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211B1 - 내융착성이 우수한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융착성이 우수한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211B1
KR102196211B1 KR1020190019865A KR20190019865A KR102196211B1 KR 102196211 B1 KR102196211 B1 KR 102196211B1 KR 1020190019865 A KR1020190019865 A KR 1020190019865A KR 20190019865 A KR20190019865 A KR 20190019865A KR 102196211 B1 KR102196211 B1 KR 102196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layer
plated steel
plating
hard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1690A (ko
Inventor
박경관
홍문희
박태열
한은수
김문기
Original Assignee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9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21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5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58Roll-force control; Roll-gap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8/00Alloys based on zinc
    • C22C18/04Alloys based on zinc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10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0/00Alloys containing less than 50% by weight of each constituent
    • C22C30/06Alloys containing less than 50% by weight of each constituent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12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내융착성이 우수한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소지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는 도금강판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의 표층부는 경질의 합금상들을 포함하고 1% 이상의 면적비를 갖는 0.1~100㎛ 두께의 합금층과, 잔여 연질의 도금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질의 합금상은 Al, Zn, Mg, Si, Fe 및 잔여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자체 중량%로, Al, Zn 및 Fe의 합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융착성이 우수한 열간 성형용 도금강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융착성이 우수한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Coated steel sheets with high fusion resistance and the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도금강판의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융착성이 우수한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융 도금법, 전기 도금법 등으로 제조되는 도금강판은 우수한 내식성을 바탕으로 건축 내외장재, 가전용 및 자동차용 강판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고합금강을 소재로 한 도금강판을 이용하여 열간 성형을 하면 비약적인 강도의 향상을 이룰 수 있어 차체나 구조부재로 그 사용량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700℃ 이상의 열간 성형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도금 성분이 용해되어 금형에 융착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며, 이는 금형의 손상, 성형품의 손상 및 도금층 소실에 따른 성형품의 내식성 저하, 주기적인 금형 청소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발명을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1-2에서는 도금강판 표면에 유기 수지를 도포하여 금형과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용접성이 저하하고, 유기 수지의 탈락에 의한 금형의 오염 및 제조 원가 상승의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8001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80012호
따라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도금강판에 별도의 유기 수지를 도포하지 않고도 내융착성이 우수한 도금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별도의 유기 수지를 도포하지 않고도 내융착성이 우수한 도금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지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는 도금강판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의 표층부는, 경질의 합금상들을 포함하고 1% 이상의 면적비를 갖는 0.1~100㎛ 두께의 경질의 합금층과 잔여 1% 미만(0% 포함)의 면적비를 갖는 연질의 도금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질의 합금상은 Al, Zn, Mg, Si, Fe 및 잔여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자체 중량%로, Al, Zn 및 Fe의 합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융착성이 우수한 열간 성형용 도금강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경질의 합금층은 15~100% 범위의 면적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질의 도금층은 Al, Zn, Mg, Si 및 잔여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Al과 Zn의 합이 자체 중량%로 60%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소지 강판을 도금 욕조에 장입하여 그 표면을 도금하는 공정; 및
상기 도금 욕조에서 배출되어 그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된 도금 강판을 조질압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조질 압연 공정에서 도금강판을 300~70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면서 10~50,000㎫의 압력으로 조질 압연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융착성이 우수한 열간성형용 도금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금층은 Al, Zn, Mg, Si 및 잔여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Al과 Zn의 합이 자체 중량%로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질압연된 도금강판의 도금층 표층부는,
경질의 합금상들을 포함하고 1% 이상의 면적비를 갖는 0.1~100㎛ 두께의 합금층과 잔여 1% 미만(0% 포함)의 면적비를 갖는 연질의 도금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질의 합금상은 Al, Zn, Mg, Si, Fe 및 잔여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자체 중량%로, Al, Zn 및 Fe의 합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질의 합금층은 15~100% 범위의 면적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금하는 공정은 상기 소지 강판을 용융도금욕조에 침지하여 그 표면에 용융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도금강판의 도금층 표층부에 Al, Zn, Mg, Si 및 Fe를 포함하고, 자체 중량%로, Al, Zn 및 Fe의 합이 70% 이상이고 0.1~100㎛의 두께를 갖는 경질의 합금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경질의 합금층이1% 이상의 면적비를 가질 수 있으므로 내융착성이 우수한 열간 성형용 도금강판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통상적인 조질압연을 거친 도금 강판의 도금층 단면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질압연을 거친 도금강판의 도금층 단면을 나타내는 그림으로서, (a)는 조질압연으로 도금층 표층부에 형성된 합금층 일부에 일부 도금층이 잔류하는 경우를, (b)는 도금층이 잔류하지 않고 모두 합금층으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도금강판의 도금층에 대한 실제 단면 사진으로서, (a)는 종래 통상적인 조질압연을 거친 도금 강판의 도금층 단면 사진을, (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질압연을 거친 도금강판의 도금층 단면 사진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종래 열간성형용 도금강판의 경우, 열간성형을 위해 고온으로 가열 시 도금층이 부분적으로 용해하여 열간 성형 시 금형에 부착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하였으며, 그 결과, 도금강판을 열간성형을 위해 고온으로 가열하기 이전에, 도금층의 표층부 조직을 고온에서 쉽게 용해되지 않은 경질의 합금층으로 제어함으로써 열간성형시 내융착성이 우수한 도금강판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융착성이 우수한 열간 성형용 도금강판은, 소지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는 도금강판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의 표층부는, 경질의 합금상들을 포함하고 1% 이상의 면적비를 갖는 0.1~100㎛ 두께의 합금층과 잔여 연질의 도금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조질압연을 거친 도금 강판의 도금층 단면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질압연을 거친 도금강판의 도금층 단면을 나타내는 그림으로서, (a)는 조질압연으로 도금층 표층부에 형성된 합금층 일부에 일부 도금층이 잔류하는 경우를, (b)는 도금층이 잔류하지 않고 모두 합금층으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도금강판의 경우, 소지강판(11)과 표층 도금층(15) 사이에 경질의 합금층(13)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경질의 합금층(13)은 도금층을 이루는 성분 금속과 소지 철 성분과의 반응 등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간화합물임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조질압연공정을 이용하는 도금 강판의 경우, 도 2(a-b)와 같이, 소지 강판(21)상에 경질의 합금층(23)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도금 강판의 도금층에 대한 실제 단면 사진으로서, (a)에 도 1에 대응하는 통상적인 조질압연을 거친 도금 강판의 도금층 단면 사진을, (b)는 도 2(b)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질압연을 거친 도금강판의 도금층 단면 사진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열간성형용 도금강판은 소지 강판(2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지 강판으로 탄소강 등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성분조성을 갖는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간성형용 도금강판은, 도 2(b)와 같이, 상기 소지 강판(21)의 도금층 표층부에 형성된 경질의 합금층(2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같이, 종래 소지 강판(11)과 도금층(15) 사이에 형성되는 합금층(13)을 열간 조질압연을 통하여 도금층 표면까지 미리 급속 성장시켜, 도 2(b)와 같이, 소지강판(21)의 도금층 표층부에 경질의 합금층(23)이 형성된 도금강판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열간 조질압연공정을 통하여 상기 도금층은 경질의 합금층으로 변하여, 이후, 700℃ 이상의 열간 성형 과정에서 도금층과 금형의 합금화 반응을 방지함으로써 내융착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금층의 표층부는, 도 2(a)와 같이, 경질의 합금상들을 포함하고 1% 이상의 면적비를 갖는 0.1~100㎛ 두께의 합금층과, 잔여 연질의 도금층(2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질의 합금층의 면적비가 1% 미만일 경우, 고온에서 금형과의 반응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합금층(23)의 두께가 0.1㎛ 미만일 경우 도금층의 확산을 억제하지 못하여 내융착성이 충분하지 못하며, 두께가 100㎛를 초과하면 열간조질압연을 실시하여도 도금층 표면까지 경질의 합금층(23)을 충분히 성장시킬 수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질의 합금층은 15~100% 범위의 면적비를 갖도록 제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질의 합금층이 100% 면적비를 가지는 것이다(모든 도금층이 합금층으로 변한 경우).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경질의 합금상은 Al, Zn, Mg, Si, Fe 및 잔여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자체 중량%로, Al, Zn 및 Fe의 합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Al, Zn 및 Fe의 합이 중량비 70% 미만인 경우 충분한 내식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고온의 성형 과정에서 도금층의 금속 기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금층의 표층부는, 도 2(a)와 같이, 합금층(23)과, 잔여 성분으로서 조질압연에도 불구하고 합금층으로 변하지 않은 연질의 도금층(2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금층(25)은 Al, Zn, Mg, Si,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Al과 Zn의 합이 자체 중량%로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소지강판 일면 뿐만 아니라 소지강판의 양면에 도금층이 형성된 도금강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융착성이 우수한 열간성형용 도금강판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간성형용 도금 강판 제조방법은, 소지 강판을 도금 욕조에 장입하여 그 표면을 도금하는 공정; 및 상기 도금 욕조에서 배출되어 그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된 도금 강판을 조질압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조질 압연 공정에서 도금강판을 300~70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면서 10~50,000㎫의 압력으로 조질 압연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융도금법을 이용한 도금강판 제조공정은 대략, 소지 강판의 전처리, 열처리, 도금, 열간조질압연, 형상교정, 후처리 등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지 강판을 도금조에 침지하여 도금을 행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 소지 강판의 표면을 세척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칠 수도 있으며, 이는 화학적, 물리적 또는 전기화학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처리된 소지 강판을 필요에 따라 가열하는 열처리공정을 행할 수도 있으며, 이는 강판에 사용 목적에 적합한 기계적 성질을 부여함과 아울러, 후속하는 용융도금공정에 용융상태의 도금물질과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여 균일한 도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처리 등이 된 소지강판을 도금조 등에 침지하여 소지 강판의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소지 강판의 표면에 도금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금하는 방법으로 용융도금법 또는 전기 도금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융도금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도금을 통하여 형성된 도금층은 Al, Zn, Mg, Si 및 잔여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Al과 Zn의 합이 자체 중량%로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Al과 Zn는 경질의 합금층의 주성분으로 그 합이 60% 미만이면 열간조질압연을 하여도 경질의 합금층을 충분히 형성하지 못하며, Al의 부동태피막과 Zn의 희생방식에 의한 내식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후,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금층이 형성된 도금강판을 열간 조질압연한다.
종래에는 도금조로부터 배출된 도금강판의 도금층의 표면사상 조정과 항복점연신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단순 조질압연을 실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에 더하여 경질의 합금층을 도금층의 표층으로 급속 성장시키기 위하여 조질압연장치에 가열장치를 추가하여 고온 및 고압으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간조질압연 온도 범우를 300~700℃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열간조질압연 온도가 300℃ 미만이면, 경질의 합금층을 충분히 성장시킬 수 없으며, 700℃를 초과하면 도금층이 조질압연롤과 융착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열장치를 이용한 가열방법으로서 직접 또는 간접 가열방식 등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특정한 가열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간조질압연 압력을 10~50,000㎫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열간조질압연 압력이 10㎫ 미만이면, 표면사상과 항복점연신을 충분히 제어할 수 없으며, 50,000㎫을 초과하면 가공경화가 발생하여 요구사양에 적합한 기계적성질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간 조질압연된 도금 강판의 도금층 표층부는, 경질의 합금상들을 포함하고 1% 이상의 면적비를 갖는 0.1~100㎛ 두께의 합금층과, 잔여 연질의 도금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질의 합금층은 15~100% 범위의 면적비를 갖도록 제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질의 합금층이 100% 면적비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질의 합금상은 Al, Zn, Mg, Si, Fe 및 잔여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자체 중량%로, Al, Zn 및 Fe의 합이 70%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속하여,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형상교정기를 이용하여 도금 강판의 반곡 등의 결함을 교정하는 형상교정 공정을 거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형상교정 공정 이후, 필요에 따라 도금 강판상에 일시방청제 등을 요구 사양에 맞게 도포할 수도 있으며, 이어,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생산된 도금 강판 제품을 포장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용융 도금 모사장치를 이용하여 두께가 1.0mm인 판재 형태의 강판을 각각 마련하였다. 상기와 같이 마련된 강판들을, Al, Zn, Mg 및 Si를 포함하고, Al+Zn의 자체 중량비(%)가 하기 표 1같이 제어된 용융도금조에 침지한 후, 꺼내어 그 표면에 용융도금층이 형성된 도금강판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각각의 도금강판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열간 조질압연하여 도금층 표층부에 경질의 합금층이 형성된 도금강판을 얻었다.
구분 Al+Zn 중량비(%) 열간조질압연 조건
온도(℃) 압력(㎫)
종래예 90 25 5,000
비교예1 90 400 5
비교예2 50 400 5,000
비교예3 50 750 60,000
발명예1 60 400 5,000
발명예2 99 600 40,000
이렇게 얻어진 도금강판의 내융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질 합금층의 면적비, 두께 및 금형과의 융착비를 모사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도금강판과 금형과의 융착비는 컵 형태의 소형 금형을 제작한 후, 도금강판의 열간 성형 전후 금형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화상 분석기를 이용하여 융착 부분의 발생 면적을 측정하였으며, 그 발생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5 : 융착비 5% 미만
4 : 융착비 5% 이상 10% 미만
3 : 융착비 10% 이상 25% 미만
2 : 융착비 25% 이상 50% 미만
1 : 융착비 50% 이상
또한 경질의 합금층의 면적비 및 두께는 도금강판의 표면 및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화상 분석기를 이용하여 합금층의 면적과 합금층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그 비율에 따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5 : 합금층 면적비 30% 이상
4 : 합금층 면적비 15% 이상 30% 미만
3 : 합금층 면적비 1% 이상 15% 미만
2 : 합금층 면적비 0.5% 이상 1% 미만
1 : 합금층 면적비 0.5% 미만
구분 Al+Zn+Fe 중량비% 합금층 면적비 합금층 두께(㎛) 융착비
종래예 91 1 0.051 2
비교예1 93 1 2.007 2
비교예2 59 2 3.368 3
비교예3 측정 불가 측정 불가 측정 불가 측정 불가
발명예1 73 4 24.116 4
발명예2 99 5 30.103 5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금층 성분과 열간조질압연 조건이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예 1-2는 도금층 표층부에 소정의 면적비와 두께를 갖는 경질층이 형성되어 내융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예에서 합금층 면적비가 15% 이상으로 종래예 대비 30배 이상 증가함에 따라 융착비도 10% 미만으로 감소되어 종래예 대비 우수한 내융착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종래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금하면 도금층의 Al, Zn의 합이 중량비 60% 이상인 경우에도 내융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경질 합금상이 도금층 표면에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는 도금층 성분, 열간조질압연 조건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 합금층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았으며, 비교예 3에서는 도금층의 기화 및 조질압연롤과의 반응이 급격하게 진행되어 경질상에 대한 측정자체가 불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소지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는 도금강판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의 표층부는, 경질의 합금상들을 포함하고 1% 이상의 면적비를 갖는 0.1~100㎛ 두께의 경질의 합금층과 잔여 1% 미만(0% 포함)의 면적비를 갖는 연질의 도금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질의 합금상은 Al, Zn, Mg, Si, Fe 및 잔여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자체 중량%로, Al, Zn 및 Fe의 합이 70% 이상(100% 제외)이며, 그리고
    상기 연질의 도금층은 Al, Zn, Mg, Si 및 잔여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Al과 Zn의 합이 자체 중량%로 60% 이상(100% 제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융착성이 우수한 열간 성형용 도금강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의 합금층은 15~100% 범위의 면적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융착성이 우수한 열간 성형용 도금강판.
  3. 삭제
  4. 소지 강판을 도금 욕조에 침지하여 그 표면을 도금하는 공정; 및
    상기 도금 욕조에서 배출되어 그 표면에, Al, Zn, Mg, Si 및 잔여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Al과 Zn의 합이 자체 중량%로 60% 이상(100% 제외)인 도금층이 형성된 도금 강판을 조질압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조질 압연 공정에서 도금강판을 300~70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면서 10~50,000㎫의 압력으로 열간 조질압연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융착성이 우수한 열간성형용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질압연된 도금강판의 도금층 표층부는,
    경질의 합금상들을 포함하고 1% 이상의 면적비를 갖는 0.1~100㎛ 두께의 경질의 합금층과 잔여 1% 미만(0% 포함)의 면적비를 갖는 연질의 도금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질의 합금상은 Al, Zn, Mg, Si, Fe 및 잔여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자체 중량%로, Al, Zn 및 Fe의 합이 70% 이상(100% 제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융착성이 우수한 열간성형용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의 합금층은 15~100% 범위의 면적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융착성이 우수한 열간성형용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하는 공정은 상기 소지 강판을 용융도금욕조에 침지하여 그 표면에 용융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융착성이 우수한 열간성형용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20190019865A 2019-02-20 2019-02-20 내융착성이 우수한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196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865A KR102196211B1 (ko) 2019-02-20 2019-02-20 내융착성이 우수한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865A KR102196211B1 (ko) 2019-02-20 2019-02-20 내융착성이 우수한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90A KR20200101690A (ko) 2020-08-28
KR102196211B1 true KR102196211B1 (ko) 2020-12-30

Family

ID=7226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865A KR102196211B1 (ko) 2019-02-20 2019-02-20 내융착성이 우수한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2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509B1 (ko) 2014-12-24 2015-11-17 주식회사 포스코 프레스성형시 내파우더링성이 우수한 hpf 성형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4230B1 (ko) 2011-09-30 2016-04-20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베이킹 경화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고강도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것들의 제조 방법
KR101677390B1 (ko) 2015-09-23 2016-11-18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 및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금강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7837A1 (ja) 2011-08-24 2013-02-2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塗装めっき鋼材
KR20140053277A (ko) 2011-08-24 2014-05-07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표면 처리 용융 도금 강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230B1 (ko) 2011-09-30 2016-04-20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베이킹 경화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고강도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것들의 제조 방법
KR101569509B1 (ko) 2014-12-24 2015-11-17 주식회사 포스코 프레스성형시 내파우더링성이 우수한 hpf 성형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7390B1 (ko) 2015-09-23 2016-11-18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 및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금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90A (ko)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4096B (zh) 用于热压成型的镀铝铁合金钢板、利用其的热压成型部件以及它们的制造方法
KR101858868B1 (ko) 충격특성이 우수한 열간성형용 도금강판, 열간성형 부재 및 그들의 제조방법
EP2578718B1 (en) High-strength molten-zinc-pl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bendability and weldability,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101886611B1 (ko) 희생 음극 보호부를 구비하는 코팅이 제공된 스틸 시트, 그러한 시트를 사용한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완성된 부품
WO2012121399A1 (ja) 熱間プレス用鋼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間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KR102010048B1 (ko) 도장 밀착성과 도장 후 내식성이 우수한 열간 프레스 성형 부재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21021145A (ja) オーステナイト微細構造を有するtwip鋼板の製造方法
KR102280093B1 (ko) 내식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열간 프레스용 알루미늄-철계 도금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7017905A1 (ja) 熱間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JP3872426B2 (ja) 熱間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該鋼板を用いた熱間プレス成形部材の製法並びに高強度かつめっき外観に優れた熱間プレス成形部材
KR102196211B1 (ko) 내융착성이 우수한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949680B2 (ja) 熱間プレス部材の製造方法
KR20190077928A (ko) 내식성이 향상된 고내식 철-알루미늄계 합금도금강판,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열간 프레스 성형 부재
KR102363286B1 (ko) 광반사율이 우수한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06681B1 (ko) 마그네슘 판재 및 제조방법
US20220064774A1 (en) Pl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usion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230012544A1 (en) Aluminum alloy-pl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388565B1 (ko) 표면 스팽글 패턴이 형성된 내식성이 우수한 Zn-Mg-Al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60526B1 (ko) 내공식성이 우수한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5168881A (ja) 熱間プレス用鋼板
JP2021500474A (ja) 被覆鋼板の製造方法
KR102031464B1 (ko)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강판과 이를 이용한 열간 프레스 성형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560915B1 (ko) 표면크랙 발생이 억제된 열간프레스용 아연도금강판,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열간프레스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434611B1 (ko) 용접액화취성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26111B1 (ko) 금형 내마모성이 우수한 열간 프레스용 알루미늄-철계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