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090B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090B1
KR102198090B1 KR1020200013451A KR20200013451A KR102198090B1 KR 102198090 B1 KR102198090 B1 KR 102198090B1 KR 1020200013451 A KR1020200013451 A KR 1020200013451A KR 20200013451 A KR20200013451 A KR 20200013451A KR 102198090 B1 KR102198090 B1 KR 102198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top line
support
connection member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호
Original Assignee
오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호 filed Critical 오세호
Priority to KR102020001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090B1/ko
Priority to US17/036,885 priority patent/US11497271B2/en
Priority to CN202011197753.8A priority patent/CN11320822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착화 시에 갑피와 설포의 형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고 간편하게 착화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기 위하여, 밑창 및 상기 밑창의 상부에 마련되며,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탑 라인을 포함하는 갑피 및 상기 착용자의 발이 상기 탑 라인을 통해 삽입될 때에 상기 탑 라인의 후방영역이 후방을 향해 밀려나도록 하는 상기 제1 착화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화 유도부는 백 카운터로부터 힐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후방 지지부와, 상기 후방 지지부의 상부에서 후방을 향해 굴곡을 갖도록 마련되는 삽입 유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SHOES}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화가 간편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착용자가 땅을 딛고 서거나 걸을 때 발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발등과 관절을 보호하는 갑피 및 밑바닥을 보호하는 밑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신발의 입구는 발의 크기에 비해 작게 만들어져 착화 시 신발이 헐거워져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착화 시 착용자는 허리를 숙이거나 구둣주걱을 이용하여 신발을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착화가 간편한 신발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착화가 간편한 신발에 대한 종래 기술은 이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68953호(착화가 간편한 다기능성 신발, 2019.06.19.)"에 의해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발명은 변형력과 탄성력이 우수한 소재의 지지부를 마련하여 착화 시 신발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다만, 종래의 착화가 간편한 신발들은 사용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고 착화하더라도 갑피 및 설포의 변형이 발생되어 착화 이후에 갑피 및 설포를 정리하여야 한다. 이에, 종래의 착화가 간편한 신발들은 착화 이후 착용자는 허리를 숙여 갑피와 설포를 정리해야 함에 따라 허리를 숙여야 하는 문제점을 고스란히 가질 수 있다. 특히, 몸이 불편한 환자에게는 허리를 숙여 신발을 신고 벗는 것이 매우 힘들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68953호(착화가 간편한 다기능성 신발, 2019.06.19.)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의 착화 시에 갑피와 설포의 형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고 간편하게 착화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밑창 및 상기 밑창의 상부에 마련되며,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탑 라인을 포함하는 갑피 및 상기 착용자의 발이 상기 탑 라인을 통해 삽입될 때에 상기 탑 라인의 후방영역이 후방을 향해 밀려나도록 하는 상기 제1 착화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화 유도부는 백 카운터로부터 힐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후방 지지부와, 상기 후방 지지부의 상부에서 후방을 향해 굴곡을 갖도록 마련되는 삽입 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착화 유도부는 탄성체로 마련되어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착화 유도부는 상기 후방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지지부를 보강하는 제1 및 제2 측방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방 연장부는 상기 후방 지지부의 하부에서 제1 측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측방 연장부재와, 상기 제1 측방 연장부재와 상기 후방 지지부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 경사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방 연장부는 상기 후방 지지부의 하부에서 제2 측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측방 연장부재와 상기 제2 측방 연장부재와 상기 후방 지지부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 경사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은 상기 갑피의 제1 및 제2 측방에 마련되어 상기 갑피의 측방을 보강하는 제1 및 제2 갑피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갑피 지지부는 상기 제1 갑피 지지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1 측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측방 연결부재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전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측방 연결부재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후방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갑피 지지부는 상기 제2 갑피 지지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2 측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측방 연결부재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 전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측방 연결부재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후방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착화 유도부와, 상기 제1 및 제2 갑피 연결부는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갑피 지지부는 상기 제1 전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1 후방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후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1 경사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갑피 지지부는 상기 제2 전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2 후방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후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2 경사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갑피에는 상기 탑 라인의 전방에 설포가 마련되고, 상기 설포와 상기 갑피 지지부를 연결하여 상기 착용자의 발이 상기 탑 라인을 통해 삽입될 때에 상기 설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설포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포 지지부는 상기 전방 연결부재에 축 연결되는 지지고리와, 상기 설포에 홈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고리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고리는 적어도 일영역이 밴딩되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영역의 자유단이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설포 지지부는 상기 설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 스트랩과, 상기 전방 연결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홀과 체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포 지지부는 벨크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설포와 상기 전방 연결부재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신발은 상기 착용자의 발이 상기 탑 라인을 통해 삽입될 때에 상기 착용자의 발과 상기 탑 라인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상기 탑 라인의 후방영역이 후방을 향해 밀려나도록 하는 제2 착화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착화 유도부는 상기 탑 라인에 후방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와,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라인에는 상기 롤러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탑 라인의 높이와 상기 롤러의 중심이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탑 라인의 전방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탑 라인의 전방영역에 위치하는 조작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부는 보아 시스템으로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연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착화 시 갑피와 설포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신발 입구가 자연스럽게 확장되어 착화가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신발을 착용하기 어려운 환자 및 어린이도 불편함 없이 스스로 신발을 쉽게 신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제1 착화 유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제1 착화 유도부와 갑피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설포 지지부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설포 지지부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제2 착화 유도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제1 착화 유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1000)은 밑창(1100) 및 갑피(1200)를 포함한다.
밑창(1100)은 착용자의 발바닥을 보호하기 위해 신발(1000)의 밑바닥을 형성하고, 갑피(1200)는 밑창(1100)의 상부에서 착용자의 발등 및 관절을 보호한다. 여기서, 신발(1000)은 운동화, 부츠(Boots) 및 구두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신발(1000)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신발(1000)에는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탑 라인(1300, Top line)이 형성된다. 탑 라인(1300)은 힐탭(Heel Tab) 및 백 카운터(Back Counter)를 포함할 수 있는 후방영역, 카라(Collar)를 각각 포함할 수 있는 양 측방영역 및 설포(1500, Tongue)를 포함하는 전방영역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신발(1000)에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제1 착화 유도부(10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착화 유도부(100)는 신발(100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착화 유도부(100)는 착화 시에 탑 라인(1300)이 후방영역을 향해 밀려나도록 하여 착용자가 보다 쉽게 착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 착화 유도부(100)는 착용자가 탑 라인(1300)을 통해 신발(1000) 내부로 발을 삽입할 때에, 발이 전방영역을 향해 나아가도록 하고 탑 라인(1300)의 후방영역은 후방을 향해 물러나도록 한다.
예컨대, 제1 착화 유도부(100)는 후방 지지부(110), 삽입 유도부(120), 제1 측방 연장부(130) 및 제2 측방 연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지지부(110)는 신발(100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며, 신발(1000)의 내부에서 백 카운터로부터 힐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 유도부(120)는 후방 지지부(1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신발(1000) 상부로 노출된다. 삽입 유도부(120)는 후방 지지부(110)로부터 신발(1000)의 후방을 향해 굴곡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삽입 유도부(120)는 착용자의 발이 탑 라인(1300)을 통해 삽입될 때에 착용자의 발이 신발(1000) 내부의 전방을 향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면서 힐탭이 후방을 향해 물러나게 한다. 여기서, 삽입 유도부(120)는 신발(1000)의 후방면에 마련될 수 있는 고리부(1400)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제1 측방 연장부(130)는 후방 지지부(110)로부터 제1 측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측방 연장부(130)는 제1 측방 연장부재(131) 및 제1 경사 연결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방 연장부재(131)는 후방 지지부(110)의 하부에서 카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경사 연결부재(132)는 제1 측방 연장부재(131)의 자유단으로부터 힐탭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어 후방 지지부(11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측방 연장부(140)는 후방 지지부(110)로부터 제2 측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2 측방 연장부(140)는 제2 측방 연장부재(141) 및 제2 경사 연결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방 연장부재(141)는 후방 지지부(110)의 하부에서 카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경사 연결부재(142)는 제2 측방 연장부재(141)의 자유단으로부터 힐탭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어 후방 지지부(11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1 측방 연장부(130) 및 제2 측방 연장부(140)는 후방 지지부(110)의 양 측방으로 연장되어 후방 지지부(110)를 보강하게 된다.
한편, 제1 착화 유도부(100)는 후방 지지부(110), 삽입 유도부(120), 제1 측방 연장부(130) 및 제2 측방 연장부(140)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로 마련되어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제1 착화 유도부(100)는 발이 삽입될 때에 발이 탑 라인(1300)을 통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며 신발(1000)의 후방영역이 쉽게 꺾이거나 중간부위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제1 착화 유도부와 갑피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설포 지지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1000)은 제1 갑피 지지부(200), 제2 갑피 지지부(300) 및 설포 지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갑피 지지부(200)는 제1 측방에서 신발(100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1 갑피 지지부(200)는 제1 측방 연장부(130)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측방 연결부재(210), 제1 전방 연결부재(220), 제1 후방 연결부재(230) 및 제1 연결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방 연결부재(210)는 제1 측방 연장부재(131)에 연결되며 제1 갑피 지지부(200)의 하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 전방 연결부재(220)는 제1 측방 연결부재(210)로부터 연장되며, 제1 측방 연결부재(210)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방 연결부재(220)의 자유단은 설포(1500)에 인접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후방 연결부재(230)는 제1 측방 연결부재(210)로부터 연장되며, 제1 측방 연결부재(210)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방 연결부재(220)와 제1 후방 연결부재(230)는 상호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제1 연결부재(240)는 제1 전방 연결부재(220)와 제1 후방 연결부재(230)의 중간영역, 그리고 제1 후방 연결부재(230)와 제1 경사 연결부재(132)의 중간영역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갑피 지지부(300)는 제2 측방에서 신발(100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2 갑피 지지부(300)는 제2 측방 연장부(140)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측방 연결부재(310), 제2 전방 연결부재(320), 제2 후방 연결부재(330) 및 제2 연결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방 연결부재(310)는 제2 측방 연장부재(141)에 연결되며 제2 갑피 지지부(300)의 하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2 전방 연결부재(320)는 제2 측방 연결부재(310)로부터 연장되며, 제2 측방 연결부재(310)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방 연결부재(320)의 자유단은 설포(1500)에 인접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후방 연결부재(330)는 제2 측방 연결부재(310)로부터 연장되며, 제2 측방 연결부재(310)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방 연결부재(320)와 제2 후방 연결부재(330)는 상호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제2 연결부재(340)는 제2 전방 연결부재(320)와 제2 후방 연결부재(330)의 중간영역, 그리고 제2 후방 연결부재(330)와 제2 경사 연결부재(142)의 중간영역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갑피 지지부(200) 및 제2 갑피 지지부(300)는 탄성체로 마련되어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제1 갑피 지지부(200)와 제2 갑피 지지부(300)는 발이 탑 라인(1300)을 통해 삽입될 때에 탑 라인(1300)에 이웃하는 신발(1000)의 양 측방영역이 쉽게 꺾이거나 중간부위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착화 유도부(100)와 제1 갑피 지지부(200) 및 제2 갑피 지지부(300)가 한몸으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착화 유도부(100)와 제1 갑피 지지부(200) 및 제2 갑피 지지부(300)는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설포 지지부(500)는 착용자가 탑 라인(1300)을 통해 신발(1000) 내부로 발을 삽입할 때에 설포(1500)의 위치를 고정시켜 착화가 보다 간편하도록 하고, 착화 이후에 설포(1500)의 정리가 불필요하도록 한다. 이러한 설포 지지부(500)는 신발(1000)의 양측에 각각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1 측방에 배치되는 설포 지지부(5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설포 지지부(500)는 제1 전방 연결부재(220)에 축 연결되는 지지고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고리(510)는 적어도 일영역이 밴딩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지지고리(510)의 일영역은 설포(1500)에 형성된 홈 형태의 삽입부(520)에 삽입되어, 설포(1500)가 탑 라인(1300)을 통해 신발(1000)의 내부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지지고리(510)는 삽입부(520)에 삽입되는 영역의 자유단이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 또는 소정의 굴곡을 갖도록 마련되어 설포(150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착용자는 필요 시에 지지고리(510)를 삽입부(520)에 삽입하여 설포(1500)를 고정하고, 불필요 시에 지지고리(510)를 삽입부(520)로부터 이탈시켜 설포(150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설포 지지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신발(1000)은 설포 지지부(500)가 체결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설포 지지부(500)는 설포(1500)에 마련된 고정 스트랩(60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스트랩(600)은 설포(1500)로부터 설포(1500)의 양측방을 향해 연장된다. 이때, 고정 스트랩(600)은 설포(1500)에 고정된 상태이거나 설포(1500)에 형성된 스트랩 지지부(15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설포(1500)의 측방을 향해 연장된 고정 스트랩(600)의 적어도 일영역에는 복수 개의 고정홀(610)이 나열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고정홀(610)은 제1 전방 연결부재(220) 및 제2 전방 연결부재(320)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는 고정부(620)에 체결되어, 착화 시에 설포(1500)가 탑 라인(1300)을 통해 신발(1000)의 내부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설포 지지부(500)는 벨크로 형태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포(1500)가 제1 및 제2 전방 연결부재(3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제2 착화 유도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신발(1000)은 제2 착화 유도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착화 유도부(700)는 착용자가 간편히 착화할 수 있도록 힐탭에 마련되는 제1 롤러(710), 제2 롤러(720), 제3 롤러(730) 및 제4 롤러(7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롤러(710) 및 제2 롤러(720)는 후방 지지부(110)를 기준으로 제1 측방의 힐탭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힐탭에는 제1 롤러(710) 및 제2 롤러(72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수용홈(700a)이 형성되어 제1 롤러(710) 및 제2 롤러(720)의 중심이 탑 라인(1300)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롤러(730) 및 제4 롤러(740)는 후방 지지부(110)를 기준으로 제2 측방의 힐탭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힐탭에는 제3 롤러(730) 및 제4 롤러(74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수용홈(700b)이 형성되어 제3 롤러(730) 및 제4 롤러(740)의 중심이 탑 라인(1300)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힐탭에 마련된 복수 개의 롤러(710, 720, 730, 740)는 착용자의 발이 탑 라인(1300)을 통해 신발(1000) 내부로 삽입될 때에 발과 힐탭의 마찰을 줄이면서 발이 전방영역을 향해 나아가도록 하고 후방영역은 후방을 향해 물러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롤러(710, 720, 730, 740)는 고무 및 스폰지와 같은 연성의 재질을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착화 시에 착용자의 통증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복수 개의 롤러(710, 720, 730, 740)는 와이어(75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운동할 수 있으며, 와이어(750)는 설포(1500)의 상부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750)는 후방 연결부재(230, 330) 및 전방 연결부재(220, 320)에 지지된 와이어 튜브(미도시)를 관통하여 설포(1500) 상부에 마련된 조작부(76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760)는 보아시스템과 같은 다이얼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와이어(75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복수 개의 롤러(710, 720, 730, 740)를 지지하는 와이어(750)의 길이 조절에 따라 탑 라인(1300)의 직경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신체 사이즈에 따라 탑 라인(1300)의 직경을 변화시키며 안정적으로 신발(1000)을 신을 수 있고 발목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착화 시 갑피와 설포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신발 입구가 자연스럽게 확장되어 착화가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신발을 착용하기 어려운 환자 및 어린이도 불편함 없이 스스로 신발을 쉽게 신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15)

  1. 밑창;
    상기 밑창의 상부에 마련되며,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탑 라인을 포함하는 갑피; 및
    상기 착용자의 발이 상기 탑 라인을 통해 삽입될 때에 상기 탑 라인의 후방영역이 후방을 향해 밀려나도록 하는 제1 착화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화 유도부는
    백 카운터로부터 힐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후방 지지부와,
    상기 후방 지지부의 상부에서 후방을 향해 굴곡을 갖도록 마련되는 삽입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화 유도부는
    탄성체로 마련되어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착화 유도부는
    상기 후방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지지부를 보강하는 제1 및 제2 측방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방 연장부는
    상기 후방 지지부의 하부에서 제1 측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측방 연장부재와, 상기 제1 측방 연장부재와 상기 후방 지지부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 경사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방 연장부는
    상기 후방 지지부의 하부에서 제2 측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측방 연장부재와 상기 제2 측방 연장부재와 상기 후방 지지부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 경사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제1 및 제2 측방에 마련되어 상기 갑피의 측방을 보강하는 제1 및 제2 갑피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갑피 지지부는
    상기 제1 갑피 지지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1 측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측방 연결부재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전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측방 연결부재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후방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갑피 지지부는
    상기 제2 갑피 지지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2 측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측방 연결부재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 전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측방 연결부재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후방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화 유도부와, 상기 제1 및 제2 갑피 연결부는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갑피 지지부는
    상기 제1 전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1 후방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후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1 경사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갑피 지지부는
    상기 제2 전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2 후방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후방 연결부재와 상기 제2 경사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에는
    상기 탑 라인의 전방에 설포가 마련되고,
    상기 설포와 상기 갑피 지지부를 연결하여 상기 착용자의 발이 상기 탑 라인을 통해 삽입될 때에 상기 설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설포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 지지부는
    상기 전방 연결부재에 축 연결되는 지지고리와,
    상기 설포에 홈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고리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리는
    적어도 일영역이 밴딩되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영역의 자유단이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 지지부는
    상기 설포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 스트랩과,
    상기 전방 연결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홀과 체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 지지부는
    벨크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설포와 상기 전방 연결부재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발이 상기 탑 라인을 통해 삽입될 때에 상기 착용자의 발과 상기 탑 라인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상기 탑 라인의 후방영역이 후방을 향해 밀려나도록 하는 제2 착화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화 유도부는
    상기 탑 라인에 후방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와,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탑 라인에는
    상기 롤러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탑 라인의 높이와 상기 롤러의 중심이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탑 라인의 전방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탑 라인의 전방영역에 위치하는 조작부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부는
    보아 시스템으로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연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200013451A 2020-02-05 2020-02-05 신발 KR102198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451A KR102198090B1 (ko) 2020-02-05 2020-02-05 신발
US17/036,885 US11497271B2 (en) 2020-02-05 2020-09-29 Shoes
CN202011197753.8A CN113208228B (zh) 2020-02-05 2020-10-3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451A KR102198090B1 (ko) 2020-02-05 2020-02-05 신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307A Division KR102225534B1 (ko) 2020-02-05 2020-08-18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090B1 true KR102198090B1 (ko) 2021-01-05

Family

ID=7414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451A KR102198090B1 (ko) 2020-02-05 2020-02-05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0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2460U (ja) * 2017-05-31 2017-09-14 直道 高橋
KR20190068953A (ko) 2017-12-11 2019-06-1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착화가 간편한 다기능성 신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2460U (ja) * 2017-05-31 2017-09-14 直道 高橋
KR20190068953A (ko) 2017-12-11 2019-06-1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착화가 간편한 다기능성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6043B2 (ja) ブーツライナー
CN104473371B (zh) 用于鞋类物品的稳定和舒适系统
WO1999039599A1 (en) Shoe with arch support
NL2000762C1 (nl) Schoen.
US3299893A (en) Means for stopping the forward movements of the foot in a shoe
MXPA04007059A (es) Calcetin con un soporte localizado en el tobillo.
WO2007083898A1 (en) Footwear
US11497271B2 (en) Shoes
KR102198090B1 (ko) 신발
KR102225534B1 (ko) 신발
JP2024039656A (ja) 中敷き及びこれを備えた靴
US20180345083A1 (en) Swim fin adapted for walking
KR101170196B1 (ko) 하이힐용 장치 및 하이힐 구성 방법
US2319239A (en) Boot
US20190289957A1 (en) Toe separating device and footwear having the same
KR102450372B1 (ko) 착용이 간편한 신발용 백카운터
JP5449043B2 (ja) スポーツ用サポーター
US11154118B2 (en) Footwear accessory
US20070260330A1 (en) Foot prosthesis to enhance the appearance of a dancer's foot
KR20010070601A (ko) 구두용 누드 양말
KR102458544B1 (ko) 무지외반증 다이얼 교정기
KR101813254B1 (ko) 구두
KR200292630Y1 (ko) 구두의 변형방지 및 걸음자세교정이 가능한 구두 굽 및구두구조
GB2126872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rotective boots and metatarsal shields therefore
JP3240620U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