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752B1 - 호퍼 타입 3d 프린터 - Google Patents

호퍼 타입 3d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752B1
KR102195752B1 KR1020190002936A KR20190002936A KR102195752B1 KR 102195752 B1 KR102195752 B1 KR 102195752B1 KR 1020190002936 A KR1020190002936 A KR 1020190002936A KR 20190002936 A KR20190002936 A KR 20190002936A KR 102195752 B1 KR102195752 B1 KR 102195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pper
extruder
scre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2483A (ko
Inventor
최근식
이강욱
강성민
유성수
Original Assignee
(주)링크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링크솔루션 filed Critical (주)링크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02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7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10Pre-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 A23P2020/253Coating food items by printing onto them; Printing layers of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퍼 타입 3D 프린터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빌드 플랫폼; 상기 빌드 플랫폼의 위쪽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 2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각각 수직한 제 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홀더; 및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압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출기는, 상기 홀더에 고정되는 프레임; 상방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호퍼와 연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과 나란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퍼 타입 3D 프린터{HOPPER TYPE 3D PRINTER}
아래의 설명은 호퍼 타입 3D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기존 3D 프린터는 장치 사이즈가 대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가정집, 사무실 또는 부엌 등에서 사용하기 어려웠다. 또한, 기존 3D 프린터의 경우, 사용되는 소재 자체가 제한적이며, 기기 사양에 맞는 규격화된 소재만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어 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스크류 타입 압출기를 모듈 형태로 개발하여, 탈부착이 용이하여 쉽게 유지 보수가 가능한 호퍼 타입 3D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 예의 목적은, 다양한 재료, 특히 혼합 재료를 사용하여 3D 프린팅이 가능한 호퍼 타입 3D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퍼 타입 3D 프린터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빌드 플랫폼; 상기 빌드 플랫폼의 위쪽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 2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각각 수직한 제 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홀더; 및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압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출기는, 상기 홀더에 고정되는 프레임; 상방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호퍼와 연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과 나란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출기는, 상기 호퍼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노즐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을 냉각시키는 하우징 냉각부;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방열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하우징 냉각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을 가열시키는 하우징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빌드 플랫폼은, 상기 노즐의 하측에 구비되는 빌드 플레이트; 및 상기 빌드 플레이트를 냉각시키기 위한 플레이트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냉각부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을 향해 공기를 유동시키고, 상기 방열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출기는, 상기 스크류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 조절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퍼 타입 3D 프린터는, 스크류 타입 압출기를 모듈 형태로 개발하여, 탈부착이 용이하여 쉽게 유지 보수가 가능하므로, 제품 소형화를 통해 가정집, 사무실 또는 부엌 등에서 간편하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퍼 타입 3D 프린터는, 다양한 재료, 특히 혼합 재료를 사용하여 3D 프린팅이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퍼 타입 3D 프린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량의 식품 제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 및 소재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퍼 타입 3D 프린터는 냉각부 및/또는 가열부를 통해 고점도 형태의 재료뿐만 아니라 글루텐, 초콜릿 등과 같이 상온 고체이고,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재료 또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퍼 타입 3D 프린터는 플레이트 냉각부를 통해, 빌드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제작물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퍼 타입 3D 프린터는
또한, 호퍼 타입 3D 프린터는 소모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퍼 타입 3D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퍼 타입 3D 프린터의 압출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퍼 타입 3D 프린터의 압출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류의 측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퍼 타입 3D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호퍼 타입 3D 프린터(100)는 압출기(1)와, 압출기(1)를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이동부(6), 제 2 이동부(7) 및 제 3 이동부(8)와, 베이스 플레이트(91)와, 메인 제어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출기(1)는 상측으로 투입되는 재료를 물리적으로 분쇄하고, 온도를 적절하게 가하여 노즐을 통해 하측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압출기(1)는 제 1 내지 제 3 이동부(6, 7, 8)에 의해, X축, Y축 또는 Z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출기(1)는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하여, 토출되는 재료의 낙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압출기(1)는 Z축으로 이동하여, 빌드 플랫폼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이동부(6)는 X축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제 1 가이드(61)와, 제 1 가이드(6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빌드 플랫폼(62)을 포함할 수 있다. 빌드 플랫폼(62)은 베이스 플레이트(91)를 따라 제 1 방향(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제 1 이동부(6)는 선형 가이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이드(61)는 베이스 플레이트(91)에 평행할 수 있다. 제 1 이동부(6)는 빌드 플랫폼(62)을 이동시키는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원(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빌드 플랫폼(62)은 제 1 가이드(61)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한 빌드 베이스(621)와, 압출기(1)의 노즐으로부터 토출되는 재료를 지지하기 위한 빌드 플레이트(622)를 포함할 수 있다. 빌드 플랫폼(62)은 빌드 플레이트(622)의 하면에 부착되어 빌드 플레이트(622)를 냉각시키기 위한 플레이트 냉각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제 2 이동부(7)는 Y축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제 2 가이드(71)와, 제 2 가이드(7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이동부(7)는 선형 가이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이드(71)는 베이스 플레이트(91)에 직교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71) 및 슬라이더(72)는 제 1 이동부(6)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 이동부(7)는 제 3 이동부(8)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이동부(7)는 제 3 이동부(8)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제 2 이동부(7)는 슬라이더(72)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원(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제 3 이동부(8)는 Z축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제 3 가이드(81)와, 제 3 가이드(8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홀더(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이동부(8)는 선형 가이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가이드(81)는 베이스 플레이트(91)에 평행할 수 있다. 홀더(82)는 압출기(1)를 지지할 수 있다. 압출기(1)는 홀더(82)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 3 이동부(8)는 홀더(82)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원(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홀더(82)는 빌드 플랫폼(62)의 위쪽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 2 방향(Y축 방향)과, 제 1 방향(X축 방향) 및 제 2 방향(Y)축 방향에 각각 수직한 제 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베이스 플레이트(91)는 제 1 내지 제 3 이동부(6, 7, 8) 및 메인 제어부(92)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이동부(6, 7, 8) 및 메인 제어부(92) 각각은 베이스 플레이트(91)에 탈부착 가능하다. 사용자는 베이스 플레이트(91)의 하면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호퍼 타입 3D 프린터(10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메인 제어부(92)는 압출기(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출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92)는 압출기(1)에 구비되는 스크류의 회전 속도, 하우징 냉각부의 냉각 온도 또는 하우징 가열부의 가열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92)는 압출기(1)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거나, 무선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퍼 타입 3D 프린터의 압출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퍼 타입 3D 프린터의 압출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류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압출기(1)는 프레임(10), 호퍼(11), 하우징(12), 스크류(13), 모터(14), 노즐(15), 하우징 냉각부(161), 복수 개의 방열 플레이트(162), 온도 센서(171), 하우징 가열부(172), 수동 조절 핸들(19) 및 보조 제어부(C)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홀더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은 나사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홀더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Z축 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0)은 홀더에 직접 접촉하는 메인 프레임(101)과, 메인 프레임(101)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조 프레임(102, 103, 1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보조 프레임(102)은 모터(14)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 보조 프레임(103)은 호퍼(11)의 상단을 지지하고, 제 3 보조 프레임(104)은 호퍼(11)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제 2 및 제 3 보조 프레임(103, 104)는 호퍼(11)가 상하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호퍼(11)는 상방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호퍼(11)의 개구부를 통해 3D 프린팅을 위한 각종 재료를 투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는 고점도 형태의 재료뿐만 아니라 글루텐, 초콜릿 등과 같이 상온 고체이고,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11)의 개구부는 스크류(13)를 기준으로, 메인 프레임(101)의 반대편에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는 스크류(13) 및 메인 프레임(101)에 의해 가려지지 않을 수 있다. 호퍼(11)는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퍼(11)는 프레임(1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호퍼(11)를 분리하여 호퍼(11) 내측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호퍼(11)는 상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재료를 용이하게 호퍼(11) 내측으로 투입시킬 수 있다. 호퍼(11)는 내측으로 투입된 재료를 하측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11)에는 다양한 재료들이 혼합하여 투입될 수도 있다.
하우징(12)은 호퍼(11)의 하측에 연결되고, 호퍼(11)와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2)은 호퍼(11)의 토출구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은 예를 들어 내부가 비어 있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2)은 Z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2)의 중심 축은 Z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은 노즐(15)을 장착시키기 위한 하우징 커플러(12a)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플러(12a)의 상단부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넓은 형상을 갖고, 하우징 커플러(12a)의 하단부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형상을 갖는다. 노즐(15)은 하우징 커플러(12a)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15)의 상단부의 내측은, 하우징 커플러(12a)의 하단부의 외측과 서로 맞물리는 나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크류(13)는 하우징(12)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스크류(13)는 하우징(12)의 중심 축과 나란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스크류(13)는 하우징(12)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스크류 바디(131)와, 스크류 바디(13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월 돌기(132)와, 스크류 바디(131)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 1 스크류 헤드(133)와, 제 1 스크류 헤드(133)의 상단에 연결되고 제 1 스크류 헤드(133)와 단차를 형성하는 제 2 스크류 헤드(134)와, 제 2 스크류 헤드(134)의 상단에 연결되고 제 2 스크류 헤드(134)와 단차를 형성하는 제 3 스크류 헤드(13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월 돌기(132)는 스크류 바디(131)의 길이 방향 및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바디(131)가 회전하는 동안, 스월 돌기(132)는 하우징(12) 내측으로 투입된 재료들을 분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월 돌기(132)의 외측 단부는 하우징(12)의 내벽과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제 1 스크류 헤드(133) 및 제 2 스크류 헤드(134) 사이의 단차에는 제 2 보조 프레임(103)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스크류 헤드(133)의 상면은 제 2 보조 프레임(10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스크류(13)가 회전하는 동안, 스크류(13)는 제 2 보조 프레임(103)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제 2 스크류 헤드(134) 및 제 3 스크류 헤드(135) 사이의 단차에는 모터 커플러(14a)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 커플러(14a)는 모터(14)의 구동 축과 스크류(13)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제 2 스크류 헤드(134)의 상면은 모터 커플러(14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모터(14)는 스크류(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14)는 구동 축을 스크류(13)에 연결시키는 모터 커플러(14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커플러(14a)의 상단부는 모터(14)의 구동 축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스크류(13)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노즐(15)은 하우징(12)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노즐(15)은 하우징 커플러(12a)의 하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노즐(15)은 호퍼 타입 3D 프린터에서 사용하는 재료가 변경될 경우,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되어, 세척 또는 교환될 수 있다.
하우징 냉각부(161)는 호퍼(11)의 하측에 구비되고, 노즐(15)의 상측에 구비되고, 하우징(12)을 냉각시킬 수 있다. 하우징 냉각부(161)는 예를 들어 하우징(12)의 중심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냉 쿨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냉각부(161)는 하우징(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하우징(12)을 향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하우징 냉각부(161)는 스크류(13)에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킴으로써, 재료가 온도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냉각부(161)는 재료에 따라 냉각 온도가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콜릿과 같이 액화되어야 하는 재료의 경우, 하우징 냉각부(161)의 냉각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방열 플레이트(162)는 하우징(12)의 외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방열 플레이트(162) 각각은 하우징(12)에 의해 중심이 관통된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방열 플레이트(162)는 하우징(12)의 표면적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방열 플레이트(162)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2) 및 하우징 냉각부(161) 사이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하우징(12)을 기준으로 하우징 냉각부(161)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복수 개의 방열 플레이트(162)는 하우징 냉각부(161)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방열 플레이트(162)는 하우징(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센서(171)는 하우징(12)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하우징(12)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171)는 측정된 온도 정보를 보조 제어부(C)로 전송할 수 있다.
하우징 가열부(172)는 하우징(12)을 가열시킬 수 있다. 하우징 가열부(172)는 하우징(12)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 가열부(172)는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가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융점이 높은 상온 고체인 재료의 경우 하우징 가열부(172)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하우징(12)을 가열하여 재료를 액체 상태로 만들 수 있으며, 융점이 낮은 상온 고체인 재료의 경우 하우징 가열부(172)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하우징(12)을 가열하여 재료를 액체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높은 액체 상태의 재료를 사용할 경우, 하우징 가열부(172)는 하우징(12)을 적절하게 가열하여 재료의 점도를 낮출 수 있다.
수동 조절 핸들(19)은 모터(14)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동 조절 핸들(19)을 회전시켜 스크류(13)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수동 조절 핸들(19)을 회전시켜 사용해봄으로써, 사용하려는 재료가 호퍼 타입 3D 프린터에 정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사전 체크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C)는 메인 제어부(92, 도 1 참조)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14), 하우징 냉각부(161) 및 하우징 가열부(172)를 제어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C)는 온도 센서(171)로부터 측정된 온도 정보를 메인 제어부(92)로 전송할 수 있다.
압출기(1)의 하측에는 빌드 플레이트(622) 및 플레이트 냉각부(63)가 구비될 수 있다. 빌드 플레이트(622)는 노즐(15)로부터 토출되는 재료를 지지할 수 있다. 플레이트 냉각부(63)는 빌드 플레이트(622)를 냉각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 냉각부(63)는 예를 들어, 빌드 플레이트(622)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5)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빌드 플랫폼;
    상기 빌드 플랫폼의 위쪽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 2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각각 수직한 제 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홀더; 및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압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출기는,
    상기 홀더에 고정되는 프레임;
    상방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호퍼와 연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과 나란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홀더에 직접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보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보조 프레임은 상기 호퍼의 상단을 지지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보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보조 프레임은 상기 호퍼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 타입 3D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는,
    상기 호퍼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노즐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을 냉각시키는 하우징 냉각부;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방열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하우징 냉각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을 가열시키는 하우징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 타입 3D 프린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빌드 플랫폼은,
    상기 노즐의 하측에 구비되는 빌드 플레이트; 및
    상기 빌드 플레이트를 냉각시키기 위한 플레이트 냉각부를 포함하는 호퍼 타입 3D 프린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냉각부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을 향해 공기를 유동시키고,
    상기 방열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는 호퍼 타입 3D 프린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는,
    상기 스크류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 조절 핸들을 더 포함하는 호퍼 타입 3D 프린터.
KR1020190002936A 2019-01-09 2019-01-09 호퍼 타입 3d 프린터 KR102195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936A KR102195752B1 (ko) 2019-01-09 2019-01-09 호퍼 타입 3d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936A KR102195752B1 (ko) 2019-01-09 2019-01-09 호퍼 타입 3d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483A KR20200092483A (ko) 2020-08-04
KR102195752B1 true KR102195752B1 (ko) 2020-12-29

Family

ID=7204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936A KR102195752B1 (ko) 2019-01-09 2019-01-09 호퍼 타입 3d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7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441A (ko) 2021-01-15 2022-07-22 김주용 3d 프린터용 압출기
KR20220117956A (ko) 2021-02-17 2022-08-25 (주)엘에스비 3d 푸드 프린터용 시린지
KR102464241B1 (ko) 2021-06-14 2022-11-07 김주용 멀티 3d 프린터
KR20230019310A (ko) 2021-07-29 2023-02-08 지니에듀테크 주식회사 3d 프린터용 폐플라스틱 재료 공급장치
KR102525836B1 (ko) 2023-02-20 2023-04-25 장길환 호환성을 개선한 3d 프린터의 호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36987A1 (en) * 2021-08-18 2023-02-22 Revo Foods GmbH 3d print head with screw extrud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7706A1 (en) * 2003-01-09 2004-09-30 Bonjour, Incorporated Power dough and food materials press
KR101741339B1 (ko) * 2015-12-29 2017-05-30 엔젯 주식회사 다기능 3d 프린터
US20170295816A1 (en) * 2016-04-14 2017-10-19 Shanghai Fochif Electromechanical Technology Co., Ltd. 3d food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120A (ko) * 2014-05-02 2015-11-11 주식회사 스카이블루텍 3 d 프린터용 재료공급장치 및 재료공급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7706A1 (en) * 2003-01-09 2004-09-30 Bonjour, Incorporated Power dough and food materials press
KR101741339B1 (ko) * 2015-12-29 2017-05-30 엔젯 주식회사 다기능 3d 프린터
US20170295816A1 (en) * 2016-04-14 2017-10-19 Shanghai Fochif Electromechanical Technology Co., Ltd. 3d food print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441A (ko) 2021-01-15 2022-07-22 김주용 3d 프린터용 압출기
KR20220117956A (ko) 2021-02-17 2022-08-25 (주)엘에스비 3d 푸드 프린터용 시린지
KR102464241B1 (ko) 2021-06-14 2022-11-07 김주용 멀티 3d 프린터
KR20230019310A (ko) 2021-07-29 2023-02-08 지니에듀테크 주식회사 3d 프린터용 폐플라스틱 재료 공급장치
KR102525836B1 (ko) 2023-02-20 2023-04-25 장길환 호환성을 개선한 3d 프린터의 호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483A (ko)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752B1 (ko) 호퍼 타입 3d 프린터
CN212266695U (zh) 便携式3d打印机
BRPI0719106A2 (pt) Dispostivo para uma fabricação em forma de camadas de um objeto tridimensional e um método para suprimento de um material de edificação
US7628600B2 (en) Device for a layerwise manufacturing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CN106827499B (zh) 一种多功能3d打印头
CN209426174U (zh) 一种高精度自动调平用喷头和3d打印机
WO2017184002A1 (en) A 3d printer working platform and a 3d printer containing such a work platform
CN105984133A (zh) 一种多功能3d打印头
WO2023001274A1 (zh) 塑料颗粒挤出装置及3d打印设备
KR20190070154A (ko) 3d 푸드 프린터장치
IT201800020035A1 (it) Dispositivo per la macinatura di materiale vegetale in grani
CN114829110A (zh) 一种具有构建区域的有利几何形状的3d打印设备
JP2013244475A (ja) 遠心機、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機構、及び処理方法
CN105058800A (zh) 一种3d打印机
JP6013490B2 (ja) 押出機
KR101873097B1 (ko) 3차원 프린터
KR100378300B1 (ko) 다용도 분말 충전기
JP2020157752A (ja) 造形装置および造形方法
JP2009002752A (ja) 液体調合装置
KR102432202B1 (ko) 3d 프린터용 압출기
JP2023506361A (ja) ミクロトーム用ブレードクランプ装置
KR102582945B1 (ko) 3d 푸드 프린터용 시린지
KR20160042310A (ko) 노즐 교체형 3d프린터
CN212194235U (zh) 一种多色三维打印机
JP5050100B2 (ja) プラスチック溶融物の粘度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