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152B1 -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152B1
KR102195152B1 KR1020190016826A KR20190016826A KR102195152B1 KR 102195152 B1 KR102195152 B1 KR 102195152B1 KR 1020190016826 A KR1020190016826 A KR 1020190016826A KR 20190016826 A KR20190016826 A KR 20190016826A KR 102195152 B1 KR102195152 B1 KR 102195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olymer
poly
surfactant
polym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994A (ko
Inventor
전민현
김선필
박민정
유석주
김주희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16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1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41/31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7Form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arts or bodies on an electrical element or another base
    • H10N30/074Form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arts or bodies on an electrical element or another base by deposit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layers, e.g. aerosol or screen printing
    • H10N30/077Form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arts or bodies on an electrical element or another base by deposit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layers, e.g. aerosol or screen printing by liquid phase de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01L41/09
    • H01L41/19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7Macromolecular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 막을 이용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PEDOT)과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SS) 상을 분리하여 형성한 전도성 고분자 막을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의 전극의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전극의 산화 방지 및 기계적, 내구성 특성 향상과 전극의 표면 접촉 저항을 줄여주어, 전극에서 열 발생을 막을 뿐 아니라, 전극의 박리 현상도 방지할 수 있어 유연구동기의 전극으로서 효과적인 특성을 갖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및 이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및 이의 제조방법{Electroactive Polymer Flexible Actuator coated conductive polymer with surface active ag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활성 고분자(Electro-Active Polymers, EAPs)는 경량성과 신축성 때문에 많은 공학 분야에서 연구되었다. 전기활성 고분자 구동기 중 하나인 이온성 고분자 금속 복합체(Ionic Polymer-Metal Composites, IPMCs)는 이온전달 특성이 우수한 이온성고분자 전해질 막의 상하 양면에 전자전달 특성이 우수한 금속전극이 입혀진 커패시터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연 구동 변위특성을 가지는 IPMC는 낮은 구동전압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변위를 가지며, 구동기 질량에 비해 큰 전달력을 갖는다. 또한, 변위에 비해 빠른 반응주파수가 출력되며, 공기 중이나 물에서도 구동이 가능하여, 제조공정에 따라 자유로운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소형화과 경량화가 진행될수록 IPMCs의 전극으로는 나노단위의 저차원 물질로 금속 나노와이어(Metal nanowires) 및 탄소계 물질(Carbon materials) 등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나노단위의 저차원 물질은 이온성 고분자와 반데르발스의 약한 결합을 하고 있어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구동 시, 전압과 접촉 저항으로 인해 산화되거나 박리가 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 IPMCs에 인가된 접안에 의해 이온성 고분자 층 내의 이온 수화물들이 전기분해되어 전극의 결함(crack)을 통해 증발하며, 또한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으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더욱더 수분증발을 더 많이 일어나게 된다.
이처럼 전극 표면에 결함과 이온성 고분자 층 내부 물 손실은 이온성 고분자의 동작 제어를 어렵게 하고, 유연구동기의 구동 특성을 저하 시키며 인가전압의 주파수 범위를 제한하기 때문에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의 산업적 응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IPMCs는 큰 변형을 가지고 있으나 그에 비해 낮은 내구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IPMCs의 전극에 다른 재료를 첨가하여 복합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많이 제시되었으나 그 효과는 미미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344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과 폴리설포네이트가 상 분리됨에 따라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 상이 섬유 형태로 변형된 전도성 고분자 막을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의 전극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낮은 접촉 저항을 가짐에 따른 전극의 열 발생 완화 및 내부 수화물 증발을 방지 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극의 산화를 방지 효과와 유연성 및 내구성 특성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 막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제조방법은, 계면활성제와 전도성 고분자로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oly(3,4-ethylene 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이하 'PEDOT:PSS'라고도 함)를 혼합하여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준비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준비 단계, 상기 준비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이온성 고분자 층의 양측 면에 형성된 전극 표면에 코팅하여 전도성 고분자 막을 형성하는 코팅 단계, 및 상기 전도성 고분자 막을 세척하는 세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준비 단계는, 계면활성제 용액을 준비하는 계면활성제 용액 준비 단계 및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에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 준비 단계는, 계면활성제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7 내지 8 중량%를 포함한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제조 방법은 상기 코팅 단계 이후 및 세척 단계 이전에, 상기 전극 표면에 코팅된 전도성 고분자 막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단계는, 상기 코팅 단계를 통해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막에서 상 분리된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SS)만을 선택적으로 용매로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단계에서 사용하는 상기 용매로는 메탄올(Methano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제조 방법은 상기 세척 단계 이후에, 상기 전도성 고분자 막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는, 전술된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이온성 고분자 층, 상기 이온성 고분자 층의 상부 면과 하부 면에 형성된 전극, 및 상기 전극의 표면에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막은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막은 섬유 형태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PEDOT) 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전도성 고분자를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의 전극 표면에 코팅하여 전극의 접촉 저항을 낮추어, 전극에서 발생하는 열이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의 이온성 고분자 층에 전달되는 것을 막을 뿐만 아니라 전극의 표면 산화를 방지시키고, 아울러 전도성 고분자의 상 분리를 통해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높은 내구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준비 단계(S110), 전극 표면에 준비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코팅하여 전도성 고분자 막을 형성하는 단계(S120), 1차 건조 단계(S130), 전도성 고분자 막 세척 단계(S140) 및 2차 건조 단계(S150)과정으로 전도성 고분자 막이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가 제조된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준비 단계(S110)는 계면활성제 용액을 준비하고,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에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을 혼합하여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계면활성제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7 내지 8 중량%를 포함한 용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5 중량%의 계면활성제 용액을 제조하여 준비한다.
준비된 계면활성제 용액과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를 고루 혼합하면,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가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PEDOT) 상과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SS) 상으로 상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이 제조된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막을 형성하는 단계(S120)는 준비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의 전극 표면에 일정 두께로 코팅하여 전도성 고분자 막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코팅 방법으로는 스핀코팅(spincoating) 방법, 드로핑(dropping) 코팅 방법, 저온 기상 증착 방법, 닥터블레이드(Doctor Blade) 방법, 페인트브러싱(paint brushing) 방법 및 스프레이 코팅 방법 및 침지-인상법(Dip coating)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중 스핀 코팅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성 고분자 막을 형성하는 단계(S120)는 고분자 유연구동기의 전극 표면에 스핀 코팅 방법으로 30 초에 2000RPM의 회전속도의 코팅 조건으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코팅시켜 준다.
상기 1차 건조 단계(S130)는 상기 전도성 고분자 막을 형성하는 단계(S120)를 통해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막이 전극 표면에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를 핫플레이트(hot plate)와 같은 열처리가 가능한 기기에 올려놓고 건조시킨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막 세척 단계(S140)는 상 1차 건조된 전도성 고분자 막을 메탄올(methanol)을 통해 세척하여 계면활성제에 의해 상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고 있던 전도성 고분자 막에서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SS) 상을 제거시켜 준다. 여기서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SS) 상이 제거되어 전도성 고분자 막에 남아 있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PEDOT) 상은 섬유형태로 변형된다.
상기 2차 건조 단계(S150)는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SS) 상이 제거된 전도성 고분자 막을 건조시켜, 전도성 고분자 막을 포함하는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를 제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100)는, 이온성 고분자 층(10), 상기 이온성 고분자 층의 상부 면과 하부 면에 각각 형성된 전극(21, 22)과 상기 전극들(21, 22)의 표면에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막(31, 32)이 형성된다.
상기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100)에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막은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에 계면활성제를 통해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 상과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 상으로 상 분리되고, 상 분리된 전도성 고분자에서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 상을 제거하여 남은 섬유 형태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 상이 전극 표면에 부착된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통해 기존 전도성 고분자로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의 뭉쳐져 있는 상을 분리하고, 분리된 상 중에서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 상을 섬유형태로 변형시켜 이를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의 전극의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전극의 박리 및 산화 방지, 기계적 특성 및 변위 특성의 향상과 열 발생 완화 등의 특성을 나타내어,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의 변위 및 내구성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10 : 이온성 고분자 층
21, 22 : 전극
31, 32 : 전도성 고분자 막
100 :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Claims (9)

  1. 계면활성제 용액과 전도성 고분자로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를 혼합하여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준비하는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준비 단계;
    상기 준비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이온성 고분자 층의 양측 면에 형성된 전극 표면에 코팅하여 전도성 고분자 막을 형성하는 코팅 단계; 및
    상기 전도성 고분자 막에서 상 분리된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를 메탄올로 세척하여 제거하는 세척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준비 단계는,
    계면활성제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7 내지 8 중량%를 포함한 계면활성제 용액을 준비하는 계면활성제 용액 준비 단계; 및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에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 이후 및 세척 단계 이전에,
    상기 전극 표면에 코팅된 전도성 고분자 막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단계 이후에,
    상기 세척된 전도성 고분자 막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제조방법.
  8. 이온성 고분자 층;
    상기 이온성 고분자 층의 상부 면과 하부 면에 형성된 전극; 및
    상기 전극의 표면에 형성된 섬유 형태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싸이오펜) 상으로 이루어진 전도성 고분자 막;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 막은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9. 삭제
KR1020190016826A 2019-02-13 2019-02-13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5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826A KR102195152B1 (ko) 2019-02-13 2019-02-13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826A KR102195152B1 (ko) 2019-02-13 2019-02-13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994A KR20200098994A (ko) 2020-08-21
KR102195152B1 true KR102195152B1 (ko) 2020-12-24

Family

ID=7223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826A KR102195152B1 (ko) 2019-02-13 2019-02-13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1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1233A (zh) * 2022-09-07 2023-01-31 浙江理工大学 基于羧基化细菌纤维素的离子型电活性驱动器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987A (ja) * 2003-01-28 2005-06-09 Toppan Forms Co Ltd 導電性高分子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アクチュエータ、イオン導入用パッチラベル並びに生体電極
JP2008086185A (ja) * 2006-08-30 2008-04-10 Eamex Co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442B1 (ko) 2008-09-18 2010-04-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집합체가 혼입된 이온성 고분자 구동기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987A (ja) * 2003-01-28 2005-06-09 Toppan Forms Co Ltd 導電性高分子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アクチュエータ、イオン導入用パッチラベル並びに生体電極
JP2008086185A (ja) * 2006-08-30 2008-04-10 Eamex Co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salegn Alemu et al., Highly conductive PEDOT:PSS electrode by simple film treatment with methanol for ITO-free polymer solar cells,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2012, 5, 9662-967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994A (ko)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Coul et al. Recent advances in stretchable and transparent electronic materials
JP4178148B2 (ja) 固体電気活性駆動機及びその製造方法
US10350795B2 (en) Flexibl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films and methods of making same
WO2010018612A1 (ja) 導電性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9150697A1 (ja) 導電性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539904A2 (en) Structures with surface-embedded additive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KR20140044895A (ko) 투명 전도성 다층 전극 및 관련된 제조 방법
KR102195152B1 (ko)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전기활성 고분자 유연구동기 및 이의 제조방법
US9905332B2 (en)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 and associated production method
CN109279597B (zh) 一种透明石墨烯薄膜的制备方法
US20150280156A1 (en) Transparent electrode and associated production method
DE102010012180A1 (de) Sulfonierte Polyketone als Gegenion leitfähiger Polymere
Foong et al. Structure and properties of nano-confined poly (3-hexylthiophene) in nano-array/polymer hybrid ordered-bulk heterojunction solar cells
Baltakesmez et al. Improved perovskite film quality and solar cell performances using dual single solution coating
Yang et al. Highest‐Efficiency Flexible Perovskite Solar Module by Interface Engineering for Efficient Charge‐Transfer
CN113611437A (zh) 一种全柔性透明薄膜电极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e et al. High‐Efficiency Soft‐Contact‐Laminated Polymer Light‐Emitting Devices with Patterned Electrodes
KR101548612B1 (ko) 소수성 표면에 pedot:pss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및 상기 박막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Zhou et al. Intrinsically stretchable low-dimensional conductors for weara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CN110283346B (zh) 聚合物薄膜及其制备方法和电容器
JP5636185B2 (ja) 対象物の表面に材料を堆積する方法
KR101212958B1 (ko) 탄성체로 이루어진 압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수확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JP2009112100A (ja)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Baek et al. Tuning the electrode work function via a vapor-phase deposited ultrathin polymer film
KR20120002353A (ko) 롤인쇄법을 이용한 유기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