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364B1 -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 Google Patents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364B1
KR102199364B1 KR1020180085765A KR20180085765A KR102199364B1 KR 102199364 B1 KR102199364 B1 KR 102199364B1 KR 1020180085765 A KR1020180085765 A KR 1020180085765A KR 20180085765 A KR20180085765 A KR 20180085765A KR 102199364 B1 KR102199364 B1 KR 102199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apple
support blade
elastic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101A (ko
Inventor
류건호
Original Assignee
류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건호 filed Critical 류건호
Priority to KR1020180085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3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2003/005Removing bu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한번의 적과 작업으로 우량한 어린 사과열매를 남기고 원하지 않는 어린 사과열매를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한 적과가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는 하부가위(A)와 상부가위(C) 사이에 안전절단부(B)가 끼워져 체결부(32)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가위 및 상부가위는 상기 안전절단부까지 회전하면서 사과 꽃자루 또는 어린 사과열매의 자루를 잘라 준다. 상기 하부가위의 하부손잡이 위쪽에 형성된 하단고정부(34)와 탄성체고정홈(24)에 형성된 탄성체고정핀(36) 사이에 탄성체(25)가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하부손잡이가 벌어지면 동시에 하부가위(A)가 벌어지고,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가위의 상부손잡이 위쪽에 형성된 상단고정부(35)와 탄성체고정홈(24)에 형성된 탄성체고정핀(36) 사이에 탄성체(25)가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부손잡이가 벌어지면 동시에 상부가위(A)가 벌어진다.

Description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본원발명은 품질이 우수한 사과를 생산하기 위한 적과가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과나무의 어린 사과열매 중에 원하지 않는 사과열매를 제거하기 위한 사과 적과용 가위에 관한 것이다.
사과나무에서 우량한 사과를 얻기 위해서 많은 사과 꽃 또는 어린 사과를 적과해주어야 원하는 과실만을 생장시켜 준다. 즉, 꽃눈에서 꽃이 피면 한개의 가지에 5~6개의 꽃이 되는데 이때는 한개의 꽃만 남겨두고 다른 꽃은 제거하여 준다. 그러나 너무 이른 시기에 꽃을 모두 제거하게 되면 환경적인 요인으로 남은 꽃이 제역할을 못할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원하지 않은 꽃이 수정이 안되게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경우 약은 약대로 살포하고 차후 또다시 부실한 열매를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관계로 과일에 화학약품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의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하여 부실열매를 적정시기에 미리 가위로 제거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좋은 과일의 수확을 얻기위해 우량열매 1개를 보호하기 위하여는 우량열매의 주위에 있는 다른 열매를 제거해 주어야 한다. 사과나무에서 사과꽃이 지고나면 가운데에 맺힌 어린사과 주위에 여러개의 어린사과 열매가 달리는데 우량한 중앙부의 열매만 남기고 남은 열매들은 제거하여 준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적과라 한다.
이와 같이 원하지 않는 어린사과 열매를 제거하여 주는 적과 작업은 우량한 열매를 남기고 남은 어린열매를 일일이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과나무의 적과는 4월말에서 5월 초에 실시하게 되며, 이때 적과작업의 기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적과가 지연되면 원하지 않는 열매에 까지 영양분이 공급하게 되므로 영양분의 낭비가 심하게 된다. 또한 사과나무의 잎과 열매가 크게 성장하게 되면 적과 작업에 불편이 초래하고 적과 시간이 지연되어 작업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2-0078121A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한번의 적과 작업으로 우량한 어린 사과열매를 남기고 원하지 않는 어린 사과열매를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한 적과가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는 신속하게 어린 사과열매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영양분의 낭비를 감소시키고 남겨진 사과 열매에 영양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어 우량한 품질의 사과를 생산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안전절단 사과 적과가위를 이용하게 되면 어린 사과열매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단위면적당 투입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원발명은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사과 적과가위는 하부가위(A)와 상부가위(C) 사이에 안전절단부(B)가 끼워져 체결부(32)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하부가위 및 상부가위는 상기 안전절단부까지 회전하면서 사과 꽃자루 또는 어린 사과열매의 자루를 잘라 준다. 상기 하부가위의 하부손잡이 위쪽에 형성된 하단고정부(34)와 탄성체고정홈(24)에 형성된 탄성체고정핀(36) 사이에 탄성체(25)가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하부손잡이가 벌어지면 동시에 하부가위(A)가 벌어지고,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가위의 상부손잡이 위쪽에 형성된 상단고정부(35)와 탄성체고정홈(24)에 형성된 탄성체고정핀(36) 사이에 탄성체(25)가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부손잡이가 벌어지면 동시에 상부가위(A)가 벌어진다.
상기 안전절단부에 형성된 지지날(22)의 좌측지지날(22a) 및 우측지지날(22b) 외측으로 각각 톱니부(27)가 형성되어 절단하기 위한 꽃자루 또는 어린과실자루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원발명의 사과 적과가위는 번의 적과 작업으로 원하지 않는 어린 사과열매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발명의 사과 적과가위로 신속하게 어린 사과열매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남겨진 사과 열매에 영양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어 우량한 품질의 사과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전절단 사과 적과가위를 이용하게 되면 어린 사과열매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단위면적당 투입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어 인건비를 20~35% 정도까지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일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또 다른 일실시예이다.
품질이 좋은 우량한 사과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사과나무의 꽃이 필 때부터 원하지 않는 꽃을 제거하거나 적정한 시기에 어린 사과나무 열매를 제거하는 '적과(열매솎기)'를 해주어야 한다.
적과는 사과나무를 보호하고 크고 좋은 과실을 얻기 위해 한 나무가지에 너무 많이 달린 과실을 솎아 내고 몇개의 과실만을 남겨놓는 작업이다. 한 나무에 열매가 많이 달려있을수록 과실을 작아지기 때문이다. 사과나무 가지에 꽃이 핀 대로 모두 사과가 달리게 되면 나무의 영양이 분산되어 큰 사과를 얻기 힘들다.
사과나무의 사과꽃은 꽃이 형성되는 꽃눈에 보통 5~6개의 꽃이 피게되며, 특별한 이변이 없는 한 이들 꽃은 벌의 수정에 의해 사과로 자라게 되며, 이렇게 달린 어린 사과는 서로 영양분을 약탈하게 되어 작은 열매가 많이 달리게 된다. 이러한 어린 사과열매는 크게 키울 사과만 남기기 원하지 않는 어린 사과 열매는 제거해 주는데 보통은 4월 말부터 6월초까지 적과가 진행되나 너무 늦게 적과하게 되면 풀필요한 영양분이 소실된다.
보통 적과 작업은 사과꽃이 피었을 때부터 시작되기도 하나 1차 및 2차로 나누어서 진행되는 것이 보통이다.
보통 1차 작업에는 사과나무의 꽃핀 자리에서 어린 사과열매 한개 정도씩만 남겨두었다가 2차 작업에서 원하는 사과열매만 남기고 모두 제거하여 준다.
이때 적과를 신속하기 위해서는 적과용 가위를 사용하게 되는데 본원발명에서는 보다 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적과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새로운 사과용 적과가위를 창안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하여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일실시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또 다른 일실시예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사과 적과가위는 하부가위와 상부가위 사이에 안전하게 중심을 잡아주면서 하부가위 및 상부가위가 회동할 때 사과열매의 과실 자루를 양쪽에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본원발명의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는 하부가위(A)와 상부가위(C) 사이에 안전절단부(B)가 끼워져 체결부(32)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안전절단부(B)는 중앙부에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전절단부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하부가위와 상부가위가 안전절단부까지 회전하면서 사과 꽃자루 또는 어린 사과열매의 자루를 잘라 준다.
상기 하부가위의 하부손잡이 위쪽에 형성된 하단고정부(34)로부터 상기 안전절단부의 아래쪽에 형성된 탄성체고정홈(24)에 형성된 탄성체고정핀(36) 사이에 탄성체(25)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25)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손잡이가 벌어지면 동시에 하부가위(A)가 벌어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가위의 상부손잡이 위쪽에 형성된 상단고정부(35)와 탄성체고정핀(36) 사이에 탄성체(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고정핀은 상기 안전절단부의 하부에 형성된 탄성체고정홈(24)에 착설되고, 상기 탄성체(25)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손잡이가 벌어지면 동시에 상부가위(A)가 벌어진다.
작업자가 하부손잡이와 상부손잡이를 잡고 가위질을 하면 상기 안전절단부의 왼쪽 하부가위와 오른쪽 상부가위가 동시에 체결부(32)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안전절단부의 좌측 및 우측 사이에 있던 어린 사과열매의 과일자루가 한꺼번에 절단되고, 상기 안전절단부의 안쪽으로 형성된 내부 홈에 끼워진 우량한 어린 사과열매 자루는 가위질에도 잘려지지 않고 안전하게 보호된다.
상기 안전절단부에 형성된 지지날(22)의 좌측지지날(22a) 및 우측지지날(22b) 외측으로 각각 톱니부(27)가 형성되어 원하지 않는 절단하기 위한 꽃자루 또는 어린과실자루가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고 절단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가위질을 할 때 잘려져야할 과일의 자루가 이탈되어 여러번 가위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따라서 작업시간도 더 오래 걸리게된다.
도 2 및 도 3은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안전절단부(B)의 외부에 톱니부가 형성되지 않은 사과 적과가위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안전절단부에 형성된 지지날(22)의 좌측지지날(22a) 및 우측지지날(22b) 끝단부에 각각 돌출부(26)가 형성되고, 안전절단부에 안쪽에 형성된 내부 홈이 안쪽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어 절단하기 위한 꽃자루 또는 어린과실자루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내부 홈이 일직선으로 되어 있어 작업자가 가위질을 할 때 흔들리게 되어 어린 사과열매의 자루가 용이하게 빠져나가 원하는 어린 사과열매까지도 잘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5는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안전절단부에 형성된 지지날(22)의 좌측지지날(22a) 및 우측지지날(22b)의 내부 홈이 안쪽으로 길게 굴곡지게 형성되어 절단하기 위한 꽃자루 또는 어린과실자루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하부가위 및 상부가위로 가위질을 할 때 우량 사과열매의 자루는 굴곡진 내부 홈에 끼워져 쉽게 밖으로 이탈되지 않아 안전하게 유지된다.
A : 하부가위 B : 안전절단부 C : 상부가위
21 : 상부날 22 : 지지날 22a : 좌측지지날
22b : 우측지지날 23 : 하부날 24 : 탄성체고정홈
25 : 탄성체 26 : 돌출부 27 : 톱니부
32 : 체결부 34 : 하단고정부 35 : 상단고정부
36 : 탄성체고정핀 41 :하부손잡이 42 : 상부손잡이
100 : 적과가위

Claims (3)

  1.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에 있어서,
    상기 사과 적과가위는 하부가위(A)와 상부가위(C) 사이에 안전절단부(B)가 끼워져 체결부(32)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하부가위 및 상부가위는 상기 안전절단부까지 회전되며 물체를 절단하고,
    상기 하부가위의 하부손잡이 위쪽에 형성된 하단고정부(34)와 탄성체고정홈(24)에 형성된 탄성체고정핀(36) 사이에 탄성체(25)가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하부손잡이가 벌어지면 동시에 하부가위(A)가 벌어지고,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가위의 상부손잡이 위쪽에 형성된 상단고정부(35)와 탄성체고정홈(24)에 형성된 탄성체고정핀(36) 사이에 탄성체(25)가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부손잡이가 벌어지면 동시에 상부가위(A)가 벌어지며,
    상기 안전절단부에 형성된 지지날(22)의 좌측지지날(22a) 및 우측지지날(22b) 외측으로 각각 톱니부(27)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날(22)의 좌측지지날(22a) 및 우측지지날(22b) 끝단부에 각각 돌출부(26)가 형성되며,
    상기 안전절단부에 형성된 지지날(22)의 좌측지지날(22a) 및 우측지지날(22b)이 형성하는 내부 홈이 안쪽으로 길게 굴곡지게 형성되어 절단하기 위한 꽃자루 또는 어린과실자루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2. 삭제
  3. 삭제
KR1020180085765A 2018-07-24 2018-07-24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KR102199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765A KR102199364B1 (ko) 2018-07-24 2018-07-24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765A KR102199364B1 (ko) 2018-07-24 2018-07-24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101A KR20200011101A (ko) 2020-02-03
KR102199364B1 true KR102199364B1 (ko) 2021-01-06

Family

ID=6962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765A KR102199364B1 (ko) 2018-07-24 2018-07-24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564B1 (ko) * 2020-12-15 2024-02-16 이종웅 탄성 자루 정렬편을 구비한 적과가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652B2 (ja) * 1996-03-08 2000-09-11 株式会社喜多村合金製作所 配管用ホース
KR101285154B1 (ko) * 2011-03-03 2013-07-12 오대훈 집게가위
KR101681863B1 (ko) * 2016-03-04 2016-12-01 송진철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035Y2 (ko) * 1989-12-25 1992-11-12
KR20020078121A (ko) 2001-04-04 2002-10-18 최규호 속과기
JP3086652U (ja) * 2001-12-12 2002-06-28 和弘 猪飼 収穫用ハサ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652B2 (ja) * 1996-03-08 2000-09-11 株式会社喜多村合金製作所 配管用ホース
KR101285154B1 (ko) * 2011-03-03 2013-07-12 오대훈 집게가위
KR101681863B1 (ko) * 2016-03-04 2016-12-01 송진철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86652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101A (ko) 202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33984A (zh) 一种水稻杂交去雄方法
KR102199364B1 (ko) 안전절단이 용이한 사과 적과가위
JP5751507B1 (ja) 無核ブドウの房作り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って生産される生食用ブドウ
US20070157473A1 (en) Retrieving Shears
US20030182808A1 (en) V-cut knife for cutting crop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20078121A (ko) 속과기
US1410640A (en) Fowl retainer or holder
KR20160085578A (ko) 원형 칼이 구비된 적과장치
KR101637092B1 (ko) 수평 유동하는 칼날이 구비된 적과장치
CN210298668U (zh) 自消毒农用刀具
US3483592A (en) Method of preparing sides of meat for boning on an automatic machine
CN208523372U (zh) 对树木坐果期实施保护和果实安全采收一体化装置
CN105766399A (zh) 一种易操作环割剪刀
CN106386467A (zh) 一种高效粳稻杀雄方法
CN205105730U (zh) 一种园艺修枝高低均适用多功能剪刀
CN213662587U (zh) 一种打草莓侧芽装置
CN210168519U (zh) 一种四刃咬合疏花疏果剪
CN206791292U (zh) 桃杂交去雄剪刀
CN213586955U (zh) 一种环剥装置
CN106171945A (zh) 一种水稻杂交去雄方法
CN106106123A (zh) 一种水稻杂交去雄方法
KR102637564B1 (ko) 탄성 자루 정렬편을 구비한 적과가위
KR200268826Y1 (ko) 다목적 과일 수확기
CN206042898U (zh) 杂交象草种用茎杆切断装置
KR20160001910U (ko) 화분갈이가 편리한 이중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