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513B1 - 사출 성형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513B1
KR102200513B1 KR1020200031984A KR20200031984A KR102200513B1 KR 102200513 B1 KR102200513 B1 KR 102200513B1 KR 1020200031984 A KR1020200031984 A KR 1020200031984A KR 20200031984 A KR20200031984 A KR 20200031984A KR 102200513 B1 KR102200513 B1 KR 102200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injection molding
plate uni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남
Original Assignee
정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남 filed Critical 정경남
Priority to KR102020003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9Handling of moulded articles or runners, e.g. sorting, stacking, grinding of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207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6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using fluid at high pressure supplied from an independent source to provide a cushion between load and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9Handling of moulded articles or runners, e.g. sorting, stacking, grinding of runners
    • B29C2045/177Handling of moulded articles or runners, e.g. sorting, stacking, grinding of runners stack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출 성형 시스템이 개시되며, 상기 사출 성형 시스템은, 재료를 성형해 성형품을 제조하는 사출 성형기; 상기 사출 성형기에서 제조되는 성형품이 적재되는 적재부; 및 상기 성형품을 상기 사출 성형기로부터 상기 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면에 상기 성형품이 적재되는 플레이트 유닛 및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하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볼 캐스터를 포함하는 이송 구조체; 및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하측에 구비되는 공중 부양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공중 부양 구조체는, 하측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양력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사출 성형 시스템{INJECTION MOLDING SYSTEM}
본원은 사출 성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 통신 장비, 자동차 등의 소형 부품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자동차 제조에 적용되는 버튼, 다이얼 등의 소형 부품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소형 부품은 성형된 후 인력에 의해 이동되었는데,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193191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율적으로 성형품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출 성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은, 재료를 성형해 성형품을 제조하는 사출 성형기; 상기 사출 성형기에서 제조되는 성형품이 적재되는 적재부; 및 상기 성형품을 상기 사출 성형기로부터 상기 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면에 상기 성형품이 적재되는 플레이트 유닛 및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하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볼 캐스터를 포함하는 이송 구조체; 및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하측에 구비되는 공중 부양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공중 부양 구조체는, 하측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중앙부는 상기 성형품이 적재되는 성형품 적재 영역일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테두리부의 하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볼 캐스터 및 상기 공중 부양 구조체가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중앙부는, 적재되는 상기 성형품이 냉각되도록, 상측의 열을 흡수하여 하측으로 발산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송부가 사출 성형기로부터 적재부로 성형품을 이송할 수 있어, 이송부에 의한 성형품의 효율적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출 생산이 보다 효율적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의 플레이트 유닛의 성형품이 적재되는 중앙부가 상측의 열을 흡수하여 하측으로 발산하므로, 성형된 성형품의 잔열이 성형품의 적재부로의 이송 중에 냉각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의 이송부의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의 이송부의 개략적인 개념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의 이송부의 커버 및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공중 부양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의 보조 이송부의 트롤리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 개념도이다.
도 7은 레일에 장착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의 보조 이송부의 트롤리 구조체의 제1 휠부의 개략적인 측면 개념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의 보조 이송부의 트롤리 구조체의 제1 휠부의 개략적인 측면 개념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의 보조 이송부의 트롤리 구조체의 제1 휠부의 제1 휠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의 보조 이송부의 트롤리 구조체의 제1 휠부의 제2 휠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의 보조 이송부의 트롤리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면, 하측, 하면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10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하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전방, 전단, 전단부, 후방, 후단, 후단부, 상측, 상면, 하측, 하면, 일측, 일측부, 타측, 타측부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7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전단 또는 전단부,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후단,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하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일측,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부분이 일측부,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타측,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타측부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사출 성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이라 함)(10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0)은 재료를 성형해 성형품을 제조하는 사출 성형기(1)를 포함한다. 성형품은 버튼, 다이얼 등의 소형 부품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재료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사출 성형기(1)는 재료를 가열 가소화하는 실린더, 용해 제료로 성형품을 성형하는 금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출 성형기(1)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시스템(1000)은 적재부(2)를 포함한다. 적재부(2)에는 사출 성형기(1)에서 제조되는 성형품이 적재된다.
또한, 본 시스템(1000)은 성형품을 사출 성형기(1)로부터 적재부(2)로 이송하는 이송부(6a)를 포함한다. 참고로, 이송부(6a) 및 후술하는 보조 이송부(6b))에 대한 성형품의 거치 및 제거는 별도의 장치 또는 인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송부(6a)는 성형품을 바닥(본 시스템이 형성 또는 배치되는 곳의 바닥) 상에서 이송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송부(6a)는, 상면에 성형품이 적재되는 플레이트 유닛(611), 플레이트 유닛(611)의 하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볼 캐스터(612)를 포함하는 이송 구조체(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이송부(6a)는 플레이트 유닛(611)의 하측에 구비되는 공중 부양 구조체(62)를 포함한다.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볼 캐스터(612)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공기를 배출하여 양력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하측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 양력이 이송 구조체(61)의 하중 보다 크면 이송 구조체(61)는 부양될 수 있다. 이를 테면, 볼 캐스터(612)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부양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미리 설정된 개수의 성형품이 적재되는 이송 구조체(61)의 하중보다 큰 양력, 다시 말해, 미리 설정된 개수의 성형품을 공중 부양을 통해 이송할 수 있는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참고로, 이송 구조체(61)의 하중은 이송 구조체(61)의 하중뿐만 아니라, 이송 구조체(61)에 무언가(이를 테면, 성형품)가 적재될 경우, 적재되는 대상의 하중까지 모두 고려한 개념일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 유닛(611)의 중앙부(a)는 성형품이 적재되는 성형품 적재 영역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출 성형기(1)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은 플레이트 유닛(611)의 중앙부(성형품 적재 영역)에 적재될 수 있고, 이송부(6a)에 의해 적재부(2)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유닛(611)의 중앙부(a)는 플레이트 유닛(611)의 중앙부(a)에 적재되는 성형품이 냉각되도록 상측의 열을 흡수하여 하측으로 발산할 수 있다.
사출 성형기(1)에서 제조되는 성형품은 완전히 냉각된 상태가 아닐 수 있다. 이를 테면, 사출 성형기(1)에서 제조되는 성형품에는 잔열이 남아있을 수 있다. 플레이트 유닛(611)의 중앙부는 플레이트 유닛(611)의 중앙부의 상측으로부터 흡열함으로써 플레이트 유닛(611)의 중앙부 상에 적재되는 성형품의 온도가 낮아지게 할 수 있다(냉각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유닛(611)은 상측 플레이트(61111), 상측 플레이트(61111)와 겹쳐 배치되는 하측 플레이트(61113) 및 상측 플레이트(61111)의 적어도 일부와 하측 플레이트(61113)의 적어도 일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펠티어 효과에 따라 상측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하측으로 열을 발산하는 펠티어 소자(6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 플레이트(61111)는 펠티어 소자(61112)에 의해 흡열이 이루어지고, 하측 플레이트(61113)는 펠티어 소자(61112)에 발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펠티어 소자(133)는 펠티어 효과에 따라 종류의 도체를 결합하고 전류를 흐르도록 할 때, 한 쪽의 접점은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다른 쪽의 접점에서는 흡열하여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이용한 소자이다.
이에 따라, 펠티어 소자(61112)에 전력이 공급되면 상측부에서 열을 흡수하고 하측부에서 열을 발산할 수 있고, 상측 플레이트(61111)는 펠티어 소자(61112)의 상측부 상에 구비되어 펠티어 소자(61112)를 보호하며 펠티어 소자(61112)의 흡열을 용이하게 전달(펠티어 소자(61112)에 의한 열의 이동(흡열)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하측 플레이트(61113)는 펠티어 소자(61112)의 하측부 상에 구비되어 펠티어 소자(61112)를 보호하며 펠티어 소자(61112)의 발열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플레이트(61111) 및 하측 플레이트(61113)는 세라믹 재질로 구성된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펠티어 소자(611112)로부터 방출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고 볼 캐스트(612) 및 공중 부양 구조체(62)가 구비될 수 있는 소재라면 다양한 재질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상측 플레이트(61111)는 펠티어 소자(61112)에 의해 흡열이 이루어지고, 하측 플레이트부(61113)는 펠티어 소자(61112)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송 구조체(61)는 펠티어 소자(6111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플레이트 유닛(611)의 테두리부(b)의 상면 상 또는 테두리부(b)의 하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 유닛(611)의 테두리부(b)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볼 캐스터(612) 및 공중 부양 구조체(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공중 부양 구조체(62)에 의해 생성되는 양력이 이송 구조체(61)의 하중보다 크면 이송 구조체(61)는 부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이송 구조체(6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공중 부양 구조체(62)에 의한 양력이 이송 구조체(61)에 작용하는 하중보다 작으면 이송 구조체(61)는 부양하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작업자는 이송 구조체(61)를 볼 캐스터(612)의 구름 운동을 이용해 이동시킬 수 있다. 참고로, 공중 부양 구조체(62)의 양력은 이송 구조체(61) 자체의 하중 이상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플레이트 유닛(611)의 테두리부(b)의 하면 상에서 플레이트 유닛(611)의 중앙부(a)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양력 발생 통로부(6211, 6212, 6213)를 포함할 수 있다. 양력 발생 통로부는 공중 부양 구조체(62)의 외측면(상기 플레이트 유닛(611)의 대각선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기체 흡입구(6211), 공중 부양 구조체(62)의 하면에 형성되는 기체 배출구(6212) 및 기체 흡입구(6211)와 기체 배출구(6212)를 연통시키는 기체 이동 통로(6213)를 포함하는 양력 발생 통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체 흡입구(6211)에는 기체 흡입구(6211) 측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 흡입부가 구비되어 기체를 흡입할 수 있고, 흡입된 기체는 기체 이동 통로(6213)을 따라 이동하여 기체 배출구(6121)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기체 배출구(6212)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부양을 위한 양력이 형성될 수 있다. 공중 부양 구조체(62)의 양력에 의해 이송부(6a)는 부양되어 성형품을 이송할 수 있다. 참고로, 기체 흡입부는 기체를 기체 흡입구(6211) 측으로 빨아들이는 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플레이트 유닛(611)의 테두리부(b)에서 플레이트 유닛(6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둘러싸며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유닛(611)의 하측에서는 플레이트 유닛(6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지점(공중 부양 구조체(62)가 구비된 지점)에서 양력이 발생되어 이송부(6b)의 부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공중 부양 구조체(62)가 배출하는 기체에 의해 플레이트 유닛(611)의 하측에는 대류가 형성되어 플레이트 유닛(611)의 발열하는 하측 플레이트(61113)의 방열(냉각)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유닛(611)의 대각선 방향 내측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공중 부양 구조체(62)가 내측으로 배출하는 공기는 상측을 향해 배출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플레이트 유닛(611)의 중앙부(a)를 향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유닛(611)의 발열하는 하측 플레이트(61113)의 방열(냉각)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내측 기체 배출부(6215, 6216, 6217)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기체 배출부는 공중 부양 구조체(6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기체 흡입구(6211), 공중 부양 구조체(6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기체 배출구(6216) 및 기체 흡입구(6211)와 기체 배출구(6216)를 연통시키는 기체 이동 통로(62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체 흡입구(6215)에는 기체 흡입구(6215) 측으로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 흡입부가 구비되어 기체를 흡입할 수 있고, 흡입된 기체는 기체 이동 통로(6217)을 따라 이동하여 기체 배출구(6126)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참고로, 기체 흡입부는 기체를 기체 흡입구(6215) 측으로 빨아들이는 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 구조체(61)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볼 캐스터(612)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간격)가 증가하면 플레이트 유닛(6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이동되고,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면 위치 복원될 수 있다. 이송 구조체(61)는 이송 구조체(61)의 하중이 커질수록(양력 대비하여) 지면 사이와의 거리가 줄어들거나, 지면에 접촉하게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이송 구조체(61)의 양력을 통한 부양에 의해서는 이동이 불가능한 것이므로, 이송 구조체(61)의 하중이 커지는 경우에는 볼 캐스터(621)의 지면에 대한 구름 운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볼 캐스터(612)는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면, 양력이 이송 구조체(61)의 하중보다 커 이송 구조체(61)의 부양이 가능한 것이므로, 볼 캐스터(612)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더 증가되도록 상측으로 이동되고,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면, 이송 구조체(61)의 양력을 통한 부양에 의한 이동이 불가능한 것이므로, 구름 운동을 위해(구름 운동을 할 수 있음을 대비하여) 위치 복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구조체(61)는 부양된 상태로 성형품을 적재받을 수 있는데, 전술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성형품을 적재 받기까지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증가, 다시 말해, 복수 개의 성형품의 무게가 전술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성형품의 무게 초과 전까지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증가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개수의 성형품의 무게를 포함하는 이송 구조체(61)의 하중이 미리 설정된 하중 이하 값이면, 이송 구조체(61)는 공중 부양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송 구조체(61)는 부양된 상태로 성형품을 적재받을 수 있는데, 전술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성형품을 적재 받기까지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증가될 수 있으나, 지속적인 성형품의 적재로 인해, 미리 설정된 개수의 성형품의 무게를 포함하는 이송 구조체(61)의 하중이 미리 설정된 하중 초과가 되면,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감소될 수 있고, 볼 캐스터(612)는 구름 운동을 위해(구름 운동을 할 수 있음을 대비하여) 위치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면, 볼 캐스터(612)는 위치 복원될 수 있고, 볼 캐스터(612)가 위치 복원되면, 공중 부양 구조체(62)의 양력 발생 통로부는 오프(OFF)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 구조체(61)에 미리 설정된 개수의 성형품의 무게를 포함하는 이송 구조체(61)의 하중이 미리 설정된 하중 초과가 되면, 이송 구조체(61)는 볼 캐스터(612)의 구름 운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참고로, 이때도, 공중 부양 구조체(62)의 내측 기체 배출부는 하측 플레이트(61113)의 방열(냉각)을 위해 온(ON)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볼 캐스터(612)는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초과가 되면 상측으로 이동되고,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되면 위치 복원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크기는 이송 구조체(61)의 하중을 고려하여, 이송 구조체(61)의 하중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초과가 되면 이송 구조체(61)의 양력에 의한 부양을 통한 이동이 가능한 것이므로,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더 증가되도록 상측으로 이동되고, 볼 캐스터(612)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더 증가되도록 상측으로 이동(플레이트 유닛(6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이동)되고,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되면, 이송 구조체(61)의 양력에 의한 부양을 통한 이동이 불가능한 것이므로, 구름 운동을 할 수 있음을 대비하여 위치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6a)는 이송 구조체(61)의 이동력 및 방향 전환을 위한 이동력 제공부 및 방향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력 제공부는 평면 방향으로의 이송 구조체(61)의 이동(상술한 가공부 간의 이동을 위한 공장의 평면 방향으로의)을 위한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송부(6a)의 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성형품의 이송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볼 캐스터(612)가 바닥에 접촉되는 것이 줄어들어, 볼 캐스터(612)에 이물질이 끼는 것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볼 캐스터(612)의 수명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6a)는 인력에 의해 이동(평면 방향(상하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되거나, 방향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송부(6a)가 양력에 의해 부양되어 이송되면 작업자는 이송부(6a)를 이동시키는데 큰힘을 들이지 않을 수 있고, 볼 캐스터(612)가 바닥에 접촉되는 것이 줄어들어, 볼 캐스터(612)에 이물질이 끼는 것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성형품의 이송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고, 볼 캐스터(612)의 수명이 증가할 수 있다.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볼 캐스터(612)의 상하 방향 이동을 위해 이송 구조체는 볼 캐스터(612)를 플레이트 유닛(611)에 대해 상하 이동 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3을 참조하면, 이송부(6a)는 플레이트 유닛(61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공중 부양 구조체(62)의 양력 발생 통로부(6211, 6212, 6213)의 기체 배출구(621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열 전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열 전달 유닛은 J 형상 또는 L 형상일 수 있는데, 상단(일단)이 플레이트 유닛(611)의 하면과 연결되고, 타단이 양력 발생 통로부(6211, 6212, 6213)의 기체 배출구(621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열 전달부는 열 전도율이 높은 열 전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하는 플레이트 유닛(611)의 하면의 열은 열 전달 유닛의 일단에 전도될 수 있고, 전도된 열은 열 전달 유닛의 타단으로 전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체 배출구(6212)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는 열 전달 유닛의 타단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 배출구(6212)를 통해 배출되어 소정 이상 뜨거워진 기체는 운동성이 보다 활발해질 수 있고, 동시에, 플레이트 유닛(611)의 하면의 열은 열 전달 유닛으로 전도되어 기체 배출구(6212)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 유닛(611)의 하면의 냉각 효과가 보다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열 전달 유닛은 공중 부양 구조체(62) 각각에 일대일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열 전달 유닛이 플레이트 유닛(61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는 내측 기체 배출부의 기체 배출구(6216)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가 작용되므로, 플레이트 유닛(611)의 하면의 열은 열 전달 유닛으로 전도되어 기체 배출구(6216) 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 유닛(611)의 하면의 냉각 효과가 보다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6)는 성형품을 이송하는 보조 이송부(6b)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이송부(6b)는 성형품을 천정에 설치된 레일(9)을 따라 이송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이송부(6b)는 레일(9)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9)은 한 쌍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레일(9)은 H형 레일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측판(92), 하측판(91) 및 상측판(92)과 하측판(91)을 연결하는 웨브(9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판(91)의 웨브(9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 단부는 레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이송부(6b)는 레일(9)을 따라 이동되는 트롤리 구조체(8)를 포함할 수 있다.
트롤리 구조체(8)는 한 쌍의 레일(9) 각각에 구비되어 레일(9)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휠부(81)를 포함한다.
제1 휠부(81)는 하측판(91)의 양 단부를 따라 레일(9)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휠부(81)는 제1 휠 블록(81a) 및 제1 휠 블록(81a)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 휠 블록(8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휠 블록(81a)은, 제1 프레임부(81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811a)는, 제1 일측판(8111a), 제1 일측판(8111a)과 대향하는 제1 타측판(8112a), 제1 일측판(8111a)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와 제1 타측판(8112a)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제1 하측판(8113a) 및 제1 일측판(8111a) 및 제1 타측판(8112a) 각각의 전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지지판(8114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제1 휠 블록(81a)은 제1 바퀴부(8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퀴부(812a)는 레일(9)의 하측판(91)의 상면을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제1 일측판(8111a) 및 제1 타측판(8112a) 각각의 상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상측 주바퀴(8121a), 레일(9)의 하측판(91)의 하면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제1 일측판(8111a) 및 제1 타측판(8112a) 각각의 하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하측 주바퀴(8122a) 및 레일(9)의 웨브(93)를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제1 지지판(8114a) 상에 구비되는 제1 보조바퀴(8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휠 블록(81a)은 한 쌍의 제1 상측 주바퀴(8121a) 각각이 레일(9)의 하측판(91)의 일측부의 상면 및 타측부의 상면 각각을 따라 구름 운동하고, 한 쌍의 제1 하측 주바퀴(8122a) 각각이 각각이 레일(9)의 하측판(91)의 일측부의 하면 및 타측부의 하면 각각을 따라 구름 운동하며, 한 쌍의 제1 보조바퀴(8123a) 각각이 웨브(93)의 일면 및 타면 각각을 따라 구름 운동함으로써 레일(9)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도 7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제1 휠 블록(81a)은 제1 일측판(8111a) 및 제1 타측판(8112a) 각각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 (813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휠 블록(81a)은 제1 하측판(8113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하면 연장부(814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제2 휠 블록(81b)은 제2 프레임부(8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811b)는, 제2 일측판(8111b), 제2 일측판(8111b)과 대향하는 제2 타측판(8112b), 제2 일측판(8111b)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와 제2 타측판(8112b)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제2 하측판(8113b) 및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의 전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지지판(8114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제2 휠 블록(81a)은 제2 바퀴부(8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퀴부(812b)는 레일(9)의 하측판(91)의 상면을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의 상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상측 주바퀴(8121b), 레일(9)의 하측판(91)의 하면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의 하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하측 주바퀴(8122b) 및 레일(9)의 웨브(93)를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제2 지지판(8114b) 상에 구비되는 제2 보조바퀴(8123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제2 휠 블록(81a)의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하면이 제1 하면 연장부(814a)의 상면과 대향할 수 있다. 즉,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제2 하측판(8113b)와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맞물리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일측판(8111b)은 제1 일측판(8111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맞물리고, 제2 타측판(8112b)은 제1 타측판(8112b)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맞물릴 수 있다. 이를 테면, 도 3을 참조하면,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는 제1 측면 연장부(813a)가 안착되는 안착부(813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1 일측판(8111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제2 일측판(8111b)은 나사 결합 가능하고, 제1 타측판(8112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제2 타측판(8112b)은 나사 결합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사는 제1 타측판(8112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제2 타측판(8112b)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 타측판(8112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제2 타측판(8112b)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측면 연장부(813a) 각각과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은 겹치는 구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나사 결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형태(포개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나사는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겹치는 구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휠부(81)는 제1 휠 블록(81a)과 제2 휠 블록(81b) 사이에 구비되는 제3 휠 블록(81c)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7을 참조하면, 제3 휠 블록(81c)은 제3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레임부는, 제3 일측판(8111c), 제3 일측판(8111c)과 대향하는 제3 타측판 및 제3 일측판(8111c)의 하단과 제3 타측판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3 하측판(8113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휠 블록(81c)운 제3 바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퀴부는 레일의 상면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제3 일측판(8111c) 및 제3 타측판(8112c) 각각의 상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3 상측 주바퀴(8121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휠 블록(81c)은 제3 일측판(8111c) 및 제3 타측판 각각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측면 연장부(81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휠 블록(81c)은 제3 하측판(8113c)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하면 연장부(814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하측판(8113c)의 전단부는 하면이 제1 하면 연장부(814a)의 상면과 대향 가능하다.
또한, 제3 일측판(8111c)은 제1 일측판(8111a)의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맞물리고, 제3 타측판은 제1 타측판(8112a)의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3 측면 연장부(813c) 각각은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과 나사 결합 가능하다. 또한, 제3 하면 연장부(814c)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나사 결합 가능하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 휠 블록(81a)의 후단부와 제3 휠 블록(81c)의 후단부는 대응 내지 동일할 수 있고, 제3 휠 블록(81c)의 전단부는 제2 휠 블록(81b)의 전단부와 대응 내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휠 블록(81a)의 후단부는 제2 휠 블록(81b)의 전단부와 결합될 수 있고, 제3 휠 블록(81c)의 전단부는 제1 휠 블록(81a)의 후단부와 결합 가능하되, 제1 휠 블록(81a)의 후단부와 제2 휠 블록(81b)의 전단부의 결합 방식과 대응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3 휠 블록(81c)의 후단부는 제2 휠 블록(81b)의 전단부와 결합 가능하되, 제1 휠 블록(81a)의 후단부와 제2 휠 블록(81b)의 전단부의 결합 방식과 대응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휠부(81)는 제1 휠블록(81a), 제2 휠 블록(81b) 및 제3 휠 블록(81c)을 통해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테면, 제1 휠부(81)는 제1 휠 블록(81a) 및 제2 휠 블록(81b)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1 휠부(81)의 길이가 보다 길어져야할 경우, 제1 휠 블록(81a)과 제2 휠 블록(81b) 사이에 제3 휠 블록(81c)이 개재(배치)되므로 제1 휠부(81)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휠부(81)는 제3 휠 블록(81c)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휠부(81)는 제1 휠 블록(81a), 제2 휠 블록(81b) 및 복수 개의 제3 휠 블록(81c)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길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휠부(81)는 제1 바퀴부(812a), 제2 바퀴부(812b) 및 제3 바퀴부 중 하나 이상의 레일 상에서의 구름 운동을 통해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부(811a)에 대하여 제1 바퀴부(812a)의 바퀴들은 나사결합될 수 있고, 제2 프레임부(811b)에 대하여 제2 바퀴부(812b)의 바퀴들은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제3 프레임부에 대하여 제3 바퀴부의 바퀴들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제1 휠부(81)와 대응되는 제2 휠부(831)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바퀴부(812a, 812b)의 제1 내지 제3 프레임부(811a, 811b)에 대한 나사 결합 해제를 통해 제1 내지 제3 바퀴부(812a, 812b)에 의해 레일에 결합되어 있는 제1 휠부(81)는 레일(9)에 장착되거나 레일에 탈거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트롤리 구조체(8)는 제1 휠부(81)의 하측에 구비되는 몸체(82)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82)는 상판(821), 상판(821)과 간격을 두고 상판(82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판(822) 및 상판(821)과 하판(822)을 연결하는 절첩부(8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821)은 제1 휠부(81)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판(821)은 제1 휠부(81)의 제1 내지 제3 하측판(8113a, 8113b, 8113c) 중 적어도 일부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나사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판(822)의 하측에는 플레이트 구조체(824)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트롤리 구조체(8)에 거치되어야 하는 성형품은 플레이트 구조체(824) 및 하판(822)에 연결되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절첩부(823)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서로 결합되는 부분이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x자형 링크(823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x자형 링크(8231)는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웃하게 배치되는 이웃 링크(823)와 서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첩부(823)는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길이)가 길어지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하판(822)은 상판(82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롤리 구조체(8)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하판(822) 및 플레이트 구조체(824)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하판(822) 또는 플레이트 구조체(824)에 거치된 성형품의 하역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82)는 한 쌍의 제1 휠부(81)의 레일(9)을 따른 이동과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1은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트롤리 구조체(8)는 제1 휠부(81)와 몸체(82)를 연결하는 연결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부(83)는 제1 휠부(81)의 하측에 구비되되, 전후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839)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839)은 H형 레일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측판(8392), 하측판(8391) 및 상측판(8392)과 하측판(8391)을 연결하는 웨브(839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판(8391)의 웨브(839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 단부는 레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839)은 레일(9)과 동일 내지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83)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839) 각각에 구비되어 가이드 레일(839)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2 휠부(8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휠부(831)는 상술한 제1 휠부(81)와 동일 내지 대응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휠부(831)와 가이드 레일(839)의 연결 관계는 상술한 제1 휠부(81)와 레일(9)의 연결 관계와 대응 내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가이드 레일(839)은 연장 길이는 제1 휠부(81)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휠부(81)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를 테면, 가이드 레일(839)은 몸체(82)의 상판(821)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의 폭의 3배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레일(9)은 천장에 구비되므로, 가이드 레일(839)에 비해 보다 길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휠부(831)는 가이드 레일(839)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몸체(82)의 상판(821)은 제2 휠부(831)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몸체(82)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휠부(81)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전후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839)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휠부(831)에 의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휠부(81)와 몸체(82)의 결합, 연결부(83)의 제2 휠부(831)와 몸체(82)의 결합, 제1 휠부(81)와 연결부(83)의 가이드 레일(839)의 결합(연결)이 나사 결합이므로, 나사를 푸는 것으로 각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롤리 구조체(8)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레일(9) 등을 전부 해체하지 않아도 몸체(82) 만을 레일(9)로부터 해체할 수 있는바, 수리, 교체 등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811a)와 제1 바퀴부(812a)의 결합, 제2 프레임(811b)와 제2 바퀴부(812b)의 결합, 제3 프레임과 제3 바퀴부의 결합 등 또한 나사 결합될 수 있으므로, 프레임(811a, 811b)과 바퀴부(812a, 812b) 등을 나사 결합 해제하는 것을 통해 제1 휠부(81)와 레일(9)의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고, 제2 휠부(831)와 가이드 레일(839)의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 휠부(81) 및 제2 휠부(831) 각각이 제1 내지 제3 블록(81a, 81b, 81c)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길이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0)에 있어서, 이송부(6a)는 무게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성형품을 이송하고, 보조 이송부(6b)는 무게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성형품을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사출 성형기(1)에서 제조된 성형품은 복수 개로 모여져 이송될 수 있는데, 모아진 복수 개의 성형품은 무게 측정 장치에 의해 무게가 측정될 수 있고, 측정된 무게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복수 개의 성형품은 이송부(6a)에 의해 적재부(2)로 바닥 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무게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성형품은 보조 이송부(6b)에 의해 적재부(2)로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형품의 무게가 고려되어, 성형품이 선택적으로 이송부(6a) 또는 보조 이송부(6b)에 의해 이송될 수 있어, 효율적 성형품의 자동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사출 성형기
2: 적재부
6a: 이송부
61: 이송 구조체
611: 플레이트
612: 볼 캐스터
613: 도어 인스톨 구조체
62: 공중 부양 구조체
621: 기체 전달 구조체
6211: 기체 흡입구
6212: 기체 배출구
6213: 기체 이동 통로
622: 커버
623: 가이드 유닛
6b: 보조 이송부
8: 트롤리 구조체
81: 제1 휠부
81a: 제1 휠 블록
811a: 제1 프레임부
812a: 제1 바퀴부
813a: 제1 측면 연장부
814a: 제1 하면 연장부
81b: 제2 휠 블록
811b: 제2 프레임부
812b: 제2 바퀴부
813b: 안착부
81c: 제3 휠 블록
82: 몸체
821: 상판
822: 하판
823: 절첩부
8231:x자형 링크
824: 플레이트 구조체
83: 연결부
831: 제2 휠부
839: 가이드 레일
9: 레일

Claims (6)

  1. 사출 성형 시스템에 있어서,
    재료를 성형해 성형품을 제조하는 사출 성형기;
    상기 사출 성형기에서 제조되는 성형품이 적재되는 적재부; 및
    상기 성형품을 상기 사출 성형기로부터 상기 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면에 상기 성형품이 적재되는 플레이트 유닛 및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테두리부의 하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볼 캐스터를 포함하는 이송 구조체; 및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테두리부의 하면에 구비되는 공중 부양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공중 부양 구조체는,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테두리부의 하면 상에서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중앙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고, 외측면에 형성되는 기체 흡입구, 하면에 형성되는 기체 배출구, 상기 기체 흡입구와 상기 기체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기체 이동 통로를 포함하며, 하측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양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중앙부는 상기 성형품이 적재되는 성형품 적재 영역일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중앙부는, 적재되는 상기 성형품이 냉각되도록, 상측의 열을 흡수하여 하측으로 발산하며,
    상기 플레이트 유닛은,
    상측 플레이트, 상기 상측 플레이트와 겹쳐 배치되는 하측 플레이트 및 상기 상측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하측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펠티어 효과에 따라 상측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하측으로 열을 발산하는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는 상기 펠티어 소자에 의해 흡열이 이루어지며,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는 상기 펠티어 소자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기체 배출구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하면의 열을 전도받는 열 전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인, 사출 성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캐스터는, 상기 플레이트 유닛의 테두리부의 하면 상에서상기 공중 부양 구조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초과가 되면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되면 위치 복원하는 것인, 사출 성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 캐스터와 지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볼 캐스터는,
    상기 볼 캐스터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면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볼 캐스터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면 위치 복원되는 것인, 사출 성형 시스템.
KR1020200031984A 2020-03-16 2020-03-16 사출 성형 시스템 KR102200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84A KR102200513B1 (ko) 2020-03-16 2020-03-16 사출 성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84A KR102200513B1 (ko) 2020-03-16 2020-03-16 사출 성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513B1 true KR102200513B1 (ko) 2021-01-07

Family

ID=74126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984A KR102200513B1 (ko) 2020-03-16 2020-03-16 사출 성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5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390B1 (ko) * 1997-05-16 2001-11-22 오영호 사출성형품적재및이송장치
JP3095499U (ja) * 2003-01-27 2003-07-31 花岡産業株式会社 昇降機能付き荷物昇降装置
KR200394886Y1 (ko) * 2005-06-28 2005-09-06 조이근 성형품 취출로봇에 적용가능한 냉각장치
KR20160059521A (ko) * 2014-11-18 2016-05-27 가온전선 주식회사 공기부양식 운반장치
JP2019030971A (ja) * 2017-08-04 2019-02-28 Towa株式会社 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品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390B1 (ko) * 1997-05-16 2001-11-22 오영호 사출성형품적재및이송장치
JP3095499U (ja) * 2003-01-27 2003-07-31 花岡産業株式会社 昇降機能付き荷物昇降装置
KR200394886Y1 (ko) * 2005-06-28 2005-09-06 조이근 성형품 취출로봇에 적용가능한 냉각장치
KR20160059521A (ko) * 2014-11-18 2016-05-27 가온전선 주식회사 공기부양식 운반장치
JP2019030971A (ja) * 2017-08-04 2019-02-28 Towa株式会社 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品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48980B2 (en) Apparatus for conveying coils of metal strip on pallets
CN205403415U (zh) 烘干机
KR101796268B1 (ko) 소성장치 및 오븐
KR102200513B1 (ko) 사출 성형 시스템
WO2017184002A1 (en) A 3d printer working platform and a 3d printer containing such a work platform
JP2006245110A5 (ko)
US10823504B2 (en) Smart oven for drying shoe components
KR101605016B1 (ko)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KR101070220B1 (ko) 시트 고무의 디핑액 건조 장치
ITBO20010242A1 (it) Apparato con unita' di saldatura ad aria calda ed a bassa inerzia termica, per la termosaldatura di confezioni od imballaggi di materia term
KR102626323B1 (ko) 유리패널 곡면부 열성형 금형모듈을 이용한 유리패널 곡면부 열성형 시스템
CN105293880A (zh) 一种钢化玻璃生产线
EP2979843B1 (en) Tenter ov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oplastic resin film
JP3808915B2 (ja) ガラス前床
JP2007068789A (ja) 食品の加熱装置
KR102067977B1 (ko) 차량용 범퍼빔 제조장치
CN105858082A (zh) 一种塑料制品输送机构
KR102626321B1 (ko) 유리패널 곡면부 열성형 시스템
CN205771509U (zh) 一种塑料制品输送机构
KR102153068B1 (ko) 지능형 프레스 공정 시스템
CN102393133A (zh) 一种可调节横截面温差的干燥器
CN209038453U (zh) 电石输送小车及使用该电石输送小车的电石输送线
JP2693976B2 (ja) 熱間圧延線材の空冷装置
CN219390397U (zh) 一种静态烘箱
CN213208524U (zh) 一种棉纺纱加工用封闭式烘干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