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498B1 - 음료 제공을 위한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제공을 위한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498B1
KR102194498B1 KR1020200118181A KR20200118181A KR102194498B1 KR 102194498 B1 KR102194498 B1 KR 102194498B1 KR 1020200118181 A KR1020200118181 A KR 1020200118181A KR 20200118181 A KR20200118181 A KR 20200118181A KR 102194498 B1 KR102194498 B1 KR 102194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vending machine
cup
spa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서란
Original Assignee
조서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서란 filed Critical 조서란
Priority to KR102020011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14Supports for empty beverage containers while not in use, e.g. for storing extra jug or cups

Abstract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로서, 제 1 디스플레이; 제 2 디스플레이;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구성들로서, 원두 구비 공간을 포함하는 통, 음료 제조를 위한 원재료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파우더 박스들, 제빙기, 및 급수 장치; 상기 구성들로부터 상기 재료들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구성들에 연결되는 배출 장치; 복수 개의 컵들이 구비되는 컵 구비대; 빨대 및 리드가 구비되는 물품 구비대; 외면에 형성되는 공간들에 의해 정의되는 음료 제조 공간, 음료 제공 공간, 및 물품 제공 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정의되는 상기 음료 제조 공간에 구비되는 컵 지지대; 상기 컵 지지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상에 광고를 표시하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상에서 음료를 주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음료를 주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컵 구비대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컵들 중 제 1 컵을 상기 음료 제조 공간의 상기 컵 지지대에 배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컵에, 상기 배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주문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재료들 중 일부를 배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문된 음료의 제조가 완료된 경우, 상기 이동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컵 지지대를 상기 지지대 상에서 상기 음료 제공 공간을 이동시켜 상기 컵 지지대에 놓인 상기 제조된 음료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컵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물품 구비대로부터 상기 빨대 및 상기 리드를 상기 물품 제공 공간을 통해 배출하도록 설정된, 음료 자판기가 제공된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음료 제공을 위한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VENDING MACHINE FOR PROVIDING A DRIN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본 출원은 복수 개의 공간들에서 음료 제조, 음료 제공, 및 빨대 및 리드와 같은 물품의 제공을 수행하는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료 자판기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들을 제공 가능하며, 다양한 종류의 음료들 중 주문된 음료를 신속하게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자판기는 다양한 장소에 구비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음료 자판기를 통해서 손쉽게 음료를 주문하고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음료 자판기에서는 음료 제조 및 음료 제공이 한 공간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상기 한 공간에서 음료 제조가 수행되는 도중 상기 음료 제공을 받기 위해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는 등의 불의의 사고가 예방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음료 제조 중에 음료 제조가 방해되어 제조된 음료의 완성도가 저하되며, 불의의 사고가 예방되지 못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 위해가 가해져, 음료 자판기에 의해 제공되는 음료 제공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제조 및 음료 제공과 같은 음료 자판기의 동작이 별도의 공간에서 수행되도록 구현되어, 음료 제공 서비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음료 자판기의 구현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 과제는 각각의 자판기의 동작(예: 음료 제조 동작, 음료 제공 동작 및 물품 제공 동작)이 별도의 공간에서 수행되도록 하여, 음료 제공 서비스의 만족도를 향상 시키기 위한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과제는 자판기에 구비되는 재료들의 양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부족한 양의 재료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여, 신속하게 부족한 양의 재료를 보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음료를 추천하여, 사용자의 자판기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로서, 제 1 디스플레이; 제 2 디스플레이;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구성들로서, 원두 구비 공간을 포함하는 통, 음료 제조를 위한 원재료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파우더 박스들, 제빙기, 및 급수 장치; 상기 구성들로부터 상기 재료들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구성들에 연결되는 배출 장치; 복수 개의 컵들이 구비되는 컵 구비대; 빨대 및 리드가 구비되는 물품 구비대; 외면에 형성되는 공간들에 의해 정의되는 음료 제조 공간, 음료 제공 공간, 및 물품 제공 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정의되는 상기 음료 제조 공간에 구비되는 컵 지지대; 상기 컵 지지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상에 광고를 표시하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상에서 음료를 주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음료를 주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컵 구비대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컵들 중 제 1 컵을 상기 음료 제조 공간의 상기 컵 지지대에 배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컵에, 상기 배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주문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재료들 중 일부를 배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문된 음료의 제조가 완료된 경우, 상기 이동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컵 지지대를 상기 지지대 상에서 상기 음료 제공 공간을 이동시켜 상기 컵 지지대에 놓인 상기 제조된 음료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컵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물품 구비대로부터 상기 빨대 및 상기 리드를 상기 물품 제공 공간을 통해 배출하도록 설정된, 음료 자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 1 디스플레이 상에 광고를 표시하면서, 제 2 디스플레이 상에서 음료를 주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료를 주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음료 자판기의 컵 구비대에 구비된 복수 개의 컵들 중 제 1 컵을, 상기 음료 자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대 상의 음료 제조 공간의 컵 지지대에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 1 컵에, 배출 장치를 이용하여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들을 포함하는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주문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재료들 중 일부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주문된 음료의 제조가 완료된 경우, 이동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컵 지지대를 상기 지지대 상에서 음료 제공 공간을 이동시켜 상기 컵 지지대에 놓인 상기 제조된 음료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컵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 구비대로부터 상기 빨대 및 상기 리드를 상기 물품 제공 공간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자판기의 동작(예: 음료 제조 동작, 음료 제공 동작 및 물품 제공 동작)이 별도의 공간에서 수행되도록 하여, 음료 제공 서비스의 만족도를 향상 시키기 위한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판기에 구비되는 재료들의 양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부족한 양의 재료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여, 신속하게 부족한 양의 재료를 보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음료를 추천하여, 사용자의 자판기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효과가 상술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의 외부에 구비되는 장치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장치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에 더 구비되는 기능적 구성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의 음료 주문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의 음료 제조, 음료 제공, 및 물품 제공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의 재료 양 측정 및 알림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기반하여 음료를 추천하고, 추천된 음료를 제조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로서, 제 1 디스플레이; 제 2 디스플레이;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구성들로서, 원두 구비 공간을 포함하는 통, 음료 제조를 위한 원재료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파우더 박스들, 제빙기, 및 급수 장치; 상기 구성들로부터 상기 재료들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구성들에 연결되는 배출 장치; 복수 개의 컵들이 구비되는 컵 구비대; 빨대 및 리드가 구비되는 물품 구비대; 외면에 형성되는 공간들에 의해 정의되는 음료 제조 공간, 음료 제공 공간, 및 물품 제공 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정의되는 상기 음료 제조 공간에 구비되는 컵 지지대; 상기 컵 지지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상에 광고를 표시하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상에서 음료를 주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음료를 주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컵 구비대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컵들 중 제 1 컵을 상기 음료 제조 공간의 상기 컵 지지대에 배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컵에, 상기 배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주문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재료들 중 일부를 배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문된 음료의 제조가 완료된 경우, 상기 이동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컵 지지대를 상기 지지대 상에서 상기 음료 제공 공간을 이동시켜 상기 컵 지지대에 놓인 상기 제조된 음료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컵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물품 구비대로부터 상기 빨대 및 상기 리드를 상기 물품 제공 공간을 통해 배출하도록 설정된, 음료 자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료 포대들이 놓이는 재료 지지대; 및 상기 재료 포대들 상에 위치하는 자외선 램프 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자외선 등을 이용하여 상기 재료 포대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정된, 음료 자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투명한 소재의 평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평판들 각각은 상기 음료 제조 공간, 음료 제공 공간, 및 물품 제공 공간들 각각과 연관된 상기 음료 자판기의 개구에 구비되고, 상기 음료 제조 공간은 상기 복수 개의 평판들 중 상기 음료 제조 공간에 구비된 제 1 평판을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시인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음료 자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음료 제공 공간이 상기 컵 지지대가 놓이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평판들 중 상기 음료 제공 공간에 구비된 제 2 평판을 이동시켜 상기 음료 제조공간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컵 지지대에 놓인 상기 제조된 음료를 포함하는 제 1 컵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설정된, 음료 자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컵 지지대는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벽의 내면은 상기 제 1 컵의 하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현되는, 음료 자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컵 지지대의 높이는 상기 제 1 컵의 높이 보다 낮도록 구현되는, 음료 자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컵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이 완료된 경우, 상기 컵 지지대를 상기 음료 제조 공간으로 다시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음료 자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상기 주문된 음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옵션에 기반하여, 상기 컵 지지대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음료 자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성들에 구비되어 상기 재료들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센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재료들의 양을 검출하고, 상기 재료들 중 기설정된 값 보다 낮은 양을 가지는 제 1 재료를 식별하고, 상기 제 1 재료의 구매를 위한 알림을 관리자의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음료 자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 1 디스플레이 상에 광고를 표시하면서, 제 2 디스플레이 상에서 음료를 주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료를 주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음료 자판기의 컵 구비대에 구비된 복수 개의 컵들 중 제 1 컵을, 상기 음료 자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대 상의 음료 제조 공간의 컵 지지대에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 1 컵에, 배출 장치를 이용하여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들을 포함하는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주문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재료들 중 일부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주문된 음료의 제조가 완료된 경우, 이동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컵 지지대를 상기 지지대 상에서 음료 제공 공간을 이동시켜 상기 컵 지지대에 놓인 상기 제조된 음료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컵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 구비대로부터 상기 빨대 및 상기 리드를 상기 물품 제공 공간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 음료 자판기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음료 자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음료(예: 커피)를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음료 자판기(100)는 다양한 메뉴들에 대응하는 음료들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예: 물, 원두, 음료 파우더, 액상 음료 등)을 구비하고, 구비된 재료들에 기반하여 상기 음료를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음료 자판기(100)는 음료 제조 과정을 사용자가 관찰 가능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시인 가능한 음료 제조 공간에서 음료를 제조하며, 음료 제조의 완료 시 제조된 음료를 음료 제공 공간으로 이동시켜 사용자가 음료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음료 자판기(100)는 음료 제공과 함께, 소정의 물품들(예: 빨대 및 리드)을 물품 제공 공간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음료를 편하게 마시도록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음료 자판기(100)는 음료 제조 공간, 음료 제공 공간, 및 물품 제공 공간을 별도로 구비하고, 각각의 공간의 목적에 맞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질 높은(예: 편의성이 높은, 안정성이 높은, 위생이 좋은) 음료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료 자판기(100)에 대해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 음료 자판기의 구성
2.1 음료 자판기의 물리적 구성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장치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장치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음료 자판기에 포함된 장치들에 국한되지 않고, 음료 자판기는 더 많은 장치들 또는 더 적은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음료 자판기(100)의 음료 제공 서비스를 위해 내외부에 구비되는 장치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음료 자판기(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구성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음료 자판기(100)는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구현된 원두 구비 공간(101), 제 1 디스플레이(111), 제 2 디스플레이(112),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음료 제조 공간(121), 음료 제공 공간(122), 물품 제공 공간(123), 및 고정 장치(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에는 외부에서 시인 가능한 원두 구비 공간(101)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원두 구비 공간(101)에는 커피 제조를 위한 원두들이 구비되며, 상기 원두 구비 공간(101)은 음료 자판기(100) 내부에 부착되어 구비되는 다양한 형상(예: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기둥)의 통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 내부에 형성되는 원두 구비 공간(101)이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통은 투명한 소재(예: 투명한 플라스틱, 내지는 유리)로 구현될 수 있다. 또, 상기 원두 구비 공간(101)이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상기 음료 자판기(100)의 외면이 상기 원두 구비 공간(101)만큼 개구(open)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된 음료 자판기(100)의 외면의 일부를 통해, 사용자는 통 내부에 형성된 원두 구비 공간(101)에 적재된 원두들을 시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소정의 정보들을 제공하기 위한 제 1 디스플레이(111)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111)와는 제 2 디스플레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111)는 지정된 광고를 표시하며, 제 2 디스플레이(112)는 지정된 광고, 다양한 종류의 음료들을 주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각종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료 자판기(100)는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 정보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광고 정보를 저장하고, 제 1 디스플레이(111)를 통해 상기 광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112)는 광고의 제공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료 자판기(100)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112)를 통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광고 정보와 연관된 상기 광고 정보를 표시하는 도중, 제 2 디스플레이(112)를 통해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음료 자판기(100)가 제조 가능한 음료들에 대한 메뉴들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자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112)의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음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음료에 대한 옵션(예: 물의 양, 얼음의 양, 온도 등)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여 최종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 상기 음료 자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112)를 통해서 음료 자판기(100)와 관련된 설정(예: 네트워크 설정, 음료 제조 테스트를 개시하기 위한 설정, 상태(재료 양) 정보, 세척 설정 등)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디스플레이(111)는 광고 몰입도 향상을 위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112)의 면적 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제 2 디스플레이(112) 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111)의 면적은 32인치이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112)의 면적은 16인치이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111)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112)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에는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음료 제조 공간(121), 음료 제공 공간(122), 물품 제공 공간(123)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공간은 후술하겠으나, 음료 자판기(100)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대들(23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 공간(121)에서는 음료가 제조되며, 상기 음료 제공 공간(122)에서는 제조된 음료가 제공되고, 상기 물품 제공 공간(123)에서는 빨대 또는 리드(뚜껑)와 같은 물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공간을 통한 음료, 물품의 제공을 위해 배출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공간이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각각의 공간의 면적만큼 음료 자판기(100)의 외면이 개구(open)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된 외면의 일부에는, 사용자가 평상 시에 상기 공간들로 신체의 일부(예: 손)을 넣지 못하도록, 상기 개구된 외면의 일부만큼의 평판(20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평판(204)은 투명한 소재(예: 투명한 플라스틱, 내지는 유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음료 자판기(100)는 음료 제공 공간(122) 및 물품 제공 공간(123)을 통해 음료 제공 또는 물품 제공 시, 사용자가 신체 일부(예: 손)을 넣을 수 있도록 각각의 평판(204)들을 상측 방향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들(예: 모터, 모터 및 평판(204)에 연결되어 평판(204)을 이동시키기 위한 톱니와 막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지상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131)는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 조절 너트, 고정을 위한 고정 너트, 및 고정 시 지면에 밀착되기 위한 고무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들 각각은 회전됨에 따라서, 높이를 조절(예: 높이 조절 너트)하거나 고무 패드의 위치를 조절(예: 고정 너트)하여 음료 자판기(100)의 하단(즉, 고무 패드)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료 자판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음료 자판기(100)는 각각이 장치들을 구비하는 내측면(201)과 외측면(202)을 포함하며 내측면(201)과 외측면(202)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20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내측면(201)에 원두 구비 공간(101)이 형성되는 통, 재료들(예: 원두 포대, 파우더 포대 등)(210)을 보관하기 위한 재료 지지대(211), 조명의 제공 및 재료들의 자외선 소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램프 등(212),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원재료(예: 백설탕, 우유 파우더, 바나나, 레몬(또는 복숭아), 초코, 녹차) 파우더들을 제공하기 위해 파우더들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파우더 박스들(221), 음료 제조 시 얼음 제공을 위한 제빙기(222), 음료 제조 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통을 포함하거나 직수로부터 물을 가져와 공급하기 위한 급수 장치(223), 각각의 음료 재료들(파우더, 액상 음료, 얼음, 물)을 음료 제조 공간(121)에 놓이는 종이컵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장치(230, 231), 상술한 공간들(예: 음료 제조 공간(121), 음료 제공 공간(122), 컵 지지대(233), 물품 제공 공간(123))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대들(234), 음료 제조 공간(121)으로 제공되는 컵들이 구비되는 컵 구비대(235), 및 각종 폐재료(예: 폐수, 원두 찌꺼기 등)를 폐기하기 위한 폐기 장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외측면(20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디스플레이(111)의 패널 및 제 2 디스플레이(112)의 패널이 구비되고, 물품들(예: 빨대, 및 리드(뚜껑))이 구비되는 물품 구비대(236)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음료 자판기(100)에 구비되는 장치들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장치(230)에서 모든 재료들(예: 물, 얼음, 원두, 파우더 등)이 혼합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각각의 재료들이 배치되는 구성들(예: 원두 구비 통(101), 파우더 박스들(221), 제빙기(222) 등)의 각각에 배출 장치(230)가 소정의 배출관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배출관이 음료 제조 공간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관을 통해 각각의 재료들이 음료 제조 공간에 놓이는 종이컵으로 배출되고, 종이컵 내에서 혼합되어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
또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음료 자판기(100)에는 더 많은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음료 자판기(100) 내부에 구비되는 장치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부, 전원부와 장치들을 연결하는 전선들, 재료들의 믹싱을 위한 믹싱 볼, 액체 음료가 구비되는 액체통 및 상기 액체통으로부터 종이컵으로 액체 음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액체 음료 연동 펌프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제빙기(222)에는 지정된 시간(예: 밤 12시)에 제빙기(222)를 녹이기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에는 음료에 거품이 필요한 경우 거품을 생성하기 위한 거품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음료 자판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들 중 더 설명이 필요한 구성들에 대해서 기술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등(212)은 상기 음료 자판기(100)의 내측면(201)과 외측면(202)이 분리되어 열리는 경우, 광을 제공하여 재료 지지대(211)에 놓인 재료들이 용이하게 식별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등(212)은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여, 상기 음료 자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음료 자판기(100)의 지지대(211)에 놓은 재료들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소독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파우더 박스들(221) 각각은 상단에 재료를 채우기 위해 개폐되는 덮개, 상기 음료 자판기(100)의 돌출부(미도시)에 체결되기 위한 구멍, 재표 푸싱을 위한 푸싱 장치에 연결되는 부분, 및 하단에 재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너비가 좁은 돌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구멍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재료 푸싱 장치의 구동에 따라서, 상기 재료가 푸싱되어 배출 포트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 포트의 각도는 조절 가능하며 이에 따라 재료가 배출되는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 개의 파우더 박스들(221)에는 서로 다른 재료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파우더 박스들(221)의 배치 순서에 따라서, 좌측부터 우측으로 백설탕, 우유 파우더, 바나나, 레몬(또는 복숭아), 초코, 녹차가 복수 개의 파우더 박스들(221)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폐기 장치(250)로는 제빙기(222)에 연결되는 배수관과 폐수관, 거품기 압력 제거관, 급수 장치(223)에 연결되는 배수관이 형성되어, 음료 자판기(10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각각의 폐수들이 폐기 장치(250)로 버려질 수 있다.
2.2 음료 자판기의 기능적 구성
이하에서는 음료 자판기(100)에 더 구비되는 기능적 구성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100)에 더 구비되는 기능적 구성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통신 회로(301), 제어 회로(302), 및 메모리(3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회로(301)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회로(301)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관리자의 단말, 재료를 제공하는 마켓 서버)와 통신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302)는 음료 자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회로(302)는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음료 자판기(100)의 구성 요소들(예: 통신 회로(30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302)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제어 회로(302)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예: CPU 등)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적인 상기 제어 회로(302)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음료 자판기(100)의 동작은 상기 제어 회로(302)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03)는 각종 정보(예: 음료 메뉴에 대한 정보, 음료 별 옵션들(예: 물의 양, 얼음의 양, 온도 등)에 대한 정보, 결제 정보, 관리자의 단말에 대한 정보,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25)에는 서버(1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 웹 사이트를 호스팅하기 위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내지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웹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25)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HDD: 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내장 타입 또는 탈부착 가능한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3. 음료 자판기의 동작
이하에서는 음료 자판기의 동작의 다양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3.1. 제 1 실시예 <음료 제조 및 음료 제공 동작>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다양한 메뉴들에 대응하는 음료들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예: 물, 원두, 음료 파우더, 액상 음료 등)을 구비하고, 구비된 재료들에 기반하여 상기 음료를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음료 자판기(100)는 음료 제조 과정을 사용자가 관찰 가능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시인 가능한 음료 제조 공간에서 음료를 제조하며, 음료 제조의 완료 시 제조된 음료를 음료 제공 공간으로 이동시켜 사용자가 음료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음료 자판기(100)는 음료 제공과 함께, 소정의 물품들(예: 빨대 및 리드)을 물품 제공 공간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음료를 편하게 마시도록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되는 동작의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도시되는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되는 음료 자판기의 동작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또는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6을 참조하여 도 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의 음료 주문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의 음료 제조, 음료 제공, 및 물품 제공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401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음료 주문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예: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기 전, 또는 음료의 제조 전)에는 제 1 디스플레이(111)을 통해 광고를 표시하고, 도 5의 5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112) 상에도 상기 제 1 터치 스크린(111)에 표시되는 광고와 연관된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판기(100)는 평상 시에는, 제 1 디스플레이(111)와 제 2 디스플레이(112)을 연동하여 광고를 제공하여 광고에 대한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음료 자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112)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거나, 사용자의 근접을 식별하는 경우(예: 근접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의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의 근접을 식별), 도 5의 5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112) 상에 복수의 메뉴들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음료 자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112) 상에서 복수 개의 메뉴들 중 일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도 5의 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옵션 설정을 위한 화면(531)과 결제를 위한 화면(532)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시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옵션은 상기 음료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의 양, 얼음의 양,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를 위한 화면(532)은 결제를 위한 방법(예: 카드, 모바일 페이 등) 및 결제를 위한 가이드하기 위한 정보(예: 카드 주입 구, 및 단말이 결제를 위해 접촉되는 부분을 나타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402 동작에서 음료 제조 공간에서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자판기(100)는 상기 결제를 위한 화면(532)의 표시 후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의 완료에 대한 응답으로 음료 제조를 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료 자판기(100)의 음료 제조 동작에 대해서 기술한다.
먼저 음료 자판기(100)는 도 6의 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자판기(100)의 내부의 지지대(234) 상에 형성되는 음료 제조 공간(123)에 위치되는 컵 지지대(233) 상으로 컵(예: 종이 컵 등)(613)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컵 구비대(235)에 구비된 컵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컵 지지대(223) 상으로 컵(613)을 놓을 수 있다. 상기 컵 지지대(223)는 컵(613)을 단단히 지지할 수 있도록 컵(613)의 하단부에 밀착되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컵 지지대(223)는 컵(613)의 하단부의 형상(예: 원 기둥)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내면을 포함하는 외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의 높이는, 이후에 사용자가 컵(613)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컵(613)의 높이의 1/3로 구현될 수 있다. 또, 상기 컵 지지대(223)는 컵(613) 배치 유무에 따라서 형상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료 자판기(100)는 상기 지지대(234)에 배치되는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컵(613)의 배치 유무를 식별하고, 컵(613)이 상기 컵 지지대(223)에 놓이기 전에는 상기 컵 지지대(223)의 외벽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외벽을 이동시키고, 컵(613)이 상기 컵 지지대(223)에 놓인 후에는 상기 컵 지지대(223)의 외벽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도록 외벽을 이동시켜 컵(613)이 컵 지지대(223)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음료 자판기(100)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들을 상기 컵(613)으로 배출하고 혼합할 수 있다. 이때, 음료 자판기(100)는 상기 컵 지지대(223)에 구비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컵(613)의 밀착 여부를 검출하고, 컵(613)의 밀착이 검출되는 겨우 재료의 배출 및 혼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음료 자판기(100)는 음료에 대응하는 각각의 재료들(예: 612)을 식별하고, 식별된 재료들(예: 612)이 구비되는 구성(예: 원두 배치 공간(101)을 포함하는 통, 파우더 박스들(221), 제빙기(222), 급수 장치(223) 등)에 연결되는 배출 장치(230, 231)를 통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컵(613)으로 재료(예: 612)를 배출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음료가 아이스 아메리카노인 경우, 상기 음료 자판기(100)는 원두 배치 공간(101)의 통에 연결된 배출 장치(230, 231)를 통해서 갈린 원두 또는 원두 액을 컵(613)으로 배출하고, 제빙기(222)를 통해서 얼음을 컵(613)으로 배출하고, 급수 장치(223)를 통해서 물을 컵(613)으로 배출하고,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음료가 복숭아 차인 경우, 상기 음료 자판기(100)는 복수 개의 파우더 박스들(221) 중 복숭아 파우더를 포함하는 파우더 박스를 식별하고 식별된 파우더 박스로부터 복숭아 파우더를 컵(613)으로 배출하고, 제빙기(222)를 통해서 얼음을 컵(613)으로 배출하고, 급수 장치(223)를 통해서 물을 컵(613)으로 배출하고,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음료 자판기(100)는 음료 제조 중, 음료 제조 공간(123)의 주변에 구비되는 램프 등을 다양한 방식으로(예: 점멸 반복 등) 점등하여 음료 제조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611)는 상기 음료 제조 공간(123)앞에 놓이는 투명한 평판(204)을 통해서 상기 음료 제조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611)의 음료 자판기(100)의 음료 제조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403 동작에서 음료 제조 완료 여부를 검출하고, 404 동작에서 음료 제조가 완료된 경우 음료 제조 공간(123)에서 음료 제공 공간(122) 방향으로, 제조된 음료를 포함하는 컵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지지대(234) 상에 컵 지지대(233)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에: 레일)(620)를 구비하고, 도 6의 6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620)를 이용하여 상기 컵 지지대(223)를 지지대 상에서 음료 제공 공간(122)으로 이동(예: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 부재(620)가 레일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기재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컵 지지대(223)를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로 상기 이동 부재(620)가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음료의 옵션에 따라서, 상기 이동 부재(620)를 이용한 상기 컵 지지대(223)의 이동 속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상기 음료의 양이 많고, 얼음의 양이 많은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대적으로 상기 컵 지지대(223)의 이동 속도를 늦추어 음료가 컵(613)으로부터 흘러 넘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음료 자판기(100)는 복수 개의 옵션들 중에서, 일부 옵션들에 대해서는 선택 사항에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동 속도를 다르게 제어하지만 나머지 옵션들에 대해서는 선택 사항과 무관하게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음료가 흘러 넘치는 것과는 무관한 옵션인 음료에 대한 온도의 선택과는 무관하게, 상기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405 동작에서 음료 제공 공간(122)을 개방하여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상기 컵 지지대(223)가 음료 제공 공간(122)으로 이동 완료된 경우, 음료 제공 공간(122)에 구비되는 평판(233)을 이동시켜 음료 제공 공간(122)을 개방하여 상기 제조된 음료를 포함하는 컵(613)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406 동작에서 도 6의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제공 공간(121)을 통해 빨대(631) 및 리드(632)를 제공할 수 있다. 음료 자판기(100)는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음료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빨대(631) 및 리드(632)를 물품 제공 공간(121)으로 떨어뜨려,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기재된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음료 자판기(100)는 음료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이후 다양한 시점에 빨대(631) 및 리드(632)를 물품 제공 공간(121)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자판기(100)는 도 6의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조된 음료를 포함하는 컵(613)이 제공이 완료된 경우, 컵 지지대(223)를 다시 음료 제조 공간(22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3.2 제 2 실시예 <센서를 이용한 재료 양 검출 및 알림 동작>
전술한 음료 자판기(100)의 동작들은 제 2 실시예에 준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각각의 재료들이 구비되는 구성들(예: 원두 배치 공간(101)을 포함하는 통, 재료 지지대(11) 파우더 박스들(221), 제빙기(222), 급수 장치(223), 등)에 재료들의 양을 식별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음료 자판기(100)는 상기 구비된 센서를 통해서, 기설정된 양 미만으로 재료의 양이 식별되는 경우, 재료의 구매를 위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100)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의 동작은 도 8에 도시되는 동작의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도시되는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되는 음료 자판기의 동작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또는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도 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100)의 재료 양 측정 및 알림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701 동작에서 복수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재료들에 대한 양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도 8의 8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재료들이 구비되는 구성들(예: 원두 배치 공간(101)을 포함하는 통, 재료 지지대(11) 파우더 박스들(221), 제빙기(222), 급수 장치(223), 등)에 재료들의 양을 식별하기 위한 센서(8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811)는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재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광학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자판기(100)는 상기 센서(811)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값을 식별하고, 식별된 값에 기반하여 무게 값, 높이 값 등을 식별하고 이를 재료의 양으로 환산할 수 있다. 음료 자판기(100)는 각각의 센서(811)에 대한 식별 정보 별로 상기 센서(811)가 구비되는 구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음료 자판기(100)는 상기 센서(811)로부터 재료 측정에 의한 값과 함께 센서(811)의 식별 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값을 전달하는 센서(811)가 구비되는 구성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음료 자판기(100)는 상기 센서(811)가 구비되는 구성에 대한 정보를 식별함에 따라, 상기 구비된 구성에 대응하는 재료를 파악하여 상기 재료 별 양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센서(811)의 값에 기반하여 제 1 양을 식별하고,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센서(811)가 구비되는 구성이 복수 개의 파우더 박스들(221) 중 일 파우더 박스(예: 복숭아 파우더 박스)인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복숭아 파우더의 양이 제 1 양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료들이 구비되는 구성들 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811)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 지지대(211)의 경우에는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며, 파우더 박스(811) 또는 원두 구비 공간(101)을 포함하는 통의 내부에는 재료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자판기(100)는 각 구성 별로 서로 다른 연산 방법으로, 센서(811)의 값을 환산하여 재료의 양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702 동작에서 복수 개의 재료들 중 일부 재료의 양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일부 재료에 대한 알림을 관리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재료의 양의 부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설정된 값은 음료 자판기(100)의 관리자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다. 음료 자판기(100)는 도 8의 8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값 보다 낮은 양을 가지는 재료를 식별하고, 식별된 재료의 구매가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관리자의 단말(821)로 송신할 수 있다. 또 음료 자판기(100)는 도 8의 8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값 보다 낮은 양을 가지는 재료를 식별하고, 식별된 재료의 구매 요청을 해당 재료 판매 서버(831)로 송신하여 자동으로 부족한 재료에 대한 구매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후, 음료 자판기(100)는 재료의 구매를 위한 결제 정보를 관리자의 단말(821)로 전송하고, 단말(821)에서 결제가 완료됨에 따라서 재료의 구매가 완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자에 의해 기설정된 재료의 양의 부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값이, 다양한 컨텍스츄얼 정보(contextual information)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컨텍스츄얼 정보는 상기 음료 자판기(100)와 연관된 다양한 정보를 의미하며, 음료 자판기(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 음료 자판기(100)의 주변의 온도 등 음료 제공 서비스와 연관된 다양한 제반 사항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가 많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컨텍스츄얼 정보가 음료 자판기(100)에 축적되는 경우, 음료 자판기(100)는 상기 기설정된 값을 높게 설정하여 재료가 빨리 구매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음료 자판기(100)는 현재 누적된 사용자의 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계산된 사용자의 수가 다른 날에 비해서 많은 것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값을 상승시켜 재료들이 더 신속하게 보충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특정 재료에 대한 기설정된 값 만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음료 자판기(100)는 금일 온도를 검출하고, 금일 온도가 다른 날에 비해서 높은 경우 온도와 관련된 특정 재료(예: "얼음")의 양의 부족을 판단하기 위한 기설정된 값만을 상승시켜 특정 재료가 신속하게 보충되도록 할 수 있다.
3.3. 제 3 실시예 <사용자 개인 정보 기반 음료 추천 및 제조 동작>
전술한 음료 자판기의 동작들은 제 3 실시예에 준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사용자가 음료를 주문하는 경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획득하여 음료를 자동으로 추천하여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음료 자판기(100)는 추천된 음료의 제조를 위한 재료가 부족한 경우, 추천된 음료와 연관도가 높은 재료를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음료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의 동작은 도 9에 도시되는 동작의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도시되는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되는 음료 자판기의 동작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또는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도 9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자판기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기반하여 음료를 추천하고, 추천된 음료를 제조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901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음료 주문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도 10의 10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료 자판기(100)의 제 2 디스플레이(112)를 통해서 음료 주문을 위해 입력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902 동작에서 자판기로부터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이 식별되는 경우, 도 10의 10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회로를 이용항여 사용자의 단말(1001)과 근접 통신(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등)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단말(1001)로부터 사용자를 나타내기 위한 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예: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성향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물품 구매 이력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903 동작에서 수신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음료를 식별하고 식별된 추천 음료(1013)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지난 사용자의 음료 구매 이력을 식별하고 가장 구매 빈번도가 높은 음료(1013)를 자동으로 추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음료 자판기(100)는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음료 메뉴들 간의 연관도에 기반하여, 음료 메뉴들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계산된 가중치에 기반하여 가장 가중치가 높은 메뉴의 음료(1013)를 자동으로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자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112) 상에 추천 음료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추천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음료 자판기(100)는 도 10의 10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된 음료(1013)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재료들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자판기(100)의 음료 제조 동작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자판기(100)는 자동으로 추천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가 부족한 경우, 도 10의 10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된 음료와 다른 재료들 간의 연관도(예: u1, u2)를 계산하고 기설정된 값 이상의 연관도를 가지는 재료들(1031, 1032)를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자판기(100)는 추천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의 특성과, 다른 재료들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연관도를 계산할 수 있다.

Claims (5)

  1. 음료 자판기로서,
    제 1 디스플레이;
    제 2 디스플레이;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구성들로서, 원두 구비 공간을 포함하는 통, 음료 제조를 위한 원재료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파우더 박스들, 제빙기, 및 급수 장치;
    상기 구성들로부터 상기 재료들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구성들에 연결되는 배출 장치;
    복수 개의 컵들이 구비되는 컵 구비대;
    빨대 및 리드가 구비되는 물품 구비대;
    외면에 형성되는 공간들에 의해 정의되는 음료 제조 공간, 음료 제공 공간, 및 물품 제공 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정의되는 상기 음료 제조 공간에 구비되는 컵 지지대;
    상기 컵 지지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상에 광고를 표시하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상에서 음료를 주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음료를 주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컵 구비대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컵들 중 제 1 컵을 상기 음료 제조 공간의 상기 컵 지지대에 배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컵에, 상기 배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주문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재료들 중 일부를 배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문된 음료의 제조가 완료된 경우, 상기 이동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컵 지지대를 상기 지지대 상에서 상기 음료 제공 공간을 이동시켜 상기 컵 지지대에 놓인 상기 제조된 음료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컵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물품 구비대로부터 상기 빨대 및 상기 리드를 상기 물품 제공 공간을 통해 배출하도록 설정되고,
    재료 포대들이 놓이는 재료 지지대; 및 상기 재료 포대들 상에 위치하는 자외선 램프 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자외선 등을 이용하여 상기 재료 포대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정되고,
    복수 개의 투명한 소재의 평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평판들 각각은 상기 음료 제조 공간, 음료 제공 공간, 및 물품 제공 공간들 각각과 연관된 상기 음료 자판기의 개구에 구비되고,
    상기 음료 제조 공간은 상기 복수 개의 평판들 중 상기 음료 제조 공간에 구비된 제 1 평판을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시인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컵 지지대는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벽의 내면은 상기 제 1 컵의 하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현되고,
    상기 컵 지지대의 높이는 상기 제 1 컵의 높이 보다 낮도록 구현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컵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이 완료된 경우, 상기 컵 지지대를 상기 음료 제조 공간으로 다시 이동시키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상기 주문된 음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옵션에 기반하여, 상기 컵 지지대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구성들에 구비되어 상기 재료들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센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재료들의 양을 검출하고,
    상기 재료들 중 기설정된 값 보다 낮은 양을 가지는 제 1 재료를 식별하고,
    상기 제 1 재료의 구매를 위한 알림을 관리자의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음료 자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18181A 2020-09-15 2020-09-15 음료 제공을 위한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194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181A KR102194498B1 (ko) 2020-09-15 2020-09-15 음료 제공을 위한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181A KR102194498B1 (ko) 2020-09-15 2020-09-15 음료 제공을 위한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524A Division KR102213713B1 (ko) 2020-12-09 2020-12-09 자동 음료 재조 및 판매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200171514A Division KR102213707B1 (ko) 2020-12-09 2020-12-09 무인 음료 판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498B1 true KR102194498B1 (ko) 2020-12-23

Family

ID=74089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181A KR102194498B1 (ko) 2020-09-15 2020-09-15 음료 제공을 위한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4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358A (ko) * 1979-03-19 1983-05-28 벡. 죤. 이 인쇄회로판 구성품 장치용 간격유지 지지장치
KR0140335B1 (ko) * 1993-02-26 1998-07-15 다까노 야스아끼 컵식 자동판매기
KR20060058235A (ko) * 2004-11-24 2006-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 지지대 어셈블리 구조를 갖춘 컵 홀더
KR200487889Y1 (ko) * 2014-12-19 2018-11-19 준 덩 즉석 오렌지 착즙, 관류, 병주입 및 미디어 일체형 자동 판매기
KR20200025643A (ko) * 2018-08-31 2020-03-1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동시 반출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358A (ko) * 1979-03-19 1983-05-28 벡. 죤. 이 인쇄회로판 구성품 장치용 간격유지 지지장치
KR0140335B1 (ko) * 1993-02-26 1998-07-15 다까노 야스아끼 컵식 자동판매기
KR20060058235A (ko) * 2004-11-24 2006-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 지지대 어셈블리 구조를 갖춘 컵 홀더
KR200487889Y1 (ko) * 2014-12-19 2018-11-19 준 덩 즉석 오렌지 착즙, 관류, 병주입 및 미디어 일체형 자동 판매기
KR20200025643A (ko) * 2018-08-31 2020-03-1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동시 반출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3143B2 (en)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using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EP318573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ispensing
JP6663922B2 (ja) 再現可能な特性を有する飲料を調製するマシン
US20220270430A1 (en) Interactive vending machine
TWI579794B (zh)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of Cooking Beverage
CA2940409C (en) Beverage dispenser
US9633504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urchasing, dispensing, or sampling of products
CN109870948A (zh) 一种调节出冰量的方法及自助饮料机
KR101511293B1 (ko) 셀프 맥주판매 장치 및 방법
KR102194498B1 (ko) 음료 제공을 위한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13707B1 (ko) 무인 음료 판매 장치
KR102213713B1 (ko) 자동 음료 재조 및 판매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220346591A1 (en) Smart bever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879186B1 (ko) 얼음 음료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벤딩 머신
KR20190136315A (ko) 무인 카페 시스템
KR102194495B1 (ko) 음료 판매 및 수익 분배를 위한 자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13705B1 (ko) 자판기의 판매 금액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13704B1 (ko) 음료 판매 자판기에 관련된 수익을 분배하는 방법
WO2014116112A1 (en) Method and applet for ordering a beverage
TW202222233A (zh) 咖啡飲料製造裝置
KR101797922B1 (ko) 얼음 음료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벤딩 머신
TWI620141B (zh) 雲端客製飲料系統
KR20230162499A (ko)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자동판매장치
JP2019070869A (ja) 飲料提供システム、飲料提供方法、飲料提供プログラム
CN109979099B (zh) 一种饮品设备、系统及确定增加配料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