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190B1 -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190B1
KR102199190B1 KR1020130144123A KR20130144123A KR102199190B1 KR 102199190 B1 KR102199190 B1 KR 102199190B1 KR 1020130144123 A KR1020130144123 A KR 1020130144123A KR 20130144123 A KR20130144123 A KR 20130144123A KR 102199190 B1 KR102199190 B1 KR 102199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on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product
ma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1114A (ko
Inventor
우정엽
김지혁
정은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190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3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inven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직접적으로 필요한 쿠폰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등록된 쿠폰을 탐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쿠폰 정보를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정확한 쿠폰 정보를 제공하여 합리적인 소비를 하도록 할 수 있고 판매자는 상품 판매 실적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Coupon service device matching coupon based on product information, method for coupon service by matching coupon based on product information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본 발명은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장치가 입력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쿠폰을 매칭하여 사용자 장치로 쿠폰을 제공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쿠폰은 예전부터 판매 촉진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판매자는 쿠폰을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상품의 가격을 할인해줄 수 있다. 소비자는 쿠폰을 이용하여 할인받은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점, 판매자는 자신의 제품을 홍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쿠폰은 다양하게 활용되어 왔다. 인터넷이 대중화되기 전에 쿠폰은 종이 쿠폰의 형태였다. 판매자는 종이 쿠폰을 신문에 광고 형태로 싣거나 거리에 홍보 가판대를 설치하여 소비자들에게 쿠폰을 배포하는 전략을 취하였다.
인터넷이 발달하고 PC(personal computer) 이용이 활발해지면서 종이 쿠폰은 전자 쿠폰으로 진화하였다. 기존 종이 쿠폰이 오프라인상에서 홍보 및 배포를 하는 방식이었다면 전자 쿠폰은 판매자가 인터넷의 웹 페이지 상에서 배너를 통해서 광고를 하고 고객은 인터넷망을 통해서 원하는 전자 쿠폰을 선택하여 다운로드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기업들은 모바일을 이용한 광고의 방안으로 모바일 쿠폰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모바일 상품권, 기프트콘 등의 용어로도 사용되는 모바일 쿠폰은 기존 오프라인의 상품권과는 달리 기업의 입장에서는 전송 및 사용 여부 확인이 편리하고, 고객의 입장에서는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기 편한 장점을 지니고 있어 점차 사용처와 사례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73377 [명칭: 전자 쿠폰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직접적으로 필요한 쿠폰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등록된 쿠폰을 탐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쿠폰 정보를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쿠폰 서비스 제공 장치가 매칭된 쿠폰을 탐색함에 있어서 매칭된 쿠폰을 탐색하기 위한 주기 및 기존에 탐색된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매칭된 쿠폰에 대한 탐색을 수행하기 위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상품 정보를 입력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매칭된 쿠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품명 정보 및 쿠폰 제공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쿠폰 제공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쿠폰 제공 기간이 만료할 때까지 수신한 제1 상품 정보와 등록된 쿠폰에 포함된 제2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쿠폰 탐색부; 및 쿠폰 탐색부에서 매칭된 쿠폰이 탐색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로 매칭된 쿠폰을 전송하는 쿠폰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 상품 정보는 상품 제조사 정보, 상품 구매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매칭된 쿠폰은 사용자 장치가 유사 검색 옵션을 선택한 경우, 제1 상품 정보 중 상품 제조사 정보, 상품 구매 위치 정보가 유사 범위에서 탐색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쿠폰 서비스 장치는 제1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상품의 수요를 판단하여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판매점으로 특정 상품에 대한 신규 쿠폰 발행 여부를 요청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품 수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쿠폰 탐색부는 제1 상품 정보가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제1 상품 정보와 제2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1회 판단하고, 쿠폰 제공 기간을 고려하여 쿠폰 제공 기간에 가까워질수록 짧은 탐색 주기로 매칭된 쿠폰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쿠폰 탐색부는, 쿠폰 제공 기간의 마감일의 전날 및 쿠폰 제공 기간의 마감일이 아닌 경우, 제1 탐색 주기로 매칭된 쿠폰을 탐색하고, 쿠폰 제공 기간의 마감일의 전날인 경우, 제1 탐색 주기보다 짧은 제2 탐색 주기로 매칭된 쿠폰을 탐색하고, 쿠폰 제공 기간의 마감일인 경우, 제2 탐색 주기보다 짧은 제3 탐색 주기로 매칭된 쿠폰을 탐색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쿠폰 탐색부는, 제1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를 입력한 다른 사용자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와 다른 사용자 장치를 하나의 탐색 그룹으로 설정하고 제1 탐색 주기, 제2 탐색 주기 및 제3 탐색 주기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동시에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쿠폰 서비스 탐색 장치는 제1 상품 정보가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제1 상품 정보와 제1 상품 정보가 수신된 시점에 등록된 모든 쿠폰의 제2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추가적으로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시 제1 상품 정보가 수신된 시점 이후에 등록된 쿠폰의 제2 상품 정보와 제1 상품 정보만을 비교하여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매칭된 쿠폰은 수신한 데이터가 쿠폰 관련 데이터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쿠폰 증명 정보, 매칭된 쿠폰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ID(identifier) 정보, 매칭된 쿠폰이 사용 가능한 매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장 ID 정보, 매칭된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유효 기간 정보, 매칭된 쿠폰을 사용 시 할인받을 수 있는 금액 또는 할인율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금액 또는 할인율 정보, 매칭된 쿠폰이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상태 정보및 매칭된 쿠폰이 사용된 횟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횟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품명 정보 및 쿠폰 제공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쿠폰 제공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쿠폰 제공 기간이 만료할 때까지 제1 상품 정보와 등록된 쿠폰에 포함된 제2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 및 매칭된 쿠폰이 탐색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로 매칭된 쿠폰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은 다른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품명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다른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3 상품 정보로 상기 상품명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3 상품 정보를 수신하기 전 제1 상품 정보와 등록된 쿠폰에 포함된 제2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산출된 결과를 사용하여 매칭된 쿠폰에 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은 다른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3 상품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등록된 쿠폰의 상품 정보에 대해서만 제3 상품 정보와 비교하여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사용자 장치 및 다른 사용자 장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에 매칭된 쿠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직접적으로 필요한 쿠폰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등록된 쿠폰을 탐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쿠폰 정보를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불필요한 쿠폰 정보를 제공받지 않고 구매하기를 원하는 상품에 대해서만 쿠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입장에서도 정확한 수요자를 타겟팅하여 쿠폰을 제공함으로써 상품 매출을 신장시킬 수 있다.
또한, 쿠폰을 탐색함에 있어서, 쿠폰을 제공받는 마감일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하기 전에 등록되는 쿠폰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물품 구매전까지 쿠폰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활용하여 상품을 구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쿠폰 정보만을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쿠폰 정보의 송수신에 따른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폰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폰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폰 서비스 장치의 쿠폰 정보 탐색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폰 서비스 장치의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폰 서비스 장치의 쿠폰 탐색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따른 쿠폰 서비스 장치의 쿠폰 탐색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에서 쿠폰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쿠폰 서비스 장치가 발행하는 쿠폰 정보의 포맷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기존의 쿠폰 제공 방법의 경우, 쿠폰 사용자(이하,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크게 고려하지 않고 쿠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실제로 제공된 쿠폰 중 다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쿠폰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상품에 대한 쿠폰 사용을 통한 효과적인 소비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실제로 원하는 상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쿠폰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절한 쿠폰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상품 제조사 입장에서 상품의 매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쿠폰 정보만을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쿠폰 정보의 송수신에 따른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폰 서비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00)에 쿠폰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쿠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쿠폰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쿠폰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에 대한 상품 정보(예를 들어, 상품의 제조사 정보, 상품명 정보, 쿠폰 제공 기간 정보, 상품 제공 위치 정보 등)를 입력받고 상품 정보를 쿠폰 서비스 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쿠폰 서비스 장치(150)는 쿠폰을 탐색하는 쿠폰 탐색부(110)와 쿠폰을 제공하는 쿠폰 제공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쿠폰 탐색부(110)와 쿠폰 제공부(120)를 포함하는 서비스 장치를 넓은 의미로 쿠폰 서비스 장치(150)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쿠폰 탐색부(11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정보에 매칭되는 쿠폰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 쿠폰 서비스 장치(150)는 사전에 상품을 제공하는 상품 판매점과 연계되어 상품 판매점으로부터 상품에 대하여 제공되는 쿠폰을 등록한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상품 판매점은 쿠폰 등록 시 사용자 장치와 유사한 방식으로 쿠폰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쿠폰 탐색부(110)는 수신된 상품 정보와 상품 정보가 매칭되는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할 수 있다. 쿠폰 탐색부(110)에 등록된 쿠폰 중에서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상품 정보와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가진 쿠폰을 매칭된 쿠폰이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 있다. 매칭된 쿠폰은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상품 정보와 동일한 상품 정보를 가진 쿠폰이거나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상품 정보와 동일하지는 않으나 일정한 유사 범주에서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가진 쿠폰일 수 있다. 매칭된 쿠폰의 판단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쿠폰 탐색부(11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상품 정보를 입력받고 매칭되는 쿠폰을 탐색할 수 있다. 쿠폰 탐색부(110)의 탐색 결과 매칭되는 쿠폰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쿠폰 탐색부(11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쿠폰 제공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쿠폰 제공 기간이 만료할 때까지 쿠폰 서비스 장치(150)에 새롭게 등록되는 쿠폰 중에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할 수 있다. 쿠폰 제공 기간 만료 전에 매칭된 쿠폰 정보가 등록되는 경우, 쿠폰 서비스 장치(150)는 사용자 장치(100)로 매칭된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쿠폰 탐색부(110)의 탐색 결과 매칭되는 쿠폰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쿠폰 탐색부(110)는 매칭된 쿠폰을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쿠폰 탐색부(110)는 사용자 장치(100)가 전송한 쿠폰 제공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쿠폰 제공 기간이 만료할 때까지 새롭게 등록되는 쿠폰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상품 제공 기간 만료 전 쿠폰 서비스 장치(150)에 매칭된 쿠폰이 등록되는 경우, 쿠폰 서비스 장치(150)는 사용자 장치(100)로 매칭된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쿠폰 탐색부(110)에서 등록된 쿠폰을 검색함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탐색을 1회 수행한 이후에는 추가로 쿠폰 서비스 장치(150)에 등록된 쿠폰 정보에 대해서만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탐색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쿠폰 탐색부(110)에서 매칭된 쿠폰을 탐색하기 위한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 탐색부(110)는 추가적으로 등록된 쿠폰을 탐색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100)가 상품 정보를 등록한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 장치(100)의 상품 정보 등록 시간 이후에 새롭게 쿠폰 서비스 장치(150)에 등록된 쿠폰에 대해서만 탐색을 수행하여 쿠폰 탐색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매칭된 쿠폰은 쿠폰 제공부(120)를 통해 푸쉬 메시지 등의 형식으로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 탐색부(110)에서 매칭된 쿠폰이 탐색되는 경우, 쿠폰 탐색부(110)는 매칭된 쿠폰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장치(100)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발행 요청 신호를 쿠폰 제공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쿠폰 제공부(120)는 수신된 쿠폰 발행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매칭된 쿠폰 정보 및 사용자 장치(100)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발행 신호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쿠폰 제공부(120)가 전송하는 쿠폰 발행 신호는 다양한 정보 포맷으로 사용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 발행 신호는 사용자 장치(100)에 설치된 쿠폰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쿠폰 발행 신호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전송되거나,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전송될 수 있다.
쿠폰 발행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100)는 수신된 쿠폰 발행 신호에 포함된 쿠폰 정보를 사용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수신된 쿠폰 정보를 사용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결혼을 준비하는 신혼 부부의 경우 자신이 원하는 가구나, 가전 제품을 구입하거나, 웨딩드레스 렌트와 같은 소비를 할 수 있다. 신혼 부부가 쿠폰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등록(예: XX(상품 브랜드), 김치냉장고(상품명), 20XX년YY월ZZ일까지(상품 구매 기간))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입력한 상품 정보는 쿠폰 탐색부(110)로 전송될 수 있고, 쿠폰 탐색부(110)는 수신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등록된 쿠폰 중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쿠폰 탐색부(110)는 판단 결과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 경우, 매칭된 쿠폰에 대한 정보를 쿠폰 제공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쿠폰 제공부(120)는 사용자 장치(100)로 매칭된 쿠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쿠폰 탐색부(11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쿠폰 제공 기간을 고려하여 쿠폰 제공 기간이 완료될 때까지 매칭된 쿠폰 정보가 등록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이번 주 주말에 A지역에서 원피스를 구매하려고 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사용자는 쿠폰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상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품 정보는 예를 들어, 상품명(원피스), 상품 제공 기간(20XX년 YY월 ZZ일까지), 상품 구매 위치(A지역)일 수 있다. 상품 정보는 쿠폰 탐색부(110)로 전송될 수 있고, 쿠폰 탐색부(11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매칭된 쿠폰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쿠폰 탐색부(110)는 판단 결과 매칭된 쿠폰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매칭된 쿠폰 정보를 쿠폰 제공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쿠폰 제공부(120)는 사용자 장치(100)로 매칭된 쿠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쿠폰 탐색부(11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쿠폰 제공 기간을 고려하여 쿠폰 제공 기간이 완료될 때까지 매칭된 쿠폰 정보가 등록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쿠폰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체적인 상품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하기 원하는 상품에 대한 쿠폰을 쿠폰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쿠폰을 제공받는 경우, 해당 쿠폰의 사용률과 해당 쿠폰이 적용한 상품의 판매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쿠폰 제공자뿐만 아니라, 쿠폰 서비스 제공자까지 효과적인 상품 영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무분별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쿠폰을 제공받지 않아도 되므로 쿠폰을 제공받는 사용자 장치의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폰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서는 쿠폰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200).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로부터의 상품 정보 수신은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쿠폰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입력된 상품 정보를 쿠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품 정보는 예를 들어, 상품의 제조사 정보, 상품명 정보, 쿠폰 제공 기간 정보, 상품 제공 위치 정보 등과 같이 상품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수신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0).
쿠폰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 서비스 장치는 등록된 쿠폰의 상품 정보와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이상의 정보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정보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쿠폰을 매칭된 쿠폰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쿠폰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 시 등록된 쿠폰 정보로 매칭된 쿠폰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품 구입 시기까지 추가적으로 등록된 쿠폰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등록된 쿠폰 정보가 매칭된 쿠폰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한다(단계 S220).
쿠폰 서비스 장치의 분석 결과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쿠폰 서비스 장치에서 사용자가 상품 정보를 입력한 시점을 기준으로 탐색을 수행한 결과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 경우, 매칭된 쿠폰을 전송할 수 있다. 상품 정보를 입력한 시점을 기준으로 탐색을 수행한 결과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쿠폰 서비스 장치는 상품 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쿠폰 제공 기간 만료 전에 등록된 다른 쿠폰 정보를 추가적으로 탐색하여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쿠폰 서비스 장치에서 매칭된 쿠폰 정보를 탐색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추가적으로 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폰 서비스 장치의 쿠폰 정보 탐색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쿠폰 서비스 장치(300)가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등록된 쿠폰 정보를 매칭된 쿠폰 정보라고 판단하기 위한 기준의 설정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3에서는 상품 정보가 예를 들어, 상품의 제조사 정보, 상품명 정보, 쿠폰 제공 기간 정보, 상품 제공 위치 정보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쿠폰 서비스 장치(300)는 수신한 상품 정보 중 특정 정보의 경우에는 등록된 쿠폰의 상품 정보가 동일 정보가 아닌 유사 정보인 경우에도 등록된 쿠폰을 매칭된 쿠폰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에서 유사 검색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유사한 쿠폰의 상품 정보도 매칭된 쿠폰 정보로 사용자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쿠폰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한 상품 정보의 제조처가 XX, 상품명이 냉장고인 경우(310)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쿠폰 서비스 장치는 쿠폰의 상품 정보 중 상품 제조처가 XX가 아닌 YY이고, 상품명은 냉장고인 동일한 쿠폰(350)이 존재한다면 해당 쿠폰 정보를 매칭된 쿠폰(360)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품 제조처의 정보가 다른 경우에도 매칭된 쿠폰(360)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품 구입 위치에 대해 사용자가 상품 구입 위치를 A지역으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정보는 동일하다면, 쿠폰 서비스 장치는 A지역이 아닌 주변 위치(B지역, C지역, D지역) 등이 위치 정보로 등록된 쿠폰 정보도 매칭된 쿠폰 정보로 판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동일 범위 위치로 판단하기 위한 거리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특정한 범위에 포함되는 상품 구매 위치의 경우 동일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쿠폰의 상품 정보 중 사용자 장치가 전송한 상품 정보와 일부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매칭된 쿠폰으로 판단되어 전송되기 위해 다른 사용자의 쿠폰 사용 정보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 서비스 장치에 다른 사용자들이 쿠폰을 사용한 기록이 저장할 수 있다. 쿠폰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 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보를 입력한 다른 사용자를 추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쿠폰 사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가 사용한 쿠폰 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사용율이 높은 쿠폰을 매칭된 쿠폰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와 동일한 상품명(예를 들어, 냉장고)을 입력한 다른 사용자들이 사용한 다른 쿠폰을 분석하여 가장 높은 쿠폰 사용률을 보인 상품 제조처의 정보를 가진 다른 쿠폰을 가장 높은 우선 순위로 결정하여 해당 쿠폰을 매칭된 쿠폰으로서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XX사에서 제작한 냉장고를 상품 정보로 입력하여 등록된 쿠폰 정보를 탐색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XX사에서 제작한 냉장고에 대한 쿠폰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가장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해당 제품에 대한 쿠폰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쿠폰 서비스 장치는 추가적으로 냉장고를 상품명으로 입력한 다른 사용자들의 쿠폰 사용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다른 사용자들이 상품 제조처 YY에 해당하는 냉장고에 대한 쿠폰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면, 제조사 YY에 해당하는 냉장고에 대한 쿠폰을 매칭된 쿠폰으로서 사용자 장치로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상품에 대한 쿠폰을 제공받아 비교를 수행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쿠폰 서비스 장치가 추가적인 쿠폰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지 여부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유사 정보를 제공받을 것인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장치의 설정 기반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 장치가 유사 범위에서 매칭되는 쿠폰을 제공받기 원하지 않는 경우 쿠폰 서비스 장치는 유사 범위에 해당하는 쿠폰은 매칭된 쿠폰으로 판단하지 않고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폰 서비스 장치의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쿠폰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쿠폰 정보에 대한 통계값을 산출하여 이를 상품 판매점으로 전송함으로써 상품 판매점에서 수요를 예측하여 새로운 쿠폰을 쿠폰 서비스 장치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5명의 사용자가 동일한 제조사 및 동일한 상품명을 가지는 상품을 탐색하기 위한 상품 정보(410)를 쿠폰 서비스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쿠폰 서비스 장치(400)는 해당 상품에 대한 쿠폰 수요가 일정량 이상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쿠폰 서비스 장치(400)는 일정량 이상 수요가 존재하는 상품 정보에 대해서는 상품 판매처(420)로 해당 상품에 대한 쿠폰의 수요가 존재한다는 정보(430)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품 판매처(420)는 해당 상품에 대한 쿠폰 수요를 판단하고 신규 쿠폰 정보를 발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품 판매처(420)에서 신규 쿠폰을 발행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상품 판매처(420)는 신규 쿠폰 정보(450)를 쿠폰 서비스 장치(400)로 새롭게 등록할 수 있다. 쿠폰 서비스 장치(400)는 새로운 상품 정보에 대한 신규 쿠폰이 등록되는 경우 신규 쿠폰(460)을 해당 상품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요 판단을 위해 쿠폰 서비스 장치는 수신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상품의 수요를 판단하여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판매점으로 특정 상품에 대한 신규 쿠폰 발행 여부를 요청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품 수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폰 서비스 장치의 쿠폰 탐색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쿠폰 서비스 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쿠폰 정보에 대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 서비스 장치가 상품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쿠폰 서비스 장치에 이미 등록된 쿠폰에 대해 1회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상품 구입 시기까지 설정된 주기로 해당 상품에 대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 서비스 장치는 기본적인 탐색 주기로 2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쿠폰 서비스 장치는 설정된 기본 탐색 주기로 쿠폰에 대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쿠폰에 대한 탐색은 사용자가 설정한 쿠폰 제공 기간 정보를 고려하여 다른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구입 시기에 가까워질수록 등록된 쿠폰 정보를 탐색하는 주기가 짧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 서비스 장치가 기본적으로 2시간 간격(제1 탐색 주기)(510)으로 쿠폰 정보를 탐색하다가 사용자가 등록한 상품 구입 시기의 마감일 전날의 경우 1 시간 간격(제2 탐색 주기)(520)으로 쿠폰 정보에 대한 탐색을 수행하고 상품 구입 시기의 마감일에는 쿠폰 정보를 탐색하는 주기를 더 짧게 설정하여 30분 단위(제3 탐색 주기)(530)로 쿠폰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쿠폰 제공 기간이 적게 남을수록 쿠폰 정보를 탐색하는 주기를 짧게 설정하여 등록된 쿠폰을 탐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품의 구매 시기에 상품 구매를 위한 쿠폰 정보를 놓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폰 서비스 장치의 쿠폰 탐색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쿠폰 서비스 장치가 쿠폰 탐색을 수행함에 있어서, 다른 사용자 장치가 입력한 상품 정보를 고려하여 탐색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쿠폰 서비스 장치(600)는 복수의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 정보(615, 625)가 동일한 경우 복수의 사용자(610, 620)를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매칭된 쿠폰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610)에서 제1 상품 정보(615)를 입력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쿠폰 서비스 장치(600)는 제1 사용자 장치(610)가 입력한 제1 상품 정보(615)를 기반으로 등록된 쿠폰 중 매칭된 쿠폰(617)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쿠폰 서비스 장치(600)는 매칭된 쿠폰(617)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 후 제1 사용자 장치(610)가 입력한 쿠폰 제공 기간이 만료할 때까지 전술한 바와 같이 주기적인 탐색을 통해 추가적으로 매칭된 쿠폰(617)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610)와 다른 사용자 장치인 제2 사용자 장치(620)가 동일하게 제1 상품 정보(615)를 입력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사용자 장치(620)에게 매칭된 쿠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1 사용자 장치(610)가 제1 상품 정보(615)를 기반으로 검색을 수행한 이후에 등록된 쿠폰만을 탐색하여 기존에 탐색된 매칭된 쿠폰과 추가적으로 탐색된 쿠폰(627)을 제2 사용자 장치(6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품 정보(615, 625)가 동일한 경우 기존에 동일한 상품 정보를 등록한 다른 사용자 장치의 탐색 결과(627)를 활용함으로써 불필요한 탐색 절차를 줄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치(620)는 등록된 쿠폰에 대한 탐색이 없이 기존에 제1 사용자 장치(610)로 전송한 쿠폰과 동일한 쿠폰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에는 제1 사용자 장치(610)와 제2 사용자 장치(620)는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쿠폰 서비스 장치(600)는 동일한 주기에 추가적으로 등록된 쿠폰을 탐색하여 제1 사용자 장치(610) 및 제2 사용자 장치(620)로 멀티캐스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에서 쿠폰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사용자 장치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통해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쿠폰 정보를 상품 판매점에 설치된 리더기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7에서 NFC는 근접 통신 기술의 하나의 예시이다. 또한 NFC가 아닌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장치가 수신한 쿠폰을 상품 판매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NFC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700)와 리더기(720)의 접근만으로 안전하게 쿠폰을 획득 및 사용할 수 있는 쿠폰 서비스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700)가 수신한 쿠폰 정보는 사용자 장치(700)에 구현된 NFC 모듈(7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획득된 쿠폰 정보는 상품 판매점의 리더기(720)와 사용자 장치(700)의 접근을 통해 상품 판매점의 리더기(720)로 전송되고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품 판매점의 리더기(720)와 쿠폰 서비스 장치(740)의 통신을 통해 쿠폰이 유효한지 여부에 대한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쿠폰 서비스 장치(740)에서 쿠폰의 식별 번호 및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쿠폰 정보의 진정성이 판단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700)에 의해 사용된 쿠폰 정보는 쿠폰 서비스 장치(740)에 저장되어 다른 사용자 장치로 매칭된 쿠폰을 전송하기 위한 통계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쿠폰 서비스 장치가 발행하는 쿠폰 정보의 포맷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쿠폰 정보는 쿠폰에 대한 고유한 식별자와 쿠폰을 매장에서 사용하기 위한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 정보는 쿠폰 증명(800), 쿠폰 ID(810), 매장 ID(820), 유효 기간(830), 쿠폰명(840), 쿠폰 금액 또는 할인율(850), 쿠폰 상태(860), 쿠폰 횟수(870)에 대한 정보를 포함될 수 있다.
쿠폰 증명(800)은 쿠폰 관련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쿠폰 ID(810)는 쿠폰이 어떠한 것인지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매장 ID(820)는 쿠폰을 사용하기 위한 발급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유효 기간(830)은 쿠폰 유효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쿠폰명(840)은 쿠폰 이름 및 설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쿠폰 금액 또는 할인율(850)은 쿠폰 사용 금액 및 할인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쿠폰 상태(860)는 쿠폰을 사용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쿠폰 횟수(870)는 쿠폰의 사용 횟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쿠폰 서비스 장치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치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장치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직접적으로 필요한 쿠폰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등록된 쿠폰을 탐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쿠폰 정보를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에게는 정확한 쿠폰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합리적인 소비를 하도록 할 수 있고 판매자는 상품 판매 실적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쿠폰 서비스 장치가 매칭된 쿠폰을 탐색함에 있어 사용자가 설정한 쿠폰 제공 기간이 만료할때까지 사용자의 추가적인 검색 요청 없이도 사용자에게 쿠폰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전까지 쿠폰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활용하여 상품을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쿠폰 서비스 장치가 동일한 정보에 대해 반복적으로 등록된 쿠폰에 대한 탐색을 수행하지 않고, 기존의 탐색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쿠폰 서비스 장치의 자원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100: 사용자 장치 110: 쿠폰 탐색부
120: 쿠폰 제공부 150: 쿠폰 서비스 장치
360: 매칭된 쿠폰 420: 상품 판매처
720: 리더기 800: 쿠폰 증명 정보
810: 쿠폰 ID 820: 매장 ID
830: 유효 기간 840: 쿠폰명
850: 쿠폰 금액 할인율 860: 유효 기간
870: 쿠폰 횟수

Claims (13)

  1.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품명 정보 및 쿠폰을 제공받는 기간에 대한 쿠폰 제공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쿠폰 제공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쿠폰 제공 기간이 만료할 때까지 수신된 상기 제1 상품 정보와 등록된 쿠폰에 포함된 제2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쿠폰 탐색부; 및
    상기 쿠폰 탐색부에서 상기 매칭된 쿠폰이 탐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로 상기 매칭된 쿠폰을 전송하는 쿠폰 제공부;
    를 포함하며,
    상기 쿠폰 탐색부는 상기 제1 상품 정보가 수신된 시점부터, 상기 제1 상품 정보와 상기 제2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하되, 상기 제1 상품 정보에 포함된 쿠폰 제공 기간의 마감일에 가까워질수록 판단주기가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탐색부는 상기 제1 상품 정보와 상기 제2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이상의 정보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정보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을 매칭된 쿠폰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쿠폰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품명 정보 및 쿠폰을 제공받는 기간에 대한 쿠폰 제공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쿠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쿠폰 제공 기간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쿠폰 제공 기간이 만료할 때까지 상기 제1 상품 정보와 등록된 쿠폰에 포함된 제2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쿠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매칭된 쿠폰이 탐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로 상기 매칭된 쿠폰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쿠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제1 상품 정보가 수신된 시점부터, 상기 제1 상품 정보와 상기 제2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쿠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하되, 상기 제1 상품 정보에 포함된 쿠폰 제공 기간의 마감일에 가까워질수록 판단주기가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144123A 2013-11-25 2013-11-25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99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123A KR102199190B1 (ko) 2013-11-25 2013-11-25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123A KR102199190B1 (ko) 2013-11-25 2013-11-25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114A KR20150061114A (ko) 2015-06-04
KR102199190B1 true KR102199190B1 (ko) 2021-01-06

Family

ID=5349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123A KR102199190B1 (ko) 2013-11-25 2013-11-25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1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0537A (ja) 2004-03-01 2005-09-15 Nec Corp 商品選択システム
JP2013206422A (ja) * 2012-03-29 2013-10-07 Nift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3377A (ko) 2006-12-14 2008-08-11 (주) 인터넷세상 전자 쿠폰을 이용한 쿠폰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232427B1 (ko) * 2011-04-18 2013-02-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웹과 에스엔에스의 연동을 통한 쿠폰 제공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263383B1 (ko) * 2011-05-23 2013-05-21 주식회사 티모넷 유효기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온라인 쿠폰 수집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0537A (ja) 2004-03-01 2005-09-15 Nec Corp 商品選択システム
JP2013206422A (ja) * 2012-03-29 2013-10-07 Nift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114A (ko)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7957B2 (en) Systems and methods to detect changes in mercha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9836743B2 (en) Systems and methods to register merchants for data processing in an electronic transaction system
CN104798092B (zh) 用于在近场交易中处理优惠券的方法及系统
CN102867166B (zh) 一种通过二维码获知互动信息的方法和装置
US201303391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shopping experience
KR20150068540A (ko) 가맹점의 고유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156943A (zh) 一种通过嵌入感动芯引擎的移动终端实现即时交易的信息处理系统及其方法
US20130175337A1 (en) Context aware smart packaging and real-time merchandising
KR101249828B1 (ko) 진품확인 서비스 시스템
US20160125464A1 (en) Terminal,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coupon server, electronic walle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130028216A (ko) 상품 이용후기 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4817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to transmit data in networks of separate computing systems in preparation for the processing of a subsequent computing task in one of the networks
KR20200000605A (ko) 배달 주문 매출 정산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KR20120105593A (ko) 모바일 쿠폰 관리 방법 및 모바일 쿠폰 관리 서버
KR102198914B1 (ko)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30062390A (ko) 통합 할인쿠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2199190B1 (ko)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장치,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쿠폰을 매칭하는 쿠폰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809555B1 (ko) 가맹점의 고유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066360A (ko)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한 우선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2310781B1 (ko) 상품 정보 제공 장치,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13206B1 (ko)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140122199A1 (en) Method and system of collecting, storing and sharing digital coupons, rebates and offers utilizing a uniform data format communicated between multiple providers, platforms, and provisioning systems
WO20142053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mobile data and transaction data for improved location based targeting
KR101468574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76787B1 (ko) 엔에프씨 기반의 모바일 쿠폰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