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796B1 - 동물 소음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동물 소음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796B1
KR102194796B1 KR1020190048406A KR20190048406A KR102194796B1 KR 102194796 B1 KR102194796 B1 KR 102194796B1 KR 1020190048406 A KR1020190048406 A KR 1020190048406A KR 20190048406 A KR20190048406 A KR 20190048406A KR 102194796 B1 KR102194796 B1 KR 102194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ource
animal
db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927A (ko
Inventor
유용길
김연섭
Original Assignee
(주) 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번영 filed Critical (주) 번영
Priority to KR1020190048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796B1/ko
Priority to PCT/KR2020/005515 priority patent/WO2020218905A1/ko
Publication of KR2020012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1Electronic trai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ogs or cats
    • A01K15/022Anti-bar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2Damping 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ducers, e.g. motional feedback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소음 저감 장치는 노이즈 소스를 포함하는 입력 소스를 감지하는 센싱부, 입력 소스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주파수 특성을 기초로 입력 소스에서 노이즈 소스를 추출하는 노이즈 추출부, 노이즈 소스를 상쇄하는 안티 노이즈 소스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안티 노이즈 소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동물의 짖음, 하울링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능동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동물 소음 저감 장치{THE APPARATUS FOR DECREASING ANIMAL'S NOISE}
본 발명은 동물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물의 소음을 능동적으로 상쇄시키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물 좋아하는 동물 애호가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특히, 강아지를 좋아하는 애견가들이 상당히 증가했다. 애견가들은 본인 들의 취향에 따라 양육하는 동물의 종류도 다양하다. 동물은 기분이나, 상황에 따라 울음소리 등으로 의사 표현을 한다. 보통 애견가들이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에 거주하기 때문에, 동물의 울음 소리 등으로 인한 소음은 이웃에게 피해를 주어 분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동물의 울음 소리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 충격, 가스 분사, 초음파 출력 등의 기술이 이용된다. 그러나, 전기 충격은 비인도적 방식이어서 문제된다. 가스 분사는 반려견이 싫어하는 가스를 분사하는 방식이나, 이는 가스의 유해성 문제와 가스를 주기적으로 충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초음파 출력은 반려견이 싫어할 만한 초음파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방식이나, 반려견이 적응하면 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443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노이즈 소스를 포함하는 입력 소스를 감지하는 센싱부, 입력 소스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주파수 특성을 기초로 입력 소스에서 노이즈 소스를 추출하는 노이즈 추출부, 노이즈 소스를 상쇄하는 안티 노이즈 소스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안티 노이즈 소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이즈 추출부는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에 포함되는 입력 소스를 노이즈 소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파수 특성은 적어도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입력 소스에 가중치를 더한 소음 레벨(dBA)을 산출하는 청감 보정 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노이즈 추출부는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에 포함되는 입력 소스를 노이즈 소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은 60dBA이상 90 dB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파수 특성 범위 또는 소음 레벨(dBA)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싱부는 마이크로폰 및 진동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생성부는 Filtered-x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안티 노이즈 소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석부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이즈 소스는 동물의 짖음 또는 하울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물의 짖음, 하울링 등으로 발생하는 노이즈 소스를 효과적으로 추출하고, 이를 능동적으로 상쇄시켜, 동물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 소스(I)의 주파수 특성에 가중치를 더하여 소음 레벨(Dba)을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는 사람의 청감을 반영하여, 스트레스, 고통을 주는 소음을 선별적으로 추출하여 상쇄시킬 수 있다.
또한, 설정부는 상쇄 대상인 노이즈 소스(N)의 주파수 특성 범위(값) 및 소음 레벨(dBA) 범위(값)를 사전에 설정하여, 동물 종류, 거주 상황 등에 맞게 상쇄 대상인 노이즈 소스(N)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소음 저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물 소음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물 소음 저감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감 보정 회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동물 소음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노이즈 추출부의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노이즈 추출부의 제 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노이즈 추출부의 제 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는 동물 소음을 능동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 센싱부(100), 분석부(200), 노이즈 추출부(300), 생성부(400) 및 출력부(500)를 포함한다. 센싱부(100)는 입력 소스(I)를 감지하고, 분석부(200)는 입력 소스(I)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다. 노이즈 추출부(300)는 주파수 특성을 기초로 입력 소스(I) 중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한다. 생성부(400)는 노이즈 소스(N)를 기초로, 180도 위상 차이 나는 안티 노이즈 소스(AN)를 생성한다. 출력부(500)는 안티 노이즈 소스(AN)를 출력한다. 따라서, 노이즈 소스(N)는 안티 노이즈 소스(AN)에 의해 상쇄되어 동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센싱부(100)는 동물의 짖음, 하울링, 헐떡거림, 으르렁거림 등으로 발생하는 입력 소스(I)를 감지한다. 입력 소스(I)는 동물이 스스로 발생시키거나, 동물이 위치하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원일 수 있다. 즉, 입력 소스(I)는 다양한 주파수 성분의 소리원(I1, I2, I3, … , IN)을 포함할 수 있다. 노이즈 소스(N)는 입력 소스(I) 중 동물의 짖음 등에 의해 사람에게 소음으로 인식되는 상쇄(저감) 대상인 주파수 성분의 소리원을 말한다.
노이즈 소스(N)는 동물의 짖음, 하울링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즉, 노이즈 소스(N)는 동물의 짖음에 대응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노이즈 소스(N)는 하울링에 대응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소스(N)는 동물의 짖음, 하울링 등에 해당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동물이 짖는 경우, 노이즈 소스(N)는 적어도 특정 범위의 주파수 및 특정 범위의 진폭을 가지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노이즈 소스(N)는 특정 값의 주파수 및 특정 값의 진폭을 가지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노이즈 소스(N)는 동물의 종류, 크기(소형, 중형, 대형), 성별, 소리 발생 상황(짖음, 하울링 등)에 따른 다수의 주파수 특성(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는 다수의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미표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특성은 적어도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주파수 특성은 위상, 소음의 시작점과 종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센싱부(100)는 마이크로폰(110) 및 진동 센서(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10)은 소리의 음파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꾼다. 마이크로폰(110)은 크게 다이내믹 마이크와 콘덴서 마이크를 포함한다. 진동 센서(130)는 성대의 움직임으로 인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센서(130)는 적어도 동물의 짖음으로 인한 마이크로폰(110)의 감지 보다 먼저 입력 소스(I)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00)는 동물의 목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센서(130)는 적어도 동물의 짖음으로 인한 마이크로폰(110)의 감지 보다 먼저 입력 소스(I)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센서(130)는 애완 동물(11)의 직접적인 소리 발생(짖음 등)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센서(130)와 마이크로폰(110)을 함께 배치하는 경우, 애완 동물(11)의 짖음 등으로 인한 상쇄 대상인 노이즈 소스(N)가 더 정확하게 추출될 수 있다. 즉, 진동 센서(130)와 마이크로폰(110) 각각의 입력 소스(I)를 활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분석부(200)는 입력 소스(I)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다. 입력 소스(I)는 동물의 짖음, 하울링 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발생하는 잡음으로 인한 다양한 주파수 성분을 포함한다. 그 중, 사람에게 소음으로 인식되는 주파수 성분인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하기 위해서, 분석부(200)는 입력 소스(I)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부(200)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FFT(Fast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은 함수의 근사값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이다. 푸리에 변환에 근거하여 근사공식을 이용한 이산푸리에변환을 계산할 때 연산횟수를 줄여 빠른 신호 처리가 가능하다.
노이즈 추출부(300)는 주파수 특성을 기초로 입력 소스(I)에서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한다. 일 실시 예로, 노이즈 추출부(300)는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에 포함되는 입력 소스(I)를 노이즈 소스(N)로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소스(I)는 다수의 주파수 성분을 가질 수 있고, 다수의 주파수 성분 중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특정 범위 주파수, 특정 범위 진폭 등)에 포함되는 주파수 성분은 노이즈 소스(N)로 추출된다. 물론, 주파수 특성 범위 대신 주파수 특성의 특정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생성부(400)는 노이즈 소스(N)를 상쇄하는 안티 노이즈 소스(AN)를 생성한다. 생성부(400)는 Filtered-x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Filtered-x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은 생성부(400)에 포함된 low pass filter, 파워 증폭기 및 출력부(500)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출력부(500)는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안티 노이즈 소스(AN)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노이즈 소스(N)는 안티 노이즈 소스(AN)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 소스(I)는 다양한 주파수 성분(I1, I2, I3, … ,IN)을 포함한다. 따라서, 동물에 의해 발생되고, 사람에게 소음으로 인식되는 주파수 성분, 즉, 노이즈 소스(N)가 추출되어야 한다. 노이즈 추출부(300)는 다양한 주파수 성분(I1, I2, I3, … ,IN) 중에서 특정 조건의 주파수 성분인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한다. 생성부(400)는 오차 성분을 고려하여, 노이즈 소스(N)에 대응하는 안티 노이즈 소스(AN)를 생성한다. 즉, 안티 노이즈 소스(AN)는 노이즈 소스(N)의 반전 파형을 가진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감 보정 회로부(600)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는 청감 보정 회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감 보정 회로부(600)는 분석부(200)에서 분석된 입력 소스(I)에 가중치를 더하여 소음 레벨(dBA)을 산출한다. 소음 레벨은 가중치에 따라 A 보정(dBA, 파란색), B 보정(dBB, 노란색) 및 C 보정(dBC, 빨강색)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여기서의 소음 레벨(dBA)는 A보정에 따른 것이다.
센싱부(100)는 기계적으로 음압을 측정한다. 즉, 센싱부(100)는 특정 주파수와 진폭을 가지는 소리를 측정할 수 있다. 소리의 세기는 주파수가 클수록 커진다. 그러나, 사람은 주파수가 1000Hz에서 민감도 높고, 주파수가 작을수록 무뎌진다. 즉, 사람은 주파수에 따라서 들을 수 있는 감도가 달라진다. 이를 반영하여 주파수 마다 센싱부(100)에서 측정된 값에 가중치를 더한 소음 레벨(dBA)을 산출한다. 따라서, 소음 레벨(dBA)을 이용하면, 사람에게 실질적으로 소음으로 느껴지는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할 수 있다.
노이즈 추출부(300)는 다른 실시 예로 소음 레벨(dBA)을 이용하여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노이즈 추출부(300)는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에 포함되는 입력 소스(I)를 노이즈 소스(N)로 추출할 수 있다. 소음 레벨(dBA)의 설정에 관한 설명은 위 주파수 특성 설정에 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예컨대, 애견의 짖음이나, 하울링의 경우 소음 레벨(dBA)이 60 dBA 이상 90 dBA 이하로 측정된다. 따라서, 노이즈 소스(N) 추출을 위해, 소음 레벨(dBA)은 사전에 60 dBA 이상 90 dBA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위 소음 레벨(dBA) 구간은 사람에게 불쾌감 및 고통을 주는 정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는 설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700)는 주파수 특성 범위(값) 및 소음 레벨(dBA)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부(700)는 사전에 주파수 특성 범위(값)을 1개 또는 복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700)는 사전에 소음 레벨(dBA)을 1개 또는 복수로 설정할 수 있다. 노이즈 추출부(300)는 설정부(700)의 설정에 따라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노이즈 추출부(300)의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 5 및 6을 참조하면, 센싱부(100)는 동물의 짖음, 하울링 등으로 인한 입력 소스(I)를 감지한다(S110). 분석부(200)는 입력 소스(I)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다(S120). 노이즈 추출부(300)는 입력 소스(I)에 포함된 다수의 주파수 성분 중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값)에 포함되는 주파수 성분을 노이즈 소스(N)로 추출한다(S130). 예컨대, 노이즈 추출부(300)는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값)에 포함되는 주파수 성분들을 노이즈 소스(N)로 추출한다(S220, S230). 포함되지 않는 주파수 성분은 일상 잡음 등으로 판단되어 추출하지 않는다.
생성부(400)는 노이즈 소스(N) 파형에 대응하여 반전된 파형을 가지는 안티 노이즈 소스(N)를 생성한다(S140). 출력부(500)는 안티 노이즈 소스(N)를 출력하여 노이즈 소스(N)를 상쇄시킨다(S150).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노이즈 추출부(300)의 제 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 및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로, 분석부(200)에서 입력 소스(I)의 주파수 특성이 입력되면(S310), 청감 보정 회로부(600)는 소음 레벨(dBA)을 산출한다(S320). 노이즈 추출부(300)는 산출된 소음 레벨(Dba)이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값)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노이즈 추출부(300)는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값)에 포함되는 입력 소스(I)의 주파수 성분들을 노이즈 소스(N)로 추출한다.(S340).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노이즈 추출부(300)의 제 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및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로, 분석부(200)에서 입력 소스(I)의 주파수 특성이 입력되면(S410), 청감 보정 회로부(600)는 주파수 특성에 가중치를 더하여 소음 레벨(dBA)를 산출한다(S430). 노이즈 추출부(300)는 입력된 주파수 특성이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값)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또한, 노이즈 추출부(300)는 산출된 소음 레벨(dBA)이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값)에 포함되는 여부를 판단한다(S440). 노이즈 추출부(300)는 입력 소스(I)의 주파수 성분 중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값) 및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값)에 포함되는 주파수 성분을 노이즈 소스(N)로 추출한다(S450). 이로써, 입력 소스(I) 중 동물의 짖음 등으로 발생하고, 사람에게 소음(스트레스)으로 인식되는 노이즈 소스(N) 만을 효과적이고 정밀하게 추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동물 소음 저감 장치
100 : 센싱부
200 : 분석부
300 : 노이즈 추출부
400 : 생성부
500 : 출력부
600 : 청감 보정 회로부
700 : 설정부
I : 입력 소스
N : 노이즈 소스
AN : 안티 노이즈 소스

Claims (10)

  1. 노이즈 소스를 포함하는 입력 소스를 감지하는 센싱부;
    입력 소스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주파수 특성을 기초로 입력 소스에서 노이즈 소스를 추출하는 노이즈 추출부;
    노이즈 소스를 상쇄하는 안티 노이즈 소스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안티 노이즈 소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입력 소스에 가중치를 더한 소음 레벨(dBA)을 산출하는 청감 보정 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노이즈 추출부는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에 포함되는 입력 소스를 노이즈 소스로 추출하고,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는 60dBA이상 90 dBA 이하이며,
    분석부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FFT 알고리즘은 푸리에 변환에 근거하여 근사공식을 이용한 이산푸리에변환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노이즈 추출부는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에 포함되는 입력 소스를 노이즈 소스로 추출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주파수 특성은 적어도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주파수 특성 범위 또는 소음 레벨(dBA)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센싱부는 마이크로폰 및 진동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8.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생성부는 Filtered-x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안티 노이즈 소스를 생성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9. 삭제
  10.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노이즈 소스는 동물의 짖음 또는 하울링으로 발생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KR1020190048406A 2019-04-25 2019-04-25 동물 소음 저감 장치 KR102194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406A KR102194796B1 (ko) 2019-04-25 2019-04-25 동물 소음 저감 장치
PCT/KR2020/005515 WO2020218905A1 (ko) 2019-04-25 2020-04-27 동물 소음 저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애완 동물 소음 저감용 목걸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406A KR102194796B1 (ko) 2019-04-25 2019-04-25 동물 소음 저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927A KR20200124927A (ko) 2020-11-04
KR102194796B1 true KR102194796B1 (ko) 2020-12-23

Family

ID=7357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406A KR102194796B1 (ko) 2019-04-25 2019-04-25 동물 소음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7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1985A4 (en) 2020-11-06 2024-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NOISE DETECTION MODULE
WO2022098082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노이즈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386B1 (ko) 2016-12-07 2017-03-30 송수한 이동형 자동급식 장치, 반려동물 케어 로봇,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4743B2 (ja) * 2006-11-13 2014-08-06 ソニー株式会社 ノイズキャンセル用のフィルタ回路、ノイズ低減信号生成方法、およびノイズキャンセリングシステム
KR20110014283A (ko) * 2009-08-05 2011-02-11 신수현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애견짖음방지기 모듈
KR101602703B1 (ko) 2014-07-29 2016-03-11 엄윤주 애완동물소음 감소장치
KR20180059684A (ko) * 2016-11-26 2018-06-05 홍동현 노이즈 캔슬링을 이용한 반려견 짖음 소음을 제거하는 목걸이
KR101991093B1 (ko) * 2017-03-06 2019-06-19 주식회사 씨앤디마이크로 동물 짖음 방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386B1 (ko) 2016-12-07 2017-03-30 송수한 이동형 자동급식 장치, 반려동물 케어 로봇,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927A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stelein et al. Effect of level, duration, and inter-pulse interval of 1–2 kHz sonar signal exposures on harbor porpoise hearing
KR102162588B1 (ko) 애완 동물 소음 저감용 목걸이 기구
EP3529800B1 (en) Headphone off-ear detection
Heffner et al. Hearing ranges of laboratory animals
KR102194796B1 (ko) 동물 소음 저감 장치
Roian Egnor et al. Noise‐induced vocal modulation in cotton‐top tamarins (Saguinus oedipus)
Feng et al. Noseleaf dynamics during pulse emission in horseshoe bats
Garcia et al. Temporal and spectral analyses reveal individual variation in a non‐vocal acoustic display: The drumming display of the ruffed grouse (Bonasa umbellus, L.)
Kastelein et al. Hearing thresholds of a male and a female harbor porpoise (Phocoena phocoena)
MX2021006078A (es) Metodo para monitorear una instalacion ganadera y/o animales de ganado en una instalacion ganadera usando tecnicas de procesamiento de sonido mejoradas.
Grabarczyk et al. Anthropogenic noise affects male house wren response to but not detection of territorial intruders
Tougaard et al. Why is auditory frequency weighting so important in regulation of underwater noise?
Kastelein et al. Effects of exposure to intermittent and continuous 6–7 kHz sonar sweeps on harbor porpoise (Phocoena phocoena) hearing
US114063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motional state of pet
Nachtigall et al. Conditioned hearing sensitivity reduction in a bottlenose dolphin (Tursiops truncatus)
Mahjoub et al. Using a “sonic net” to deter pest bird species: excluding European starlings from food sources by disrupting their acoustic communication
Aubin et al. Mother vocal recognition in Antarctic fur seal Arctocephalus gazella pups: a two-step process
Stritih et al. The role of frequency in vibrational communication of Orthoptera
Čokl et al. Interference of overlapping insect vibratory communication signals: an Eushistus heros model
Kastelein et al. Temporary Hearing Threshold Shift in Harbor Porpoises (Phocoena phocoena) Due to One-Sixth Octave Noise Band at 16 kHz.
Ruser et al. Assessing auditory evoked potentials of wild harbor porpoises (Phocoena phocoena)
Kastelein et al. Effects of exposure to sonar playback sounds (3.5–4.1 kHz) on harbor porpoise (Phocoena phocoena) hearing
Nachtigall et al. Conditioned frequency-dependent hearing sensitivity reduction in the bottlenose dolphin (Tursiops truncatus)
Reichmuth et al. Low-frequency temporary threshold shift not observed in spotted or ringed seals exposed to single air gun impulses
Ruser et al. In-air evoked potential audiometry of grey seals (Halichoerus grypus) from the North and Baltic S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