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465B1 -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465B1
KR102199465B1 KR1020200069560A KR20200069560A KR102199465B1 KR 102199465 B1 KR102199465 B1 KR 102199465B1 KR 1020200069560 A KR1020200069560 A KR 1020200069560A KR 20200069560 A KR20200069560 A KR 20200069560A KR 102199465 B1 KR102199465 B1 KR 102199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jig
hairpins
fixing jig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종
조두형
Original Assignee
(주)인레이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레이저 filed Critical (주)인레이저
Priority to KR1020200069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02K15/0414Windings consisting of separate elements, e.g. bars, hairpins, segments, half coils
    • H02K15/0421Windings consisting of separate elements, e.g. bars, hairpins, segments, half coils consisting of single conductors, e.g. hair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23Q7/142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 B23Q7/144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using carts carrying work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테이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각 열마다 복수개로 배치되는 헤어핀을 일정 개수 별로 분할 및 홀딩하여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는, 스테이터에 마련된 다수개의 헤어핀들을 일정 개수별로 분할하여 홀딩시키는 홀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DEVICE FOR STATOR HAIRPIN ALIGNMENT}
본 발명은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이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각 열마다 복수개로 배치되는 헤어핀을 일정 개수 별로 묶어 용접장치에 제공할 수 있는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이터는 다수의 스테이터 코어에 코일을 권선한 것으로 각 스테이터 코어를 용접하여 형성되며, 복수개의 헤어핀을 갖는다.
헤어핀(hairpin)은 절연 피복된 'U'자 형태의 각동선으로, 양측 직선 도체부와, 양측 직선 도체부의 하단을 상호 연결되게 하는 턴부와, 양측 직선 도체부의 상단으로 서 절연피복을 박리한 헤어핀 단부를 구비한다.
헤어핀은 전기자 또는 고정자의 코어에 권선하여 코일부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헤어핀은 양측 직선 도체부를 코어의 슬롯에 삽입 고정하되, 소정 길이의 상부를 코어의 축 방향 상부로 노출시키고, 턴부를 코어의 축 방향 아래에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코어에 장착된다. 그리고, 코어의 축 방향 상부로 노출된 양측 직선 도체부의 상부를 권선 방식에 따라 절곡하여 정렬한다.
정렬된 상태를 보면, 코어의 반경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헤어핀 단부로 이루어지는 헤어핀 단부군이 코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반복되게 배열 된다.
그리고, 각각의 헤어핀 단부군에 속한 헤어핀 단부는 2개씩 쌍을 이루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용 접하여, 코어의 코일부를 형성하게 한다.
하지만, 절곡하여 정렬한 헤어핀 단부군의 헤어핀 단부는 용접하기에 적합할 정도로 정렬되어 있지는 않는다.
이에, 용접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용접할 헤어핀 단부 쌍을 밀착시키는 정렬 과정을 수행한 후 용접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61522호 및 한국 등록특허 제10-0493609호는 헤어핀 단부군을 반경 방향의 내측 및 외측에서 가압하는 수단, 헤어핀 단부군을 원주 방향 양측에서 가압하는 수단, 및 헤어핀 단부군의 헤어핀 단부 쌍 사이에 삽입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61522호 및 한국 등록특허 제10-0493609호는 스테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어 배치되며, 각 열마다 배치된 헤어핀을 일정 개수로 분할하여 구획하는 수단을 포함하지 않아 용접의 품질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61522호 및 한국 등록특허 제10-0493609호는 각각의 수단을 분리하여 제작 설치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게 구성되어서,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고, 복잡한 구동 방식으로 연동시켜야 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헤어핀 단부군를 하나씩 정렬하며 용접해야 하므로, 용접 시간을 지체시켜 공정 효율을 저하시킨다.
또한, 각각의 수단 사이의 맞물림을 정교하게 하지 않으면, 헤어 핀 단부군을 제대로 정렬하지 못하는 문제도 일으켜서, 용접 불량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1522호 등록특허공보 제10-049360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테이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각 열마다 복수개로 배치되는 헤어핀을 일정 개수 별로 분할 및 홀딩하여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는, 스테이터에 마련된 다수개의 헤어핀들을 일정 개수별로 분할하여 홀딩시키는 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스테이터가 안착되는 안착지그, 상기 안착지그의 상측에서 승강실린더에 의해 스테이터에 대해 승강될 수 있으며, 스테이터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이루어 배치된 헤어핀들이 열마다 구획되어 각각 관통하게 되는 다수개의 제1 분할홀들이 형성된 승강지그, 상기 승강지그의 상측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분할홀들과 각각 대응되어 상기 헤어핀들이 구획되게 관통하게 되는 다수개의 제2 분할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분할홀들의 내면에는 각 열마다 배치된 헤어핀들을 일정 개수별로 분할하기 위한 구획편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실린더의 피스톤에는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승강지그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어, 피스톤이 승강되면 승강지그가 승강되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구획편이 상기 헤어핀을 분할하도록 상기 고정지그의 회전작동을 제어하는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고정지그에 형성되는 맞물림부, 상기 승강지그에 형성되며 상기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래치, 상기 래치에 개방에 필요한 가압력을 공급하며 실린더로 형성되는 개방구동부, 상기 래치가 개방시 상기 고정지그가 회전하여 상기 구획편들이 헤어핀들의 사이 공간에 각각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지그를 탄성적으로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지그에 결합되고 상기 맞물림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연결부, 상기 승강지그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와 대향되는 대향부, 상기 연결부와 대향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래치가 미 개방시 연결부와 대향부의 사이에 압축되고, 상기 래치가 개방시에는 팽창되면서 고정지그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상기 구획편들이 헤어핀들의 사이 공간에 각각 개재시킨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고정지그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분할홀과 제2 분할홀에 상기 헤어핀이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지그를 스테이터 방향으로 가압하는 프레싱부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는, 스테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각 열마다 복수개로 배치되는 헤어핀을 일정 개수 별로 분할 및 홀딩하여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양질의 스테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에 적용된 홀딩부 및 로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에 적용된 홀딩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에 적용된 홀딩부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에 적용된 홀딩부가 헤어핀을 분할하여 홀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에 적용된 홀딩부 및 로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에 적용된 홀딩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에 적용된 홀딩부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에 적용된 홀딩부가 헤어핀을 분할하여 홀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1)는, 스테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각 열마다 복수개로 배치되는 헤어핀(41)을 일정 개수별로 묶어, 레이저 용접부(미도시)에 의해 용접되도록 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는, 홀딩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딩부(10)는 로딩부(30)로부터 스테이터를 공급받아 스테이터(40)의 헤어핀(41)들을 일정 개수별로 분할하여 홀딩시킨다.
이때, 도면에는 스테이터(40)의 각 열마다 헤어핀(41)이 6개씩 적용되고, 후술되는 홀딩부(10)가 각 열의 헤어핀(41)을 2개씩 홀딩시켜 용접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1)는 각 열마다 6개 이하 또는 6개 이상의 헤어핀(41)이 형성된 다양한 타입의 스테이터(40)를 용접할 수 있고, 각 열의 헤어핀(41)을 2개 이하 또는 2개 이상으로 홀딩시킬 수 있음을 밝힌다.
계속해서 홀딩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지그(11), 승강지그(12), 고정지그(13), 락킹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지그(11)는 스테이터(40)의 저면이 안착되는 것으로, 대략 다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분에는 스테이터(40)의 하측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홀(11a)이 형성된다.
승강지그(12)는 안착지그(11)의 상측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승강실린더(14)에 의해 스테이터(40)에 대해 승강되는 승강판(121), 승강판(121)의 중앙에 배치되는 제1 분할홀(12a)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실린더(14)는 안착지그(11)와 승강지그(12)의 사이에 스테이터(40)가 출입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만들어 주면서 승강지그(12) 및 고정지그(13)의 분할홀(12a,13a)의 스테이터(40)의 헤어핀(41)이 서로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승강지그(12)를 스테이터(40)에 대해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승강실린더(14)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승강판(12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승강실린더(14)의 피스톤에는 대략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승강판(121)의 저면을 단순 지지하는 지지편(15)이 형성된다.
따라서, 피스톤이 상승되면 승강판(121)이 상승되고, 피스톤이 하강되면 승강판(121)이 하강된다.
이때, 안착지그(11)와 승강판(121)은 승강로드(16)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승강로드(16)는 4개로 구성되어 안착지그(11)와 승강지그(12)의 각 모서리 부분을 연결한다.
그리고, 승강판(121)는 승강실린더(14)에 의해 승강로드(16)를 따라 승강된다.
따라서, 로딩부(30)가 스테이터(40)를 로딩하는 과정에서는 승강실린더(14)를 통해 승강판(121)을 상승시켜 안착지그(11)와 승강판(121)의 사이에 스테이터(40)가 인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만들어 주면 되고, 안착지그(11)에 스테이터(40)가 안착되면 승강실린더(14)를 통해 승강판(121)을 하강시켜 안착지그(11)와 승강판(121)의 사이에 스테이터(40)가 가압되면서 분할홀(12a,13a)과 헤어핀(41)이 서로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면 된다.
제1 분할홀(12a)은 다수개로 적용되며 각 열에 위치된 헤어핀(161)과 대응되게 승강판(121)의 중앙부분에 서로 원을 그리는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승강판(121)이 승강실린더(14)에 의해 하강되면 제1 분할홀(12a)에 스테이터(40)의 각 열마다 배치된 헤어핀(41)들이 각각 구획되어 관통하게 된다.
이때, 제1 분할홀(12a)들의 배열 간격은 헤어핀(41)의 배열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나아가, 제1 분할홀(12a)은 각각 각 열 마다 배치된 6개의 헤어핀(4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각 열에 배치된 헤어핀(41)들이 각각의 제1 분할홀(12a)에 수용된다.
고정지그(13)는 각각의 제1 분할홀(12a) 마다 수용된 헤어핀(41)을 일정 개수별로 구획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고정지그(13)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지그(13)는 승강판(121)의 상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승강판(121)에는 고정지그(13)이 중앙부분이 장착되는 링 형상의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지그(13)의 가장자리는 승강판(121)의 상면에 서로 원을 그리는 형태로 매립되며 제1 분할홀(12a)과는 소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볼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지그(13)는 링 형상의 베어링과 볼베어링을 통해 승강지그(12)의 상면에서 원활하게 소정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고정지그(13)의 회전작동은 후술되는 락킹부(17) 및 언락킹부(70)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 락킹부(17)와 언락킹부(70)와 함께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지그(13)에는 스테이터(40)의 각 열마다 배치된 헤어핀(41)들이 각각 구획되어 관통하게 되는 다수개의 제2 분할홀(13a)들이 형성된다
제2 분할홀(13a)의 형상, 개수 및 간격은 제1 분할홀(12a)과 동일하다.
승강판(121)이 승강실린더(14)에 의해 하강되면 스테이터(40)의 각 열마다 배치된 헤어핀(41)들은 각각의 제1 분할홀(12a)과 제2 분할홀(13a)에 공동으로 수용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1)는, 고정지그(13)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1 분할홀(12a)과 제2 분할홀(13a)에 헤어핀(41)이 원활하게 수용되도록 고정지그(13)를 스테이터(40) 방향으로 가압하는 프레싱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싱부(20)는 유압실린더(21)에 의해 승강된다.
프레싱부(20)는 고정지그(13)에 충분한 가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일정 중량을 갖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안착지그(11)에 스테이터(40)가 안착되면 승강실린더(14)가 선행 작동하여 승강판(121)을 하강시키고, 이어서 프레싱부(20)가 유압실린더(21)에 의해 하강되어 고정지그(13)의 상면을 가압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분할홀(13a)들의 내면에는 각 열마다 배치된 헤어핀(41)들을 일정 개수별로 분할하기 위한 구획편(13b)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1)는 각 열마다 6개로 배치된 헤어핀(41)을 2개씩 홀딩시키게 됨으로, 구획편(13b)은 각각의 제2 분할홀(13a)에 2개씩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구획편(13b)은 6개의 헤어핀(41)을 2개씩 분할 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때, 구획편(13b)은 6개 초과 또는 미만의 헤어핀을 묶을 수 있도록 그 개수 및 간격은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편(13b)은 고정지그(13)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헤어핀(41)들의 사이에 인입되거나 또는, 헤어핀(41)들의 사이에서 인출된다.
락킹부(17)는 고정지그(13)의 회전작동을 제어하여 구획편(13b)들이 헤어핀(41)들의 사이에 인입되어 헤어핀(41)을 분할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락킹부(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부(171), 래치(172), 개방구동부(173), 지지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맞물림부(171)는 고정지그(13)의 상면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2개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맞물림부(171)는 래치(172)와 맞물릴 수 있도록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대략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래치(172)는 승강판(121)의 상면에 결합되며, 맞물림부(171)와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래치(172)는 맞물림부(171)와 마주하는 전측 부분이 대략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맞물림부(171)와 맞물릴 수 있다.
이때, 래치(172)와 맞물림부(171)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고정지그(13)가 회전되지 아니하여 제1 분할홀(12a)과 제2 분할홀(13a)이 수직선상에 위치되고, 구획편(13b)은 헤어핀(41)을 구획하지 아니한다.
래치(172)는 중앙부분이 축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후측 저면에는 승강판(121)의 상면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미도시)과 결합된다.
이때, 맞물림부(171)와 래치(172)는 서로 접하는 경사면(171a,172a)이 각각 형성된다.
경사면(171a,172a)은 후술되는 언락킹부(70)를 통해 래치(172)와 맞물림부(171)를 맞물릴 때 그 과정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경사면(171a,172a)을 통해 래치(172)와 맞물림부(171)를 맞물리는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 언락킹부(70)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개방구동부(173)는 래치(172)에 개방에 필요한 가압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개방구동부(173)는 피스톤이 래치(172)의 후측 상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피스톤은 하강시 래치(172)의 후측 상면을 가압하여 래치(172)가 맞물림부(171)의 상측으로 상승 회동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래치(172)와 맞물림부(171)는 서로 이격된다.
그리고, 피스톤이 상승되어 래치(172)와 이격되면, 래치(172)는 스프링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지지부(174)는 래치(172)가 개방시 상기 고정지그(13)가 회전하여 상기 구획편(13b)들이 헤어핀(41)들의 사이 공간에 각각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지그(13)를 탄성적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지지부(174)는 연결부(1741), 대향부(1742), 탄성부(174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741)는 고정지그(13)의 상면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연결부(1741)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대향부(1742)는 승강판(121)의 상면에 결합된다.
대향부(1742)는 연결부(1741)와 대응되는 개수로 적용되어 각각의 연결부(1741)와 대향된다.
탄성부(1743)는 연결부(1741)와 대향부(1742)를 각각 각각 연결한다.
탄성부(1743)는 연결부(1741)와 탄성부(1743)들을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기타 탄성을 갖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탄성부(1743)는 래치(172)가 미 개방된 상태, 즉 래치(172)와 맞물림부(171)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연결부(1741)와 대향부(1742)의 사이에 압축된다.
그리고, 래치(172)가 개방된 상태, 즉 개방구동부(173)에 의해 래치(172)가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 맞물림부(171)와 맞물리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팽창되면서 연결부(1741)를 밀어낸다.
따라서, 고정지그(13)는 탄성부(1743)의 팽창된 길이만큼 회전된다.
이와 같은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할홀(12a)과 제2 분할홀(13a)이 소정 영역 어긋나고 구획편(13b)이 헤어핀(41)들의 사이에 각각 인입되어, 결국 구획편(13b)이 각 열마다 위치한 헤어핀(41)들을 2개씩 분할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
10 : 홀딩부 11 : 안착지그
11a : 수용홀 12 : 승강지그
12a : 제1 분할홀 121 : 승강판
13 : 고정지그 13a : 제2 분할홀
13b : 구획편 14 : 승강실린더
15 : 지지편 16 : 승강로드
17 : 락킹부 171 : 맞물림부
171a,172a : 경사면 172 : 래치
173 : 개방구동부 174 : 지지부
1741 : 연결부 1742 : 대향부
1743 : 탄성부 20 : 프레싱부
21 : 유압실린더 30 : 로딩부
40 : 스테이터 41 : 헤어핀

Claims (5)

  1. 스테이터에 마련된 다수개의 헤어핀들을 일정 개수별로 분할하여 홀딩시키는 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스테이터가 안착되는 안착지그,
    상기 안착지그의 상측에서 승강실린더에 의해 스테이터에 대해 승강될 수 있으며, 스테이터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이루어 배치된 헤어핀들이 열마다 구획되어 각각 관통하게 되는 다수개의 제1 분할홀들이 형성되는 승강지그,
    상기 승강지그의 상측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분할홀들과 각각 대응되어 상기 헤어핀들이 구획되게 관통하게 되는 다수개의 제2 분할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분할홀들의 내면에는 각 열마다 배치된 헤어핀들을 일정 개수별로 분할하기 위한 구획편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실린더의 피스톤에는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승강지그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어, 피스톤이 승강되면 승강지그가 승강되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구획편이 상기 헤어핀을 분할하도록 상기 고정지그의 회전작동을 제어하는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고정지그에 형성되는 맞물림부,
    상기 승강지그에 형성되며 상기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래치,
    상기 래치에 개방에 필요한 가압력을 공급하며, 실린더로 형성되는 개방구동부,
    상기 래치가 개방시 상기 고정지그가 회전하여 상기 구획편들이 헤어핀들의 사이 공간에 각각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지그를 탄성적으로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지그에 결합되고 상기 맞물림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연결부,
    상기 승강지그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와 대향되는 대향부,
    상기 연결부와 대향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래치가 미 개방시 연결부와 대향부의 사이에 압축되고, 상기 래치가 개방시에는 팽창되면서 고정지그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상기 구획편들이 헤어핀들의 사이 공간에 각각 개재시키는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분할홀과 제2 분할홀에 상기 헤어핀이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지그를 스테이터 방향으로 가압하는 프레싱부를 더 포함하는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00069560A 2020-06-09 2020-06-09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 KR102199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560A KR102199465B1 (ko) 2020-06-09 2020-06-09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560A KR102199465B1 (ko) 2020-06-09 2020-06-09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465B1 true KR102199465B1 (ko) 2021-01-06

Family

ID=7412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560A KR102199465B1 (ko) 2020-06-09 2020-06-09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46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560B1 (ko) * 2021-02-08 2021-07-21 백영만 헤어핀 권선모터용 헤어핀 고정지그
CN113458836A (zh) * 2021-06-29 2021-10-01 东莞盛翔精密金属有限公司 多方向加工落料设备
KR20210130670A (ko) 2021-10-12 2021-11-01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모터 적층 코어 본딩용 지그
KR20210139201A (ko) 2021-11-03 2021-11-22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모터 코어 연속 본딩장치
KR20210154777A (ko) 2021-06-17 2021-12-21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모터 적층 코어 본딩용 지그
KR20210156805A (ko) 2021-12-08 2021-12-27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모터 적층 코어 본딩용 지그
CN115945561A (zh) * 2022-12-30 2023-04-11 江苏擎高精密工业部件有限公司 一种带有焊接夹具的成型模具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609B1 (ko) 2002-01-21 2005-06-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전기의 권선 접합방법
KR20050061522A (ko) 2002-10-07 2005-06-22 발레오 에끼쁘망 엘렉뜨리끄 모뙤르 회전식 전기기기 코일의 전기 전도체 세그먼트 쌍의 단부용접 장치
JP2016189657A (ja) * 2015-03-30 2016-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ンプ治具及び固定子の製造方法
JP2017005771A (ja) * 2015-06-04 2017-01-05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用固定子の製造装置
KR20200004571A (ko) * 2018-07-04 2020-01-14 주식회사휴비스 회전식 전기기기의 헤어핀 용접용 지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어핀 용접 방법
KR20200016088A (ko) * 2018-08-06 2020-02-14 정진호 헤어핀 권선모터에서의 지그를 이용한 고정자 제조방법
KR20200025141A (ko) *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휴비스 구동용 모터 헤어핀 연결용 정렬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609B1 (ko) 2002-01-21 2005-06-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전기의 권선 접합방법
KR20050061522A (ko) 2002-10-07 2005-06-22 발레오 에끼쁘망 엘렉뜨리끄 모뙤르 회전식 전기기기 코일의 전기 전도체 세그먼트 쌍의 단부용접 장치
JP2016189657A (ja) * 2015-03-30 2016-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ンプ治具及び固定子の製造方法
JP2017005771A (ja) * 2015-06-04 2017-01-05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用固定子の製造装置
KR20200004571A (ko) * 2018-07-04 2020-01-14 주식회사휴비스 회전식 전기기기의 헤어핀 용접용 지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어핀 용접 방법
KR20200016088A (ko) * 2018-08-06 2020-02-14 정진호 헤어핀 권선모터에서의 지그를 이용한 고정자 제조방법
KR20200025141A (ko) *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휴비스 구동용 모터 헤어핀 연결용 정렬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560B1 (ko) * 2021-02-08 2021-07-21 백영만 헤어핀 권선모터용 헤어핀 고정지그
KR20210154777A (ko) 2021-06-17 2021-12-21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모터 적층 코어 본딩용 지그
CN113458836A (zh) * 2021-06-29 2021-10-01 东莞盛翔精密金属有限公司 多方向加工落料设备
KR20210130670A (ko) 2021-10-12 2021-11-01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모터 적층 코어 본딩용 지그
KR20210154778A (ko) 2021-10-12 2021-12-21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모터 적층 코어 본딩용 지그
KR20210139201A (ko) 2021-11-03 2021-11-22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모터 코어 연속 본딩장치
KR20210154779A (ko) 2021-11-03 2021-12-21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모터 코어 연속 본딩장치
KR20210156805A (ko) 2021-12-08 2021-12-27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모터 적층 코어 본딩용 지그
CN115945561A (zh) * 2022-12-30 2023-04-11 江苏擎高精密工业部件有限公司 一种带有焊接夹具的成型模具
CN115945561B (zh) * 2022-12-30 2024-04-02 江苏擎高精密工业部件有限公司 一种带有焊接夹具的成型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465B1 (ko) 스테이터 헤어핀 정렬장치
US11621618B2 (en) Coil segment processing method, coil seg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nection structure of coil segments
KR102165261B1 (ko) 스테이터 헤어핀 자동용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US6684489B2 (en) Apparatus for assembling a stator core
JP3589134B2 (ja) ステータ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9627950B2 (en) Method of servicing a power generator
CN102549892B (zh) 定子的制造方法以及制造装置
JP3551376B2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コイルの製造方法
WO2016140194A1 (ja) ステータ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1277060B2 (en) Align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ligned coil
EP1388925A2 (en) Stator coil made of joined conductor segments for rotary electric machin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069679A1 (en)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ends of at least first pair of legs of hairpin conductors
CN111434016A (zh) 线圈形成装置及线圈形成方法
US5942831A (en) Laminated core
US6510603B1 (en) Rotor production method including assembling a slot insulator and coil trunk into a set prior to insertion into an armature core
JP3783660B2 (ja) 回転電機のセグメント順次接合ステータコイル
JP2015195634A (ja) コイル巻線・セット方法及び装置
JP5562045B2 (ja) ステータの組み立て方法及びその組み立て装置
JP3376523B2 (ja) 連続巻線装置
US4557041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a dynamoelectric machine
JP3178468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ステータ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20040010906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ocating and stacking punchings for a generator stator core
KR102257124B1 (ko) 헤어핀 가정렬 장치
CA2417079A1 (en) Segmented dynamo-machine component fabrication
US11621616B2 (en) Apparatus for twisting welding portion of segment type stator c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