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812B1 - 렌티큘러시트 또는 패럴렉스 베리어를 이용한 광고장치 - Google Patents

렌티큘러시트 또는 패럴렉스 베리어를 이용한 광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812B1
KR100793812B1 KR1020070099832A KR20070099832A KR100793812B1 KR 100793812 B1 KR100793812 B1 KR 100793812B1 KR 1020070099832 A KR1020070099832 A KR 1020070099832A KR 20070099832 A KR20070099832 A KR 20070099832A KR 100793812 B1 KR100793812 B1 KR 100793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ing
assembly
lenticular sheet
outer frame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렬
길상태
Original Assignee
이성렬
길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렬, 길상태 filed Critical 이성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4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displaying different signs depending upon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티큘러시트 또는 패럴렉스 베리어를 이용한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물이 담긴 필름에 대한 눈의 초점을 렌티큘러시트 밖에 맺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필름을 렌티큘러시트의 볼록 렌즈와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상기 필름이 움직이더라도 렌티큘러시트와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렌티큘러시트 및 패럴렉스 베리어를 이용한 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외부프레임으로 둘러싸이며 일면과 타면이 각각 볼록렌즈와 평면으로 이루어진 렌티큘러시트와, 상기 렌티큘러시트를 통해 표시되는 광고물이 설치된 광고조립체와, 상기 광고조립체를 움직이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광고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고조립체는 광고물이 렌티큘러시트의 볼록렌즈 전체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광고조립체의 후면에 배치되며,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편심회전되는 회전체와, 일단부는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회전체의 편심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고 타단부는 상기 광고조립체에 연결된 링커를 포함하고, 외부프레임과 광고조립체에는 이 광고조립체와 렌티큘러시트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절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광고조립체의 전면과 마주하게 설치된 제1자석부재와 광고조립체의 측면과 마주하게 설치된 제1베어링부는 외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부재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베어링부와 상기 제1베어링부에 접촉되는 제2자석부재는 광고조립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장치를 제공한다.
광고장치, 렌티큘러시트, 구동장치, 간격조절장치

Description

렌티큘러시트 또는 패럴렉스 베리어를 이용한 광고장치{advertising apparatus using lenticular or parallax barrier}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광고장치에 설치된 렌티큘러시트 및 렌티큘러시트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에 설치된 렌티큘러시트 및 렌티큘러시트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6a는 도 5의 구동장치 중 회전체와 링커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6b는 도 6a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7a는 도 6a의 구동장치 중 회전체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b는 도 7a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광고장치 중 구동장치의 회전체 위치가 이동되기 전,후를 나타낸 구동장치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간격조절장치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간격조절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이탈방지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외부프레임 11 : 전면프레임
11a,11b : 설치부재 13 : 절곡프레임
15 : 고정브라켓 16 : 초점조절부
17 : 제1자석부재 18 : 제1베어링부
18a : 베어링 18b : 몸체
19 : 위치조절나사 20 : 간격조절장치
30 : 렌티큘러시트 40 : 이탈방지장치
41 : 회전바 41a : 스프링 고정부재
43 : 스프링 50 : 광고조립체
51 : 제2자석부재 52 : 제2베어링부
52a : 몸체 52b : 슬라이더
52c : 제2베어링 53 : 필름
55 : 필름 프레임 60 : 탄성부재
70 : 구동장치 71 : 모터
71a : 모터풀리 73 : 회전체
73a : 회전풀리 74 : 회전축
75 : 링커 75a : 지지축
76 : 벨트 77 : 가변부재
78 : 고정부재
본 발명은 렌티큘러시트 또는 패럴렉스 베리어를 이용한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물의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킨 렌티큘러시트 또는 패럴렉스 베리어를 이용한 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고라 함은 기업이나 개인 또는 단체가 상품, 서비스, 이념 등을 세상에 알려 소기의 목적을 거두기 위해 투자하는 정보활동의 일종으로서, 글, 그림, 음성 등 시청각 매체를 포함한다.
이 중, 기업을 홍보하기 위한 상업광고는 기업의 신상품 또는 이미지 등을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이러한 방법은 텔레비젼이나 라디오 등 매스컴을 통해 알리는 방법, 인터넷을 통해 알리는 방법, 그리고 공공장소에 광고판을 설치하여 알리는 방법 등이 있다.
이때, 광고판을 설치하여 알리는 것에는 배너 거치대, 롤 스크린,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광고장치 등이 있다.
이 중,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광고장치의 원리 대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렌티큘러시트(1)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반원주형(伴圓柱形)의 렌즈가 다수 평행하게 배열된 것으로서, 입체사진 인쇄, 입체사진 영상 표시 등에 사용된다.
재료는 보통염화비닐, 아크릴 수지 등의 박판이며, 금형으로 성형된다.
상기 렌티큘러시트(1)를 이용한 광고의 원리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눈으로 본 물체의 상을 1장의 렌티큘러시트(1)에 기록, 인쇄하고 이를 두 눈으로 보면 물체가 공간에 떠 보인다.
즉, 좌,우의 눈을 움직였을 때 보이는 조금씩 다른 물체 상을 눈의 움직임에 대응해서 물체 상의 위치를 약간씩 어긋나게 하여 다수 기록해 두면 보다 현실에 가까운 입체감이 얻어지는 것이다.
특히, 움직이는 물체 상을 각 순간마다의 정지(靜止) 상(像)으로 하여 이를 차례로 기록하면 좌,우로 눈을 움직이는데 따라 동화(動畵)를 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렌티큘러시트(1)의 후면(반원주형의 렌즈 반대면)에 알리고자 할 광고물, 예컨대, 제품의 사진이나 모델의 사진 등이 실린 필름(2)을 접착하고, 이를 심미감을 주는 프레임에 끼워 광고를 하는 것이다.
이때, 광고의 효과를 더하기 위해서는 렌티큘러시트(1)의 후면에 조명(3)을 설치하고 이 조명(3)으로부터 빛을 조사하여 광고물의 영상미를 극대화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광고는, 단순하고 정형화된 그림 또는 문구만이 지속적으로 표시되는 단순한 광고판에 비해 사람이 이동하면서 광고판을 보는 각도에 따라 광고판으로부터 표시되는 광고물의 형상이 달라짐으로써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호기심이 높아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렌티큘러시트(1)를 이용한 광고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상기한 바와 같이 렌티큘러시트(1)의 후면에 필름(2)이 접착된 광고장치는 사람이 움직이면서 광고물을 보는 눈의 각도를 달리할 때, 그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즉, 제자리에 서서 광고물을 볼 때에는 광고장치의 렌티큘러시트(1)를 이용한 효과가 낮아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광고장치에 구동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렌티큘러시트(1)를 움직이게 하면, 사람이 제자리에 있더라도 광고물의 입체감이나 광고물의 동화 느낌을 가질 수는 있지만, 렌티큘러시트(1) 자체가 움직이게 됨으로써, 미관상 더욱 산만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둘째, 렌티큘러시트(1)의 후면에 필름(2)을 접착하지 않고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필름(2)만을 움직이게 하면, 렌티큘러시트(1)의 움직임 없이도 광고물의 입체 감을 느끼게 할 수는 있지만, 렌티큘러시트(1)를 통한 눈의 초점은 렌티큘러시트(1)의 후면에 맺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름(2)은 렌티큘러시트(1)의 후면에 밀착될 수밖에 없게 된다.
즉, 필름(2)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렌티큘러시트(1)의 후면과 마찰되어 필름(2)에 스크래치 등의 흠집이 발생 되었던 것이다.
셋째,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광고장치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그 크기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렌티큘러시트(1)의 크기와 필름(2)의 크기는 커질수록 마찰되는 부분이 더 많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렌티큘러시트(1)를 통해 필름(2)에 맺히는 눈의 초점이 필름(2)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맺히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광고물의 효과가 최대화되기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광고물이 담긴 이미지물에 대한 눈의 초점을 렌티큘러시트 밖에 맺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물을 렌티큘러시트의 볼록 렌즈와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상기 이미지물이 움직이더라도 렌티큘러시트와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광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외부프레임으로 둘러싸이며 일면과 타면이 각각 볼록렌즈와 평면으로 이루어진 렌티큘러시트와, 상기 렌티 큘러시트를 통해 표시되는 광고물이 설치된 광고조립체와, 상기 광고조립체를 움직이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광고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고조립체는 광고물이 렌티큘러시트의 볼록렌즈 전체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광고조립체의 후면에 배치되며,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편심회전되는 회전체와, 일단부는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회전체의 편심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고 타단부는 상기 광고조립체에 연결된 링커를 포함하고, 외부프레임과 광고조립체에는 이 광고조립체와 투명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절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광고조립체의 전면과 마주하게 설치된 제1자석부재와 광고조립체의 측면과 마주하게 설치된 제1베어링부는 외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부재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베어링부와 상기 제1베어링부에 접촉되는 제2자석부재는 광고조립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광고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외부프레임으로 둘러싸이며, 일면에는 불투명재료의 선이 상,하로 반복적으로 인쇄된 베리어층을 포함하는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을 통해 표시되는 광고물이 설치된 광고조립체와, 상기 광고조립체를 움직이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광고장치에 있어서,상기 광고조립체는 투명판의 후방에 배치되고,상기 구동장치는 광고조립체의 후면에 배치되며,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편심회전되는 회전체와, 일단부는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회전체의 편심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고 타단부는 상기 광고조립체에 연결된 링커를 포함하고,외부프레임과 광고조립체에는 이 광고 조립체와 렌티큘러시트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절장치가 더 설치되되,상기 간격조절장치는 광고조립체의 전면과 마주하게 설치된 제1자석부재와 광고조립체의 측면과 마주하게 설치된 제1베어링부는 외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부재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베어링부와 상기 제1베어링부에 접촉되는 제2자석부재는 광고조립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럴렉스 베리어를 이용한 광고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광고조립체는 외부프레임에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에는 광고조립체가 외부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외부프레임에 일단부가 축 결합된 회전바와, 이 회전바의 타단부와 외부프레임을 연결시킨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의 측면에는 이 외부프레임의 측면을 관통하여 광고조립체의 측면을 지지하는 나사 형태의 초점조절부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일측에 설치된 고정부재와, 회전체가 설치되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구동장치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가변부재를 관통하여 나사결합시킨 조절나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사의 회전에 따라 가변부재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고조립체는 빛이 투과되는 재질의 부착판과, 이 부착판에 접착되며 광고물이 인쇄된 이미지물과, 상기 부착판이 편평하게 유지되도록 부착판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알미늄 재질의 필름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광고장치는 외부프레임(10)과, 렌티큘러시트(30)와, 광고조립체(50)와, 구동장치(70)와, 케이스(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프레임(10)은 광고장치의 전면을 구성하며, 렌티큘러시트(30)의 테두리를 둘러싼다.
상기 외부프레임(10)은 사각형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렌티큘러시트(30)가 외부로 보여질 수 있도록 중앙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즉, 이 개구부에 렌티큘러시트(30)가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10)은 단면의 형상이 'ㄱ'자 형태로 절곡되게 구성된다. 이때, 전면을 향한 부위는 전면프레임(11)이라 하며 전면프레임(11)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된 부위는 절곡프레임(13)이라 한다.
이때, 절곡프레임(13)의 상부 내측에는 고정브라켓(15)이 설치된다. 이 고정브라켓(15)은 구동장치(70)를 외부프레임(10)에 결합시키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때, 고정브라켓(15)에는 구동장치(70)의 위치를 가변하는 위치조절나사(19)가 설치되며, 이 위치조절나사(19)의 손잡이는 절곡프레임(13)의 상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절곡프레임(13)의 측면에는 나사 형태로 이루어진 초점조절부(16)가 구비되는데, 이 초점조절부(16)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외부프레임(10)의 내측에는 간격조절장치(20)와 이탈방지장치(40)와 탄성부재(60)가 설치된다.
간격조절장치(20)는 렌티큘러시트(30)를 통해 렌티큘러시트(30)의 외부에 맺힌 초점을 광고조립체(50)에 맞추기 위해 이 광고조립체(50)와 외부프레임(10)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부재와 베어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자석부재와 베어링부는 광고조립체(50)에도 설치되는데 상호간에 구분될 수 있도록 외부프레임(10)에 설치된 자석부재와 베어링부는 제1자석부재(17)와 제1베어링부(18)라 하며, 광고조립체(50)에 설치된 자석부재와 베어링부는 제2자석부재(51)와 제2베어링부(52)라 한다.
상기 제1자석부재(17)는 전면프레임(11)의 내측에 설치되고, 제1베어링부(18)는 절곡프레임(13) 중 외부프레임(10)의 측면을 구성하는 절곡프레임(13)의 내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자석부재(17)와 제1베어링부(18)는 외부프레임(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호간에 수직인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제1베어링부(18)는 베어링(18a)과 이 베어링(18a)을 지지하는 몸체(18b)를 포함한다.
몸체(18b)는 절곡프레임(13)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몸체(18b)의 단부는 광고조립체(50)의 제2자석부재(51)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다.
이때, 베어링(18a)은 절곡된 몸체(18b)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2자석부재(51)와 제2베어링부(52)는 상기 제1자석부재(17)와 제1베어링부(18)에 대응되며 광고조립체(5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제2자석부재(51)는 제1자석부재(17)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베어링부(52)는 슬라이딩홈(G)이 형성된 몸체(52a)와 이 몸체(52a)의 술라이딩홈(G)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52c)와 이 슬라이더(52b)의 단부에 설치된 베어링(52c)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52b)는 슬라이딩홈(G)에서 슬라이딩 되어 위치가 결정된 후 볼트(B)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베어링부(18)의 베어링(18a)은 제2자석부재(51)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구르게 되며, 제2베어링부(52)의 베어링(52c)은 제1자석부재(17)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구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탈방지장치(40)는 광고조립체(50)가 외부프레임(10)에 설치되었을 때, 이 광고조립체(50)를 외부프레임(10)에 구속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간격조절장치(20)와는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이탈방지장치(40)는 광고조립체(50)의 후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회전바(41)와, 이 회전바(41)의 회전력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3)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바(41)의 일단부는 전면프레임(11)의 내측에 축 결합되고, 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 된다. 이때, 회전바(41)는 전면프레임(11)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설치부재(11a)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전면프레임(11)에 별도의 설치부재(11a)가 결합되고, 회전바(41)의 일단부는 이 설치부재(11a)에 결합 되는 것이다.
이때, 타단부에는 스프링(43)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스프링 고정부재(41a)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43)은 상기 회전바(41)의 회전력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광고조립체(50)에 대한 회전바(41)의 구속 및 해제가 견고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스프링(43)의 타단은 전면프레임(11)의 내측에 연결되되, 회전바(41)와 마찬가지로 별도로 설치된 설치부재(11b)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이와 같은 이탈방지장치(40)는 회전바(41)가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임계점을 넘으면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41)가 쉽게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장치(40) 역시 외부프레임(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탄성부재(60)는 광고조립체(50)가 외부프레임(10)에 걸려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프레임(10)의 내측 중 양측 상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60)는 구동장치(70)에 의해 광고조립체(50)가 하방으로 이동시 빠르게 복원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60)는 압축코일 스프링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렌티큘러시트(30)는 광고물의 입체감 또는 광고물에 담긴 정지된 상(像)이 움직이는 느낌을 갖게 하는 등의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며, 외부프레임(10)의 개구부에 배치된다.
즉, 렌티큘러시트(30)는 전면프레임(11) 내측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고물의 입체감 또는 정지된 상이 움직이는 느낌을 갖게 하기 위한 렌티큘러시트(30)의 원리는 사람 눈의 움직임에 대응해서 눈의 초점을 약간씩 어긋나게 하는 원리이다.
이를 위해, 렌티큘러시트(30)의 일면은 작은 형태의 반원주형(半圓柱形) 보록 렌즈들이 다수 줄지어 있는 상태이다.
반면에, 렌티큘러시트(30)의 타면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렌티큘러시트(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 렌즈가 형성된 일면은 외부프레임(10)의 내측 즉, 광고조립체(50)와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렌티큘러시트(30)의 편평한 타면은 외부프레임(1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눈의 초점은 종래의 광고장치에서처럼 렌티큘러시트(30)에 맺히는 것이 아니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시트(30)를 통과하여 렌티큘러시트(30)의 밖에 맺히게 된다.
그리고, 광고조립체(50)는 렌티큘러시트(30)를 통해 외부로 표시되는 광고물을 포함하며, 외부프레임(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광고조립체(50)는 상술한 제2자석부재(51)와, 제2베어링부(52)와, 광고 물이 담긴 이미지물(53)과,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미지물(53)이 접착된 부착판(54)과, 이 부착판(54)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필름 프레임(55)을 포함한다.
이때, 필름 프레임(55)의 재질은 알미늄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미지물(53)은 보이는 각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사진 또는 그림 등이 각각 다르게 보일 수 있도록, 여러 장의 사진 또는 그림 등이 실리게 된다.
이때, 이미지물(53)은 사각 형태의 외부프레임(10)에 대응되도록 사각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접착스프레이 또는 양면 접착필름 등에 의해 상기 부착판에 접착된다.
또한, 부착판(54)은 상기 이미지물(53)이 접착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후술하는 조명장치의 빛이 부착판(54)에 조사됨으로써, 이미지물(53)은 렌티큘러시트(11)를 통해 외부에 효과적으로 보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착판(54)의 예로써, 간판용 렉산 또는 연질의 PVC, 파나플렉스(유연성 원단), 스크린인쇄용 천, 흰색 천, 특수비닐, 유리, 망사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특수비닐은 열이 가해지면 팽팽하게 수축되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 프레임(55)은 상기 부착판(54)이 편평하게 펴진 상태에서 그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부착판(54)의 가장자리를 균일하게 지지하며, 외부프레임(10)에 설치된 탄성부재(60)에 연결된다.
즉, 탄성부재(60)의 일단부는 외부프레임(10)에 연결되고, 탄성부재(60)의 타단부는 상기 필름 프레임(55)의 일측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필름 프레임(55)은 상기 외부프레임(10)에 탄성 지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필름 프레임(55)은 렌티큘러시트(30)의 일면, 즉, 볼록 렌즈 전체에 걸쳐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장치(70)는 광고조립체(50)를 움직이는 역할을 한다.
이때, 구동장치(70)는 외부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5)에 설치되되, 광고조립체(50)의 후면 즉, 필름프레임(55)의 후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동장치(70)가 필름 프레임(55)의 후면에 배치됨으로써, 광고조립체(50)는 렌티큘러시트(30)의 일면 전체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외부프레임(10)의 내측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70)의 상측은 고정브라켓(15)에 설치된 위치조절나사(19)의 단부에 의해 나사 결합 된다.
즉, 구동장치(70)는 절곡프레임(13)의 상면에 설치된 위치조절나사(19)의 회전에 따라 고정브라켓(15)을 기준으로 승강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5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상기 구동장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동장치(70)는 모터(71)와, 회전체(73)와, 링커(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71)는 구동장치(7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며, 이 모 터(71)의 축에는 모터풀리(71a)가 결합된다.
또한, 회전체(73)는 편심 회전되면서 링커(75)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회전체(73)의 회전축(74)은 회전체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되며, 이 회전축(74)에는 회전풀리(73a)가 결합된다.
즉, 모터(71) 축에 결합된 모터풀리(71a)와 회전축(74)에 결합된 회전풀리(73a) 사이에 벨트(76)가 연결됨에 따라, 이 회전체(73)는 벨트(76)에 의해 상기 모터(71)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체(73)는 구동장치(70)에 구비된 가변부재(77)에 설치되고, 이 가변부재(77)는 구동장치(70)에 구비된 고정부재(78)와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나사(N)는 상기 고정부재(78)를 관통하여 가변부재(77)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N)의 회전에 의해 이 나사(N)에 결합된 가변부재(77)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부재(77)의 위치, 즉, 회전체(73)의 위치 역시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가변부재(77)는 회전체(73)는 물론이고 모터(71) 및 벨트(76)가 연결된 풀리(71a,73a) 등의 조립체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조립체의 위치 역시 가변된다.
또한, 상기 링커(75)는 광고조립체(5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링커(75)의 일단부는 회전체(73)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링커(75)의 타단부는 광고조립체(50) 의 필름 프레임(55)에 연결된다.
이때, 링커(75)의 일측에는 지지축(75a)이 구비되고, 이 지지축(75a)은 구동장치(70)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링커(75)는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축(75a)을 중심으로 승강되기 때문에 링커(75)의 원활한 승강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체(73)가 설치된 가변부재(77)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성된 이유는 링커(75)의 타단부에 대한 승강폭을 가변시키기 위함이다.
즉, 광고조립체(50)의 승강폭을 가변시켜 광고물의 광고 효과가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지지축(75a)과 링커(75)의 일단부 간격을 가변부재의 이동을 통해 가변시킴으로써 링커(75) 타단부의 승강폭은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90)는 광고장치의 후면을 구성하며 외부프레임(10)과 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90)의 내부에는 조명장치(91)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광고조립체(50)의 부착판(54)에 빛을 조사하여 렌티큘러시트를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물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외부프레임(10)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5)에 구동장치(70)를 결합시킨다. 이때, 구동장치(70)의 상부는 외부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된 위치조절나사(19)의 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다음으로, 이미지물(53)이 접착된 부착판(54)을 지지하는 필름 프레임(55)을 외부프레임(10)에 결합시킨다. 이때, 필름 프레임(55)은 외부프레임(10)에 설치된 탄성부재(60)에 연결되어 탄성지지 된다.
또한, 필름 프레임(55)의 양측과 외부프레임(10)의 내측에 각각 설치된 간격조절장치(20)는 서로 대응된 상태로 접촉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프레임(10)에 설치된 제1베어링부(18)는 필름 프레임(55)에 설치된 제2자석부재(51)에 부착되고, 외부프레임(10)에 설치된 제1자석부재(17)에는 필름 프레임(55)에 설치된 제2베어링부(52)가 부착되는 것이다.
이때, 구동장치(70)의 링커(75)는 광고조립체(50)의 필름 프레임(55)에 연결된다.
그리고, 필름 프레임(55)은 외부프레임(10)의 내부에 배치되며, 광고물이 담긴 이미지물(53)은 외부프레임(10)에 설치된 렌티큘러시트(30)의 볼록 렌즈와 마주하게 된다.
이때, 렌티큘러시트(30)를 통한 눈의 초점은 렌티큘러시트(30)의 외부, 즉, 렌티큘러시트(30)와 필름 프레임(55) 사이의 공간에 맺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초점에 필름(53)을 맞추기 위해서 필름 프레임(55)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2베어링부(52)의 슬라이더(52b)를 몸체(52a)의 슬라이딩홈(G)에서 전,후로 슬라이딩시키면서 필름 프레임(55)과 외부프레임(1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 간격 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볼트(B)를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더(52b)를 필름 프레임(55)에 고정시킨다.
이와 더불어, 외부프레임(10)의 측면에 설치된 초점조절부(16)를 통해 필름 프레임(55)을 움직이게 한다.
즉, 초점조절부(16)의 나사를 회전시키면 나사가 외부프레임(10)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인입된 나사의 단부는 필름 프레임(55)의 측면을 밀면서 광고조립체(50)를 움직이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탈방지장치(40)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조립된 광고조립체(50)를 외부프레임(1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즉, 설치부재(11a)에 일단부가 축 결합된 회전바(41)를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바(41)의 타단부는 임계점을 지나면서 스프링(43)에 의해 끌어 당겨져 광고조립체(50)의 필름 프레임(55) 후면을 구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바(41)는 스프링(43)이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쉽게 복원되지 않게 되고, 광고조립체(50)는 외부프레임(1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반대로, 회전바(41)의 구속을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회전바(41)를 원래 위치로 회전시키며, 이 과정에서 역시 회전바(41)의 타단부가 임계점을 지나게 되면 스프링(43)에 의해 회전바(41)는 복원된다.
다음으로, 조명장치(91)가 설치된 케이스(90)를 외부프레임(10)에 결합시킨다.
이하, 상기와 같이 조립된 광고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광고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면 조명장치(91)로부터 광고조립체(50)의 부착판(54)에 빛이 조사되고 구동장치(70)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도 6a 내지 도 7b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먼저 모터(71)에 의해 모터축의 모터풀리(71a)가 회전되고, 이 모터(71)의 회전력은 벨트(76)를 통해 회전체(73)의 회전축(74)에 결합된 회전풀리(73a)에 전달된다.
이후, 회전풀리(73a)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체(73)에 편심된 회전축(74)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편심된 회전축(74)은 편심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체(73)의 외주면에 배치된 링커(75)의 일단부를 상,하로 승강시킨다.
즉, 링커(75)는 지지축(75a)을 중심으로 승강되고, 이에 따라, 링커(75)의 타단부에 연결된 광고조립체(50)의 필름 프레임(55)도 승강되는 것이다.
이때, 정확하게 말하면, 광고조립체(50)는 링커(75)의 타단부에 의해서만 전적으로 승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회전체(73)의 회전에 의해 링커(75)의 타단부가 광고조립체(50)의 필름프레임(55)을 눌러 하강시키기는 하지만, 필름 프레임(55)이 하강되는 동시에 상기 필름 프레임(55)에 연결된 탄성부재(60) 역시 늘어나게 되며, 이 탄성부재(60)의 복원력에 의해 필름 프레임(55)이 상승되는 것이다.
따라서, 링커(75)의 승강작용과 탄성부재(60)의 복원력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광고조립체(50)가 승강되는 것이다.
또한, 광고조립체(50)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필름 프레임(55)의 양측에 설치된 제2베어링부(52)의 베어링(52c)은 외부프레임(10)에 설치된 제1자석부재(17)에서 구름되고, 외부프레임(10)에 설치된 제1베어링부(18)의 베어링(18a)은 필름 프레임(55)에 설치된 제2자석부재(51)에서 구름되어 광고조립체(5)의 원활한 승강작용을 도와준다.
이때, 상기 제1베어링부(18)와 제2베어링부(52)의 베어링(18a,52c)은 자석에 부착된 상태에서 구름 됨으로써, 광고조립체(50)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초점이 흐트러지는 일은 방지된다.
특히, 광고장치가 이동될 때, 광고조립체의 정해진 초점 위치가 가변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광고조립체(50)는 외부 프레임(10) 내에서 원활한 승강작용이 이루어지며, 렌티큘러시트(30)를 통해 광고물이 효과적으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고장치는 렌티큘러시트(30)를 대신하여 베리어층이 형성된 투명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를,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제시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프레임(10)과, 투명판(100)과, 광고조립체(50)와, 구동장치(70)와, 케이스(9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투명판(100)의 일면에는 불투명재료의 선이 상,하로 반복적으로 인쇄된 베리어층(110)이 형성된다.
이때, 베리어층(110)과 베리어층(110) 사이의 투명판(100) 높이 비율은 5: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판(100)은 유리임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투명판(100)의 베리어층(110)은 광고조립체(50)와 대향 될 수도 있지만, 대향 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의 결합 및 작용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고장치와 동일하다.
즉, 구동장치(70)에 의해 광고조립체(50)는 상,하로 유동되고, 이 광고조립체(50)의 이미지물(53)은 베리어층(110)이 형성된 투명판(100)을 통해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느낌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광고장치에 의하면 렌티큘러시트의 볼록 렌즈와 광고물이 담긴 필름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됨으로써, 렌티큘러시트를 통한 사람 눈의 초점은 렌티큘러시트의 외부에 맺히게 된다.
즉, 필름은 렌티큘러시트에 접착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필름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필름과 렌티큘러시트의 마찰로 인해 필름에 흠집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렌티큘러시트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고 광고장치의 크기를 크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필름이 설치된 광고조립체는 렌티큘러시트의 볼록 렌즈 전체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광고조립체를 움직이는 구동장치는 광고조립체의 후면에 배치됨으로써, 외부프레임의 내측에 구동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프레임 대비 광고조립체의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외부프레임과 필름 프레임에 자석부재와 베어링부로 구성된 간격조절장치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렌티큘러시트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광고조립체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광고장치의 운반시에도 정해진 초점이 쉽게 변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럴렉스 베리어를 이용한 광고장치에 의하면 광고물은 베리어층이 형성된 투명판을 통해서도 입체적인 느낌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외부프레임으로 둘러싸이며 일면과 타면이 각각 볼록렌즈와 평면으로 이루어진 렌티큘러시트와, 상기 렌티큘러시트를 통해 표시되는 광고물이 설치된 광고조립체와, 상기 광고조립체를 움직이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광고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고조립체는 광고물이 렌티큘러시트의 볼록렌즈 전체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광고조립체의 후면에 배치되며,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편심회전되는 회전체와, 일단부는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회전체의 편심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고 타단부는 상기 광고조립체에 연결된 링커를 포함하고,
    외부프레임과 광고조립체에는 이 광고조립체와 렌티큘러시트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절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광고조립체의 전면과 마주하게 설치된 제1자석부재와 광고조립체의 측면과 마주하게 설치된 제1베어링부는 외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부재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베어링부와 상기 제1베어링부에 접촉되는 제2자석부재는 광고조립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광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조립체는 외부프레임에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광고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에는 광고조립체가 외부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외부프레임에 일단부가 축 결합된 회전바와, 이 회전바의 타단부와 외부프레임을 연결시킨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광고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의 측면에는 이 외부프레임의 측면을 관통하여 광고조립체의 측면을 지지하는 나사 형태의 초점조절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광고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일측에 설치된 고정부재와, 회전체가 설치되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구동장치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가변 부재를 관통하여 나사결합시킨 조절나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사의 회전에 따라 가변부재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광고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조립체는 빛이 투과되는 재질의 부착판과, 이 부착판에 접착되며 광고물이 인쇄된 이미지물과, 상기 부착판이 편평하게 유지되도록 부착판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알미늄 재질의 필름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광고장치.
  7. 외부프레임으로 둘러싸이며, 일면에는 불투명재료의 선이 상,하로 반복적으로 인쇄된 베리어층을 포함하는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을 통해 표시되는 광고물이 설치된 광고조립체와, 상기 광고조립체를 움직이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광고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고조립체는 투명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광고조립체의 후면에 배치되며,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편심회전되는 회전체와, 일단부는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회전체의 편심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고 타단부는 상기 광고조립체에 연결된 링커를 포함하고,
    외부프레임과 광고조립체에는 이 광고조립체와 투명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 는 간격조절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광고조립체의 전면과 마주하게 설치된 제1자석부재와 광고조립체의 측면과 마주하게 설치된 제1베어링부는 외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부재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베어링부와 상기 제1베어링부에 접촉되는 제2자석부재는 광고조립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럴렉스 베리어를 이용한 광고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조립체는 빛이 투과되는 재질의 부착판과, 이 부착판에 접착되며 광고물이 인쇄된 이미지물과, 상기 부착판이 편평하게 유지되도록 부착판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알미늄 재질의 필름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럴렉스 베리어를 이용한 광고장치.
KR1020070099832A 2007-03-13 2007-10-04 렌티큘러시트 또는 패럴렉스 베리어를 이용한 광고장치 KR100793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431 2007-03-13
KR20070024431 2007-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812B1 true KR100793812B1 (ko) 2008-01-11

Family

ID=3921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832A KR100793812B1 (ko) 2007-03-13 2007-10-04 렌티큘러시트 또는 패럴렉스 베리어를 이용한 광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8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02Y1 (ko) * 2009-11-02 2011-08-17 안성우 자석을 이용한 광고내용의 교체가 용이한 간판
KR20190027147A (ko) * 2017-09-06 2019-03-14 김용하 3차원 간판용 패널 및 그 제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3차원 간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284Y1 (ko) 1999-12-23 2000-05-15 김충환 다중입체영상표시장치
KR20010077610A (ko) * 2000-02-03 2001-08-20 손재설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광고판
KR20030032649A (ko) * 2001-10-19 2003-04-26 (주)에스피코리아 화상전환을 통한 다중화상표시장치
JP2003295805A (ja) * 2002-04-08 2003-10-15 Aatec:Kk 画像切り替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284Y1 (ko) 1999-12-23 2000-05-15 김충환 다중입체영상표시장치
KR20010077610A (ko) * 2000-02-03 2001-08-20 손재설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광고판
KR20030032649A (ko) * 2001-10-19 2003-04-26 (주)에스피코리아 화상전환을 통한 다중화상표시장치
JP2003295805A (ja) * 2002-04-08 2003-10-15 Aatec:Kk 画像切り替え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02Y1 (ko) * 2009-11-02 2011-08-17 안성우 자석을 이용한 광고내용의 교체가 용이한 간판
KR20190027147A (ko) * 2017-09-06 2019-03-14 김용하 3차원 간판용 패널 및 그 제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3차원 간판
KR101992017B1 (ko) * 2017-09-06 2019-06-24 김용하 3차원 간판용 패널 및 그 제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3차원 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3780B2 (en) 3D display system using a lenticular lens array variably spaced apart from a display screen
US6618972B2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CN102654960B (zh) 图片可换立体展示装置
JP2003156712A (ja) 画像表示装置
KR100793812B1 (ko) 렌티큘러시트 또는 패럴렉스 베리어를 이용한 광고장치
US20080151369A1 (en) Lenticular display with a three dimensional optical mat
KR200286859Y1 (ko) 회전식 입체간판
US20030223120A1 (en) Lenticular display unit
JP2011228759A (ja) 画像用フレーム
US20050284010A1 (en) Customizable lenticular display and indicia carrier
KR20160009903A (ko) 더블 무빙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장치
US20070273140A1 (en) Bound Printed Matter Comprising Interlaced Images and Decoders for Viewing Changing Displays of the Images
KR102195824B1 (ko)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 렌티큘러 광고판
WO2015135004A9 (en) Accessory for a microphone
WO2014168496A1 (en) Sheets display case producing images appearing as 3-d to the viewer
EP1576569A1 (en) Display apparatus for changing images
JP3155354U (ja) 広告用表示パネル
JP2006235458A (ja) 広告媒体
KR20010008536A (ko) 3차원 입체영상장치 및 그 제작방법
EP2102841A1 (en) Lenticular display device
KR200371887Y1 (ko) 입체 동영상 패널렌즈
KR20090011435U (ko) 멀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02380U (ko) 멀티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GB2321330A (en) Display apparatus using a lenticular screen and a single sheet of interlaced images
KR970006515Y1 (ko) 광고글자 및 모형이 움직이도록된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