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964B1 - 웨어러블 디바이스, 손목 시계, 및 근거리 통신 스위치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손목 시계, 및 근거리 통신 스위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964B1
KR102196964B1 KR1020180158482A KR20180158482A KR102196964B1 KR 102196964 B1 KR102196964 B1 KR 102196964B1 KR 1020180158482 A KR1020180158482 A KR 1020180158482A KR 20180158482 A KR20180158482 A KR 20180158482A KR 102196964 B1 KR102196964 B1 KR 102196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antenna
chips
security chips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531A (ko
Inventor
페이-리앙 치우
Original Assignee
프린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린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프린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68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 G06F21/72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in cryptographic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1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earab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2Contactless payments by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06Details of the card
    • G07F7/0833Card having specific functional compon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6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by active credit-cards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3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using wearable devices, e.g. using a smartwatch or smart-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5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multiple identity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7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보안 칩들을 포함하는, 안테나에 커플링된 보안 칩 세트; 및 안테나와 보안 칩 세트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보안 칩 세트 내의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켜 안테나를 통해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손목 시계 및 근거리 통신 스위치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사용자는 통신 칩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카드들을 사용할 때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손목 시계, 및 근거리 통신 스위치 방법{WEARABLE DEVICE, WRISTWATCH, A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WITCH METHOD}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기술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손목 시계, 및 근거리 통신 스위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통신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들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무선 주파수 식별(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근접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은 일반적인 근거리 통신 기술들이다. 또한, RFID 또는 NFC 통신 표준에 부합하는 교통 카드, 출입 카드, 및 전자 지불 카드와 같은 물리적 또는 가상 전자 카드들은 인간의 일상 생활에서 널리 사용된다.
전자 카드들의 사용자들은 종종 다양한 유형들의 물리적 카드들을 휴대해야 한다. 현재의 기술들이 카드들을 가상화하고 스마트폰들에 통합할 수는 있지만, 여전히 가상화될 수 없거나 가상화를 지원하지 않는 많은 물리적 전자 카드들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필연적으로 이러한 물리적 카드들을 휴대해야 하므로 불편함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해결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는 전자 카드들을 사용할 때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손목 시계, 및 근거리 통신 스위치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보안 칩들을 포함하는, 안테나에 커플링된 보안 칩 세트; 및 안테나와 보안 칩 세트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보안 칩 세트 내의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enable)시켜 안테나를 통해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수납실을 형성하는 하우징으로서 하우징의 일부는 투명 덮개에 의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손목 시계로서, 손목 시계는 눈금판(dial), 눈금판의 일 표면 상의 물리적 눈금들(scales), 눈금판 위에 배치되고 물리적 눈금들과 협력하여 시간을 나타내는 물리적 지시자들(indicators)을 더 포함하며, 손목 시계는,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보안 칩들을 포함하는, 안테나에 커플링된 보안 칩 세트; 투명 덮개의 일 표면에 부착된 투명 도전막으로서, 투명 도전막은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되고, 영역들의 각각은 서로 인터레이스(interlace)되어 복수의 도전성 유닛들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전성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막; 수납실에 배치되고 투명 도전막의 영역들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각 영역에서의 도전성 유닛들 전부의 전기적 신호 변화들의 적분 효과(integral effect)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터치 검출기; 및 수납실에 배치되고, 터치 검출기, 보안 칩 세트, 및 안테나에 커플링되며, 터치 검출기로부터 송신된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보안 칩 세트 내의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켜 안테나를 통해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손목 시계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는, 전자기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여 근거리 통신을 달성하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배치된 보안 칩 세트 내의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켜 안테나를 통해 전자기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고 보안 칩 세트 내의 보안 칩들 중 나머지 전부를 디스에이블(disable)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스위치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는, (예컨대, RFID 또는 NFC 통신 표준에 부합하는) 2개 또는 2개 초과의 근거리 통신 칩들이 배치된다. 사용자는 통신 칩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카드들을 사용할 때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투명 도전막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손목 시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근거리 통신 스위치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목적들, 기술적 구성들 및 기술적 효과들을 보다 명확하고 분명하게 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실시예들을 이용함으로써 본 개시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들은 단지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라는 용어는 사례, 예, 또는 예시를 지칭하지만, 본 개시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된 관사들은 일반적으로,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문맥으로부터 단수 형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명확하지 않으면,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근거리 통신을 위해 구성된 복수의 보안 칩들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근거리 통신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및 근접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상이한 상황 요구들에 기초하여 보안 칩들 중 하나로 스위칭하여 그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을 위해 전자 카드들 중 하나가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갖춘 교통 카드 및 출입 카드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통근시 인증을 위해 교통 카드의 보안 칩을 사용할 수도 있고, 집에 도착할 때 출입 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자 지불 기능을 갖는 카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도 있다. 전자 카드들의 유형들은,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갖추는 한, 본 개시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의 예들은 두 개의 보안 칩들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예시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2개 또는 2개 초과의 보안 칩들을 가질 수도 있음은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안테나(12), 제 1 보안 칩(141) 및 제 2 보안 칩(142)을 포함하는 보안 칩 세트(14), 및 제어기(16)를 포함한다. 안테나(1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부 케이스의 외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보안 칩 세트(14) 및 제어기(16)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다. 보안 칩 세트(14)는 안테나(12)에 커플링된다. 제어기(16)는 보안 칩 세트(14)와 안테나(12)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기(16)는 보안 칩 세트(14)와 안테나(12) 사이에 커플링된다.
안테나(12)는 전자기 신호(즉,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보안 칩 세트(14) 내의 하나의 보안 칩이 외부 디바이스(예컨대, 카드 판독기)에 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경우, 안테나(12)에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류가 인가되어 전자기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달리, 외부 디바이스가 보안 칩 세트(14) 내의 하나의 보안 칩에 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경우, 안테나(12)는 외부 전자기 신호로 인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류를 생성하므로 그 하나의 보안 칩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안테나(1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자기 신호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보안 칩 세트(14) 내의 보안 칩들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제 1 보안 칩(141)과 제 2 보안 칩(142) 양방 모두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보안 칩(141) 및 보안 칩(142)은 상이한 유형들의 전자 카드들, 예를 들어 교통 카드 및 출입 카드의 보안 칩들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보안 칩(141) 및 제 2 보안 칩(142)은 동일한 유형의 전자 카드에 속하지만, 2개의 카드 엔티티들, 예를 들어 2개의 선불카드들(stored-value cards)의 보안 칩들이다.
제어기(16)는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제 1 보안 칩(141) 및 제 2 보안 칩(142) 중 하나로 하여금 안테나(12)를 통해 전자기 신호 또는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어기(16)는 보안 칩 세트(14) 내의 하나의 보안 칩을 인에이블시키고 보안 칩 세트(14) 내의 모든 다른 보안 칩들을 디스에이블시킨다. 일 예에서, 보안 칩 세트(14)가 제 1 보안 칩(141), 제 2 보안 칩(142), 및 제 3 보안 칩(미도시)을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제어기(16)는 제 1 보안 칩(141)을 인에이블시키고 제 2 보안 칩(142) 및 제 3 보안 칩을 포함하는 모든 다른 보안 칩들을 디스에이블시킨다.
즉,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배치된 (하나의 보안 칩에 대응하는) 하나의 전자 카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안테나(12)를 통해 근거리 통신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을 통해 제어기(16)로 하여금 하나의 보안 칩을 선택하게 하고, 모든 다른 보안 칩들을 디스에이블 상태로 유지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한 번에 하나의 전자 카드만을 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신호 간섭 또는 기타 보안 문제들을 회피한다.
또한, 제어기(16)는 제 1 보안 칩(141) 및 제 2 보안 칩(142) 중 하나를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인에이블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하나의 전자 카드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고, 그 하나의 전자 카드는 미리 결정된 기간(예컨대, 10초) 후에 자동으로 비활성화될 것이다. 이렇게 하면 보안을 증대하고 스키밍(skimming) 또는 도청을 회피하며,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기(16)는 안테나(12)와 하나의 보안 칩 사이의 접속 경로를 확립하고 안테나(12)와 모든 다른 보안 칩들 사이의 접속 경로들을 차단하여 그 하나의 보안 칩을 인에이블시키고 모든 다른 보안 칩들을 디스에이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6)는 제 1 보안 칩(141)과 안테나(12) 사이의 접속 경로를 확립하고, 제 2 보안 칩(142)과 안테나(12) 사이의 접속 경로를 차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제어기(16)는 보안 칩을 전원에 접속시켜 보안 칩을 인에이블시키고, 전원으로부터 보안 칩을 차단하여 보안 칩을 디스에이블시킬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는, (예컨대, RFID 또는 NFC 통신 표준에 부합하는) 2개 또는 2개 초과의 근거리 통신 칩들이 배치된다. 사용자는 통신 칩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카드들을 사용할 때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1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어기(16)에 커플링된 버튼 또는 노브(knob)(20)를 더 포함한다. 버튼 또는 노브(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면 상에 배치된다. 제어기(16)는 버튼 또는 노브(20)를 통해 사용자 조작을 수신하여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킨다. 즉, 사용자는 버튼 또는 노브(20)를 통해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어기(16)에 커플링된 터치 패널(30)을 더 포함한다. 제어기(16)는 터치 패널(30)을 통해 사용자 조작을 수신하여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킨다. 즉, 터치 패널(30)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터치 조작들은,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근거리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터치 패널(30)은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스마트워치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3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어기(16)에 커플링된 제스처(gesture) 센서(40)를 더 포함한다. 제스처 센서(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스처 센서(40)는 사용자의 몸짓, 자세,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16)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킨다. 즉,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경우, 제스처 센서(40)에 의해 식별가능한 제스처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져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회의 회전 동작은 제 1 보안 칩(141)을 인에이블시키고 제 2 보안 칩(142)을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고, 2회의 회전 동작은 제 1 보안 칩(141)을 디스에이블시키고 제 2 보안 칩(142)을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4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투명 도전막(50) 및 터치 검출기(52)를 더 포함한다. 투명 도전막(50)은 터치 검출기(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터치 검출기(52)는 제어기(16)에 커플링된다. 투명 도전막(5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면 상에 배치된다. 터치 검출기(5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다. 투명 도전막(50) 및 터치 검출기(52)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하여 보안 칩 스위치 기능을 달성한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투명 도전막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 도전막(50)은 메쉬 형상으로 형성된 도전막이다. 실제로, 메쉬 형상은 복수의 초-미세 금속 라인들에 의해 형성된다. 투명 도전막(50)은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된다. 이들 영역은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도 6은 2개의 영역들(즉, 제 1 영역(511) 및 제 2 영역(512))로 도시된다. 투명 도전막(50)이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된 두 개 초과의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음은 이해될 수 있다. 각각의 영역은 서로 인터레이스되어 복수의 도전성 유닛들(502)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전성 와이어들(501)을 포함한다. 각 영역 내의 모든 도전성 유닛들(502)의 전기 신호 변화들(예컨대, 전압 또는 전류 신호 변화들)의 적분 효과는 영역 위 또는 영역 상에서 수행되는 근사 동작(approximal action) 또는 터치 동작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일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그 영역에서 전하들의 변화가 발생된다. 각 영역의 전하 변화들을 검출함으로써, 어느 영역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터치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터치 검출기(52)는 투명 도전막(50)의 영역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투명 도전막(50)의 각 영역은 송신 와이어를 통해 터치 검출기(52)에 접속된다. 터치 검출기(52)는 영역들 상의 전하들의 변화들을 검출하여 어느 영역이 터치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터치 검출기(52)는 각 영역에서의 모든 도전성 유닛들(502)의 전기적 신호 변화들의 적분 효과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기(16)는 터치 검출기(52)로부터 송신된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의 보안 칩을 인에이블시키고 모든 다른 보안 칩들을 디스에이블시킨다.
예를 들어, 제 1 보안 칩(141)은 제 1 영역(511)에 대응하고, 제 2 보안 칩(142)은 제 2 영역(512)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영역(511)을 클릭하는 경우 제 1 보안 칩(141)이 인에이블되고, 사용자가 제 2 영역(512)을 클릭하는 경우 제 2 보안 칩(142)이 인에이블된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 1 영역(511)으로부터 제 2 영역(512)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제 1 보안 칩(141)이 인에이블되고 제 2 보안 칩(142)은 디스에이블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 2 영역(512)으로부터 제 1 영역(511)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 제 2 보안 칩(142)이 인에이블되고 제 1 보안 칩(141)은 디스에이블된다.
전술한 사용자 조작들을 검출하기 위해 투명 도전막(50)을 이용하는 것은 종래의 터치 패널들에 이용된 터치 동작 감지 기술들 및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사용된 픽셀 전극들을 갖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술들과는 명백하게 상이하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손목 시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손목 시계일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목 시계는 투명 덮개(71) 및 외부 덮개(72)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투명 덮개(71)는 투명 재료(예컨대, 유리)로 이루어진다. 하우징의 일부는 투명 덮개(71)에 의해 형성된다. 수납실은 투명 덮개(71) 및 외부 덮개(72)에 의해 정의된다. 손목 시계는 눈금판(73), 복수의 물리적 눈금들(74) 및 수납실 내에 배치된 복수의 물리적 지시자들(75)을 더 포함한다. 눈금판(73)의 일 표면에는 물리적 눈금들(예컨대, 시간 눈금)(74)이 형성된다. 눈금판(73) 위에는 물리적 지시자들(시침, 분침, 및 초침)(75)이 배치된다. 물리적 지시자들(75)은 물리적 눈금들(74)과 협력하여 시간을 나타낸다. 투명 덮개(71)를 통해, 사용자는 물리적 지시자들(75)에 의해 지시된 위치 정보(즉, 시간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도전막(50)은 투명 덮개(71)의 일 표면(예컨대, 내면)에 부착되고, 안테나(12)는 신호들이 크게 간섭되지 않는 손목 시계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며, 손목 시계의 수납실은 터치 검출기(52), 제어기(16), 및 2개 또는 2개 초과의 보안 칩들을 갖는 보안 칩 세트(14)를 수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근거리 통신 칩들의 스위치 기능은 전통적인 손목 시계에서 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근거리 통신 스위치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문맥을 참조하여 도 8을 참조하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82에서, 안테나(12)가 전자기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제공되어 근거리 통신을 달성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12)는 RFID 또는 NFC 표준에 부합하는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배치된다.
단계 S84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배치된 보안 칩 세트(14) 내의 하나의 보안 칩이 인에이블되어 안테나(12)를 통해 전자기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고, 보안 칩 세트(14) 내의 모든 다른 보안 칩들은 디스에이블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12)에 커플링된 보안 칩 세트(14) 및 안테나(12)와 보안 칩 세트(14) 사이에 배치된 제어기(16)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배치된다. 보안 칩 세트(14)는 2 개 또는 2 개 초과의 보안 칩들(예컨대, 제 1 보안 칩(141) 및 제 2 보안 칩(142))을 포함한다. 제어기(16)는 보안 칩 세트(14) 내의 하나의 보안 칩을 인에이블시키고 보안 칩 세트(14) 내의 모든 다른 보안 칩들을 디스에이블시킨다. 인에이블된 보안 칩은 안테나(12)를 통해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근거리 통신 스위치 방법의 다른 세부 사항은 전술한 문맥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손목 시계에 대한 설명들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반복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예시되고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수정예들 및 변형예들이 당업자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설명된다. 본 개시는 예시된 바와 같은 특정 형태들로 제한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개시의 영역을 유지하는 모든 수정예들 및 변형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8)

  1.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보안 칩들을 포함하는, 상기 안테나에 커플링된 보안 칩 세트; 및
    상기 안테나와 상기 보안 칩 세트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보안 칩 세트 내의 상기 보안 칩들 중 하나를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인에이블(enable)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인에이블된 상기 보안 칩은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 후에 자동으로 비활성화되고,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보안 칩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된 투명 도전막으로서, 상기 영역들의 각각은 서로 인터레이스(interlace)되어 복수의 도전성 유닛들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전성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상기 투명 도전막; 및
    상기 제어기에 커플링되고 상기 투명 도전막의 상기 영역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각 영역에서의 상기 도전성 유닛들 전부의 전기적 신호 변화들의 적분 효과(integral effect)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터치 검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 영역은 송신 와이어를 통해 상기 터치 검출기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터치 검출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키고 모든 다른 보안 칩들을 디스에이블시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안테나와 상기 보안 칩들 중 하나 사이의 접속 경로를 확립하고 상기 안테나와 상기 보안 칩들 중 나머지 전부 사이의 접속 경로들을 차단하여 상기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보안 칩들 중 나머지 전부를 디스에이블시키도록 구성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칩 세트는 2개 또는 2개 초과의 보안 칩들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신호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표준 및/또는 근접장 통신(NFC) 표준에 부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기에 커플링된 버튼 또는 노브(knob)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버튼 또는 상기 노브를 통해 상기 사용자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기에 커플링된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기에 커플링되고 사용자의 손 제스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스처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수납실을 형성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일부는 투명 덮개에 의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손목 시계이며, 상기 손목 시계는 눈금판, 상기 눈금판의 일 표면 상의 물리적 눈금들, 및 상기 눈금판 위에 배치된 물리적 지시자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리적 지시자들은 상기 물리적 눈금들과 협력하여 시간을 나타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수납실을 형성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일부는 투명 덮개에 의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손목 시계로서,
    상기 손목 시계는 눈금판, 상기 눈금판의 일 표면 상의 물리적 눈금들, 상기 눈금판 위에 배치되고 상기 물리적 눈금들과 협력하여 시간을 나타내는 물리적 지시자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손목 시계는,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보안 칩들을 포함하는, 상기 안테나에 커플링된 보안 칩 세트;
    상기 투명 덮개의 일 표면에 부착된 투명 도전막으로서, 상기 투명 도전막은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보안 칩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되고, 상기 영역들의 각각은 서로 인터레이스되어 복수의 도전성 유닛들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전성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상기 투명 도전막;
    상기 수납실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도전막의 상기 영역들에 송신 와이어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각 영역에서의 상기 도전성 유닛들 전부의 전기적 신호 변화들의 적분 효과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터치 검출기; 및
    상기 수납실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 검출기, 상기 보안 칩 세트, 및 상기 안테나에 커플링되며, 상기 터치 검출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안 칩 세트 내의 상기 보안 칩들 중 하나를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인에이블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인에이블된 상기 보안 칩은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 후에 자동으로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터치 검출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키고 모든 다른 보안 칩들을 디스에이블시키는 손목 시계.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안테나와 상기 보안 칩들 중 하나 사이의 접속 경로를 확립하고 상기 안테나와 상기 보안 칩들 중 나머지 전부 사이의 접속 경로들을 차단하여 보안 칩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보안 칩들 중 나머지 전부를 디스에이블시키도록 구성되는, 손목 시계.
  15. 삭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칩 세트는 2개 또는 2개 초과의 보안 칩들을 포함하는, 손목 시계.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신호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표준 및/또는 근접장 통신(NFC) 표준에 부합하는, 손목 시계.
  18. 삭제
KR1020180158482A 2018-03-20 2018-12-10 웨어러블 디바이스, 손목 시계, 및 근거리 통신 스위치 방법 KR102196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7109507 2018-03-20
TW107109507A TWI679856B (zh) 2018-03-20 2018-03-20 穿戴式裝置、腕錶及短距離通信的切換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531A KR20200068531A (ko) 2020-06-15
KR102196964B1 true KR102196964B1 (ko) 2020-12-31

Family

ID=6290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482A KR102196964B1 (ko) 2018-03-20 2018-12-10 웨어러블 디바이스, 손목 시계, 및 근거리 통신 스위치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294209A1 (ko)
EP (1) EP3543935A1 (ko)
JP (1) JP2019164741A (ko)
KR (1) KR102196964B1 (ko)
CN (1) CN110308766A (ko)
TW (1) TWI6798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7929B (zh) * 2020-07-21 2023-08-25 广东高驰运动科技股份有限公司 可穿戴设备及使用方法
CN117751365A (zh) * 2022-07-20 2024-03-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驱动电路、显示装置及驱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845B1 (ko) 2007-04-13 2008-06-03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비접촉식 카드
US20180077152A1 (en) * 2016-09-14 2018-03-15 David LIPOVKOV Virtual sim authent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5802A (en) * 1977-11-29 1981-03-10 Citizen Watch Company Limited Electronic timepiece
JPH0855200A (ja) * 1994-08-11 1996-02-27 N T T Data Tsushin Kk Icカ−ド
JP2011070321A (ja) * 2009-09-24 2011-04-07 Maxell Seiki Kk マルチアプリケーションicカード、およびicカード
CN103197529A (zh) * 2013-02-06 2013-07-10 方科峰 一种体感腕表及应用方法
US9001082B1 (en) * 2013-09-27 2015-04-07 Sensel, Inc. Touch sensor detector system and method
TW201528148A (zh) * 2014-01-06 2015-07-16 Pegatron Corp 穿戴式裝置及其操作方法
KR102177802B1 (ko) * 2014-05-28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심이 구비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4091188B (zh) * 2014-07-31 2017-06-2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穿戴式设备和智能卡系统
KR102287160B1 (ko) * 2014-07-31 2021-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60156603A1 (en) * 2014-11-28 2016-06-02 Craig Janik Low Power Secure User Identity Authentication Ring
US10372274B2 (en) * 2015-04-13 2019-08-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touch panel
KR20170026007A (ko) * 2015-08-31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스마트 워치 및 그의 운용방법
TWI581080B (zh) * 2016-01-12 2017-05-01 巨擘科技股份有限公司 智慧腕錶結構
KR102497528B1 (ko) * 2016-01-21 2023-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타입 단말기
CN205656623U (zh) * 2016-04-29 2016-10-19 华美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认证功能的穿戴式装置及其认证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845B1 (ko) 2007-04-13 2008-06-03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비접촉식 카드
US20180077152A1 (en) * 2016-09-14 2018-03-15 David LIPOVKOV Virtual sim authent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41549A (zh) 2019-10-16
TWI679856B (zh) 2019-12-11
CN110308766A (zh) 2019-10-08
KR20200068531A (ko) 2020-06-15
EP3543935A1 (en) 2019-09-25
JP2019164741A (ja) 2019-09-26
US20190294209A1 (en)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693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n basis of information of accessory device and accessory device related thereto
EP3242186B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rotating body
EP3340592B1 (en) Mobile terminal having card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30962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touch screen
KR20180010952A (ko) 압력 센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80016866A (ko) 와치타입 단말기
US10382128B2 (en) Mobile terminal
KR101994127B1 (ko) 웨어러블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196964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손목 시계, 및 근거리 통신 스위치 방법
KR20160100674A (ko) 전자 장치의 플립 커버 인식 방법, 전자 장치, 및 플립 커버
US20190265844A1 (en) User-worn device and touch-device for ultrasonic data transmission
US11138943B2 (en) Electronic cover,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654113B1 (en) Wristwatch and method for improving security in electronic payment for wristwatch
JP2018155727A (ja)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3313054B1 (en) System with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uxiliary device
KR20170000678A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스마트 홈 시스템의 제어방법
US10425241B2 (en) Electronic device, smart home system us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home system
EP3462631B1 (en) Wristwatch and method applicable to wristwatch for controlling magnitude of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ignals
US20190121948A1 (en) Wristwatch and method applicable to wristwatch for inputting password
KR20170000687A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스마트 홈 시스템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