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842B1 - 이동식 에어컨 - Google Patents

이동식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842B1
KR102197842B1 KR1020200113969A KR20200113969A KR102197842B1 KR 102197842 B1 KR102197842 B1 KR 102197842B1 KR 1020200113969 A KR1020200113969 A KR 1020200113969A KR 20200113969 A KR20200113969 A KR 20200113969A KR 102197842 B1 KR102197842 B1 KR 102197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ndenser
condensed water
collecting
disper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이엘
Priority to KR1020200113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구획된 공간 내에 압축기(100)와 응축기(200)와 팽창장치(300) 및 증발기(400)가 각각 구비되는 이동식 에어컨(10)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400) 하부 측에 응축기(200)가 위치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증발기(400)와 응축기(200)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40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500)를 포집하고, 포집된 응축수(500)를 분산하여 하부의 응축기(200) 상측으로 자연 낙하시키는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에어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에어컨 {Portabl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이동식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의 상단으로 분산 낙하시켜, 타 구성부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응축기를 낙하된 응축수에 의해 원활한 냉각작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응축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식 에어컨은 증발기측과 응축기측이 격벽으로 분리되어 각각의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 내부에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인 증발기, 응축기, 송풍팬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응축기측의 토출구에는 냉매를 응축시킨 뜨거운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덕트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이동식 에어컨은, 통상의 에어컨과 유사하게, 압축된 냉매가스가 응축기를 통하여 냉각되면서 액화되고, 모세관을 지난 액화 냉매가스는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기체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열을 대량으로 빼앗아 증발기의 온도를 냉각시키게 되고, 이후 증발기측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송풍팬의 가동으로 증발기측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 온도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 이동식 에어컨의 경우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증발기 하부의 응축수 탱크로 모여져서 주기적으로 응축수 탱크를 비워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65031호의 선행발명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압축된 냉매를 이용하는 증발유닛과, 상기 증발유닛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하부에서 흡수할 수 있는 응축수 패드를 구비하여 상기 응축수 패드에 송풍기로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응축수의 증발에 의한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항상 응축수에 젖어 있는 응축수 패드는 세균번식과 부패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5536호의 선행발명에는 외부 케이스를 이루는 실내기 본체와, 본체 내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의 포집 수단인 드레인, 실내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팬모터 및 공기필터가 차례로 구성된 에어컨에 있어서, 드레인으로 포집된 응축수가 유수관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관로 상에 팬모터를 위치시킴으로서 응축수가 팬모터를 냉각시킬 수 있으나 있으나, 팬모터의 외주면을 코일 형태로 감싸도록 연접되여 응축수의 냉기가 코일과 팬모터의 외관을 통과하여 냉각됨으로 냉각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선행 기술 중 응축수 이송장치를 이용한 방법은 응축수가 응축기 상부로 공급될 때 마다 냉동 사이클의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일정한 응축기 냉각효과를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5536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65031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7999호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5-02012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동식 에어컨에서, 증발기 하부 측에 응축기가 위치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포집하고, 포집된 응축수를 타 구성부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응축기의 상단으로 분산 낙하시켜, 낙하된 응축수가 응축기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흐르면서 기화에 의해 원활한 냉각작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응축효율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기화된 응축수가 배기되어 잉여 응축수의 량(量)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에어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구획된 공간 내에 압축기(100)와 응축기(200)와 팽창장치(300) 및 증발기(400)가 각각 구비되는 이동식 에어컨(10)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400) 하부 측에 응축기(200)가 위치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증발기(400)와 응축기(200)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40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500)를 포집하고, 포집된 응축수(500)를 분산하여 하부의 응축기(200) 상측으로 자연 낙하시키는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에어컨으로 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와 응축기(200) 상측 사이에는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한 열이 상부측의 증발기(4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재(700)를 더 구비한다.
또한, 증발기(400)와 응축기(200) 사이에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가 구비된 열교환기 장치에서,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고, 상기 정면을 기준으로 응축기의 상측 면의 길이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칭하고, 상기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직교하는 수직방향으로 칭하였을 때,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는 상부측에는 증발기(400)의 하측부(41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610)가 구비되되,
상기 공간부(610)는 증발기(400)의 정면(420) 및 후면(430)과 맞닿는 부분에서 내부쪽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포집부(620, 620')와, 상기 포집부(620)의 내측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평면으로 이루어진 분산부(6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분산부(630)에는 하부로 관통되어 분산부의 응축수를 하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분산구(分散口; 640)가 다수 개로 천공된다.
또한, 상기 분산구(640)는 세로방향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응축 열교환기의 크기에 따라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에 구비된 상기 분산구(640)는 2열로 형성되며, 상기 분산구(640)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는 응축기(200)의 4열의 냉매관 중에서 2열 과 3열의 냉매관(220, 230)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분산구(640)는 응축기의 크기에 따라 1열로 형성 될 때도 있으며 이때의 분산구 위치는 응축기 중앙부위에 낙하되게 하여 냉각효과 및 송풍기 풍속에 의해 비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에 구비된 상기 분산부(630)의 좌우 단측의 증발기(400)의 방열판외측과 접하는 부분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전부(650, 6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전부(650)는 포집부(620)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포집부와 연결된 연결부(652)를 제외한 외부에 물 넘침 방치턱(65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안전부(650)에는 하부로 관통된 응축수 배출홀(660)을 구비하며,
상기 응축수 배출홀(660)은 분산부(630)의 분산구(640)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배출홀(660)로 배수된 응축수는 응축기(200) 하부에 설치되는 응축수받이(800)로 낙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400)의 좌, 우측에는 증발기(400)의 냉매관(44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프레임(450, 4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450, 450')은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의 안전부(650, 65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후면(430)의 포집부(620, 620')에는 증발기(400)의 하측 냉매관을 지지하는 냉매관 받침부(67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냉매관 받침부(670)에는 방열판이 삽입되며, 외측으로 낙하된 응축수가 분산부(630)로 이동할 수 있는 방열판삽입홈(67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는 상기 후면(430)의 포집부(620')와, 안전부(650, 650')의 외측으로 일정한 공간(A)이 구비되며, 정면과 상기 공간(A)의 외측에는 일정 높이(H1)를 가지는 외벽(90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응축수받이(800)는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의 외벽(900)과 동일한 형상의 물받이 벽(81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단열재(700)는 상부측에는 상기 포집부(620, 620')에 형성된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을 구비하고, 분산구(640)가 위치된 부분에는 직사각형의 공간부가 2열로 형성되어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응축기(200)의 상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동식 에어컨에서 증발기 하부 측에 응축기가 위치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포집하고, 포집된 응축수를 타 구성부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응축기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분산 낙하시키는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를 구비하여 되는 분산 낙하되는 응축수에 의해 응축기가 원활한 냉각작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응축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전의 응축수 이송장치에 의한 응축기 냉각방법에 비해 주위 환경온도 및 습도량에 따라 균등하게 변동되어 냉동사이클이 급격한 변화를 주지 않는다. 또한 고온 고습의 조건에서 보다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응축수에 의해 응축기에 낙하되어 응축수의 증발에 의해 응축수 탱크에 포집되는 응축수의 량이 감소되어 응축수를 비워야 하는 횟수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에어컨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와 응축기사이에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가 설치된 열교환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A-A'선 단면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B-B'선 단면에서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단열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에어컨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원 발명은 서로 구획된 공간 내에 압축기(100)와 응축기(200)와 팽창장치(300) 및 증발기(400)가 각각 구비되는 이동식 에어컨(10)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실내공기를 흡입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증발기(400)의 표면에 맺혀지는 응축수(500)를 포집하고, 포집된 응축수(500)를 분산하여 하부의 응축기(200) 상측으로 자연 낙하시키는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를 구비하여 분산 낙하되는 응축수에 의해 응축기가 원활한 냉각작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응축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에 의해 포집된 응축수(500)가 응축기(200)의 상부에 낙하되어 응축수(500)의 증발에 의해 응축수 탱크에 포집되는 응축수의 량이 감소되어 응축수를 비워야 하는 횟수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동식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이동식 에어컨은 격벽(11, 12)에 의해 구획된 본체의 응축기 공간부에 냉매가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00)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를 액화시켜 상온으로 응축하는 응축기(200)가 설치되며, 전방에서 응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송풍팬(200)에 의하여 응축기(200) 쪽에서 바람을 송풍시켜 응축기(200)를 공랭시키게 된다.
또한, 상부측 증발기 공간부에는 팽창장치(모세관; 300)를 거쳐 팽창된 냉매를 기화시켜 주위의 열을 흡수하도록 하는 증발기(400)가 설치되고, 격판(11)의 전방에는 실내의 공기를 증발기(400)의 흡열작용을 통해 열교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송풍팬(20)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증발기(400) 하부 측에 응축기(200)가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증발기(400)와 응축기(200)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40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500)를 포집하고, 포집된 응축수(500)를 분산하여 하부의 응축기(200) 상측으로 자연 낙하시키는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부측 증발기 공간부에는 팽창장치(모세관; 300)를 거쳐 팽창된 냉매를 기화시켜 주위의 열을 흡수하도록 하는 증발기(400)가 설치됨에 따라 증발기(400)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열교환시에 실내공기에 포함하고 있는 습기가 냉각되어 증발기(400)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500)가 자연적으로 하부로 낙하됨으로 이를 포집하고, 이와 같이 포집된 응축수(500)를 분산하여 하부의 응축기(200) 상측으로 자연낙하 시키는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를 통하여 하부의 응축기(200) 상측으로 자연 낙하되는 응축수는 응축기(200)에 의하여 일부는 증발되어 배출용 더운 공기와 같이 배출되고 나머지 증발되지 않은 응축수는 응축기(200)에 구비된 상기 응축수받이(800)에 모이게 되고, 이와 같이 잉여 포집된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받이(800) 하부측에 설치되는 통상의 물탱크 또는 배수펌프에 의하여 이동식 에어컨(10) 외부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2 내지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와 응축기 사이에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가 설치된 열교환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단열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6을 참고하면,
상기 도면들은 증발기(400)와 응축기(200) 사이에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가 구비된 열교환기 장치에서,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고, 증발기(400)의 상측면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칭하여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발기(400)와 응축기(200) 사이에는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는 상부측에는 증발기(400)의 하측부(41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610)가 구비되되, 상기 공간부(610)는 증발기(400)의 정면(420) 및 후면(430)과 맞닿는 부분에서 내부쪽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포집부(620, 620')와, 상기 포집부(620)의 내측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평면으로 이루어진 분산부(6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분산부(630)에는 하부로 관통되어 분산부의 응축수를 하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분산구(分散口; 640)가 다수 개로 천공된다.
또한, 상기 분산구(640)는 폭 방향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응축 열교환기의 크기에 따라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증발기(400) 표면에 생성되는 응축수(500)는 증발기(400) 표면을 타고 자연적으로 하부로 낙하된다,
이와 같이 낙하된 응축수(500)는 공간부(610)에서 증발기(400)의 정면(420) 및 후면(430)과 맞닿는 부분에서 내부쪽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포집부(620, 620')의 경사면을 따라 내부쪽으로 포집하게 되며, 상기 포집부(620)의 내측에 평면으로 이루어진 분산부(630)에 모이게 되며, 이와 같이 포집된 응축수는 분산부(630)에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개로 구비된 분산구(分散口; 640)를 통하여 하부측에 설치된 응축기(200)의 상부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응축기(200)는 4열로 냉매관이 구비되어 있고, 전면부터 1열 냉매관(210), 2열 냉매관(220), 3열 냉매관(230), 4열 냉매관(240)으로 칭한다.
이와 같이 낙하된 응축수는 응축기(200)에서 4열로 구비된 냉매관 중에서 2열 과 3열의 냉매관(220, 230)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부에서 낙하되는 응축수가 2열 과 3열의 냉매관(220, 230)으로 낙하되고, 하측으로 냉매관의 표면과 냉각판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응축기(200)를 냉각시키는 냉각공기에 의하여 증발되어 냉각공기와 더불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부에서 낙하되는 응축수가 2열 과 3열의 냉매관(220, 230)으로 낙하시키는 것은 응축기(200)를 냉각시키는 냉각공기에 의하여 증발되지 않은 응축수가 배기관으로 배출되는 것과, 응축기가 설치된 이동식 에어컨의 외측인 몸체 외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2열 과 3열의 냉매관(220, 230)으로 낙하된 응축수는 응축기(200)의 표면에서 증발되면서 응축기(200)를 냉각시켜, 응축기(200)가 원활한 냉각작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응축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구(640)는 응축기의 크기에 따라 1열로 형성 될 때도 있으며 이때의 분산구 위치는 응축기 중앙부위에 낙하되게 하여 냉각효과 및 송풍기 풍속에 의해 비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또한, 포집된 응축수가 응축기(200)에 낙하되면서 증발함에 따라 잉여 응축수 량이 감소되어 잉여 응축수를 포집하는 응축수 탱크를 비워야 하는 횟수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에 구비된 상기 분산부(630)의 좌우 단측의 증발기(400)의 방열판외측과 접하는 부분에는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전부(650, 6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전부(650)는 포집부(620)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포집부와 연결된 연결부(652)를 제외한 외부에 물 넘침 방치턱(65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안전부(650)에는 하부로 관통된 응축수 배출홀(660)을 구비하며,
상기 응축수 배출홀(660)은 분산부(630)의 분산구(640)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배출홀(660)로 배수된 응축수는 응축기(200) 하부에 설치되는 응축수받이(800)로 낙하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안전부(650)를 설치하는 것은 분산부(630)에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개로 구비된 분산구(640)가 먼지등 외부요인에 인하여 막혔을 때 분산부(630)에 포집된 응축수가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 외부로 넘치지 않고, 응축기(200) 하부에 설치된 응축수받이(800)로 배출하기 안전장치이다.
또한, 상기 증발기(400)의 좌, 우측에는 증발기(400)의 냉매관(44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프레임(450, 4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450, 450')은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의 안전부(650, 65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후면(430)의 포집부(620, 620')에는 증발기(400)의 하측 냉매관을 지지하는 냉매관 받침부(67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냉매관 받침부(670)에는 방열판이 삽입되며, 외측으로 낙하된 응축수가 분산부(630)로 이동할 수 있는 방열판삽입홈(67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는 상기 후면(430)의 포집부(620')와, 안전부(650, 650')의 외측으로 일정한 공간(A)이 구비되며, 정면과 상기 공간(A)의 외측에는 일정 높이(H1)를 가지는 외벽(90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증발기(400)는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에 구비된 공간부(610)에 삽입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와 응축기(200) 상측 사이에는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한 열이 상부측의 증발기(4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재(700)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단열재(700)는 상부측에는 상기 포집부(620, 620')에 형성된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710, 720)을 구비하고, 분산구(640)가 위치된 부분에는 직사각형의 공간부(730, 740)가 2열로 형성되어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응축기(200)의 상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단열재(700)가 결합된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의 하부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응축기(200)의 상부면과 접하게 됨에 따라 응축기에서 전달되는 진동과 열을 상부에 설치되는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에 전달하지 않고 차단하게 된다.
또한, 직사각형의 공간부(730, 740)는 분산구(640)의 길이와 폭 보다 넓고 길게 형성되어, 상부의 분산구(640)를 통하여 낙하되는 응축수와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받이(800)는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의 외벽(900)과 동일한 형상의 물받이 벽(810)을 구비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이동식 에어컨 100 : 압축기
200 : 응축기 300 : 팽창장치
400 : 증발기 500 : 응축수
400 : 가압링 420: 가압플랜지
600 :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 610 : 공간부
620 : 포집부 630 : 분산부
640 : 분산구 650 : 안전부
660 : 응축수 배출홀 670 : 냉매관 받침부
700 : 단열재 800 : 응축수받이

Claims (6)

  1. 서로 구획된 공간 내에 압축기(100)와 응축기(200)와 팽창장치(300) 및 증발기(40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400) 하부 측에 응축기(200)가 위치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증발기(400)와 응축기(200)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40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500)를 포집하고, 포집된 응축수(500)를 분산하여 하부의 응축기(200) 상측으로 자연 낙하시키는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를 구비한 이동식 에어컨(10)에 있어서,
    증발기(400)에서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고,
    증발기(400)의 상측면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칭하였을 때,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는
    상부측에는 증발기(400)의 하측부(41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610)가 구비되되,
    상기 공간부(610)는 증발기(400)의 정면(420) 및 후면(430)과 맞닿는 부분에서 내부쪽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포집부(620, 620')와,
    상기 포집부(620)의 내측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평면으로 이루어진 분산부(630)를 구비하며,
    상기 분산부(630)에는 폭 방향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분산구(分散口; 640)가 다수 개로 천공되고,
    또한,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에는
    상기 분산부(630)의 좌우 단측의 증발기(400)의 방열판외측과 접하는 부분에는 폭 방향으로 형성된 안전부(650, 650')가 구비되며,
    상기 안전부(650)는 포집부(620)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포집부와 연결된 연결부(652)를 제외한 외부에 물 넘침 방치턱(651)이 설치되고,
    상기 안전부(650)에는 하부로 관통된 응축수 배출홀(660)을 구비하며,
    상기 응축수 배출홀(660)은 분산부(630)의 분산구(640)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배출홀(660)로 배수된 응축수는 응축기(200) 하부에 설치되는 응축수받이(800)로 낙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에어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포집 및 분산 장치(600)와 응축기(200) 상측 사이에는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한 열이 상부측의 증발기(4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재(70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에어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구(640)는 2열로 형성되며
    상기 분산구(640)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는 응축기(200)의 4열의 냉매관 중에서 2열 과 3열의 냉매관(220, 230)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에어컨.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13969A 2020-09-07 2020-09-07 이동식 에어컨 KR102197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969A KR102197842B1 (ko) 2020-09-07 2020-09-07 이동식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969A KR102197842B1 (ko) 2020-09-07 2020-09-07 이동식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842B1 true KR102197842B1 (ko) 2021-01-04

Family

ID=7412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969A KR102197842B1 (ko) 2020-09-07 2020-09-07 이동식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8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9068A (zh) * 2021-09-23 2022-01-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厨房空调的冷凝水处理组件、方法和厨房空调
KR20220134939A (ko)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엠에스티 이동식 에어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0124U (ko) 1993-12-14 1995-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응축수 집수장치
KR200167999Y1 (ko) 1999-08-20 2000-02-15 대우전자주식회사 응축수를 이용한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기 냉각장치
KR20060065031A (ko) 2004-12-09 2006-06-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응축수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에어컨
KR20060075536A (ko) 2004-12-28 2006-07-0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응축수를 이용한 팬모터 냉각장치
KR20080041066A (ko) * 2006-11-06 200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04053A (ko) * 2013-07-02 201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0124U (ko) 1993-12-14 1995-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응축수 집수장치
KR200167999Y1 (ko) 1999-08-20 2000-02-15 대우전자주식회사 응축수를 이용한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기 냉각장치
KR20060065031A (ko) 2004-12-09 2006-06-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응축수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에어컨
KR20060075536A (ko) 2004-12-28 2006-07-0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응축수를 이용한 팬모터 냉각장치
KR20080041066A (ko) * 2006-11-06 200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50004053A (ko) * 2013-07-02 201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939A (ko)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엠에스티 이동식 에어컨
CN113899068A (zh) * 2021-09-23 2022-01-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厨房空调的冷凝水处理组件、方法和厨房空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90508B (zh) 空气调节装置
KR102197842B1 (ko) 이동식 에어컨
US11639800B2 (en) Dehumidification drainage system with mist eliminator
KR100953198B1 (ko) 공기조화기
CN210601989U (zh) 移动空调
CN207763145U (zh) 除湿机
US3691786A (en) Air condition apparatus with refrigerant super cooler
JP2019522165A (ja) 部屋の天井の下に設置するための冷却装置
TW202103774A (zh) 除濕機
KR20060129789A (ko) 실외기 없는 에어컨
KR102095486B1 (ko) 응축수를 이용하여 냉각 효율이 향상된 축사 전용 냉방 시스템
KR20060065031A (ko) 응축수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에어컨
CN106440072A (zh) 一种多蒸发温度的高效单元式空气调节机
KR20210058652A (ko)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99422B1 (ko) 에너지 절약형 실내기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CN219222656U (zh) 室内机及空调
JP4399926B2 (ja) 空気調和機
KR100395569B1 (ko) 에어컨의 응결수 처리장치
WO2023208210A1 (zh) 除湿机
KR100953199B1 (ko) 공기조화기
CN105698358B (zh) 一种用于空调器的冷凝水处理装置及其空调器
TWI820608B (zh) 冷凍式空氣乾燥機水簾式冷凝冷却裝置
CN217357521U (zh) 接水装置、室内机以及空调
CN219318690U (zh) 一种冷藏柜冷凝单元
CN219868214U (zh) 空调室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