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467B1 - 분산 접속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 Google Patents

분산 접속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467B1
KR102197467B1 KR1020140083782A KR20140083782A KR102197467B1 KR 102197467 B1 KR102197467 B1 KR 102197467B1 KR 1020140083782 A KR1020140083782 A KR 1020140083782A KR 20140083782 A KR20140083782 A KR 20140083782A KR 102197467 B1 KR102197467 B1 KR 102197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ssage
data channel
frame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368A (ko
Inventor
조승권
김석기
김성경
김형진
정수정
장성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324,492 priority Critical patent/US9955510B2/en
Publication of KR20150006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분산 접속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이 개시된다. 단말은, 제1 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데이터 채널에서 할당될 데이터 채널을 맵핑하고, 우선 순위를 맵핑한다. 여기서, 단말은, 매핑된 데이터 채널에서, 자원에 대한 요구 메시지 및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응답 메시지에 대한 자원의 위치를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한다.

Description

분산 접속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METHOD AND TERMINAL FOR DISTRIBUTED ACCESS}
본 발명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분산 접속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인접성 기반으로 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직접통신(Device to Device, D2D)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으며,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무선 분산 통신 환경에서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기술로, FlashLinQ, WiFi Direct, IEEE 802.15.8(Peer Awareness Communication) 등이 있다.
상기 기술들 중 최근 각광 받고 있는 WiFi에서 무선 자원을 경쟁하는 단말의 수가 십 여대 미만의 경우, 사용자는 접속 대기(access latency)나 단말의 처리량throughput) 등에 대해서 큰 불편함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나, 무선 자원을 경쟁하는 단말의 수가 십 여대 이상인 경우에는 접속 대기(access latency)가 급격히 늘어나고 단말의 처리량(throughput)이 급격히 떨어짐으로 인해, 사용자가 WiFi 전원을 꺼버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WiFi가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에 기반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특히 시스템 고부하 상태에서 접속 대기(access latency) 시간의 경우, 단말의 수가 십여 대를 넘어가면서 지수 함수적으로 급격히 증가하는데, 이는 경쟁 과정에서 오버헤드(overhead)가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IEEE 802.11 HEW (High Efficiency WLAN) 및 IEEE 802.15.8 PAC(Peer Aware Communication, IEEE 802.15.8)는 많을 수의 단말에 대한 접속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 하는 과제는 단말의 수가 많아지더라도 성능의 열화를 줄일 수 있는 분산 접속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에서, 제1 단말이 분산 접속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 중, 상기 제1 단말에게 할당될 제1 데이터 채널을 맵핑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우선 순위(scheduling priority)를 맵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데이터 채널에서, 자원에 대한 요구 메시지인 제1 메시지와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제2 메시지에 대한 자원의 위치를,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채널을 맵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의 고유 식별자, 상기 제1 프레임이 속한 슈퍼 프레임의 인덱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인덱스에 따라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채널의 인덱스(l)는 다음의 수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Figure 112014063281616-pat00001
, 상기 수식에서, p는 상기 제1 단말의 고유 식별자, s는 상기 슈퍼 프레임의 인덱스, n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인덱스일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의 고유 식별자(p), 상기 제1 프레임이 속한 슈퍼 프레임의 인덱스(s),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인덱스(n)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는 (p + s*10 + n) modulo 8의 값인 제1 값이 0 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값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1 단말의 우선 순위는 다음의 수식인
Figure 112014063281616-pat00002
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값이 0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단말의 우선 순위는 0일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채널은 스케줄링 구간 및 데이터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메시지를 보낼 것임을 나타내는 신호인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정된 제1 메시지의 자원 위치에서 상기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제1 메시지를 제외한 나머지 제1 메시지에 대한 구간에서, 블록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필요한 자원의 량을 표시하는 제 1 정보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정보 필드는 상기 제1 단말의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데이터 버스트, 상기 제1 단말과 피어링(Peering)된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액(ACK), 상기 데이터 버스트와 상기 액 사이의 시간 차에 대응하는 갭에 의해 그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과 피어링된 제2 단말로부터 상기 결정된 제2 메시지의 자원 위치에서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다른 단말들이 송신하는 상기 제1 메시지들을 수신하여 옵셋을 계산하며, 상기 옵셋 및 상기 제1 정보 필드의 값을 상기 제2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단말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제3 단말들로부터 상기 제2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3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3 단말들에 할당된 자원과 상기 제1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이 중복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데이터 채널과 연속되는 데이터 채널인 제2 데이터 채널에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1 단말과 피어링된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이 경쟁에 참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나머지 단말이 경쟁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데이터 채널에서 연속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 환경에서 경쟁하는 복수의 단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 중, 상기 복수의 단말에 각각 대응하는 데이터 채널을 맵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에 대한 우선 순위를 맵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송신 단말은, 자원에 대한 요청 메시지인 분산 자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스케줄링 요청 신호(Scheduling Request Indicator, SRI)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맵핑된 데이터 채널의 스케줄링 구간에서, 상기 송신 단말은 상기 분산 자원 요청 메시지를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케줄링 구간에서, 상기 송신 단말에 대응하는 수신 단말은 상기 분산 자원 요청 메시지의 응답인 분산 자원 응답 메시지를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맵핑과 상기 우선 순위 맵핑은, 상기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공유하고 있는 고유 식별자인 PID, 상기 제1 프레임이 속한 슈퍼 프레임의 인덱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인덱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송신 단말은 상기 맵핑된 데이터 채널과 연속하는 데이터 채널에서, 상기 송신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송신 단말이 상기 스케줄링 요청 신호(SRI)를 전송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송신 단말은 상기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연속하는 데이터 채널에서 연속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은, 무선 주파수 변환기, 그리고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기와 연결되고, 프레임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 채널에서 할당될 데이터 채널을 맵핑하며, 자원에 대한 우선권인 우선 순위를 맵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의 직접통신 연결의 고유 식별자, 프레임이 속한 슈퍼 프레임의 인덱스 및 상기 프레임의 인덱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채널의 맵핑 및 상기 우선 순위의 맵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매핑된 데이터 채널과 연속되는 데이터 채널에서, 상기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이 경쟁에 참여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나머지 단말이 경쟁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연속 할당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자 + 상기 슈퍼프레임의 인덱스 * 10 + 상기 프레임의 인덱스) modulo 8의 값이 0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우선 순위를 다르게 맵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단말들의 숫자가 많더라도 성능 저하를 줄이면서 많은 단말이 통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DS-REQ 자원 및 DS-REQ 자원의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이 SRI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이 DS-REQ 신호를 전송하고 블록킹 신호(Blocking signal)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S-REQ 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이 옵셋(Offset)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이 DS-RSP를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상대인지통신 단말(PAC(Peer Aware Communication) Device, PD)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AMS, HR-MS, SS, PSS, AT, UE, PD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능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단말들이 공유된 무선 자원을 분산적인 방법을 통하여 획득함으로써, 서로 충돌 없이 데이터의 전체 또는 일부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슈퍼 프레임(superframe), 프레임(frame), 데이터 영역(data region) 및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에 대한 개수나 길이는 하나의 예로 나타내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에 나타낸 무선 자원은 무선 자원에 대한 경쟁에 의해 스케줄링된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자원인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을 포함하며 계층적인 구조를 가진다. 하나의 데이터 영역(Data Region)은 L개의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을 포함하며, 복수의 프레임(Frame #0 ~ Frame #9)은 L=14인 제1 타입의 프레임과 L=16인 제2 타입의 프레임으로 나누어 진다. 도 1에서, 제1 프레임(Frame #0)은 제1 타입의 프레임으로 제2 내지 제10 프레임(Frame #1 ~ Frame #9)는 제2 타입의 프레임으로 나타내었다.
제1 타입의 프레임인 제1 프레임(Frame #0)은 디스커버리 영역(Discovery Region), 피어링 영역(Peering Region) 및 데이터 영역(Data Region)을 포함한다. 제2 타입의 프레임인 제2 프레임(Frame #1)은 디스커버리 영역(Discovery Region) 및 피어링 영역(Peering Region) 없이 데이터 영역(Data Region)만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모든 프레임(Frame #0 ~ Frame #9)에서 각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동기를 위한 추가적인 별도 자원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슈퍼 프레임(Superframe)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타입의 프레임과 복수의 제2 타입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슈퍼 프레임(Superframe)은 1개의 제1 타입의 프레임(Frame #0)과 9개의 제2 타입의 프레임(Frame #1 ~ Frame #9)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복수의 슈퍼 프레임(Superframe)이 모여 하나의 울트라 프레임(Ultraframe)을 형성하며, 도 1에서는 하나의 울트라 프레임(Ultraframe)이 16개의 슈퍼 프레임(Superframe #0 ~ Superframe #15)를 포함하는 예로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은 크게 스케줄링 구간(Scheduling interval), 그리고 데이터 구간(Data interval)을 포함한다.
스케줄링 구간(Scheduling interval)은 간섭 센싱(Interference Sensing) 구간, SRI(Scheduling Request Indicator) 구간, DS-REQ(Distributed Scheduling-Request) 구간, 및 DS-RSP(Distributed Scheduling-Response) 구간을 포함한다. 간섭 센싱 구간은 타 기종(heterogeneous device)으로부터 전송되는 간섭이 있는지를 점검하는 구간이며, SRI 구간은 연속 할당을 위한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구간이다. 그리고 DS-REQ 구간은 분산 경쟁을 위해 자원에 대한 요구 메시지인 DS-REQ(Distributed Scheduling-Request)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들이며, DS-RSP 구간은 DS-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DS-RSP(Distributed Scheduling-Response)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들이다.
데이터 구간(Data interval)은 DS-REQ 및 DS-REQ 교환을 통해 분산 스케줄링된 단말들이 실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구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구간(Data interval)은 복수의 (Data burst + ACK) 쌍을 포함한다.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는 단말이 사용자의 데이터 또는 관리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액(ACK)는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를 수신한 단말이 수신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내의 MPDU(MAC Protocol Data Unit)들의 수신 이상 유무를 송신 단말에게 보고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 접속 방법은 공유된 자원에 대한 충돌 없는 경쟁을 보장하는 스케줄링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데, 이를 위해서 송신 단말은 통신을 하고자 하는 수신 단말과 먼저 링크가 설정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 접속 방법은 송신 단말이 통신하고자 하는 수신 단말과 링크를 설정하는 피어링 단계를 수행한 후,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동작 영역내에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사이에 설정된 링크를 고유하게 구별하는 식별자인 PID(Peering ID)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여기서 PID 설정이란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다른 링크들과 중복되지 않는(Orthogonal) 고유 식별자를 할당 받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피어링에 사용되는 자원, 피어링 방법, PID 설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서로 중복되지 않는 PID는 복수 개 존재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128개의 PID가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수신 단말이 피어링 단계를 수행한 후 PID를 할당 받으면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맵핑(mapping)을 수행한다. 여기서, 데이터 채널 맵핑이란 피어링된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도 1에 나타낸 무선 자원들 중에서 사용 가능한 자원(즉,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경쟁을 할 수 있는 데이터 채널)을 아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프레임에는 L개의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이 있으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L=14 또는 L=16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S-REQ 자원 및 DS-RSP 자원이 하나의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에 복수 개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 8개씩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제2 타입의 프레임(Frame #1 ~ Frame #9)에서, 하나의 프레임 내에 모두 128개의 PID가 할당될 수 있다. 즉, 한 프레임 내에, 128개의 PID가 한번씩 데이터 채널 맵핑을 수행한다. 그러나, 제1 타입의 프레임(Frame #0)은 14개의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이므로, 112개의 PID만이 데이터 채널 맵핑을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면 10개의 프레임마다 맵핑된 데이터 채널이 없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PID와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맵핑 시 수학식 1과 같은 방법으로 맵핑된다.
Figure 112014063281616-pat00003
l 은 PID가 p인 단말이 맵핑되는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의 인덱스를 의미하며, l 은 0에서 15의 인덱스를 가진다. 그리고, s(0~15)는 슈퍼 프레임(Superframe)의 인덱스이며, n(0~9)은 프레임의 인덱스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은 경쟁에 참여한 단말의 순시적인 우선 순위(Priority)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며, 이하에서는 우선 순위를 SP(Scheduling Priority)라고 한다.
SP는 스케줄링에서의 우선 순위뿐만 아니라 피어링된 단말(즉, PID를 가진 단말)이 자신에게 할당된 DS-REQ 및 DS-RSP 자원을 결정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피어링된 단말이 데이터 채널 맵핑(Data channel mapping)을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데이터 채널을 아는 경우, 도 2에 나타낸 복수개의 DS-REQ 및 DS-RSP 자원에서 자신에게 맵핑된 DS-REQ 및 RSP 자원을 찾는다. 피어링된 단말에게 할당되는 DS-REQ 자원 및 DS-RSP 자원은 아래의 도 3과 같이 SP에 의해 결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DS-REQ 자원 및 DS-REQ 자원의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DS-REQ 자원 및 DS-REQ 자원은 우선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단말에게 할당된다. 즉, 가장 낮은 우선 순위(SP=0)를 가지는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은 첫 번째 DS-REQ(310A) 및 DS-RSP(320A)를 각각 할당 받으며, 그 다음으로 낮은 우선 순위(SP=1)을 가지는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은 두 번째 DS-REQ(310B) 및 DS-RSP(320B)를 각각 할당 받는다.
단말이 데이터 채널 맵핑(Data channel mapping)을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을 아는 경우, 해당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내에서 자신의 PID에 맵핑된 DS-REQ 자원 및 DS-RSP 자원을 알 필요가 있다. 단말이 자신의 PID를 가지고 DS-REQ 자원 및 DS-RSP 자원을 알 수 있는데, 이는 SP mapping에 의해 수행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말이 자신의 PID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에서 SP를 알아내는 과정을 'SP mapping'이라고 한다.
SP의 개수는 DS-REQ 자원 또는 DS-RSP 자원의 개수와 동일한데,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SP는 0 ~ 7의 값을 가지며 SP 값이 클수록 우선순위(Priority)가 높다고 정의한다.
슈퍼프레임 인덱스가 s(0~15)이고 프레임 인덱스가 n(0~9)인 프레임에서, PID가 p인 단말에게 맵핑되는 SP(0~7)은 아래의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의해 결정된다.
(p + s*10 + n) modulo 8 의 값이 0이 아닌 경우,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SP가 결정된다.
Figure 112014063281616-pat00004
(p + s*10 + n) modulo 8 값이 0인 경우에는 수학식 3에 의해 SP가 결정된다. 즉, (p + s*10 + n) modulo 8 값이 0인 경우에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SP=0)가 결정된다.
Figure 112014063281616-pat00005
상기에서 설명한 데이터 채널 맵핑(Data channel mapping) 및 SP mapping이 수행된 경우, 단말은 각 프레임에서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및 해당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에서의 DS-REQ/DS-RSP 자원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인 송신 단말은 먼저 간섭 센싱(Interference Sensing) 구간에서 타 기종으로부터 간섭(Interference)가 있는지를 점검한다. 송신 단말은 간섭(Interference)가 있다고 판단하면 해당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에서 경쟁을 포기한다. 간섭 센싱 구간에서 송신 단말의 간섭 점검은 무선 자원이 비면허 대역일 경우에만 수행되며, 면허 대역일 경우에는 생략 가능하고 간섭 센싱 구간 자체가 없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이 SRI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송신 단말이 간섭 센싱 구간에서 간섭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DS-REQ를 송신하는데 DS-RSQ 송신 이전에 SRI 구간(410)에서 SRI(Scheduling Request Indicator) 신호를 방송(broadcast)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SP=2인 송신 단말(Tx PD(SP=2))과 SP=5인 송신 단말(Tx PD(SP=5))이 각각 SRI 신호를 방송한다. 송신 단말(Tx PD(SP=2))은 SRI 구간(410A)에서 SRI 신호를 방송하고, 송신 단말(Tx PD(SP=5))은 SRI 구간(410B)에서 SRI 신호를 방송한다. 즉, DS-REQ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모든 송신 단말은 SRI 신호를 방송한다.
SRI 신호는 연속할당을 위한 것인데, 연속 할당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이 DS-REQ 신호를 전송하고 블록킹 신호(Blocking signal)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경쟁하는 송신 단말은 SRI 신호를 전송한 후 자신의 SP(Scheduling Priority)에 대응하는 DS-REQ 자원을 이용하여 DS-REQ 신호를 전송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 단말(Tx PD(SP=2))은 자신에게 할당된 DS-REQ자원(510)을 이용하여 DS-REQ 신호를 전송하고, 송신 단말(Tx PD(SP=5))은 자신에게 할당된 DS-REQ 자원(520)을 이용하여 DS-REQ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송신 단말은 자신의 DS-REQ만 전송할 뿐 다른 DS-REQ를 수신할 필요는 없다. 도 5에서 블록킹 신호(530)는 비면허 대역에서 사용되는 신호이다. 블록킹 신호(530)는 비면허 대역에서 이종 기기(heterogeneous device)가 DS-REQ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구간을 무선 자원이 사용되지 않는 구간으로 판단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DS-REQ를 전송하는 모든 송신 단말은 자신의 DS-REQ를 전송하는 구간 이외의 DS-REQ구간에서 블록킹 신호(530)를 송신하다. 한편, 무선 자원이 면허 대역 자원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블로킹 신호(530)는 생략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DS-REQ를 전송할 시 데이터 구간(Data interval)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자원의 량을 DS-REQ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여기서, 필요한 자원의 량은 송신 단말의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 수신 단말이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하는 액(ACK), 그리고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와 액(ACK) 사이의 시간 차(transition time)에 대응하는 갭(gap)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S-REQ 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DS-REQ 신호(610)는 연속 할당 요청(CAR, Consecutive Allocation Request) 필드(611), 요청된 슬롯(Required slots)필드(612)를 포함한다.
연속 할당 요청(CAR) 필드(611)는 연속 할당에서 쓰이는 비트로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요청된 슬롯(Required slots) 필드(612)는 송신 단말이 데이터 구간(Data interval)에서 자신이 필요한 자원 량을 표시하는 필드이다. 도 6은 데이터 구간(Data interval)에서 모두 240개의 OFDM 심볼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나타내었다. 4개의 OFDM 심볼을 하나의 OFDM 슬롯(slot)으로 정의하는 경우, 데이터 구간(Data interval)을 60개의 OFDM 슬롯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요청된 슬롯필드(612)는 6비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데이터 구간의 OFDM 심볼 단위의 길이 및 DS-REQ 신호 필드 각각에 할당된 비트 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하나의 예로써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송신 단말과 같은 PID를 가지는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과 동일한 SP(Scheduling Priority)를 가지고 있으므로, 수신 단말은 상대방(송신 단말)이 전송하는 DS-REQ 위치를 알고 있다. 피어링된 수신 단말은 알고 있는 DS-REQ 위치에서 피어링된 상대방(송신 단말)의 DS-REQ를 수신하는 경우, DS-REQ 수신 후에 나타나며 자신보다 높은 SP에 대응하는 DS-REQ를 모두 수신한다. 이를 통해, 수신 단말이 송신 단말의 DS-REQ에 대해서 응답할 시 보내는 옵셋(Offset)을 계산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계산한 옵셋(Offset)을 옵셋 필드에 포함시켜 DS-RSP를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이 옵셋(Offset)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신 단말(Rx PD(SP=2))은 DS-REQ(710)에서 송신 단말(Tx PD(SP=2))의 DS-REQ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 단말(Rx PD(SP=2))은 자신보다 높은 SP를 가지는 DS-REQ(720)을 수신하며, 이 DS-REQ(720)에 포함된 요청된 슬롯(Required slots) 필드 값을 누적(accumulation)하여 옵셋(Offset)을 계산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 단말(Rx PD(SP=2))은 옵셋을 20으로 계산하며, 수신 단말(Rx PD(SP=5))은 자신 높은 SP의 DS-REQ가 없으므로 옵셋을 0으로 계산한다.
이와 같이 수신 단말은 자신의 SP보다 높은 DS-REQ의 모든 '요청된 슬롯(Required slots)'필드 값을 누적(accumulation)하여 옵셋을 계산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이 DS-RSP를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DS-REQ를 수신한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과 공유된 SP를 통해 맵핑된 DS-RSP 자원을 이용하여, DS-RSP를 송신 단말에게 송신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 단말(Rx PD(SP=2))는 송신 단말(Tx PD(SP=2))로부터 DS-REQ(810A)를 수신하며 DS-RSP(810B)를 송신 단말(Tx PD(SP=2))로 전송한다. 그리고 수신 단말(Rx PD(SP=5))는 송신 단말(Tx PD(SP=5))로부터 DS-REQ(820A)를 수신하며 DS-RSP(820B)를 송신 단말(Tx PD(SP=5))로 전송한다.
그리고 수신 단말은 자신의 DS-RSP만 전송할 뿐 다른 DS-RSP를 수신할 필요는 없다. 도 8에서 블록킹 신호(830)는 비면허 대역에서 사용되는 신호이다. 블록킹 신호(830)는 비면허 대역에서 이종 기기(heterogeneous device)가 DS-RSP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구간을 무선 자원이 사용되지 않는 구간으로 판단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DS-RSP를 전송하는 모든 수신 단말은 자신의 DS-RSP를 전송하는 구간 이외의 DS-RSP구간에서 블록킹 신호(830)를 송신하다. 한편, 무선 자원이 면허 대역 자원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블로킹 신호(830)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수신 단말은 DS-RSP 보낼 시 상기의 도 7에서 설명한 옵셋(Offset)를 포함시켜 보낸다. 그리고 수신 단말은 수신한 DS-REQ에 포함된 '요청된 슬롯(Required slot)'필드 값을 DS-RSP의 '할당된 슬롯(Allocated slots)'필드에 그대로 포함시킨다. 이때, (Offset + 'Required slot')이 데이터 구간(Data Interval)보다 클 경우, 수신 단말은 데이터 구간보다 큰 만큼을 DS-REQ에 포함된 '요청된 슬롯(Required slot)'필드 값에서 차감한 후(즉, 데이터 구간만큼만) '할당된 슬롯(Allocated slots)' 필드 값으로 설정하여 DS-RSP를 전송한다.
DS-REQ를 송신한 송신 단말은 피어링된 수신 단말이 전송하는 DS-RSP의 위치를 SP 맵핑에 의해 알고 있다. 이때, 송신 단말은 알고 있는 DS-RSP 위치에서 자기와 피어링된 상대방(수신 단말)이 전송한 DS-RSP를 수신한 경우, 그 이후로 나타내는 자신보다 높은 SP를 가지는 DS-RSP를 모두 수신한다. 이를 통해, 송신 단말은 데이터 구간(Data interval)에서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를 전송하고 액(ACK)를 전송 받을 시 자신보다 높은 SP를 가지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 또는 액(ACK)과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자신 보다 높은 SP를 가지는 DS-RSP 신호 속에 포함된 '옵셋(Offset)' 및 '할당된 슬롯(Allocated slots)' 필드들을 이용하여, SP가 높은 타 단말에 할당된 자원이 자신의 할당된 자원과 중첩(overlapping)되는지를 체크한다. 송신 단말은 일부 또는 전체가 중첩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 전송을 포기한다. 여기서, 중첩은 숨겨진 노드(Hidden node) 문제 또는 경쟁에 참여한 모든 단말들이 자신보다 높은 SP를 가지는 타 단말의 DS-REQ 또는 DS-RSP를 모두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중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송신 단말은 피어링된 수신 단말이 전송하는 DS-RSP에 포함되어 있는 옵셉의 위치로부터, 'Allocated slots'- (ACK 길이 + Data burst와 ACK 사이의 송수신 시간(transition time)에 대응하는 갭(Gap))만큼의 자원을 자신의 자신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 전송에 이용한다.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를 수신한 수신 단말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버스트 전체의 수신 성공 여부 또는 데이터 버스트 내부에 포함된 복수 개의 MPDU(MAC Protocol Data Unit) 각각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액(ACK)을 이용하여 송신 단말에게 알린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연속 할당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속 할당은 맵핑된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에서 경쟁에 참여했던 단말이 자신이 맵핑되지 않은 후속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1))에서 어떠한 단말도 경쟁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1))의 경쟁에 참여하여 연속되는 자원 할당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방법을 말한다. 데이터 채널 맵핑에 의하면,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의 경쟁에 참여했던 단말은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1))에 참여할 수 없으나 이러한 연속 할당의 조건의 경우에는 참가할 수 있다.
연속 할당을 시도하고자 하는 단말은 자신에게 맵핑된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에서 보내는 DS-REQ신호의 필드인 연속 할당 요청 (Consecutive Allocation Request(CAR), 611) 필드를 연속 할당을 요청하는 비트(예를 들면, 1)로 셋팅하여 전송한다. 한편, 단말이 데이터 채널(Channel #n)에서 경쟁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경쟁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에서 CAR 필드를 1로 설정하여 송신하는 송신 단말이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에서 수신 단말로부터 DS-RSP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송신 단말은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1))에서 SRI 신호가 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에서, 송신 단말로부터 CAR이 1로 셋팅된 DS-REQ 신호를 수신한 수신 단말도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1))에서 SRI 신호가 있는지를 체크한다.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은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1))에서 SRI 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연속할당은 중단한다. 그러나,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1))에서 SRI 신호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에서와 동일한 SP를 사용하여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1))에서 경쟁을 계속 수행한다.
이러한 연속 할당을 통하여, 후속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1))에 맵핑된 단말들이 그들의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1))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저사용(under-utilization)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PID #n 은 PID의 번호를 나타내며 PID #3인 단말이 연속 할당되는 경우를 예로 나타내었다.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에서 PID #3인 단말과 PID#4인 단말이 경쟁하는 경우, PID #3인 송신 단말(PID #3 Tx_PD) 및 PID #4인 송신 단말(PID #4 Tx_PD)은 SRI 구간(910)에서 SRI 신호를 각각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에서 PID #3인 송신 단말(PID #3 Tx_PD)은 자신의 DS-REQ(920)의 CAR 필드을 1로 셋팅하여,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1))에서 연속 할당을 시도한다. 도 9에서 930은 PID #4인 송신 단말의 DS-REQ를 나타낸다.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1))에서, PID #3으로 피어링된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은 모두 SRI 신호가 있는지를 체크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D #9 ~ PID #16까지 전송하려는 단말이 없으므로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1))의 SRI 구간(940)에는 SRI 신호가 없다. 즉, PID #9 ~ PID #16을 가지는 단말들간에는 경쟁이 없다.
이와 같은 경우, PID #3으로 피어링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은 SRI구간(940)를 체크하여 SRI 신호가 없다고 판단하며, 이전의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의 SP를 그대로 유지한 채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1))에서 경쟁한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D #3인 송신 단말은 DS-REQ(950)을 송신하여 경쟁에 참여하고, PID #3인 수신 단말은 DS-RSP(960)을 송신하여 경쟁에 참여한다.
한편, PID #3인 단말뿐만 아니라 다른 단말들(PID #1, PID #2, PID #4 ~ PID #8)도 데이터 채널(Data channel(n+1))에서 경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단말들(PID #1, PID #2, PID #4 ~ PID #8)이 이전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의 SP를 그대로 유지한 채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1))에서 경쟁하므로 서로 간의 DS-REQ는 충돌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2))에서는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2))에 맵핑된 PID #18인 단말이 경쟁에 참여하고 있다. 이런 경우, PID #3인 단말은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2))에서 또 다시 연속 할당을 시도하더라도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2))에서는 경쟁에 참여할 수 없다. 왜냐하면,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n+2))에서는 원래 맵핑된 PID #18인 단말이 DS-REQ를 송신하기 전에 SRI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0)은 상기에서 설명한 송신 단말 또는 수신 단말일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0)은 프로세서(1020), 메모리(1040)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변환기(106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20)는 상기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절차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040)는 프로세서(102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020)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변환기(1060)는 프로세서(1020)와 연결되며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1000)은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9)

  1. 복수의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에서, 제1 단말이 분산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 중, 상기 제1 단말에게 할당될 제1 데이터 채널을 맵핑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우선 순위(scheduling priority)를 맵핑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채널에서, 자원에 대한 요구 메시지인 제1 메시지와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제2 메시지에 대한 자원의 위치를,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과 피어링된 제2 단말로부터 상기 결정된 제2 메시지의 자원 위치에서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필요한 자원의 양을 표시하는 요청된 슬롯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단말들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들의 상기 제1 메시지를 이용하여 스케쥴링된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옵셋을 계산하며, 상기 옵셋과 상기 제1 단말을 위해 할당한 자원의 양을 나타내는 할당된 슬롯 필드를 상기 제2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을 맵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의 고유 식별자, 상기 제1 프레임이 속한 슈퍼 프레임의 인덱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인덱스에 따라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복수의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에서, 제1 단말이 분산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 중, 상기 제1 단말에게 할당될 제1 데이터 채널을 맵핑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우선 순위(scheduling priority)를 맵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데이터 채널에서, 자원에 대한 요구 메시지인 제1 메시지와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제2 메시지에 대한 자원의 위치를,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이터 채널을 맵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의 고유 식별자, 상기 제1 프레임이 속한 슈퍼 프레임의 인덱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인덱스에 따라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이터 채널의 인덱스(l)는 아래의 수식에 의해 결정되며,
    Figure 112020071435815-pat00006

    상기 수식에서, p는 상기 제1 단말의 고유 식별자, s는 상기 슈퍼 프레임의 인덱스, n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인덱스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의 고유 식별자(p), 상기 제1 프레임이 속한 슈퍼 프레임의 인덱스(s),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인덱스(n)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복수의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에서, 제1 단말이 분산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 중, 상기 제1 단말에게 할당될 제1 데이터 채널을 맵핑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우선 순위(scheduling priority)를 맵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데이터 채널에서, 자원에 대한 요구 메시지인 제1 메시지와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제2 메시지에 대한 자원의 위치를,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의 고유 식별자(p), 상기 제1 프레임이 속한 슈퍼 프레임의 인덱스(s),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인덱스(n)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우선 순위는 (p + s*10 + n) modulo 8의 값인 제1 값이 0 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값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1 단말의 우선 순위는 아래의 수식에 의해 결정되는
    Figure 112014063281616-pat00007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값이 0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단말의 우선 순위는 0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메시지를 보낼 것임을 나타내는 신호인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제1 메시지의 자원 위치에서 상기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제1 메시지를 제외한 나머지 제1 메시지에 대한 구간에서, 블록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슬롯 필드는 상기 제1 단말의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데이터 버스트, 상기 제1 단말과 피어링된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액(ACK), 상기 데이터 버스트와 상기 액 사이의 시간 차에 대응하는 갭에 의해 그 값이 결정되는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단말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제3 단말들로부터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3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3 단말들에 할당된 자원과 상기 제1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이 중복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복수의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에서, 제1 단말이 분산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 중, 상기 제1 단말에게 할당될 제1 데이터 채널을 맵핑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우선 순위(scheduling priority)를 맵핑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채널에서, 자원에 대한 요구 메시지인 제1 메시지와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제2 메시지에 대한 자원의 위치를,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채널과 연속되는 데이터 채널인 제2 데이터 채널에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1 단말과 피어링된 제2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이 경쟁에 참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나머지 단말이 경쟁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데이터 채널에서 연속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무선통신 환경에서 경쟁하는 복수의 단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데이터 채널 중, 상기 복수의 단말에 각각 대응하는 데이터 채널을 맵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에 대한 우선 순위를 맵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송신 단말은, 자원에 대한 요청 메시지인 분산 자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스케줄링 요청 신호(Scheduling Request Indicator, SRI)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맵핑된 데이터 채널의 스케줄링 구간에서, 상기 송신 단말은 상기 분산 자원 요청 메시지를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구간에서, 상기 송신 단말에 대응하는 수신 단말은 상기 분산 자원 요청 메시지의 응답인 분산 자원 응답 메시지를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송신 단말은 상기 맵핑된 데이터 채널과 연속하는 데이터 채널에서, 상기 송신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송신 단말이 상기 스케줄링 요청 신호(SRI)를 전송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송신 단말은 상기 스케줄링 요청 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연속하는 데이터 채널에서 연속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맵핑과 상기 우선 순위 맵핑은, 상기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공유하고 있는 단말의 고유 식별자, 상기 제1 프레임이 속한 슈퍼 프레임의 인덱스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인덱스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16. 삭제
  17. 무선 주파수 변환기, 그리고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기와 연결되고, 프레임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 채널에서 할당될 데이터 채널을 맵핑하며, 자원에 대한 우선권인 우선 순위를 맵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의 고유 식별자, 프레임이 속한 슈퍼 프레임의 인덱스 및 상기 프레임의 인덱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채널의 맵핑 및 상기 우선 순위의 맵핑을 수행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맵핑된 데이터 채널과 연속되는 데이터 채널에서, 상기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이 경쟁에 참여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나머지 단말이 경쟁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연속 할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18. 삭제
  19. 무선 주파수 변환기, 그리고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기와 연결되고, 프레임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 채널에서 할당될 데이터 채널을 맵핑하며, 자원에 대한 우선권인 우선 순위를 맵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의 고유 식별자, 프레임이 속한 슈퍼 프레임의 인덱스 및 상기 프레임의 인덱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채널의 맵핑 및 상기 우선 순위의 맵핑을 수행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자 + 상기 슈퍼프레임의 인덱스 * 10 + 상기 프레임의 인덱스) modulo 8의 값이 0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우선 순위를 다르게 맵핑하는 단말.
KR1020140083782A 2013-07-08 2014-07-04 분산 접속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KR102197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24,492 US9955510B2 (en) 2013-07-08 2014-07-07 Method and terminal for distributed ac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923 2013-07-08
KR20130079923 2013-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368A KR20150006368A (ko) 2015-01-16
KR102197467B1 true KR102197467B1 (ko) 2021-01-04

Family

ID=5256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782A KR102197467B1 (ko) 2013-07-08 2014-07-04 분산 접속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4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026B1 (ko) * 2010-08-12 2017-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붕괴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2769892B (zh) * 2011-05-05 2017-05-3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网络接入方法
KR20130022182A (ko) * 2011-08-25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연결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368A (ko) 201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0827A1 (en) User equipment initiated channel occupancy time (cot) sharing between multiple user equipments
EP2253174B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wireless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nodes
US83802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vailable radio access possibilities in a communications area
EP32220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US9955510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tributed access
CN110505026B (zh) 信号侦听的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8886203B2 (en) Dynamic channel reuse in multi-acc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130121172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채널 접근 방법 및 장치
CN104796986A (zh) 一种d2d通信方法及设备
JP2004350168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8028735B (zh) 无线网络中的复用消息传送
EP3281480B1 (en) Distributed mechanism for medium reservation and prioritization of ioe communications
WO2016049247A1 (en) Occupancy notifications for unlicensed frequency bands
US9848398B2 (en) Scheduling method between terminals for search resource allocation in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of
KR102024352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채널 관리 방법 및 데이터 전송 방법
US984842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dynamic Wi-Fi multi-channel switch based on data traffic context
EP3281483B1 (en) Ioe device transmission signaling and scheduling
KR102049047B1 (ko) 단말간 직접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US11765706B2 (en) Cooperative inter-network channel selection
KR102197467B1 (ko) 분산 접속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JP5322006B2 (ja) 無線通信用の時間割り当て方法,時間割り当てデバイス,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2105554B1 (ko)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4026940A (zh) 用于上行链路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节点
Kim et al. ENC-MAC: energy-efficient non-overlapping channel MAC for cognitive radio enabled sensor networks
US11997699B2 (en) Sidelink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