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824B1 -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 렌티큘러 광고판 - Google Patents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 렌티큘러 광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824B1
KR102195824B1 KR1020180138815A KR20180138815A KR102195824B1 KR 102195824 B1 KR102195824 B1 KR 102195824B1 KR 1020180138815 A KR1020180138815 A KR 1020180138815A KR 20180138815 A KR20180138815 A KR 20180138815A KR 102195824 B1 KR102195824 B1 KR 10219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enticular
image sheet
roll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304A (ko
Inventor
최문성
Original Assignee
최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성 filed Critical 최문성
Priority to KR102018013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8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chains, or the like
    • G09F11/1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chains, or the like the elements being flexible she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moving optical part of parts, e.g. mirr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4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ight sources co-operating with movable members, e.g. with shutters to cover or uncover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86Special effects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시트의 교체만으로도 광고 교체가 가능하며, 하나의 광고판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렌티큘러 광고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러 광고판은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광고패널본체와, 상기 광고패널본체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렌티큘러 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렌티큘러판과, 상기 광고패널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와, 이미지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의 회전시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상기 롤러에 설치되며, 상기 렌티큘러판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이미지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이미지 시트가 움직임에 따라, 상기 렌티큘러판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이미지 패턴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 렌티큘러 광고판{Lenticular advertisement panel of changing image}
본 발명은 렌티큘러 광고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이미지를 광고할 수 있는 렌티큘러 광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를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광고판은 벽면고정형, 지주형 등 다양한 실내, 옥외광고물이 있다. 이러한 광고판은 특정 광고 이미지를 기재하여 사람들의 통행이 많은 장소나, 대중교통 시설, 음식점, 패스트푸드점 등 다양한 점포 등에 다수 설치된다.
입체 효과를 위하여, 이미지가 변화하는 동적 이미지 또는 3차원 광고판은 렌티큘러 렌즈 또는 패럴렉스 배리어를 이용한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렌티큘러 입체 효과를 이용한 광고판은 3차원 입체 효과를 이용해서 간판에 쓰여지는 글씨나, 광고의 그림들을 돌출과 들어감의 3차원 입체 효과를 적용해서 입체감과 존재감 등을 크게 나타내고, 그 효과를 적용함으로써 소비자들로 하여금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고 관심을 크게 유발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렌티큘러 광고판(100)은 띠 형태의 볼록렌즈가 평행하게 복수 개로 마련된 렌티큘러 렌즈층(110), 이미지 시트(130) 및 이미지 시트와 렌티큘러 렌즈와의 촛점을 맞추기 위한 투명판층(120)을 포함한다.
이미지 시트(130)는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가 잘게 쪼개어져, 제 1 이미지 부분(131)과 제 2 이미지 부분(132)이 교차하여 나란히 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좌우측 눈에 서로 다른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는 영상에 거리감과 입체감이 느껴져 좌우측 눈의 이동에 따른 각도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가 보여지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렌티큘러 광고판은 일체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1회용 광고판에 한정된다는 문제점과, 다양한 이미지를 통해 광고를 하지 못하고 오로지 1개의 동일 이미지만을 소비자에게 보여줄 수 밖에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0-0049700A (2000.08.05)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 시트의 교체만으로도 광고 교체가 가능하며, 하나의 광고판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렌티큘러 광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러 광고판은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광고패널본체과, 상기 광고패널본체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렌티큘러 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렌티큘러판과, 상기 광고패널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와, 이미지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의 회전시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상기 롤러에 설치되며, 상기 렌티큘러판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이미지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이미지 시트가 움직임에 따라, 상기 렌티큘러판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이미지 패턴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광고패널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시트는 양 끝단부가 서로 연결된 폐곡선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부재를 함께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롤러의 회전시 상기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순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시트는, 상기 이미지 패턴이 형성되지 않으며 신축성을 가지는 탄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이미지 시트가 상기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영역의 신축성에 의해 상기 이미지 시트가 상기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시트가 순환되는 과정 중 상기 이미지 시트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이미지 시트의 이미지 패턴이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렌티큘러판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롤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상기 광고패널본체의 내부에 상기 렌티큘러판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카메라이며, 상기 카메라는 순환되는 이미지 시트의 후면에 인쇄된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시트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광고판으로 여러가지 이미지를 통해 다양한 광고를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렌티큘러 광고판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러 광고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러 광고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러 광고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이미지 시트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러 광고판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러 광고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러 광고판(200)은 광고패널본체(210)와, 렌티큘러판(220)과, 롤러(230)와, 이미지 시트(240)를 포함한다.
광고패널본체(210)는 유동 인구가 많은 장소, 예를 들어 지하철 역의 벽면이나 스크린 도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광고패널본체(210)의 전면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후술하는 롤러(230) 및 이미지 시트(240)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패널본체의 전면부에는 후술하는 렌티큘러판(220)을 삽입하기 위한 두 개의 슬릿(211)이 형성된다. 이러한, 광고패널본체(21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단단한 재질이면 그 ㅈ제한은 없다.
렌티큘러판(220)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렌티큘러 렌즈가 마련되어 있다. 렌티큘러판(220)은 광고패널본체의 슬릿(211)에 삽입되어 광고패널본체의 전면부을 막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렌티큘러판(220)이 슬릿(211)에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렌즈 초점 거리, 색감, 디자인 등의 변경이 필요하거나 렌티큘러판이 파손된 경우 용이하게 렌티큘러판을 교체할 수 있다.
롤러(230)는 이미지 시트(240)를 감아서 이동시키거나 순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롤러(230)가 광고패널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각 롤러(230)는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롤러(230)는 수평바(231)에 연결되고, 이 수평바(231)는 리프트바(232)에 연결된다. 리프트바(232)는 수평바(231)를 승강시키고, 이에 따라 한 쌍의 롤러(230)는 렌티큘러판(220)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가능하다.
리프트바(232)는 결국 이미지 시트(240)를 렌티큘러판(220)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렌티큘러판(220)의 종류에 따라 촛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롤러(230)와 리프트바(232)는 정밀하게 움직임이 제어되어야 하므로, 스테핑 모터와 같은 정밀제어가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지 시트(240)는 광고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표시된 것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이미지 시트(240)는 롤러(230)에 감길 수 있는 형태, 예를 들어 시트지,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지 시트(240)의 양단부는 롤러(230)에 연결되며,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일측 롤러에서 타측 롤러로 감기면서 이동된다.
한편, 렌티큘러 광고판(200)은 광고패널본체의 내부에 라이트 또는 백라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스피커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롤러, 리프트바, 라이트, 스피커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렌티큘러 광고판에 있어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롤러(230)를 회전시키면 이미지 시트(240)가 움직이고, 이에 따라 렌티큘러판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광고 이미지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롤러를 렌티큘러판의 길이만큼씩 회전시키면, 외부로 노출되는 이미지가 전혀 다른 이미지로 변경되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일정 시간마다 새로운 광고를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광고판을 통해 여러 가지 광고를 할 수 있다.
시간 간격 및 이미지 시트의 길이는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사용자가 미리 설정이 가능함),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시트에서 하나의 광고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에는 제어부가 식별할 만한 식별자가 구비되어, 제어부가 광고의 개별 길이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동일 제품의 광고라고 하더라도, 복수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해당 제품이 가지는 여러가지 특징 또는 스토리를 홍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자들에서 보다 더 효율적으로 광고효과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이미지 시트가 움직이는 동안(즉, 광고 이미지가 바뀌고 있는 동안)에는 라이트 또는 백라이트를 구동하여 조명효과를 줄 수 있다. 부연하면, 이미지 시트가 움직이면서 광고가 변경되는 과정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사람들이 보기에 다소 좋지 않아 보일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조명효과를 줌으로써 외부에서 이미지가 변경되는 과정이 잘 보이지 않게 할 수도 있고, 사람들의 시선을 조명효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러 광고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4개의 롤러(330)가 광고패널본체(310)에 설치된다. 이때, 4개의 롤러(330)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롤러는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나머지 롤러는 모터에 연결되지 않고 회전 가능한 상태로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4개의 롤러를 모터에 의해 모두 구동하는 것보다 전력 소모를 줄일 수가 있다. 이미지 시트(340)는 양단부가 서로 연결된 폐곡선 형태를 가지며, 4개의 롤러(33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미지 시트(340)가 설치되면, 롤러의 회전시 이미지 시트(340)가 정해진 경로, 즉 4개의 롤러(330)를 감싸는 경로를 따라 순환하면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이미지가 변경된다.
한편, 만약 이미지 시트(340)를 도 3과 같이 설치하였을 때, 이미지 시트가 롤러(330)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다면 롤러와 이미지 시트 사이에 슬립이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롤러가 회전하더라도 이미지 시트는 이에 연동하지 움직이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시트(340)를 이미지가 인쇄되는 영역(341)과, 이미지는 인쇄되지 않고 신축성을 가지는 탄성 영역(342)으로 구성한다. 참고로, 도 5에서 탄성 영역(342)의 우측 단부를 이미지가 인쇄된 영역(341)의 좌측 단부와 연결하면 폐곡선 형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미지 시트(340)를 구성하면, 이미지 시트가 롤러에 설치된 상태에서 탄성 영역(342)의 신축성 때문에 이미지 시트(340)가 롤러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고, 따라서 롤러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미지 시트를 안정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참고로, 이미지 시트 전체를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하면, 신축에 따라 이미지 자체가 변형될 우려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이미지가 인쇄되지 않는 일부 영역만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미지 시트와 롤러와의 슬립을 더욱더 방직하기 위해서는, 롤러의 표면을 고무 등과 같이 이미지 시트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는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 역시,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이미지를 변경하면서 다양한 광고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도 2의 실시예의 경우 이미지 시트(240)가 롤러(230)에 감기기 때문에, 인쇄된 이미지에 마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미지 시트(240)를 한번 다 한쪽 롤러에 감으면, 이미지 시트(240)를 다시 반대쪽 롤러로 감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시트(340)가 순환하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이미지가 마모될 우려도 없고, 연속적으로 이미지 시트를 순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러 광고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러 광고판(400)은 앞선 도 3과 대비할 때 가이드 부재(45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450)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광고패널본체(410)의 내부에 복수로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 부재(450)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으나,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만약 가이드 부재(450)가 고정된 형태라면, 가이드 부재(450)에 의해 이미지 시트(440)가 마모되지 않도록, 가이드 부재(450)의 표면은 이미지 시트(440)와의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매끄럽게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미지 시트는 롤러와 가이드 부재를 함께 감싸도록 설치된다. 그러면, 도 3과 도 4를 비교하면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듯이, 이미지 시트가 순환하는 경로의 길이(즉, 이미지 시트의 길이)를 획기적으로 더 길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미지 시트에 더 많은 수의 광고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설명을 위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롤러들(330, 430)은 도 2의 롤러들(230)과 같이 수평바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이미지 시트를 순환시킬 때, 기본적으로는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이미지 시트의 이동길이가 결정되므로, 이를 계산하여 원하는 광고 이미지를 렌티큘러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시트를 반복하여 순환시키다 보면, 롤러와 이미지 시트 사이에 일부 슬립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슬립이 누적되다 보면 이미지 시트가 실제로 이동된 거리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렌티큘러 광고판은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이미지 시트가 움직일 때, 이미지 시트의 위치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미지 시트를 순환시켜서 광고 이미지를 바꿀 때에는, 각 광고 이미지를 정확한 위치(즉, 렌티큘러판에 대응되는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 이미지 시트의 위치(보다 정확하게는, 이미지 시트에 인쇄된 이미지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센서부의 기능이다.
센서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카메라가 센서부로 채용될 수 있다. 카메라는 광고패널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렌티큘러판 쪽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미지 시트의 후면(즉, 이미지가 인쇄된 면의 반대면)에는 숫자나 도형 등과 같은 사전에 정해진 정보가 인쇄된다. 이 상태에서, 이미지 시트가 순환할 때 카메라는 이미지 시트의 후면에 인쇄된 숫자나 도형 등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이미지 시트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어부가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면, 이미지 시트의 순환시 원하는 이미지를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200, 300, 400...렌티큘러 광고판
210, 310, 410...광고패널본체
220, 320, 420...렌티큘러판
230, 330, 430...롤러
240, 340, 440...이미지 시트
450...가이드 부재

Claims (5)

  1.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광고패널본체;
    상기 광고패널본체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렌티큘러 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렌티큘러판;
    상기 광고패널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 및
    이미지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의 회전시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상기 롤러에 설치되며, 상기 렌티큘러판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이미지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이미지 시트가 움직임에 따라, 상기 렌티큘러판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이미지 패턴이 변경되고,
    상기 광고패널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시트는 양 끝단부가 서로 연결된 폐곡선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롤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함께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롤러의 회전시 상기 롤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순환되고,
    상기 이미지 시트는, 상기 이미지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영역과 상기 이미지 패턴이 형성되지 않으며 신축성을 가지는 탄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이미지 시트가 상기 롤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영역의 신축성에 의해 상기 이미지 시트가 상기 롤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 렌티큘러 광고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시트가 순환되는 과정 중 상기 이미지 시트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이미지 시트의 이미지 패턴이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렌티큘러판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롤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 렌티큘러 광고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광고패널본체의 내부에 상기 렌티큘러판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카메라이며,
    상기 카메라는 순환되는 이미지 시트의 후면에 인쇄된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시트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 렌티큘러 광고판.
KR1020180138815A 2018-11-13 2018-11-13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 렌티큘러 광고판 KR102195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15A KR102195824B1 (ko) 2018-11-13 2018-11-13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 렌티큘러 광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15A KR102195824B1 (ko) 2018-11-13 2018-11-13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 렌티큘러 광고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304A KR20200055304A (ko) 2020-05-21
KR102195824B1 true KR102195824B1 (ko) 2020-12-28

Family

ID=7091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815A KR102195824B1 (ko) 2018-11-13 2018-11-13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 렌티큘러 광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180B1 (ko) * 2020-08-19 2021-12-23 김종식 렌티큘러를 이용한 다중 표시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795B2 (ja) * 1991-07-09 2000-09-04 東陶機器株式会社 浴槽水浄化装置
JP2007132959A (ja) * 2005-10-13 2007-05-31 Goto Ikueikai 画像表示装置
JP2016046645A (ja) * 2014-08-21 2016-04-04 日本放送協会 立体映像表示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位置ずれ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974B1 (ko) 2000-04-24 2002-11-07 주식회사 케이쓰리디닷컴 렌티큘러의 입체 효과를 이용한 광고판
JP3084795U (ja) * 2001-09-19 2002-03-29 ネット株式会社 立体広告表示装置
KR200470350Y1 (ko) * 2012-04-17 2013-12-11 정인철 벽보형 선거 광고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795B2 (ja) * 1991-07-09 2000-09-04 東陶機器株式会社 浴槽水浄化装置
JP2007132959A (ja) * 2005-10-13 2007-05-31 Goto Ikueikai 画像表示装置
JP2016046645A (ja) * 2014-08-21 2016-04-04 日本放送協会 立体映像表示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位置ずれ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304A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2738B2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US8943725B2 (en) Equipment for displaying information carriers, especially for advertising purposes
ES2626600T3 (es)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de medios gráficos y método su uso
US20190113783A1 (en) Viewing angle control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WO2009133503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window
US20060218829A1 (en) Moving-loop advertisement device with self stopping and smoothing elements
KR102195824B1 (ko)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 렌티큘러 광고판
KR101112013B1 (ko) 멀티이미지를 제공하는 회전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0788B1 (ko) 기포 발생 및 응결 현상을 이용하여 광고 효과를 높이는 렌티큘러 광고판
US20080151369A1 (en) Lenticular display with a three dimensional optical mat
KR20170059200A (ko) 모션 사인보드
US20060150452A1 (en) Multilayer three-dimensional display
KR101196899B1 (ko) 회전식 광고장치
US20040231206A1 (en) Display unit
KR100648150B1 (ko) 회전식 광고필름이 내장된 광고장치
KR100793812B1 (ko) 렌티큘러시트 또는 패럴렉스 베리어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070043132A (ko) 2차원 및 3차원 전환용 렌즈 어레이 및 그 구동 방법과,그를 이용한 표시 시스템
WO2014168496A1 (en) Sheets display case producing images appearing as 3-d to the viewer
JP4762534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KR100366365B1 (ko) 다중입체영상표시장치
US3603679A (en) Progressively illuminated signs
KR200183284Y1 (ko) 다중입체영상표시장치
KR102243252B1 (ko) 멀티 라인 광고판
KR20040040811A (ko) 광고내용의 변화가 가능한 광고판
KR100411628B1 (ko) 디스플레이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