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200A - 모션 사인보드 - Google Patents

모션 사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200A
KR20170059200A KR1020150163238A KR20150163238A KR20170059200A KR 20170059200 A KR20170059200 A KR 20170059200A KR 1020150163238 A KR1020150163238 A KR 1020150163238A KR 20150163238 A KR20150163238 A KR 20150163238A KR 20170059200 A KR20170059200 A KR 20170059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dvertisement
mounting space
roll screen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섭
Original Assignee
정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찬섭 filed Critical 정찬섭
Priority to KR102015016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9200A/ko
Publication of KR20170059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24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advertising or display material forming part of a moving band, e.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prints, or transparencies
    • G09F11/29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advertising or display material forming part of a moving band, e.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prints, or transparencies of a band other than endl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24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advertising or display material forming part of a moving band, e.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prints, or transparencies
    • G09F11/29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advertising or display material forming part of a moving band, e.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prints, or transparencies of a band other than endless
    • G09F11/295Electric control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광고 화면을 표시하되 제품의 시인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되, 전후면 및 측면부가 개구되어 상기 장착공간과 연통되는 투사부가 형성된 케이싱; 복수의 광고 이미지가 인쇄되되 상기 투사부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롤스크린; 상기 각 광고 이미지가 전환되며 상기 투사부로 표시되도록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롤스크린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롤스크린의 내주를 지지하는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하는 모션 사인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션 사인보드{motion signboard}
본 발명은 모션 사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광고 화면을 표시하되 제품의 시인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모션 사인보드에 관한 것이다.
상업적 상품이나 서비스의 홍보, 정보의 전달 등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광고판이 있다.
종래의 광고판은 광고 이미지가 인쇄된 필름 등의 시트를 프레임 내부에 배치하고, 시트의 후방에 조명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간판으로 사용하거나,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광고판은 하나의 광고판에 하나의 광고 이미지만 표시할 수 있으므로 표시할 수 있는 광고의 내용이 한정되어 광고 효과가 저하되었으며, 고정된 광고 이미지로 인해 시각적인 집중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LCD 패널과 같은 가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다양한 광고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광고판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LCD 패널을 이용한 광고판의 경우 광고화면의 크기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5521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광고 화면을 표시하되 제품의 시인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모션 사인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되, 전후면 및 측면부가 개구되어 상기 장착공간과 연통되는 투사부가 형성된 케이싱; 복수의 광고 이미지가 인쇄되되 상기 투사부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롤스크린; 상기 각 광고 이미지가 전환되며 상기 투사부로 표시되도록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롤스크린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롤스크린의 내주를 지지하는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하는 모션 사인보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롤스크린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연결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된 구동롤러부와, 상기 롤스크린의 일단 및 타단이 교번하여 권취되도록 상기 각 구동롤러부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부는 상기 장착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부를 따라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안내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통신망을 통해 기등록된 사용자단말기와 연결되되,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입력된 광고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광고선택신호에 대응되는 광고 이미지가 인쇄된 상기 롤스크린의 섹터를 추출하되, 상기 추출된 섹터에 따라 산출된 목표회전수를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광고선택제어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무선통신망을 통해 기등록된 사용자단말기와 연결되되,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입력된 온오프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투사부와 대향되는 상기 롤스크린의 내부에 배치되어 발광되는 조명부와, 외부 전원과 연결되되 상기 수신된 온오프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전원관리제어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모션 사인보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롤스크린은 양단부가 연결된 한쌍의 구동롤러부로부터 이격 배치된 가이드롤러부에 의해 내주가 지지되며, 케이싱의 전후면 및 측면부에 형성된 투사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배치 및 회전되므로 동일한 크기의 케이싱에서도 광고 이미지의 표시면적이 최대화되어 제품의 공간 효율성 및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종래에 하나의 인쇄물이 고정되어 표시되는 것과 달리 복수의 광고 이미지가 인쇄된 롤스크린의 회전을 통해 다양한 광고 이미지가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어 광고 효과가 개선되면서도 매번 인쇄물을 교체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어 관리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단순한 시각적인 효과를 위해 일정한 주기에 따라 광고를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단말기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광고선택제어부가 회전구동부의 회전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홍보 전략과 목적에 맞는 광고 이미지가 원격으로 선택되어 원하는 시간에 표시될 수 있으므로 광고 효과 개선 및 그에 따른 수익창출을 통해 제품의 만족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전원관리제어부가 무선통신부에 수신된 온오프신호에 따라 조명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므로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조명부의 점등 및 소등이 신속하게 원격 선택될 수 있어 광고 이미지에 대한 식별성이 개선되면서도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최소화되어 제품의 에너지 효율성 및 광고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사인보드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사인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사인보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사인보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사인보드의 롤스크린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션 사인보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션 사인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사인보드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사인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사인보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사인보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사인보드의 롤스크린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모션 사인보드(100)는 케이싱(10), 롤스크린(20), 회전구동부(40) 및 가이드롤러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션 사인보드(100)는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는 일반 간판이나 돌출형 간판,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입식 간판으로 사용되는 광고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싱(10)은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갖되 외부환경에서 쉽게 부식되지 않는 합금 내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롤스크린(20)을 비롯한 구성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싱(10)은 다각기둥 내지는 다각기둥과 원기둥이 혼합된 형태 등 설치 목적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케이싱(10)이 사각기둥를 기본으로 하되, 측면부 중 하나가 곡면으로 구비된 형태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0)은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되, 전후면 및 측면부가 개구되어 상기 장착공간과 연통되는 투사부(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투사부(11)는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배치된 롤스크린(20)이 외부로 표시되도록 개방된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투사부(11)를 통해 롤스크린(20)에 인쇄된 광고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투사부(11)는 개방된 공간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투사부(11)를 따라 롤스크린(20)에 인쇄된 광고 이미지가 투영될 수 있도록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소재의 합성수지나 유리 등의 커버부(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은 상기 장착공간의 상부 및 하부를 형성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호 대향 배치되는 상판(12)과 하판(13), 그리고 상판(12) 및 하판(13)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4)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후면 및 측면부가 개구된다는 의미는 상판(12), 하판(13), 그리고 상하판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4)을 제외한 부분이 개구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롤스크린(20)은 복수의 광고 이미지(21a,21b,21c)가 인쇄되되 상기 투사부(11)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다. 즉, 상기 롤스크린(20)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부(40)로부터 상기 가이드롤러부(30)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10)의 전면, 후면, 측면부로 동시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스크린(20)은 얇은 천이나 종이, 합성수지 직물 등 유연성 소재로 구비되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의 필름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롤스크린(20)의 외면에는 도형, 문자, 슬로건, 실사 등 다양한 광고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스크린(20)은 상기 투사부(11)의 내부 테두리에 대응되는 "C"자 형으로 장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롤스크린(20)의 외면은 상기 투사부(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광고 이미지는 상기 투사부(11)의 둘레 즉, 케이싱(10)의 전면, 후면, 측면부의 폭을 더 한 수치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나의 광고 이미지는 투사부(11)를 통해 동시에 표시되도록 설정된 이미지 내지는 이미지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의 광고 이미지는 전체가 하나의 연속된 이미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동일한 이미지의 반복이나, 연관성 있게 연결된 복수 이미지 등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구동부(30)는 상기 각 광고 이미지가 전환되며 상기 투사부(11)로 표시되도록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롤스크린(20)을 회전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은 상기 상판(12) 및 하판(13)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4)과 인접한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부(30)는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롤스크린(20)의 내주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롤스크린(20)은 상기 가이드롤러부(30)를 감싸되, 상기 회전구동부(40)의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롤스크린(20)은 상기 회전구동부(40)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가이드롤러부(30)를 통해 내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C"자 형태를 유지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투사부(11)에 배치된 롤스크린(20)의 외면 부분이 순차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상기 투사부(11)로 표시되는 광고 이미지가 전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롤스크린(20)은 복수의 광고 이미지가 긴 필름의 형태로 연결되어 구비됨에 따라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광고 이미지와 광고 내용을 표시할 수 있으며, 롤스크린(20)의 회전에 따른 동적 요소를 통해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어 광고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에 하나의 인쇄물이 고정되어 표시되는 것과 달리 복수의 광고 이미지가 인쇄된 롤스크린(20)의 회전을 통해 다양한 광고 이미지가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어 광고 효과가 개선되면서도 매번 인쇄물을 교체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어 관리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구동부(40)는 상기 롤스크린(20)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연결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된 구동롤러부(41,42)와, 상기 롤스크린(20)의 일단 및 타단이 교번하여 권취되도록 상기 각 구동롤러부(41,42)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각 구동롤러부(41,42)는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롤스크린(20)은 두 구동롤러부(41,42) 중 하나(41)에 일단이 연결되어 권취되고, 타단을 당겨 풀어 가이드롤러부(30)의 외주를 경유하여 다른 하나(42)에 연결함에 따라 상기 투사부(11)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스크린(20)의 일단 및 타단이 교번하여 권취된다는 말은 구동롤러부 중 하나인 제1구동롤러부(42)에 일단이 권취되면 다른 하나인 제2구동롤러부(41)에 권취된 롤스크린(20)이 풀림되어 가이드롤러부(30)의 외주측으로 배치되고, 제2구동롤러부(41)에 타단이 권취되면 제1구동롤러부(42)에 권취된 롤스크린(20)이 풀림되어 가이드롤러부(30)의 외주측으로 배치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구동롤러부(41,42) 중 하나와 연결되면 다른 하나와 단락되며, 하나의 구동롤러부에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부 중 하나가 회전되면 롤스크린(20)이 회전되는 하나의 구동롤러부에 귄취되되 다른 구동롤러부로부터 풀림되며 회전 구동될 수 있으며, 투사부(11)로 표시되는 광고 이미지가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부가 전환되면 상기 롤스크린(20)의 회전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내부에 정역회전되는 구동축(43b)이 구비된 구동모터(43)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축(43b)에 연결된 구동기어부(43a)가 상기 각 구동롤러부(41,42)에 구비된 연동기어부(41a,42a)에 선택적으로 맞물림됨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부(41,42)가 회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동모터(43) 및 상기 각 구동롤러부(41,42) 간의 연결은 기어 외에도 고무벨트나 체인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부(43a)는 상기 각 연동기어부(41a,42a)가 상이한 높이에 구비된 경우에 상하 이동되어 상기 연동기어부(41a,42a)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부(43a)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각 연동기어부(41a,42a)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부(43a)와 맞물림된 연동기어부는 구동기어부(43a)에 구속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으며, 단속된 연동기어부는 구동기어부(43a)로부터 독립되어 자유 회전되되 롤스크린(20)이 당겨지는 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구동롤러부(42)의 일 회전시 롤스크린(20)이 권취되는 길이는 그의 외주에 권취된 롤스크린(20)의 직경에 따라 변화되며, 권취된 롤스크린(20)의 직경이 증가될수록 일 회전시 롤스크린(20)이 권취되는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구동롤러부(41)의 일 회전시 롤스크린(20)이 풀림되는 길이는 그의 외주에 권취된 롤스크린(20)의 직경에 따라 변화되며, 권취된 롤스크린(20)의 직경이 감소될수록 일 회전시 롤스크린(20)이 풀림되는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이때, 하나의 구동롤러부가 회전되어 롤스크린(20)이 권취되되, 롤스크린(20)의 권취시 당겨지는 힘에 의해 다른 하나의 구동롤러부가 종속되어 회전되므로 하나의 구동롤러부에 권취되는 롤스크린의 길이에 따라 다른 구동롤러부에 권취된 롤스크린이 풀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권취된 롤스크린의 직경이 증가하거나 감소되더라도 후속 권취되는 롤스크린이 구동롤러부에 헐거움이나 당겨짐 없이 안정적으로 권취될 수 있으며, 롤스크린이 헐겁게 권취됨에 따른 구겨짐 및 주름 발생이나 롤스크린이 과다하게 당겨짐에 따른 늘어남 등이 최소화되어 광고 이미지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의 전면, 후면, 측면부를 개방하여 넓은 투사부(11)를 형성하되, 상기 롤스크린(20)이 장착공간의 타측에 구비된 가이드롤러부(30)를 경유하여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된 한쌍의 구동롤러부(40)에 연결됨에 따라 케이싱(10)의 전후면 및 측면부에 형성된 투사부(11) 전체를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처럼, 광고 이미지가 표시되고 전환되는 부분이 케이싱(10)의 일면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싱(10)의 전면, 후면, 측면부 전체에서 광고 이미지가 표시되고 전환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크기의 케이싱(10)에서도 광고 이미지의 표시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어 제품의 공간 효율성 및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롤스크린(20)의 권취를 위한 한쌍의 구동롤러부(41,42)가 하나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어 컴팩트한 제품으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상기 모션 사인보드(100)는 무선통신부(70), 저장부(110), 감지센서(44), 그리고 광고선택제어부(9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부(7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기등록된 사용자단말기(1)와 연결되되, 상기 사용자단말기(1)에 입력된 광고선택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망은 블루투쓰, Wifi, 3G/4G 등의 범용 통신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부(70)는 상기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는 블루투쓰 모뎀이나 무선랜카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기등록된 사용자단말기(1)는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부(70)와 연결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기(1)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광고 이미지 내지는 광고 이미지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선택항목으로 구비된 광고선택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항목이 터치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1)는 선택항목에 대응되는 광고선택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부(7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광고선택신호는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 이미지가 광고선택제어부(90)에서 식별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44)는 상기 회전구동부(40)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44)는 상기 회전구동부(40)의 각 구동롤러부(41,42)에 상면 내지 하면에 구비된 돌출부를 탐지하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두 구동롤러부 중 하나에 구비되거나 양측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선택제어부(90)는 상기 감지센서(44)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회전구동부(40)의 회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고선택제어부(90)는 상기 구동롤러부가 일방향 회전되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44)가 돌출부를 일회 감지할 때마다 상기 회전구동부(40)의 회전수 카운트를 증가시고, 상기 구동롤러부가 타방향 회전되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44)가 돌출부를 일회 감지할 때마다 상기 회전구동부(40)의 회전수 카운트를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광고선택제어부(90)는 상기 저장부(110)로부터 상기 광고선택신호에 대응되는 광고 이미지가 인쇄된 상기 롤스크린(20)의 섹터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광고선텍제어부(90)는 수신된 광고선택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스크린(20)의 섹터는 상기 롤스크린(20)의 전체 면적에서 해당 광고 이미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길이 범위 내지는 순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각 광고 이미지에 대응되는 섹터는 저장부(110)에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기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광고선택제어부(90)는 상기 수신된 광고선택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광고 이미지에 대응되는 섹터를 저장부(11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섹터는 상기 광고선택신호를 통해 직접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체 광고 이미지가 롤스크린에 인쇄된 순서에 따라 표시되고, 사용자가 광고 이미지를 선택하면, 인쇄순번 등으로 구비된 롤스크린의 섹터가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상기 광고선택신호로 설정되어 상기 광고선택제어부(9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고선택제어부(90)는 상기 추출된 섹터로부터 상기 광고 이미지가 투사부(11)에 표시되기 위한 상기 회전구동부(40)의 회전수인 목표회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표회전수는 구동롤러부의 둘레 및 롤스크린의 권취횟수에 따른 둘레증감비를 적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광고 이미지가 롤스크린(20) 중 3번째 섹터에 인쇄된 경우 3번째 섹터 이전의 광고 이미지가 구동롤러부 중 하나에 권취되기 위한 목표회전수가 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섹터에 대응되는 롤스크린의 길이를 구동롤러부의 둘레로 나누되, 구동롤러부에 롤스크린의 권취됨에 따른 둘레증감비를 보정하여 목표회전수가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고선택제어부(90)는 산출된 목표회전수에 따라 각 구동롤러부(41,42)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투사부(11)에 상기 광고선택신호에 대응되는 광고 이미지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산출된 목표회전수를 상기 감지센서(44)의 감지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회전구동부(40)의 회전을 제어한다.
여기서, 목표회전수를 감지센서(44)의 감지신호와 비교한다는 말은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광고선택제어부(90)에서 카운팅되는 현재 회전구동부의 회전수를 목표회전수와 비교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산출된 목표회전수가 20일 때, 현재 회전구동부의 회전수가 10인 경우 상기 광고선택제어부(90)는 상기 회전구동부(40)의 회전수가 20이 될 때까지 구동모터(4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현재 회전구동부(40)의 회전수가 30인 경우에는 상기 회전구동부(40)의 회전수가 20이 될 때까지 구동모터(43)를 타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광고선택제어부(90)가 수신된 광고선택신호에 대응되는 광고 이미지에 대한 롤스크린(20)의 섹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섹터에 따라 목표회전수를 산출하여 회전구동부(40)의 회전을 제어하므로 광고 이미지가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선택되어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단순한 시각적인 효과를 위해 일정한 주기에 따라 광고를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홍보 전략과 목적에 따라 광고 이미지가 원격으로 선택되어 원하는 시간에 표시될 수 있으므로 광고 효과 개선 및 그에 따른 수익창출을 통해 제품의 만족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션 사인보드(100)가 미용실의 광고판으로 사용되는 겨우 파마 할인, 커트 할인, 염색 할인 등에 대응되는 각 광고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교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주변 지역의 행사나 통근 시간, 개학, 방학 등 다양한 환경 요소에 따라 사용자가 홍보 대상이나 목적을 설정하고 설정된 대상 및 목적에 맞는 광고 이미지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10)에는 상기 각 광고 이미지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광고선택제어부(90)는 상기 회전구동부(40)의 회전을 제어함과 함께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광고선택신호에 대응되는 광고 이미지에 따라 음향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향 데이터를 내장음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 이미지와 함께 광고 이미지에 대응되는 음향 광고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으므로 시각적인 효과에 청각적인 효과를 추가하여 광고의 인식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션 사인보드(100)는 조명부(50) 및 전원관리제어부(8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50)는 상기 투사부(11)와 대향되는 상기 롤스크린(20)의 내부에 배치되어 발광된다. 이때, 상기 조명부(50)는 형광등 내지는 LED 등의 발광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부(50)는 상기 롤스크린(20)의 내부에서 발광됨에 따라 상기 롤스크린(20)의 외면측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으며, 방출된 빛에 의해 인쇄된 광고 이미지가 더욱 선명하게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조도와 무관하게 상기 광고 이미지에 대한 식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으며, 흐린 날씨나 야간에도 광고 이미지가 명확하게 표시될 수 있으며 광고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7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에 입력된 온오프신호를 수신한다. 상세히, 상기 사용자단말기(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는 상기 조명부(50)를 켜고 끄기 위한 선택항목이 표시될 수 있으며, 입력된 선택항목에 대응되는 온신호 내지는 오프신호가 상기 무선통신부(7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관리제어부(8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조명부(50)의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즉, 상기 전원관리제어부(80)는 온신호의 수신시 조명부(50)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조명부(50)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되, 오프신호의 수신시 조명부(5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조명부(50)가 소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조명부(50)의 점등 및 소등이 신속하게 원격 선택될 수 있어 광고 이미지에 대한 식별성이 개선되면서도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최소화되어 제품의 에너지 효율성 및 광고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션 사인보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롤러부 및 상기 구동기어의 구조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롤스크린(220)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연결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된 구동롤러부(241,242))와, 상기 롤스크린의 일단 및 타단이 교번하여 권취되도록 상기 각 구동롤러부(241)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정/역회전되는 구동축에 구동기어부(243a)가 구비된 구동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구동롤러부(241,242)에는 상호 독립되어 상기 구동기어부(243a)의 외주에 맞물림되는 연동기어부(241a,242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연동기어부(241a,242a)가 상호 독립된다는 의미는 연동기어부(241a,242a)가 상호 맞물림되지 않는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연동기어부(241a,242a)는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부(243a)의 외주에 동시에 맞물림된다.
그리고, 상기 각 연동기어부(241a,242a)는 구동기어부(243a)의 회전시 상기 구동기어부(243a)의 회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되, 각 연동기어부(241a,242a)는 상호 동일한 회전력으로 동일한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이때, 상기 각 연동기어부(241a,242a)는 동일한 제1기어잇수를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어부(243a)는 상기 제1기어잇수 미만으로 기설정된 제2기어잇수를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동기어부(241a,242a)가 감속기어의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걸리는 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부(230)는 상기 장착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부(215)를 따라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안내되는 회전축(231)과, 상기 회전축(231)을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15)는 상기 케이싱(210)의 상판 하부를 따라 돌설된 상부가이드부 및 상기 케이싱(210)의 하판 상부를 따라 돌설된 하부가이드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가이드부 및 하부가이드부는 각각이 상기 회전축의 직경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된 한쌍의 돌기부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231)의 상단 및 하단이 상기 가이드부(215) 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부(215)는 슬릿형의 홈 등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단부에 상기 회전축(231)의 외주를 감싸되 상기 회전축(23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홀이 구비된 링프레임(261)과 상기 상판 내지는 하판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263)과, 상기 링프레임(261) 및 베이스프레임(263) 사이를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재(26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각 구동롤러부(241,242)가 동일한 방향 및 회전수로 회전되는 경우에 외주에 권취된 롤스크린(220)의 인한 각 구동롤러부(241,242)의 최외각의 직경 차이로 인해 각 구동롤러부(241,242)에 권취되는 롤스크린(220)의 길이와 각 구동롤러부(241,242)로부터 풀림되는 롤스크린(220)의 길이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구동롤러부(242)의 일 회전시 롤스크린(220)이 권취되는 길이는 그의 외주에 권취된 롤스크린(220)의 직경에 따라 변화되며, 권취된 롤스크린(220)의 직경이 증가될수록 일 회전시 롤스크린(220)이 권취되는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구동롤러부(241)의 일 회전시 롤스크린(220)이 풀림되는 길이는 그의 외주에 권취된 롤스크린(220)의 직경에 따라 변화되며, 권취된 롤스크린(220)의 직경이 감소될수록 일 회전시 롤스크린(220)이 풀림되는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부(230)는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롤스크린(220)이 장착공간 내부에 배치된 길이에 대응하여 장착공간의 일측 및 타측으로 탄발 이동되므로 상기 롤스크린(220)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권취된 롤스크린의 직경이 증가하거나 감소되더라도 후속 권취되는 롤스크린이 헐거워지거나 과도하게 당겨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 구동되어 권취/풀림될 수 있으며, 롤스크린이 헐겁게 권취됨에 따른 광고 이미지의 구겨짐 및 주름 발생이나 롤스크린이 과다하게 당겨짐에 따른 광고 이미지의 늘어남 등이 최소화되어 광고 이미지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 모션 사인보드 10,210: 케이싱
11: 투사부 20,220: 롤스크린
30,230: 가이드롤러부 40: 회전구동부
41,42,241,241: 구동롤러부 41a,42a,241a,242a: 연동기어부
43,243: 구동모터 43a,243a: 구동기어

Claims (5)

  1.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되, 전후면 및 측면부가 개구되어 상기 장착공간과 연통되는 투사부가 형성된 케이싱;
    복수의 광고 이미지가 인쇄되되 상기 투사부의 내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롤스크린;
    상기 각 광고 이미지가 전환되며 상기 투사부로 표시되도록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롤스크린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롤스크린의 내주를 지지하는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하는 모션 사인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롤스크린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연결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된 구동롤러부와,
    상기 롤스크린의 일단 및 타단이 교번하여 권취되도록 상기 각 구동롤러부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사인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는
    상기 장착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부를 따라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안내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사인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통신망을 통해 기등록된 사용자단말기와 연결되되,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입력된 광고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광고선택신호에 대응되는 광고 이미지가 인쇄된 상기 롤스크린의 섹터를 추출하되, 상기 추출된 섹터에 따라 산출된 목표회전수를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광고선택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사인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통신망을 통해 기등록된 사용자단말기와 연결되되,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입력된 온오프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투사부와 대향되는 상기 롤스크린의 내부에 배치되어 발광되는 조명부와,
    외부 전원과 연결되되 상기 수신된 온오프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전원관리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사인보드.
KR1020150163238A 2015-11-20 2015-11-20 모션 사인보드 KR20170059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238A KR20170059200A (ko) 2015-11-20 2015-11-20 모션 사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238A KR20170059200A (ko) 2015-11-20 2015-11-20 모션 사인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200A true KR20170059200A (ko) 2017-05-30

Family

ID=5905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238A KR20170059200A (ko) 2015-11-20 2015-11-20 모션 사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92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233B1 (ko) * 2018-09-06 2019-08-01 오창훈 가변형 현수막 게시대
KR102169204B1 (ko) 2020-04-02 2020-10-22 (주)네오 회전식 영상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CN113889004A (zh) * 2021-10-09 2022-01-04 乔杰 一种自动切换展示的广告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233B1 (ko) * 2018-09-06 2019-08-01 오창훈 가변형 현수막 게시대
KR102169204B1 (ko) 2020-04-02 2020-10-22 (주)네오 회전식 영상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CN113889004A (zh) * 2021-10-09 2022-01-04 乔杰 一种自动切换展示的广告牌
CN113889004B (zh) * 2021-10-09 2023-09-29 威海欣美机电有限公司 一种自动切换展示的广告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3824A1 (en) Retractable display device
US20040025389A1 (en) Continuous advertising medium and medium display device
US20060218829A1 (en) Moving-loop advertisement device with self stopping and smoothing elements
KR20170059200A (ko) 모션 사인보드
KR100309821B1 (ko) 포스터 세트를 개별적 및 선택적으로 디스 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US6691441B1 (en) Device for individually and selectively displaying a set of posters
KR100817532B1 (ko) 회전식 광고장치
KR101016235B1 (ko) 비상재해용 홍보패널
KR101274259B1 (ko) 주 간판 기능을 갖는 엘이디 전광판
KR20130080522A (ko) 롤 필름을 구비한 광고판
KR20080086566A (ko) 회전하는 전면 및 돌출간판 제작.
KR101196899B1 (ko) 회전식 광고장치
KR100648150B1 (ko) 회전식 광고필름이 내장된 광고장치
KR102195824B1 (ko)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 렌티큘러 광고판
EP0687376A1 (en) Film winding mechanism and display apparatus
KR100556787B1 (ko) 개선된 필름 권취구조를 갖는 현수용 광고판
KR200230356Y1 (ko) 광고용 스크린 회전장치
WO2006102803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commande d’un affichage publicitaire a l’aide d’un modulateur de lumiere
JP2001356716A (ja) 複数のポスターを展示する方法、および同装置
KR200293016Y1 (ko) 양면표출이 가능한 수평슬라이드식 광고장치
KR102006233B1 (ko) 가변형 현수막 게시대
EP1384222A1 (en) Continuous advertising medium and medium display device
KR200425082Y1 (ko) 회전식 광고장치
CN2630985Y (zh) 改进的多画面循环广告装置
KR20000020747U (ko) 동형 광고판의 스크린 드라이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