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783B1 -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및 유동성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및 유동성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783B1
KR102194783B1 KR1020190038924A KR20190038924A KR102194783B1 KR 102194783 B1 KR102194783 B1 KR 102194783B1 KR 1020190038924 A KR1020190038924 A KR 1020190038924A KR 20190038924 A KR20190038924 A KR 20190038924A KR 102194783 B1 KR102194783 B1 KR 102194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mold
molten metal
aluminum die
casting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179A (ko
Inventor
김대근
임병용
강유빈
이찬기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19003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783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11/02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 G01N11/04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through a restricted passage, e.g. tube, aper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00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 B22D2/008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for the viscosity of the molten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And Analyzing Materials By Characteristic Methods (AREA)

Abstract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및 유동성 평가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내부에 나선형의 탕로가 형성되는 몰드, 상기 나선형의 탕로로 용탕(molten metal)을 주입하는 레들, 그리고 상기 레들의 타단부를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레들로부터 상기 몰드 내로 상기 용탕의 주입을 조작하는 레들 기울림 장치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를 제공하며, 이를 이용한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의 유동성 평가시, 레들 및 몰드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온도 차이 및 주변 환경에 따른 온도 변화의 영향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평가 오차를 최소화하고, 유압식 용탕 투입 방식에 의해 주입되는 용탕의 유속을 일정하게 형성하여 유동성 평가의 신뢰성을 더욱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및 유동성 평가 방법 {Aluminum Die casting Alloy Fluidity Evaluation Device and Fluidity Evaluation Method}
본 발명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및 유동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캐스팅(die casting)용 알루미늄 합금 용탕(molten metal)을 나선형 몰드(spiral mold)에 주입하여 유동거리를 측정하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및 유동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합금은 밀도가 작은 동시에 용해 온도가 낮아 다이캐스팅을 이용한 자동차, 전자기기, 항공기 부품 등의 대량생산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이캐스팅 알루미늄 합금은 주조성이 뛰어난 Al-Si계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국내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제조 제품 소재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주조성(castability)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유동성(fluidity)은 다이캐스팅 합금이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특성이며, 특히 전자부품과 같은 얇고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불량품 발생률과 직결되는 요소이다.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의 유동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나, Spiral mold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간단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Spiral mold 측정법은 나선 형상의 몰드에 완전히 용해된 용탕을 주입하여 최종 응고 지점까지의 길이를 비교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주입 온도, 주입량, 유속, 몰드 온도, 금속의 고상화 온도, 합금 원소의 종류 및 양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게 된다.
즉, Spiral mold 측정법은 유동성 평가시 주변 환경 및 실험자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특히 주입 온도, 주입량 및 유속의 차이가 유동성 평가의 신뢰성 저하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이 미비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piral mold 평가 장치는 몰드만 구성되어 있을 뿐, 온도 제어 등의 실험 오차 변수를 최소화하는 보조 시스템이 포함된 장치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의 유동성을 평가함에 있어서, 용탕의 연속 주입시 발생하는 온도 변화, 용탕의 주입 횟수 및 주변 환경에 따른 온도 및 습도 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주입 속도에 따른 유속 차이에서 발생하는 분석 결과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면에 나선형의 탕로가 형성되는 하부 몰드와, 상기 하부 몰드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몰드를 포함하는 몰드; 내부에 용탕(molten metal)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몰드 내에 형성되는 상기 나선형의 탕로로 상기 용탕을 주입하는 레들; 및 상기 레들의 타단부를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레들로부터 상기 몰드 내로 상기 용탕의 주입을 조작하는 레들 기울림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레들에 설치되어 상기 레들 내 수용되는 용탕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1 히팅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히팅부는, 상기 용탕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레들의 타단부 하단에 삽입 장착되는 히팅 카트리지(heating cartridge)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몰드 내에 설치되어 상기 몰드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2 히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히팅부는, 상기 몰드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히팅 봉(heating rod)일 수 있다.
상기 제2 히팅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하부 몰드와 상기 상부 몰드 내에 각각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들 기울림 장치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하로 구동이 가능하며, 속도 제어가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레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레들 내에 수용되는 상기 용탕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몰드에 설치되어 상기 몰드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몰드는, 상부면에 나선형의 탕로가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레들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들의 일단부에는 상기 레들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용탕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와 상기 상부 몰드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레들로부터 주입되는 상기 용탕을 상기 나선형의 탕로로 유도하기 위한 입구 및 통로로써 탕구가 형성되며, 상기 탕구를 이루는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면에 나선형의 탕로가 형성되는 하부 몰드와, 상기 하부 몰드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몰드를 포함하는 몰드; 내부에 용탕(molten metal)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몰드 내에 형성되는 상기 나선형의 탕로로 상기 용탕을 주입하는 레들; 상기 레들의 타단부를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레들로부터 상기 몰드 내로 상기 용탕의 주입을 조작하는 레들 기울림 장치; 상기 레들에 설치되어 상기 레들 내에 수용되는 용탕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1 히팅부; 및 상기 몰드에 설치되어 상기 몰드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2 히팅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를 이용한 유동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팅부 및 상기 제2 히팅부를 제어하여 상기 레들 및 상기 몰드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승온시킨 후, 완전히 용해된 용탕을 상기 레들로 이송하는 준비 단계; 상기 레들 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레들 내로 이송된 용탕의 온도를 재확인한 후, 상기 레들 기울림 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래들로부터 상기 몰드 내에 형성되는 상기 나선형의 탕로로 상기 용탕의 주입을 개시하는 주입 단계; 상기 나선형의 탕로로 주입된 용탕이 완전히 응고될 때까지 충분한 시간을 유지하는 응고 단계; 상기 용탕이 응고되어 생성된 유동 평가 시료를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몰드를 완전히 개방하여 회수하는 회수 단계; 및 회수된 상기 유동 평가 시료의 길이를 측정하여 유동성을 평가하는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준비 단계부터 상기 회수 단계가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레들과 상기 몰드는 상기 제1 히팅부 및 상기 제2 히팅부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는, 몰드 내로 용탕을 주입시키는 레들 내 용탕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1 히팅부를 포함함으로써, 용탕의 주입 횟수 및 주변 환경에 따른 온도 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몰드의 온도 제어를 위한 제2 히팅부를 포함함으로써, 용탕의 연속 주입시 발생하는 몰드의 온도 변화와 분석 당시의 주변 온도 및 습도 차이에서 발생하는 분석 결과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용탕을 몰드 내로 주입하는 레들의 기울어지는 속도의 제어를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용탕의 주입 속도에 따른 유속 차이를 최소화하여 분석 결과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의 단계별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준비 단계, 도 2는 주입 및 응고 단계, 도 3은 개방 단계, 도 4는 회수 및 측정 단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의 실제 촬영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에 의해 응고 및 회수된 유동평가 시료의 실제 촬영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일반적인 Spiral mold 평가 장치에 의해 실시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의 유동성 분석 표준 편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에 의해 실시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의 유동성 분석 표준 편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의 단계별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준비 단계, 도 2는 주입 및 응고 단계, 도 3은 개방 단계, 도 4는 회수 및 측정 단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하되, 위에서 바라본 나선형의 탕로(p)를 상부에 별도로 추가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는, 상부면에 나선형의 탕로(pouring passage, p)가 형성되는 하부 몰드(110)와, 하부 몰드(110)의 상부에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몰드(120)를 포함하는 몰드(100); 몰드(100) 내로 용탕을 주입하는 레들(200); 및 레들(200)의 타단부를 상하로 승강시켜 레들(200)로부터 몰드(100) 내로의 용탕의 주입을 조작하는 레들 기울림 장치(30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몰드(100)를 구성하는 하부 몰드(110)는, 상부면에 나선형의 탕로(p)가 형성되는 수평부(111)와, 수평부(111)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레들(20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돌출부(112)를 포함한다.
몰드(100)를 구성하는 상부 몰드(120)는, 하부 몰드(110)의 수평부(111)의 상측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부 몰드(110)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탕로(p)가 상부 몰드(120)의 왕복 운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하부 몰드(110)의 돌출부(112)와 상부 몰드(112)의 일측면 사이에는 레들(200)로부터 주입되는 용탕을 나선형의 탕로(p)로 유도하기 위한 입구 및 통로로써 탕구(pouring gate, g)가 마련된다. 이때 돌출부(112)는 탕구(g)를 이루는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레들(200)은 내부에 용탕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용탕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레들(200)의 일단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112)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는 후술할 레들 기울림 장치(300)에 의해 지지된다.
레들 기울림 장치(300)는 상하 구동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레들 기울림 장치(300)의 상하 구동에 의해 레들(200)의 타단부가 승강될 수 있다.
돌출부(112)에 의해 지지되는 레들(200)의 일단부는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레들(200)의 타단부는 레들 기울림 장치(300)에 의해 높이가 가변되므로, 레들 기울림 장치(300)의 상하 구동에 의해 레들(200)로부터 탕구(g)로 용탕의 주입이 개시 또는 중단될 수 있다.
레들 기울림 장치(300)는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속도 제어가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는, 용탕을 몰드(100) 내로 주입하는 레들(200)의 기울어지는 속도의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용탕의 주입 속도에 따른 유속 차이를 최소화하여 분석 결과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는, 몰드(100) 내로 용탕을 주입시키는 레들(200) 내 용탕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1 히팅부(410); 및 몰드(10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2 히팅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히팅부(4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탕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레들(200)의 타단부 하단에 삽입 장착되는 히팅 카트리지(heating cartridge)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히팅부(410)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과정에서 용탕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레들(200)의 내부에는 제1 온도센서(210)가 설치되어 레들(200) 내에 수용되는 용탕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제1 온도센서(210)에 의해 측정된 값을 토대로 제1 히팅부(410)를 제어하여 레들(200)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1 히팅부(410)에 의해 레들(200) 내 용탕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과정 용탕의 주입 횟수 및 주변 환경에 따른 온도 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히팅부(4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100)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히팅 봉(heating rod)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마련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하부 몰드(110)와 상부 몰드(120) 측에 각각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몰드(100) 내부에는 제2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몰드(10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하부 몰드(110)와 상부 몰드(120) 측에 별도의 온도센서가 각각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히팅부(420)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과정에서 몰드(10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용탕의 연속 주입시 발생하는 몰드(100)의 온도 변화와 분석 당시의 주변 온도 및 습도 차이에서 발생하는 분석 결과의 오차를 최소화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의 실제 촬영 사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각각 몰드(100)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에 의한 유동성 평가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방법의 준비 단계에서는, 완전히 용해된 용탕이 레들(200) 내로 이송된다.
이때 완전히 용해된 용탕이 레들(200)에 이송되기 전에 레들(200) 및 몰드(100)의 온도가 설정 온도까지 도달시키는 과정이 포함됨을 이해해야 한다.
즉, 제1 히팅부(410) 및 제2 히팅부(420)의 제어에 의해 레들(200) 및 몰드(100)가 설정 온도까지 도달한 후, 완전히 용해된 용탕이 레들(200)로 이송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레들(200) 내에 설치되는 제1 온도센서(210)를 이용하여 용탕의 온도를 재확인한 후, 레들 기울림 장치(300)를 조작하여 래들(200)을 기울여 용탕의 주입을 개시한다.
이때 레들 기울림 장치(300)는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되며 속도 제어가 가능하다. 레들 기울림 장치(300)에 의해 레들(200)이 기울어짐에 따라 주입된 용탕은 일정한 유속으로 탕구(g) 밑 탕로(p)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일정한'의 의미는, 'constant'가 아니라 'uniform'의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즉, 주입이 이루어지는 내내 용탕의 유속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용탕의 주입이 기계적 방식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시료를 측정하는 모든 경우에 용탕의 초기 유속 및 유량이 동일하게 형성된다는 의미이다.
주입된 용탕은 탕구(g) 및 탕로(p)를 따라 이동하면서 서서히 응고가 되며, 흐름이 완전히 멈출 때, 즉 완전히 고상화될 때까지 충분한 시간동안 유지한다.
용탕이 완전히 응고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고된 유동 평가 시료(s)를 회수할 수 있도록 상부 몰드(120)를 완전히 개방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평가 시료(s)를 하부 몰드(110)로부터 분리시켜 회수하며, 시료(s)의 길이를 측정하여 유동성을 분석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에 의해 응고 및 회수된 유동 평가 시료(s)의 실제 촬영 사진이며, 길이 측정용 도면을 이용하여 길이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동안, 레들(200)과 몰드(100)는 제1 히팅부(410) 및 제2 히팅부(420)에 의해 설정된 임의의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8은 종래의 일반적인 Spiral mold 평가 장치에 의해 실시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의 유동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에 의해 실시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의 유동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분석 결과는 다양한 조성의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을 이용하여 유동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며, 모든 분석은 680℃ 온도의 용탕을 주입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를 비교해 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Spiral mold 평가 장치에 의한 분석 결과(도 8)는 표준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에 의한 분석 결과(도 9)는 표준편차가 비교적 작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의 비교 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는 온도 제어부(410, 420)와 기계식 주입 장치(300)를 포함함으로써, 기존에 실험자 및 주변 조건으로부터 발생하던 분석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의 유동성 평가시, 레들(200) 및 몰드(100)의 온도차로 발생하는 평가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온도 제어부(410, 420)를 포함함으로써 유동성 평가의 신뢰성을 더욱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유압식 투입 방식으로 투입되는 용탕의 유속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종래에 수동으로 주입하는 방식에서 발생하는 오차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몰드 110 : 하부 몰드
111 : 수평부 112 : 돌출부
200 : 레들 210 : 제1 온도센서
300 : 레들 기울림 장치
410 : 제1 히팅부 420 : 제2 히팅부
m : 용탕 s : 유동 평가 시료
g : 탕구 p : 탕로

Claims (11)

  1. 상부면에 나선형의 탕로가 형성되는 하부 몰드와, 상기 하부 몰드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탕로를 개폐시키는 상부 몰드를 포함하는 몰드;
    내부에 용탕(molten metal)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몰드 내에 형성되는 상기 나선형의 탕로로 상기 용탕을 주입하는 레들; 및
    상기 레들의 타단부를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레들로부터 상기 몰드 내로 상기 용탕의 주입을 조작하는 레들 기울림 장치;
    상기 레들에 설치되어 상기 레들 내 수용되는 용탕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1 히팅부; 및
    상기 몰드 내에 설치되어 상기 몰드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2 히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히팅부는 상기 하부 몰드와 상기 상부 몰드 내부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팅부는, 상기 용탕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레들의 타단부 하단에 삽입 장착되는 히팅 카트리지(heating cartrid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히팅부는, 상기 몰드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히팅 봉(heating ro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히팅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하부 몰드와 상기 상부 몰드 내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들 기울림 장치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하로 구동이 가능하며, 속도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레들 내에 수용되는 상기 용탕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몰드에 설치되어 상기 몰드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몰드는,
    상부면에 나선형의 탕로가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레들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들의 일단부에는 상기 레들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용탕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상부 몰드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레들로부터 주입되는 상기 용탕을 상기 나선형의 탕로로 유도하기 위한 입구 및 통로로써 탕구가 형성되며,
    상기 탕구를 이루는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10. 상부면에 나선형의 탕로가 형성되는 하부 몰드와, 상기 하부 몰드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탕로를 개폐시키는 상부 몰드를 포함하는 몰드;
    내부에 용탕(molten metal)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몰드 내에 형성되는 상기 나선형의 탕로로 상기 용탕을 주입하는 레들;
    상기 레들의 타단부를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레들로부터 상기 몰드 내로 상기 용탕의 주입을 조작하는 레들 기울림 장치;
    상기 레들에 설치되어 상기 레들 내에 수용되는 용탕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1 히팅부; 및
    상기 하부 몰드와 상기 상부 몰드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상기 몰드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2 히팅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를 이용한 유동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팅부 및 상기 제2 히팅부를 제어하여 상기 레들 및 상기 몰드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승온시킨 후, 완전히 용해된 용탕을 상기 레들로 이송하는 준비 단계;
    상기 레들 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레들 내로 이송된 용탕의 온도를 재확인한 후, 상기 레들 기울림 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레들로부터 상기 몰드 내에 형성되는 상기 나선형의 탕로로 상기 용탕의 주입을 개시하는 주입 단계;
    상기 나선형의 탕로로 주입된 용탕이 완전히 응고될 때까지 충분한 시간을 유지하는 응고 단계;
    상기 용탕이 응고되어 생성된 유동 평가 시료를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몰드를 완전히 개방하여 회수하는 회수 단계; 및
    회수된 상기 유동 평가 시료의 길이를 측정하여 유동성을 평가하는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준비 단계부터 상기 회수 단계가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레들과 상기 몰드는 상기 제1 히팅부 및 상기 제2 히팅부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방법.
KR1020190038924A 2019-04-03 2019-04-03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및 유동성 평가 방법 KR102194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924A KR102194783B1 (ko) 2019-04-03 2019-04-03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및 유동성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924A KR102194783B1 (ko) 2019-04-03 2019-04-03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및 유동성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179A KR20200117179A (ko) 2020-10-14
KR102194783B1 true KR102194783B1 (ko) 2020-12-23

Family

ID=7284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924A KR102194783B1 (ko) 2019-04-03 2019-04-03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및 유동성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2022A (zh) * 2021-07-12 2021-10-26 超威电源集团有限公司 一种铅合金流动性检测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703B1 (ko) * 2005-12-23 2006-12-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용탕의 점성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N109030286A (zh) * 2018-06-13 2018-12-18 上海皮尔博格有色零部件有限公司 用于检测金属液流动性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50U (ja) * 1993-09-06 1995-04-18 愛知製鋼株式会社 傾動装置および秤量機を設けた電気炉用受鋼台車
KR100568764B1 (ko) * 2003-06-05 2006-04-10 큐플러스 주식회사 원심주조용 용탕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703B1 (ko) * 2005-12-23 2006-12-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용탕의 점성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N109030286A (zh) * 2018-06-13 2018-12-18 上海皮尔博格有色零部件有限公司 用于检测金属液流动性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179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972B1 (ko) 다이 캐스팅에 의해 금속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US2660769A (en) Die casting
KR100984597B1 (ko) 자동주탕 제어방법 및 레이들용 경사이동 제어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매체
CN107107181A (zh) 低压铸造装置和低压铸造方法
KR102194783B1 (ko)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합금 유동성 평가 장치 및 유동성 평가 방법
JP3000806B2 (ja) 連続差圧鋳造法
EP1479465B1 (en) Vertical injection machine and method
CN105806876A (zh) 测试合金热裂倾向性的实验装置
JP4966354B2 (ja) 鋳造装置
JP2004344977A (ja) 3つのチャンバを用いた垂直射出装置
JPH04220157A (ja) 型への溶湯の注湯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WO2018181075A1 (ja) ダイカストマシン
JPS5847262B2 (ja) 加圧鋳造方法
KR20240050330A (ko) 주조 물체의 치수 균일성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EP0095513A1 (en) Vertical type pressure casting method
JP4726164B2 (ja) 半凝固金属スラリーの固相率管理方法
CN110788311A (zh) 一种浇勺定量舀取金属溶液的方法及确保浇勺处在金属溶液安全工作高度的方法
CN113333715B (zh) 基于背压力的低压铸造充型压力曲线设计方法
JPS62179859A (ja) 連続鋳造機のオ−トスタ−ト制御方法
US6260603B1 (en) Method for vertical continuous casting of metals
Liu et al. Experiments with constrained chimney-plume flows in the system ammonium chloride–water: comparison with the unconstrained case
KR920002108B1 (ko) 자동 주탕장치
CN209969542U (zh) 一种浇注成型控料装置
JP4265268B2 (ja) 鋳造品の凝固解析方法
Barbes et al. Microstructures of a pressure die cast Al-8.5% Si-3.5% Cu all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