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851B1 - 어버트먼트 지그 - Google Patents

어버트먼트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851B1
KR102193851B1 KR1020190074087A KR20190074087A KR102193851B1 KR 102193851 B1 KR102193851 B1 KR 102193851B1 KR 1020190074087 A KR1020190074087 A KR 1020190074087A KR 20190074087 A KR20190074087 A KR 20190074087A KR 102193851 B1 KR102193851 B1 KR 102193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fastening groove
holder body
ji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9007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단열성능이 개선되며 어버트먼트의 취부용이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임플란트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로 어버트먼트 반입 및 취부를 위한 어버트먼트 지그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의 안착바닥면에 안착 지지되도록 구비되되, 상면 중앙부에 제1체결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부 일측에 제2체결홈이 함몰 형성된 홀더몸체부; 및 상기 어버트먼트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2체결홈에 체결되고, 타단부에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에 삽입시 그립되도록 그립부가 형성되는 그립지지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지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어버트먼트 지그{jig for abutment}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성능이 개선되며 어버트먼트의 취부용이성이 개선되는 어버트먼트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란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임플란트란 치과에서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체하는 어버트먼트, 치관을 대체하는 크라운,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인공치아부 사이를 매개하는 어버트먼트, 또는 개별 식립되는 틀니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는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어버트먼트 등의 임플란트는 식립시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의한 오염으로 치조골 등의 구강 내부 조직이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항균 처리된 후 포장되어 보관된다. 그리고, 현재 대부분의 어버트먼트는 RBM, SLA 등의 공정을 통해 친수성 표면을 갖도록 처리된다.
그리고, 최근 들어 내부에 상기 어버트먼트를 장착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어버트먼트의 표면을 개질하면서도 표면에 부착된 유기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가 일부 개시되었다.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공개 제10-2014-0125764호) '보철기기의 연조직 결합 및 밀봉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는, 자외선으로 처리된 보철기기를 자외선 처리되지 않은 보철기기와 비교시 연조직 결합 및 밀봉이 약 10% 이상 향상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표면개질 처리의 과정은 상기 어버트먼트가 포장된 용기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상기 용기 주변에 잔존하는 산소가 오존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어버트먼트의 표면에 침착되는 탄소 원자가 상기 오존과 결합되어 분리됨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의 표면이 소수성에서 친수성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표면개질 처리 과정에서 자외선 조사장치로부터 발열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발열이 상기 용기를 통해 상기 어버트먼트로 열전도됨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에 대한 표면 개질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어버트먼트에 발열이 열전도됨으로 인해 이를 냉각시키기 위한 시간이 더 소요되므로 시술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제대로 냉각되지 못한 어버트먼트를 피시술자의 구강에 식립시 피시술자의 시술부위 조직이 손상될 수 있으며, 이는 나아가 안정적인 골융합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12576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열성능이 개선되며 어버트먼트의 취부용이성이 개선되는 어버트먼트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플란트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로 어버트먼트 반입 및 취부를 위한 어버트먼트 지그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의 안착바닥면에 안착 지지되도록 구비되되, 상면 중앙부에 제1체결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부 일측에 제2체결홈이 함몰 형성된 홀더몸체부; 및 상기 어버트먼트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2체결홈에 체결되고, 타단부에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에 삽입시 그립되도록 그립부가 형성되는 그립지지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지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몸체부에는 상기 홀더몸체부의 몸체 외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 돌설되는 하단 테두리의 내부에 상측으로 볼록한 단열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홀더몸체부의 하단 테두리에는 상기 안착바닥면과의 전열면적이 감소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하측이 개구되되 상기 단열홈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슬릿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어버트먼트의 관통홀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제1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1체결홈의 직경 및 상기 어버트먼트의 체결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연속적으로 경사지게 감소되는 경사지지부와, 상기 관통홀이 삽입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의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로 더 연장 돌설되되 상기 관통홀의 직경 이하로 형성되는 연장지지부를 포함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체결홈은 상기 홀더몸체부의 상면 일측에 배치된 상기 제2체결홈의 내측단과, 상기 제2체결홈에 대향되는 상기 홀더몸체부의 상면 타측의 외측단 사이의 중심에 편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홈의 내주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그립지지부의 일단부 외주에는 상기 제1나사산에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홈은 상기 홀더몸체부의 상면 테두리부 일측에 외곽을 따라 상호간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 함몰 형성되되, 상기 그립지지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그립지지부의 일단부가 각 상기 제2체결홈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어버트먼트가 지지되도록 각 상기 그립지지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지지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어버트먼트의 체결부가 홀더몸체부의 제1체결홈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제2체결홈에 체결 고정되는 그립지지부를 시술자가 그립하여 자외선 조사장치로 삽입하면 어버트먼트가 표면 개질되므로 어버트먼트의 직접 접촉에 의한 오염이 미연에 방지되며 취부용이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어버트먼트의 지지를 위해 함몰 형성된 제1체결홈이 홀더몸체부의 상면 일측의 제2체결홈 내측단과 홀더몸체부의 상면 타측의 외측단 사이의 중심에 편심 배치되므로 어버트먼트와 그립지지부 간의 간섭이 방지되면서도 어버트먼트가 자외선광원부와 이격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표면 개질될 수 있다.
셋째, 상부에 어버트먼트가 지지되는 홀더몸체부의 하부에 자외선 조사장치의 안착바닥면과 이격되는 단열홈이 형성되며 하단 테두리에 복수개소 슬릿홈이 함몰되어 전열면적이 최소화되므로 가열된 어버트먼트 냉각에 소요되던 시간이 단축되어 시술시간이 현저히 감소되며, 표면 개질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표준화된 규격으로 다양한 크기를 갖도록 제조된 어버트먼트의 관통홀이 어버트먼트의 지지를 위해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연장지지부를 통과하여 경사진 경사지지부의 외면 일측에 안착 가능하므로 호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의 내부가 투영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의 홀더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의 홀더몸체부를 나타낸 하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의 홀더몸체부를 나타낸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의 내부가 투영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나타낸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의 홀더몸체부를 나타낸 상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의 내부가 투영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의 홀더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의 홀더몸체부를 나타낸 하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의 홀더몸체부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100)는 홀더몸체부(10), 그리고 그립지지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어버트먼트 지그(100)는 임플란트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3)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1) 반입 및 취부를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어버트먼트 지그(100)는 상기 어버트먼트(1)를 표면 개질하는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3)에 삽입되며 상기 어버트먼트(1)가 상부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3)는 내부에 자외선광원부(3a)가 구비되며, 상기 자외선광원부(3a)는 상기 어버트먼트 지그(100)가 삽입되도록 하부에 안착바닥면(3b)이 형성된 삽입공간을 감싸며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버트먼트 지그(100)의 상기 홀더몸체부(10) 및 상기 그립지지부(20)는 티타늄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 지그(100)가 실질적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몸체부(10)는 하면이 상기 안착바닥면(3b)에 안착 지지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홀더몸체부(10)에는 몸체(10a) 외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 돌설되는 하단 테두리(12)의 내부에 상측으로 볼록한 단열홈(11)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홀더몸체부(10)에는 원주 형상 등으로 구비되는 몸체(10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10a)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홀더몸체부(10)의 하단 테두리(12)는 상기 몸체(10a)의 외측단으로부터 일체로 하향 연장 돌설되어 하면이 상기 안착바닥면(3b)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몸체부(10)의 하단 테두리(12)에는 상기 안착바닥면(3b)과의 전열(傳熱)면적이 감소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하측이 개구되되 상기 단열홈(11)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슬릿홈(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3)를 통한 상기 어버트먼트(1)의 표면개질시, 상기 자외선광원부(3a)가 자외선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과정에서 부산(副産)되는 열에 의해 상기 안착바닥면(3b)이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바닥면(3b)에 상기 홀더몸체부(10)가 안착 지지시, 상기 안착바닥면(3b)에서 상기 홀더몸체부(10)를 통해 상기 어버트먼트(1)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즉, 전열면적이라 함은 상기 안착바닥면(3b)에 접촉되어 열전도를 매개하는 상기 하단 테두리(12)의 하면부 면적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슬릿홈(13)은 상기 홀더몸체부(10)의 하단 테두리(12)에 둘레방향을 따라 사각형 등의 단면 형상으로 하측이 개구되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홀더몸체부(10)의 하단 테두리(12)가 원주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슬릿홈(13)이 상기 하단 테두리(12)의 둘레방향을 따라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릿홈(13)에 의해 상기 하단 테두리(12)가 복수개로 구획 형성되되, 구획된 하단 테두리(12) 각각의 길이는 상기 안착바닥면(3b)에 수평하게 안착되도록 상호간 동일하게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열홈(11)은 상기 하단 테두리(12)가 상기 안착바닥면(3b)에 안착시 상기 안착바닥면(3b)과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하단 테두리(12)의 내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단 테두리(12)의 내부, 즉 상기 단열홈(11)과 상기 안착바닥면(3b) 사이에 단열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홈(11)은 상기 슬릿홈(13)과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몸체부(10)의 하단 테두리(12)에 복수개소 함몰 형성되는 슬릿홈(13)과 상기 안착바닥면(3b)과 이격 배치되는 단열홈(11)에 의해 상기 홀더몸체부(10)가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3)의 안착바닥면(3b)에 안착시 전열면적이 최소화된다. 즉, 상부에 어버트먼트(1)가 지지되는 홀더몸체부(10)의 하부에 자외선 조사장치(3)의 안착바닥면(3b)과 이격되는 단열홈(11)이 형성되며 홀더몸체부(10)의 하단 테두리(12)에 복수개소 슬릿홈(13)이 함몰되어 전열면적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바닥면(3b)에서 상기 홀더몸체부(10)를 매개로 상기 어버트먼트(1)로의 열전도가 최소화되므로 가열된 어버트먼트(1) 냉각에 소요되던 시간이 단축되어 시술시간이 현저히 감소되며, 표면 개질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3) 내부에서 발생된 열에 의한 대류 복사열을 통해 상기 어버트먼트(1)의 온도가 증가될 수 있으나, 티타늄 재질의 홀더몸체부(10)를 매개로한 열전도에 의한 온도 증가보다는 미미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홀더몸체부의 하단 테두리는 하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연속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단 테두리의 하단부가 상기 안착바닥면(3b)에 선접촉되도록 첨예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홀더몸체부의 외면 프로파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단 테두리부의 내측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홀더몸체부의 하단 테두리가 하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연속적으로 감소되어 하단부가 첨예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안착바닥면(3b)에 선접촉되며 안착 지지되므로 상기 어버트먼트에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몸체부(10)에는 상면(14) 중앙부에 제1체결홈(15)이 함몰 형성되며, 상면(14) 테두리부 일측에 제1나사산이 내주에 형성된 제2체결홈(16)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홈(15)은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상면(14) 중앙부로부터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외측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체결홈(15)은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상면(14) 일측에 배치된 상기 제2체결홈(16)의 내측단(m1)과, 상기 제2체결홈(16)에 대향되는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상면(14) 타측의 외측단(m2) 사이의 중심(m3)에 편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홈(15)은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상면(14) 중앙(n1)으로부터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외측방향으로 편심된 위치, 즉 상기 제2체결홈(16)의 내측단(m1) 및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상면(14) 타측의 외측단(m2) 사이의 중심(m3)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체결홈(16)의 내측단(m1)에서 상기 중심(m3) 사이의 제1거리(k1)와,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상면(14) 타측의 외측단(m2)에서 상기 중심(m3) 사이의 제2거리(k2)는 상호간 동일 대응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홈(16)의 내측단(m1) 및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상면(14) 타측의 외측단(m2) 사이의 중심(m3)과,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상면(14) 중앙(n1) 사이의 간격(k4)은 상기 제2체결홈(16)의 직경(k3)의 0.45~0.55배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격(k4)이 상기 직경(k3)의 0.45배 미만으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2체결홈(16)에 체결 고정되는 상기 그립지지부(20)와 상기 제1체결홈(15)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어버트먼트(1)가 상호간 간섭되어 상기 어버트먼트(1)가 지지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반면, 상기 간격(k4)이 상기 직경(k3)의 0.55배 초과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1체결홈(15)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어버트먼트(1)가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측방향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자외선광원부(3a)에 접촉될 우려가 있다.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1)가 상기 자외선광원부(3a)에 접촉되면 표면 개질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간격(k4)이 상기 직경(k3)의 0.45~0.55배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제1체결홈(15)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어버트먼트(1)와 상기 제2체결홈(16)에 체결 고정되는 상기 그립지지부(20) 간의 간섭이 방지되며 상기 어버트먼트(1)가 상기 자외선광원부(3a)와 이격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표면 개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어버트먼트(1)가 지지되기 위해 함몰 형성되는 상기 제1체결홈(15)이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상면(14) 일측에 배치된 상기 제2체결홈(16)의 내측단(m1)과, 상기 제2체결홈(16)에 대향되는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상면(14) 타측의 외측단(m2) 사이의 중심(m3)에 편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버트먼트(1)와 상기 그립지지부(20) 간의 간섭이 방지되면서도 상기 어버트먼트(1)가 상기 자외선광원부(3a)와 이격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표면 개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홈(15)은 상기 어버트먼트(1)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a)의 길이에 대응되어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부(1a)의 외주에는 픽스츄어(미도시) 상부의 내주체결홈(미도시)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나사산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1체결홈(15)의 내주에는 상기 체결나사산이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어버트먼트(1)의 체결부(1a)가 상기 제1체결홈(15)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1)가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1a)가 상기 제1체결홈(15)에 단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체결나사산이 상기 제1체결홈(15)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홈(15)의 직경은 상기 체결부(1a)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1)는 표준화된 규격으로 복수개의 크기를 갖도록 제조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1a)의 직경이 상기 어버트먼트(1)의 크기에 대응되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체결홈(15)의 직경은 복수개의 크기로 제조되는 상기 체결부(1a) 중 가장 큰 체결부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체결홈(15)에 상기 어버트먼트(1)의 체결부(1a)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1)가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체결홈(15)의 개구측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속적으로 확장되는 가이드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안착부에 상기 어버트먼트의 하부가 안착되어 걸림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체결홈(16)은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상면(14) 테두리부 일측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체결홈(16)의 내주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체결홈(16)의 함몰 깊이는 상기 제1체결홈(15)의 함몰 깊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체결홈(16)의 직경은 상기 제1체결홈(15)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지지부(20)는 원주 형상 등의 바(bar)로 구비되어 상기 어버트먼트(1)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체결홈(16)에 체결되도록 일단부(21) 외주에 상기 제1나사산에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지지부(20)의 일단부(21) 직경은 상기 제2체결홈(16)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섬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그립지지부(20)의 일단부(21)에 형성된 상기 제2나사산이 상기 제2체결홀(16)의 내주에 형성된 상기 제1나사산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홀더몸체부(10) 및 상기 그립지지부(20)가 상호간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홀더몸체부(10) 및 상기 그립지지부(20)가 상호간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제1나사산 및 상기 제2나나산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그립지지부(20)가 상기 제2체결홈(16)에 억지 끼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지지부(20)의 타단부에는 외주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면이 형성되는 그립부(22)가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요철면은 상기 그립지지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 및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확장 및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22)는 상기 어버트먼트(1)를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3)에 삽입시 시술자에 의해 그립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립부(22)는 상기 그립지지부(20)의 일단부(21)가 상기 제2체결홈(16)에 체결 고정시 상기 제1체결홈(15)에 지지되는 상기 어버트먼트(1) 상부 높이보다 더 상부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버트먼트(1)의 체결부(1a)가 상기 제1체결홈(15)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홈(16)에 체결 고정되는 상기 그립지지부(20)의 그립부(22)를 시술자가 그립하여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3)의 삽입공간으로 삽입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3)에서 상기 어버트먼트(1)가 표면 개질되므로 상기 어버트먼트(1)의 직접 접촉에 의한 오염이 미연에 방지되며 취부용이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의 내부가 투영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보조지지부(3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100A)는 홀더몸체부(10), 그립지지부(20), 그리고 보조지지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지지부(30)는 어버트먼트(2)의 관통홀(2a)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구비되며 티타늄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술된 일실시예(도 2 참조)의 어버트먼트(1)는 하부에 체결부(1a)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구비되는 반면, 일실시예의 변형예(도 8 참조)의 어버트먼트(2)는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홀(2a)에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이 삽입되어 픽스츄어(미도시)에 결합되도록 구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관통홀(2a)의 상부측 직경이 하부측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미도시)의 헤드부가 단차진 관통홀(2a)의 내측에 걸림되며 체결부가 상기 픽스츄어(미도시)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부(30)는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제1체결홈(1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삽입부(3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31)의 직경은 상기 제1체결홈(15)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31)의 직경은 상술된 일실시예의 어버트먼트(1) 체결부(1a) 직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삽입부(31)가 상기 제1체결홈(15)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체결홈(15) 내주 및 상기 삽입부(31) 외주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상호간 나사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홀더몸체부(10) 및 상기 보조지지부(30)가 상호간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31)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속적으로 확장되는 확장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경사부의 외면 프로파일은 상기 제1체결홈(15)의 개구측에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속적으로 확장되는 가이드안착부의 내면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되어 상호간 형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지지부(30)는 상기 삽입부(31)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연속적으로 경사지게 감소되는 경사지지부(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31) 및 상기 경사지지부(32)의 사이에는 단차부(31a)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자지지부(32)의 하단부 직경은 상기 삽입부(31) 및 상기 확장경사부의 상단부 직경을 초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부(31a)는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상면에 안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지지부(32)는 상단이 잘린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연속적으로 경자지게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사지지부(32)의 외면 일측에 상기 어버트먼트(2)의 관통홀(2a)이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어버트먼트(2)는 표준화된 규격으로 복수개의 크기를 갖도록 제조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2a)의 직경이 상기 어버트먼트(1)의 크기에 대응되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지지부(32)의 하단부 직경은 복수개의 크기로 제조되는 상기 어버트먼트(2)의 관통홀(2a) 중 가장 큰 관통홀의 직경을 초과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경사지지부(32)의 상단부 직경은 복수개의 크기로 제조되는 상기 어버트먼트(2)의 관통홀(2a) 중 가장 작은 관통홀의 직경 이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표준화된 규격으로 복수개의 크기를 갖도록 제조되는 상기 어버트먼트(2)의 관통홀(2a)이 상기 경사지지부(32)의 외면 일측에 안착 가능하여 상기 어버트먼트(2)가 상기 홀더몸체부(10)의 상부에 지지되므로 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지지부(30)는 상기 어버트먼트(2)의 관통홀(2a)이 삽입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32)의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상측으로 더 일체로 연장 돌설되되 상기 관통홀(2a)의 직경 이하로 형성되는 연장지지부(3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지지부(33) 및 상기 경사지지부(32)의 길이는 상기 어버트먼트(2)가 상기 경사지지부(32)에 안착시 쓰러짐이 방지되도록 각각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어버트먼트(2)의 관통홀(2a) 길이 및 상기 연장지지부(33)의 길이 간의 비율은 4~6:1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2)의 관통홀(2a) 길이와, 상기 경사지지부(32) 및 상기 연장지지부(33)의 합산 길이 간의 비율은 1.5~2.0:1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어버트먼트(2)의 관통홀(2a) 길이가 15mm인 경우 상기 경사지지부(32)의 길이가 5mm, 상기 연장지지부(32)의 길이가 3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2a) 길이 및 상기 연장지지부(33)의 길이 비율이 4~6:1 범위를 벗어나며, 상기 관통홀(2a) 길이와 상기 경사지지부(32) 및 상기 연장지지부(33)의 합산 길이 간의 비율이 1.5~2.0:1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경사지지부(32)에 안착되는 상기 어버트먼트(2)가 쓰러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지지부(33) 및 상기 경사지지부(32)의 길이가 각각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2)가 상기 경사지지부(32)에 안착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체결홈(1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되 상기 경자지지부(32) 및 상기 연장지지부(33)가 구비된 상기 보조지지부(30)의 상부에 상기 어버트먼트(2)의 관통홀(2a)이 안착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 지그(100A)가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3)에 삽입시 상기 어버트먼트(2)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취부용이성이 개선될 수 있다. 즉, 표준화된 규격으로 다양한 크기를 갖도록 구비된 상기 어버트먼트(2)의 관통홀(2a)이 상기 어버트먼트(2)의 지지를 위해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상기 연장지지부(33)를 통과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관통홀(2a)이 경사진 상기 경사지지부(32)의 외면 일측에 안착 가능하므로 상기 어버트먼트(2)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어버트먼트(2)가 상기 경사지지부(32)에 안착 지지될 수 있어 호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의 홀더몸체부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체결홈(116a,116b), 그립지지부(120A,120B), 연결지지부(123)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200)는 홀더몸체부(110) 및 그립지지부(120A,120B)를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300)는 상술된 일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상술한 보조지지부(도 7의 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세히, 상기 홀더몸체부(110)의 상면 테두리부 일측에는 제2체결홈(116a,116b)이 상기 홀더몸체부(110)의 외곽을 따라 상호간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제2체결홈(116a,116b) 사이의 홀더몸체부(110) 둘레 길이가, 각 상기 제2체결홈(116a,116b) 사이의 홀더몸체부(110) 둘레를 제외한 나머지 홀더몸체부(110)의 둘레 길이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체결홈(116a,116b)은 상기 홀더몸체부(110)의 상면 테두리부 일측에 2~4개소 편심 배치되어 하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홀더몸체부(110)의 제1체결홈은 상기 홀더몸체부(110)의 상면 에 편심 배치되되, 각 상기 제2체결홈(116a,116b)의 내측단 및 상기 홀더몸체부(110)의 상면 타측의 외측단 사이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립지지부(20A,20B)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일단부가 각 상기 제2체결홈(116a,116b)에 각각 체결되며, 상기 제2체결홈(116a,116b)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그립지지부(20A,20B)의 일단부가 각 상기 제2체결홈(116a,116b)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버트먼트 지그(200)는 상기 어버트먼트(2)의 외면이 지지되도록 각 상기 그립지지부(20A,20B)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지지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지지부(123)는 티타늄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지지부(123)는 상기 홀더몸체부(110)가 원주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그립지지부(20A,20B)의 직경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원호형 단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부(123)의 하부에는 상기 그립지지부(20A,20B)가 억지 끼움되도록 각 상기 제2체결홈(116a,116b)의 배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끼움홈이 상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상기 끼움홈에 각 상기 그립지지부(20A,20B)의 타단부가 억지 끼움됨에 따라 상기 연결지지부(123)가 각 상기 그립지지부(20A,20B)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각 상기 그립지지부(20A,20B) 및 상기 연결지지부(123)는 상호간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지지부(123)의 배치 높이 및 상기 그립지지부(20A,20B)의 길이는 상기 어버트먼트(2)의 외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2)의 길이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일단부가 상기 홀더몸체부(110)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그립지지부(20A,20B)의 타단부에 상기 연결지지부(123)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어버트먼트(2)가 안착 지지된 상기 어버트먼트 지그(200)를 자외선 조사장치에 삽입시 상기 어버트먼트(2)의 외면이 상기 연결지지부(123)에 의해 지지되므로 취부용이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2: 어버트먼트 1a: 체결부
2a: 관통홀 3: 자외선 조사장치
3a: 자외선광원부 3b: 안착바닥면
10,110: 홀더몸체부 11: 단열홈
12: 하단 테두리 13: 슬릿홈
15: 제1체결홈 16,116a,116b: 제2체결홈
20,120A,120B: 그립지지부 21: 일단부
22: 그립부 30: 보조지지부
31: 삽입부 31a: 단차부
32: 경사지지부 33: 연장지지부
100,100A,200: 어버트먼트 지그 123: 연결지지부

Claims (5)

  1. 임플란트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로 어버트먼트 반입 및 취부를 위한 어버트먼트 지그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의 안착바닥면에 안착 지지되도록 구비되되, 상면 중앙부에 제1체결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부 일측에 제2체결홈이 함몰 형성된 홀더몸체부; 및
    상기 어버트먼트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2체결홈에 체결되고, 타단부에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에 삽입시 그립되도록 그립부가 형성되는 그립지지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부에는 상기 홀더몸체부의 몸체 외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 돌설되는 하단 테두리의 내부에 상측으로 볼록한 단열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홀더몸체부의 하단 테두리에는 상기 안착바닥면과의 전열면적이 감소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하측이 개구되되 상기 단열홈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슬릿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관통홀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제1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1체결홈의 직경 및 상기 어버트먼트의 체결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연속적으로 경사지게 감소되는 경사지지부와,
    상기 관통홀이 삽입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의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로 더 연장 돌설되되 상기 관통홀의 직경 이하로 형성되는 연장지지부를 포함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홈은 상기 홀더몸체부의 상면 일측에 배치된 상기 제2체결홈의 내측단과, 상기 제2체결홈에 대향되는 상기 홀더몸체부의 상면 타측의 외측단 사이의 중심에 편심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지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홈의 내주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그립지지부의 일단부 외주에는 상기 제1나사산에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홈은 상기 홀더몸체부의 상면 테두리부 일측에 외곽을 따라 상호간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 함몰 형성되되, 상기 그립지지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그립지지부의 일단부가 각 상기 제2체결홈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어버트먼트가 지지되도록 각 상기 그립지지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지지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지그.
KR1020190074087A 2019-06-21 2019-06-21 어버트먼트 지그 KR102193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087A KR102193851B1 (ko) 2019-06-21 2019-06-21 어버트먼트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087A KR102193851B1 (ko) 2019-06-21 2019-06-21 어버트먼트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851B1 true KR102193851B1 (ko) 2020-12-22

Family

ID=7408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087A KR102193851B1 (ko) 2019-06-21 2019-06-21 어버트먼트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8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5764A (ko) 2012-01-19 2014-10-29 더 리젠트스 오브 더 유니이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보철기기의 연조직 결합 및 밀봉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KR101516185B1 (ko) * 2014-05-20 2015-05-04 주식회사 디오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JP2016209244A (ja) * 2015-05-07 2016-12-15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インプラント用紫外線照射装置
KR101705830B1 (ko) * 2015-10-19 2017-02-10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US20170333148A1 (en) * 2010-04-27 2017-11-23 Selenium Medical Package for an object and an assembly including such a packa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33148A1 (en) * 2010-04-27 2017-11-23 Selenium Medical Package for an object and an assembly including such a package
KR20140125764A (ko) 2012-01-19 2014-10-29 더 리젠트스 오브 더 유니이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보철기기의 연조직 결합 및 밀봉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KR101516185B1 (ko) * 2014-05-20 2015-05-04 주식회사 디오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JP2016209244A (ja) * 2015-05-07 2016-12-15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インプラント用紫外線照射装置
KR101705830B1 (ko) * 2015-10-19 2017-02-10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1720B2 (ja) 補綴構造体とインプラント構造体との連結
US6644969B2 (en) Snap-in healing cap and insertion tool
KR20010076313A (ko) 최종 보철의 지지용 정밀 영구 포스트를 제조하기 위한예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US20050019726A1 (en) Implant
US11864967B2 (en) Packaging container for dental implant
US20070162024A1 (en) Implant for anchoring in bones
KR10206495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US20040038179A1 (en) Healing abutment
ES2325954T3 (es) Sistema de implante dental.
KR101688931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20090100059A (ko) 분할식 지대주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1250493B1 (ko) 임플란트 식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방법
KR102193851B1 (ko) 어버트먼트 지그
KR200383246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KR20170086885A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KR10168893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2047451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211993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치유지대주 및 인상용캡 복합체
KR102172858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2209803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EP3793473B1 (en) Gingiva former, arrangement and and dental healing system
KR20200083194A (ko) 임플란트용 자외선 살균장치
KR102042682B1 (ko) 치과용 비마운트형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210017176A (ko)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어셈블리
KR20090041140A (ko) 픽스츄어 포장용 앰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