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955B1 -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955B1
KR101921955B1 KR1020180107053A KR20180107053A KR101921955B1 KR 101921955 B1 KR101921955 B1 KR 101921955B1 KR 1020180107053 A KR1020180107053 A KR 1020180107053A KR 20180107053 A KR20180107053 A KR 20180107053A KR 101921955 B1 KR101921955 B1 KR 101921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ircuit
light emitting
housing
circumferential surfac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온정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10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은 항공장애 표시구에 다수의 가요성 돌기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육안으로의 식별력은 유지하면서 바람에 의한 영향은 최소화 되도록 할 수 있고, 가공전선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지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정기적으로 전달함으로써 관리자가 가공전선의 이상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으며, 태양광 외에 바람에 의한 가요성 돌기의 유동에 의해 얻어진 전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흐린 기상상태나 야간에도 가공전선의 점검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MONITORING SYSTEM FOR OVERHEAD EARTH WIRE EQUIPED AIRCRAFT WARNING SPHERE}
본 발명은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공지선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거나 파단될 경우 이를 신속히 감지할 수 있고 바람에 의해 항공장애 표시구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공지선은 벼락으로부터 송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송전선 상측에 가설된 금속선을 지칭한다. 이때 가공지선은 철탑에 의해 지지되며 땅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가 이루어지며, 송전선과 나란히 설치된다.
벼락이 가공지선에 떨어질 경우 벼락의 전류는 가공지선을 통하여 가공지선을 지지하는 송전탑을 거쳐 땅으로 유도됨으로써 송전선 및 이를 지지하는 절연체(애자)를 보호한다.
가공지선은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도록 제조 및 설치되므로 상당한 기간 동안 빗물이나 강한 바람에 견딜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표면부터 점차 부식되어 인장강도가 약화되어 가므로 일정한 기간이 경과되면 교체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 기상이변 등에 의해 매우 강한 돌풍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므로, 가공지선이 예상 수명에 이르기 전에 돌풍에 의해 파단 될 수 있으며 항공기의 충돌과 같은 사고에 의해서도 파단 될 수 있다.
가공지선이 파단 될 경우에는 파단 된 부위가 땅으로 추락하면서 그 하측에 배치된 복수의 송전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합선이 초래될 수 있다. 특히 고압송전선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폭발이나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공지선에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의 장력이 가해지거나 가공지선이 파단 되면 관리자가 이를 신속히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한편 항공장애 표시구는 항공기가 송전탑 부근을 지나갈 때 송전선과 충돌하여 추락하거나 송전선이 절단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송전선로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항공장애 표시구는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높이가 60m 이상인 가공지선에 설치된다. 항공장애 표시구는 60cm 이상의 지름을 갖도록 제작되며, 그 지름이 1,3m 미만인 경우에는 30m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지름이 1.3m 이상일 경우에는 45m 이상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항공장애 표시구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형을 갖도록 하는 것은 바람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공장애 표시구가 가공지선에 설치되면 바람에 의해 여기에 가해지는 힘이 가공지선에 전달되므로, 송전탑 사이가 멀수록 가공지선에 설치되는 항공장애 표시구의 수가 증가되는 동시에 가공지선의 자중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 또한 증가되므로 돌풍이 발생될 경우 가공지선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되거나 파단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항공장애 표시구가 동일한 식별능력을 갖게 하면서도 경량화 할 수 있는 동시에 바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항공장애 표시구가 주간 및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057037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고 함)와 같이 점멸신호를 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는 점멸신호를 발하기 위한 전력을 태양광셀에 의해 얻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마철이나 장기간 흐린 날씨 또는 야간에는 충분한 전력을 얻을 수 없어서 점멸신호를 발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높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7037호(발명의 명칭: 점멸신호기가 구비된 송전 케이블용 항공장애 표시구, 등록일: 2011년 8월 9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람에 의해 항공장애 표시구가 가공전선에 가하는 장력이 최소화 되도록 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공전선에 가해지는 장력이 미리 정해진 범위보다 커지거나 가공전선이 파단 된 경우 이를 관리자가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공전선의 점검에 별도의 전력이 소요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구형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지지암과 한 쌍의 지지암 중 어느 하나의 단부 내측에 설치되고 가공지선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클램프와 한 쌍의 지지암 중 다른 하나의 단부 내측에 설치되고 가공지선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클램프와 하우징의 외주면에 분산 배치되고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확장돌기를 구비하며 확장돌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기본체와 돌기본체의 단부에 배치되고 타원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기헤드를 갖는 항공장애 표시구, 수용공간 내에 설치된 제어박스와 제어박스 내에 설치된 제어회로와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통신모듈과 배터리 및 통신모듈이 발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제어부와, 복수의 돌기본체의 외주면에 각각 분산 배치되고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압전소자와 복수의 확장돌기 중 일부의 돌기헤드에 각각 설치되고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태양광패널을 포함하는 발전부와, 복수의 확장돌기 중 나머지의 돌기헤드에 각각 설치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투광커버와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소자와 투광커버 및 발광소자를 연결하여 발광소자가 발하는 빛이 투광커버로 전달되도록 하는 광섬유를 포함하는 발광부와, 일단부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측의 외주면에는 왼나사산이 형성된 롤러지지대와 일측이 롤러지지대의 타측에 나사결합 된 중공관 형상의 조절슬립과 일측 외주면에는 오른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슬립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된 롤러프레임과 롤러프레임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이 가공지선에 접하는 가압롤러와 롤러지지대에 내장되어 롤러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의 크기를 감지하고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로드셀을 포함하고 조절슬립의 회전방향에 따라 롤러지지대 및 롤러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증감되어 가압롤러가 가공지선을 가압하는 정도가 조절되는 장력감지부를 포함하는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압전소자는 돌기본체의 외주면에 일면이 결합된 전극층 및 전극층의 타면에 적층된 압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에는 수용공간과 하우징의 외부를 관통하는 형상의 배수공이 복수 개 분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회로는 발광소자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하며 통신모듈이 제어회로에 미리 저장된 위치신호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회로는 로드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날 경우 통신모듈이 제어회로에 미리 저장된 이상신호를 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압전소자는 돌기본체의 외주면 둘레마다 3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항공장애 표시구에 다수의 가요성 돌기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육안으로의 식별력은 유지하면서 바람에 의한 영향은 최소화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전선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지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정기적으로 전달함으로써 관리자가 가공전선의 이상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 외에 바람에 의한 가요성 돌기의 유동에 의해 얻어진 전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흐린 기상상태나 야간에도 가공전선의 점검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이 설치된 가공지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항공장애 표시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항공장애 표시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항공장애 표시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가요성 돌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가요성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장력감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를 갖는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의 계통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이하, 본 실시예라고 함)이 설치된 가공지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1)에는 항공장애 표시구(100)가 포함되는데, 이 항공장애 표시구(100)는 가공지선(20)에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지상에 설치되는 송전선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송전탑(11, 12)에 의해 지지되는 송전선(30)을 통하여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송전선(30)을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송전선(30)의 상측에 가공지선(20)이 설치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항공장애 표시구(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항공장애 표시구(1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1)의 항공장애 표시구(100)에는 구 형상을 갖는 하우징(101), 한 쌍의 지지암(111, 115), 한 쌍의 클램프(122, 126) 및 복수의 확장돌기(140)가 포함된다.
확장돌기(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의 외주면에 분산 배치되며, 하우징(10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확장돌기(140)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돌기본체(141)와 타원구 형상을 갖는 돌기헤드(142)로 이루어진다.
돌기본체(141)는 외력이 가해지면 쉽게 구부러졌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높은 가요성 및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돌기본체(141)는 안테나 또는 낚싯대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헤드(142)는 돌기본체(141)의 단부에 배치되는데, 확장돌기(140)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01), 한 쌍의 지지암(111, 115) 및 한 쌍의 클램프(122, 12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지선(20)을 기준으로 각각 절단된 형상을 갖는 구성요소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하우징(101)은 상측 하우징(110) 및 하측 하우징(120)으로 구성되고, 지지암(111, 115)은 상측 지지암(111a, 111b) 및 하측 지지암(115a, 115b)으로 구성지며, 클램프(122, 126, 두 개는 도시되지 않음) 또한 각각 상하측으로 분리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지지암(111, 115)은 하우징(101)으로부터 양쪽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데, 구 형상을 갖는 하우징(10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한 쌍의 지지암(111, 115)의 내부 또한 연결된 형상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암(111, 115)의 내부에는 각각 클램프(122, 126)가 배치되며, 클램프(122, 126)는 한 쌍의 지지암(111, 115)의 단부에 배치된다.
하우징(101)을 이루는 상측 하우징(110) 및 하측 하우징(120)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상술한 수용공간에 이르도록 관통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배수공(118, 128)이 형성되며, 이 배수공(118, 128)은 하우징(101) 전반에 분산 배치된다.
배수공(118, 128)은 빗물이 수용공간 내로 유입되었을 때 신속히 하우징(10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하우징(101)의 중량이 작아지도록 하여 하우징(101)의 하중에 의해 가공지선(20)에 가해지는 힘이 감소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참고로, 하우징(101)은 장기간 실외에 배치되어도 변질되지 않도록 자외선이나 빗물 등에 의해 대한 내구성 및 내후성 등이 높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지지암(111a, 115a) 및 하측 지지암(111b, 115b)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3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측 지지암(111a) 및 클램프(122, 126, 두 개는 도시되지 않음)에는 체결공(113, 117, 123, 126)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130)의 단부는 이들을 관통하여 하측 지지암(111b, 115b)에 형성된 체결부(도시되지 않음)에 체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측 하우징(110) 및 하측 하우징(120)의 접촉부에도 걸림홈과 걸림돌기 등이 형성되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01) 내의 수용공간에는 장력감지부(400)가 배치된다. 장력감지부(400)는 지지암(111, 115) 및 하우징(101)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배치된 가공지선(20)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지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클램프(122, 126) 중 어느 하나는 가공지선(20)에 고정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가공지선(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편의상 가공지선(20)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제1 클램프(122,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라 하고, 가공지선(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제2 클램프(126,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라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1 클램프(122,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는 가공지선(20)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 항공장애 표시구(100)가 가공지선(20)을 따라 이동되어 그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 클램프(126,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는 가공지선(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가공지선(20)에 의해 지지암(115)이 지지될 수는 있으나 제2 클램프(126,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가공지선(20) 전체에 가해지는 장력이 클램프(122, 126, 두 개는 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부분에도 전달되며, 이에 따라 수용공간 내에 배치된 장력감지부(400)가 가공지선(20)에 가해지는 장력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수용공간 내에는 제어박스(510)가 설치되며, 제어박스(510) 내에 설치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항공장애 표시구(1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공지선(20)에 설치된 항공장에 표시구(100)에 바람(W)에 의한 힘이 작용되어 복수의 확장돌기(140)가 변형되어 있다.
확장돌기(140)의 돌기본체(14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높은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확장돌기(140)는 바람(W)에 의한 힘이 가해질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었다가 바람(W)이 멈추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항공장애 표시구(100)는 바람(W)이 불지 않을 경우에는 확장돌기(140)에 의해 그 외각선이 하우징(101)만 있을 경우보다 확장된 형상을 갖게 되므로 원거리에서 육안으로의 식별력이 높아진다. 반면 바람(W)이 작용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돌기(140)가 변형되므로 항공장애 표시구(100)의 바람(W)에 의한 저항이 작아지게 된다.
즉 본 실시예(1)의 항공장애 표시구(100)는 확장돌기(140)에 의해 원거리에서의 식별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바람(W)에 의한 저항은 작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 표시된 A는 바람(W)이 불 때 확장돌기(140)의 외각선이 나타내는 형상을 의미하는데, 바람(W)의 세기가 강할수록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을 갖게 되어 박리현상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이 억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확장돌기(14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확장돌기(140a)는 앞에서 설명한 확장돌기(140)에 태양광패널(210) 등이 설치되어 전력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확장돌기(140a)에는 발전부(200)가 설치되며, 발전부(200)에는 태양광패널(210), 압전소자(221, 222) 및 도선(240, 241, 242)이 포함된다.
태양광패널(210)은 태양광이 조사되면 전력이 생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광패널(210)은 돌기헤드(142)에 설치된다.
태양광패널(210)은 도선(240)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회로(도 8의 511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태양광패널(210)에서 생산된 전력은 제어회로(511)로 인가되며, 제어회로(511)는 그 구동에 사용되고 남은 전력이 아래에서 설명할 배터리(512)에 저장되도록 한다.
압전소자(221, 222)는 돌기본체(141)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압전소자(221, 222)는 돌기본체(141)가 바람(도 4의 W)에 의해 구부러졌다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변형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기 위한 것이다.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람(W)의 방향은 일정하지 않으므로 돌기본체(141)가 어느 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발전을 할 수 있도록 압전소자(221, 222)는 복수의 확장돌기(140)의 돌기본체(141)마다 그 둘레에 3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압전소자(221, 222,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가 120도의 각도를 형성하며 돌기본체(141)의 둘레에 배치될 경우 돌기본체(141)가 변형되면 3개의 압전소자(221, 222,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 중 하나 이상이 변형되므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4개의 압전소자(221, 222,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가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며 돌기본체(141)의 둘레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압전소자(221, 222)의 수는 필요에 따라 더 증가될 수도 있다.
압전소자(222)에는 전극층(222a) 및 압전체(222b)가 포함된다. 압전소자(222)는 돌기본체(141)의 외주면에 전극층(222a)의 일면이 결합되고 압전체(222b)는 전극층(222a)의 타면에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압전체(222b)로는 Pb(Zr, Ti)O3와 같은 압전세라믹이 사용될 수 있고, 전극층(222a)은 은(Ag)을 증착하여 층 형상으로 형성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압전체(222b) 및 전극층(222a)은 시중에서 판매 중인 압전필름(PVDF)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압전세라믹은 압전현상이 발생되는 물질로, 압전현상은 기계적인 외력이 가해져서 그 형상이 변형되면 기계적인 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는 현상을 말한다.
압전소자(221) 또한 상술한 압전소자(22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압전소자(221, 222)는 도선(241, 242)에 의해 각각 제어회로(5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돌기본체(141)의 변형에 의해 압전소자(221, 222)에서 발생되는 전력은 제어회로(511)로 인가되어 구동전력으로 사용되거나 배터리(512)에 저장된다.
참고로, 발전부(200)는 본 실시예(1)의 모든 확장돌기(140)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복수의 확장돌기(140) 중 일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발전이 가능한 확장돌기(140a)는 본 실시예(1)의 확장돌기(140)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될 수 있다.
도 6에는 도 2에 도시된 확장돌기(140)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확장돌기(140b)는 앞에서 설명한 확장돌기(140)에 발광기능을 부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확장돌기(140b)에는 발광부(300)가 설치되며, 발광부(30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발광소자(도 8의 310), 광섬유(320) 및 투광커버(330)가 포함된다.
발광소자(310)로는 고휘도 발광다이오드와 같이 적은 전력으로 높은 광량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발광소자(310)는 제어회로(5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회로(51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작동된다.
투광커버(33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돌기헤드(142)에 설치된다.
광섬유(320)는 투광커버(330) 및 발광소자(31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즉 광섬유(320)의 일단부로 발광소자(310)에서 발하는 빛이 입사되도록 하고, 광섬유(320)의 타단부는 투광커버(330)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발광소자(310)에서 발생된 빛이 투광커버(330)를 통하여 발산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발광점(321)은 광섬유(320)의 타단부와 투광커버(330)가 접하도록 배치된 부분을 지칭한다.
투광커버(330)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투광커버(330)가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구 형상을 갖도록 하여 일종의 렌즈로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발광점(321)에서 투광커버(330)로 입사된 빛이 특정 방향으로 집중되어 원거리에서의 식별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투명한 소재에 미세한 기포 또는 반사율이 높은 미세한 금속편이 분산되도록 하여 투광커버(330)가 반투명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발광점(321)에서 투광커버(300)로 입사된 빛은 상술한 기포나 금속편에 의해 산란되어 투광커버(330)가 전체적으로 빛을 발하는 형상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발광소자(310)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사용하고 투광커버(330)를 이루는 투명소재에 형광물질을 포함시키면 투광커버(330)가 특정한 형광색으로 발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투광커버(330) 내에 붕산카드뮴(CdBO2)를 포함시키면 자외선에 의해 붉은 투광커버(330)가 붉은색을 발하게 되고, 텅스텐산마그네슘(MgWO4)를 포함시키면 청백색을 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빛을 발하는 확장돌기(140b)에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압전소자(221, 222) 및 도선(241, 242)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장돌기(140b)가 바람(W)에 의해 변형되었다가 복귀되는 유동을 하면 압전소자(221, 222)에 의해 발전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1)의 확장돌기(140) 중 태양광패널(210)이 설치된 확장돌기(140a)를 제외한 것에 발광부(300)가 설치되어 빛을 발하는 확장돌기(140b)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항공장애 표시구(100)가 풍량이 풍부한 곳에 설치되어 바람(W)에 의한 발전량이 태양광에 의한 발전량보다 더 많을 경우에는 본 실시예(1)의 확장돌기(140) 전체가 빛을 발하는 확장돌기(140b)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항공장애 표시구(100)가 풍량은 적고 일조량이 풍부한 곳에 설치될 경우에는 확장돌기(140) 전체가 태양광패널(210)이 설치된 확장돌기(140a)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1)의 항공장애 표시구(100)가 배치되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확장돌기(140a) 및 빛을 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확장돌기(140b)의 비율을 조절하여 확장돌기(140)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 3에 도시된 장력감지부(4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장력감지부(400)에는 가압롤러(410), 롤러프레임(411), 조절슬립(420), 롤러지지대(430) 및 로드셀(440)이 포함된다.
롤러지지대(430)는 그 일단부가 하우징(101)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1)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지지대(430)의 일단부가 하측 하우징(120)의 내주면에 결합된 것을 예로 설명한다.
봉 형상의 롤러지지대(430)는 그 타측이 하우징(101)의 중심점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롤러지지대(430)의 타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나사(431)를 이룬다.
가압롤러(410)의 외주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지선(20)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가공지선(20)이 가압롤러(4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가압롤러(410)는 롤러프레임(411)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롤러프레임(411)의 일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나사(412)를 이룬다.
이때 롤러지지대(430)의 체결나사(431)와 롤러프레임(411)의 체결나사(41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롤러지지대(430)의 체결나사(431)가 오른나사산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롤러프레임(411)의 체결나사(412)는 왼나사산으로 이루어지고, 롤러지지대(430)의 체결나사(431)가 왼나사산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롤러프레임(411)의 체결나사(412)는 오른나사산으로 이루어진다.
조절슬립(420)은 중공관 형상을 갖는데, 조절슬립(420)의 일측 내주면에는 롤러지지대(430)의 체결나사(431)에 상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조절슬립(420)의 타측 내주면에는 롤러프레임(411)의 체결나사(412)에 상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롤러지지대(430), 조절슬립(420) 및 롤러프레임(411)이 서로 나사결합 된다. 이때 체결나사(412, 431)의 나사산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조절슬립(420)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조절슬립(420)의 양단부와 체결나사(412, 431)가 나사결합 된 정도가 변경된다.
따라서 조절슬립(420)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롤러지지대(430) 및 롤러프레임(411)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즉 조절슬립(420)을 이용하여 롤러지지대(430)로부터 롤러프레임(411)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가압롤러(410)가 가공지선(20)을 가압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로드셀(440)은 롤러지지대(430)에 내장되어 롤러지지대(430)의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의 크기를 감지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로드셀(440)은 제어회로(5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로드셀(440)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 제어회로(511)로 전달된다.
가공지선(20)에 항공장애 표시구(100)를 설치할 때에는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상태의 항공장애 표시구(100) 중 하측 하우징(120)에 연결된 클램프(122, 126)에 가공지선(20)이 안착되도록 한다.
이후 장력감지부(400)의 조절슬립(420)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조절하여 가압롤러(410)에 가공지선(20)이 안착된 후 가압롤러(410)에 의해 가공지선(20)이 가압되도록 한다.
가공지선(410)이 가압롤러(410)에 의해 가압되면 이 힘이 로드셀(440)로 전달되어 제어회로(511)에 그 힘의 크기가 감지된다. 이때 로드셀(411)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슬립(420)을 조절한다.
로드셀(411)의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확인한 다음에는 조절슬립(420)에 형성된 고정공(421)에 고정부재(423)를 체결시켜 롤러프레임(411)과 조절슬립(420)이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마찬가지로 고정공(422)에 고정부재(424)를 체결시켜 롤러지지대(430)와 조절슬립(420)이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하측 하우징(120)과 상측 하우징(110)을 결합시키고 체결부재(130)를 체결시켜 가공지선(20)이 한 쌍의 클램프(122, 126, 두 개는 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항공장애 표시구(100)가 가공지선(20)에 설치되도록 한다.
도 8에는 본 실시예(1)의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500)에는 제어박스(510) 내에 설치된 제어회로(510), 배터리(512), 통신모듈(513) 및 안테나(514)와 수신수단(520)이 포함된다. 수신수단(520)은 항공장애 표시구(100)와 이격되어 지상에 배치되며, 여기에는 수신회로(521), 안테나(522) 및 표시장치(523)가 포함된다.
제어박스(510)는 하우징(101)에 형성된 배수공(118)을 통하여 수용공간 내로 유입되는 빗물에 의해 그 내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이 침수되지 않도록 방수성을 갖도록 한다.
제어회로(511)는 일종의 소형 컴퓨터로, 태양광패널(210), 압전소자(221, 222), 발광소자(310), 로드셀(440), 배터리(512) 및 통신모듈(513)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광소자(310)는 광섬유(320)에 의해 투광커버(330)에 연결된다.
제어회로(511)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된다.
예를 들어, 태양광패널(210) 및 압전소자(221, 222)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배터리(512)가 충전되도록 하고, 이들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배터리(512)에 저장된 전력을 작동에 이용한다.
제어회로(511)는 발광소자(310)에 전력을 공급하여 발광소자(310)로부터 빛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회로(511)는 미리 입력된 시간 간격으로 발광소자(310)가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회로(511)는 통신모듈(513)에 의해 미리 입력된 위치신호가 안테나(514)를 통하여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신호는 가공전선(20)에 설치된 복수의 항공장애 표시구(100)마다 서로 다른 고유의 식별코드를 부여함으로써 수신수단(520)에 위치신호가 수신되면 항공장애 표시구(100)가 설치된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가공전선(20)에 낙뢰가 떨어질 경우 강력한 전자기파가 발생되어 제어회로(511)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회로(511)가 정상일 때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면 수신수단(520)에 일정한 시간 이상 위치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제어회로(511)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표시장치(523)에 위치신호가 일정한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는 항공장애 표시구(100)의 식별코드가 표시되도록 하면 관리자가 어느 위치의 항공장애 표시구(100)인지 용이하게 인식하여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는 태양광패널(210)이나 압전소자(221, 222)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이 부족하여 배터리(512)에 저장된 전력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제어회로(511)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저전력신호가 통신모듈(513)에 의해 발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장치(523)에 위치신호에 포함된 식별코드와 저전력신호가 함께 표시되도록 하면 관리자가 발전량에 이상이 발생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로드셀(440)로부터 측정된 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어회로는 미리 입력되어 있는 장력이상신호가 통신모듈을 통하여 송신되도록 하고, 이 신호를 수신한 수신수단(520)의 표시장치에 위치신호에 포함된 식별코드와 장력이상신호가 함께 표시되도록 하면 관리자가 가공전선(20)에 이상이 발생되었음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상술한 바와 같은 저전력신호 및 장력이상신호를 이상신호로 통칭하기로 한다.
만약 태풍이나 돌풍 등에 의해 가공전선(20)에 과도한 장력이 발생되면 로드셀(440)에 의한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보다 커지게 될 수 있다. 아울러 가공전선(20)이 어떤 이유로 파단된 경우에는 로드셀(440)에 의한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수신수단(520)에 이상신호가 수신되면 그 내용에 따라 해당되는 가공전선(20) 또는 항공장애 표시구(100)가 설치된 위치로 상응하는 자재 또는 공구 등을 준비하여 신속히 이동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동을 하는 본 실시예(1)는 가공지선(20)이 정상적인 상태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으며, 이상이 발생되면 즉시 효율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1)는 가요성을 갖는 확장돌기(140)에 의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하우징(101)을 사용하면서도 그 식별성은 향상되고, 바람(W)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아울러 태양광 및 바람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작동되며 야간에도 빛에 의해 식별이 가능하므로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확장돌기(140) 중 어느 하나의 돌기헤드(142)에 광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제어회로(511)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일광이 충분한 주간에는 발광소자(310)가 작동되지 않고 야간에만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이 절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01)의 외주면 및 확장돌기(140)의 돌기본체(141)의 외주면에 야광도료를 도포하면 야간에 항공장애 표시구(100)의 식별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를 구비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
11, 12: 송전탑 20: 가공지선
30: 송전선 100: 항공장애 표시구
101: 하우징 110: 상측 하우징
111, 115: 지지암 118: 배수공
120: 하측 하우징 128: 배수공
130: 체결부재 140: 확장돌기
141: 돌기본체 142: 돌기헤드
200: 발전부 210: 태양광패널
221, 222: 압전소자 240, 241, 242: 도선
300: 발광부 310: 발광소자
320: 광섬유 330: 투광커버
400: 장력감지부 410: 가압롤러
411: 롤러프레임 420: 조절슬립
430: 롤러지지대 440: 로드셀
500: 제어부 510: 제어박스
511: 제어회로 520: 수신수단

Claims (2)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구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지지암과, 상기 한 쌍의 지지암 중 어느 하나의 단부 내측에 설치되고 가공지선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클램프와, 상기 한 쌍의 지지암 중 다른 하나의 단부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지선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클램프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분산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확장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확장돌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기본체와 상기 돌기본체의 단부에 배치되고 타원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기헤드를 갖는, 항공장애 표시구;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된 제어박스와, 상기 제어박스 내에 설치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통신모듈 및 배터리와, 상기 통신모듈이 발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제어부;
    복수의 상기 돌기본체의 외주면에 각각 분산 배치되고 상기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압전소자와, 상기 복수의 확장돌기 중 일부의 상기 돌기헤드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태양광패널을 포함하는 발전부;
    상기 복수의 확장돌기 중 나머지의 상기 돌기헤드에 각각 설치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투광커버와, 상기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소자와, 상기 투광커버 및 상기 발광소자를 연결하여 상기 발광소자가 발하는 빛이 상기 투광커버로 전달되도록 하는 광섬유를 포함하는 발광부;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측의 외주면에는 왼나사산이 형성된 롤러지지대와, 일측이 상기 롤러지지대의 타측에 나사결합 된 중공관 형상의 조절슬립과, 일측 외주면에는 오른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슬립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된 롤러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이 상기 가공지선에 접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롤러지지대에 내장되어 상기 롤러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의 크기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로드셀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슬립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롤러지지대 및 상기 롤러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증감되어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가공지선을 가압하는 정도가 조절되는 장력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돌기본체의 외주면에 일면이 결합된 전극층 및 상기 전극층의 타면에 적층된 압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관통하는 형상의 배수공이 복수 개 분산 형성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발광소자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하며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제어회로에 미리 저장된 위치신호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발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로드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제어회로에 미리 저장된 이상신호를 발하도록 하는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돌기본체의 외주면 둘레마다 3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
KR1020180107053A 2018-09-07 2018-09-07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 KR101921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053A KR101921955B1 (ko) 2018-09-07 2018-09-07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053A KR101921955B1 (ko) 2018-09-07 2018-09-07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955B1 true KR101921955B1 (ko) 2018-11-26

Family

ID=6460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053A KR101921955B1 (ko) 2018-09-07 2018-09-07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9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7423A (zh) * 2019-09-24 2019-11-29 中国民用航空总局第二研究所 一种架空输电线缆航空警示设备
CN110867032A (zh) * 2019-11-22 2020-03-06 林田霞 一种节电的电力线路用航空警示球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8032A1 (en) 2001-01-18 2002-07-25 Eostech And Marketing Co., Ltd. Airplane warning sphere for day and night
KR101057037B1 (ko) 2009-03-24 2011-08-19 김주영 점멸신호기가 구비된 송전 케이블용 항공장애표시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8032A1 (en) 2001-01-18 2002-07-25 Eostech And Marketing Co., Ltd. Airplane warning sphere for day and night
KR101057037B1 (ko) 2009-03-24 2011-08-19 김주영 점멸신호기가 구비된 송전 케이블용 항공장애표시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7423A (zh) * 2019-09-24 2019-11-29 中国民用航空总局第二研究所 一种架空输电线缆航空警示设备
CN110867032A (zh) * 2019-11-22 2020-03-06 林田霞 一种节电的电力线路用航空警示球
CN110867032B (zh) * 2019-11-22 2021-08-20 湖南辰东科技有限公司 一种节电的电力线路用航空警示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955B1 (ko) 항공장애 표시구가 구비된 가공지선 점검 시스템
CN101133282B (zh) 用于灯光标示塔的棒形信号灯
US201401515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amage to a wind turbine blade
CN109243147B (zh) 一种库岸消落带滑坡崩塌阵列式预警系统
CN110608726A (zh) 风暴潮潮位观测站
CN102395858A (zh) 适合在光幕上使用的光学探测器
CN102494628A (zh) 一种隧道变形激光测量方法和装置
KR100400260B1 (ko) 주야간 항공장애 표시구
CN201083536Y (zh) 可定位的光缆振动探测装置
US201401840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led beacon lights
KR102167376B1 (ko) 이상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조립체
KR102192774B1 (ko) 태양광 발전용 어레이 변위 감지장치
KR102034931B1 (ko) 항공 장애 표시등 제어장치
CN217205264U (zh) 一种脚手架施工用警戒装置
CN219738240U (zh) 一种基于红外传感的第三方破坏监测装置
CN107588755A (zh) 基于激光技术的变电站避雷针倾斜监测装置
KR102645581B1 (ko)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
CN104594236A (zh) 一种光电道路障碍提示牌
CN220454583U (zh) 一种边坡监测装置
KR102657511B1 (ko) 태양광 발전설비 볼트 풀림 감시시스템
CN217758442U (zh) 一种高速公路警示柱报警装置
CN214583077U (zh) 一种防止光伏支架变形的检测装置
KR20230038026A (ko) 항공장애표시구 장치
KR102456879B1 (ko) 스마트 안전 유도등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유도 시스템
CN214955239U (zh) 一种化工区周界报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