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771B1 - 전기 칫솔 - Google Patents

전기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771B1
KR102195771B1 KR1020200041386A KR20200041386A KR102195771B1 KR 102195771 B1 KR102195771 B1 KR 102195771B1 KR 1020200041386 A KR1020200041386 A KR 1020200041386A KR 20200041386 A KR20200041386 A KR 20200041386A KR 102195771 B1 KR102195771 B1 KR 102195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onnection
electrode
electric toothbrush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0004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771B1/ko
Priority to CN202010864384.7A priority patent/CN113491593B/zh
Priority to CN202211406451.6A priority patent/CN115645100A/zh
Priority to US17/003,142 priority patent/US11844423B2/en
Priority to JP2021571560A priority patent/JP7302905B2/ja
Priority to PCT/KR2020/014779 priority patent/WO2021206247A1/ko
Priority to KR1020200179544A priority patent/KR102622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771B1/ko
Priority to TW112106353A priority patent/TWI827472B/zh
Priority to TW110108777A priority patent/TWI797573B/zh
Priority to KR1020230149891A priority patent/KR20230156288A/ko
Priority to US18/501,059 priority patent/US2024005775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2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n electr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vibrating signa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2Brush body details, e.g. the shape thereof or connection to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0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body
    • A61C17/3481Vibrating brush body, e.g. by using eccentric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32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2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6Head electrodes
    • A61N1/0548Oral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2Electromedical brushes, combs, massage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결합 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부로 구동 전압의 공급을 수행하는 핸들부; 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칫솔모 및 상호 이격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배치되는 칫솔 헤드; 상기 칫솔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헤드 몸체; 상기 헤드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칫솔 헤드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선 및 제2 연결선; 상기 헤드 몸체의 말단부를 폐쇄하는 헤드 커버; 및 상기 제1 연결선 및 상기 제2 연결선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헤드 커버를 통하여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 을 포함하는 전기 칫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칫솔{ELECTRIC TOOTHBRUSH}
본 발명은 전기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플라크를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한 전기 칫솔에 관한 것이다.
플라크(dental plaque)란 치아 표면에 들러붙어서 생기는 끈끈하고 투명한 막으로, 입안에 살고 있는 수많은 세균(박테리아)들이 타액 내의 특정 성분과 서로 엉겨 붙어 만들어지고 치아와 그 주변뿐만 아니라 보철물, 교정장치 주변, 틀니에도 생기게 된다.
아주 얇고 투명한 막 형태의 플라크가 만들어지면 내부의 세균들이 번식하는데, 음식물 섭취 시 공급되는 당분을 이용해 플라크 내 세균들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그 양도 많아지게 된다. 플라크 내 세균들이 만들어 내는 산성물질은 치아의 석회성분을 녹게 하여 충치를 일으키고 독소는 잇몸에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플라크 자체는 육안으로 잘 보이지 않으며, 주로 치아에 깊은 골이 있는 곳, 치아와 치아 사이, 치아와 잇몸 사이 좁은 틈에 많이 발생된다. 이렇게 좁은 공간에서 치아 및 주변조직에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구석구석 빠뜨리지 않고 플라크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나, 기존 칫솔의 사용만으로는 이러한 플라크의 효과적인 제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 플라크를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한 전기 칫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 플라크의 제거를 통해 충치 및 치주질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칫솔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 칫솔은,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결합 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부로 구동 전압의 공급을 수행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칫솔모 및 상호 이격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배치되는 칫솔 헤드, 상기 칫솔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헤드 몸체, 상기 헤드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칫솔 헤드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선 및 제2 연결선, 상기 헤드 몸체의 말단부를 폐쇄하는 헤드 커버, 및 상기 제1 연결선 및 상기 제2 연결선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헤드 커버를 통하여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커버는, 내부에 고정핀 수용홈이 형성된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안착 영역과 제2 안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착 영역에는, 상기 제1 연결핀이 통과되는 제1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 영역에는, 상기 제2 연결핀이 통과되는 제2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선의 말단부 및 상기 제2 연결선의 말단부는, 벤딩된 상태로 각각 상기 제1 안착 영역과 상기 제2 안착 영역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착 영역과 상기 제2 안착 영역의 주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선의 말단부 및 상기 제2 연결선의 말단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선의 말단부에는, 상기 제1 핀홀에 대응하는 제1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선의 말단부에는, 상기 제2 핀홀에 대응하는 제2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에는, 상기 제1 연결선 및 상기 제2 연결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가이드홈 및 제2 가이드홈이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칫솔 헤드를 기준으로 0.1mm ~ 3mm의 높이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의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진동 모터,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부, 상기 회로부에서 발생된 구동 전압을 상기 헤드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부와 상기 핸들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연결핀 및 상기 제2 연결핀과 각각 접촉되는 제1 연결단자 및 제2 연결단자, 및 상기 헤드부와의 고정 결합을 위하여 돌출 형성된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부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압은, 1KHz ~ 1000MHz의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공급받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신호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압에 대한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로부터 공급된 구동 전압에 대한 전압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출력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배터리가 위치하는 배터리 수용부, 상기 진동 모터가 안착되는 진동 모터 안착부, 및 상기 제1 연결단자, 상기 제2 연결단자 및 상기 고정핀이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 및 상기 회로부가 실장되고, 상기 스위치와 상기 진동 모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의 결합부 상에 설치되는 절연 재질의 상부 커버, 상기 내부 케이스를 수용하며, 상기 스위치에 대응하는 스위치 누름 영역을 구비한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배터리 캡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전압은, A 볼트(V)의 진폭을 갖는 교류 전압과 B 볼트(V)의 직류 전압을 중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와 상기 B의 비는, 1:0.5~1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플라크를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한 전기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플라크의 제거를 통해 충치 및 치주질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 칫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칫솔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드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드 커버, 연결선, 및 연결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극의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들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핀 및 연결단자 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캡, 내부 케이스, 및 외부 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헤드부와 핸들부의 결합 시 전기 칫솔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동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극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선 및 전극의 설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연결", "결합" 또는 "접속"의 경우, 물리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 칫솔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 칫솔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칫솔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 칫솔(1)은 헤드부(100) 및 핸들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00)는 칫솔 헤드(110)와 헤드 몸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핸들부(200)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후화 등에 의해 헤드부(10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기존 헤드부(100)를 신규 헤드부(100)로 간편히 교체할 수 있다.
칫솔 헤드(110)에는 칫솔모(111),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22)이 배치될 수 있다.
칫솔모(111)는 칫솔 헤드(110)의 표면 상에 형성된 다수의 식모 홀(11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칫솔모(111)의 배치 구조, 개수, 크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칫솔 헤드(110)의 표면에 배치되며, 칫솔모(111)와 동일한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은 핸들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기초로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장은 치아 플라크의 구조를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전기 칫솔(1)을 이용하여 구강 내 치아 플라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헤드 몸체(130)는 칫솔 헤드(110)로부터 연장되어 헤드부(10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헤드 몸체(130)는 사용에 적합한 길이로 설계될 수 있으며, 헤드 몸체(130)의 말단부는 핸들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핸들부(200)는 전기 칫솔(1)의 본체로서, 이용 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핸들부(200)는 헤드부(1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헤드부(100)와의 고정 결합을 위한 별도의 고정핀(220)을 구비할 수 있다.
핸들부(200)의 내부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310, 도 7b 참조)가 수용될 수 있으며, 핸들부(200)에는 배터리(310)의 교체 등을 위한 별도의 배터리 캡(215)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핸들부(200)는 내부 구성요소들의 수용 및 보호를 위한 외부 케이스(2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외부 케이스(210)에는 스위치 누름 영역(211) 및 미끄럼 방지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누름 영역(211)은 내부에 배치된 스위치(330, 도 7a 참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사용자는 스위치 누름 영역(211)을 누름으로써 내부 스위치(330)에 대한 온(on)/오프(off) 제어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양치 시 스위치 누름 영역(211)을 누름으로써 전기 칫솔(1)의 전원을 온(on) 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핸들부(200)로부터 발생된 구동 전압이 헤드부(100)의 제1 전극(121) 및/또는 제2 전극(122)으로 공급되어 치아 플라크 제거를 위한 전기장이 발생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212)는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그립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마찰력 증대를 위한 구조 및 재질로 설계될 수 있다. 일례로, 미끄럼 방지부(212)는 다수의 홈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드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드 커버, 연결선, 및 연결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극의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4a에서는 헤드 커버(140)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였고, 도 4b에서는 헤드 커버(140)를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였으며, 도 4c에서는 헤드 커버(140)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드부(100)는 제1 전극(121), 제2 전극(122), 칫솔 헤드(110), 헤드 몸체(130), 제1 연결선(131), 제2 연결선(132), 헤드 커버(140), 제1 연결핀(151), 제2 연결핀(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은 칫솔 헤드(1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례로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은 각각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은 칫솔 헤드(110)로부터 일부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6을 참고하면 제1 전극(121)은 칫솔 헤드(110)를 기준으로 0.1mm ~ 3mm의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122)은 제1 전극(121)과 동일한 높이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칫솔 헤드(110)를 기준으로 0.1mm ~ 3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만약 전극(121, 122)의 높이(h)가 0.1mm 미만으로 설정되는 경우, 추후 인서트 사출(Insert Injection Molding) 공정 진행 시 전극(121, 122)이 칫솔 헤드(110)의 내부에 묻혀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전극(121, 122)의 높이(h)가 3mm를 넘어서는 경우 양치 시 이물감으로 인하여 사용자 불편이 발생하고, 치아 손실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은 황동(brass), 알루미늄(Aluminum), 전도성 고분자(Conducting polymer), 전도성 실리콘(Conducting Silicon),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을 가진 물질이라면 전극 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헤드 몸체(130)는 칫솔 헤드(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칫솔 헤드(110)와 같이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헤드 몸체(130)의 내부에는 구동 전압의 전달을 위한 제1 연결선(131)과 제2 연결선(13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선(131) 및 제2 연결선(132)은 칫솔 헤드(110)의 내부에서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22)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선(131)과 제2 연결선(132)은 핸들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헤드 몸체(130)의 말단부 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헤드 커버(140)에 배치된 제1 연결핀(151) 및 제2 연결핀(1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조 편의를 위하여, 제1 연결선(131)과 제1 전극(12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연결선(132)과 제2 전극(122) 역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선(131)과 제2 연결선(132)은 앞서 설명한 전극 재료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 커버(140)는 헤드 몸체(130)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 몸체(130)의 말단부를 폐쇄할 수 있다.
제1 연결핀(151) 및 제2 연결핀(152)은 제1 연결선(131) 및 제2 연결선(132)과 각각 연결되며, 헤드 커버(140)를 통하여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추후 헤드부(100)와 핸들부(200)가 결합되는 경우, 연결핀(151, 152)은 핸들부(200)에 배치된 연결단자(361, 362, 도 7a 참조)와 접촉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헤드 커버(140)는 내부에 고정핀 수용홈(148)이 형성된 기둥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 수용홈(148)은 헤드 커버(14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추후 핸들부(200)의 고정핀(2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핀 수용홈(148)의 내부에는 볼록부(149)가 형성될 수 있는데, 고정핀(220)이 고정핀 수용홈(148)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볼록부(149)는 고정핀(220)의 오목부(222, 도 7c 참조)와 상호 결합되어, 고정핀(220)과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둥부(143)는 제1 베이스부(141)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둥부(143)의 양측에는 각각 제1 안착 영역(144a)과 제2 안착 영역(144b)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베이스부(141)의 상면 상에는 제1 안착 영역(144a) 및 제2 안착 영역(144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착 영역(144a)과 제2 안착 영역(144b)의 주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46a, 146b)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부(141)의 상면 상에는 제1 안착 영역(144a)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146a), 및 제2 안착 영역(144b)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146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a에서는 제1 돌출부(146a)와 제2 돌출부(146b)가 각각 2개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돌출부(146a)와 제2 돌출부(146b)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46a, 146b) 구성을 통해 각 연결선(131, 132)의 말단부(131a, 132a)가 해당 안착 영역(144a, 144b)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제1 핀홀(145a)은 제1 안착 영역(144a)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핀홀(145b)은 제2 안착 영역(144b)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핀(151)은 제1 핀홀(145a)을 통해 헤드 커버(140)를 통과할 수 있고, 제2 연결핀(152)은 제2 핀홀(145b)을 통해 헤드 커버(140)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기둥부(143)에는 제1 연결선(131) 및 제2 연결선(132)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가이드홈(147a) 및 제2 가이드홈(147b)이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42)는 제1 베이스부(141)의 하측에 형성되며, 제1 베이스부(141)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2 베이스부(142)는 생략이 가능하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연결선(131)과 제2 연결선(132)의 일부분은 기둥부(143)의 제1 가이드홈(147a)과 제2 가이드홈(147b)에 각각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연결선(131)의 말단부(131a)와 제2 연결선(132)의 말단부(132a)는 벤딩(bending)된 상태로 각각 제1 안착 영역(144a)과 제2 안착 영역(144b)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선(131)의 말단부(131a)와 제2 연결선(132)의 말단부(132a)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각각 제1 핀홀(145a) 및 제2 핀홀(145b)에 대응하는 제1 연결홀(131b) 및 제2 연결홀(132b)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선(131)의 말단부(131a)는 제1 방향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제1 안착 영역(144a)에 안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말단부(131a)에 형성된 제1 연결홀(131b)이 제1 안착 영역(144a)의 제1 핀홀(145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선(132)의 말단부(132a)는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제2 안착 영역(144b)에 안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말단부(132a)에 형성된 제2 연결홀(132b)이 제2 안착 영역(144b)의 제2 핀홀(145b)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연결핀(151)은 제1 연결선(131)의 제1 연결홀(131b)과 헤드 커버(140)의 제1 핀홀(145a)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고, 제2 연결핀(152)은 제2 연결선(132)의 제2 연결홀(132b)과 헤드 커버(140)의 제2 핀홀(145b)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핀(151)의 일단부는 제1 연결홀(131b) 부근에서 납땜(soldering) 공정을 통해 제1 연결선(131)의 말단부(13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연결핀(151)의 타단부는 헤드 커버(140)의 제1 핀홀(145a)을 통해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연결핀(152)의 일단부는 제2 연결홀(132b) 부근에서 납땜 공정을 통해 제2 연결선(132)의 말단부(13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연결핀(152)의 타단부는 헤드 커버(140)의 제2 핀홀(145b)을 통해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핀(151)과 제2 연결핀(152)은 스프링이 내장된 포고 핀(pogo pi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에 따른 조립이 완료된 이후,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수행하여 칫솔 헤드(110) 및 헤드 몸체(13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들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핀 및 연결단자 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들부(200)는 고정핀(220), 내부 케이스(300), 배터리(310), 스위치(330), 진동 모터(340), 회로기판(350), 제1 연결단자(361), 제2 연결단자(362), 상부 커버(38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케이스(300)는 외부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되며, 배터리(310), 스위치(330), 진동 모터(340), 및 회로기판(350)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되기 위한 영역 및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내부 케이스(300)의 하부에는 배터리(310)가 위치하는 배터리 수용부(320)가 위치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320)의 상측으로 진동 모터(340)가 안착되는 진동 모터 안착부(30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케이스(300)의 상부에는 연결단자(361, 362) 및 고정핀(220)이 설치되는 판 형상의 결합부(370)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320)에는 제1 배터리 단자(321)와 제2 배터리 단자(32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배터리 단자(321)와 제2 배터리 단자(322)는 각각 회로기판(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배터리 단자(321)는 회로기판(350)의 제1 기판단자(351)와 연결되고, 제2 배터리 단자(322)는 회로기판(350)의 제2 기판단자(352)와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310)는 배터리 수용부(3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 단자(321, 3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310)는 1차 전지(Primary Battery) 또는 2차 전지(Secondary Battery)로 설정될 수 있다.
배터리(310)가 1차 전지인 경우 사용자는 배터리(310)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배터리(310)가 2차 전지인 경우 다양한 충전 방식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310)는 배터리 수용부(320) 내에 위치한 상태로 무선 충전 방식 또는 유선 충전 방식을 통해 충전될 수 있으며, 또한 배터리 수용부(320)로부터 분리되어 별도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될 수도 있다.
스위치(330)는 배터리(310)에 의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회로기판(35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진동 모터(340)는 내부 케이스(300)에 구비된 진동 모터 안착부(30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기 칫솔(1)의 작동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330)가 온(on) 되는 경우, 진동 모터(340)는 작동을 시작할 수 있으며, 스위치(330)가 오프(off)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진동 모터(340)의 동작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진동 모터(340)의 진동 패턴, 진동 강도 등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회로기판(350)은 체결 부재(353, 354) 등을 통하여 내부 케이스(3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스위치(330)와 진동 모터(3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330)는 회로기판(35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진동 모터(340)는 회로기판(35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350)에는 배터리(310)의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부(400, 도 10 참조)가 실장될 수 있다.
회로부(400)는 스위치(330)가 온(on) 됨에 따라 공급되는 배터리(310)의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회로부(400)는 진동 모터(340)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진동 모터(340)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연결단자(361) 및 제2 연결단자(362)는 각각 결합부(370)를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헤드부(100)와 핸들부(200)가 결합되는 경우 헤드부(100)의 제1 연결핀(151) 및 제2 연결핀(152)과 각각 접촉됨으로써, 회로부(400)에서 발생된 구동 전압을 헤드부(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결합부(370)의 하측으로 돌출된 연결단자(361, 362)의 하단부는 회로부(400)가 실장된 회로기판(350)과 연결될 수 있으며, 결합부(370)의 상측으로 돌출된 연결단자(361, 362)의 상단부는 상부 커버(38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고정핀(220)은 결합부(370)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부(100)에 마련된 고정핀 수용홈(148)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핀(220)에는 고정핀 수용홈(148)의 볼록부(149)에 대응하는 오목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380)는 내부 케이스(300)의 결합부(370)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례로 실리콘 등과 같은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380)는 제1 연결단자(361)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제1 개구부(371), 제2 연결단자(36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제2 개구부(372), 및 고정핀(220)이 통과 가능한 제3 개구부(37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캡, 내부 케이스, 및 외부 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위치(330), 진동 모터(340), 회로기판(350) 등의 조립이 완료된 내부 케이스(300)에는 그 바깥쪽으로 외부 케이스(2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 및 외부 케이스(300, 210)의 하부에는 배터리 캡(215)이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 캡(215)에는 밀폐를 위한 오링(O-ring, 216) 및 제2 배터리 단자(3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프링(217)이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헤드부와 핸들부의 결합 시 전기 칫솔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헤드부(100)와 핸들부(200)가 결합되는 경우 고정핀(220)이 고정핀 수용홈(148) 내부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제1 연결선(131)의 말단부(131a)와 연결된 제1 연결핀(151)은 제1 연결단자(361)에 접촉되고, 제2 연결선(132)의 말단부(132a)와 연결된 제2 연결핀(152)는 제2 연결단자(362)에 접촉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스위치 누름 영역(211)을 누름으로써 내부 스위치(330)가 온(on) 되고, 회로부(400)는 구동 전압을 생성하여 회로기판(350) 및 연결단자(361, 362)를 통하여 제1 연결선(131) 및 제2 연결선(13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은 공급된 구동 전압을 기초로 치아 플라크 제거를 위한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동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로부(400)는 DC-DC 컨버터(410), 신호 발생부(420), 필터(430), 및 캘리브레이션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DC-DC 컨버터(410)는 배터리(31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소정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DC-DC 컨버터(410)에 의해 변환된 전압은 진동 모터(340)의 구동을 위한 전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330)가 온(on) 되는 경우 DC-DC 컨버터(410)는 배터리 전압을 인가받아 동작할 수 있으며, 스위치(330)가 오프(off) 되는 경우 DC-DC 컨버터(410)의 동작은 중단될 수 있다.
신호 발생부(420)는 DC-DC 컨버터(41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기초로 동작하며, DC-DC 컨버터(410)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구동 전압은 1KHz ~ 1000MHz의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구동 전압이 1KHz 미만의 저주파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치아 플라크의 제거 효과가 떨어지며, 구동 전압이 1000MHz를 넘는 초고주파로 설정되는 경우에도 치아 플라크의 제거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구동 전압의 주파수는 치아 플라크의 제거에 적합한 5MHz ~ 15MHz의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신호 발생부(420)는 오실레이터(Oscillator), 함수 발생기(Function Generator) 등과 같은 기 공지된 구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필터(430)는 신호 발생부(420)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압에 대한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필터(430)는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를 포함하여, 톱니파(Sawtooth Wave) 형태의 구동 전압을 사인파(Sine Wave)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다만, 필터(430)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설계 구조에 따라 다양한 필터가 채용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부(440)는 필터(430)로부터 공급된 구동 전압에 대한 전압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캘리브레이션부(440)는 교류(AC) 형태의 구동 전압을 입력받고, 해당 구동 전압에 직류(DC) 전압을 인가하여 구동 전압의 오프셋(offset)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전압은 교류(AC) 전압과 직류(DC) 전압이 중첩되어 생성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부(440)는 A 볼트(V)의 진폭을 갖는 교류 전압을 필터(43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며, 해당 교류 전압에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B 볼트(V)의 직류 전압을 중첩함으로써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종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교류 전압의 진폭(A)과 직류 전압의 전압값(B)의 비(ratio)는, 1:0.5~1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류 전압의 진폭(A)이 0.2V ~ 0.3V로 설정된 경우, 직류 전압의 전압값(B)은 0.1V ~ 3.0V로 설정될 수 있다.
구동 전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이 중첩된 형태로 설정됨으로써, 직류 전압만을 인가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신체의 감전 위험과 신체에 유발할 수 있는 통증을 줄여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 전압은 필요에 따라 직류 전압 또는 교류 전압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로부(400)에는 별도의 제어부(Controller)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회로부(400)에서 헤드부(100)로 공급되는 구동 전압은 0.1mV ~ 3V의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동 전압이 0.1mV 미만인 경우 플라크 제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구동 전압이 3V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체액의 전기분해로 인한 독소물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구동 전압은 사인파 이외에도 펄스파(pulse wave), 구형파(square wave), 삼각파(triangle wave)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극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도 1 및 도 2 등에서는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이 수직 방향으로 칫솔 헤드(110)에 하나씩 배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22)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의 설치 개수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 헤드(110)의 중앙부에는 'I'자 형태의 제1 전극(121)이 배치되고, 그 주위에는 일직선 형태를 갖는 다수의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다수의 제1 전극(121)은 사각 형태를 이루며 칫솔 헤드(110)에 배치될 수 있고, 다수의 제2 전극(122)은 제1 전극(121)의 사이 또는 그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칫솔 헤드(1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d를 참조하면,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칫솔 헤드(110)에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2e를 참조하면,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은 서로 맞물리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선 및 전극의 설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제1 연결선(131)의 일단부(131c)는 상측으로 벤딩된 상태로 제1 전극(121)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형태와 비교하여, 전극 재료의 소모를 줄일 수 있어 원가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연결선(132)의 일단부 역시 이와 동일한 형태로 상측으로 벤딩되어 제2 전극(122)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전기 칫솔 100: 헤드부
110: 칫솔 헤드 121: 제1 전극
122: 제2 전극 130: 헤드 몸체
131: 제1 연결선 132: 제2 연결선
140: 헤드 커버 151: 제1 연결핀
152: 제2 연결핀 200: 핸들부
210: 외부 케이스 215: 배터리 캡
300: 내부 케이스 310: 배터리
320: 배터리 수용부 330: 스위치
340: 진동 모터 350: 회로 기판
361: 제1 연결단자 362: 제2 연결단자

Claims (15)

  1.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결합 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부로 구동 전압의 공급을 수행하는 핸들부; 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칫솔모 및 상호 이격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배치되는 칫솔 헤드;
    상기 칫솔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헤드 몸체;
    상기 헤드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칫솔 헤드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선 및 제2 연결선;
    상기 헤드 몸체의 말단부를 폐쇄하는 헤드 커버; 및
    상기 제1 연결선 및 상기 제2 연결선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헤드 커버를 통하여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연결핀 및 제2 연결핀; 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커버는,
    상기 제1 연결선 일부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홈 및 상기 제2 연결선 일부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안착 영역과 제2 안착 영역; 및
    상기 제1 안착 영역과 상기 제2 안착 영역 각각의 주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선의 말단부는 상기 제1 안착 영역에 안착되며, 상기 제2 연결선의 말단부는 상기 제2 안착 영역에 안착되는 전기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 내부에 고정핀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칫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 영역에는, 상기 제1 연결핀이 통과되는 제1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 영역에는, 상기 제2 연결핀이 통과되는 제2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선의 말단부 및 상기 제2 연결선의 말단부는, 벤딩된 상태로 각각 상기 제1 안착 영역과 상기 제2 안착 영역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칫솔.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선의 말단부 및 상기 제2 연결선의 말단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칫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선의 말단부에는, 상기 제1 핀홀에 대응하는 제1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선의 말단부에는, 상기 제2 핀홀에 대응하는 제2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칫솔.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칫솔 헤드를 기준으로 0.1mm ~ 3mm의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칫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의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진동 모터;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회로부;
    상기 회로부에서 발생된 구동 전압을 상기 헤드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부와 상기 핸들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연결핀 및 상기 제2 연결핀과 각각 접촉되는 제1 연결단자 및 제2 연결단자; 및
    상기 헤드부와의 고정 결합을 위하여 돌출 형성된 고정핀; 을 포함하는 전기 칫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압은, 1KHz ~ 1000MHz의 주파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칫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공급받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신호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압에 대한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로부터 공급된 구동 전압에 대한 전압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출력하는 캘리브레이션부; 를 포함하는 전기 칫솔.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배터리가 위치하는 배터리 수용부, 상기 진동 모터가 안착되는 진동 모터 안착부, 및 상기 제1 연결단자, 상기 제2 연결단자 및 상기 고정핀이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 및
    상기 회로부가 실장되고, 상기 스위치와 상기 진동 모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회로 기판; 을 더 포함하는 전기 칫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결합부 상에 설치되는 절연 재질의 상부 커버;
    상기 내부 케이스를 수용하며, 상기 스위치에 대응하는 스위치 누름 영역을 구비한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배터리 캡; 를 더 포함하는 전기 칫솔.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압은, A 볼트(V)의 진폭을 갖는 교류 전압과 B 볼트(V)의 직류 전압을 중첩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칫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와 상기 B의 비는, 1:0.5~10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칫솔.
KR1020200041386A 2020-04-06 2020-04-06 전기 칫솔 KR102195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386A KR102195771B1 (ko) 2020-04-06 2020-04-06 전기 칫솔
CN202010864384.7A CN113491593B (zh) 2020-04-06 2020-08-25 电动牙刷
CN202211406451.6A CN115645100A (zh) 2020-04-06 2020-08-25 电动牙刷
US17/003,142 US11844423B2 (en) 2020-04-06 2020-08-26 Electric toothbrush
JP2021571560A JP7302905B2 (ja) 2020-04-06 2020-10-28 電気歯ブラシ
PCT/KR2020/014779 WO2021206247A1 (ko) 2020-04-06 2020-10-28 전기 칫솔
KR1020200179544A KR102622443B1 (ko) 2020-04-06 2020-12-21 전기 칫솔
TW112106353A TWI827472B (zh) 2020-04-06 2021-03-11 電動牙刷
TW110108777A TWI797573B (zh) 2020-04-06 2021-03-11 電動牙刷
KR1020230149891A KR20230156288A (ko) 2020-04-06 2023-11-02 전기 칫솔
US18/501,059 US20240057755A1 (en) 2020-04-06 2023-11-03 Electric too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386A KR102195771B1 (ko) 2020-04-06 2020-04-06 전기 칫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544A Division KR102622443B1 (ko) 2020-04-06 2020-12-21 전기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771B1 true KR102195771B1 (ko) 2020-12-28

Family

ID=7408695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386A KR102195771B1 (ko) 2020-04-06 2020-04-06 전기 칫솔
KR1020200179544A KR102622443B1 (ko) 2020-04-06 2020-12-21 전기 칫솔
KR1020230149891A KR20230156288A (ko) 2020-04-06 2023-11-02 전기 칫솔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544A KR102622443B1 (ko) 2020-04-06 2020-12-21 전기 칫솔
KR1020230149891A KR20230156288A (ko) 2020-04-06 2023-11-02 전기 칫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844423B2 (ko)
JP (1) JP7302905B2 (ko)
KR (3) KR102195771B1 (ko)
CN (2) CN113491593B (ko)
TW (2) TWI797573B (ko)
WO (1) WO202120624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113A (ko) *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영유아 구강 관리용 공갈 젖꼭지
WO2022196855A1 (ko) * 2021-03-17 2022-09-22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세안 장치
WO2023038207A1 (ko) * 2021-09-08 2023-03-16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전기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4767S1 (en) * 2021-02-19 2023-01-10 Barbara Peterson Toothbrush
KR20230113903A (ko) * 2022-01-24 2023-08-01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전기 칫솔
KR20230148680A (ko) * 2022-04-18 2023-10-25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전기 칫솔 및 그의 결합 구조
EP4292471A1 (en) * 2022-06-13 2023-12-20 Koninklijke Philips N.V. Electrolysis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412Y2 (ja) * 1990-03-12 1997-07-30 株式会社サンギ 電気歯ブラシ
KR101639314B1 (ko) * 2016-01-13 2016-07-14 이승민 전동칫솔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3799Y1 (ko) * 1968-08-13 1972-05-19
JP2592791B2 (ja) * 1989-01-31 1997-03-19 株式会社サンギ 電子歯ブラシ
JPH1080324A (ja) 1996-09-06 1998-03-31 Sangi Co Ltd 電子歯ブラシ
JP2003250636A (ja) 2002-02-27 2003-09-09 Fukui Shigeaki 歯ブラシおよびヘアブラシ
WO2009006760A1 (fr) 2007-07-11 2009-01-15 Qinghua Shen Brosse à dents à ultrasons
JP2010124905A (ja) 2008-11-25 2010-06-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口腔ケア装置
JP2011143057A (ja) 2010-01-14 2011-07-28 Omron Healthcare Co Ltd 口腔ケア装置
KR101209525B1 (ko) * 2010-07-30 2012-12-07 주식회사 프로케어 전동칫솔
JP5416741B2 (ja) * 2011-07-12 2014-02-12 フクバデンタル株式会社 歯ブラシ
KR101351695B1 (ko) * 2011-11-30 2014-01-14 홍춘성 전동칫솔
CN104902843B (zh) 2012-11-14 2020-01-14 赛福马有限责任公司 用于种植牙组件的处理构件以及处理系统
JP2017063955A (ja) * 2015-09-29 2017-04-06 日機装株式会社 歯ブラシ
CN106562831A (zh) * 2015-10-10 2017-04-19 苏州赛文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卸电动牙刷
PL3386346T3 (pl) * 2016-06-14 2020-01-31 Benzion Levi Elektryczne urządzenie do czyszczenia jamy ustnej
KR101834665B1 (ko) * 2016-09-22 2018-03-06 김영욱 충치 플라그 제거 장치
US10244858B2 (en) * 2017-03-07 2019-04-02 BZL Medical Ltd. Vibrating brush assembly for personal hygiene device
JP6567732B1 (ja) * 2018-06-01 2019-08-28 三發電器製造廠有限公司 電動歯ブラシ
CN210095974U (zh) * 2019-03-29 2020-02-21 稻津电机(珠海)有限公司 一种电动牙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412Y2 (ja) * 1990-03-12 1997-07-30 株式会社サンギ 電気歯ブラシ
KR101639314B1 (ko) * 2016-01-13 2016-07-14 이승민 전동칫솔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113A (ko) *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영유아 구강 관리용 공갈 젖꼭지
KR102627638B1 (ko) 2021-02-23 2024-01-23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공갈 젖꼭지
WO2022196855A1 (ko) * 2021-03-17 2022-09-22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세안 장치
KR20220129937A (ko) *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세안 장치
KR102466800B1 (ko) * 2021-03-17 2022-11-14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세안 장치
WO2023038207A1 (ko) * 2021-09-08 2023-03-16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전기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22770A (zh) 2023-06-16
WO2021206247A1 (ko) 2021-10-14
TWI797573B (zh) 2023-04-01
KR102622443B1 (ko) 2024-01-08
TWI827472B (zh) 2023-12-21
JP2022535040A (ja) 2022-08-04
TW202137947A (zh) 2021-10-16
CN115645100A (zh) 2023-01-31
JP7302905B2 (ja) 2023-07-04
US11844423B2 (en) 2023-12-19
US20240057755A1 (en) 2024-02-22
KR20230156288A (ko) 2023-11-14
US20210307500A1 (en) 2021-10-07
CN113491593B (zh) 2022-12-09
KR20210124006A (ko) 2021-10-14
CN113491593A (zh)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771B1 (ko) 전기 칫솔
KR100880559B1 (ko) 단속소자, 이것을 구비한 회로 및 장치, 및 단속소자의조립방법
KR102522337B1 (ko) 전도성 칫솔모를 구비한 전기 칫솔
US20230210647A1 (en) Electric toothbrush
KR102596325B1 (ko) 반려 동물용 전기 칫솔
KR102466800B1 (ko) 세안 장치
KR102628014B1 (ko) 전기 칫솔
KR20230113906A (ko) 구강 관리 장치
KR20230148680A (ko) 전기 칫솔 및 그의 결합 구조
KR20240015424A (ko) 잇몸 관리 장치
KR20230113903A (ko) 전기 칫솔
KR20230041930A (ko) 구강 관리용 마우스 가드
JPH0675511U (ja) 低周波歯茎マッサージャー
UA59028A (uk) Інтерпроксимальна щі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