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090B1 - 차량용 래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090B1
KR102200090B1 KR1020190107022A KR20190107022A KR102200090B1 KR 102200090 B1 KR102200090 B1 KR 102200090B1 KR 1020190107022 A KR1020190107022 A KR 1020190107022A KR 20190107022 A KR20190107022 A KR 20190107022A KR 102200090 B1 KR102200090 B1 KR 10220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lever
shaft
rotating plat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규
김량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190107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60N2/225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with ratch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시트프레임 및 쿠션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동을 통해 쿠션프레임의 폴딩을 제어하는 래치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장치는 시트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외측에 복수의 홈들이 형성된 기어브라켓, 일단은 상기 시트프레임에 샤프트를 통해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프레임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판, 일단은 상기 회동판의 타단을 향해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판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홈들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레버, 상기 레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어브라켓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레버와 맞물리고, 상기 레버를 향해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판과 결합된 캠 및 상기 회동판 및 쿠션프레임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캠을 상기 회동판의 타단을 향해 당기면, 상기 레버의 타단이 상기 홈들에서 분리되고, 상기 쿠션프레임은 폴딩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용 래치장치{SEAT LATCH DEVICE FOR VEHICL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래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 폴딩을 제어하는 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서는 승차를 위해 시트가 장착되고, 시트 사용을 위한 편의성 제공을 위해 시트백 또는 쿠션부분의 폴딩 기능을 추가하여 차량을 활용하는 용도에 따라 시트를 변형시킨다.
그러나 시트의 변형 가능한 공간 확보가 난해한 차량의 구조인 경우, 운전석 뒤쪽의 시트들의 변형을 활용하여 확보할 수 있는 적재공간이 한정적인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6981호는 시트 폴딩 래치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12179호는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기술들은 적재공간이 한정적인 차량의 시트에 결합되어 시트의 폴딩을 통해 공간을 확보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시트프레임 및 쿠션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동을 통해 쿠션프레임의 폴딩을 제어하는 래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래치장치는 시트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외측에 복수의 홈들이 형성된 기어브라켓, 일단은 상기 시트프레임에 샤프트를 통해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프레임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판, 일단은 상기 회동판의 타단을 향해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판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홈들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레버, 상기 레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어브라켓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레버와 맞물리고, 상기 레버를 향해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판과 결합된 캠 및 상기 회동판 및 쿠션프레임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캠을 상기 회동판의 타단을 향해 당기면, 상기 레버의 타단이 상기 홈들에서 분리되고, 상기 쿠션프레임은 폴딩가능하다.
또한, 상기 레버는 일단은 제1축을 통해 상기 회동판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기어브라켓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에는 상기 홈들 각각에 삽입되는 투스들 및 상기 투스들의 반대편에서 상기 투스들을 향해 함몰된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래치장치는 일단은 상기 제1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어브라켓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회동판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축에 권취된 후 상기 레버의 일단 및 상기 투스들 사이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은 일단은 상기 레버의 타단에 인접한 제2축을 통해 상기 회동판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안착홈을 향해 연장 및 삽입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와 분리되어 상기 제1축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2돌출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래치장치는 일단은 상기 제2축을 사이에두고 상기 제2돌출부과 이격된위치에서 상기 회동판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축에 권취된 후 상기 캠의 일단 외측 및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래치장치는 일단은 상기 투스들 및 상기 레버의 일단 사이에 결합된 후 상기 제1축에 권취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상기 제2축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상기 제2축과 권취된 후 상기 제2돌출부 및 상기 캠의 일단 사이에 결합되는 제3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장치는 단일 또는 복수의 스프링들을 통해 쿠션프레임의 안정적인 폴딩 구동 제어가 가능하고, 중량 감소가 가능하며 조립용이성이 개선된다.
또한, 래치장치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케이블과 연결되어 차량의 운전석에서 편리하게 뒷좌석의 쿠션프레임 회동 제어가 가능하고, 스프링의 탄성력 제어 또는 폴딩을 차단하는 스토퍼 기능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3들은 도 1의 래치장치의 분해사시도들.
도 4는 도 1의 래치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 및 6들은 도 1의 래치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일측면도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장치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래치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3들은 도 1의 래치장치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래치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장치(100)는 기어브라켓(200), 회동판(300), 레버(400), 캠(500), 커버(600), 핀(620), 제1스프링(700), 제2스프링(710) 및 회동스프링(800)들을 포함한다.
래치장치(100)는 시트프레임(10) 및 쿠션프레임(20)이 서로 연결되는 하부 일측면에 시트프레임(10) 및 쿠션프레임(20)들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연결된 케이블(30)의 제어를 통해 쿠션프레임(20)을 전방 방향인 Y 방향과 반대 방향인 후방을 향해 자동으로 폴딩시켜, 쿠션프레임(20)과 시트프레임(10)들을 서로 밀착시킨다.
기어브라켓(20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기어브라켓(200)의 Y 방향쪽 상부 및 Y 방향쪽 하부 외측에는 제1 및 제2 투스(210, 220)들 각각이 기어브라켓(200)의 외측에 돌출된다.
제1투스(210)들은 기어브라켓(200)의 외측면에서 중앙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된 제1홈에 형성되고, 상기 제1홈의 안쪽에서 기어브라켓(200)의 외측면을 따라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2투스(220)들은 기어브라켓(200)의 외측면에서 기어브라켓(200)의 중앙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된 제2홈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2홈에서 기어브라켓(200)의 외측면을 따라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샤프트(240)의 일단은 시트프레임(10)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는 측면브라켓(12)의 상단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회동판(300)의 일단 및 기어브라켓(200)들을 관통하여 기어브라켓(200)과 결합된다.
회동판(300)의 일단은 측면브라켓(12)의 상단에서 상기 Y 방향과 수직한 X 방향 쪽에서 샤프트(240)를 통해 X 방향 또는 X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측면브라켓(12)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회동판(300)의 타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Y 및 X 방향과 수직한 Z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X 방향쪽 측면에는 측면돌출부(350, 360)들이 돌출된다.
제1축(320)의 일단은 기어브라켓(200)에서 Z축과 반대방향 쪽에 인접한 위치에서 회동판(300)에 결합되고, 타단은 X 방향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커버(600)와 결합된다.
레버(400)의 일단은 회동판(300)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커버(600)와 연결되는 제1축(320)을 통해 회동판(300)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Y 방향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일부분은 제2투스(220)들 사이로 삽입된다.
레버(400)의 일단은 회동판(300)의 타단을 향해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회동판(300)과 결합되고, 레버(400)의 타단의 Z 방향과 반대방향쪽에 해당하는 일부분은 Z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함몰되어 안착홈(412)이 형성된다.
제1스프링(700)의 일단은 제1축(320)을 사이에 두고 기어브라켓(200)과 이격된 위치에서 회동판(300)의 일측을 향해 돌출된 측면돌출부(350)와 결합되고, 타단은 제1축(320)에 권취된 후 Z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레버(400)의 일단 외측 및 제3투스(410)들 사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스프링(700)의 타단은 제2투스(220)들 및 레버(400)의 일단 사이에 결합되고, 레버(400)의 타단이 Z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스프링(700)은 X축의 반대 방향으로 제1축(320)을 주시하는 경우 제1스프링(700)의 일단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1축(320)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제1축(320)에 권취된다.
제2축(340)의 일단은 제1축(320)보다 상대적으로 Y 방향쪽에 위치하고, 회동판(300)의 타단 X 방향쪽 일부분과 결합되며, 타단은 커버(600)를 향해 연장되어 커버(600)와 결합된다.
캠(500)의 일단은 레버(400)의 타단에 인접하고 X축 또는 X축의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된 제2축(340)을 통해 회동판(300)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안착홈(412)을 향해 연장 및 삽입되는 제1돌출부(520) 및 제1돌출부(520)와 분리되어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케이블(30)과 연결되는 제2돌출부(540)들로 형성된다.
제2스프링(710)의 일단은 측면돌출부(350)에서 Z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회동판(300) 일부분이 X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측면돌출부(360)와 결합된다.
제2스프링(710)의 타단은 제2축(340)을 향해 연장된 후 제2축(340)에 권취되고, 다시 캠(500)의 일단 외측 및 제2돌출부(540) 사이를 향해 연장되어 캠(500)과 결합된다.
제2스프링(710)은 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2축(340)을 주시하는 경우 제2스프링(710)의 일단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 제2축(340)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제2축(340)에 권취된다.
제2스프링(710)의 타단은 제2돌출부(540) 및 캠(500)의 일단 사이에 해당하는 외측면에 결합되고, 제2스프링(710)의 탄성력은 캠(500)의 타단을 제2축(340)을 기준으로 Z 방향을 향해 이동시켜 제1돌출부(520)가 안착홈(412)에 삽입되는 상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제1스프링(700) 및 제2스프링(710)들을 통해 레버(400)의 타단 및 캠(500)의 타단 각각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3투스(410)들은 제2투스(220)들 사이로 삽입되어 회동판(300)이 샤프트(240)를 축으로 회전하는 것이 차단된다.
커버(600)의 일단은 기어브라켓(200)의 X축 방향쪽에 샤프트(240)를 통해 X축 또는 X축과 반대방향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기어브라켓(200)의 일측에 결합된다.
커버(600)의 타단은 Z축 방향과 반대 방향인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면서 레버(400) 및 캠(500)을 커버하고, 쿠션프레임(20)의 일측 후방에 해당하는 쿠션프레임(20)의 일부분과 결합된다.
커버(600)의 X축 방향과 반대 방향쪽에 위치하는 타측면은 측면돌출부(350, 360)들, 제1축(320), 제2축(340) 및 핀(620)과 결합되어 회동판(300)과 연결되고, 회동판(300)이 샤프트(240)를 축으로 회동하면 쿠션프레임(20)과 함께 회동한다.
회동스프링(800)의 일단은 샤프트(24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은 샤프트(240)를 X축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주시한 상태에서 일단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 나선 형으로 연장된 후 핀(620)과 결합된다.
핀(620)에 결합된 회동스프링(800)의 타단은 샤프트(240)를 X축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주시한 경우 시계 방향으로 탄성 복원하려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고, 레버(400)의 이동으로 제3투스(410)가 기어브라켓(200)과 분리되면, 회동판(300) 및 커버(600)는 회동스프링(800)의 탄성에 의해 회동하고, 쿠션프레임(20)은 폴딩되어 시트프레임(10)의 Y 방향쪽에 배치된다.
도 5 및 6들은 도 1의 래치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일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5 및 6들을 참조하면, 캠(500)에는 제3돌출부(560)가 형성된다.
제3돌출부(560)는 제1돌출부(520)에서 Y축 방향과 반대 방향쪽에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캠(500)의 일단에서 Z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제1돌출부(520)보다 작게 돌출되어 안착홈(412)에 인접한 레버(400)의 외측면을 지지한다.
케이블(30)이 Z축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당겨지고, 제2돌출부(540)가 Z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돌출부(520)는 Y축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레버(400)의 타단은 Z축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제3돌출부(560)가 Y축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제3돌출부(560)를 향해 레버(400)의 타단이 이동하고, 제3돌출부(560)는 레버(400)와 밀착된다.
제3돌출부(560)가 레버(400)와 밀착되고, 레버(400)의 타단이 Z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하강하면, 제3투스(410)들은 기어브라켓(200)과 분리되고, 회동판(300) 및 커버(600)들 각각의 타단은 핀(620)의 이동에 의해 샤프트(240)를 축으로 Z 방향을 향해 회동한다.
회동판(300) 및 커버(600)들 각각이 회동하면서, 커버(600)와 연결된 쿠션프레임(20) 역시 시트프레임(10)을 향해 이동하고, 쿠션프레임(20) 및 쿠션프레임(20)을 둘러싸는 하부 쿠션이 위치하던 공간은 추가 공간으로 확보되어 적재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래치장치(120)는 제3스프링(740), 탄성판(900) 및 스토퍼(92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의 래치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장치(120)는 제3스프링(740), 탄성판(900) 및 스토퍼(920)들을 포함한다.
래치장치(120)는 도 1 내지 6들에서 개시된 래치장치(100)와 달리 단일의 스프링을 통해 레버(400) 및 캠(500)들의 구동을 제어하고, 회동판(300) 및 스프링 사이의 결합 구조가 불필요하여 회동판(300)의 제작 및 스프링의 조립이 용이하고 중량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제3스프링(740)의 일단은 제3투스(410)들 중 Y축 방향과 반대방향쪽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 및 레버(400)의 일단 사이에 결합되고 X축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1축(320)을 주시한 경우 시계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제1축(320)에 권취된다.
제3스프링(740)의 중앙부는 제1축(320)의 Y축 방향쪽 일단부터 제2축(340)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은 X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1축(320)을 주시한 상태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축(340)에 권취되며, 제2축(340)의 Y축 방향에서 제2돌출부(540) 및 캠(500)의 일단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로 연장되어 캠(500)과 결합된다.
제2돌출부(540)는 Y축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케이블(30)과 연결이 용이하고, 제3스프링(740)의 타단이 캠(500)과 밀착된 상태에서 제3스프링(740)의 타단이 Z축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 기능을 가진다.
케이블(30)이 하강하여 제2돌출부(540)를 Z축 방향과 반대방향인 하부를 향해 당기면, 제1돌출부(520)는 안착홈(412)에서 분리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레버(400)의 타단은 중력 및 제3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해 Z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하강하여 제3투스(410)는 기어브라켓(200)과 분리된다.
케이블(30)이 하강하여 제3투스(410)들이 기어브라켓(200)과 분리되는 상태가 유지되면, 회동판(300) 및 커버(600)는 X축의 반대방향으로 래치장치(120)를 주시한 경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3투스(410)들은 제1투스(210)들과 인접한 위치에서 제1투스(210)들 사이에 삽입되어 정지한다.
이 때 케이블(30)을 당기는 힘이 소멸되면, 제3투스(410)들은 제1투스(210)들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1홈들에 각각 삽입되고, 쿠션프레임(20)은 시트프레임(10)을 향해 폴딩된 상태로 고정된다.
제3투스(410)들이 제2투스(22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케이블(30)을 Z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당기는 힘이 소멸된 경우, 제1돌출부(520)는 제3스프링(740)의 타단의 탄성력에 의해 Z 방향을 향해 이동하여 안착홈(412)에 안착되고, 제3투스(410)들은 기어브라켓(200)에 삽입되며, 회동판(300) 및 커버(600)의 회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래치장치(120)는 단일의 제3스프링(740)의 사용을 통해 조립 및 회동판(300)의 제작이 용이하고, 회동판(300)의 중량 감소를 통해 래치장치(120) 자체의 중량 감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삽입홈(570, 571, 572)들은 제3스프링(740)의 중앙부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Y축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3돌출부(560)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X축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된다.
탄성판(900)은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3돌출부(560)에 삽입되어 제3스프링(740)의 탄성을 제어하거나 캠(500)의 회동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탄성판(900)은 제3스프링(740)의 중앙부에서 Y축 방향과 반대방향(Y축의 역방향)쪽에 해당하는 제3돌출부(560)에 형성된 삽입홈(570, 571, 572)들 중 제3스프링(740)과 인접한 삽입홈(570)에 삽입되면, 제3스프링(740)의 중앙부와 밀착된다.
탄성판(900)이 제3스프링(740)과 밀착된 상태에서 케이블(30)이 당겨지고 캠(500)의 타단이 Z축의 역방향으로 하강하면 탄성판(900)이 휘어지면서 캠(500)의 복원력을 개선한다.
따라서, 탄성판(900)은 제3스프링(740)의 탄성력이 저하된 경우 삽입홈(570)에 삽입되어 제3스프링(740)의 탄성력을 임시로 보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삽입홈(570. 571, 572)들은 제3스프링(740)의 중앙부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3돌출부(560)에서 X의 역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스토퍼(920)는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끝단에 직육면체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탄성판(900)을 사이에 두고 제3스프링(740)의 중앙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삽입홈(571)에 삽입된다.
스토퍼(920)가 X축의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홈(571)에 삽입되면, 끝단은 탄성판(900)과 밀착되어 탄성판(900)이 휘어지는 것을 차단하고, 캠(500)이 회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탄성판(900)을 통해 느슨해진 제3스프링(740)의 탄성력을 개선할 수 있고, 추가로 스토퍼(920)를 삽입홈(571)에 삽입시켜 캠(50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삽입홈(572)에 스토퍼(920)를 삽입시켜 캠(500)의 회전을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제한할 수 있다.
캠(500)의 회동 제한을 통해 래치장치(120)의 오작동으로 쿠션프레임(20)이 폴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제3스프링(740)의 탄성력 저하 보강을 통해 래치장치(120)의 구동안정성이 개선된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래치장치(140)는 레버(420), 캠(550), 제1스프링(702), 제2스프링(712), 제1축(322), 제2축(342), 측면돌출부(352) 및 측면돌출부(362)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의 래치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래치장치(140)는 X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래치장치(140)를 주시한 상태에서의 일측면도를 기준으로 설명되고, 제1축(322) 및 제2축(342)들 각각의 회동축은 X 방향 또는 X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한다.
래치장치(140)는 레버(420), 캠(550), 제1스프링(702), 제2스프링(712), 제1축(322), 제2축(342) 및 측면돌출부(352, 362)들을 포함한다.
레버(420)의 일단은 기어브라켓(200)에 인접한 위치에서 Y축 방향에 해당하는 부분에 결합된 제1축(322)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Y축과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레버(420)의 타단에서 Z축 방향쪽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돌기 형태의 제3투스(414)들이 레버(4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1투스(21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제1홈들 각각에 삽입된다.
레버(420)의 타단에서 Z축 방향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타단의 일부분이 Z축 방향을 향해 함몰된 안착홈(416)이 형성되고, 안착홈(416)에 위치하는 레버(420)의 외측면은 Z축 방향을 향해 돌출된 아치 형태로 형성된다.
캠(550)의 일단은 회동판(300) 타단부터 Z축 방향과 반대 방향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케이블(30)과 결합되고, 중앙부는 Y축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치우친 Z축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회동판(300)의 타단에 결합된 제2축(342)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캠(550)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Z축 방향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안착홈(416)에 삽입되는 제1돌출부(522)가 형성되고, 제2돌출부(542)에서 Y축 방향쪽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안착홈(416) 및 레버(420)의 일단 사이에 밀착되는 제2돌출부(542)가 형성된다.
측면돌출부(352)는 X축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제1축(322)에 인접한 위치에서 레버(420)를 사이에 두고 기어브라켓(200)과 이격된 위치에 회동판(300)과 결합된다.
측면돌출부(362)는 X축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제2축(342)과 인접한 위치에서 제2축(342)을 사이에 두고 제1돌출부(522)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동판(300)과 결합된다.
제1스프링(702)의 일단은 측면돌출부(352)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축(322)의 외측면에서 시계 반대 방향을 향해 나선 연장되며 제1축(322)에 권취된 후 제3투스(414) 및 레버(420)의 일단 사이에서 레버(4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스프링(702)의 타단은 제3투스(414) 및 레버(420)의 타단을 Z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레버(420)에 전달한다.
제2스프링(712)의 일단은 측면돌출부(362)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축(342)을 향해 연장되고 시계 방향으로 나선 연장되며 제2축(342)에 권취되며, 제1돌출부(422) 및 캠(550)의 일단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로 연장되어 캠(550)과 결합된다.
따라서, 제2스프링(712)의 타단은 제1돌출부(522)를 Z축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캠(550)에 전달하고, 제1돌출부(522)에 전달되는 탄성력은 안착홈(416)에서 레버(420)의 타단을 Z축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래치장치(140)는 상대적으로 Z축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케이블(30)을 당기는 방향이 전방을 향하도록 제작되어, 운전석에서 후방에 위치하는 시트에 연결된 래치장치(140)의 조작이 용이하고, 케이블(30)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래치장치 200: 기어브라켓
300: 회동판 400, 420: 레버
500, 550: 캠 600: 커버
800: 회동스프링

Claims (6)

  1. 시트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외측에 복수의 홈들이 형성된 기어브라켓;
    일단은 상기 시트프레임에 샤프트를 통해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프레임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판;
    일단은 상기 회동판의 타단을 향해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판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홈들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레버;
    상기 레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어브라켓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레버와 맞물리고, 상기 레버를 향해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판과 결합된 캠; 및
    상기 회동판 및 쿠션프레임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캠을 상기 회동판의 타단을 향해 당기면, 상기 레버의 타단이 상기 홈들에서 분리되고, 상기 쿠션프레임은 폴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일단은 제1축을 통해 상기 회동판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기어브라켓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에는 상기 홈들 각각에 삽입되는 투스들 및 상기 투스들의 반대편에서 상기 투스들을 향해 함몰된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1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어브라켓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회동판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축에 권취된 후 상기 레버의 일단 및 상기 투스들 사이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일단은 상기 레버의 타단에 인접한 제2축을 통해 상기 회동판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안착홈을 향해 연장 및 삽입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와 분리되어 상기 제1축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2돌출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2축을 사이에두고 상기 제2돌출부과 이격된위치에서 상기 회동판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축에 권취된 후 상기 캠의 일단 외측 및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투스들 및 상기 레버의 일단 사이에 결합된 후 상기 제1축에 권취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상기 제2축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상기 제2축과 권취된 후 상기 제2돌출부 및 상기 캠의 일단 사이에 결합되는 제3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KR1020190107022A 2019-08-30 2019-08-30 차량용 래치장치 KR10220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022A KR102200090B1 (ko) 2019-08-30 2019-08-30 차량용 래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022A KR102200090B1 (ko) 2019-08-30 2019-08-30 차량용 래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090B1 true KR102200090B1 (ko) 2021-01-08

Family

ID=7412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022A KR102200090B1 (ko) 2019-08-30 2019-08-30 차량용 래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766A (ko) * 2021-10-05 2023-04-12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시트용 래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딩 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160A (ko) * 2010-05-06 2011-11-14 평화정공 주식회사 시트백 래치
KR20120033822A (ko) * 2010-09-30 2012-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래치 구조
KR20130021097A (ko) * 2011-08-22 2013-03-05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시트 백 래치
KR101716981B1 (ko) * 2015-12-24 2017-03-16 현대다이모스(주) 시트 폴딩 래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160A (ko) * 2010-05-06 2011-11-14 평화정공 주식회사 시트백 래치
KR20120033822A (ko) * 2010-09-30 2012-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래치 구조
KR20130021097A (ko) * 2011-08-22 2013-03-05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시트 백 래치
KR101716981B1 (ko) * 2015-12-24 2017-03-16 현대다이모스(주) 시트 폴딩 래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766A (ko) * 2021-10-05 2023-04-12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시트용 래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딩 시트
KR102589932B1 (ko) 2021-10-05 2023-10-17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시트용 래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딩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955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US8833853B2 (en) Seat for vehicle
JP4754549B2 (ja) 回動可能要素を備えた機能装置
JP6990843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US5762400A (en) Seat reclining mechanism
US8807652B2 (en) Back reclining apparatus interlocking with seat cushion for vehicle
WO2007145418A1 (en) Reclining device for seats in vehicles
JP4612519B2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の構造
JP2009509597A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CN101314331A (zh) 交通工具座椅
KR102200090B1 (ko) 차량용 래치장치
JP2012092636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627732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JP2024026577A (ja) 車両用ミラー装置
KR10147022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CN107206894B (zh) 动力传递装置
CN210707004U (zh) 汽车座椅快速放倒机构
US9126511B2 (en) Self-locking step-by-step mechanism for an adjustment device of a vehicle seat
KR100737263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구조
JPH0429812Y2 (ko)
KR101002730B1 (ko)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접이장치
KR102249767B1 (ko) 자동차용 도어 그립 핸들
CN110329122B (zh) 汽车座椅快速放倒机构
JP3527173B2 (ja) ラチェット式レバー機構
KR101041786B1 (ko) 럼버 서포터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