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774B1 - 태양광 발전용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용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774B1
KR102192774B1 KR1020200035652A KR20200035652A KR102192774B1 KR 102192774 B1 KR102192774 B1 KR 102192774B1 KR 1020200035652 A KR1020200035652 A KR 1020200035652A KR 20200035652 A KR20200035652 A KR 20200035652A KR 102192774 B1 KR102192774 B1 KR 102192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ensing device
coupled
arra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아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아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아이테크
Priority to KR1020200035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의 어레이에 대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변위(變位)와 체결부위에서의 이완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용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용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OF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의 어레이에 대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변형(이하, 변위(變位)라 함)과 체결부위에서의 이완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용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을 수광(受光)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셀)들이 직렬된 태양전지 모듈패널(110)들로 구성된 어레이(100)와, 위 모듈패널(110)과 어레이를 견고히 지지하는 프레임 조립체(120)를 포함한다.
전술한 프레임 조립체(120)는 모듈패널(110)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 1 프레임(121, 도 3)과, 제 1 프레임(121)에 대해 직교하도록 결합되어 어레이(100)를 구성하는 제 2 프레임(122) 및 일 측단은 제 1 프레임 또는/및 제 2 프레임(122)에 결합되고, 타 측단은 바닥(지면 또는 수면)에 고정되는 주춧돌(124)을 포함하는 지주부(123)를 포함한다.
전술한 어레이(100)는 일반적으로 발전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용한 부지에 최대한 길게 설치된다.
그러나, 어레이(100)는 시공할 장소(개활지, 경사지, 들판, 산비탈, 수면 등)와 그 주변환경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태양광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광할 수 있고, 또한 태양이 질 때까지 태양광을 최대한 수광할 수 있는 각도(도 3 참조)로 설치되어야 발전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웃하게 설치되는 어레이는 태양전지 모듈패널(110)에 의해 태양광이 차광되지 않도록 어레이(100)의 설치 간격을 이격시켜야 하고,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운전되는 동안 어레이(100)의 일부구간 또는 특정 태양전지 모듈패널이 처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전술한 프레임 조립체(120)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프레임 조립체(120)는 폭우로 인해 지반이 침하(또는 붕괴)되거나 풍압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패널의 체결부위가 이완되고, 또한 어레이(100)의 일부 구간에서 수직방향으로 처지거나 수평방향의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통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발전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그 중 전술한 어레이(100)의 부동 침하 혹은 기울어지는 등에 의해서도 발전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어레이(100)와 모듈패널(110)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지만, 어레이(100)의 체결부위를 일일이 확인하는 것은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체결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기 때문에 신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8106가 제안되었다.
전술한 등록특허(10-1558106)는,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물 또는 특정장소에 설치되어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와,
태양전지 모듈 단위로 생산되는 전력과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계 및 전압계와,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물 또는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어 바람의 방향을 측정하는 풍향센서와,
태양전지 모듈에 가해진 충격(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와,
풍속센서, 풍향센서 및 진동센서의 신호를 받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전달된 각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충돌, 바람 및 지진의 의한 진동으로 분류하며, IGBT S/W를 제어하는 충돌 측정부;
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진동감지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10-1558106는 풍속센서, 전압계, 풍향센서, 진동센서 등의 센싱값들을 받아서 충돌 측정부를 통해 충돌, 바람 및 지진 등을 분석하여 분류하여 IGBT S/W를 제어할 수 있지만, 앞서 설명한 지반 침하(프레임의 일부 내려앉음) 또는/및 풍압에 의해 변형된 어레이 위치나 체결력이 이완된 부위를 명확히 찾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외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38248에서는 내진형 태양광 모듈 어레이를 제안한 바도 있으나, 이 기술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어레이에서 발생되는 변위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해당 위치를 바로 특정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창안하기에 이르렀고, 괄목한 만한 성과가 있어 이를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어레이의 체결부위에서 이완이 발생되었는지, 또한 어레이의 수직방향 혹은 수평방향으로의 변위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원격지로 전송하여 변위가 발생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용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어레이(태양전지 모듈)과 지면사이에 설치되어 모듈패널의 수직방향의 변형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감지장치와;
어레이의 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모듈패널의 수평방향의 변형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감지장치 및;
상기 제 1 또는/및 제 2 감지장치가 부착되는 프레임 조립체로 구성된 태양광 발전용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제 1 감지장치는 모듈패널이 수직방향의 변형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그 신호는 판별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제 2 감지장치는 어레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변형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판별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어레이는 태양전지 패널과 프레임의 체결부위에서 이완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판별모듈로 전송하는 제 3 감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 3 감지장치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프레임과 모듈패널을 서로 체결할 때, 그 체결부위에 제 3 감지장치를 함께 결합하여 체결상태가 이완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판별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 1 및 제 2 감지장치 및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3 감지장치는 각각 고유한 태그(또는 ID)가 부여된 것에 특징이 있다.
전술한 판별모듈을 통해 전술한 제 1 내지 제 3 감지장치의 감지신호의 태그 정보에 대응되는 알람수단을 갖춘 발전용량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이하, "표시부"라 함)을 통해 알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 1 내지 제 3 감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내지 제 3 감지장치에 의해 어레이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변형여부와 체결력 이완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각 감지장치에 부여된 고유 태그를 통해 변위가 발생된 부위를 명확히 특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어레이의 체결상태 이완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변위여부를 눈으로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원격으로 명확히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상여부 점검에 따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태양광 발전 어레이의 시공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레이와 프레임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레이와 프레임 조립체의 설치에 따른 일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어레이와 프레임 조립체에 본 발명의 변위 감지장치를 결합한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어레이 변위감지장치 중 센싱부와 고정부를 각각 예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은 어레이와 프레임 조립체간의 체결력 이와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3 감지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프레임에 결합된 제 3 감지장치의 일측면도,
도 9은 어레이를 구성하는 태양전지 모듈패널을 평면에서 본 투시도로, 본 발명의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와 프레임 조립체의 체결부위에 대한 이완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 3 감지장치가 채용된 어레이에 대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는, 어레이(100, 도 1, 도 2 참조)에 대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에 대한 변위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감지장치(160)(150)를 포함한다.
전술한 제 1 감지장치(16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모듈패널(110)을 지지하는 횡방향 제 2 프레임의 양 측단에 이격되게 결합된 양 브라켓트(BK1)에 각각 장착되는 발광센서(160a,160b)와 수광센서(150a,150b)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감지장치(160)(150)로 구성된 센싱부(도면부호 미표기)와;
지면에 포스트(143, 도 5 참조)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한 양 발광센서(160a,160b)와 수광센서(150a,150b)사이에 배치되는 차광부재(145)로 구성된 고정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한다.
전술한 제 1 및 제 2 감지장치에 채용된 양 차광부재(145)(145a)는 투광부(146)를 갖추고 있다.
전술한 제 1 감지장치(160, 도 6)를 구성하는 발광 및 수광센서(160a,160b, 도 6)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양 브라켓트(BK1, 도 4, 도 6)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양 발광 및 수광센서(160a,160b) 사이에 차광부재(145, 도 6)가 승하강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제 1 감지장치(160)와 제 2 감지장치(150)는 각자 고유한 태그(Tag)가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각 어레이(100)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감지장치는 태그 정보를 통해 감지된 신호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 2 감지장치(150)는 전술한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트(BK1)를 통해 위 프레임의 양 단부측에 발광센서(150a)와 수광센서(150b)가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전술한 발광센서(150a) 및 수광센서(150b) 사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부재(145a)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제 1 및 제 2 감지장치(160)(150)는 도면에서 하나의 브라켓트(BK1)에 함께 결합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양 감지장치(160)(150)는 따로 따로 분리하여 원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차광부재(145)는 태양전지 모듈패널(110, 도 4)과 지면사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감지장치(160)(150)는 각기 발광센서(160a,150a)와 수광센서(160b,150b)로 구성되어 있다. 양 장치(160)(150)의 수광센서들은 양 발광센서에서 발광되는 광신호를 수광하고, 수광(On) 또는 차광(Off) 신호를 판단모듈로 전송한다. 전술한 광신호는 레이저 광, 적외선 광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전술한 차광부재(145)는 지면에 고정되고, 전술한 양 감지장치(160)(150)의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 사이에 위치되어 차광 또는 투광할 수 있는 것들을 포괄한다. 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투광부(146)를 갖춘 띠 형태의 불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차광부재(145)는 전술한 제 1 감지장치의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에 사이에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지면에 고정하되,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차광부재(145)는 튜브(147) 속에 넣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전술한 튜브(147)는 허공에 매달린 상태에서 풍압이나 외압으로부터 차광부재(145)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감지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 튜브(147)의 하단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44)의 슬리브(145)에 방사방향으로 유격이 있게 결합하고, 그 상단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트(BK1)의 베이스(131)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나선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감지장치의 차광부재(145)는 투광부(146)와 차광부(도면부호 미표기)가 발광센서와 수광센서 사이에 위치되면 발광신호는 투광 또는 차광될 수 있다.
전술한 제 1 감지장치의 차광부재(145)는 잘 휘어지거나 꺽이지 않는 불투광 재질이라면 모두 채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감지장치의 발광 및 수광센서사이에 배치되도록 차광부재(145a)는 브라켓트(BK1)를 사용하여 횡방향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어레이(100)의 일부 구간(특정 태양전지 모듈패널)이 내려앉을 경우 제 2 감지장치(15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면번호 143은 평판(142)에 부착된 포스트(143)로, 전술한 제 1 감지장치의 차광부재(145)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평판(142)위에 마련된 나선 체결부(141)에 전술한 차광부재(145)의 하단부에 결합된 캡(144)을 결합한다.
이렇게 하면, 위 캡(144)의 체결 깊이 조절에 따라 발광센서와 수광센서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감지장치의 차광부재(145)의 투광부(146)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6 중 도면부호 131a는 차광부재(145)를 승/하강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멍이고, 131b는 전술한 튜브(147)가 나선결합되는 결합구이며, 132는 제 2 감지장치(150)의 발광센서 또는 수광센서가 결합되는 클립이다.
전술한 베이스(131)위에 결합된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도면부호 미표기,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부분)가 결합되어 보호될 수 있다.
전술한 차광부재(145)의 상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술한 포스트(143)에 의해 제 1 감지장치(160)의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전술한 차광부재(145)는 전술한 발광센서의 광원이 차광되게 셋팅된다.
전술한 차광부재(145)의 투광부(146)의 길이는 어레이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중대한 손상이 생길 수 있는 변위량을 감안하여 설계하거나 투광부의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또한 전술한 투광부(146)를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하고, 양 투광부(146) 사이에 불투광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지반 침하나 외압(풍압)에 의해 제 1 프레임이 처지는 것을 함께 감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는 전술한 제 3 감지장치(2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프레임 조립체에 결합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제 3 감지장치(200)는 서로 분할된 몸체(도면부호 미표기)가 접하는 면에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를 유지하는 도체(211, 212)와 양 도체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213)를 포함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감지장치(200)는 어레이를 구성하는 모듈패널(110)을 제 1 및 제 2 프레임에 체결하여 고정할 때, U자형 볼트(201)와 너트(202)사이에 결합된다. 도 8에서 미설명부호 203은 브라켓트이다.
따라서, 제 3 감지장치(200)는 너트(202)가 볼트(201)에서 이완되면, 스프링(213)의 탄성에 의해 양 도체(211)(212)는 전기적으로 탈락되게 된다. 이러한 양 도체(211, 212)의 전기적인 접속이나 탈락 신호가 바로 판별모듈(300)로 전송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전술한 제 1 및 제 2 감지장치(160)(150)와 제 3 감지장치(200)가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모듈패널(110)의 평면도로, 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부분은 제 1 프레임(121, 종방향 프레임)과 제 2 프레임(122, 횡방향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부호 200은 제 3 감지장치(200)이다.
제 1 감지장치(160) 내지 제 3 감지장치(200)는 태양전지 모듈에 의해 발전된 전원에 의해 동작한다.
전술한 판별모듈(300)은 제 1 내지 3 감지장치(160)(150)(200)로부터 전송된 태그 정보에 대응되는 각 알람수단을 통해 전술한 표시부(310)에 알람한다. 상기한 알람수단의 채용 예로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LED 램프이거나 서로 다른 스피커 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위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을 더 넓은 관점에서 벗어나지 않고 변경 예나 응용 예를 도출할 수 있으나 그러한 변경 예나 응용 예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권리범위와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Claims (3)

  1. 어레이를 구성하는 횡방향 프레임(122)에 결합되는 제 1 감지장치(160) 내지 제 3 감지장치(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감지장치(160)는,
    상기 프레임(122)에 서로 이격격되게 결합된 양 브라켓트(BK1)의 베이스(131)에 설치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의 발광센서(160a)와 수광센서(160b)사이에 배치되는 투광부를 갖춘 불투명재 차광부재(145)와,
    상기 차광부재(145)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면서, 일 측단은 상기 센싱부가 결합된 상기 베이스(131)와 연통되도록 나선결합되고, 타 측단은 바닥면에 고정되는 포스트(143)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차광부재(145)의 높이를 조절하는 캡(144)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감지장치(150)는,
    상기 어레이의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프레임(122)에 각각 결합된 각 브라켓트(BK1)에 결합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의 발광센서(150a)와 수광센서 (150b)사이의 상기 프레임(122)에 결합되는 투광부를 갖춘 횡방향 차광부재(145a)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감지장치(200)는,
    상기 프레임(122)에 너트(202)와 볼트(201)로 체결한 상기 브라켓트(BK1)의 체결부위에 결합되어서 그 체결력이 이완되었을 때, 스프링(213)의 탄성력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단락되거나 통전되도록 결합된 도체(211)(2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용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035652A 2020-03-24 2020-03-24 태양광 발전용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 KR102192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652A KR102192774B1 (ko) 2020-03-24 2020-03-24 태양광 발전용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652A KR102192774B1 (ko) 2020-03-24 2020-03-24 태양광 발전용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774B1 true KR102192774B1 (ko) 2020-12-18

Family

ID=7404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652A KR102192774B1 (ko) 2020-03-24 2020-03-24 태양광 발전용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7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1226A (ja) * 2002-12-12 2004-07-08 Jeol Ltd 複数の構造物の間の相対的位置ずれの検出システムおよび複数の構造物の間の被処理物の搬送システム
KR20140121952A (ko) * 2013-04-08 2014-10-17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태양전지모듈의 처짐 측정장치
KR20180060235A (ko) * 2016-11-28 2018-06-0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구조물의 변위 감지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1226A (ja) * 2002-12-12 2004-07-08 Jeol Ltd 複数の構造物の間の相対的位置ずれの検出システムおよび複数の構造物の間の被処理物の搬送システム
KR20140121952A (ko) * 2013-04-08 2014-10-17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태양전지모듈의 처짐 측정장치
KR20180060235A (ko) * 2016-11-28 2018-06-0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구조물의 변위 감지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960B1 (ko)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
US20080000515A1 (en) Automatically Solar Energy Tracking and Collecting System
US20110308318A1 (en) Insolation sensor for solar light intensity
KR100862623B1 (ko) 장력 감지 센서를 이용한 외곽울타리 보안 장치 및 이를이용한 외곽울타리
KR20210093022A (ko) 태양광 모듈과 구조물 이탈 방지 측정 시스템
US20060081783A1 (en) Infrared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KR102115969B1 (ko) 지중 배전선로 접속점별 고장구간 검출장치
KR102192774B1 (ko) 태양광 발전용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
KR20210142021A (ko) 스마트 맨홀 덮개를 이용한 방재 관리 시스템
KR101921955B1 (ko)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
KR101852465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도로 표시 장치
KR20160095532A (ko) 태양광 감지장치 및 이를 갖는 태양광 트랙커
CN113972890A (zh) 一种恶劣天气用太阳能发电管理装置及其系统
CN210119249U (zh) 一种生态环境监测装置
CN201903940U (zh) 周界安防用压敏型光纤传感装置
KR102207074B1 (ko) 태양광발전장치의 재난대비 시스템
CN103607167B (zh) 平面屋顶上的太阳能设备安装系统
RU65270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средство обнаружения
KR10265694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CN220604115U (zh) 一种机场围界报警照明设备
KR102657511B1 (ko) 태양광 발전설비 볼트 풀림 감시시스템
KR20110088276A (ko) 복합 센서 장치
KR200498260Y1 (ko) 보안을 위한 적외선 감지 장치
CN218848862U (zh) 一种张力探测器柱
CN218547630U (zh) 一种钢丝绳位移传感器组成的围栏报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