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766B1 - 밀폐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766B1
KR102198766B1 KR1020200104777A KR20200104777A KR102198766B1 KR 102198766 B1 KR102198766 B1 KR 102198766B1 KR 1020200104777 A KR1020200104777 A KR 1020200104777A KR 20200104777 A KR20200104777 A KR 20200104777A KR 102198766 B1 KR102198766 B1 KR 102198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lock
hermetic compressor
buffer
stator
clearanc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장술
서정우
이범석
이원웅
최무섭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Priority to KR102020010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766B1/ko
Priority to PCT/KR2021/011125 priority patent/WO20220395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44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vibration damp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2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1Retaining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 셀 및 상부 셀이 상호 결합되는 밀폐 용기,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실과 상기 압축실이 장착되는 실린더 블록을 포함하는 압축 유닛, 상기 실린더 블록에 고정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스테이터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실린더 블록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셀 간에 유격 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실린더 블록의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댐퍼와 상기 제1 댐퍼에서 상기 실린더 블록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댐퍼를 포함하는 리어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HERMETIC COMPRESSOR}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형 압축기는 전기 모터나 터빈과 같은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나 냉매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작동 유체를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압축시켜서 작동 유체의 압력을 높여주는 장치로써, 냉장고와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전 기기 또는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냉동 시스템에 탑재되는 밀폐형 압축기 역시 고 효율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용 전원 주파수 미만의 낮은 운전 주파수대부터 상용 전원 주파수 이상의 높은 운전 주파수대까지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운전 가능한 밀폐형 압축기가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 밀폐형 압축기는 밀폐 용기 내 실린더 블록에 고정된 스테이터가 네 개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이때, 코일 스프링의 상단은 스테이터 하면의 고정 부재에 연결되고, 코일 스프링의 하단은 밀폐 용기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그런데, 밀폐형 압축기에 낙하, 운반, 또는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밀폐 용기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일 예로, 실린더 블록) 또는 압축 유닛(일 예로, 압축실)등이 코일 스프링 탄성 지지대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밀폐 용기의 내벽에 접촉하여 마찰 소음이 크게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부품들의 파손이 야기될 수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6-0055530호 (2016.05.18.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밀폐형 압축기의 낙하, 운반 또는 진동 발생시, 부품 간의 충격으로 인한 부품 훼손을 방지하고,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는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 셀 및 상부 셀이 상호 결합되는 밀폐 용기,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실과 상기 압축실이 장착되는 실린더 블록을 포함하는 압축 유닛, 상기 실린더 블록에 고정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스테이터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실린더 블록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셀 간에 유격 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실린더 블록의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댐퍼와 상기 제1 댐퍼에서 상기 실린더 블록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댐퍼를 포함하는 리어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댐퍼는 상기 실린더 블록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댐퍼는 상기 리어 댐퍼의 강성 보강을 위해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고 일부가 상기 제1 댐퍼에 삽입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테이터를 관통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실린더 블록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실린더 블록의 측면 형상을 따라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댐퍼와 상기 상부 셀은 제1 유격 거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유격 거리는 제1 댐퍼에서 상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댐퍼와 상기 상부 셀은 제2 유격 거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유격 거리는 제2 댐퍼에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 용기의 상부 셀과 실린더 블록에 리어 댐퍼 조립체를 설치하여, 셀과 압축 유닛 및 구동부 간의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코일 스프링 지지대에서 압축 유닛 또는 구동부의 이탈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셀과 실린더 블록 간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밀폐형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리어 댐퍼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리어 댐퍼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10)는, 밀폐 용기(100), 압축 유닛(200), 구동부(300), 고정 부재(400), 탄성 부재(500), 리어 댐퍼 조립체(600), 헤드 댐퍼(700), 루프파이프(800) 및 파이프 댐퍼(9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 용기(100)는 밀폐형 압축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들이 수용되는 밀폐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밀폐 용기(100)는 서로 결합되어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셀(110) 및 상부 셀(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셀(110)과 상부 셀(120)은 압축 유닛(200), 구동부(300), 고정 부재(400), 탄성 부재(500), 리어 댐퍼 조립체(600), 헤드 댐퍼(700), 루프파이프(800) 및 파이프 댐퍼(900)를 수용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하부 셀(110)의 바닥면에는 탄성 부재(500)의 하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부 셀(110)의 바닥면에는 탄성 부재(500)에 삽입 가능한 소켓(111)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셀(120)은 하부 셀(110)의 상측에 위치되어 하부 셀(1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셀(120)에 의해 리어 댐퍼 조립체(600) 및 루프파이프(8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축 유닛(200)은 구동부(3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 유닛(200)은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실(210), 이러한 압축실(210)이 마련된 실린더 블록(220), 압축실(210) 내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압축실(210) 내의 냉매를 가압하는 피스톤(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 유닛(200)은 압축실(210), 실린더 블록(220) 및 피스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실(210)은 냉매가 압축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실린더 블록(220)에는 삽입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홀(222)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400)와 리어 댐퍼 조림체(600)의 결합부(630)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압축 유닛(200)에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피스톤이 압축실(210) 내부에서 왕복 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300)는 실린더 블록(220)에 고정되는 스테이터(310), 및 스테이터(310)의 내부에서 스테이터(310)에 대해 동심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로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400)는 스테이터(310) 및 실린더 블록(220)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부재(400)는 스테이터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 볼트는 헤드부(410)와, 스테이터(310)를 관통하고 실린더 블록(220)의 삽입홀(222)의 일측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하도록 헤드부(410)에서 연장 형성되는 나사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테이터 볼트는 스테이터(310) 및 실린더 블록(220)에 삽입한 상태에서, 이들 스테이터(310) 및 실린더 블록(220)을 상호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터 볼트의 헤드부(410)는 스테이터(310)의 하면에 노출되어 탄성 부재(50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구동부(300)를 지지하도록 고정 부재(400)의 하단(스테이터 볼트의 헤드부)과 하부 셀(110)의 소켓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밀폐 용기(100)의 내부에서 구동부(300)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구동부(3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감쇄시킬 수 있다. 예컨대, 탄성 부재(500)의 하단부는 밀폐 용기(100)의 저면에 마련된 소켓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500)의 상단부는 고정 부재(4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500)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댐퍼 조립체(600)는 상부 셀(120) 간에 유격 거리가 제한되도록 실린더 블록(22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리어 댐퍼 조립체(600)는 실린더 블록(220)의 모서리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댐퍼 조립체(600)는 사출 성형되는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밀폐형 압축기(10)의 낙하, 운반, 또는 진동 등으로 인해, 실린더 블록(220)과 상부 셀(120) 간 접촉을 방지하여, 실린더 블록(220)과 상부 셀(120) 간 충격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부 셀과 실린더 블록 간의 충격에 의한 칩 이물 발생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리어 댐퍼 조립체(600)는 몸체(610), 제1 완충부(620), 제2 완충부(630), 결합부(640), 및 보강부재(66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610)는 실린더 블록의 상면에 위치되어 제1 완충부(620) 및 제2 완충부(63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6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완충부(620)는 몸체(610)의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완충부(620)는 실린더 블록(220)의 상면이 상부 셀(120)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완충부(620)와 상부 셀(120)은 제1 유격 거리(L1)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유격 거리(L1)는 제1 완충부(620)와 상부 셀(120)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최소 거리로 정의된다. 여기서, 제1 유격 거리(L1)은 예를 들어 2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완충부(620)를 배치함에 따라 제1 유격 거리(L1)를 형성함으로써 상측 방향으로 압축 유닛(200) 및 구동부(300)가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완충부(620)의 단면적은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완충부(62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완충부(630)는 몸체(610)의 외면에서 실린더 블록(22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실린더 블록(220)의 측면이 상부 셀(12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2 완충부(630)와 상부 셀(120)은 제2 유격 거리(L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유격 거리(L2)는 제2 완충부(630)와 상부 셀(120) 사이에서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격된 최소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유격 간격(L2)은 예를 들어, 2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완충부(630)를 배치함에 따라 제2 유격 거리(L2)가 형성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압축 유닛(200) 및 구동부(300)가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완충부(630)는 실린더 블록의 측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완충부(630)는 그 내측면이 실린더 블록(220)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완충부(630)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실린더 블록의 측면을 대향면이라 할 때, 실린더 블록(220)의 대향면과 삽입홀(222)의 중심간의 거리는, 제2 완충부(630)의 내측면과 보강부재(650)의 중심간의 거리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격 형성하는 이유는 제2 완충부(630) 및 실린더 블록(220) 중 적어도 하나가 사출 성형됨에 따라 표면이 고르지 않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다. 위와 같이 이격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제2 완충부(630)의 내측면과 실린더 블록(220)의 대향면이 접촉되어 리어 댐퍼 조립체(600)가 실린더 블록(220)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2 완충부(630)를 실린더 블록(2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리어 댐퍼 조립체(600)는 효율적으로 실린더 블록(2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완충부(630)는 실린더 블록(220)의 측면 형상을 따라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유격 거리(L1)와 제2 유격 거리(L2)는, 고정 부재(400)가 탄성 부재(500)에 의해 탄성 지지될 때, 고정 부재(400)가 상하 이동 가능한 탄성 지지 거리(L3)보다 짧은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유격 거리(L1)와 제2 유격 거리(L2)가 탄성 지지 거리(L3)보다 짧은 거리를 유지하면, 밀폐형 압축기(10)의 낙하, 운반, 또는 진동 등이 발생되더라도, 탄성 부재(50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구동부(스테이터, 실린더 블록 등)가 탄성 부재(500)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결합부(640)는 실린더 블록(220)의 삽입홀(222)의 타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리어 댐퍼 조립체(600)를 실린더 블록(22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결합부(640)는 몸체(610)의 하면에서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삽입홀(2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630)와 고정 부재(400)는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결합부(640)는 몸체(610), 제1 완충부(620)와 제2 완충부(630)와 동일하게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650)는 결합부(630), 몸체(610), 및 제1 완충부(620)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리어 댐퍼 조립체(600)의 강성 보강 역할을 한다. 몸체(610), 제1 완충부(620), 제2 완충부(630), 결합부(640)는 플라스틱 재질로 충격에 약하다.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부재(650)는 몸체(610), 제1 완충부(620), 제2 완충부(630), 결합부(640)보다 고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부재(650)는 철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610), 제1 완충부(620), 제2 완충부(630), 결합부(640) 및 보강부재(65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해보면, 헤드 댐퍼(700)는 상부 셀(120) 간에 유격 거리가 제한되도록 압축실(21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헤드 댐퍼(700)는 압축실(210)의 상부를 덮는 완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밀폐형 압축기(10)의 낙하, 운반, 또는 진동 등으로 인해, 압축실(210)과 상부 셀(120) 간 접촉이 발생되는 경우, 헤드 댐퍼(700)는 압축실(210)과 상부 셀(120) 간 충격 및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루프파이프(800)는 압축실(210)에 냉매를 유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루프파이프(800)는 냉매 압축을 위한 냉매를 압축 유닛(200)으로 안내하고 압축 유닛(200)으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흡토출유닛(미도시)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루프파이프(800)는 상부 셀(120) 간에 유격 거리가 제한되도록 밀폐 공간 내에서 굴곡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루프파이프(800)의 적어도 일부에는, 루프파이프(800)의 둘레면을 덮는 파이프 댐퍼(900)가 마련될 수 있다.
파이프 댐퍼(900)는 루프파이프(800)의 둘레면을 덮는 완충 재질로 구성되며, 밀폐형 압축기(10) 구동 시 구동부(300)로부터 발생되는 실린더 블록 또는 루프 파이프의 진동 소음을 감소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 블록(220)의 네 개 모서리부 중에서, 압축실(210)이 위치한 실린더 블록(220)의 양 쪽 모서리는 헤드 댐퍼(7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압축실(210)이 위치하지 아니한 실린더 블록(220)의 상면 양 쪽 모서리는, 리어 댐퍼 조립체(6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리어 댐퍼 조립체(600)는 헤드 댐퍼(700)가 설치되지 아니한 실린더 블록(220)의 모서리에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리어 댐퍼 조립체(600)는 실린더 블록(220)의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상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압축기 100: 밀폐 용기
110: 하부 셀 120: 상부 셀
200: 압축 유닛 210: 압축실
220: 실린더 블록 300: 구동부
310: 스테이터 400: 고정 부재
500: 탄성 부재 600: 리어 댐퍼 조립체
610: 몸체 620: 제1 완충부
630: 제2 완충부 640: 결합부
650: 보강부재 700: 헤드 댐퍼
800: 루프파이프 900: 파이프 댐퍼

Claims (7)

  1.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 셀 및 상부 셀이 상호 결합되는 밀폐 용기;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실과 상기 압축실이 장착되는 실린더 블록을 포함하는 압축 유닛;
    상기 실린더 블록에 고정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스테이터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실린더 블록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셀 간에 유격 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실린더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완충부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서 상기 실린더 블록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완충부를 포함하는 리어 댐퍼 조립체를 포함하는,
    밀폐형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댐퍼 조립체는 상기 실린더 블록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밀폐형 압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와 상기 상부 셀은 제1 유격 거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유격 거리는 제1 완충부와 상부 셀 사이에서의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최소 거리로 정의되는,
    밀폐형 압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부와 상기 상부 셀은 제2 유격 거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유격 거리는 제2 완충부와 상부 셀 사이에서의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최소 거리로 정의되는,
    밀폐형 압축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댐퍼 조립체는
    상기 결합부, 상기 몸체 및 상기 제1 완충부에 삽입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밀폐형 압축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테이터를 관통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실린더 블록에 삽입되는,
    밀폐형 압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부는 상기 실린더 블록의 측면 형상을 따라 곡률지게 형성되는,
    밀폐형 압축기.
KR1020200104777A 2020-08-20 2020-08-20 밀폐형 압축기 KR102198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777A KR102198766B1 (ko) 2020-08-20 2020-08-20 밀폐형 압축기
PCT/KR2021/011125 WO2022039555A1 (ko) 2020-08-20 2021-08-20 밀폐형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777A KR102198766B1 (ko) 2020-08-20 2020-08-20 밀폐형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766B1 true KR102198766B1 (ko) 2021-01-05

Family

ID=7414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777A KR102198766B1 (ko) 2020-08-20 2020-08-20 밀폐형 압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8766B1 (ko)
WO (1) WO202203955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555A1 (ko) * 2020-08-20 2022-02-24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밀폐형 압축기
KR102521637B1 (ko) * 2021-11-17 2023-04-14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884B1 (ko) * 2006-12-08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KR20160055530A (ko) 2014-11-10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70117974A (ko) * 2017-09-29 2017-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KR101865517B1 (ko) * 2017-10-24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200039369A (ko) * 2018-10-05 2020-04-16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밀폐형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280B1 (ko) * 2014-11-10 201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KR102198766B1 (ko) * 2020-08-20 2021-01-05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밀폐형 압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884B1 (ko) * 2006-12-08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KR20160055530A (ko) 2014-11-10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70117974A (ko) * 2017-09-29 2017-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KR101865517B1 (ko) * 2017-10-24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200039369A (ko) * 2018-10-05 2020-04-16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밀폐형 압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555A1 (ko) * 2020-08-20 2022-02-24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밀폐형 압축기
KR102521637B1 (ko) * 2021-11-17 2023-04-14 주식회사 대우컴프레셔 밀폐형 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9555A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93498A1 (en) Linear compressor
KR102198766B1 (ko) 밀폐형 압축기
US7025575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with vibration reducing plate
KR20110103762A (ko) 왕복동식 압축기
US11280328B2 (en) Linear compressor
US20050142014A1 (en) Compressor with vibration reducing apparatus
US20050142009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US7553137B2 (en) Discharge valve assembly of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764781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본체 지지장치
KR20050029416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고정장치
KR200142477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방진부재
CN115342042B (zh) 压缩机
KR200158625Y1 (ko) 선형 압축기
KR100608858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흡입냉매 안내장치
KR10043273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KR100521096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070006172A (ko) 왕복동 압축기
KR0122685Y1 (ko) 밀폐형 압축기
KR100739185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본체 편심 방지용 지지장치
KR100320215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진동 저감구조
KR10052758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완충장치
KR10056940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흡입구조
KR20090001057A (ko) 밀폐형 압축기
KR20090022623A (ko) 밀폐형 압축기
KR20000039160A (ko) 토출밸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