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160B1 -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160B1
KR102200160B1 KR1020180163839A KR20180163839A KR102200160B1 KR 102200160 B1 KR102200160 B1 KR 102200160B1 KR 1020180163839 A KR1020180163839 A KR 1020180163839A KR 20180163839 A KR20180163839 A KR 20180163839A KR 102200160 B1 KR102200160 B1 KR 102200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nufacturing
ultra
rolling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292A (ko
Inventor
김상훈
이진우
이동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ublication of KR20190073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3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heets of limited length, e.g. folded sheets, superimposed sheets, pack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foils which present special problems, e.g. because of thin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7/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nnection with rolling of multi-layer sheets of metal
    • B21B47/04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nnection with rolling of multi-layer sheets of metal for separating layers after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92Welding in the rolling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2매 이상의 판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판재의 표면에 분리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분리제가 도포된 판재를 쌓은 뒤, 상기 판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결합된 판재를 압연하는 단계; 및 상기 압연된 판재를 분리하여 강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부의 단면적은 50~2500㎟이며, 상기 결합부 높이(H)와 결합부 폭(W)의 비(H/W)는 0.2 이상인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ULTRA THIN AND WIDE WIDTH STEEL SHEET}
본 발명은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후판은 두께가 6mm를 초과하는 강판을 의미하며, 그 폭이 대략2000~5000mm에 이른다. 일반적으로 범용적인 후판 제조 설비에서 제조되는 후판은 2000mm 이상의 폭을 가질 경우 그 두께를 6mm 이하로 제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6mm 이하의 판재가 요구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열간압연을 거쳐 권취코일의 형태로 얻어지는 열연강판을 이용하게 되며, 상기 열연강판은 통상적으로 1~22mm의 두께와 600~1950mm의 폭을 가지게 된다.
산업별로 구조 부품 성능 요구에 따라 박물이면서도 광폭을 갖는 강판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조선 분야에서는 크루즈선 등의 객실 구조, 대형 상선의 생활 공간, 특수선 구조재 등으로 그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강판은 그 두께가 얇아질수록 용접시 열변형 민감도가 심화되기 때문에, 구조재 등에 적용되는 강판은 용접 개소가 줄어들도록 그 폭이 넓을 것이 요구된다. 즉, 광폭재일수록 필요한 용접 횟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구조재 등에 적용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실 수요자는 폭이 좁은 열연강판 보다는 2000mm 이상의 폭을 가지면서도 두께가 6mm 이하인 후판재(이하, '초박물 광폭 강판'이라고도 함)의 생산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수요는 에너지 분야의 저장탱크의 바닥재 또는 지붕재 등에서도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산업기계 분야에서도 트럭적재함 바닥판 등에 사용되는 내마모강으로 두께 3.2~5mm의 광폭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일부 철강사에서는 초박물 광폭 후판의 생산을 위하여 박물 전용 소구경 압연롤을 이용하여 압연을 하고 롤 크라운 제어를 위한 CVC 공법 등을 활용하여 3~6mm 두께의 초박물재를 3500mm 폭까지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제철소는 설비 제약으로 인하여 후판 제조시 두께와 폭에 있어 제한을 받고 있다.
통상의 제철소는 압연롤 구경이 큰 중후물 전용 후판 밀을 이용하는데, 이에 따라 6mm 이하의 후판재 생산시에는 사이징 압연을 하여 압연 부하 요인 등을 제거한 뒤 가열로에서 재가열하여 Pair cross 압연 기술을 활용하여 초박물을 생산하는 공정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공정 또한 두께 방향의 웨이브(Wave) 제어 및 롤 키싱(roll kissing) 등에 의한 문제로 그 생산 두께와 폭이 제한되어 초박물 광폭 후판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2매 이상의 판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판재의 표면에 분리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분리제가 도포된 판재를 쌓은 뒤, 상기 판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결합된 판재를 압연하는 단계; 및 상기 압연된 판재를 분리하여 강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부의 단면적은 50~2500㎟이며, 상기 결합부 높이(H)와 결합부 폭(W)의 비(H/W)는 0.2 이상인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기존의 초박물 광폭재를 생산하기 어려운 범용 설비에서 범용적인 강재 압연조건을 이용하더라도 초박물이면서도 광폭인 강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범용 압연 설비를 이용하더라도 설비 부하가 해결되어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다층으로 용접된 판재의 제작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결합부가 형성된 적층체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따기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최종적으로 목표하는 강판의 두께에 따라 압하비와 판재 매수를 달리하여 압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접된 판재의 압연 후 압연직각방향의 단면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강판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자들은 후판 생산 공정에서 있어서, 다층의 금속 판재를 결합시킨 뒤, 이 다층 용접된 금속 판재(이하, '다층 용접 판재'라고도 함)를 활용하여 후판 제조 공정 중 다양한 두께 및 폭으로 압연되는 구간에서 압연한 뒤 최종 제품 단계에서 상기 금속 판재를 다층으로 분할하여 강판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활용하면 초박물이면서도 광폭을 갖는 강판의 생산이 가능하다는 식견하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2매 이상의 판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판재의 표면에 분리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분리제가 도포된 판재를 쌓은 뒤, 상기 판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결합된 판재를 압연하는 단계; 및 상기 압연된 판재를 분리하여 강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부의 단면적은 50~2500㎟이며, 상기 결합부 높이(H)와 결합부 폭(W)의 비(H/W)는 0.2 이상인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다층으로 용접된 판재의 제작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선, 2매 이상의 판재(10, 10')를 준비한다. 상기 판재로는 슬라브, 바 플레이트 및 후판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준비된 판재가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것이라면 그대로 후공정을 진행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 판재가 상당히 두께운 경우라면 상기 판재를 사이징 압연할 수 있다. 사이징 압연이란 판재의 두께를 줄이는 압연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통상의 압연 설비가 300mm 두께의 슬라브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라 가정할 때, 슬라브를 두께가 150mm가 되도록 사이징 압연한 뒤, 이 슬라브를 2매 겹쳐 용접하여 총 두께가 300mm가 되도록 한 뒤, 후공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는, 슬라브를 100mm 두께로 사이징 압연한 뒤, 이 슬라브를 3매 겹쳐 용접하여 총 두께가 300mm가 되도록 한 뒤, 압연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판재가 통상의 압연 설비에서 박물로 압연되기 어려운 것이라면 그 두께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판재는 40~200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판재가 40mm 미만의 두께를 가지기 위해서는 제조 자체가 어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징 압연에 많은 공정이 소모되고, 다층 용접 판재의 제작을 위해 용접공정이 과도하게 필요하게 되어 공정의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판재가 200mm 초과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두께로 인하여 통상의 압연설비로는 압연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판재가 준비되면, 상기 판재의 표면에 분리제(20)를 도포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2매 이상의 판재를 쌓은 뒤, 상기 판재를 결합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상기 판재가 적층되는 영역, 즉, 상기 판재와 판재가 접하는 영역에 분리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제는 다층 용접 판재가 압연에 의해 기계적인 결합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용접 및 압연된 판재를 서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분리제는 여러 매의 판재가 적층될 경우, 판재와 판재가 접하는 영역에는 모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분리제의 도포 용이성 등을 고려하면, 2매 이상의 판재 중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판재(10')의 상면에 상기 분리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리제로는 Al2O3, SiO2, TiO2, Cr2O3, Fe2O3, Fe3O4 등의 금속산화물과, MnS, 산성계 플럭스(flux)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분리제가 도포된 판재를 쌓은 뒤, 상기 판재를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은 상기 판재의 외주면을 용접하여 적층체(30) 즉, 다층 용접 판재를 얻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결합부가 형성된 적층체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체는 판재와 판재 사이에 일정 수준의 판재 간격(R)을 가지고 상기 판재가 겹치지는 외주면은 결합되어 결합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 즉, 용접에 의해 형성된 결합부(용접비드)의 단면적은 50~2500㎟이며, 상기 결합부 높이(H)와 결합부 폭(W)의 비(H/W)는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에 의해 얻어지는 결합부의 단면적(A)은 조립하고자 하는 판재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게 되며, 본 발명에 언급한 40~200mm 두께의 판재를 결합하는 경우 50~2500㎟의 단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의 단면적이 50㎟ 미만일 경우에는 압연중 높은 압하력에 의해 파단이 발생할 수 있고, 25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층 용접 판재의 제작을 위해 용접공정이 과도하게 필요하게 되어 공정의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 높이(H)와 결합부 폭(W)의 비(H/W)는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용입 깊이가 얕아 압연시 파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판재 간격(R)이 상기 판재 두께(T)의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판재간의 간격(R)이 상기 판재 두께(T)의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용접부 형상을 얻기 곤란할 수 있고, 용접시 균열 발생 가능성이 커져 파단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 즉, 용접은 2매 이상의 판재가 서로 맞닿는 부분의 외주면 모두에 대하여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모서리 부분만 용접이 되거나, 일부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이 있을 경우에는 압연시 상기 분리제가 밖으로 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판재가 서로 맞닿는 외주면 모두, 즉 4면을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매우 두꺼운 판재가 박물의 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판재에 상당한 압하량이 부여되고, 이로 인해, 변형량이 많아 상기 용접이 깨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용접량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상기 용접량을 적절히 제어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시 2단계 이상에 걸쳐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우선적으로 1차 결합을 행함으로써 상기 분리재가 밖으로 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1차 결합 방법으로는 GMAW, FCAW, GTAW, PAW, LBW 및 EBW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1차 결합을 통해서 용접이 이루어질 판재 간의 고정을 위한 태그용접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후 수행될 2차 결합시 분리제가 새어나감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용접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2차 결합을 통해 용접부의 단면적을 크게 확보함으로써 용접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2차 용접 방법으로는 GMAW, FCAW, SAW, GTAW, PAW, LBW, EBW, EGW 및 ESW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2차 결합을 통해서는 조립된 다층 용접 판재가 압연중 높은 압하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파단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은 공정시간 등 작업효율성을 고려하여, 1G, 2G 또는 3G 등 다양한 용접자세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접 방법 중 용접 입열량이 작은 프로세스의 경우에는 충분한 용접부 면적을 확보하지 못하여 용접부 강도가 낮아짐에 따라 용접부에 파단이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판재에 분리제를 도포하기 전, 상기 판재에 대하여 용접이 이루어질 영역에 모따기를 행할 수 있다. 상기 모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의 상면 또는 하면의 에지부에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두꺼운 판재를 그 대상으로 삼고 있으므로, 용접 입열량이 작은 경우 모따기를 하지 않고 용접하는 경우에는 판재의 표면 부위만 용접되어 이후 압연시 용접부가 균열이나 파단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따기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 (a)는 V 형상, (b)는 U 형상, (c)는 Single V 형상을 나타낸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모따기의 형상은 V, U 및 Single V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Single V 형상이란 도 3 (c)와 같이, V의 절반 즉, 2매의 판재가 아닌 하나의 판재에만 ∠의 형상으로 모따기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상기 결합된 판재를 압연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연 공정으로서 통상의 후판 제조 공정을 이용하는 것읕 특징으로 한다. 후판 압연 공정은 일방향으로 압연되는 통상의 열연강판 제조와는 달리, 판재가 압연기를 통과하면서 압연되고 다시 되돌아오면서 압연되는 것은 물론, 판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압연 방향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길이 방향 뿐만 아니라, 폭 방향으로도 압연이 가능하다. 즉, 후판 압연 공정은 길이내기 압연과 폭내기 압연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판재를 박물이면서도 광폭의 강판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압연 공정 전에는 상기 적층체를 가열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압연 공정은 통상의 후판 제조 공정과 같이 조압연 및 사상압연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연시 최종적으로 목표하는 강판의 두께에 따라 압하비를 설정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압하비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10~40:1의 압하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압하비가 40: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연공정 중 높은 압하비에 의해 용접부의 파단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용접부의 강도를 높이고자 용접공정이 증가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최종적으로 제거되는 용접부가 증가하게 되어 생산수율의 감소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압하비가 증가하게 되면 압연공정 후 분리를 위해 도포되는 분리제의 도포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하비가 10:1 미만인 경우에는 박물의 강판을 얻기 위해서 적층체를 구성하는 판재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판재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어 사이징 압연을 많이 해야하는 단점이 있으며, 다층 용접 판재의 제작을 위해 판재의 용접 횟수가 과도하게 증가하게 되어 공정의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도 4는 최종적으로 목표하는 강판의 두께에 따라 압하비와 판재 매수를 달리하여 압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 (a)는 강판의 목표하는 두께가 4mm인 경우로서, 60mm로 사이징 압연된 판재 3매를 적층하여 용접함으로써 용접 판재가 180mm의 두께를 갖도록 하고, 이를 15:1의 압하비로 압연하여 최종 12mm의 두께를 갖는 용접 판재를 얻는 방법이다. 이후, 상기 12mm의 두께를 갖는 용접 판재를 3매의 강판으로 분리하게 되면, 상기 강판은 최종적으로 4mm의 두께를 갖게 된다.
도 4 (b)는 강판의 목표하는 두께가 3mm인 경우로서, 60mm로 사이징 압연된 판재 4매를 적층하여 용접함으로써 용접 판재가 240mm의 두께를 갖도록 하고, 이를 20:1의 압하비로 압연하여 최종 12mm의 두께를 갖는 용접 판재를 얻는 방법이다. 이후, 상기 12mm의 두께를 갖는 용접 판재를 4매의 강판으로 분리하게 되면, 상기 강판은 최종적으로 3mm의 두께를 갖게 된다.
도 4 (c)는 강판의 목표하는 두께가 2.4mm인 경우로서, 60mm로 사이징 압연된 판재 5매를 적층하여 용접함으로써 용접 판재가 300mm의 두께를 갖도록 하고, 이를 25:1의 압하비로 압연하여 최종 12mm의 두께를 갖는 용접 판재를 얻는 방법이다. 이후, 상기 12mm의 두께를 갖는 용접 판재를 5매의 강판으로 분리하게 되면, 상기 강판은 최종적으로 2.4mm의 두께를 갖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접된 판재의 압연 후 압연직각방향의 단면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강판의 양단은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외의 영역은 분리제에 의하여 강판이 분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상기 압연된 판재를 분리하여 강판을 얻는다. 이 때, 상기 압연된 판재의 분리는 적층체의 용접부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용접부 제거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트리밍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트리밍으로는 가스 절단 또는 기계적 절단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트리밍을 통해 용접부를 제거함은 물론, 판재 끝단부의 형상 불량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 트리밍이란 적층체의 측면을 절단하는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후판 공정을 통해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므로, 상기 강판은 코일의 형태가 아닌 낱매의 판 형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강판은 후판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됨에도 불구하고, 두께가 6mm 이하의 박물이면서도, 폭이 2000mm 이상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강판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판은 용접부 제거 및 분리된 후, 표면에 기계적 결함이 없는 매끈한 형태로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얻어지는 강판에 대해서 숏 블라스팅 등을 통한 표면 처리 또는 열처리 등의 공정을 추가로 행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하기 표1에 기재된 두께를 갖는 2매의 슬라브를 준비한 뒤, 상기 슬라브의 표면에 Al2O3 분리제를 도포한 후, 상기 슬라브를 적층 및 용접하여 하기 표 1의 조건을 갖는 결합(용접)부가 형성된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압연한 뒤, 용접부를 제거하고, 분리함으로써 강판을 얻었다. 이 때, 상기 압연중 용접부에서의 파단 여부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판재두께
(mm)
결합부 높이(H)와 결합부 폭(W)의 비(H/W) 결합부 단면적(A)
(㎟)
압연중 파단 여부
비교예1 40 1.3 46 파단
발명예1 40 1.6 63 미파단
발명예2 40 1.8 88 미파단
비교예2 120 0.18 89 파단
발명예3 120 0.23 116 미파단
발명예4 120 1 445 미파단
발명예5 120 1.5 942 미파단
비교예3 200 0.17 155 파단
발명예6 200 0.22 227 미파단
발명예7 200 0.6 678 미파단
발명예8 200 0.9 1826 미파단
발명예9 200 1.2 2116 미파단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결합부의 단면적, 및 결합부 높이와 결합부 폭(W)의 비(H/W)를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9의 경우에는 압연 중 용접부에서 파단이 일어나지 않아, 강판의 제조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결합부의 단면적을 만족하지 않아 압연 중 결합부에서 파단이 일어나 압연이 불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및 3의 경우에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결합부 높이와 결합부 폭(W)의 비(H/W)를 만족하지 않아 압연 중 결합부에서 파단이 일어나 압연이 불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10, 10': 판재
20: 분리제
30: 적층체

Claims (15)

  1. 2매 이상의 판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판재의 표면에 분리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분리제가 도포된 판재를 쌓은 뒤, 상기 판재의 측면부를 용접하여 상기 판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결합된 판재를 압연하는 단계; 및
    상기 압연된 판재를 분리하여 강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부의 단면적은 50~2500㎟이며,
    상기 결합부 높이(H)와 결합부 폭(W)의 비(H/W)는 0.2 이상이고,
    상기 압연시 상기 강판의 두께가 6mm 이하이고, 폭이 2000mm 이상이 되도록, 10~40:1의 압하비로 길이내기 압연 및 폭내기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슬라브, 바 플레이트 및 후판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재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판재를 사이징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40~200mm의 두께를 갖는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제는 Al2O3, SiO2, TiO2, Cr2O3, Fe2O3, Fe3O4, MnS, 산성계 플럭스(flux)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시 상기 판재 간격은 판재 두께의 5% 이하인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2단계 이상에 걸쳐 행하여지는 다층 용접 금속 판재를 활용한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시 1차 결합은 GMAW, FCAW, GTAW, PAW, LBW 및 EBW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는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시 2차 결합은 GMAW, FCAW, SAW, GTAW, PAW, LBW, EBW, EGW 및 ESW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는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제 도포 전, 상기 판재의 상면 또는 하면의 에지부를 모따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는 V, U 및 Single V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형상을 갖는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연된 판재의 분리는 사이드 트리밍하는 것을 포함하는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15. 삭제
KR1020180163839A 2017-12-18 2018-12-18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KR102200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259 2017-12-18
KR20170174259 2017-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292A KR20190073292A (ko) 2019-06-26
KR102200160B1 true KR102200160B1 (ko) 2021-01-08

Family

ID=67104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839A KR102200160B1 (ko) 2017-12-18 2018-12-18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1578B (zh) * 2020-01-19 2021-10-26 河钢股份有限公司承德分公司 一种消除低碳钢热轧酸洗板头部横折纹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136B1 (ko) * 1995-12-22 2002-12-28 주식회사 포스코 내부식성이 우수한 열연용사강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795B1 (ko) * 1998-05-30 2003-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크래드강재맞대기용접부육성용접방법
KR100879163B1 (ko) * 2007-04-25 2009-0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럭스를 이용한 가스텅스텐 아크 용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136B1 (ko) * 1995-12-22 2002-12-28 주식회사 포스코 내부식성이 우수한 열연용사강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292A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052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hot-rolled plated composite material, flat product stack, hot-rolled plated composite material and use thereof
WO2022036823A1 (zh) 一种钢/铝/铝合金层状复合板波-平轧制复合方法
KR102200160B1 (ko)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KR20190074989A (ko)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KR102218396B1 (ko)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KR20190073300A (ko)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KR102200159B1 (ko)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CN107427955B (zh) 用于制造复合材料和临时复合物的方法
JP4331388B2 (ja) 肉盛補修溶接方法
KR20190072993A (ko) 용접 금속 판재를 활용한 후판의 제조방법
KR20190076865A (ko)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강판 분리 장치
KR102245230B1 (ko) 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KR20190073294A (ko) 초박물 광폭 강판의 제조방법
JP4420130B2 (ja) T形鋼
JP2663736B2 (ja) 極厚鋼板の製造方法
CN104827241A (zh) 一种用于生产钢锆复合板的坯料的制造方法
CN110657342B (zh) 一种横向可变厚度的宽幅普通碳锰钢板及其制备方法
KR101990946B1 (ko) 난접합소재 연속 열간압연 장치 및 방법
KR20190073295A (ko)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JP6816557B2 (ja) 溶接継手の形成方法
KR101647215B1 (ko) 고온 균열이 저감된 용접 강관의 제조방법
KR102337795B1 (ko) 박판 용접 구조
CN113020295B (zh) 钛钢复合板原料坯的组坯方法
CN211304254U (zh) 一种建筑行业用耐腐蚀金属复合板的轧制组坯
KR102305762B1 (ko) 강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