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113B1 -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113B1
KR102195113B1 KR1020200100923A KR20200100923A KR102195113B1 KR 102195113 B1 KR102195113 B1 KR 102195113B1 KR 1020200100923 A KR1020200100923 A KR 1020200100923A KR 20200100923 A KR20200100923 A KR 20200100923A KR 102195113 B1 KR102195113 B1 KR 102195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anger
bolt head
bent protrus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문
김남영
Original Assignee
(주)준형
윤여문
김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준형, 윤여문, 김남영 filed Critical (주)준형
Priority to KR102020010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를 포함하는 일정 구조물을 받치거나 매달아 고정하는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은 강판재를 일정단면으로 절곡한 행거볼트(101)의 볼트머리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절곡돌출부(100)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돌출부 상부면 양단부 사이 일정위치에 행거볼트 결합부(102)를 형성하되, 상기 행거볼트 결합부는 절곡돌출부의 상부면에 행거볼트의 볼트머리를 끼워 넣거나 분리하는 볼트머리삽입홀과; 상기 볼트머리삽입홀에 연결되어 나사부가 구비된 볼트몸체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볼트몸체관통홀과; 상기 볼트몸체관통홀의 하부측에 내삽되는 행거볼트의 볼트머리를 받치거나 고정하는 볼트머리받침판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Bracket for structure installation}
본 발명은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에어콘 실외기를 포함하는 일정 구조물을 건물의 바닥이나 천장 또는 내외벽에 체결장치로 설치하기 위하여 강판재를 펀칭하고 절곡하여 간단한 공정과 간단한 구조로 형성하는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에어콘 실외기를 포함하는 일정형상의 구조물을 체결수단을 통해 받치거나 매달아 설치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종래기술 중에는 한국 등록특허 제10-2048472호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용 프레임 구조체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컨 실외기용 프레임 구조체는 세로 플레이트부(10)와 가로 플레이트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로 플레이트부(20)는 두께를 두껍게 하되 그 방식은 제1가로플레이트(30)와 제2가로플레이트(40)의 이중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 플레이트부(20)는 슬라이딩 볼트수용부(70)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 볼트수용부(70)는 그 내부 공간으로 볼트 머리가 들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적절한 위치에서 다른 프레임이나 다른 기타 구성들을 함께 결속하여 너트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볼트수용부(70)의 공간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는 볼트머리 지지부(75)와 상기 제1가로플레이트(30)와 제2가로플레이트(40)를 지지하는, 한 쌍으로 구비된 지지플레이트(50) 및 상기 한 쌍으로 구비된 지지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60)에 의해 연결되고, 볼트머리가 볼트수용부(70) 공간에 삽입되어 지지부에 걸린 상태에서 몸체가 개방공간으로 돌출되며, 돌출되는 볼트를 볼트 수용부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켜 일정위치에 고정시키고 여기에 다른 프레임이나 다른 기타 구성들을 결합하여 설치할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 볼트수용부(70)에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볼트를 수용할 수 있어서,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에 에어컨 실외기를 결합할 때 실외기의 하방의 다수의 다리에 보다 쉽게 볼트가 슬라이딩 되어 위치를 찾아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에어컨 실외기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더라도 새로이 구멍을 뚫어야 한다거나 잘못 설치한 경우에도 분리가 용이하고 다시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용 프레임 구조체는 슬라이딩 볼트수용부(70)를 한쌍의 수직 지지플레이트(50) 상하 중간부에 연결플레이트(60)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볼트머리 지지부(75, 76)를 한쌍의 수직 지지플레이트의 상하단 수평면을 일정길이 연장하여 형성한 것이어서, 압출성형 공정에 의해서만 제조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강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알루미늄 등의 압출재를 사용하여 제조가 가능한 것이므로, 강판재와 같은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재료를 압출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고강도 알루미늄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콘 실외기를 포함하는 일정 구조물을 건물의 바닥이나 천장 또는 내외벽에 체결장치로 받치거나 매달아 고정 설치하되 강판재를 펀칭하고 절곡하여 간단한 공정과 간단한 구조의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컨 실외기를 포함하는 일정 구조물을 받치거나 매달아 고정하는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은 강판재를 일정단면으로 절곡하여 행거볼트(101)의 볼트머리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절곡돌출부(100)를 형성하고 상기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일단 또는 양단사이 내측 절곡돌출부의 상면 일정위치에 행거볼트 결합부(102)를 형성하되, 상기 행거볼트 결합부는 절곡돌출부의 내측에 행거볼트의 볼트머리를 끼워 넣거나 분리하는 볼트머리삽입홀(103)과; 상기 볼트머리삽입홀에 연결되어 나사부가 구비된 볼트몸체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볼트몸체관통홀(104)과; 상기 볼트몸체관통홀의 하부측에 수용되는 행거볼트의 볼트머리를 받치거나 고정하는 볼트머리받침판(106)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을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절곡돌출부(100)는 강판재를
Figure 112020084660796-pat00001
자형 단면 또는
Figure 112020084660796-pat00002
자형 단면으로 절곡하여 강판재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Figure 112020084660796-pat00003
자형 단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볼트머리삽입홀(103)은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행거볼트(101)의 볼트머리를 헐거운 상태로 통과시켜 행거볼트 결합부에 행거볼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절곡돌출부의 상부면 양단부 사이 일정위치에 일정면적과 일정형상의 관통 구멍으로 형성하며, 상기 볼트몸체관통홀(104)은
Figure 112020084660796-pat00004
자형의 절곡돌출부(100) 상부면 폭방향 중앙에 볼트머리삽입홀의 일측과 연결하여 일정폭과 일정길이의 장홀로 형성하되, 상기 장홀의 폭은 체결되는 행거볼트의 나사부가 헐거운 끼움 상태로 통과하고, 볼트머리는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볼트머리받침판(106)은 절곡돌출부(100)의 양 수직측면 하부측에
Figure 112020084660796-pat00005
자형의 절개부(105)를 일정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의 내면적을 양 수직측면 내측으로 밀어서 직각으로 절곡하여 행거 결합부의 바닥면과 동일한 수평면으로 형성하며,
Figure 112020084660796-pat00006
자형 절곡돌출부의 양 수직측면 하단부에 대칭으로 형성하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볼트머리받침판과 볼트머리받침판 사이에 행거볼트의 나사부 몸체가 헐거운 상태로 통과하고 볼트머리는 통과되지 않은 간격의 공간(107)을 형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강판재를 절곡하여
Figure 112020084660796-pat00007
자형 절곡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상부면에 설치위치 조정이 가능한 행거볼트를 결합하는 행거볼트 결합부를 펀칭과 절곡 공정으로 통해 간단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행거볼트 결합부를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단부 내측에 형성하여,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단부를 건물벽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행거볼트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길이방향 일측단 또는 양측단을 건물벽에 지지하고 브라켓에 설치되는 일정 구조물의 진동 등에 의해 브라켓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행거볼트 결합부에 한쌍의 볼트머리받침판에 행거볼트의 볼트머리 후단을 받쳐서 지지하도록 설치하거나, 한쌍의 볼트머리받침판 사이 공간을 통해 행거볼트의 나사부 몸체가 통과되고 행거볼트의 볼트머리 내측이 걸려서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가 가능하여 행거볼트 결합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구조물을 받치거나 매달아 고정할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용 프레임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행거볼트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에 행거볼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행거볼트 결합부의 뒷면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행거볼트 결합부에서 복수열의 절곡돌출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절곡돌출부 상부면에 에어컨 실외기를 올려놓고 실외기 받침대와 결합하여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볼트머리받침판의 상부면에 에어컨 실외기를 올려놓고 실외기 받침대와 결합하여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실시예와 균등한 기술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은 기술적 구성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촬영한 사진을 첨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를 포함하는 일정 구조물을 행거볼트로 받치거나 매달아 고정하는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두께, 일정폭 및 일정길이를 가지는 강판재를 일정단면으로 절곡하여 절곡돌출부(100)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돌출부의 일정위치에 행거볼트(101)를 설치하여 에어컨 실외기를 포함하는 일정 구조물을 받치거나 매달아 고정하는 행거볼트 결합부(102)를 펀칭과 절곡 공정을 통해 형성한다.
상기 행거볼트(101)는 육각머리 또는 4각머리 볼트로 이루어지는 공지된 규격품을 사용하되, 행거볼트의 종류는 고정되는 일정 구조물의 중량 및 형상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행거볼트 결합부(10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재를 일정단면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행거볼트의 볼트머리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절곡돌출부(100)의 일단 또는 양단 사이 일정위치에 형성한다. 즉, 상기 행거볼트 결합부는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일단 또는 양단사이 내측 일정위치에 형성하는 것이다.
이처럼 행거볼트 결합부(102)을 절곡돌출부(100)의 일단 또는 양단 사이 내측 일정위치에 형성함으로써,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단부의 일단 또는 양단을 건물벽에 지지하는 상태로 설치가 가능하여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에 설치되는 에어컨 실외기를 포함하는 일정 구조물이 진동 등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 또는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 구조물과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행거볼트 결합부(102)는 상기 절곡돌출부(100)의 상부면에 행거볼트의 볼트머리를 끼워 넣거나 분리하는 볼트머리삽입홀(103)과; 상기 볼트머리삽입홀에 연결되어 나사부가 구비된 볼트몸체를 관통시켜 설치하는 볼트몸체관통홀(104)과; 상기 볼트몸체관통홀의 하부측에 내삽되는 행거볼트의 볼트머리를 받치거나 고정하는 볼트머리받침판(106)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절곡돌출부(100)는 도 2(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면을 가지는 일정길이의 강판재를
Figure 112020084660796-pat00008
자형 단면으로 절곡하여 행거볼트 머리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Figure 112020084660796-pat00009
자형 절곡돌출부를 일렬로 연장하여 형성하거나,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Figure 112020084660796-pat00010
자형 단면으로 절곡하여 복수열의 절곡돌출부를 열을 이루어 형성하되 중앙에 위치하는
Figure 112020084660796-pat00011
자형 절곡돌출부는 행거볼트의 볼트머리가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 절곡돌출부는 위 모양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모양의 단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강판재의 재료가 동일한 경우 일렬의
Figure 112020084660796-pat00012
자형 절곡돌출부가 구비된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에는 저하중의 구조물을 받치거나 매달아 설치할 수 있고,
Figure 112020084660796-pat00013
자형 절곡돌출부가 구비되는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에는 일렬의 절곡돌출부가 형성된 브라켓에 비해 고하중의 구조물을 받치거나 매달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강판재에 일렬로 형성되는
Figure 112020084660796-pat00014
자형의 절곡돌출부(100) 또는 강판재에 복수열로 형성되는
Figure 112020084660796-pat00015
자형 절곡돌출부는 도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Figure 112020084660796-pat00016
자형 단면의 상부면폭(b)과 수직측면높이(h)는 설치되는 행거볼트(101)의 볼트머리를 기준으로 볼트머리가 헐거운 상태로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곡돌출부(100)의 상부면폭(b)은 행거볼트의 볼트머리 대변이 헐거운 상태로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하여 행거볼트의 볼트머리를 절곡돌출부(100) 내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행거볼트를 절곡돌출부의 길이방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행거볼트 몸체의 나사부에 너트를 결합할 때 볼트머리의 회전이 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수직측면높이(h)는 체결되는 행거볼트(101)의 머리높이가 헐거운 상태로 끼워지는 크기로 형성하여 행거볼트의 볼트머리를 절곡돌출부(100) 내측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절곡돌출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정 구조물과의 결합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행거볼트(101)의 볼트머리삽입홀(10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행거볼트의 볼트머리를 기준으로 볼트머리를 헐거운 상태로 통과시켜, 행거볼트 결합부에 행거볼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일정폭과 일정길이의 관통 구멍으로 형성한다.
상기 볼트몸체관통홀(104)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돌출부(100)의 상부면폭의 중앙부에 볼트머리삽입홀(103)의 일측과 연결시켜 일정폭과 일정길이의 장홀로 형성하되, 상기 장홀의 폭은 체결되는 행거볼트의 나사부 외경을 기준으로 나사부가 헐거운 끼움 상태로 통과하는 크기로 형성하고, 볼트머리는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 볼트머리받침판(10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돌출부(100)의 양 수직측면 하부측에
Figure 112020084660796-pat00017
자형의 절개부(105)를 일정길이로 형성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105)의 내면적을 양 수직측면 내측으로 밀어서 직각으로 절곡하여 행거 결합부의 바닥면과 동일한 수평면으로 형성한다.
상기 절개부(10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의 절개부(105)와 절개부(105) 사이에 수직측면을 일정폭으로 잔류시킨 연결부(108)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에 의해 행거볼트의 볼트머리를 통해 일정 구조물의 중량이 집중하중 형태로 전달되어 발생되는 볼트머리받침판(106)의 처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Figure 112020084660796-pat00018
자형 절곡돌출부(100)의 양 수직측면 하단부 일정면적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쌍으로 형성되는 볼트머리받침판(106)은 도 4,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Figure 112020084660796-pat00019
자형 절곡돌출부(100)의 양 수직측면 하단부에 대칭으로 형성하되, 볼트머리받침판과 볼트머리받침판 사이에 행거볼트의 나사부 몸체가 헐거운 상태로 통과하고 볼트머리는 통과되지 않은 간격의 공간(107)을 형성한다.
상술한 구조의 쌍으로 형성되는 볼트머리받침판(106)을 통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행거볼트의 볼트머리 후단을 받쳐서 지지하도록 설치하거나, 한쌍의 볼트머리받침판 사이 공간을 통해 행거볼트의 나사부 몸체가 통과되고 행거볼트의 볼트머리 내측이 볼트머리받침판에 걸려서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하여, 행거볼트 결합부(102)의 전면 또는 후면에 일정구조물을 받치거나 매달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컨 실외기를 실외기 받침대에 설치하는 경우,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을 실외기 받침대의 상단부에 결합하고 여기에 에어컨 실외기를 설치하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절곡돌출부 상면에 에어컨 실외기를 올려놓고, 행거볼트(101)를 한쌍의 볼트머리받침판(106)을 통해 볼트머리 후단을 받쳐서 지지하는 구조로 설치하거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후면 볼트머리받침판에 에어컨 실외기를 올려놓고 행거볼트의 나사부 몸체가 한쌍의 볼트머리받침판 사이 공간을 통해 통과되고 행거볼트의 볼트머리 내측이 볼트머리받침판에 걸려서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절곡돌출부 101 : 행거볼트
102 : 행거볼트 결합부 103 : 볼트머리삽입홀
104 : 볼트몸체관통홀 105 : 절개부
106 : 볼트머리받침판 107 : 공간
108 : 연결부

Claims (4)

  1. 에어컨 실외기를 포함하는 일정 구조물을 받치거나 매달아 고정하는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은 강판재를
    Figure 112020115076499-pat00034
    자형 또는
    Figure 112020115076499-pat00035
    자형 단면으로 절곡하여 행거볼트(101)의 볼트머리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Figure 112020115076499-pat00036
    자형의 절곡돌출부(100)를 형성하고, 상기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의 일단 또는 양단사이 내측 절곡돌출부의 상면 일정위치에 행거볼트 결합부(102)를 형성하되,
    상기 행거볼트 결합부는 절곡돌출부의 내측에 행거볼트의 볼트머리를 끼워 넣거나 분리하는 볼트머리삽입홀(103)과; 상기 볼트머리삽입홀에 연결되어 나사부가 구비된 볼트몸체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볼트몸체관통홀(104)과; 상기 볼트몸체관통홀의 하부측에 수용되는 행거볼트의 볼트머리를 받치거나 고정하는 볼트머리받침판(106)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머리삽입홀(103)은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행거볼트(101)의 볼트머리를 헐거운 상태로 통과시켜 행거볼트 결합부에 행거볼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절곡돌출부의 상부면 양단 사이 일정위치에 일정면적과 일정형상의 관통 구멍으로 형성하고,
    상기 볼트몸체관통홀(104)은
    Figure 112020084660796-pat00023
    자형의 절곡돌출부(100) 상부면 폭방향 중앙에 볼트머리삽입홀의 일측과 연결하여 일정폭과 일정길이의 장홀로 형성하되, 상기 장홀의 폭은 체결되는 행거볼트의 나사부가 헐거운 끼움 상태로 통과하고, 볼트머리는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머리받침판(106)은 절곡돌출부(100)의 양 수직측면 하부측에
    Figure 112020084660796-pat00024
    자형의 절개부(105)를 일정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의 내면적을 양 수직측면 내측으로 밀어서 직각으로 절곡하여 행거 결합부의 바닥면과 동일한 수평면으로 형성하며,
    Figure 112020084660796-pat00025
    자형 절곡돌출부의 양 수직측면 하단부에 대칭으로 형성하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볼트머리받침판과 볼트머리받침판 사이에 행거볼트의 나사부 몸체가 헐거운 상태로 통과하고 볼트머리는 통과되지 않은 간격의 공간(10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
KR1020200100923A 2020-08-12 2020-08-12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 KR102195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923A KR102195113B1 (ko) 2020-08-12 2020-08-12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923A KR102195113B1 (ko) 2020-08-12 2020-08-12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113B1 true KR102195113B1 (ko) 2020-12-24

Family

ID=7408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923A KR102195113B1 (ko) 2020-08-12 2020-08-12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638B1 (ko) 2021-09-16 2022-06-10 김의진 엘리베이터 에어컨 설치용 고정브라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155U (ko) * 1998-11-23 1999-02-25 정태균 판소재의 체결부 구조
JP3065591U (ja) * 1999-07-08 2000-02-02 隆 新井 空調機械用防振架台
JP2009168286A (ja) * 2008-01-11 2009-07-30 Daikin Ind Ltd エアコン置台
KR20180120423A (ko) * 2017-04-27 2018-11-06 김준래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155U (ko) * 1998-11-23 1999-02-25 정태균 판소재의 체결부 구조
JP3065591U (ja) * 1999-07-08 2000-02-02 隆 新井 空調機械用防振架台
JP2009168286A (ja) * 2008-01-11 2009-07-30 Daikin Ind Ltd エアコン置台
KR20180120423A (ko) * 2017-04-27 2018-11-06 김준래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638B1 (ko) 2021-09-16 2022-06-10 김의진 엘리베이터 에어컨 설치용 고정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7445A (en) Self-aligning joist hanger for structural steel framing
US7805904B2 (en) Ceiling grid spanner
US20210047826A1 (en) Panel system and support member for use with the same
US9096998B2 (en) Ceiling system with ceiling element mounting brackets
KR102195113B1 (ko) 구조물 설치용 브라켓
JP6723060B6 (ja) 天井補強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09797898B (zh) 一种房屋吊顶结构
JP4460874B2 (ja) 天井装置
JP6510778B2 (ja) 天井用ランナー及び軽量鉄骨天井構造
CN213509159U (zh) 一种可调式电器主机安装结构
CN113513873A (zh) 一种冰箱
CN212078419U (zh) 高稳定性吊筋
CA2372359A1 (en) Duct hanger
JP6264604B2 (ja) 吊り天井構造及び吊り部材接続用金具
JPH09296940A (ja) エアコン室外機の取付装置
JP6001408B2 (ja) 耐震クリップ
JP4966118B2 (ja) 軒先構造
CN218815096U (zh) 一种悬挑支撑平台
CN217683569U (zh) 一种轻型件防坠支架
CN218176487U (zh) 锚栓固定式外挑挂架结构
CN217482871U (zh) 一种空调内机可调节式安装支架
JP7152754B2 (ja) 野縁受けハンガー
JP3231006U (ja) システム天井における天井材の取付構造
CN217299567U (zh) 墙板组件及电视安装结构
CN220809310U (zh) 一种吸顶预挂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