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291B1 -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291B1
KR102200291B1 KR1020190047011A KR20190047011A KR102200291B1 KR 102200291 B1 KR102200291 B1 KR 102200291B1 KR 1020190047011 A KR1020190047011 A KR 1020190047011A KR 20190047011 A KR20190047011 A KR 20190047011A KR 102200291 B1 KR102200291 B1 KR 102200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nonwoven fabric
biodegradable resin
pla nonwoven
resin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911A (ko
Inventor
허한
황대연
조성일
정선용
최지웅
최정순
허정녕
지희찬
이기석
Original Assignee
에코폴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폴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폴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29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3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07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2Physical properties 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은 PLA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PLA 부직포 상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출하는 단계;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PLA 부직포와 상기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착시켜, 상기 PLA 부직포 상에 상기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코팅된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원단을 냉각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ENVIRONMENTALLY FRIENDLY FABRIC USING PLA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필요에 의해 발명된 최고의 제품인 플라스틱, 산업혁명과 현대 기술 발전에 제일 큰 기여를 하였으며 현재도 실생활에 거의 모든 물건들이 플라스틱 제품으로 되어있다.
주위를 둘러보면 사용된 플라스틱만큼 플라스틱 쓰레기나 폐기물이 넘쳐나고 있다. 일회용 폐 플라스틱 컵, 폐 플라스틱 물병, 폐 플라스틱 포장지 등 넘쳐나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인해 많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플라스틱의 30%가 포장용 필름이나 봉투와 같은 포장재와 컵 및 fast food용 그릇과 같은 1회용품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도시뿐만 아니라 농촌과 어촌에서도 플라스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이 증가될 예정이다(예: 비닐하우스용 필름, 과실의 포장, 어촌의 어망, 어구와 생선의 포장재 등).
사용 후에 폐기된 플라스틱은 자연계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아 환경과 미관에 큰 부담이 되고 있고, 많은 야생동물과 해양동물이 버려진 폐플라스틱을 먹고 먹이사슬을 따라 미세 플라스틱 상태로 우리 인간의 식탁에 돌아온다. 매립지에서는 침출수가 발생하여 또 다른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환경문제가 이슈화되었고, 단순하게 산업발전만을 지향하던 사회분위기에서 이제는 웰빙, 지구를 지키기 위한 친환경 개념들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환경부에서는 일부 일회용제품들에 대한 규제를 통해 점차 플라스틱 소비량을 낮추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는 근본 대책이 될 수 없다. 특히 일반 면이나 울제품으로 구현이 되지 않는 섬유조직의 제품군들은 줄이려고 하여도 줄여지지 않고 오히려 사용량이 늘어나는 상황이다.
이상적인 경우, 플라스틱이 용이하게 회수될 수 있으면, 이를 재사용 하거나 연료로서 에너지 회수, 또는 화학적 분해를 통해서 원료로 재활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음식물 포장재, 위생용품, 1회용품 등에 사용된 플라스틱은 회수하기 어렵고 비경제적이다. 재활용보다는 자연환경에서 완전하게 분해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대체하여 분해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 일회용 제품군(쇼핑백, 식품포장재, 일회용컵, 빨대 등)은 사용 규제로 환경문제를 일부 해결하고 있으나 최소화하여 사용한다. 하지만 필수 불가결에 의해 그 사용량을 없앨 수 없는 현수막같은 제품의 경우는 친환경제품으로의 대체가 시급한 상황이다.
실생활에 너무 깊숙이 들어와 있어 떼어낼 수 없는 플라스틱의 사용량은 석유화학의 원천이 고갈되어가고 있음에도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머지않아 석유화학의 자원이 고갈될 것이라는 것이 세계 석학들과 산업계의 전망이며 이에 따른 대체 물질의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폴리유산(polylactic acid: PLA)은 플라스틱 및 섬유의 제조를 위한 선두적인 생분해성/퇴비화 가능(biodegradable/compostable) 폴리머로 인식되고 있다. PLA는 젖산으로 만들어지고, 이 젖산은 옥수수(예컨대 Zea mays), 밀(예컨대 Triticum spp.), 쌀(예컨대 Oryza sativa), 또는 사탕무(sugar beets, 예컨대 Beta vulgaris)로부터 얻어지는 발효 부산물(fermentation byproduct)이다.
생분해성이라고 하면 온도 60℃, 습도 80%에서 활성화된 미생물에서 6개월(180일) 동안 기준물질인 셀룰로오스 대비 90% 이상이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소재이며 화학합성 소재대비 최대 74%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폴리유산(PLA)를 이용하여 폐기 시 매립하여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가 될 수 있는 원단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폴리유산(PLA) 부직포를 이용하여, 일반 프라스틱 제품을 대체할 수 있고, 인쇄에 용이한 생분해성 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은 PLA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PLA 부직포 상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출하는 단계;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PLA 부직포와 상기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착시켜, 상기 PLA 부직포 상에 상기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코팅된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원단을 냉각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은, 생분해성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유산(PLA),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알코네이트(PHA), 폴리카프로락톤(PCL) 및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첨가제는, 활제(이형제), 가교제, 도전제, 가소제, 1차 산화방지제, 2차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안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의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은 상기 PLA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PLA 부직포 상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출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PLA 부직포를 코로나 처리하여 상기 PLA 부직포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원단을 냉각 건조하는 단계는, 표면 온도가 30 내지 55℃인 냉각 롤러를 이용하여 롤투롤 공정을 통해 상기 원단을 냉각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은 2개의 PLA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2개의 PLA 부직포 사이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출하는 단계;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2개의 PLA 부직포와 상기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착시켜, 상기 2개의 PLA 부직포 사이에 상기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코팅된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원단을 냉각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PLA 부직포에 코팅되기 때문에 PLA 부직포의 물리적 특성(인장 강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친환경 원단의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플라스틱 제품을 친환경 생분해성 제품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PLA 부직포의 물리적 특성이 향상된 원단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수막과 같은 인쇄용 원단(현수막, 인쇄지 등)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쇼핑백, 방진복, 마스크 등 그동안 낮은 물리적 특성에 따라 사용 용도가 제한된 친환경 생분해성 PLA 부직포 제품의 대체품 개발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은 PLA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S110),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PLA 부직포 상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출하는 단계(S130),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PLA 부직포와 상기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착시켜, 상기 PLA 부직포 상에 상기 수지 혼합물이 코팅된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S150) 및 상기 원단을 냉각 건조하는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을 제조하기 위하여, PLA 부직포를 준비한다(S110).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은 롤투롤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고, PLA 부직포는 롤에 감겨 있는 상태로 이송이 가능하다.
일 예로 PLA 부직포를 미리 예열할 수 있다. 이는 PLA 부직포 상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보다 용이하게 코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압출기를 이용하여 PLA 부직포 상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출한다(S130). 일 예로 압출되는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은 PLA 부직포의 표면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은 생분해성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첨가제는 마스터 배치로 만들어져 생분해성 수지에 혼합되어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제조될 수 있다.
PLA 부직포의 물리적 특성(예를 들면, 인장 강도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PLA 부직포 상에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유산(PLA),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알코네이트(PHA), 폴리카프로락톤(PCL) 및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첨가제는 활제(이형제), 가교제, 도전제, 가소제, 1차 산화방지제, 2차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PLA 부직포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일 예로 활제는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 압출 시 윤활 역할을 하여 기계 마모 및 압출 안정성, 혼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과량 투입시 오히려 압출 안정성 및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양이 투입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일 예로 가교제는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 압출시 열분해에 의한 분자량 저하로 제품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전제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소제는 연질제와 비슷한 개념으로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1, 2차 산화방지제 및 UV안정제는 보존 기한을 증가시키기 위한 첨가제로 일상에 노출 시 산화 방지 및 자외선에 의해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첨가제는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의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첨가제의 %중량이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의 총 중량 대비 0.1 미만인 경우에는 첨가제를 사용하기 위한 목적 달성이 어렵고, 첨가제의 %중량이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의 총 중량 대비 1.0% 이상인 경우에는 PLA 부직포의 물리적 특성 향상 외의 다른 부작용(첨가제가 경시변화에 의해서 원단에서 배어 나오는 현상, 장기 보관 시 인쇄품질 저하나 얼룩 발생, 제조 원가 상승 요인)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압출기를 이용하여 PLA 부직포 상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출하기 위하여 압출기의 투입부는 50℃ 이하로 설정하고, 압출기의 피딩부는 140~160℃로 설정하며, 압출기의 믹싱부는 170~210℃로 설정하고, 압출기의 압축부는 210~230℃로 설정하며, 압출기의 토출부는 200~230℃로 설정하여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압출기의 투입부에 투입된 후 피딩부, 믹싱부, 압축부, 토출부를 통과하여 압출될 수 있다.
압출기의 투입부 온도를 5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은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의 융점보다 낮게 하여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의 원료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하고, 압출기로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원할하게 투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압출기의 토출부 온도를 200~230℃로 설정하는 것은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의 열분해를 방지함과 동시에 원할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여 PLA 부직포와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착시켜, PLA 부직포 상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코팅된 원단을 제조한다(S150). 이와 같이 생산된 원단은 PLA 부직포의 양 표면 중 일면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코팅되어 있다.
일 예로 원단에서 PLA 부직포의 두께가 10 내지 90%가 되도록 압출되는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의 양을 조절하여 PLA 부직포의 표면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코팅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PLA 부직포의 양 표면에 각각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코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원단은 PLA 부직포의 양 표면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각각 도포한 상태로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여 PLA 부직포와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착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원단을 냉각 건조한다(S170). 일 예로 표면 온도가 30 내지 55℃인 냉각 롤러를 이용하여 롤투롤 공정을 통해 원단을 냉각 건조할 수 있다. 온도가 30℃ 미만인 경우에는 결로 및 과냉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온도가 55℃ 초과인 경우에는 냉각불량에 따른 이형불량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냉각 건조를 수행하면,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안정적으로 PLA 부직포 상에 코팅되어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은 도 1의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에서 코로나 처리가 추가된 방법으로 코로나 처리 외에 다른 단계는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의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은 도 1의 PLA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S110)와 PLA 부직포 상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출하는 단계(S130) 사이에, PLA 부직포를 코로나 처리하여 PLA 부직포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생성하는 단계(S120)를 더 포함한다.
PLA 부직포의 표면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보다 안정적으로 코팅되기 위하여는 PLA 부직포의 표면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잘 접착되는 것이 중요하다. 접착력 향상을 위하여는 접촉면적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접촉면적 향상을 위하여 PLA 부직포를 코로나 처리하여 PLA 부직포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생성한다.
PLA 부직포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성되면,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과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PLA 부직포 표면과 더욱 잘 접착되게 된다. 또한, PLA 부직포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성되면 PLA 부직포 표면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보다 잘 스며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과 도 1 및 도 2의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중 대응하는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은 2개의 PLA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S210),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2개의 PLA 부직포 사이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출하는 단계(S230),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2개의 PLA 부직포와 상기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착시켜, 상기 2개의 PLA 부직포 사이에 상기 수지 혼합물이 코팅된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S250) 및 상기 원단을 냉각 건조하는 단계(S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은 2개의 PLA 부직포 사이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의 코팅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하여, 2개의 PLA 부직포를 준비한다(S210). 2개의 PLA 부직포는 롤에 감겨 있는 상태로 각각 이송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압출기를 이용하여 2개의 PLA 부직포 사이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출한다(S230). 도 4를 참조하면, 롤에 각각 감겨져 있는 2개의 PLA 부직포 사이에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투입되게 된다.
다음으로,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여 2개의 PLA 부직포와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착시켜, 2개의 PLA 부직포 사이에 상기 수지 혼합물이 코팅된 원단을 제조한다(S250).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은 2개의 PLA 부직포 사이에서 롤에 의하여 압착되게 되고, 2개의 PLA 부직포 사이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코팅되게 된다.
다음으로, 원단을 냉각 건조한다(S270).
이와 같이 제작된 원단은 2개의 PLA 부직포가 사용되고 동시에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원단의 물리적 특성(예를 들면, 인장 강도 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PLA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PLA 부직포를 코로나 처리하여 상기 PLA 부직포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생성하는 단계;
    압출기의 투입부는 50℃ 이하로 설정하고, 상기 압출기의 피딩부는 140~160℃로 설정하며, 상기 압출기의 믹싱부는 170~210℃로 설정하고, 상기 압출기의 압축부는 210~230℃로 설정하며, 상기 압출기의 토출부는 200~230℃로 설정하여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상기 압출기의 투입부에 투입된 후 상기 피딩부, 믹싱부, 압축부, 토출부를 통과하여 상기 PLA 부직포 상에 상기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출하는 단계;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PLA 부직포와 상기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압착시켜, 상기 PLA 부직포의 양 표면에 상기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이 코팅된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및
    표면 온도가 30 내지 55℃인 냉각 롤러를 이용하여 롤투롤 공정을 통해 상기 원단을 냉각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은 생분해성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며,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유산(PLA),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폴리히드록시알코네이트(PHA), 폴리카프로락톤(PCL) 및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활제, 가교제, 도전제, 가소제, 1차 산화방지제, 2차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안정제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상기 생분해성 수지 혼합물의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47011A 2019-04-23 2019-04-23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KR102200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11A KR102200291B1 (ko) 2019-04-23 2019-04-23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11A KR102200291B1 (ko) 2019-04-23 2019-04-23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911A KR20200123911A (ko) 2020-11-02
KR102200291B1 true KR102200291B1 (ko) 2021-01-08

Family

ID=7339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011A KR102200291B1 (ko) 2019-04-23 2019-04-23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8125B1 (fr) * 2020-03-05 2021-10-05 Centexbel Dispersion aqueuse de biopolymères thermoplastiques
KR102530750B1 (ko) * 2020-11-25 2023-05-18 안성훈 생분해성 바이오 고분자를 이용한 펄프 용기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2378A (ja) * 2001-10-02 2003-04-15 Hiraoka & Co Ltd 自然環境における分解性に優れたシート状複合体及びその印刷物
JP2009051210A (ja) * 2007-07-31 2009-03-12 Mitsubishi Chemicals Corp 生分解性樹脂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5732B1 (fr) * 1994-10-12 1996-12-13 Fiberweb Sodoca Sarl Structure composite formee de derives d'acide lactique et son procede d'obten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2378A (ja) * 2001-10-02 2003-04-15 Hiraoka & Co Ltd 自然環境における分解性に優れたシート状複合体及びその印刷物
JP2009051210A (ja) * 2007-07-31 2009-03-12 Mitsubishi Chemicals Corp 生分解性樹脂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911A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ndes et al. Perspectives on sustainable food packaging:–is bio-based plastics a solution?
KR102200291B1 (ko) Pla 부직포를 활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US20100044267A1 (en) Compostable container for storing fluids
CN102120870A (zh) 一种可降解塑料及其生产方法
CN102153801A (zh) 一种秸秆塑料及其生产方法
CN105670072A (zh) 一种可降解塑料编织袋的制备方法
CN102702696A (zh) 全降解生物材料及其制品
BR112022020557A2 (pt) Método para reciclar um resíduo plástico, e, uso de material de purga solidificado contendo tereftalato de polietileno
CN102533151A (zh) 一种可生物降解的预涂膜
KR20100093466A (ko) 폴리락타이드 코팅된 판지
CN108408244A (zh) 一种新型包装材料
CN109266238B (zh) 一种可降解型环保包装胶带及其生产方法
CN101696283A (zh) 橡子粉基热塑性材料及其制备方法
Lorber et al. Waste management options for biobased polymeric composites
KR100545045B1 (ko) 폐지를 이용한 생분해성 재료제 성형품 제조 방법
CN105415694A (zh) 一种bopp合成包装纸制造工艺
CN113733700A (zh) 一种厌氧生物降解bopp无底涂预涂膜及其制备方法
CN105440616A (zh) 一种便于降解塑料
KR20150069402A (ko) 생분해성 pla 코팅 종이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218660893U (zh) 一种可生物降解的高阻隔纸塑复合包装材料结构
CN221187743U (zh) 一种apet环保包装材料
KR102570926B1 (ko) 생분해성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AU2020100286A4 (en) Biodegradable coated paper and device for producing same
CN107474447A (zh) 一种用于饮品的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US20220161458A1 (en) Converting non-biodegradable polymeric granules and components to biodegradable by surface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