입되므로 이동관(200)의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관(100)과 같이 원형의 파이프 형상을 예시한다. 이동관(200)은 탄성체(400)에 의해 상측으로 탄력지지되어 있는데,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체(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상승하여 되돌아 온다. 이동관(200)이 고정관(100)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이동관(200)의 내부통로(210)가 개통 또는 단절, 즉 내부통로(210)를 통해 화염이 전달되거나 차단된다.
이동관(200)의 내부통로(210)는 상측 단부(211)가 개방되고 하측 단부(212)가 폐쇄된 형태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염배출구(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예열 작업을 하기 위해 개방된 상측 단부(211)에 가열버너(40)의 버너노즐(41)이 밀착배치시키면, 가열버너(40)의 하중이 이동관(200)으로 전달되어 이동관(200)을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동관(200)이 고정관(100)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배출구(220)가 고정관(100) 외부로 노출되어 내부통로(210)가 개통된다. 개방된 상측 단부(211)에는 가열버너(40)의 버너노즐(41)이 배치되어 내부통로(210)로 화염을 방사한다. 이동관(200)이 하부로 이동하여 화염배출구(220)가 고정관(100) 외부로 노출되고 내부통로(210)가 개통되는 경우, 방사된 화염은 내부통로(210)를 통해 폐쇄된 하측 단부(212) 방향으로 향하다가 측벽에 형성된 화염배출구(220)를 통해 하향경사지게 나가게 되어 턴디쉬(30) 내부로 화염이 전달된다. 예열 작업이 종료되어 가열버너(40)를 상측 단부(211)에서 이격시키고 이동관(200)이 탄성체(400)에 의해 고정관(100)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배출구(220)가 고정관(100) 내부로 은폐되어 내부통로(210)가 단절된다. 이동관(200)의 이동에 따른 내부통로(210)의 개통 또는 단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화염배출구(220)는 측벽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2개가 대향하여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 내부통로(210)의 하측 단부(212)에는 내부통로(210)를 화염배출구(220) 방향으로 분기시키기 위한 분산부(23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내부통로(210)에 방사된 화염은 하측 단부(212)를 향하다가 하측 단부(212)에 돌출형성된 분산부(230)에 의해 측벽에 형성된 화염배출구(220)로 향하게 된다.
스토퍼(300)는 이동관(200)이 고정관(100) 내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할 때, 이동관(200)이 일정 범위 이상 하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장치이다. 스토퍼(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관(200)의 외벽 상측에 돌출형성되어 걸림턱(310)을 구비한다. 이동관(200)은 하방으로 이동하다가 걸림턱(310)이 고정관(100)의 끝단에 걸리면서 이동을 멈춘다(도 2 (b) 참조). 본 실시예에서의 스토퍼(300)는 이동관(200) 외벽 상측을 따라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벽 상측에 돌출형성되어 이동관(200)을 일정 구간이상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게 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탄성체(400)는 스토퍼(300)의 일측과 턴디쉬 커버(10)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관(200)을 상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장치로서, 하부로 이동한 이동관(200)을 상부로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개방된 상측 단부(211)에 가열버너(40)의 버너노즐(41)을 밀착배치하여 가열버너(40)의 하중이 이동관(200)으로 전달되면, 이동관(200)은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측으로 탄력지지하던 탄성체(400)는 압축된다. 그리고 예열작업이 끝나고 가열버너(40)를 이격시키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체(400)가 원래대로 인장되고, 이동관(200)은 처음의 위치, 즉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탄성체(400)는 탄성복원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으로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체(400)가 2개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적어도 1 개 이상이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00) 일측에 형성되어 탄성체(400)를 지지하는 탄성체 지지부(3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탄성체 지지부(330)와 턴디쉬 커버(10) 상면 사이에 탄성체(40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체 지지부(330)를 스토퍼(300) 일측에 형성된 막대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않고, 탄성체(400)의 일단을 스토퍼(3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탄성체 가이드(320)는 스토퍼(300) 일측, 구체적으로는 탄성체 지지부(330) 일측에 형성되어 탄성체(400)의 인장 또는 압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체(400)는 탄성체 가이드(320)를 따라 인장 또는 압축을 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400)가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탄성체 가이드(320)는 코일 스프링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턴디쉬 커버는 턴디쉬의 상면을 덮는 턴디쉬 커버 본체(10a); 턴디쉬 커버 본체(10a)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예열구(20); 예열구(20)에 삽입설치되며, 상하로 관통하는 내부를 갖는 고정관(100); 고정관(100)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하로 형성된 내부통로(210)가 구비되고,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부통로(210)가 개통 또는 단절되는 이동관(200); 이동관(200) 외벽 상측에 돌출형성되어 걸림턱(310)을 구비하는 스토퍼(300); 스토퍼(300)의 일측과 턴디쉬 커버 본체(10a)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탄력지지되는 탄성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턴디쉬 커버의 각 구성요소들의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디쉬 커버 본체(10a) 상면에는 탄성체(4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요홈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400)의 일부가 요홈부(15)에 삽입되어 보다 견고하게 턴디쉬 커버 본체(10a)에 지지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예열구 개폐장치 및 턴디쉬 커버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열구 개폐장치 및 턴디쉬 커버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예열 작업을 하기 전, (b)는 예열 작업 중, (c)는 연속 주조 작업 중을 나타낸다.
예열 작업을 하기 전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관(200)이 탄성체(400)에 의해 상측으로 탄력지지되어 있으며, 이 때에는 이동관(200) 하단 측벽에 구비된 화염배출구(220)가 고정관(100) 내부에 은폐되어 있다.
예열 작업을 위해 가열버너(40)를 이동관(200)의 상측 단부(211)로 밀착시키면, 가열버너(40)의 하중에 의해 탄성체(400)가 압축되면서 이동관(200)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동관(200)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이동관(200) 하단 측벽에 구비된 화염배출구(220)가 고정관(100) 외부로 노출되어 화염배출구(220)가 개방된다. 가열버너(40)를 가동하여 화염이 방사되면 화염과 열기가 내부통로(210)를 통해 이동관(200) 하단으로 전달된다. 하측 단부(212) 폐쇄되어 있으므로, 방사된 화염과 열기는 하측 측벽에 형성된 화염 배출구(220)로 통해 턴디쉬(30) 내부로 전달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하측 단부(212)와 하측 단부(212)에 돌출 형성된 분산부(230)에 의해 화염 및 열기는 직하방으로 전달되지 않고 하향경사지도록 전달된다. 이로 인해 턴디쉬(30) 및 턴디쉬(30) 내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예열할 수 있다.
턴디쉬를 원하는 온도까지 예열한 후, 가열버너(40)를 이동관(200)의 상측 단부(211)에서 이격시킨다. 가열버너(40)에 의한 하중이 제거되면서, 압축되어 있던 탄성체(400)가 탄성 복원을 하여 하방으로 이동했던 이동관(200)이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온다. 이 때에는 이동관(200) 하단 측벽에 구비된 화염배출구(220)가 고정관(100) 내부로 은폐되면서 내부통로(210)가 턴디쉬(30) 내부와 단절된다.
이후 연속 주조 공정에서 쉬라우드 노즐(미도시)를 통해 래들의 용강이 턴디쉬(30) 내로 공급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염배출구(220)가 고정관(100) 내부로 은폐되면서 내부통로(210)가 턴디쉬(30) 내부와 단절됐기 때문에, 턴디쉬(30)에 수용된 용강의 열이 예열구(20)를 통해 빠져나가지 않고, 턴디쉬 내부의 온도 하락을 방지함으로써 용강이 냉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기가 예열구(20)를 통해 턴디쉬(30)로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예열구를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턴디쉬 내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턴디쉬 내에 저장된 용강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 : 턴디쉬 커버 15 : 요홈부
20 : 예열구 30 : 턴디쉬
40 : 가열버너 41 : 버너노즐
100 : 고정관 200 : 이동관
210 : 내부통로 220 : 화염배출구
300 : 스토퍼 310 : 걸림턱
320 : 탄성체 가이드 330 : 탄성체 지지부
400 : 탄성체

Claims (6)

  1. 턴디쉬 커버에 형성된 예열구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상기 예열구에 삽입설치되며, 상하로 관통하는 내부를 갖는 고정관;
    상기 고정관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하로 형성된 내부통로가 구비되고,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부통로가 개통 또는 단절되는 이동관;
    상기 이동관 외벽 상측에 돌출형성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일측과 턴디쉬 커버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관을 탄력지지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관의 내부통로는
    상측 단부가 개방되고, 하측 단부가 폐쇄되며, 하측 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염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관이 이동하여 상기 화염배출구가 고정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내부통로가 개통되고, 상기 이동관이 이동하여 상기 화염배출구가 고정관 내부로 은폐되는 경우에는 내부통로가 단절되는 예열구 개폐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는 탄성체의 인장 또는 압축 방향을 가이드하는 탄성체 가이드가 형성되는 예열구 개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통로의 하측 단부에 돌출형성되어 내부통로를 화염배출구 방향으로 분기시키는 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예열구 개폐장치.
  5. 턴디쉬의 상면을 덮는 턴디쉬 커버 본체;
    상기 턴디쉬 커버 본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예열구;
    상기 예열구에 삽입설치되며, 상하로 관통하는 내부를 갖는 고정관;
    상기 고정관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하로 형성된 내부통로가 구비되고,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부통로가 개통 또는 단절되는 이동관;
    상기 이동관 외벽 상측에 돌출형성되어 걸림턱을 구비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일측과 턴디쉬 커버 본체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관을 상측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관의 내부통로는
    상측 단부가 개방되고, 하측 단부가 폐쇄되며, 하측 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염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관이 이동하여 상기 화염배출구가 고정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내부통로가 개통되고, 상기 이동관이 이동하여 상기 화염배출구가 고정관 내부로 은폐되는 경우에는 내부통로가 단절되는 턴디쉬 커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 커버 본체 상면에는 탄성체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요홈부가 형성되는 턴디쉬 커버.
KR20100109927A 2010-11-05 2010-11-05 예열구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턴디쉬 커버 KR101202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9927A KR101202704B1 (ko) 2010-11-05 2010-11-05 예열구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턴디쉬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9927A KR101202704B1 (ko) 2010-11-05 2010-11-05 예열구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턴디쉬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338A KR20120048338A (ko) 2012-05-15
KR101202704B1 true KR101202704B1 (ko) 2012-11-19

Family

ID=4626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09927A KR101202704B1 (ko) 2010-11-05 2010-11-05 예열구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턴디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904B1 (ko) * 2014-01-27 2015-07-15 현대제철 주식회사 래들 가열기용 커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771B1 (ko) 2016-12-21 2018-12-11 주식회사 포스코 커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904B1 (ko) * 2014-01-27 2015-07-15 현대제철 주식회사 래들 가열기용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338A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704B1 (ko) 예열구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턴디쉬 커버
RU2524035C2 (ru) Опорная головка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трубы ковша для разливки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US8002155B2 (en) Slide valve device for automatic surface pressure application
KR101082717B1 (ko)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KR100520243B1 (ko) 용융금속용기용슬라이딩게이트밸브
US20110193017A1 (en) Autoclave reactor heating assembly and methods
KR101208692B1 (ko) 다각 밸브핀이 구비된 핫 런너 시스템
KR101574420B1 (ko) 핫러너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KR20140046058A (ko) 금속용탕 여과장치
KR101551288B1 (ko) 래들 건조장치
JP2009168528A (ja) コンクリート試験体載荷加熱装置
KR101249052B1 (ko) 연속주조설비 침지노즐 예열 장치
KR101610242B1 (ko) 용기 예열 장치
KR101024588B1 (ko) 침지노즐용 예열장치
KR102200732B1 (ko) 용융금속 저장 및 배출 장치
KR101927771B1 (ko) 커버장치
US20180292134A1 (en) Hybrid metal melting furnace
KR102528981B1 (ko) 가열장치 및 가열방법
KR20130056423A (ko) 캔 미사용 석션 오븐장치
KR101714017B1 (ko) 질소가스히터
KR20060118786A (ko) 침지노즐 예열장치
KR20170090281A (ko) 침지노즐 예열용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침지노즐 예열방법
KR101148908B1 (ko) 자유팽창지수 측정장치
KR101917299B1 (ko) 슬라이드 게이트의 면압풀림 방지장치
JP6218487B2 (ja) トリベ予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