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797B1 - Emergency alarm apparatus and system with it - Google Patents

Emergency alarm apparatus and system with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797B1
KR102192797B1 KR1020200057337A KR20200057337A KR102192797B1 KR 102192797 B1 KR102192797 B1 KR 102192797B1 KR 1020200057337 A KR1020200057337 A KR 1020200057337A KR 20200057337 A KR20200057337 A KR 20200057337A KR 102192797 B1 KR102192797 B1 KR 102192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ed
emergency
alarm
security control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3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근신
이종한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7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7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1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87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by interference of a radiation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B64C2201/127
    • B64C2201/1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alert device and to an emergency alert system having the same. The emergency ale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movable form, and a plurality of devices are installed in a security boundary area to form a cyber fence. The emergency alarm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radar modules for detecting an intruding object at the installation site. The emergency alarm device generates an alarm when an intruding object is detected. When an object is detected from a single emergency alarm device, the emergency alarm system moves a drone to a corresponding place to obtain an image including the object. The security control server receives the image from the drone and monitors the site where the intruding object is loc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bject is detected using a radar module, an alarm can be output in the field to induce the object to be expelled, and an alarm is output to a situation room or a control center so that an administrator can quickly take action on an event situation.

Description

비상 경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 경보 시스템{EMERGENCY ALARM APPARATUS AND SYSTEM WITH IT}Emergency alarm device and emergency alarm system having the same {EMERGENCY ALARM APPARATUS AND SYSTEM WITH IT}

본 발명은 비상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보안 통제 구역, 출입 금지 구역 등에 복수 개가 감지 영역이 서로 중첩되게 설치되고, 레이더 모듈을 이용하여 사람, 차량 등의 객체를 감지하여 현장에서 경보를 출력하고, 이를 상황실이나 관제 센터로 알려주어 비상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하도록 처리하는 비상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alarm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detection areas are installed to overlap each other in a security control area and an access prohibited area, and an alarm in the field by detecting objects such as people and vehicles using a radar module. It outputs and informs the situation room or control center to monitor an emergency situation.

또 본 발명은 비상 경보 장치를 이용하여 객체를 감지하고, 객체가 감지되면, 드론을 이용하여 감지된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여 보안 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보안 감시, 경보 및 모니터링하도록 처리하는 복수 개의 비상 경보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object using an emergency alarm device and, when the object is detected, acquires an image including the object detected using a drone and transmits it to a security control server to process security monitoring, alarm, and monitoring. It relates to an emergency alarm system having four emergency alarm devices.

통상적으로, 보안이 요구되는 특정 건물이나 시설물 예를 들어, 항만, 공항, 군 시설, 국가 보안 시설 등의 중요 보안 시설물에는 출입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허용된 출입자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 통제하거나, 보안 시설물의 상태나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파악할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보안 시설물에는 경계 구역이나, 보안이 취약한 장소에 카메라나 적외선 센서 등 다양한 감시 및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되고, 이를 통해 보안 시설물의 보안 상태를 관리한다.In general, in certain buildings or facilities requiring security, for example, ports, airports, military facilities, national security facilities, and other important security facilities, the identity of the person entering is checked and access is controlled so that only authorized persons can enter. It is necessary to manage and understand the status or situation of security facilities in real time. To this end, various surveillance and monitoring devices such as cameras and infrared sensors are installed in a security facility in a boundary area or in a place where security is weak, and through this, the security status of the security facility is managed.

예를 들어, 항만에는 다양한 용도의 시설들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기 위해 많은 사람과 차량들이 출입하게 된다. 항만의 주요 시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출입하는 사람이나 차량들을 적절히 통제할 필요가 있다. 항만은 보안 구역이자 보세 구역으로, 각종 국내외 법규정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외부인의 통제와 차단이 이루어지고 있다.For example, there are facilities for various purposes in ports, and many people and vehicles enter and exit to use them. In order to manage the main facilities of the port, it is necessary to properly control the people and vehicles entering and exiting. The port is both a security area and a bonded area, and outsiders are controlled and block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이를 위해 현재에는 경비원이나 보안 요원들이 출입하는 사람이나 차량에 탑승한 사람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그 사람이나 차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인허된 사람이나 차량의 경우에만 출입시키도록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항만 내부에 대해서는 CCTV와 경비원이나 보안 요원의 순찰 활동에 의지하여 모든 보안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실은 CCTV를 보면서도 놓치는 사례가 발생되고 있고, 항만의 광범위한 범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건, 사고를 확인하고 하더라도 예를 들어, 각종 밀입국과 밀수 등의 사건 사고가 발견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하기에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To this end, there are currently cases where security guards or security personnel visually check the person entering or boarding the vehicle,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person or vehicle, and then enter only the authorized person or vehicle. Most of them. In addition, all security is carried out by relying on CCTV and patrol activities of security guards and security guards inside the port, but in reality, there are cases that are missed even while watching CCTV, and incidents and accidents that can occur in a wide range of ports are confirmed. Even so, there is a physical limitation in responding quickly when incidents such as smuggling and smuggling are discovered.

따라서, 이와 같이 항만 시설에 야적된 컨테이너 화물을 포함한 각종 감시 대상물에 대해 의도적 침입, 훼손, 도난 등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보안 체계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항만 내외로 입출되는 컨테이너 화물, 사람, 차량 등에 대한 이동 현황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워 보안 및 감시를 원할하게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security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in all directions for intentional intrusion, damage, theft, etc. for various monitored objects including container cargo stacked in port facilitie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moothly perform security and monitoring because it is difficult to grasp information on the movement status of container cargo, people, vehicles, etc. entering and leaving the port.

특히, 항만 시설은 길이가 수 킬로미터에 달할 정도로 광대한 영역이어서 감시를 위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CCTV 카메라의 설치 만으로는 광대한 정보량에 대해 관리 감시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port facility is a vast area with a length of several kilometers, it is difficult to manage and monitor a vast amount of information only by installing CCTV cameras that are generally applied for surveillanc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0999호(공고일 2009년 12월 10일)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30999 (announced on December 10, 200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9024호(공고일 2014년 12월 04일)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59024 (announced on December 04, 201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5681호(공고일 2016년 08월 04일)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45681 (announced on August 04, 201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8563호(공고일 2012년 06월 20일)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58563 (announced on June 20,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 통제 장소에 복수 개를 설치하여 사이버 펜스를 형성하고, 사이버 펜스 내에서 침입되는 객체를 감지하여 객체의 퇴출을 유도하는 비상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alarm device that forms a cyber fence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security control locations, detects an intruding object in the cyber fence, and induces the retirement of the obje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이더 모듈을 이용하여 감지 영역에서의 침입 객체를 감지하는 비상 경보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alert system including an emergency alert device for detecting an intrusive object in a detection area using a radar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상 경보 장치와 드론을 이용하여 보안 통제 장소에서의 객체 감지 시, 경보를 발생시키고 객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보안 통제 장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비상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alarm system that generates an alarm when detecting an object in a security control place using an emergency alarm device and a drone, and acquires an image of the object to monitor the security control place in real time. .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상 경보 장치는 레이더 모듈을 이용하여 객체를 감지하여 외부로 경보를 발생시키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비상 경보 장치는 복수 개가 보안 통제 장소에 설치되어 사이버 펜스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객체 감지 시, 경보를 발생시킴으로써, 침입 객체 스스로 퇴출을 유도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emergency ale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object using a radar module and generates an alarm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emergency alarm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security control place to form a cyber fence, and when an object is detected, an alarm is generated, thereby inducing the intrusion object to exit itself.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비상 경보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 경보 장치를 설치 장소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상기 비상 경보 장치를 설치 장소에 고정시키는 이동 수단; 일정 높이를 갖고 하부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설치 장소에 침입되는 객체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레이더 모듈;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더 모듈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경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전광판;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더 모듈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경보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 경보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비상 경보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레이더 모듈로부터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전광판 및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여 경보 메시지 및 경보 방송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려주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emergency alarm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feature includes: a housing; A moving mean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to move the emergency alarm device to an installation location and to fix the moved emergency alert device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A support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ving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housing; A plurality of radar module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detecting an object entering the installation site; An electric sign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outputting an alarm message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module; A speaker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outputting an alarm broadcast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module; A batter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supply power to the emergency alarm device; And it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controls to supply power to the emergency alarm device from the battery, and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module, the electronic board and the speaker are controlled to output an alarm message and an alarm broadcast. ,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notify that an object has been detected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비상 경보 장치는 복수 개가 보안 통제 장소에 설치되고, 인접하는 것들 간에 상기 레이더 모듈의 감지 영역이 중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보안 통제 장소에 대한 사이버 펜스를 형성하고, 각각이 설치 장소를 판별할 수 있도록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를 구비한다.In this feature, a plurality of the emergency alarm devices are installed at the security control place, and the detection areas of the radar module are installed to overlap between adjacent ones to form a cyber fence for the security control place, each of which It has identifiab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 개의 비상 경보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 경보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alarm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emergency alarm devices.

이 특징에 따른 비상 경보 시스템은, 감지 영역이 중첩되게 설치되고 서로 다른 식별 정보를 구비하여 보안 통제 장소에 대한 사이버 펜스를 형성하고, 레이더 모듈을 이용하여 설치 장소에 침입되는 객체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비상 경보 장치; 상기 사이버 펜스 내를 주행하여 상기 비상 경보 장치들 각각의 설치 장소로 이동 가능하고, 자율 주행 중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객체를 검지하고, 검지된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및 상기 비상 경보 장치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객체가 검지되면,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설치 장소를 판별하여 상기 드론을 판별된 설치 장소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드론으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서 객체가 감지된 설치 장소를 모니터링하도록 처리하는 보안 관제 서버를 포함한다.An emergency alarm system according to this featur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etection areas that overlap each other and have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form a cyber fence for the security control site, and detect an object intruding into the installation site using a radar module. Emergency alarm device; At least one drone capable of driving within the cyber fence to move to an installation location of each of the emergency alarm devices, detecting an object using a camera module during autonomous driving, and obtaining an image including the detected object; And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any one of the emergency alarm devic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used to determine any one installation location to control the drone to move to the determined installation location, and receive an image from the drone. It includes a security control server that processes to monitor the installation location where objects are detected.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비상 경보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 경보 장치를 설치 장소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상기 비상 경보 장치를 설치 장소에 고정시키는 이동 수단; 일정 높이를 갖고 하부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설치 장소에 침입되는 객체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상기 레이더 모듈;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더 모듈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경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전광판;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더 모듈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경보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 경보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비상 경보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레이더 모듈로부터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전광판 및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여 경보 메시지 및 경보 방송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려주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this feature: the emergency alarm device comprises: a housing; A moving means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to move the emergency alarm device to an installation location and fix the moved emergency alert device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A support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ving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housing; A plurality of radar module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detecting an object entering the installation site; An electric sign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outputting an alarm message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module; A speaker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outputting an alarm broadcast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module; A batter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supply power to the emergency alarm device; And it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controls to supply power to the emergency alarm device from the battery, and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module, the electronic board and the speaker are controlled to output an alarm message and an alarm broadcast. ,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notify that an object has been detected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보안 관제 서버는, 상기 비상 경보 장치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감지된 객체가 출입 인허된 객체인지를 판별하고, 감지된 객체가 출입 인허받지 않은 객체이면,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경보를 발생시킨다.In this feature, the security control server, when an object is detected from any one of the emergency alarm devices,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object is an access permitted object using the image, and the detected object is not permitted access. If it is not an object, it generates an alarm indicating that an event has occurr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 경보 장치는 복수 개가 보안 통제 구역에 설치되어 사이버 펜스를 형성하고, 사이버 펜스 내에서 객체가 침입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객체가 감지되면, 현장에서 경보를 출력하여 해당 객체의 퇴출을 유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emergency alarm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a security control area to form a cyber fence, and when an object is detected in real time by detecting an intrusion of an object within the cyber fence, an alarm is output in the field. You can induce the expulsion of the object.

또 본 발명의 비상 경보 장치는 레이더 모듈을 통해 객체가 침입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날씨와 주변 환경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침입된 객체의 감지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mergency war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intrusion of an object through a radar module in real time, and thus can detect the intruding object stably without being affected by weather or surrounding environment.

또 본 발명의 비상 경보 시스템은 복수 개의 비상 경보 장치를 구비하여 보안 통제 구역에 객체의 침입 여부를 감지하고, 침입 객체가 있으면, 드론을 현장에 출동시켜서 침입 객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원격지에서 현장의 침입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ala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mergency alarm devices to detect whether an object is intruding into the security control area, and if there is an intruding object, the drone is dispatched to the site to obtain an image of the intrusive objec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intrusion situation at the site from a remote location.

또한 본 발명의 비상 경보 시스템은 비상 경보 장치로부터 객체가 감지되면, 상황실, 관제 센터 등에 경보를 발생시켜서 알려주고, 감지된 객체가 출입 인허받지 않은 객체이면 관리자를 현장으로 출동시켜서 이벤트 상황을 신속히 조치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object is detected from the emergency alarm system, the emergency ala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alarm to notify the situation room, control center, etc., and if the detected object is an object that is not authorized to enter, the administrator is dispatched to the site to quickly take action on the event Can be processed to make it possible.

뿐만 아니라, 발명의 비상 경보 시스템은 RF 무선 통신망과 로라(LoRa) 망을 이용하여 비상 경보 장치, 드론, 관리자 단말기 및 보안 관제 서버들 간에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통신망 사용료 없이 운영이 가능하므로 시스템 구축을 위해 LTE 이동 통신망과 같은 유료 서비스로 인한 비용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ala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R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LoRa network to enable mutual data communication between emergency alarm devices, drones, manager terminals, and security control servers, thereby operating without additional communication network fees. Since this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cost problem caused by paid services such as LT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system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경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 경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상 경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드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보안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경보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ale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alert device shown in FIG.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alert device shown in FIG. 2;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one shown in FIG. 1;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urity control server shown in Figure 1, and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procedure of the emergency ale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is exaggerated in order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경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ale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상 경보 시스템(2)은 예를 들어, 군시설, 군훈련장, 군부대 외곽 등의 군사 보호 지역이나, 항만, 공항, 과수원 등의 울타리나 출입 금지 구역 등 보안 시설물의 보안 통제 구역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무인용 비상 경보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람, 차량 등의 객체가 침입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객체가 감지되면, 비상 경보 장치(100)로 경보 메시지, 경보 방송 등의 경보를 출력하여 해당 객체의 퇴출을 유도하고, 객체가 감지된 장소로 이동된 드론(200)을 이용하여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여 해당 객체의 침입을 모니터링하도록 상황실, 관제 센터 등으로 전송하여,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실시간 알려주어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처리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emergency warning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military facilities, military training grounds, military protection areas such as the outskirts of military bases, or security facilities such as fences or prohibited access areas such as ports, airports, orchards. By using a plurality of unmanned emergency alarm devices 100 installed in the security control area of, it detects intrusion of an object such as a person or vehicle in real time, and when an object is detected, an alarm message to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A situation room, control center to induce the expulsion of the object by outputting an alarm such as an alarm broadcast, and to monitor the intrusion of the object by obtaining an image containing the object using the drone 200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object was detected. It is transmitted to the like, and it notifies in real time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so that quick action is possible.

이러한 본 발명의 비상 경보 시스템(2)은 복수 개의 비상 경보 장치(100)를 보안 통제 구역에 설치하여 사이버 펜스를 구성하고, 비상 경보 장치(100)의 레이더 모듈(도 2의 130)을 통해 침입되는 객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객체가 있는 현장에 드론(200)을 출동시켜서 해당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여 침입된 객체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레이더 모듈(130)을 통해 침입되는 객체를 감지하여 날씨와 주변 환경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감지가 가능하다.The emergency alarm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cyber fence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emergency alarm devices 100 in a security control area, and intrusions through the radar module (130 in FIG. 2) of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By detecting the object being detected, and by dispatching the drone 200 to the site where the detected object is located, the invading object can be monitored by acquiring an image of the area, and the invading object can be detected through the radar module 130 Stable detection is possible without being influenced by and surrounding environment.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비상 경보 시스템(2)은 통신망(4)과, 복수 개의 비상 경보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드론(200) 및 보안 관제 서버(300)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비상 경보 시스템(2)은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emergency alert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4, a plurality of emergency alert devices 100, at least one drone 200, and a security control server 300. In addition, the emergency alert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구체적으로, 통신망(4)은 예를 들어, 로라(LoRa) 망, 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등으로 구비되고, 이들 각각의 단일 통신망 또는 혼합된 복합 통신망으로 제공될 수 있다. 통신망(4)은 비상 경보 장치(100), 드론(200), 관리자 단말기(400) 및 보안 관제 서버(300)들을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망(4)은 RF 무선 통신망과 로라(LoRa) 망을 이용하여 비상 경보 시스템(2)의 구성(100 ~ 400)들 간에 단방향 및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하여, 별도의 통신망 사용료 없이 운영이 가능하다.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network 4 is provided with, for example, a LoRa network,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and may be provided as a sing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mixed complex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network 4 connects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the drone 200,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to enable mutual data communic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4 is provided to enable one-way and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onents (100 to 400) of the emergency alarm system 2 using an R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LoRa network. Operation is possible without a communication network fee.

비상 경보 장치(100)는 이동형의 무인용 비상 경보기로서, 복수 개의 레이더 모듈(130)을 이용하여 일정 범위 내의 감지 영역에서 사람, 차량 등의 객체를 감지하여 감지 영역 내의 침입 여부를 감지한다. 비상 경보 장치(100)는 보안 관제 서버(300)가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것들 간에 상호 감지 영역이 중첩되게 설치되어 보안 통제 구역에 대한 사이버 펜스(cyber fence)를 형성한다. 비상 경보 장치(100)는 객체가 감지되면 외부로 객체에 의한 침입이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경보음 및 경보 메시지를 출력한다.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is a mobile type unmanned emergency alert device, and detects an intrusion in the detection area by detecting an object such as a person or a vehicle in a detectio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using a plurality of radar modules 130. 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identified by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and mutual detection areas are installed to overlap between adjacent ones to form a cyber fence for the security control area. When an object is detected,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outputs an alarm sound and an alarm message indicating that an intrusion by the object has occurred.

드론(200)은 어느 하나의 비상 경보 장치(100)로부터 객체가 감지되어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보안 관제 서버(300)의 원격 제어를 받아서 해당 장소 즉, 현장으로 이동된다. 드론(200)은 카메라 모듈(도 4의 204)을 통해 현장에서 객체를 검지하여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보안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when an object is detected from any one of the emergency alarm devices 100, the drone 200 receives remote control from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and moves to a corresponding place, that is, a site. The drone 200 detects an object in the field through a camera module (204 in FIG. 4), acquires an image including the object, and transmits it to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보안 관제 서버(300)는 복수 개의 비상 경보 장치(100)들 각각을 식별하여 설치 장소를 판별한다. 보안 관제 서버(300)는 어느 하나의 비상 경보 장치(100)로부터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정보가 전송되면, 현장으로 드론(200)을 이동시킨다. 이 때, 드론(200)은 자율 주행 또는 원격 제어에 의한 주행으로 현장에 이동된다. 보안 관제 서버(300)는 드론(200)으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서 현장에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즉, 침입된 객체가 있는지를 모니터링한다. 보안 관제 서버(300)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관리자 단말기(400)로 해당 장소에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준다.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identifies each of the plurality of emergency alarm devices 100 to determine an installation location.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moves the drone 200 to the site when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is transmitted from any one of the emergency alarm devices 100. At this time, the drone 200 is moved to the field by autonomous driving or driving by remote control.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receives an image from the drone 200 and monitors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field, that is, whether there is an intrusive object. When an event occurs,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notifies the manager terminal 400 that the event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place.

그리고 관리자 단말기(400)는 예를 들어, 관리자, 경비원, 보안 요원 등이 구비하는 스마트 폰 등으로 구비되고, 보안 관제 서버(300)로부터 통신망(4)을 통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 정보를 전송받는다. 여기서 이벤트 발생 알림 정보에는 이벤트 발생 시간, 장소(위치), 객체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 단말기(400)에 이벤트 발생 알림 정보가 수신되면, 이벤트 발생 알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관리자, 경비원, 보안 요원 등이 이벤트 발생 알림 정보를 확인하고, 현장으로 출동하여 발생된 이벤트를 신속하게 조치하거나, 이벤트 발생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And the manager terminal 400 is provided with, for example, a smart phone provided by a manager, security guard, security personnel, etc., and receives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n event from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 Here, the event occurrenc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n event occurrence time, a place (location), an object image, and the like. Therefore, when the event occurrenc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on the manager terminal 400, the event occurrenc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administrator, security guard, and security personnel check the event occurrence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promptly dispatch the event to the site. You can take action or check the event occurrence situ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비상 경보 시스템(2)은 비상 경보 장치(100)를 통해 침입 여부를 감지하고, 침입 객체가 있으면, 외부로 경보를 출력하고, 드론(200)을 현장에 출동시켜서 침입 객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원격지에서 현장의 침입 상황을 모니터링한다.Therefore, the emergency alarm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there is an intrusion through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outputs an alarm to the outside if there is an intruding object, and dispatches the drone 200 to the site to Images are acquired, and through this, the intrusion situation of the site is monitored from a remote location.

다음은 도 2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경보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emergency ale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 경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상 경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alert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alert device shown in FIG. 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상 경보 장치(100)는 설치 장소로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다.2 and 3, 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form capable of moving to an installation location.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의 비상 경보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이동 수단 즉, 복수 개의 바퀴(160)를 포함한다. 바퀴(160)들 각각에는 설치 장소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각각의 바퀴(160)를 고정시키는 고정 레버(162)가 구비된다. 또 비상 경보 장치(100)는 지지 프레임(120), 복수 개의 레이더 모듈(130), 전광판(140) 및 스피커(150)를 포함한다. 또 비상 경보 장치(100)는 제어부(102), 무선 통신부(104), 저장부(106), 충전부(108) 및 배터리(17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10 and a moving mean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hat is, a plurality of wheels 160. Each of the wheels 160 is provided with a fixing lever 162 for fixing each wheel 160 so as not to move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In addition, 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includes a support frame 120, a plurality of radar modules 130, an electric sign 140, and a speaker 150. In addition,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02,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4, a storage unit 106, a charging unit 108, and a battery 170.

하우징(110)은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등으로 구비되어 내부 공간에 비상 경보 장치(100)의 구성 부품들을 수용하는 몸체를 형성한다. 즉,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에 제어부(102), 무선 통신부(104), 저장부(106), 충전부(108) 및 배터리(170)를 수용한다. 하우징(110)은 제어부(102), 무선 통신부(104), 저장부(106), 충전부(108) 및 배터리(170)를 보호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이 방수되도록 밀폐된다.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지지 프레임(120)이 고정 설치된다.The housing 110 is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and forms a body for accommodating components of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in an internal space. That is, the housing 110 accommodates the control unit 102,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4, the storage unit 106, the charging unit 108, and the battery 170 in the internal space. The housing 110 is sealed so that the inner space is waterproof to protect the control unit 102,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4, the storage unit 106, the charging unit 108, and the battery 170. A support frame 12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지지 프레임(120)은 일정 높이를 갖는 금속 재질 등으로 구비되어 하부가 하우징(110)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부에 레이더 모듈(130), 표시부(140) 및 스피커(150)가 설치된다. 지지 프레임(120)의 후면에는 비상 경보 장치(100)를 설치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미도시됨)이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1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certain height, and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ousing 110, and the radar module 130, the display unit 140, and the speaker 150 a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A handle (not shown) for moving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to an installation location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upport frame 120.

레이더 모듈(130)은 지지 프레임(12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일정 범위의 감지 영역을 갖는다. 레이더 모듈(130)들 각각은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서 동시에 감지 영역에 위치하는 객체를 감지한다. 이 실시예의 레이더 모듈(130)은 예를 들어, 약 20m 내지 200m 이내의 감지 거리와, ±3.0°내지 ±5.0° 범위의 감지 각도를 갖는다.The radar module 13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20 and has a detection area of a certain range. Each of the radar modules 13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2 and simultaneously senses an object located in the detection area. The radar module 130 of this embodiment has a sensing distance within, for example, about 20m to 200m, and a sensing angle in the range of ±3.0° to ±5.0°.

전광판(140)은 예를 들어, 전면에 표시면을 형성하는 발광 다이오드(LED) 패널 등으로 구비되고, 지지 프레임(1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전광판(140)은 레이더 모듈(130)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서 표시면에 경보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때, 전광판(140)은 경보 메시지를 점멸 표시한다. 또 전광판(140)은 레이더 모듈(130)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서 점멸 표시되는 경광등 이미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electric sign 140 is provided with,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LED) panel that forms a display surface on the front surface, and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0.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module 130, the electronic sign 140 displays an alarm message on the display surfa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2. At this time, the electronic board 140 flashes and displays an alarm message. In addition,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module 130, the electric sign 140 may output a flashing-displayed warning lamp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2.

스피커(150)는 지지 프레임(120)의 상부 전면 중앙에 설치된다. 스피커(150)는 레이더 모듈(130)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서 퇴거 명령, 경보 싸이렌 등의 음성 경보 방송을 출력한다.The speaker 150 is installed in the upper front center of the support frame 120.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module 130, the speaker 150 outputs a voice alert broadcast such as an eviction command and an alarm sir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2.

무선 통신부(104)는 예를 들어, RF 무선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로라(LoRa) 통신 모듈 등으로 구비되어 통신망(4)에 연결되어 레이더 모듈(130)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서 보안 관제 서버(300)로 객체가 감지된 상태 즉,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무선 통신부(104)는 비상 경보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보안 관제 서버(300)로 함께 전송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4 is provided as, for example, an R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LoRa communication module, etc., and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4 to detect an object by the radar module 130, the control unit Under the control of (102),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transmits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object is detected, that is,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t this ti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4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to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together.

저장부(106)는 레이더 모듈(130)에 의해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 감지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전광판(140)과 스피커(150)로 출력되는 경보 메시지, 음성 경보 방송 및 경광등 이미지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06 stores an object detection algorithm for detecting an object by the radar module 130, and stores data related to an alarm message, a voice alarm broadcast, an image of a warning light, etc. output to the billboard 140 and speaker 150. Save it.

배터리(170)는 재충전 가능한 2 차 전지로 구비되고,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서 비상 경보 장치(100)의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170)는 충전부(108)에 의해 재충전된다.The battery 170 is provided with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supplies power to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2. The battery 170 is recharged by the charging unit 108.

충전부(108)는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서 전원 공급원(미도시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170)를 충전시킨다.The charging unit 108 charges the battery 170 using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source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2.

그리고 제어부(102)는 비상 경보 장치(1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02)는 레이더 모듈(130), 전광판(140), 스피커(150), 무선 통신부(104), 저장부(106), 충전부(108) 및 배터리(170)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2 controls 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to process all operations. That is, the control unit 102 controls the radar module 130, the electric sign 140, the speaker 15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4, the storage unit 106, the charging unit 108, and the battery 170.

따라서 본 발명의 비상 경보 장치(100)는 이동 수단(160)을 이용하여 설치 장소로 이동되고 고정 레버(162)를 통해 설치 장소에 고정 설치되고, 레이더 모듈(130)을 통해 감지 영역 내에 사람, 차량 등의 침입된 객체가 감지되면, 외부로 경보를 출력하고, 통신망(4)을 통해 자신의 위치에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정보를 보안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Therefore, 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the installation site using the moving means 160 and fixedly installed at the installation site through the fixing lever 162, and the person in the detection area through the radar module 130, When an intrusive object such as a vehicle is detected, an alarm is output to the outside,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notifying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in its loc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드론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one shown in FIG.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론(200)은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비상 경보 장치(100)들에 의해 형성된 사이버 펜스 내에서 어느 하나의 비상 경보 장치(100)로부터 객체가 감지되면, 보안 관제 서버(300)의 원격 제어에 의해 해당 비상 경보 장치(100)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의해 자율 비행하고, 카메라 모듈(204)을 이용하여 객체를 검지하고, 검지된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한다. 이 때, 드론(200)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가 포함된 정지 영상을 추출한다. 드론(200)은 위치 정보와, 획득된 영상 및 획득된 영상에서 추출되고 객체가 포함된 정지 영상을 통신망(4)을 통해 보안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4, when at least one of the drone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an object is detected from any one emergency alarm device 100 in a cyber fence formed by a plurality of emergency alarm devices 100 , Autonomous flight by computer programming so as to move to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by remote control of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detects the object using the camera module 204, and includes the detected object Acquired images. In this case, the drone 200 acquire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extracts a still image including an object from the acquired image. The drone 200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an acquired image, and a still image including an object extracted from the acquired image to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의 드론(200)은 복수 개의 프로펠러(미도시됨)를 구비하고,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의해 사이버 펜스 내에서의 지정된 경로를 따라 자율 주행하는 무인 비행체로서, 카메라 모듈(204), 메모리(206), 구동부(208), GPS 모듈(210), 무선 통신부(212), 배터리(214) 및 제어부(202)를 포함한다. 또 드론(200)은 무인 비행체의 전형적인 구성 요소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프로펠러,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 등을 포함한다. 물론 드론(200)은 보안 관제 서버(300),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 : RC)(미도시됨) 등에 의해 주행 경로를 원격 조종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drone 200 of this embodiment has a plurality of propellers (not shown), and is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autonomously travels along a designated path within the cyber fence by computer programming, and includes a camera module 204, a memory (206), a driving unit 208, a GPS module 2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2, a battery 214 and a control unit 202. In addition, the drone 200 includes typical components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example, a plurality of propellers,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propeller, and the like. Of course, the drone 200 may be remotely controlled by a security control server 300, a remote controller (RC) (not shown), or the like.

카메라 모듈(204)은 예컨대, 객체 검지가 가능한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자율 주행 중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 즉, 사람이나 차량을 검지하여 검지된 객체에 대한 정지 영상을 추출한다.The camera module 204 includes, for example, a high-resolution camera capable of object detection, acquires an image in real time during autonomous driv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2, and detects an object, that is, a person or vehicle from the acquired image. A still image of the detected object is extracted.

메모리(206)는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카메라 모듈(204)로부터 획득된 영상과, 추출된 정지 영상을 저장한다.The memory 206 stores an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module 204 and an extracted still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2.

구동부(208)는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카메라 모듈(204)을 구동시킨다. 구동부(208)는 카메라 모듈(204)의 팬, 틸팅, 줌 및 트래킹 등을 구동하여 영상을 획득하도록 한다.The driving unit 208 drives the camera module 20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2. The driver 208 drives pan, tilt, zoom, and tracking of the camera module 204 to obtain an image.

GPS 모듈(210)은 위성 항법 시스템(GPS)으로부터 드론(2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한다.The GPS module 210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200 from a satellite navigation system (GPS) in real time.

무선 통신부(212)는 예컨대, RF 통신 모듈, 로라(LoRa) 통신 모듈 등의 무선 통신 모듈로 구비되어, 통신망(4)을 통해 보완 관제 서버(300)와 연결된다. 무선 통신부(212)는 보안 관제 서버(300)로부터 드론(200)을 객체가 검지된 현장으로 이동시키는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받는다. 무선 통신부(212)는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통신망(4)을 통하여 위치 정보와 영상을 보안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 때, 무선 통신부(212)는 드론(200)이 복수 개인 경우, 보안 관제 서버(300)가 각각의 드론(200)을 인식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2 is provid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n RF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Ra communication module, and is connected to the supplemental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2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drone 200 to the site where the object is detected from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2 receives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2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mage to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In this ca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rones 2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2 may further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enables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to recognize each drone 200.

배터리(214)는 재충전 가능한 2 차 전지로 구비되고,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드론(200)의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The battery 214 is provided with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supplies driving power of the drone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2.

그리고 제어부(202)는 드론(2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카메라 모듈(204), 메모리(206), 구동부(208), GPS 모듈(210), 무선 통신부(212) 및 배터리(214)를 제어한다.And the control unit 202 controls the camera module 204, the memory 206, the driving unit 208, the GPS module 2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2, and the battery 214 to process all operations of the drone 200. do.

이러한 드론(200)은 어느 하나의 비상 경보 장치(100)에서 객체가 감지되면, 보안 관제 서버(300)의 제어를 받아서 현장으로 이동하여 감지된 객체에 접근하고, 카메라 모듈(204)을 통해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여 보안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any one of the emergency alarm devices 100, the drone 200 moves to the site under the control of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to access the detected object, and the object through the camera module 204 An image including is acquired and transmitted to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그리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보안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And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urity control server shown in FIG. 1.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안 관제 서버(300)는 예를 들어, 상황실, 관제 센터 등에 구비되고, 출입 인허받은 사람, 차량 등에 대한 객체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적어도 하나의 비상 경보 장치(100)로부터 객체가 감지되어 통신망(4)을 통하여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정보가 전송되면, 드론(200)을 구동시켜서 현장으로 이동시키고, 드론(200)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비상 상황이 발생된 장소와 감지된 객체를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보안 관제 서버(300)는 드론(200)에서 획득된 영상과 함께 비상 경보 장치(100)의 식별 정보, 드론(200)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서 이벤트 발생 여부와 이벤트 발생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5,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for example, a situation room, a control center, etc., stores and manages object information on a person who is authorized to enter, a vehicle, etc., and at least one emergency alarm device When an object is detected from 100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the drone 200 is driven to move to the site, and the image acquired from the drone 200 is used.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detected objects are monitored.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200 together with the image acquired from the drone 200 to determine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and the location of the event. .

이 실시예의 보안 관제 서버(300)는 서버(310)와 데이터베이스(350)로 구성된다. 서버(310)는 제어부(312), 통신부(314), 장치 관리부(316), 모니터링부(318), 이벤트 발생 처리부(320)를 포함한다.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of this embodiment is composed of a server 310 and a database 350. The server 310 includes a control unit 312, a communication unit 314, a device management unit 316, a monitoring unit 318, and an event generation processing unit 320.

구체적으로, 통신부(314)는 예컨대, 무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여 통신망(4)에 연결되고, 이를 통해 복수 개의 비상 경보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드론(2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400)들 각각과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통신부(314)는 어느 하나의 비상 경보 장치(100)로부터 객체가 감지되면, 비상 경보 장치(100)의 식별 정보와 비상 상황 발생을 알려주는 알림 정보를 전송받는다. 통신부(314)는 드론(20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또 통신부(314)는 드론(200)으로부터 획득된 영상과 위치 정보를 전송받는다.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314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4 including,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etc.,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emergency alarm devices 100, at least one drone 200, and at least one Data communication is made with each of the manager terminals 400. When an object is detected from any one of the emergency alert devices 100, the communication unit 314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4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drone 20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4 receives th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drone 200.

장치 관리부(316)는 복수 개의 비상 경보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드론(2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400)들 각각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등록 및 관리한다. 예를 들어, 장치 관리부(316)는 비상 경보 장치(100)들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와 설치 장소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드론(200)이 복수 개인 경우, 드론(200)의 식별 정보를 등록한다. 또 장치 관리부(316)는 관리자 단말기(400)의 관리자 정보(예컨대, 관리자명, 연락처 등)를 등록한다.The device manager 316 registers and manages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mergency alarm devices 100, at least one drone 200, and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For example, the device management unit 316 regist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emergency alert devices 100 and information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when there are multiple drones 20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200 is registered. do. In addition, the device manager 316 registers manager information (eg, manager name, contact information, etc.) of the manager terminal 400.

모니터링부(318)는 드론(2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여 객체가 감지된 현장에 대한 비상 상황을 모니터링하도록 처리한다. 모니터링부(318)는 객체 정보의 영상을 통해 감지된 객체가 출입 인허받지 않은 객체인지를 판별하고, 이를 통해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한다.The monitoring unit 318 outputs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drone 200 on a screen and processes an emergency situation on a site where an object is detected to be monitored. The monitoring unit 318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detected through the image of the object information is an object for which access is not permitted, and determines whether an event occurs through this.

이벤트 발생 처리부(320)는 모니터링부(318)에서 모니터링 중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황실이나 관제 센터 등에 이벤트 발생을 경보하고, 관리자 단말기(400)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준다. 여기서 이벤트는 예를 들어, 출입 인허를 받지 않은 사람이나 차량이 감지된 경우를 의미한다.When an event occurs during monitoring by the monitoring unit 318, the event generation processing unit 320 alerts the event occurrence to a situation room or a control center, and informs the manager terminal 400 that the event has occurred. Here, the event means, for example, a case where a person or vehicle that has not been granted an access permit is detected.

제어부(312)는 복수 개의 비상 경보 장치(100)들과 적어도 하나의 드론(2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400)와 연동해서 보안 관제 서버(300)의 제반 기능을 처리하도록 통신부(314), 장치 관리부(316), 모니터링부(318), 이벤트 발생 처리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50)들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312 is a communication unit 314 to process all functions of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by interlocking with the plurality of emergency alarm devices 100 and at least one drone 200 and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 Control the device manager 316, the monitoring unit 318, the event generation processing unit 320 and the database 350.

그리고 데이터베이스(350)는 제어부(312)의 제어를 받아서 보안 관제 서버(300)의 제반 기능을 처리하는 과정에 따라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 이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350)는 비상 경보 장치(100)와 드론(200)의 식별 정보(352), 비상 경보 장치(100)에 의해 감지되고 드론(200)에 의해 획득된 객체 영상(354), 객체를 감지한 비상 경보 장치(100)의 식별 정보, 이벤트가 발생된 시간, 장소, 드론(200)의 위치 정보, 객체에 대한 영상 등이 포함된 이벤트 발생 정보(356), 관리자 단말기(400)의 관리자 정보(358) 및, 출입 인허받은 사람, 차량 등에 대한 인적 사항, 영상 등을 포함하는 객체 정보(360)를 적어도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350)는 보안 관제 서버(300)에 포함되어 있으나, 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350 stores and manages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ocess of processing all functions of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12. The database 35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352 of 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and the drone 200, an object image 354 detected by 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and acquired by the drone 200,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356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that detected an object, the time and location of the ev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200, and an image of the object, and the manager terminal 400 It stores at least the object information 360 including the administrator information 358 and personal information, images, etc. of a person who has been authorized for access and a vehicle. The database 350 is included in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but may be provided as an independent database server.

따라서 보안 관제 서버(300)는 복수 개의 비상 경보 장치(10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객체가 감지되어 알림 정보가 전송되면, 상황실, 관제 센터 등에 경보를 발생시켜서 알려주고, 감지된 객체가 출입 인허받지 않은 객체이면 관리자를 현장으로 출동시켜서 이벤트 상황을 신속히 조치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Therefore, when an object is detect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mergency alarm devices 100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generates an alarm and informs the situation room, control center, etc., and the detected object is not If it is an object, the manager is dispatched to the site and handled so that the event situation can be promptly addressed.

계속해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경보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Subsequently,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procedure of the emergency ale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상 경보 시스템(2)은 단계 S500에서 복수 개의 비상 경보 장치(100)를 이용하여 형성된 사이버 펜스 내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비상 경보 장치(100)가 레이더 모듈(130)을 이용하여 객체가 감지되면, 단계 S502에서 해당 비상 경보 장치(100)의 전광판(140)과 스피커(150)를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한다. 단계 S504에서 해당 비상 경보 장치(100)는 통신망(4)을 통하여 보안 관제 서버(300)로 객체가 감지된 비상 상황을 알려주는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해당 비상 경보 장치(100)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6, the emergency alert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dar module 130 located within a cyber fence formed using a plurality of emergency alert devices 100 in step S500. When an object is detected using ), an alarm is output using the electronic sign 140 and speaker 150 of the corresponding emergency alarm device 100 in step S502. In step S504,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transmits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an object is detected to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At this time, 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transmit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단계 S506에서 보안 관제 서버(300)는 해당 비상 경보 장치(100)로부터 알림 정보가 전송되면, 경보를 출력하여 상황실이나 관제 센터 등에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리고, 단계 S508에서 해당 비상 경보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통해 객체가 감지된 장소를 판별하여 드론(200)을 판별된 장소 즉, 현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드론(200)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판별된 장소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있는 드론(200)을 제어한다.In step S506, when no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rresponding emergency alarm device 100,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notifi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by outputting an alarm to a situation room or a control center, and the corresponding emergency alarm device 100 in step S508. The drone 200 is controlled to move to the determined location, that is, the site by determining the location where the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If there are a plurality of drones 200, the drone 200 located closest to the determined location is controlled.

단계 S510에서 드론(200)은 보안 관제 서버(30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받아서 자율 주행하여 현장 즉, 객체가 감지된 장소로 이동한다. 단계 S512에서 드론(200)은 자율 주행 중 카메라 모듈(204)을 통해 객체를 검지하여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통신망(4)을 통해 보안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 때, 드론(200)은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함께 보안 관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510, the drone 200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from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and drives autonomously to move to a site, that is, a place where an object is detected. In step S512, the drone 200 detects an object through the camera module 204 during autonomous driving, acquires an image including the object, and transmits it to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In this case, the drone 200 may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together.

단계 S514에서 보안 관제 서버(300)는 드론(2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통해 현장에 대한 비상 상황과 감지된 객체를 모니터링하고, 단계 S516에서 비상 상황이 이벤트인지를 판별한다. 즉, 해당 비상 경보 장치(100)에 의해 감지된 객체가 출입 인허를 받지 않은 사람이나 차량인지를 판별한다. 이를 위해 보안 관제 서버(300)는 출입 인허된 객체들에 대한 정보들을 사전에 등록하여 관리한다.In step S514,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monitors an emergency situation on the site and a detected object through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drone 2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emergency situation is an event in step S516.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bject sensed by 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is a person or vehicle that has not been granted access permission. To this end,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registers and manages information on objects permitted for access in advance.

비상 상황이 이벤트이면, 단계 S518에서 관리자 단말기(400)로 이벤트 발생 상황을 알려주어서 현장을 확인 요청한다. 이어서 단계 S520에서 관리자 단말기(400)는 관리자가 현장으로 출동하도록 이벤트 발생 상황을 표시한다.If the emergency situation is an event, in step S518, the event occurrence situation is notified to the manager terminal 400 to request site confirmation. Subsequently, in step S520, the manager terminal 400 displays an event occurrence situation so that the manager moves to the sit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경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 경보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ergency alarm device and the emergency alarm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2 : 비상 경보 시스템
4 : 무선 통신망
100 : 비상 경보 장치
110 : 하우징
120 : 지지 프레임
130 : 레이더 모듈
140 : 전광판
150 : 스피커
160 : 바퀴
200 : 드론
300 : 보안 관제 서버
400 : 관리자 단말기
2: emergency alarm system
4: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0: emergency alarm device
110: housing
120: support frame
130: radar module
140: electronic board
150: speaker
160: wheel
200: drone
300: security control server
400: administrator terminal

Claims (5)

비상 경보 장치(100)에 있어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 경보 장치(100)를 설치 장소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상기 비상 경보 장치(100)를 설치 장소에 고정시키는 이동 수단(160);
일정 높이를 갖고 하부가 상기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120);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 설치되고 설치 장소에 침입되는 객체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레이더 모듈(130);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더 모듈(130)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경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전광판(140);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더 모듈(130)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경보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150);
상기 레이더 모듈(130)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104);
상기 레이더 모듈(130)에 의해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객체 감지 알고리즘과, 상기 전광판(140)에 출력되는 경보 메시지와 상기 스피커(150)로 출력되는 경보 방송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06);
재충전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 경보 장치(100)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70);
상기 배터리(170)를 충전시키는 충전부(108); 및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170)로부터 상기 비상 경보 장치(100)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170)를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부(108)를 제어하고, 상기 레이더 모듈(130)로부터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전광판(140) 및 상기 스피커(150)로 경보 메시지 및 경보 방송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104)를 제어하는 제어부(102);를 포함하고,
복수 개가 보안 통제 장소에 설치되고, 인접하는 것들 간에 상기 레이더 모듈(130)의 감지 영역이 중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보안 통제 장소에 대한 사이버 펜스를 형성하고, 각각이 설치 장소를 판별할 수 있도록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를 구비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04)가 상기 알림 정보를 전송할 때, 상기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경보 장치.
In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Housing 110;
A moving means (160)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o move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to an installation location and to fix the moved emergency alert device (100)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A support frame 12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ving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housing 110;
A plurality of radar modules 130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0 and detecting an object entering the installation site;
A display board 140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0 and outputting an alarm message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module 130;
A speaker 150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0 and outputting an alarm broadcast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module 130;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module 13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4 for transmi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object has been detected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 object detection algorithm for detecting an object by the radar module 130, an alarm message output to the billboard 140, and a storage unit 106 for storing data on an alarm broadcast output to the speaker 150 ;
A battery 170 that is rechargeable and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to supply power to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A charging unit 108 for charging the battery 170; And
It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to control to supply power to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from the battery 170, and to control the charging unit 108 to charge the battery 170, and the radar When an object is detected from the module 13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4 controls the display to output an alarm message and an alarm broadcast to the billboard 140 and the speaker 150, and transmit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control unit to control 102;
A plurality of pieces are installed in the security control place, and the detection areas of the radar module 130 are installed so as to overlap between adjacent ones to form a cyber fence for the security control place, and each can be identified so that the installation site can be identified.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4 transmit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gether.
삭제delete 비상 경보 시스템(2)에 있어서:
감지 영역이 중첩되게 설치되고 서로 다른 식별 정보를 구비하여 보안 통제 장소에 대한 사이버 펜스를 형성하고, 레이더 모듈(130)을 이용하여 설치 장소에 침입되는 객체를 감지하여 경보 메시지와 경보 방송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비상 경보 장치(100);
상기 사이버 펜스 내를 주행하여 상기 비상 경보 장치(100)들 각각의 설치 장소로 이동 가능하고, 자율 주행 중 카메라 모듈(204)을 이용하여 객체를 검지하고, 검지된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200); 및
상기 비상 경보 장치(100)와 상기 드론(200)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비상 경보 장치(10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객체가 감지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가 전송되면, 전송된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설치 장소를 판별하고, 상기 드론(200)을 판별된 설치 장소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드론(200)으로부터 실시간 위치 정보와 영상을 전송받아서 객체가 감지된 설치 장소를 모니터링하도록 처리하는 보안 관제 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 경보 장치(100)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 경보 장치(100)를 설치 장소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상기 비상 경보 장치(100)를 설치 장소에 고정시키는 이동 수단(160);
일정 높이를 갖고 하부가 상기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120);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 설치되고 설치 장소에 침입되는 객체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상기 레이더 모듈(130);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더 모듈(130)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경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전광판(140);
상기 지지 프레임(120)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더 모듈(130)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경보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150);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보안 관제 서버(300)와 연결되고, 상기 레이더 모듈(130)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보안 관제 서버(300)로 객체가 감지된 상태를 알리는 알림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104);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상 경보 장치(100)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70); 및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170)로부터 상기 비상 경보 장치(100)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레이더 모듈(130)로부터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전광판(140) 및 상기 스피커(150)를 제어하여 경보 메시지 및 경보 방송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알림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보안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104)를 제어하는 제어부(102);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관제 서버(300)는,
상기 비상 경보 장치(10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감지된 객체가 출입 인허된 객체인지를 판별하고, 감지된 객체가 출입 인허받지 않은 객체이면,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경보 시스템.
In the emergency alarm system (2):
The detection areas are installed to overlap and have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form a cyber fence for the security control place, and use the radar module 130 to detect an object intruding into the installation site to output an alarm message and an alarm broadcast. A plurality of emergency alarm devices 100;
It is possible to travel inside the cyber fence to move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each of the emergency alert devices 100, detect an object using the camera module 204 during autonomous driving, and obtain an image including the detected object. At least one drone 200; And
When 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and the drone 200 are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object has been detected from any one of the emergency alert devices 10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ransmission An object is detected by determining any one installation location using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trolling the drone 200 to move to the determined installation location, and receiving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and an image from the drone 200 Including; a security control server 300 processing to monitor the installed place,
The emergency alert device 100,
Housing 110;
A moving means (160)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o move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to an installation location and to fix the moved emergency alert device (100)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A support frame 12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ving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housing 110;
A plurality of radar modules 130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0 and detecting an object entering the installation site;
A display board 140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0 and outputting an alarm message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module 130;
A speaker 150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0 and outputting an alarm broadcast when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module 130;
When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is connected to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object is detected by the radar module 130,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sends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notifying the detected object statu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4 for transmitting;
A battery 17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to supply power to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And
It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controls to supply power to the emergency alarm device 100 from the battery 170, and when an object is detected from the radar module 130, the display board 140 and the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speaker 150 to output an alarm message and an alarm broadcast, 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4 to transmi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2); includes,
The security control server 300,
When an object is detected from any one of the emergency alarm devices 1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object is an access-approved object using the image, and if the detected object is an object for which access is not permitted, an event has occurred. An emergency alarm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n alert to inform.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57337A 2020-05-13 2020-05-13 Emergency alarm apparatus and system with it KR1021927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337A KR102192797B1 (en) 2020-05-13 2020-05-13 Emergency alarm apparatus and system with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337A KR102192797B1 (en) 2020-05-13 2020-05-13 Emergency alarm apparatus and system with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797B1 true KR102192797B1 (en) 2020-12-18

Family

ID=7404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337A KR102192797B1 (en) 2020-05-13 2020-05-13 Emergency alarm apparatus and system with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79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6335C1 (en) * 2021-02-12 2021-09-29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центр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Старт" имени М.В. Проценко" (АО "ФНПЦ "ПО "СТАРТ" им. М.В. Проценко") Robotic system for protection of sit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inspector
KR102318836B1 (en) * 2021-04-15 2021-11-0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Radar safety fence system for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 in coal hand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318826B1 (en) * 2021-04-15 2021-11-0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Radar safety fence system for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 in coal hand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331241B1 (en) * 2021-03-12 2021-12-01 주식회사 타임넷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using RF/LoRa wireless communication
KR102499410B1 (en) 2022-08-29 2023-02-13 주식회사 나우시스템 Smart alarm system for unmanned guard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999B1 (en) 2009-03-12 2009-12-10 (주) 아세아통상 Mobile image monitoring system
KR101158563B1 (en) 2005-08-01 2012-06-20 유재원 Wireless Alarm device providing urgency
KR20140032053A (en) * 2012-09-05 2014-03-14 (주)메이드로드 Advertising board including prevention ability, and advertising display service system using thereof
KR101459024B1 (en) 2013-04-09 2014-12-04 퍼스텍주식회사 Security System for Monitoring Facilities
KR101645681B1 (en) 2014-02-25 2016-08-04 주성진 Apparatus for detecting multi-target of unmanned security monitoring system
KR20180040439A (en) * 2016-10-12 2018-04-20 주식회사에스에이티 A high performance large coverage surveillance system
KR102019340B1 (en) * 2018-03-27 2019-09-06 김은규 Unmanned surveillance system of moving object based on multi sens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563B1 (en) 2005-08-01 2012-06-20 유재원 Wireless Alarm device providing urgency
KR100930999B1 (en) 2009-03-12 2009-12-10 (주) 아세아통상 Mobile image monitoring system
KR20140032053A (en) * 2012-09-05 2014-03-14 (주)메이드로드 Advertising board including prevention ability, and advertising display service system using thereof
KR101459024B1 (en) 2013-04-09 2014-12-04 퍼스텍주식회사 Security System for Monitoring Facilities
KR101645681B1 (en) 2014-02-25 2016-08-04 주성진 Apparatus for detecting multi-target of unmanned security monitoring system
KR20180040439A (en) * 2016-10-12 2018-04-20 주식회사에스에이티 A high performance large coverage surveillance system
KR102019340B1 (en) * 2018-03-27 2019-09-06 김은규 Unmanned surveillance system of moving object based on multi sens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6335C1 (en) * 2021-02-12 2021-09-29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центр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Старт" имени М.В. Проценко" (АО "ФНПЦ "ПО "СТАРТ" им. М.В. Проценко") Robotic system for protection of sit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inspector
KR102331241B1 (en) * 2021-03-12 2021-12-01 주식회사 타임넷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using RF/LoRa wireless communication
KR102318836B1 (en) * 2021-04-15 2021-11-0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Radar safety fence system for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 in coal hand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318826B1 (en) * 2021-04-15 2021-11-0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Radar safety fence system for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 in coal hand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499410B1 (en) 2022-08-29 2023-02-13 주식회사 나우시스템 Smart alarm system for unmanned guard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2797B1 (en) Emergency alarm apparatus and system with it
US11645904B2 (en) Drone-augmented emergency response services
US11790741B2 (en) Drone based security system
EP281538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mergency resources
EP1547036B1 (en) Automatic detection and monitoring of perimeter physical movement
EP3188964B1 (en) An offshore secur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2499410B1 (en) Smart alarm system for unmanned guard and method thereof
EP3051510B1 (en) Improved alarm routing in integrated security system based on security guard 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premises for faster alarm response
US20150321758A1 (en) UAV deployment and control system
KR102440819B1 (en) Area patrol system with patrol drone
KR20150060626A (en) Active Type Unmanned Security System
JP6080568B2 (en) Monitoring system
KR101936837B1 (en) Map-based intelligent video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9461283A (en) Intelligent residential district security protection system
JP6172958B2 (en) Shooting system
KR101619307B1 (en) Protection system of guard post for military
KR20180040255A (en) Airport robot
US20160005306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from an alarm system to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US20230071981A1 (en) Drone based security and defense system
KR102011225B1 (en)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dron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102445896B1 (en) Construction site smart vehicle with smart safety mobile camera
US20160140819A1 (en) Theft detection and alarm apparatus coordinated with other similar devices
KR102410061B1 (en) Security light system having a fuction of automatic notifying of emergency situation
KR10102560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trance into the airport
US11900778B1 (en) System for improving safety in sch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