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299B1 - 선박 기술을 이용한 전력 발생을 위한 풍력 터빈 - Google Patents

선박 기술을 이용한 전력 발생을 위한 풍력 터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299B1
KR102199299B1 KR1020157027763A KR20157027763A KR102199299B1 KR 102199299 B1 KR102199299 B1 KR 102199299B1 KR 1020157027763 A KR1020157027763 A KR 1020157027763A KR 20157027763 A KR20157027763 A KR 20157027763A KR 102199299 B1 KR102199299 B1 KR 102199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tower
power
vertical shaft
wind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801A (ko
Inventor
마르셀로 몬테이루 데 바로스
Original Assignee
마르셀로 몬테이루 데 바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르셀로 몬테이루 데 바로스 filed Critical 마르셀로 몬테이루 데 바로스
Publication of KR20150122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1/0658Arrangements for fixing wind-engaging parts to a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5/00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70Bear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F03D80/88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of mechanical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03D9/25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connected to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Arrangements therefor
    • F03D9/257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connected to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Arrangements therefor the wind motor being part of a wind f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60Cooling or heating of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지 또는 연안에 있을 수 있는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평-샤프트/수직-트랜스미션 풍력 터빈에 관한 것으로, 나셀, 마스트 및 기초부에서 재료 및 구조물을 감소시키고 많은 장비를 마스트의 기부로 이동시켜서, 설비 투자를 감소시키고 터빈들의 작동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고, 풍력 발전 지역에서 설치된 파워의 비용(설치된 MW)을 감소시킨다. 회전자로부터 나오는 기계적 에너지는 마스트를 따라 선박 기술을 포함하는 수직 샤프트 시스템(6)에 의해 전달되고, 상기 수직 샤프트 시스템은 하모닉스를 중성화도록 플랫폼(1)들을 기반으로 하고 H/Vst(3) 및 V/Hmvst(4) 트랜스미션에 연결되고, 수축 및 팽창 조인트(2)를 사용하여 커플링된다. 이에 부가하여, 트랜스미션, 브레이크 제어부 및 블레이드 피치 제어부의 토크 제어부에 연결되는 회전자 지향 시스템(YAW 제어부)(29)는 회전자가 적절히 위치 설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스트들과 제어 센터 사이의 라디오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시스템의 신뢰성 및 일반적인 안전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선박 기술을 이용한 전력 발생을 위한 풍력 터빈 {WIND TURBINE FOR GENERATING ELECTRICITY WITH NAVAL TECHNOLOGY}
본 발명은 전력의 발생을 위한 대형-크기의 풍력 터빈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주요 목적은 부품들의 혁신적인 배열을 기초로 하여 대형 크기의 풍력 발전기의 기술적 설비를 제시하는 것이다.
동력은 인간 생존 및 발전을 위한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기반이며 풍력은 비 오염적이고 재생가능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차이점을 갖는다. UN 및 국제 과학계에 따라, 낮은 탄소 방출을 하는 경제적인 모델로 신속하게 변경할 것이 필요한데, 이 모델은 천연 자원을 적게 소모하고 이의 개발시 적은 온실 가스를 발생하고, 이에 의해 지구 온난화를 회피한다. 다음 세대의 미래를 보장하기 위하여, 풍력과 같이 비오염적이고 재생가능한 동력 발생에 대한 기술들이 이러한 변화에서 관련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및 다른 이유들 때문에, 풍력의 사용은 전세계적으로 최근 5년 동안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브라질인과 세계적 에너지 망에서 점차적으로 더 많은 역할을 제공하고 있다.
최신 기술은 장비의 90%가 타워의 상부 부분에 위치된 나셀(nacelle) 내에 있고 기껏해야 이용가능한 공기 역학적 동력을 사용하기 위하여 120 m 초과의 높이에서 지지되어야 하고 여전히 풍향에 따라 지향될 수 있는, 이러한 위치에서 일부 경우들에서 수백톤에 달하는 과도한 질량의 집중을 유발하는 터빈을 제공한다.
전력 발생 시스템이 현재 나셀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집중적인 전자기장들이 발생되고, 이 전자기장은 풍력 타워들 간의 라디오를 통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지점-대-지점 및 지점-대-다지점 라디오)의 작동을 방해하여, 현 제어 시스템에는 나셀과 타워 자체의 하부 부분 사이에서만 라디오 통신이 제공될 수 있어 이러한 타입의 통신에 내재하는 실패될, 긴 지하 케이블들 통한 데이터 교환이 발생하며, 이는 특히 비상 상황들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때 실패 경감 시스템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작동하여 엄청난 참사를 회피한다.
100 m 초과 높이에서 발전기 및 다른 부품들이 사용되는 다른 단점은 포함된 작업자들에 대한 부가 위험을 제공하는 것 외에, 이러한 종류의 장비의 우수한 작용을 위해 필요한 주기적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시도하기 위하여, C. K. Mong 에 의한 특허 GB2256010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시도될 수 있으며, 여기서 타워의 기부에 위치된 다이나모(dynamo)에 기계적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을 구비한 풍력 발생 터빈이 설명되지만, 균형잡힌 토크 제어를 고려하지 않는다. 전력 발생을 위한 저 동력 머신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의 능동 지향을 위한 시스템(YAW 제어)을 예측하지 못한 것 외에, 징후(indication; 40)에서 확인된 공기역학적 시스템은 회전자 위치 설정의 정확한 제어를 동력으로 가리기에(overlay)는 충분하지 않으며, 이는 메인 샤프트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로 또는 이에 따라 지향되는 상황을 초래하고, 이는 회전자가 정확히 정렬되지 않은 사실에 의해 바람 흐름 기계적 동력의 감소된 사용 효율을 초래하게 되고 이는 기계적 고장을 유발할 수 있고 극한적인 경우, 다른 문제점들 중에서 수직 전달 샤프트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G. Bauer 및 G. Berger에 의한 특허 EP1240443호, 및 J.M. Yoon에 의한 WO2011081401호는 예를 들면 자동차 산업과 같은 공지된 다른 분야들에서 많은 적용을 하는 차동 기어 박스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토크 제어와 함께 타워 기부로의 이동의 기계적 전달에 의해 나셀의 총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시도한다.
이러한 해법들은 회전 동력 전달이 발생하는 동안 차동 시스템이 효율의 손실을 초래하는 운동에 대한 반대의 힘을 발생하기 때문에 전달될 최대 동력에 대해 제한을 한다. 게다가, 프로펠러 피치 제어 시스템들 또는 브레이크 시스템들이 언급되지 않는다. 회전자 방향의 적절한 수단 및 기어 냉각 시스템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 같은 부품들의 결함은 이 같은 종류의 해법이 저 전력을 갖는 터빈에 적용되는 결론에 도달한다.
3가지 제안들에 의해 제외된 다른 관련 사실은 이로써 길고 슬림한 구조물이 부품들 상의 수직 샤프트의 비틀림, 벤딩(벤딩 비틀림), 압축 및 인장 강도, 버클링, 진동 및 팽창 및 열 수축을 겪는 기계적 영향들의 범위이다. 이러한 공기 탄성 기계적 뒤틀림 모두는 오정렬 및 치수 변경을 초래하며, 이는 이의 전체 효율에서 또는 부분들 및 부품들의 과도한 마모에 의해 기계적 동력 전달 시스템의 정밀한 작용을 손상시켜, 더 많은 유지 보수 요구를 발생하고, 시스템의 수명을 감소시키고 수리 불가능한 손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라디오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어 시스템, 통신 및 설치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나셀에서의 전자기 노이즈의 결함을 분석할 가능성을 언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풍력 발전 지역에 설치된 동력의 값(설치된 MW)을 감소시키는 목적과 함께 전력의 생성을 위한 풍력 장비에서 최신 기술의 혁신적인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어, 이미 공지된 프로젝트들과 상당히 상이한 산업적 용도에 사용될 풍력 터빈을 제안하며, 이는 타워를 따른 수직 전달을 사용하고 종래 방식으로 나셀에 수용되는 장비의 큰 부분을 지면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대상인, 선박 기술을 이용한 전력 발생을 위한 풍력 터빈은 풍력 설계에서의 규모적 이점(scale gain)을 가능하게 하여, 타워 기부에 장비의 큰 부분을 배치하는 나셀에서, 타워에서, 기초부에서 재료의 상당한 감소에 의한 전체 구조의 대응하는 증가 없이 터빈 동력의 증가를 하용한다. 이에 의해, 이의 최적 설계 및 이의 더 높은 경제적 실현성에 의해, 이러한 기술은 설치된 MW의 저 비용과 함께 종래의 풍력 터빈들에서 달성된 동력보다 더 높은 동력을 달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대상인, 선박 기술을 이용한 전력의 발생을 위한 풍력 터빈의 배치를 도시한다. 이는 아래와 같다:
도 1은 선박 기술을 이용한 풍력 터빈의 트랜스미션을 더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풍력 터빈의 일반적인 횡 단면도이다.
도 3은 "라디오 텔레 수퍼비전 인터-커뮤니케이터 스파크(Radio Tele Supervision Inter-communicator Spark)" 작용의 공중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풍력 발전 지역의 도면이다.
도 4는 "자체 잠금 서보-포지셔너 스파크용 YAW 구동 시스템(YAW Drive System for Self-Locking Servo-positioner Spark)"의 상세한 하부도이다.
도 5는 "자체 잠금 서보-포지셔너 스파크용 YAW 구동 시스템"의 기본 기능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직접 구동 발전기를 구비한 벙커를 상세하게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대형 선박의 "샤프트 라인(shaft line)"이다.
도 8은 "모터 샤프트 라인(motor shaft line)" 기술을 갖는 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트랜스미션의 일반도이다.
도면의 상세한 설명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풍력 터빈의 트랜스미션은 진동들 및 노이즈들을 중성화하도록 조화 지점(harmonic point)들 위로 타워를 따른 수직 샤프트(6)의 지지 플랫폼(1), 상부 트랜스미션 시스템 H/Vst(3)를 수직 샤프트(6)에 커플링하고 공기 탄성력들에 의한 구조적 뒤틀림들 및 팽창 및 열 수축 사안들을 조정하는 수축 및 팽창 조인트(2), 토크 센서를 구비한 상부 트랜스미션 시스템 H/Vst(3)(커플링된 토크 센서를 구비한 수평부/수직부), 하부 트랜스미션 시스템 V/Hmvst(4)(배속 및 토크 센서를 구비한 수직부/수평부), 이의 유압 제어부 옆의 상부 브레이크 디스크(5), 선박 기술을 사용하는 기계적 수직 샤프트 트랜스미션(6)(샤프트 라인), 그 유압 제어 시스템이 이 시스템에 근접한 유압 클램프들에 의해 구동되고 타워 기부에서 트랜스미션에 커플링되는 제 2 세트의 디스크 브레이크(7)들(하부 브레이크 시스템), 프로펠러 피치 제어부(8), 메인 샤프트(9), 발전기(10)로 이루어진다.
도 2는 풍력 터빈의 일반적인 도면을 횡단면도로 제공한다. 지하 벙커(11)가 (지면)상의 위치에서 볼 수 있으며, 이 지하 벙커는 디젤 발전 세트(13), 소방 시스템(14), 수직 샤프트(15)의 저 마찰 커플링, 회전자(16), YAW 제어부(17), 풍속 측정 타워(18), "텔레 수퍼비전 라디오 인터-커뮤니케이터 스파크"의 안테나(19)를 구비한 나셀, 냉각 유체 냉동 타워(20), 제어 캐비넷(21)를 지탱하는 수직 샤프트(12)용 콘크리트 기초부, 또는 "모노파일(moopile)" 축방향 베어링에 연결된다.
도 3은 "텔레 수퍼비전 라디오 인터-커뮤니케이터 스파크" 작용의 공중 인터페이스와 함께 풍력 발전 지역의 도면을 제공한다. "텔리 수퍼비전 라디오 인터-커뮤니케이터 스파크"의 공중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터빈에 설치된 라디오 안테나(19)들로 이루어지고, 이 라디오 안테나들은 다른 타워들 간에 통신하고, 이러한 타워들은 정보 집중 타워(28)와 통신하고 이 정보 집중타워는 제어 센터(27)와 정보를 교환하고, 벙커의 제어 캐비넷(21)에 위치되고, 센터(27)에 대한 직접적인 연결(지점-대-지점 라디오) 및 하나 이상의 중복부를 구비하며 또한 터빈과 동일한 라디오를 사용하고, 해당 풍력 터빈은 텔리커뮤니케이션 오퍼레이터들(전화, TV, AM 및 FM 라디오)(24)로부터 신호의 통과를 허용하며, 풍력 발전 지역 내의 라디오 신호(25)의 크로싱(crossing)을 허용하고, 데이터 교환의 물리적 수단(데이터 케이블들)은 라디오 센터(27) 까지 데이터 교환의 이러한 물리적 수단을 집중하는 연결부(26)들로 이루어진다. 터빈들의 배열은 라디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단지 예시적이고 풍력 발전 지역에서 머신들의 위치 설정의 완벽한 상태들이 아니다.
도 4는 YAW 구동 제어 시스템(29), 잠금을 위한 전자-기계적 및/또는 유압 시스템(30),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31), "수축 및 팽창 조인트"(2)를 포함하는 "자체-잠금 서보-포시셔너 스파크용 YAW 구동 시스템(YAW Drive System for Self-Locking Servo-positioner Spark)"을 상세하게 보여준다.
도 5는 시스템 작동의 기본 논리들로 이루어지는 "자체-잠금 서보-포지셔너 스파크용 YAW 구동 시스템"의 흐름도를 제시한다.
도 6은 수직 샤프트에 직접 연결된 멀티-폴 발전기(multi-pole generator)로 이루어지는 "직접 구동(direct drive)" 발전기(32)를 구비한 벙커를 상세하게 보여준다.
도 7 상에 대형 선박의 "샤프트 라인(shaft-line)"의 예가 도시된다.
도 8은 대형 컨테이너 선박(33)의 "모터 샤프트 라인" 트랜스미션의 도면을 제시한다. 이러한 선박은 80 MW 디젤 모터 및 수직 샤프트에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9 MW 전기 모터로 이루어지는 120 미터 초과 및 98 MW 파워의 수직 샤프트가 제공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대상인, 수평 샤프트 및 수직 트랜스미션을 구비한 풍력 터빈은 능동 축방향 멀티-블레이드 회전자(16)를 구동하기 위해 풍력을 사용하며 이 회전자는 이 같은 프로펠러들(능동 프로펠러 피치 제어부를 구비한 허브)의 피치를 변경하고 바람 및 또한 브레이크들을 더 잘 사용하도록 회전자에 근접한 기상 관측소와 통신하여, 터빈(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 힘)을 제동하기 위한 0도(프로펠러 페더), 또는 음의 각도로 영각(attack angle)을 취한다. 이러한 회전자는 메인 샤프트(9)에 고정되고 이 메인 샤프트는 전체 회전자를 유지하도록 보강된 스키드(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머신의 이러한 영역에 제공되는 축방향 힘들을 중성화하고 전체 회전자 조립체를 적절하게 유지하도록 특별한 베어링들을 구비한 베어링 하우징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베어링들에는 윤활 오일 펌핑 시스템이 제공된다.
메인 샤프트에 커플링된, 브레이크 디스크(5)(상부 브레이킹 시스템)이 있으며, 이 브레이크 디스크는 유압 클램프들에 의해 구동되고, 이 유압 클램프들의 상부 유압 제어 시스템은 스키드(메인 프레임)에 고정된다. 해당 스키드에는 바람 입사(본 건의 머신(상방) 상에 프로펠러상의 바람의 전방 입사가 있음)에 대해 수직하게 회전자를 위치 설정하는 방식으로 전체 상부 구조물의 위치 설정의 제어를 담당하는 기어모터들(YAW 구동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스키드는 특별히 큰 크기의 베어링(이 베어링에는 링 기어가 제공되고 이는 기어모터들 및 이들의 기어 피니언들이 전체 상부 조립체 기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에 고정되고 이어서 전체 상부 조립체를 풍력 터빈 유지 타워에 커플링한다. 회전자와 타워 사이의 이러한 상부 조립체의 통상적인 명칭은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나셀(17)로 불리며 나셀은 아래에서 언급된 모든 품목들을 수용한다.
또한 본 머신의 부분들인 다른 품목들은 접지 시스템들(브러시들, 와이어 로프들, 케이블, 등), 제어 케이블들, 전기 공급 케이블들, 일반 센서들, 엔코더들(위치 설정 센서들), 회전자 하우징 및 나셀 하우징 페어링(fairing)(17), 배터리들, 커패시터들, 적절한 소방 시스템(14), "텔레 수퍼비전 라디오 인터-커뮤니케이터 스파크"(여기 아래서 더 잘 설명될 상기 풍력 발전 지역 내의 터빈 간의 통신을 위한 라디오), 가이드 광, 일반 조명, 상부 제어 센터 및 풍속 측정 스테이션(18)이다. 위에서 언급된 품목들의 부분은 구조적으로 더 가벼움에도 불구하고 이미 기술의 상태의 부분들이며, 이들을 언급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이들 품목들 각각이 해당 특허의 수평 샤프트 및 수직 트랜스 미션을 구비한 풍력 터빈의 일 부분이기 때문이고 본 발명의 특징의 모든 상이한 세부 사항들이 아래 제시된다.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회전자(16)는 메인 샤프트(9)에 연결되고, 이러한 샤프트는 토크 센서(토크 센서가 커플링된 수평부/수직부)를 구비한 상부 트랜스미션 시스템 H/Vst(3)에 연결된다. 이러한 트랜스미션은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더 높은 회전 토크들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트랜스미션 시스템 H/Vst(3)은 나셀 스키드(17)(메인 프레임)에 정확히 타워의 상부 중심에(나셀(17)과 타워 사이의 연결부 중심에) 위치 설정된다. 이러한 H/Vst 트랜스미션은 3 m/s로부터의 바람에서 회전 토크를 수직 샤프트(토크 튜브 또는 샤프트 라인)에 전달하고, 수직 샤프트는 타워의 하부 부분에 대한 회전자 동력을 하부 트랜스미션 시스템 H/Vst(4)(배속 및 토크 센서를 구비한 수평부/수직부)에 기계적으로 전달하며, 이는 이어서 (지면 상의) 지하 벙커(11) 내부 또는 타워의 하부 부분에 설치된 머신(들)의 토크 곡선에 대한 적절한 모델들의 전력 발생을 위한 완전한 상태에 대한 트랜스미션 RMP를 취하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발전기(32)에 커플링되고, 발전기는 상세하게 추가로 설명될, 콘크리트 기초부 또는 "모노파일"에 연결된다.
수직 샤프트(6)는 또한 타워 기부의 멀티-폴 발전기(32)에 연결하는 직접 구동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수직 샤프트(6)에는 "모터 샤프트 라인"으로서 공지된 선박 기술이 제공된다.
이 같은 샤프트는 120 m 초과 거리에서 100 MW 초과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제로 이러한 산업에서 아직까지 볼 수 없었던 풍력 터빈 타워에서 이러한 수직 샤프트를 개발하기 위해 선박 공학 기술을 사용한다.
지지 플랫폼(1)은 타워를 따라 사용되는데, 이는 모든 동적 장치들로서, 이러한 수직 샤프트(6)(샤프트 라인)이 진동을 유발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이러한 크기를 가진 구조물의 완벽한 작용을 위해 중성화되어야 하는 하모닉스(harmonics)가 있다.
타워를 따른 이러한 지지 플랫폼(1)들은 수직 샤프트(6)(샤프트 라인)의 조화 지점에 전략적으로 배치되는데, 이는 타워가 정적이 아니며, 대형 선박에서와 같이, 타워는 예를 들면, 특히 공기 탄성, 버클링 및 벤딩 및 비틀림과 같은 상이한 힘들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이는 타워 자체 및 회전자 상의 풍하중에 의하며, 이에 따라 이러한 플랫폼들은 수직 사프트 상의 진동 및 노이즈들, 설계를 수행할 수 없게 만드는 제어 결함 현상을 중성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해당 지지 플랫폼(1)은 서로로부터 멀리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은데, 이는 지지 플랫폼들이 조화 지점들, RPM 및 터빈 동력에 따라 변화할 것이기 때문이다. 플랫폼(1)과 수직 샤프트(6) 사이에는, 신속하고 용이한 유지 보수를 위해 힌지 타입인 이러한 지지부들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위한 저마찰 커플링들이 있다.
온도 변화에 의해, 금속은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경향이 있다. 타워 팽창 및 수축은 수직 샤프트(6)의 팽창 및 수축과 동일하지 않다. 이러한 사안을 해결하기 위하여, "팽창 및 수축 조인트(expansion and shrinkage joint)"(2)가 개발되었고, 이 조인트는 상부 트랜스미션 시스템 H/Vst(3)을 수직 샤프트(6)에 커플링하고, 이는 구조의 열적 팽창 사안들을 조정하여, 이러한 자연 현상에 의해 유발되는 손상들을 제거한다.
이러한 조인트(2)는 또한 구조물 상의 공기 탄성 효과에 의해 유발되는 구조적 변화를 돕는다. 수직 샤프트(6)는 독립적으로 지지되는데(self-sustaining), 이는 또한 전자기 반발 커플링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구조물의 전체 중량이 타워 기부에서 축방향 베어링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중량 부하 나셀(17) 및 타워 구조물의 다른 지점들에서 중성화된다. 이러한 지점은 타워 기부에서 음향학적으로 격리된다.
바람에 의해 발생된 파워의 전달은 메인 샤프트(9), 이러한 부품들 사이에 유압 브레이크 디스크(5)를 가지는 상부 트랜스미션 시스템 H/Vst(3)(토크 센서를 구비한 수평부/수직부)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풍력 터빈 대상의 모든 부품들의 통상적인 작용에 종속하며, 이러한 트랜스미션은 조정가능한 커플링 시스템 "팽창 및 수축 조인트"(2)에 연결되며, 이 조인트는 팽창, 열 수축 및 (공기 탄성 효과들에 의한) 가능한 구조적 운동들에 따라 작동하고, 조화 진동들을 중성화하기 위해 지지 플랫폼(1)이 제공되고 구조물 상의 부하를 제거하기 위해 독립적인 수직 샤프트(6)에 연결되고, 음향학적으로 격리된 위치에서 축방향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최고로 가능한 산출 상태에서 발전기(32)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시스템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하부 트랜스미션 시스템 V/Hmst(4)(배속 및 토크 센서를 구비한 수직부/수평부)에 커플링된다.
제 2 세트의 디스크 브레이크들(하부 브레이킹 시스템)은 유압 클램핑에 의해 구동되는 타워 기부에서 트랜스미션에 연결되며, 이의 유압 커플링 시스템은 이러한 시스템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이러한 트랜스미션은 강한 바람(터빈 상의 돌발적인 충격), 폭풍(매우 강한 바람, 비 및 번개), 항풍 및 방향이 변화하는 바람과 같은 풍력 터빈의 모든 상태들을 견디도록 개발되었다.
이러한 트랜스미션의 브레이크 전자 제어 센터는 정보(신호들)를 브레이크 클램프 제어 유압 시스템들에 송신하여, 제동 강도 상태를 알려서 해당 풍력 터빈의 제동을 요구하는 어떠한 상태 하에서도 전체 트랜스미션의 감속 램프를 완벽하게 안전하게 제어한다.
상부 및 하부 트랜스미션(상부 트랜스미션 H/Vst(3) 및 하부 트랜스미션 V/Hmst(4))에 커플링되는 위치 및 토크 센서들은 신호들을 브레이크 제어부들에 송신하고, 이 브레이크 제어부들은 전체 트랜스미션의 제동을 안전하게 제어하여, 수직 샤프트(6) 및 상부(3) 및 하부(4) 트랜스미션들 상의 과도한 충격을 회피한다. 프로펠러 피치 제어부는 또한 전체 시스템의 완전한 균형을 위해 이러한 시스템과 통신한다.
수평 샤프트 및 축방향 샤프트 라인 트랜스미션을 구비한 풍력 터빈에서, 회전자가 상부 트랜스미션 H/Vst(3)에서 회전하고 이어서 수직 샤프트(6)에서 회전할 때, 비틀림 강도가 나셀(17)에 전달되는 하나의 임계적 사안이 있다.
이러한 회전력은 수직 샤프트(6) 운동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전체 나셀(17)을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해당 나셀(17)에는 바람 입사에 대해 회전자(16)를 수직하게 위치 설정하도록 전체 상부 구조물(YAW 구동)의 위치 설정의 제어를 담당하는 스키드(메인 프레임)에 고정된 기어모터들이 제공되어, 회전자가 회전하는 동안 발생하는 이 같은 운동을 상기시킨다.
이러한 사안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체-잠금 서보-포시셔너 스파크용 YAW 구동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은 수직 샤프트(6)가 반대 힘을 가하는 동안 또는 바람직하게는 회전자가 바람 입사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설정하도록 나셀(17) 운동에 대해, 방위각 제어(바람에 대해 수직하게 낙하하는 회전자를 위한 나셀(17)의 위치 설정(YAW 구동 시스템))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에 관련하는 회전자 위치 설정은 아래 방식으로 예시화될 수 있다: 수직 샤프트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나셀이 오른쪽으로 회전하여야 하는 경우, "자체-잠금 서보-포지셔너 스파크용 YAW 구동 시스템"가 수직 샤프트 운동에 유리하게(in favor to) 나셀을 위치설정할 것이고 나셀이 좌측으로 회전하여야 하는 경우, "자체-잠금 서보-포지셔너 스파크용 YAW 구동 시스템"가 수직 샤프트 운동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나셀을 위치 설정할 것이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엔코더들(각도 위치 설정 센서들)은 이러한 작업의 실행에 도움이 될 것이다. 지금 제안된 시스템의 차이는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YAW 제어 및 이러한 부품들의 작업의 논리들의 전자기계적 또는 유압적 잠금이다.
본 발명은 전력 발생을 위해 필요한 모든 장비를 포함하는, (육상 머신들의 경우, 그러나 터빈들은 또한 연안에 있을 수 있고 머신 하우스(machine house)는 수위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는) 머신 하우스를 건설하는 지면에 대해 나셀(1) 내에 전통적으로 수용되는 장비의 큰 부분의 전달을 제안한다: 특히
- 음향학적으로 격리된 하나의 큰-크기의 축방향 베어링이 있는, 수직 샤프트의 수용을 위한 하우징(샤프트 라인 하우징),
- 전자기 유도 발전기들 내의 전력의 발생을 위한 정확한 RPM에서 회전을 배속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V/Hmvst,
- 베어링들의 윤활유 펌핑 시스템들;
- 탄성 또는 경질 커플링들;
-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및 이의 유압 제어 시스템;
-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도 발전기들(이는 또한 멀티-폴 직접 구동 발전기(수직 샤프트에 직접 연결됨)일 수 있음);
- 부품들 고정을 위한 스키드들(기부들);
- 발전기 제어 시스템의 캐비넷(풍력 세기에 따라 발전을 개선하기 위해 폴들을 작동 및 비작동시킬 수 있음);
- 머신 일반 제어(메카트로닉 제어들)를 위한 시스템의 캐비넷;
- PLC(프로그램가능한 논리 제어기)들;
- 풍속 측정 스테이션(데이터 로저, 원격 분석 인터페이스) 및 머신 센서들의 모든 제어부들 및 수신부들)의 제어들;
- "텔레 수퍼비전 라디오 인터-커뮤니케이터 스파크"의 제어 센터;
- 배터리 뱅크(중단 없음);
- 디젤 발전기(에너지의 부족의 경우 작동됨);
- 모든 필요한 센서들을 구비한 이러한 유형의 머신 하우스에 대해 적절한 소방 시스템(다수의 풍력 터빈들은 일련의 이유들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며 타워의 상부에서 이러한 사고들을 제어할 방법이 없다);
- 원격 유지 보수 시스템(통합형 풍력 발전 유지 보수, CMS(콘텐츠 유지 보수 시스템) 기본적 프로그램 유닛);
- 접지 시스템들;
- 비상 버튼;
- 전기 덕트들;
- 알람들;
- 조명들;
- 감시 카메라들;
-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냉각 유체 냉각 타워들(예를 들면, 발전기 및 트랜스미션들과 같은 임의의 가열된 부품의 냉각을 위한 냉각기);
- 변압기 또는 변압기들;
- 전기 및 데이터 케이블들;
- PDP(동력 분배 패널);
- GDP(일반 분배 패널).
위에서 제시된 머신 하우스의 전체 구조물은 타워 기부 옆에 또는 콘크리트 기초부 또는 "모노파일"에 연결되는 "지하 벙커(Underground Bunker)"(11)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벙커는 지면 수준 아래에 있으며 모든 장비는 편리하게 이격되어 배열되고, 열적으로 제어되고 음향학적으로 격리된 환경들에 분배될 수 있다(부품들 중의 정확한 분할)(수용 능력 분할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벙커에는 물의 침투를 허용하지 않는 배출 시스템, 환기 시스템, 항-곰팡이 페인트 및 작업자들에 대한 더욱 더 편리한 상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벙커의 다른 장점은 풍력 발전 지역에서의 대기 난류를 유발하지 않아 해당 풍력 터빈의 공기 역학적 특성들을 보존하여 분석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허용하며, 이 분석 소프트웨어는 풍력 발전 지역에서의 터빈 위치 설정을 형성하며; 이는 이미 존재하는 종래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큰 경제적 장점이다.
머신 하우스 내에서 임의의 부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이 부품은 접지 상태에 있을 것이며, 대형 크레인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해결책과 함께, 안전한 야간 작업이 또한 가능하게 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우리는 큰 O&M 장점들을 갖는다.
나셀(17)을 지면으로 가지고 오는 다른 장점은 직접 구동 기술(멀티-폴 발전기, 배속 박스(multiplication box)에 대한 요구 없음)이 일부 물 동력 플랜트들에서의 상태와 유사하게 사용되고 위치 설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발전기들이 나셀(17) 상에 타워의 상부 상에(현 풍력 터빈에서와 같이) 설치될 때, 발전기들은 큰 전자기장을 생성하여, 라디오 통신 시스템들의 크로싱(crossing)을 방해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이익들 덕분에(자유 자기장); 풍력 터빈에는 "텔레 수퍼비전 비율 인터-커뮤니케이터 시스템 스파크(tele supervision ratio inter-communicator system Spark)"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풍력 발전 지역에서 또는 원격으로 제어된 센터에서 터빈의 각각에 설치될 수 있는, 통신 라디오이다.
이러한 라디오 시스템은 모든 터빈들이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공중 인터페이스(airborne interface)에서 그 사이의 RF 신호들을 통하여 통신하고, 예를 들면 터빈이 자신의 YAW를 변경하고(방위를 변경) 다른 터빈들은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경우, 이러한 터빈은 이 같은 동작에 대한 이유에 대해 문의하는 것과 같이 사람의 동작으로부터 독립적인 결정들을 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수용가능한 이유로 반응하지 않은 경우, 알람은 이에 대해 트리거링(trigger)할 것이고 통신이 즉시 조작자에게 송신될 것이다.
터빈이 취하는 동작에 따라, 터빈은 심지어 비작동될 수 있고, 브레이크를 안전하게 작동하고 사람의 부재하에서 페더(feather)에 프로펠러를 배치하며 안전 RPM 제한이 초과될 때의 경우에서와 같이, 블레이드 팁 속도 또는 머신을 손상시킬 수 있는 임의의 동작이 초과된다(다른 머신들은 이러한 동작을 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체크할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망양 시스템(lost sheep system)이라 칭한다.
터빈들은 또한 조작자에게 최상의 결정이 취해졌는지를 문의할 수 있고 유효 또는 예측 동작을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머신이 즉시 또는 지연하여 각각의 머신 상에 설치된 풍력 측정 스테이션에 의해 표시된 동작을 회신할 때 유효 동작이 발생한다. 예측 동작은 머신 동작들이 기본적으로 미리 결정된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될 때 발생한다.
모든 이러한 시스템들은 또한 물리적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존재한다. "텔레 수퍼비전 라디오 인터-커뮤니케이터 시스템 스파크"는 데이터 시스템에 임의의 고장이 있는 경우 또한 중복될 수 있다.
타워의 상부 상의 발전기의 부재의 다른 장점은 베어링(전압 아크에 의한 용접)을 손상시키는 전기 방전이 없을 것이라는 점이다. 현재, 전압 아크의 발생에 의한 손상을 회피하도록 이러한 베어링의 코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고가의 세라믹 베어링(Si3N4)이 사용된다(종래의 베어링보다 2 내지 5 배 더 비싸다).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 시스템 H/Vst(3)은 큰 힘을 회전자로부터 수직 샤프트(6)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시스템은 긴 수명을 가지도록 설계되었으며, 순환 및 필터링 펌프에 의해 일정하게 운동하는 기름에 넣어진 폐쇄된 트랜스미션 박스에서 정렬된 정밀한 기어들의 시스템으로서 제시될 수 있다. 통풍된 냉각 유체를 구비한 라디에이터가 또한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터빈은 매우 고온 영역에 있다. 동일한 상태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V/Hmvst(4)에 적용한다. 이러한 트랜스미션들에는 브레이크 시스템들의 제어 센터들 및 프로펠러 피치 제어와 같은 제어 센터들과 정보를 교환하는 위치, 토크 및 온도 센서가 제공된다는 것이 또한 상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
본 발명에 따라 수평 샤프트 및 수직 트랜스미션을 구비한 개선된 풍력 터빈은 아래의 특성들을 갖는다:
a) 육지 또는 연안에 있을 수 있는, 수직 샤프트를 구비한 풍력 터빈으로서, 나셀(17) 내, 타워 내 그리고 기초부 내의 재료들의 상당한 감소에 의한 일반적인 구조적 감소에 초점을 맞추고, 터빈 작동 및 유지 보수에서의 새롭고 상당한 비용 감소를 가져오는 설비 투자(capex) 감소를 제공하고, 풍력 발전 지역에서의 설치된 동력의 값을 감소시킨다. 또한 나셀(17) 부품들을 접지하기 위한 수직 샤프트 기계적 트랜스미션을 사용하는 종래의 특허 신청들(GB2256010호; EP1240443호 및 WO2011081401호)에 비해 업계에서 창의성과 완전한 작동 개념을 제시한다. 우리는 경량의 나셀(17)을 가지기 때문에 낮은 압축 강도에 의해 낮은 주파수 스펙트럼에 우리의 머신을 삽입하며, 이러한 현상은 구조적 임피던스 조건에 이익이 있다. 이러한 기술의 중심적이고 특히 중요한 사안은 풍력 설계에서 규모적 이득을 허용하며 이에 따라 전체 구조물의 대응하는 증가 없이 터빈 동력의 증가를 허용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기술에 의해, 설치된 MW를 이전에 상상할 수 없었던 값들의 비용을 취하여, 풍력 터빈에서 이전에 결코 달성할 수 없었던 동력을 얻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b) 수직 샤프트(6)는 120 m 초과의 거리에서 100 MW 초과의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선박 기술을 갖는다. 풍력 터빈 설계에 대해, 타워를 따른 지지 플랫폼(1)이 진동 및 노이즈를 중성화하도록 조화 지점들에서 고려되었다. 나셀(17) 내부에서, "수축 및 팽창 조인트"(2)에 커플링된 토크 센서를 구비한 정교한 상부 트랜스미션 시스템 H/Vst(3)가 있으며, 이 조인트는 구조물의 공기 탄성 기계적 및 열적 팽창 및 수축 변형의 사안들을 조정하여, 회전자 동력(16)을 수평 상태로부터 수직 상태로의 전달을 허용한다. 이러한 수직 샤프트(6)는 나셀(17) 및 타워 상의 부하를 중성화하도록 타워 기부에서 축방향 베어링에 의해 유지된다. 동일한 수직 샤프트(6)는 하부 트랜스미션 시스템 V/Hmvst(4)(배속 및 토크 센서를 구비한 수직부/수평부)에 연결되고, 이는 동력을 회전자(16)로부터 지면(또는 벙커) 상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도 발전기(32)들에 전달하며, 이는 또한 동일한 수력 발전소에서의 조건과 유사한 조건으로 위치 설정되는 "직접 구동부"(멀티-폴 발전기, 배속 박스가 필요 없음)로서 공지된 수직 샤프트(6)에 직접 연결된 발전기(32)일 수 있다. 대체로 이러한 트랜스미션에는 정교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하나는 나셀(17) 내부에 그리고 나머지는 지면에 근접하게 제공된다. 이러한 브레이크들의 제어 센터들은 상이한 지점들(특히 토크 센서들, RPM, 위치, 프로펠러 피치 센서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여 풍력 터빈의 브레이킹을 요구하는 안전하게 임의의 조건 하에서 감속 램프에서 제동 세기를 완벽하게 제어하여, 수직 샤프트(6) 상에 그리고 상부(3) 및 하부(4) 트랜스미션들 상에 과도한 충격을 회피한다.
c) 풍속 측정 타워(18)에 근접하게, 나셀(17) 상에, 모든 터빈들이 공중 인터페이스에서 라디오 주파수를 통하여 그 사이에서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고 인공 지능 시스템으로서 기능하는 "텔레 수퍼비전 라디오 인터-커뮤니케이터 스파크"의 안테나(19)가 있으며, 안전 시스템들과 함께 제어 시스템의 중복으로서 기능하고 이들 중 하나는 "망양 시스템"으로 지칭된다. 나셀(17)에는 전자기장이 없기 때문에, 라디오 주파수가 풍력 발전 지역을 크로싱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리는 또한 전기 방전이 없을 것이기 때문에 세라믹 베어링들을 사용할 것이고, 이에 의해 종래의 저 비용의 베어링들을 사용할 수 있다. 소방 시스템(14)이 타워 및 지면에 근접한 머신 하우스 내에 설치된다. 나셀(17)과 타워 사이에는, "자체-잠금 서보-포시셔너 스파크용 YAW 구동 시스템"이 있으며, 이는 수직 샤프트가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YAW 제어의 위치 설정상에서 유발하는 임계적 사안을 해결한다.
머신 하우스는 타워 기부 내 또는 "지하 벙커"(11) 내에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콘크리트 벙커는 지면 높이 아래 있으며 모든 장비는 더욱 최적화된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벙커의 다른 장점은 풍력 발전 지역에서 대기 난류가 유발되지 않을 것이어서, 풍력 발전 지역 내의 터빈들의 위치 설정을 한정하는 기류 분석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새로운 조건에서 더 많은 공간을 가지기 때문에, 우리는 특히 더 큰 배터리 뱅크(중단 없음), 디젤 발전 세트, 소방 시스템, 알람, 조명, 감시 카메라, 냉각 유체 냉각 타워들을 구비한 우수한 장비를 갖춘 풍력 발전기를 가질 수 있다.
현재의 대형 크기의 풍력 터빈들은 상이한 공학적 영역들의 다-기능적 개념들로 개발되었으며, 본 발명의 혁신들 중 하나는 해당 터빈의 설계에 선박 기술을 부가하며(도 7 및 도 8), 이는 선박 샤프트 "모터 샤프트 라인"에 의해 더 높은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7)

  1.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풍력 터빈으로서,
    a) 타워 내부에서 상기 타워를 따라 연장하는 "모터 샤프트 라인" 타입의 수직 샤프트(6)로서, 수직 샤프트(6)는 그 상단부가 나셀(nacelle)에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발전기(32)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 샤프트(6)엔:
    i. 프로펠러들의 회전 속도, 모터 동력, 타워 높이, 온도와 같은 작동 상태들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수직 샤프트(6)의 조화파들(harmonic waves)이 생성되는 진동의 지점들에 위치된, 수축/팽창 조인트(2)들 및 저 마찰 탄성 커플링이 제공되는 지지 플랫폼들(1); 및
    ii. 독립적으로 지지되는(self-sustaining) 상기 수직 샤프트(6)의 구조물의 중량을 지지하는, 상기 타워의 기부(base) 내에 위치된 유지 베어링들(12)이 제공되는, 수직 샤프트(6);
    b) 상기 타워의 상부 부분에 연결된 나셀(17)로서,
    i. 조립체가 스키드(보강 플랫폼) 상에 지지되는 점을 고려하여. 바람 입사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바람의 힘에 의해 움직이고, 바람 입사 각도에 따라 프로펠러 피치를 변경하도록 토크 센서들 및 능동 제어 시스템(29)이 제공된 상부 트랜스미션 시스템 H/Vst(3)에 의해 상기 타워 내부의 수직 샤프트(6)에 연결되는, 멀티-블레이드 축방향 회전자(16);
    ii. 상기 나셀(17)과 상기 타워의 상부 부분 사이의 연결 중심에서 메인 샤프트(9)에 커플링되고, 상기 축방향 회전자(16)로부터 상기 메인 샤프트(9) 및 상기 타워의 하부 부분으로 전력을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상기 스키드 상에 고정된 상부 트랜스미션 시스템 H/Vst(3); 및
    iii. 상기 메인 샤프트(9)에 커플링되고 유압 클램프들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유압 클램프들의 유압 제어 시스템(5)이 상기 스키드 상에 고정되는 상부 브레이크 시스템(30)을 포함하는, 나셀(17);
    c) 지면 또는 지하의 콘크리트 기초부(concrete foundation; 11) 내에 상기 타워의 하부 부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전기(32)에 연결되는, 유압 클램프들에 의해 구동되는, 토크 센서 및 하부 브레이크 시스템이 제공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배속부(speed multiplication)를 구비한 하부 트랜스미션 시스템 V/Hmvst(4); 및
    d) 상기 타워의 기부에 위치된 제어 센터(21)로서, 상기 제어 센터(21)는, 상기 타워의 상부 부분에 설치되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능동 전자 제어부(29)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토크 및 풍향의 측정을 수행하고, 필요한 경우 상부 브레이크 시스템, 하부 브레이크 시스템 및 유압 제어 시스템을 구동하는, 제어 센터(21)를 포함하는,
    풍력 터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센터에 의해 수행된 전자 제어는 기본적으로:
    - 상기 상부(3) 및 상기 하부(4) 트랜스미션 시스템들에 커플링된 위치 및 토크 센서들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을 체크하는 단계;
    - 정보를 비교하고 풍속 및 풍향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들을 작동시키킬 필요성을 확인하는 단계;
    - 상기 프로펠러들의 피치를 제어 및 조정하는 단계;
    - 상기 유압 클램프들을 제어하는 상기 유압 제어 시스템에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 상기 샤프트 상에 과도한 충격을 유발하지 않도록 감속 램프(deceleration ramp)에 대한 전체 트랜스미션에 대한 제동을 안전하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터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직 샤프트의 회전 방향 및 상기 회전자의 의도된 위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회전자 위치 설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터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랜스미션 시스템은 3 m/s의 바람에서 회전자 토크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터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샤프트(6)는 상기 나셀(17) 내의 구조물을 감소 및 대형 크기의 풍력 터빈의 기부에 장비의 큰 부분을 집중시키는 것에 대해서 120 미터 초과의 거리에서 100 MW 초과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터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의 기부에 위치되는 머신 하우스를 포함하며,
    상기 머신 하우스는 적어도
    - 음향학적으로 격리된 하나의 큰-크기의 축방향 베어링(12)이 있는, 수직 샤프트의 수용을 위한 하우징(샤프트 라인 하우징),
    - 전자기 유도 발전 세트들에서 전력의 발생을 위한 정확한 RPM에서 회전을 배속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V/Hmvst(4),
    - 베어링들의 윤활유 펌핑 시스템들;
    - 탄성 또는 경질 커플링들;
    -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및 이의 유압 제어 시스템;
    -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도 발전기(induction generating set)들(이는 또한 수직 샤프트에 직접 연결된 멀티-폴 직접 구동 발전기일 수 있음);
    - 부품들 고정을 위한 스키드들(기부들);
    - 풍력 세기에 따라 발전을 개선하기 위해 폴들을 작동 및 비작동시킬 수 있는 발전기 제어 시스템의 캐비넷;
    - 머신 일반 제어(메카트로닉 제어들)를 위한 시스템의 캐비넷;
    - PLC(프로그램가능한 논리 제어기)들;
    - 풍속 측정 스테이션(데이터 로저, 원격 분석 인터페이스 및 머신 센서들의 모든 제어부들 및 수신부들)의 제어들;
    - 배터리 뱅크(중단 없음(no break) 또는 UPS);
    - 에너지의 부족의 경우 작동되는 디젤 발전기(13);
    - 모든 필요한 센서들을 구비한 이러한 유형의 머신 하우스에 대해 적절한 소방 시스템(14);
    - 원격 유지 보수 시스템(통합형 풍력 발전 유지 보수, CMS(콘텐츠 유지 보수 시스템));
    - 접지 시스템들;
    - 비상 버튼;
    - 전기 덕트들;
    - 알람들;
    - 조명들;
    - 감시 카메라들;
    -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냉각 유체 냉각 타워(20)들;
    - 하나 이상의 변압기들;
    - 전기 및 데이터 케이블들;
    - PDP(동력 분배 패널);
    - GDP(일반 분배 패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터빈.
  7. 삭제
KR1020157027763A 2013-03-07 2014-03-07 선박 기술을 이용한 전력 발생을 위한 풍력 터빈 KR102199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BR1020130054968 2013-03-07
BR102013005496-8A BR102013005496B1 (pt) 2013-03-07 2013-03-07 Turbina eólica geradora de energia elétrica com tecnologia naval
PCT/BR2014/000084 WO2014134695A1 (pt) 2013-03-07 2014-03-07 Turbina eólica geradora de energia elétrica com tecnologia nav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801A KR20150122801A (ko) 2015-11-02
KR102199299B1 true KR102199299B1 (ko) 2021-01-07

Family

ID=4908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763A KR102199299B1 (ko) 2013-03-07 2014-03-07 선박 기술을 이용한 전력 발생을 위한 풍력 터빈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184454B2 (ko)
EP (1) EP2982859B1 (ko)
JP (1) JP2016509157A (ko)
KR (1) KR102199299B1 (ko)
CN (1) CN105209749B (ko)
AU (1) AU2014225220A1 (ko)
BR (1) BR102013005496B1 (ko)
CA (1) CA2904212A1 (ko)
CL (1) CL2015002507A1 (ko)
EA (1) EA037252B1 (ko)
MX (1) MX2015011619A (ko)
PT (1) PT2982859T (ko)
WO (1) WO2014134695A1 (ko)
ZA (1) ZA2015073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6224B2 (en) * 2015-03-13 2018-12-1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nd turbine
CN105065194A (zh) * 2015-07-21 2015-11-18 何冬 机械式风动力输出装置
CN105781888A (zh) * 2016-03-08 2016-07-20 马翼 一种高效安全的风力发电机
ES2584919B1 (es) * 2016-04-20 2017-08-04 Kemtecnia Tecnología Química Y Renovables, S.L. Sistema móvil autónomo, escalable, auto desplegable, monitorizable y reprogramable de forma remota, de generación de energía eléctrica
DE102016124016A1 (de) 2016-12-12 2018-06-14 Wobben Properties Gmbh Windenergieanlage und Verfahren zum Absaugen von Rauch in einer Windenergieanlage
US10740507B2 (en) * 2016-12-20 2020-08-11 General Electric Company Wind turbine tower placement and orientation
EP3559445B1 (en) * 2016-12-23 2023-06-07 Vestas Wind Systems A/S Wind turbine temperature dependent noise reduction
CN110537020B (zh) * 2017-01-23 2022-04-19 劳格文温德有限公司 具有低电磁干扰的风力系统
WO2019010125A1 (en) * 2017-07-03 2019-01-10 Wisys Technology Foundation, Inc. INTEGRATED VERTICAL AXIS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US10801469B2 (en) * 2017-11-07 2020-10-13 General Electric Company Wind blade joints with floating connectors
CN108020397B (zh) * 2017-12-13 2024-04-12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输电塔架风洞试验模型及其安装方法
KR102485368B1 (ko) 2018-01-15 2023-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N110480331B (zh) * 2019-09-17 2024-03-19 河北大唐国际新能源有限公司 用于标定风机叶片零位安装角的设备
CN113124646B (zh) * 2021-04-29 2021-12-28 开封迪尔空分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风力发电的空分冷箱
CN114268192A (zh) * 2021-12-25 2022-04-01 安徽驭风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振动结构的微型振动型发电机
CN114352475B (zh) * 2022-03-21 2022-06-14 杭州杰牌传动科技有限公司 用于电力风机的智能传动方法和系统
US11542923B1 (en) * 2022-05-10 2023-01-03 Samuel Messinger Wind turbine nacelle and tower redesign for extreme loads and remote servicing and surveillance drone
CN114893704B (zh) * 2022-06-02 2023-01-03 哈尔滨翰才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可移动巡逻监控探头的5g通信铁塔
CN116008500B (zh) * 2023-03-27 2023-08-22 深圳美波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水务水质监测系统及检测方法
CN117944862A (zh) * 2024-03-27 2024-04-30 山东科技大学 一种船舶油氢光电复合动力系统和能量管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4835A1 (fr) 2009-04-24 2010-10-29 Roumen Antonov Dispositif de production d'electricite a partir d'une source motrice a vitesse variable, et dispositif de stockage inertiel d'energie et eolienne ainsi equipees
WO2011081401A2 (en) 2009-12-30 2011-07-07 Jeen Mok Yoon Wind turbin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313A (en) * 1888-04-17 Wind-engine
US3942026A (en) * 1974-06-11 1976-03-02 Carter Frank H Wind turbine with governor
GB2256010A (en) 1991-05-22 1992-11-25 Chue King Mong A wind driven apparatus for driving a generator.
DE19963597A1 (de) 1999-12-23 2001-07-26 Mannesmann Ag Getriebe, insbesondere für Windkraftanlagen
US6364609B1 (en) * 2000-05-01 2002-04-02 Robert J. Barnes Wind turbine having ground winch pivot erection support structure
ES1058539Y (es) * 2004-10-11 2005-04-01 Inneo21 S L Estructura perfeccionada de torre modular para turbinas eolicas y otras aplicaciones.
NO327275B1 (no) * 2007-11-13 2009-06-02 Chapdrive As Vindturbin med roterende hydrostatisk transmisjonssystem
NO329795B1 (no) * 2008-04-17 2010-12-20 Angle Wind As Anordning ved harmonisk gir
US20120161443A1 (en) * 2009-02-28 2012-06-28 Ener2 Llc Wind turbine
JP5562274B2 (ja) * 2010-03-12 2014-07-30 Ntn株式会社 摩耗検知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風力発電装置ならびに摩耗検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4835A1 (fr) 2009-04-24 2010-10-29 Roumen Antonov Dispositif de production d'electricite a partir d'une source motrice a vitesse variable, et dispositif de stockage inertiel d'energie et eolienne ainsi equipees
WO2011081401A2 (en) 2009-12-30 2011-07-07 Jeen Mok Yoon Wind turb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09749B (zh) 2020-07-07
BR102013005496B1 (pt) 2021-04-27
EA201591637A1 (ru) 2016-01-29
AU2014225220A1 (en) 2015-10-29
US10184454B2 (en) 2019-01-22
BR102013005496A2 (pt) 2013-09-10
CL2015002507A1 (es) 2016-02-19
EP2982859B1 (en) 2022-06-01
US20160025072A1 (en) 2016-01-28
ZA201507307B (en) 2016-09-28
EP2982859A1 (en) 2016-02-10
PT2982859T (pt) 2022-09-06
EA037252B1 (ru) 2021-02-26
WO2014134695A1 (pt) 2014-09-12
MX2015011619A (es) 2016-04-25
CN105209749A (zh) 2015-12-30
EP2982859A4 (en) 2016-09-14
CA2904212A1 (en) 2014-09-12
JP2016509157A (ja) 2016-03-24
KR20150122801A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299B1 (ko) 선박 기술을 이용한 전력 발생을 위한 풍력 터빈
Tong Fundamentals of wind energy
US8471399B2 (en) Floating wind power apparatus
US7528497B2 (en) Wind-turbine with load-carrying skin
US4036916A (en) Wind driven electric power generator
US20090250939A1 (en) Wind-driven generation of power
US20120161443A1 (en) Wind turbine
Hau et al. WEGA large wind turbines
CN101981306A (zh) 用于深水中的离岸风能转换系统
EP1902216A1 (en) Wind-turbine with load-carrying skin
Ragheb Modern wind generators
US200802239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wind generated electricity
KR101368799B1 (ko) 풍력발전기
Saeki et al. Development of 5-MW offshore wind turbine and 2-MW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technology
Rivkin et al. Wind Turbine Technology and Design
EP3431757B1 (en) External platform assembly for wind turbine repairs
EP4144987B1 (en) Nacelle cover panel
WO2010134116A2 (en) Wind electric generator
Matsunobu et al. Development of 2-MW downwind turbine tailored to Japanese conditions
Ragheb Components of wind machines
JP2023072584A (ja) 情報計測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風力システム
JP2022068798A (ja) 羽根板位置姿勢自律変更風車
Memon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Variable Pitch Rotor
Clare et al. DEVELOPMENT OF VERTICAL AXIS WIND TURBINE.
WO2022107159A1 (en) Propeller electricity gener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