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202B1 -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for Paper Cup - Google Patents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for Paper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202B1
KR102197202B1 KR1020190043448A KR20190043448A KR102197202B1 KR 102197202 B1 KR102197202 B1 KR 102197202B1 KR 1020190043448 A KR1020190043448 A KR 1020190043448A KR 20190043448 A KR20190043448 A KR 20190043448A KR 102197202 B1 KR102197202 B1 KR 102197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curling
sprocket
driv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4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1008A (en
Inventor
김주현
Original Assignee
김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현 filed Critical 김주현
Priority to KR102019004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202B1/en
Publication of KR2020012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0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2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7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and securing strip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2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curved cross section, e.g. circular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컵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조 불량 문제를 해결한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는 액체가 새는 불량 종이컵의 제조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여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 paper cup,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 paper cup that solves the problem of manufacturing defects that may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aper cup.
The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markably lowering the defect rate by blocking the possibility of manufacturing defective paper cups leaking liquid.

Description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Automatic Assembly Apparatus for Paper Cup}Automatic Assembly Apparatus for Paper Cup}

본 발명은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컵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조 불량 문제를 해결한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 paper cup,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 paper cup that solves the problem of manufacturing defects that may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aper cup.

종이컵은 통형의 옆지와 옆지 밑부분에 부착되는 밑지로 구성된다. 종이컵 제조 장치는 옆지와 밑지를 부착시키는 구성과, 옆지의 상단부를 말아 컬링하는 구성을 포함한다.Paper cups consist of the side paper of the barrel and the base paper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ide paper. The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attaching a side paper and a base, and a configuration for curl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paper.

상술한 구성들은 회전 구동을 통해 작동한다. 옆지와 밑지를 부착시키는 구성은 밑지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고, 옆지를 컬링하는 구성은 종이컵을 회전시킨다.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operate through rotational drive. The configuration that attaches the side and base rotate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and the configuration that curls the side rotates the paper cup.

이들 구성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 풀리와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가 사용된다. 이는 회전 구동에서 발생하는 부하로 인해 제조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풀리에 연결된 벨트는 과도한 회전 부하가 발생하면 슬립(slip)되어 회전 부하를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To rotate these configurations, a rotating pulley and a belt connecting the pulley are used. This is to prevent damage to the manufacturing device due to the load generated in the rotation drive. When an excessive rotational load occurs, the belt connected to the pulley slips to buffer the rotational load.

경우에 따라서는 위와 같은 슬립 현상 때문에 옆지와 밑지를 부착시키는 구성이 한 바퀴 미만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밑지가 옆지에 제대로 부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액체가 새나오는 불량 종이컵이 제조되는 주요 원인이다.In some cases, due to the slip phenomenon as above, the configuration that attaches the side and base may rotate in less than one turn.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se paper cannot be properly attached to the side. This is a major cause of manufacturing defective paper cups that leak liquid.

이러한 불량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구동중인 종이컵 제조 장치의 회전 작동 구조를 변경하는 것은 제조 설비의 설계를 근본적으로 수정하는 것이므로 용이하지 않다.Changing the rotational operation structure of the already driven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to solve this defect is not easy because it fundamentally modifies the design of the manufacturing facility.

따라서, 기존 종이컵 제조 장치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밑지와 옆지의 완전한 부착이 보증될 수 있는 종이컵 제조 장치가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existing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and can guarantee complete attachment of the base and the side pape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밑지를 옆지에 부착시키는 구성의 회전을 보장하여 불량 발생 위험을 제거한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 paper cup in which the risk of occurrence of defects is eliminated by ensuring the rotation of the configuration to attach the base to the s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는, 통형의 옆지와 상기 옆지의 하단부에 접합되는 밑지로 구성되는 종이컵을 제조하는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옆지가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 각도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결합 몰드를 구비하며 회전하는 턴 테이블; 상기 턴 테이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턴 테이블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 테이블; 상기 턴 테이블의 복수의 결합 몰드가 정지하는 지점 중 하나에서 상기 승강 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합 회전부와, 상기 옆지에 삽입된 상기 밑지의 외주를 따라 가압하여 상기 밑지가 상기 옆지에 접합되도록 상기 접합 회전부에 설치되는 회전 가압부와, 상기 접합 회전부에 연결되는 제1스프라켓을 포함하는 밑지 접합 부재; 상기 밑지 접합부재를 경유한 상기 턴 테이블의 결합 몰드가 정지하는 지점에서 상기 승강 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컬링 회전부와, 상기 컬링 회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테이블이 상승할 때 상기 옆지의 상단이 말리도록 상기 옆지 상단을 가압하는 컬링 성형부와, 상기 컬링 회전부에 연결되는 제2스프라켓을 포함하는 옆지 컬링 부재;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와, 상기 종동 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종동 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제1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밑지 접합 부재의 제1스프라켓과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제2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1체인을 포함하는 회전 구동 부재;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컬링 회전부의 회전각을 검출하도록 상기 옆지 컬링 부재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회전 검출 센서; 및 상기 회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컬링 회전부가 적어도 한 바퀴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회전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In the paper cup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per cup composed of a cylindrical side paper and a base paper bond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paper, the side paper is formed to be inserted A turn table rotating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molds arranged at the same angular interval along the direction; An elevating table disposed below the turn table and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turn tabl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turn table; The joint rotation part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fting table at one of the points where the plurality of coupling molds of the turn table stops, and the base is joined to the side by press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se inserted in the side A base bonding member including a rotation pressing unit installed on the bonding rotation unit and a first sprocket connected to the bonding rotation unit; A curling rotation part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fting table at a point where the coupling mold of the turn table via the base joint member stops, and a curling rotation part installed on the curling rotation part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ide paper rolls when the lifting table rises. A side edge curling member including a curling molding part for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finger so as to be formed and a second sprocket connected to the curling rotation part; A rotation motor, a driving pulley connected to the rotation motor to rotate, a driven pulley connected to the driving pulley to rotate, a belt connecting the driving pulley and a driven pulley, and a belt connected to the driven pulley to rotate the driven pulley A rotation driving member including a first driving sprocket rotating together and a first chain connecting the driving sprocket and the first sprocket of the base joint member and the second sprocket of the side curling member; A rotation detection sensor disposed so as to face the side curling member to detect a rotation angle of the curling rotation portion of the side curling memb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motor of the rotation driving member so that the curling rotation unit of the side curling member rotates at least one rotation using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는, 통형의 옆지와 상기 옆지의 하단부에 접합되는 밑지로 구성되는 종이컵을 제조하는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옆지가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 각도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결합 몰드를 구비하고 회전하는 턴 테이블; 상기 턴 테이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턴 테이블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 테이블; 상기 턴 테이블의 복수의 결합 몰드가 정지하는 지점 중 하나에서 상기 승강 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합 회전부와, 상기 옆지에 삽입된 상기 밑지의 외주를 따라 가압하여 상기 밑지가 상기 옆지에 접합되도록 상기 접합 회전부에 설치되는 회전 가압부와, 상기 접합 회전부에 연결되는 제1스프라켓을 포함하는 밑지 접합 부재; 상기 밑지 접합부재를 경유한 상기 턴 테이블의 결합 몰드가 정지하는 지점에서 상기 승강 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컬링 회전부와, 상기 컬링 회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테이블이 상승할 때 상기 옆지의 상단이 말리도록 상기 옆지 상단을 가압하는 컬링 성형부와, 상기 컬링 회전부에 연결되는 제2스프라켓을 포함하는 옆지 컬링 부재;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와, 상기 종동 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종동 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제2구동 스프라켓 및 제3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제2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밑지 접합 부재의 제1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2체인 및 상기 제3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제2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3체인을 포함하는 회전 구동 부재;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컬링 회전부의 회전각을 검출하도록 상기 옆지 컬링 부재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회전 검출 센서; 및 상기 회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컬링 회전부가 적어도 한 바퀴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회전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In addition, in the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per cup composed of a cylindrical side paper and a base paper bond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paper, formed so that the side paper is inserted A turntable rotat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molds arranged at equal 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 elevating table disposed below the turn table and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turn tabl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turn table; The joint rotation part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fting table at one of the points where the plurality of coupling molds of the turn table stops, and the base is joined to the side by press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se inserted in the side A base bonding member including a rotation pressing unit installed on the bonding rotation unit and a first sprocket connected to the bonding rotation unit; A curling rotation part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fting table at a point where the coupling mold of the turn table via the base joint member stops, and a curling rotation part installed on the curling rotation part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ide paper rolls when the lifting table rises. A side edge curling member including a curling molding part for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finger so as to be stretched, and a second sprocket connected to the curling rotation part; A rotation motor, a driving pulley connected to the rotation motor to rotate, a driven pulley connected to the driving pulley to rotate, a belt connecting the driving pulley and a driven pulley, and a belt connected to the driven pulley to rotate the driven pulley A second driving sprocket and a third driving sprocket rotating together, a second chain connecting the second driving sprocket and the first sprocket of the base joint member, and the third driving sprocket and the second sprocket of the side curling member Rotation drive member comprising a third chain to connect; A rotation detection sensor disposed so as to face the side curling member to detect a rotation angle of the curling rotation portion of the side curling memb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motor of the rotation driving member so that the curling rotation unit of the side curling member rotates at least one rotation using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본 발명에 의한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는 액체가 새는 불량 종이컵의 제조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여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markably lowering the defect rate by blocking the possibility of manufacturing defective paper cups leaking liqui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밑지 접합 부재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옆지 컬링 부재의 도면이다.
도 5은 도 5에 도시된 옆지 컬링 부재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회전 구동 부재의 블록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8는 도 4에 도시된 회전 구동 부재의 블록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 paper cu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of the base bonding member shown in FIG. 2.
4 is a view of the side curling member shown in FIG. 2.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ide curling member shown in FIG. 5.
6 is a block diagram of the rotation driving member shown in FIG. 2.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 paper cu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the rotation drive member shown in FIG. 4.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 paper cu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이컵은 통형의 옆지(10)와 옆지(10) 하부에 부착되는 밑지(2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는 크게 부채꼴의 옆지(10)를 둥글게 말아 통형으로 성형하여 공급하는 옆지 성형 부재(1000)와, 밑지(20)를 공급하는 밑지 공급 부재(2000)와, 성형된 옆지(10)에 밑지(20)를 삽입하는 밑지 삽입 부재(3000)와, 옆지(10)와 밑지(20)를 접합하는 밑지 접합 부재(300)와, 옆지(10)의 상단을 말아 컬링시키는 옆지 컬링 부재(400)로 이루어진다.The paper cup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side paper 10 and a base paper 20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paper 10. Referring to FIG. 1, the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ide paper forming member 1000 for supplying a large fan-shaped side paper 10 by rolling it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a base paper supplying member for supplying the base paper 20 (2000), the base paper insertion member 3000 for inserting the base 20 into the molded side paper 10, the base jointing member 300 for joining the side paper 10 and the base 20, and the side paper 10 ) Consists of a side curling member 400 for curling by rolling the upper end.

제1이송 테이블(1100)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각도 변위만큼 단속적으로 회전한다. 제1이송 테이블(110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옆지 안착구멍(1200)이 형성된다. 옆지 성형 부재(1000)는 제1이송 테이블(1100)의 복수의 옆지 안착구멍(1200) 중 하나에 성형된 옆지(10)를 공급한다.The first transfer table 1100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intermittently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ular displacement. A plurality of side paper mounting holes 1200 are formed in the first transfer table 11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ide paper molding member 1000 supplies the molded side paper 10 to one of the plurality of side paper seating holes 1200 of the first transfer table 1100.

제2이송 테이블(2100)은 제1이송 테이블(1100)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2이송 테이블(2100)은 제1이송 테이블(1100)과 마찬가지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각도 변위만큼 단속적으로 회전한다. 제2이송 테이블(210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밑지 안착구멍(2200)이 형성된다. 밑지 공급 부재(2000)는 밑지(20)를 제2이송 테이블(2100)의 복수의 밑지 안착구멍(2200) 중 하나에 공급한다. 제1이송 테이블(1100)과 제2이송 테이블(2100)은 일부 구간에서 중첩된다. 이 중첩된 부분에서 밑지 삽입 부재(3000)는 밑지(20)를 옆지(10)의 하부에 삽입한다. 밑지 삽입 부재(3000)를 경유한 제1이송 테이블(1100)의 옆지 안착구멍(1200)에는 밑지(20)가 삽입된 옆지(10)가 안착된다.The second transfer table 2100 is disposed under the first transfer table 1100. Like the first transfer table 1100, the second transfer table 2100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intermittently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ular displacement. A plurality of base mounting holes 2200 are formed in the second transfer table 21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base sheet supply member 2000 supplies the base sheet 20 to one of the plurality of base sheet mounting holes 2200 of the second transfer table 2100. The first transfer table 1100 and the second transfer table 2100 overlap in some sections. In this overlapped portion, the base paper insertion member 3000 inserts the base paper 20 into the lower part of the side paper 10. The side paper 10 into which the base 20 is inserted is seated in the side paper mounting hole 1200 of the first transfer table 1100 via the base paper insertion member 3000.

턴 테이블(100)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각도 변위만큼 단속적으로 회전한다. 턴 테이블(100)에는 복수의 결합 몰드(110)가 턴 테이블(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 각도 간격으로 배열된다. 결합 몰드(110)는 옆지(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이송 테이블(1100)은 일부 구간에서 턴 테이블(100)과 중첩된다. 이 구간에서 밑지(20)가 삽입된 옆지(10)가 턴 테이블(100)의 복수의 결합 몰드(110) 중 하나에 끼워진다.The turn table 100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intermittently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ular displacement. In the turn table 100, a plurality of coupling molds 110 are arranged at equal 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rn table 100. The coupling mold 110 is formed so that the side finger 10 can be fitted. The first transfer table 1100 overlaps the turn table 100 in some sections. In this section, the side finger 10 into which the base 20 is inserted is fit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molds 110 of the turn table 100.

턴 테이블(100)은 일정 각도 변위만큼 순차적으로 회전하며 결합 몰드(110)가 밑지 접합 부재(300)와 옆지 컬링 부재(400)를 순차적으로 지나가도록 한다.The turn table 100 is sequentially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ular displacement so that the coupling mold 110 sequentially passes the base bonding member 300 and the side curling member 400.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턴 테이블(100)에서 종이컵이 조립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밑지 접합 부재(300)의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옆지 컬링 부재(400)의 도면이고, 도 5은 도 5에 도시된 옆지 컬링 부재(400)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회전 구동 부재(500)의 블록도이다.Hereinafter, a process of assembling the paper cup in the turntabl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 paper cu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of the base bonding member 300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side edge curling member shown in FIG. 400), FIG. 5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side curling member 400 shown in FIG. 5,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of the rotation driving member 500 shown in FIG. 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밑지 접합 부재(300)는 접합 회전부(310)와 제1스프라켓(330)과 회전 가압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접합 회전부(310)는 턴 테이블(100)의 복수의 결합 몰드(110)가 정지하는 지점 중 하나에서 승강 테이블(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승강 테이블(200)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승강 테이블(200)은 턴 테이블(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턴 테이블(1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턴 테이블(100)에 대해 승강한다. 제1스프라켓(330)은 접합 회전부(3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접합 회전부(310)에 연결된다. 제1스프라켓(330)은 체인이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외주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톱니를 구비한다. 제1스프라켓(330)은 후술하는 회전 구동 부재(500)의 회전 구동력을 접합 회전부(310)에 전달한다. 회전 가압부(320)는 옆지(10) 하부에 삽입된 밑지(20)의 외주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회전 가압부(320)는 접합 회전부(310)에 설치되어 접합 회전부(3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2 and 3, the base bonding member 300 includes a bonding rotation unit 310, a first sprocket 330, and a rotation pressing unit 320. The bonding rotation unit 31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elevating table 200 at one of the points where the plurality of bonding molds 110 of the turn table 100 stop. The lifting table 2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lifting table 200 is disposed below the turn table 100 and mov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turn table 100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turn table 100. The first sprocket 330 is connected to the bonding rotation unit 310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bonding rotation unit 310. The first sprocket 330 includes a plurality of teeth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so that the chain can be connected and rotated. The first sprocket 330 transmits the rotation driving force of the rotation driving member 50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bonding rotation unit 310. The rotation pressing part 320 is formed to pres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se 20 inserted under the side finger 10. The rotation pressing unit 320 is installed on the bonding rotation unit 31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bonding rotation unit 310.

결합 몰드(110)가 밑지 접합 부재(300)가 위치한 부분에 정지하면, 턴 테이블(100)의 회전에 연동하는 승강 테이블(200)이 턴 테이블(100)에 대해 상승한다. 이로 인해, 회전 가압부(320)가 옆지(10)의 하부로 진입된다. 접합 회전부(310)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압부(320)는 회전하며 밑지(20)의 외주를 옆지(10)에 대해 가압한다. 이로써 밑지(20)가 옆지(10)에 접합된다.When the coupling mold 110 stops at the portion where the base bonding member 300 is located, the lifting table 200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turn table 100 rises with respect to the turn table 100. Due to this, the rotation pressing unit 320 enters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finger 1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onding rotation unit 310, the rotation pressing unit 320 rotates and presses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20 against the side finger 10. Thereby, the base (20) is joined to the side (10).

도 2를 참조하면, 옆지 컬링 부재(400)는 컬링 회전부(410)와 제2스프라켓(430)과 컬링 성형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컬링 회전부(410)는 승강 테이블(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스프라켓(430)은 컬링 회전부(4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컬링 회전부(410)에 연결된다. 제2스프라켓(430)은 체인이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외주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톱니를 구비한다. 제2스프라켓(430)은 후술하는 회전 구동 부재(500)의 회전 구동력을 컬링 회전부(410)에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2, the side curling member 400 includes a curling rotating part 410, a second sprocket 430, and a curling molding part 420. The curling rotation unit 41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fting table 200. The second sprocket 430 is connected to the curling rotator 410 so that it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curling rotator 410. The second sprocket 430 includes a plurality of teeth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so that the chain is connected and rotated. The second sprocket 430 transmits the rotation driving force of the rotation driving member 50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curling rotation unit 410.

도 4를 참조하면, 컬링 성형부(420)는 옆지 하부 지지부(421)와 옆지 상부 지지부(422)를 구비한다. 옆지 하부 지지부(421)는 옆지(1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컬링 회전부(410)에 설치된다. 옆지 상부 지지부(422)는 결합 몰드(110)의 상측에서 옆지 하부 지지부(42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옆지 상부 지지부(422)는 승강 테이블(200)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컬링 승강부(423)에 설치된다. 옆지 하부 지지부(421)와 옆지 상부 지지부(422)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컬링 홈(424)이 형성된다. 컬링 홈(424)은 옆지(10)의 외주를 따라 옆지 하부 지지부(421)와 옆지 상부 지지부(422)에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curling molding part 420 includes a lower side support 421 and an upper support 422. The side paper lower support part 421 is formed to surround the side paper 10 and is installed on the curling rotation part 410. The upper side support 422 is disposed to face the lower side support 421 on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mold 110. The upper side support 422 is installed on the curling lifting part 423 which moves up and down in connection with the lifting table 200. A curling groove 424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lower side support 421 and the upper support 422 contact each other. The curling groove 424 is formed in the lower side support 421 and the upper side support 422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ide paper 10.

결합 몰드(110)가 밑지 접합 부재(300)가 위치한 부분에 정지하면, 턴 테이블(100)의 회전에 연동하는 승강 테이블(200)이 턴 테이블(100)에 대해 상승한다. 승강 테이블(200)의 상승에 따라 컬링 성형부(420)의 옆지 하부 지지부(421)도 상승한다. 컬링 승강부(423)는 승강 테이블(200)의 상승에 연동하여 하강한다. 옆지 상부 지지부(422)는 컬링 승강부(423)에 설치되므로 옆지 하부 지지부(421)가 상승할 때, 옆지 상부 지지부(422)는 하강한다. 이로 인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지 하부 지지부(421)와 옆지 상부 지지부(422)가 접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옆지 하부 지지부(421)와 옆지 상부 지지부(422) 사이에는 컬링 홈(424)이 형성되는데 옆지(10)의 상단부는 컬링 홈(424)에 의해 가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컬링 회전부(410)가 회전하면, 옆지 하부 지지부(421)에 지지된 옆지(10)가 옆지 하부 지지부(421)와 함께 회전한다. 컬링 회전부(410)의 회전에 따라 컬링 홈(424)에 의해 가압된 옆지(10)의 상단부가 말린다.When the coupling mold 110 stops at the portion where the base bonding member 300 is located, the lifting table 200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turn table 100 rises with respect to the turn table 100. As the lifting table 200 rises, the lower side support part 421 of the curling molding part 420 also rises. The curling lifting part 423 descends in conjunction with the lifting of the lifting table 200. Since the upper side support part 422 is installed on the curling lifting part 423, when the lower side support part 421 rises, the upper side support part 422 descends. Due to this, as shown in FIG. 5, the lower side support 421 and the upper support 422 contact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a curling groove 424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ide support 421 and the upper support 422, and the upper end of the side 10 is pressed by the curling groove 424. When the curling rotation unit 410 rotates in this state, the side finger 10 supported by the side finger lower support part 421 rotates together with the side finger lower support part 421. As the curling rotation unit 410 rotates, the upper end of the side paper 10 pressed by the curling groove 424 is dried.

회전 구동 부재(500)는 밑지 접합 부재(300)의 접합 회전부(310)와 옆지 컬링 부재(400)의 컬링 회전부(410)를 회전시킨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회전 구동 부재(500)는 회전 모터(510)와 구동 풀리(520)와 종동 풀리(530)와 벨트(540)와 제1구동 스프라켓(550)과 제1체인(5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rotation driving member 500 rotates the bonding rotation unit 310 of the base bonding member 300 and the curling rotation unit 410 of the side finger curling member 400. 2 and 5, the rotation driving member 500 includes a rotation motor 510, a driving pulley 520, a driven pulley 530, a belt 540, a first driving sprocket 550, and a first chain. It includes 560.

구동 풀리(520)는 회전 모터(510)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동 풀리(530)는 구동 풀리(520)와 벨트(540)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 풀리(5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제1구동 스프라켓(550)은 종동 풀리(530)와 동일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종동 풀리(530)와 함께 회전한다. 제1체인(560)은 제1구동 스프라켓(550)과 밑지 접합 부재(300)의 제1스프라켓(330)과 옆지 컬링 부재(400)의 제2스프라켓(430)을 연결한다. 회전 모터(510)가 회전하면 구동 풀리(520)가 회전하고 구동 풀리(520)와 벨트(540)로 연결된 종동 풀리(530)가 회전된다. 종동 풀리(530)의 회전에 따라 제1구동 스프라켓(550)이 회전하고, 제1구동 스프라켓(550)의 회전에 의해 제1구동 스프라켓(550)과 제1체인(560)으로 연결된 제1스프라켓(330)과 제2스프라켓(430)이 모두 회전한다. 이로써, 밑지 접합 부재(300)의 접합 회전부(310)와 옆지 컬링 부재(400)의 컬링 회전부(410)가 회전된다.The driving pulley 52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motor 510 and rotates. Referring to FIG. 5, the driven pulley 530 is connected through a driving pulley 520 and a belt 540 t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pulley 520. The first driving sprocket 550 is installed on the same rotation shaft as the driven pulley 53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driven pulley 530. The first chain 560 connects the first driving sprocket 550 to the first sprocket 330 of the base joint member 300 and the second sprocket 430 of the side curling member 400. When the rotation motor 510 rotates, the driving pulley 520 rotates, and the driven pulley 530 connected by the driving pulley 520 and the belt 540 rotates. The first driving sprocket 550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en pulley 530, and the first sprocket connected by the first driving sprocket 550 and the first chain 560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sprocket 550 Both 330 and the second sprocket 430 rotate. Thereby, the bonding rotation part 310 of the base bonding member 300 and the curling rotation part 410 of the side finger curling member 400 are rotated.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의 경우 제1스프라켓(330)의 직경이 제2스프라켓(4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회전 구동 부재(500)의 제1구동 스프라켓(550)이 회전하면 직경이 작은 제1스프라켓(330)이 제2스프라켓(430)보다 더 많이 회전한다. 이로 인해, 밑지 접합 부재(300)의 접합 회전부(310)는 옆지 컬링 부재(400)의 컬링 회전부(410)보다 더 많이 회전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first sprocket 330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sprocket 430. When the first driving sprocket 550 of the rotation driving member 500 rotates, the first sprocket 330 having a small diameter rotates more than the second sprocket 430. For this reason, the bonding rotation unit 310 of the base bonding member 300 is rotated more than the curling rotation unit 410 of the side finger curling member 400.

회전 검출 센서(700)는 옆지 컬링 부재(400)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 검출 센서(700)는 옆지 컬링 부재(400)의 컬링 회전부(410)를 바라보도록 승강 테이블(200)에 설치된다. 컬링 회전부(410) 외면에는 돌출부(411)가 존재한다. 회전 검출 센서(700)는 이 돌출부(411)를 검출하여 컬링 회전부(410)의 회전각을 센싱한다. 회전 검출 센서(7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컬링 회전부(410)의 회전각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검출 센서(700)에 돌출부(411)가 검출되는 횟수를 이용하여 컬링 회전부(410)의 회전각을 계산할 수 있다.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700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side curling member 400.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700 is installed on the lifting table 200 so as to face the curling rotation part 410 of the side curling member 400. A protrusion 411 is prese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rling rotation part 410.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700 detects the protrusion 411 and senses a rotation angle of the curling rotation part 410.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700 may calculate the rotation angle of the curling rotation unit 410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rotation angle of the curling rotation part 410 may be calculated using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protrusion part 411 is detected by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700.

제어부(800)는 회전 검출 센서(700)가 계산한 컬링 회전부(410)의 회전각을 이용하여 컬링 회전부(410)가 적어도 한 바퀴 회전하도록 회전 구동 부재(500)의 회전 모터(51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800 controls the rotation motor 510 of the rotation driving member 500 so that the curling rotation unit 410 rotates at least one rotation us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urling rotation unit 410 calculated by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700 do.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구동 부재(500)의 구동 풀리(520)와 종동 풀리(530)는 회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하를 완충하기 위해 벨트(540)로 연결되어 회전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종동 풀리(530)나 구동 풀리(520)와 벨트(540) 사이에 슬립(slip)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립이 발생하면 컬링 회전부(410)나 접합 회전부(310)가 한 바퀴 이하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는 회전 검출 센서(700)가 컬링 회전부(410)의 회전각을 검출하고 제어부(800)는 이 값을 이용하여 컬링 회전부(410)가 한 바퀴 이상 회전하도록 회전 모터(510)를 제어한다. 따라서, 구동 풀리(520)나 종동 풀리(530)와 벨트(540)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더라도 컬링 회전부(410)가 한 바퀴 이상 회전이 보장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컬링 회전부(410)와 연결된 제2스프라켓(430)은 접합 회전부(310)와 연결된 제1스프라켓(330)과 제1체인(560)을 통해 연결되므로 컬링 회전부(410)가 한 바퀴 이상 회전하면 접합 회전부(310)도 한 바퀴 이상 회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pulley 520 and the driven pulley 530 of the rotation driving member 500 are connected by a belt 540 and rotated to buffer a load that may occur during the rotation process. In some cases, slip may occur between the driven pulley 530 or the driving pulley 520 and the belt 540. When the slip occurs in this way, the curling rotation unit 410 or the bonding rotation unit 310 may be rotated in less than one revolution. In the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700 dete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curling rotator 410, and the control unit 800 uses this value to rotate the curling rotator 410 to rotate one or more revolutions. Control the motor 510. Therefore, even if slip occurs between the driving pulley 520 or the driven pulley 530 and the belt 540, the curling rotation unit 410 is guaranteed to rotate one or more revolutions.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procket 430 connected to the curling rotation part 410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sprocket 330 and the first chain 560 connected to the bonding rotation part 310, so that the curling rotation part 410 If more than one wheel rotates, the joint rotation part 310 also rotates one or more times.

또한, 제1스프라켓(330)의 직경이 제2스프라켓(430)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접합 회전부(310)는 컬링 회전부(410)보다 더 많이 회전한다. 접합 회전부(310)는 밑지(20)를 옆지(10)에 부착시키는 회전 가압부(32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회전 가압부(320)가 한 바퀴 이상 회전하지 않는 경우 밑지(20)와 옆지(10)가 제대로 부착되지 않아 종이컵에 채워진 액체가 아래로 새는 심각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의 경우 벨트(540) 슬립이 발생하더라도 접합 회전부(310)는 한 바퀴 이상 회전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불량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ameter of the first sprocket 33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sprocket 430, the bonding rotation part 310 rotates more than the curling rotation part 410. The bonding rotation unit 310 is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tion pressing unit 320 that attaches the base 20 to the side finger 10. If the rotation pressing unit 320 does not rotate more than one revolution, the base 20 and the side 10 are not properly attached, and thus a serious defect may occur in which the liquid filled in the paper cup leaks downward.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belt 540 slips, the splicing rotating unit 310 rotates one or more revolutions, so that the above-described defects are completely blocked.

위와 같은 효과는 회전 검출 센서(700)와 제어부(800)를 통해 구현된다. 회전 검출 센서(700)는 이미 설치된 종이컵 제조 장치에 쉽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는 기존 종이컵 제조 장치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above effect is implemented through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700 and the control unit 800.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700 can be easily applied to an already installed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e, the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existing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8는 도 4에 도시된 회전 구동 부재(600)의 블록도이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 paper cu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block diagram of the rotation driving member 600 shown in FIG. 4.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에서 회전 구동 부재(6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한다.In the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rotation driving member 60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so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and the same member number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회전 구동 부재(600)는 밑지 접합 부재(300)의 접합 회전부(310)와 옆지 컬링 부재(400)의 컬링 회전부(410)를 회전시킨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회전 구동 부재(600)는 회전 모터(610)와 구동 풀리(620)와 종동 풀리(630)와 벨트(640)와 제2구동 스프라켓(650) 및 제3구동 스프라켓(660)과 제2체인(670) 및 제3체인(6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rotation driving member 600 rotates the bonding rotation part 310 of the base bonding member 300 and the curling rotation part 410 of the side curling member 400. 7 and 8, the rotation driving member 600 includes a rotation motor 610, a driving pulley 620, a driven pulley 630, a belt 640, a second driving sprocket 650, and a third driving. It comprises a sprocket 660, a second chain 670 and a third chain 680.

구동 풀리(620)는 회전 모터(610)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동 풀리(630)는 구동 풀리(620)와 벨트(640)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 풀리(6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제2구동 스프라켓(650)과 제3구동 스프라켓(660)은 종동 풀리(630)와 동일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종동 풀리(630)와 함께 회전한다. 제2체인(670)은 제2구동 스프라켓(650)과 밑지 접합 부재(300)의 제1스프라켓(330)을 연결한다. 제3체인(680)은 제3구동 스프라켓(660)과 옆지 컬링 부재(400)의 제2스프라켓(430)을 연결한다. 회전 모터(610)가 회전하면 구동 풀리(620)가 회전하고 구동 풀리(620)와 벨트(640)로 연결된 종동 풀리(630)가 회전된다. 종동 풀리(630)의 회전에 따라 제2구동 스프라켓(650)과 제3구동 스프라켓(660)이 회전한다. 제2구동 스프라켓(650)의 회전에 의해 제2구동 스프라켓(650)과 제2체인(670)으로 연결된 제1스프라켓(330)이 회전한다. 제3구동 스프라켓(660)의 회전에 의해 제3구동 스프라켓(660)과 제3체인(680)으로 연결된 제2스프라켓(430)이 회전한다. 이로써, 밑지 접합 부재(300)의 접합 회전부(310)와 옆지 컬링 부재(400)의 컬링 회전부(410)가 회전된다.The driving pulley 62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motor 610 to rotate. Referring to FIG. 8, the driven pulley 630 is connected through a driving pulley 620 and a belt 640 t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pulley 620. The second driving sprocket 650 and the third driving sprocket 660 are installed on the same rotation shaft as the driven pulley 630 and rotate together with the driven pulley 630. The second chain 670 connects the second driving sprocket 650 to the first sprocket 330 of the base bonding member 300. The third chain 680 connects the third driving sprocket 660 and the second sprocket 430 of the side curling member 400. When the rotation motor 610 rotates, the driving pulley 620 rotates, and the driven pulley 630 connected by the driving pulley 620 and the belt 640 rotates. As the driven pulley 630 rotates, the second driving sprocket 650 and the third driving sprocket 660 rotate.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iving sprocket 650, the second driving sprocket 650 and the first sprocket 330 connected by the second chain 670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third driving sprocket 660, the third driving sprocket 660 and the second sprocket 430 connected by the third chain 680 rotates. Thereby, the bonding rotation part 310 of the base bonding member 300 and the curling rotation part 410 of the side finger curling member 400 are rotated.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의 경우 제2구동 스프라켓(650)의 직경이 제3구동 스프라켓(66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밑지 접합 부재(300)의 접합 회전부(310)는 옆지 컬링 부재(400)의 컬링 회전부(410)보다 더 많이 회전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second driving sprocket 65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driving sprocket 660. For this reason, the bonding rotation unit 310 of the base bonding member 300 is rotated more than the curling rotation unit 410 of the side finger curling member 400.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 preferred examp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예를 들어, 앞에서 제1실시예는 제1스프라켓(330)과 제2스프라켓(430)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직경이 서로 같도록 변경할 수 있다. 제2실시예는 제2구동 스프라켓(650)과 제3구동 스프라켓(660)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구동 스프라켓과 제3구동 스프라켓의 직경을 서로 같게 변경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구동 스프라켓과 연결된 제1스프라켓의 기어 비와 제3구동 스프라켓과 연결된 제2스프라켓의 기어 비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sprocket 330 and the second sprocket 430 have been described as having different diameters, but the diameters of the first sprocket 330 and the second sprocket 43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diameters of the second driving sprocket 650 and the third driving sprocket 66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 diameters of the second driving sprocket and the third driving sprocket can be changed to be the same.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reely changing the gear ratio of the first sprocket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sprocket and the gear ratio of the second sprocket connected to the third driving sprocket.

또한, 앞에서 회전 검출 센서(700)는 컬링 회전부(410)의 돌출부(411)를 검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돌출부는 컬링 성형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검출 센서는 컬링 회전부의 회전각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회전 검출 센서는 컬링 회전부를 바라보도록 설치된 센싱부와 컬링 회전부 외면에 설치되어 센싱부에 검출되는 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와 검지부는 공지된 다양한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는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 레이저 센서 등을 들 수 있다.Further,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700 detects the protrusion 411 of the curling rotation unit 410, but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curling molding unit. In addition,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can be changed into various configurations capable of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urling rotation unit. For example,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 sensing unit installed so as to look at the curling rotation unit and a detection unit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rling rotation unit and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Here, the sensing unit and the detection unit may use various known sensors. Examples include infrared sensors, proximity sensors, and laser sensors.

또한, 앞에서는 회전 검출 센서(700)가 승강 테이블(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회전 검출 센서는 옆지 컬링 부재를 바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다양한 구성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700 is installed on the lifting table 200,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facing the side curling member and installed in various configurations.

10: 옆지 20: 밑지
100: 턴 테이블 110: 결합 몰드
200: 승강 테이블 300: 밑지 접합 부재
310: 접합 회전부 320: 회전 가압부
330: 제1스프라켓 400: 옆지 컬링 부재
410: 컬링 회전부 420: 컬링 성형부
430: 제2스프라켓 500: 회전 구동 부재
510: 회전 모터 520: 구동 풀리
530: 종동 풀리 540: 벨트
550: 제1구동 스프라켓 560: 제1체인
600: 회전 구동 부재 610: 회전 모터
620: 구동 풀리 630: 종동 풀리
640: 벨트 650: 제2구동 스프라켓
660: 제3구동 스프라켓 670: 제2체인
680: 제3체인 700: 회전 검출 센서
800: 제어부
10: side edge 20: bottom edge
100: turn table 110: bonding mold
200: lifting table 300: base joint member
310: bonding rotation part 320: rotation pressing part
330: first sprocket 400: side curling member
410: curling rotation unit 420: curling molding unit
430: second sprocket 500: rotation driving member
510: rotation motor 520: drive pulley
530: driven pulley 540: belt
550: first driving sprocket 560: first chain
600: rotation drive member 610: rotation motor
620: driving pulley 630: driven pulley
640: belt 650: second driving sprocket
660: third drive sprocket 670: second chain
680: third chain 700: rotation detection sensor
800: control unit

Claims (6)

통형의 옆지와 상기 옆지의 하단부에 접합되는 밑지로 구성되는 종이컵을 제조하는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옆지가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 각도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결합 몰드를 구비하며 회전하는 턴 테이블;
상기 턴 테이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턴 테이블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 테이블;
상기 턴 테이블의 복수의 결합 몰드가 정지하는 지점 중 하나에서 상기 승강 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합 회전부와, 상기 옆지에 삽입된 상기 밑지의 외주를 따라 가압하여 상기 밑지가 상기 옆지에 접합되도록 상기 접합 회전부에 설치되는 회전 가압부와, 상기 접합 회전부에 연결되는 제1스프라켓을 포함하는 밑지 접합 부재;
상기 밑지 접합부재를 경유한 상기 턴 테이블의 결합 몰드가 정지하는 지점에서 상기 승강 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컬링 회전부와, 상기 컬링 회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테이블이 상승할 때 상기 옆지의 상단이 말리도록 상기 옆지 상단을 가압하는 컬링 성형부와, 상기 컬링 회전부에 연결되는 제2스프라켓을 포함하는 옆지 컬링 부재;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와, 상기 종동 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종동 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제1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밑지 접합 부재의 제1스프라켓과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제2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1체인을 포함하는 회전 구동 부재;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컬링 회전부의 회전각을 검출하도록 상기 옆지 컬링 부재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회전 검출 센서; 및
상기 회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컬링 회전부가 적어도 한 바퀴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회전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
In the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per cup consisting of a cylindrical side paper and a base paper bond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paper,
A turntable rotating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molds formed to fit the side papers and arranged at equal 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 elevating table disposed below the turn table and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turn tabl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turn table;
At one of the points at which the plurality of coupling molds of the turn table are stopped, the joint rotation un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fting table, and the base is joined to the side by press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se inserted in the side. A base bonding member including a rotation pressing unit installed on the bonding rotation unit and a first sprocket connected to the bonding rotation unit;
A curling rotation part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fting table at a point where the coupling mold of the turn table via the base joint member stops, and a curling rotation part installed on the curling rotation part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ide paper rolls when the lifting table rises. A side edge curling member including a curling molding part for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finger so as to be stretched, and a second sprocket connected to the curling rotation part;
A rotation motor, a driving pulley connected to the rotation motor to rotate, a driven pulley connected to the driving pulley to rotate, a belt connecting the driving pulley and a driven pulley, and a belt connected to the driven pulley to rotate the driven pulley A rotation driving member including a first driving sprocket rotating together and a first chain connecting the driving sprocket and the first sprocket of the base joint member and the second sprocket of the side curling member;
A rotation detection sensor disposed so as to face the side curling member to detect a rotation angle of the curling rotation portion of the side curling member; And
A paper cup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rotation motor of the rotation driving member so that the curling rotation unit of the side curling member rotates at least one rotation using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통형의 옆지와 상기 옆지의 하단부에 접합되는 밑지로 구성되는 종이컵을 제조하는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옆지가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 각도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결합 몰드를 구비하고 회전하는 턴 테이블;
상기 턴 테이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턴 테이블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 테이블;
상기 턴 테이블의 복수의 결합 몰드가 정지하는 지점 중 하나에서 상기 승강 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합 회전부와, 상기 옆지에 삽입된 상기 밑지의 외주를 따라 가압하여 상기 밑지가 상기 옆지에 접합되도록 상기 접합 회전부에 설치되는 회전 가압부와, 상기 접합 회전부에 연결되는 제1스프라켓을 포함하는 밑지 접합 부재;
상기 밑지 접합부재를 경유한 상기 턴 테이블의 결합 몰드가 정지하는 지점에서 상기 승강 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컬링 회전부와, 상기 컬링 회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테이블이 상승할 때 상기 옆지의 상단이 말리도록 상기 옆지 상단을 가압하는 컬링 성형부와, 상기 컬링 회전부에 연결되는 제2스프라켓을 포함하는 옆지 컬링 부재;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와, 상기 종동 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종동 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제2구동 스프라켓 및 제3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제2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밑지 접합 부재의 제1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2체인 및 상기 제3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제2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3체인을 포함하는 회전 구동 부재;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컬링 회전부의 회전각을 검출하도록 상기 옆지 컬링 부재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회전 검출 센서; 및
상기 회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컬링 회전부가 적어도 한 바퀴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회전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
In the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per cup consisting of a cylindrical side paper and a base paper bond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paper,
A turn table that has a plurality of coupling molds formed to fit the side fingers and arranged at equal angular intervals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rotates;
An elevating table disposed below the turn table and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turn tabl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turn table;
The joint rotation part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fting table at one of the points where the plurality of coupling molds of the turn table stops, and the base is joined to the side by press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se inserted in the side A base bonding member including a rotation pressing unit installed on the bonding rotation unit and a first sprocket connected to the bonding rotation unit;
A curling rotation part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fting table at a point where the coupling mold of the turn table via the base joint member stops, and a curling rotation part installed on the curling rotation part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ide paper rolls when the lifting table rises. A side edge curling member including a curling molding part for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finger so as to be stretched, and a second sprocket connected to the curling rotation part;
A rotation motor, a driving pulley connected to the rotation motor to rotate, a driven pulley connected to the driving pulley to rotate, a belt connecting the driving pulley and a driven pulley, and a belt connected to the driven pulley to rotate the driven pulley A second driving sprocket and a third driving sprocket rotating together, a second chain connecting the second driving sprocket and the first sprocket of the base joint member, and the third driving sprocket and the second sprocket of the side curling member Rotation drive member comprising a third chain to connect;
A rotation detection sensor disposed so as to face the side curling member to detect a rotation angle of the curling rotation portion of the side curling member; And
A paper cup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rotation motor of the rotation driving member so that the curling rotation unit of the side curling member rotates at least one rotation using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컬링 회전부와 컬링 성형부 중 하나의 외면에는 회전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검출 센서는,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컬링 회전부와 컬링 성형부 중 하나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인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protrusion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of the curling rotation part and the curling molding part of the side curling member,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is a proximity sensor that detects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of the curling rotation part and the curling molding part of the side curling mem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검출 센서는,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컬링 회전부와 컬링 성형부 중 하나의 외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검지부와 상기 복수의 검지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Automatic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of the curling rotation unit and the curling molding unit of the side curling member and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지 접합 부재의 접합 회전부가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컬링 회전부보다 더 많이 회전하도록 상기 밑지 접합 부재의 제1스프라켓의 내경이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제2스프라켓의 내경보다 작은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 paper cup in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sprocket of the base joint member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sprocket of the side curling member so that the joint rotation part of the base joint member rotates more than the curling rotation part of the side paper curling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부재는,
상기 밑지 접합 부재의 접합 회전부가 상기 옆지 컬링 부재의 컬링 회전부보다 더 많이 회전하도록 상기 제2구동 스프라켓의 직경이 상기 제3구동 스프라켓의 직경보다 큰 종이컵 자동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rotation drive member,
A paper cup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second driving sprocke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driving sprocket so that the joint rotating part of the base joint member rotates more than the curling rotating part of the side curling member.
KR1020190043448A 2019-04-15 2019-04-15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for Paper Cup KR1021972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448A KR102197202B1 (en) 2019-04-15 2019-04-15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for Paper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448A KR102197202B1 (en) 2019-04-15 2019-04-15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for Paper C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008A KR20200121008A (en) 2020-10-23
KR102197202B1 true KR102197202B1 (en) 2020-12-31

Family

ID=7303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448A KR102197202B1 (en) 2019-04-15 2019-04-15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for Paper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20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0363B2 (en) 1987-11-02 1997-07-16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Container cutout method and cutout device
KR100434030B1 (en) 2002-06-28 2004-06-04 (주)제이브이엠 A sealing device of automatic medicine distributing and packag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292Y1 (en) * 1986-12-20 1989-05-17 진양기계산업 주식회사 A curling and bottom closing apparatus of a paper cup
KR930006609Y1 (en) * 1991-09-24 1993-10-04 김창현 Rice transplanter of handtype
KR20050017532A (en) * 2003-08-14 2005-02-22 (주)성우엔비테크 Device for joining the bottom part of a paper cup in paper-cup form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0363B2 (en) 1987-11-02 1997-07-16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Container cutout method and cutout device
KR100434030B1 (en) 2002-06-28 2004-06-04 (주)제이브이엠 A sealing device of automatic medicine distributing and packag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008A (en)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97779B (en) Automatic tire valve insertion apparatus for tubeless tire
US10914345B2 (en) Grease sealing method and sealing device for ball bearing and ball bearing produced using said sealing method
CN102712155B (en) Tire manufacturing device
KR102002302B1 (en) Tire assembly line with Tire mark matcher
EP2062027A1 (en) Adhesion inspection apparatus and adhesion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197202B1 (en)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for Paper Cup
JP2014217953A (en) Tire manufacturing method and tire
KR100986723B1 (en) Assembling apparatus of square seal for oil pump
JP2011011702A (en) Phase matching device of tire and whe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131327A (en) How to manage rim size in tire testing machine
CN108161401A (en) The positive and negative detection correcting device of valve retainer
JP6094007B2 (en) Tire holding device for dynamic balance testing machine
KR20120051420A (en) Apparatus for fitting a wrapping tube on coil spring
JP7428877B2 (en) capper
JPS6094240A (en) Washer incorporating device
CN205470128U (en) A zhuan he robot for detecting bubble cap
JP3779678B2 (en) Tire uniformity machine
KR102195133B1 (en) Pattern-mold fasteners for air venting hole automatic forming devices
JP4034075B2 (en) Insulated container manufacturing equipment
JP3888280B2 (en) Rotating body rotation positioning device
JP6795838B2 (en) Balance weight crimping device
JP4202530B2 (en) Tire bead width measuring device
KR100508986B1 (en) Semiconductor wafer aligner
JP7052771B2 (en) Wafer loading equipment for single-sided polishing equipment
KR102111123B1 (en) Laminator for Curved Cover Glass used Air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