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612B1 - Automatic disinfection device for salmon - Google Patents

Automatic disinfection device for salm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612B1
KR102192612B1 KR1020200103882A KR20200103882A KR102192612B1 KR 102192612 B1 KR102192612 B1 KR 102192612B1 KR 1020200103882 A KR1020200103882 A KR 1020200103882A KR 20200103882 A KR20200103882 A KR 20200103882A KR 102192612 B1 KR102192612 B1 KR 102192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isinfection
disinfectant
salmon
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종언
Original Assignee
유종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언 filed Critical 유종언
Priority to KR102020010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6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6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26Apparatus for preserving using liquids ;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3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terilisation or pasteurisatio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disinfection apparatus of fresh salmon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ed disinfection apparatus of fresh salmon, wherein disinfection is performed by continuously introducing fresh salmon into a disinfection box in which a disinfectant is stored, a water level and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disinfection box is sensed in real time, and when the level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water level or the concentration is equal to or lower than predetermined concentration, the disinfectant is supplemented and thus, disinfection efficiency can be maximized, fresh salmon can be stably transferred, and foreign matters removed from fresh salmon are separately collected and thus, cleanliness can be maintained. To this end, the automated disinfection apparatus of fresh salmon comprises: a base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posts vertically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horizontal bar connecting the posts; a disinfection module disposed on the base frame and provided with a disinfection box in which a disinfectant is stored; a transfer module including an endless type transfer belt for transferring fresh salmon to the disinfection module at a constant speed; a displacement suppression module including an endless type displacement control belt for preventing the fresh salmon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fer module from being injured by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disinfection module; a driving module which drives the transfer module and the displacement suppression module; a disinfectant supply module which supplies a disinfectant to the disinfection module; and a control module which controls operations of the drive module and the disinfectant supply module.

Description

연어 생물의 자동 소독장치{Automatic disinfection device for salmon}Automatic disinfection device for salmon

본 발명은 연어 생물의 자동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독액이 저장된 소독함에 연속적으로 연어 생물을 진입시켜 소독을 진행하되 상기 소독함에 저장된 소독액의 수위,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일정 수위 이하이거나 일정 농도 이하로 감지되는 경우 소독액을 보충하여 소독 효율을 극대화하고, 연어 생물의 안정적인 이송은 물론 연어 생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별도로 수거함으로써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연어 생물의 자동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terilization apparatus for salmon organisms, and more particularly, to proceed with sterilization by continuously entering salmon organisms into a disinfection box in which a disinfection solution is stored, but detecting the level and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disinfection box in real time to be below a certain level. It relates to an automatic sterilization device for salmon organisms capable of maximizing disinfection efficiency by supplementing a disinfectant solution when it is detected at or below a certain concentration, and maintaining cleanliness by separately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salmon organisms as well as stable transport of salmon organisms.

일반적으로 생선은 조직이 약하기 때문에 충격에 의해 손상되기 쉽고 내부 조직 및 외부 조직은 온도 변화에 따른 세균 증식에 의해 부패가 발생하기 쉬웠다.In general, fish are susceptible to damage by impact because their tissues are weak, and internal and external tissues are susceptible to rot due to bacterial growth due to temperature changes.

이를 방지함과 동시에 장기간 보관하기 위하여 건조, 냉동, 염장, 설탕절임, 산절임, 통조림, 병조림, 첨가물이용 및 X선, 방사선 조사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생선의 영양가를 유지하면서 독성의 발현을 억제하며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order to prevent this and keep it for a long time, various methods such as drying, freezing, salting, candied, pickled, canned, bottled, additives, and X-ray and irradiation are used. It suppresses the expression and can satisfy various needs of consumers.

한편 생선 중 연어는 근래에 들어서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 생선으로써 국내에서 소비하는 연어는 대부분을 해외로부터 수입하는데, 장거리 운송에 적합하도록 연어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통조림 또는 냉동 방법을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fish, salmon is a fish whose consumption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Most of the salmon consumed in Korea is imported from abroad, and canned or frozen methods are used to treat salmon for long-distance transportation.

그러나 통조림으로 처리하는 경우 연어 본연의 식감과 맛을 크게 훼손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첨가제 투입에 의한 맛이 변질은 물론 안정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canned fo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xture and taste of salmon are greatly damaged, and the taste is deteriorated by the addition of additives, as well as stability problems have been raised.

그리고 영하 40℃이하로 냉동한 이후 해동시키는 방법은 해동 과정에서 접촉되는 외부 공기에 의한 세균의 침입 및 번식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thawing after freezing below -40°C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contamination by invasion and propagation of bacteria by external air contacted during the thawing proces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동 과정에서 외부 공기와의 접촉은 최소화함과 동시에 살균 효과를 기대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0493호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ique for minimizing contact with external air during the defrosting process and expecting a sterilization effect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1980493.

상기 종래기술은 연속식 생선 침지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독립적으로 구성된 생선바스켓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되 생선을 생선바스켓에 배치한 상태로 침지소독장치로 투입됨으로써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prior art relates to a continuous fish immersion sterilization apparatus, in which an independently configured fish basket is transferred at a constant speed, but the fish is placed in the fish basket and introduced into the immersion sterilizer to be steriliz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소정크기로 형성된 생선바스켓을 이용할 수 있는 생선의 크기가 제한적이고 생선바스켓에 생선을 투입하거나 빼내는 작업 과정에서 생선이 생선바스켓과 충돌하여 손상되어 상품성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fish that can use the fish basket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is limited, and the fish collides with the fish basket and is damaged in the process of putting or removing fish into the fish basket, thereby damaging the marketabilit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049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8049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소독액이 저장된 소독함에 연속적으로 연어 생물을 투입하여 연어 생물을 소독하되, 상기 소독함의 구조를 개선하여 소독 과정에서 연어 생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소독 과정에서 연어 생물로부터 이탈한 이물질을 별도로 수거하여 제거함으로써 2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연어 생물의 자동 소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disinfecting salmon organisms by continuously injecting salmon organisms into a disinfection box in which a disinfectant is stored, and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disinfection box to prevent damage to salmon organisms during the disinfectio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n automatic sterilization device for salmon organisms that can prevent secondary infection by separately collect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released from salmon organisms during the disinfection process.

또한 소독액의 수위와 농도에 따라 연어 생물을 이동시키는 이송벨트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소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연어 생물의 자동소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automatic sterilization device for salmon organisms that can maximize the disinfection effect by adjusting the speed of a transfer belt that moves salmon organisms according to the level and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상호 이격된 위치에 수직하게 배치된 다수 개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를 연결하는 수평대를 포함한 베이스프레임;A base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posts vertically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horizontal bar connecting the posts;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배치되며 소독액이 저장된 소독함이 구비된 소독모듈;A disinfection module disposed on the base frame and provided with a disinfectant in which a disinfectant is stored;

상기 소독모듈로 연어 생물을 일정 속도로 이송시키는 엔드리스 타입의 이송벨트를 포함한 이송모듈;A transfer module including an endless type transfer belt for transferring salmon organisms to the disinfection module at a constant speed;

상기 이송모듈을 통해 이송되는 연어 생물이 상기 소독모듈에 저장된 소독액에 의해 부상(浮上)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엔드리스 타입의 변위억제벨트를 포함한 변위억제모듈;A displacement control module including an endless type of displacement control belt for inhibiting the salmon organism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module from being injured by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disinfection module;

상기 이송모듈과 상기 변위억제모듈을 구동시키는 구동모듈;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transfer module and the displacement control module;

상기 소독모듈로 소독액을 공급하는 소독수 공급모듈;A disinfection water supply module supplying a disinfectant solution to the disinfection module;

상기 구동모듈과 소독수 공급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dule and the disinfectant water supply module.

또한, 상기 소독함은,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일측에는 소독 전 연어 생물이 진입하는 진입구역과, 길이 방향 타측에는 소독 후 연어 생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역과, 상기 진입구역과 배출구역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양 구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이송된 연어 생물이 침지(浸漬)된 상태에서 소독되는 소독구역이 형성되고, 상기 소독구역에는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infection box is made in the form of an empty enclosure, and 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an entry area into which salmon creatures enter before disinfection, and at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ischarge area where salmon organisms are discharged after disinfection, and the entry area A disinfection area is formed between the discharging areas, which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red salmon organisms are immersed by extending relatively downward compared to the two areas, and the disinfection area is discharged to discharge the stored disinfectant to the outsid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ns is provided.

또한, 상기 구동모듈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벨트를 이동시키는 구동축이 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변위억제벨트를 이동시키는 피동기어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벨트를 이동시키는 이송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 및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며 감지한 감지값을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이동속도감지센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e module includes a drive motor operated by an applied power and a signal, a drive gear coupled to a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a drive shaft for moving the transfer belt, and the drive gear engaged with the displacement. A driven gear that moves the restraint belt, a transfer gear that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and moves the transfer belt, a protective cover to protect the drive gear and the driven gear, and a detection detected by detec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gea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vement speed sensor for transmitting the value to the control module.

또한, 상기 이송벨트와 상기 변위억제벨트는 각각 격자형의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져 연어 생물이 상기 소독함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소독액의 메쉬망을 통과하면서 연어 생물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belt and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are each formed in a grid-shaped mesh network so that the salmon organisms can contact the salmon organisms while passing through the mesh network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disinfection box. .

나아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이송벨트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이송용레일과, 상기 변위억제벨트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bas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transfer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transfer belt, and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또한, 상기 변위억제모듈에는, 상기 변위억제벨트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세정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변위억제벨트와 맞닿도록 배치되는 브러쉬롤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브러쉬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브러쉬롤러의 하방에 배치되어 브러쉬롤러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cement control module is further provided with a cleaning means for filtering out foreign matters filtered by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wherein the cleaning means includes a brush roller disposed to contact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and the base frame And a pair of brackets arranged symmetrically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brush roller, and a collection box disposed below the brush roller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removed by the brush roller.

또한, 상기 소독수 공급모듈은, 상기 소독함에 저장된 소독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소독함에 저장된 소독액의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감지센서와, 상기 소독함으로 공급되는 소독액이 저장된 소독액 저장탱크와,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와 상기 소독함을 연결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이송된 소독액을 배출하는 배출노즐과, 상기 이송관에 배치되어 소독액의 이송을 제어하는 밸브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infectant water supply module includes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that senses the level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disinfection box, a concentration sensor that senses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disinfection box, and a disinfectant solution storage tank in which the disinfectant solution supplied to the disinfection box is stored. , A transfer pipe connecting the disinfectant storage tank and the disinfection box, a discharge nozzle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transfer pipe to discharge the transferred disinfectant, and a valve disposed in the transfer pipe to control the transfer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t is characteriz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소독 과정에서 연어 생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marketability by preventing salmon organisms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disinfection proces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어 생물의 자동 소독장치는 연어 생물의 연속적인 투입 및 소독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한 장점이 있고, 소독 과정에서 수위가 낮아지거나 농도가 낮아진 소독액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를 보충함으로써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sterilization device for salmon organis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work efficiency by enabling continuous input and sterilization of salmon organisms, and supplements it by real-time detection of a disinfectant with a lower level of water or a lower concentration during the disinfection process.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it safely.

그리고 소독 과정에서 연어 생물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별도로 수집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2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어 소독 효과를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separately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salmon organisms during the disinfection process, secondary infection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thereby maximizing the disinfection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어 생물의 자동 소독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독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독함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송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변위억제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동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소독수 공급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어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apparatus for salmon organis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infection modul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infection box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ransfer modul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placement control modul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riving modul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infectant water supply modul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trol modul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will be clearly reveal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어 생물의 자동 소독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sterilization apparatus for salmon organis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어 생물의 자동 소독장치(1)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 수직하게 배치된 다수 개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를 연결하는 수평대를 포함한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배치되며 소독액이 저장된 소독함(21)이 구비된 소독모듈(20)과, 상기 소독모듈(20)로 연어 생물을 일정 속도로 이송시키는 엔드리스 타입의 이송벨트(31)를 포함한 이송모듈(30)과, 상기 이송모듈(30)을 통해 이송되는 연어 생물이 상기 소독모듈(20)에 저장된 소독액에 의해 부상(浮上)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엔드리스 타입의 변위억제벨트(41)를 포함한 변위억제모듈(40)과, 상기 이송모듈(30)과 상기 변위억제모듈(4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듈(50)과, 상기 소독모듈(20)로 소독액을 공급하는 소독수 공급모듈(60)과, 상기 구동모듈(50)과 소독수 공급모듈(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70)을 포함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안정적인 연어 생물의 이송과 이송된 연어 생물의 소독 효율을 높여 안전성을 높이면서도 맛과 상품성이 저하되지 않는 연어 생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automatic sterilization apparatus 1 for salmon organis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osts vertically disposed at mutually spaced positions and a base frame 10 including a horizontal bar connecting the posts. And, a disinfection module 20 disposed on the base frame 10 and provided with a disinfection box 21 in which a disinfectant is stored, and an endless type transfer belt for transferring salmon creatures to the disinfection module 20 at a constant speed ( A transfer module 30 including 31), and an endless type displacement control belt for inhibiting the salmon organism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module 30 from being injured by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disinfection module 20 Disinfection water supply for supplying a disinfectant to the disinfection module 20, a displacement control module 40 including 41, a drive module 50 for driving the transfer module 30 and the displacement control module 40 Including a module 60 and a control module 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dule 50 and the disinfectant water supply module 60,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a stable transfer of salmon organisms and the transferred salmon organisms.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salmon organisms that do not deteriorate taste and marketability while increasing safety by increasing the disinfection efficiency of the product.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다수 개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를 연결하는 수평대를 포함한 것으로,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0)은 하중을 지지하고 외부 충격 및 후술하는 이송모듈, 변위억제모듈, 구동모듈의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Looking at this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the base frame 10 includes a plurality of posts arranged at mutually spaced positions as shown in FIG. 1 and a horizontal bar connecting the posts, such a base frame ( 1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o support the load and to withstand external shocks and vibration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transport module, displacement control module, and drive module described la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소독모듈(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배치되며 연어 생물을 소독하기 위한 소독액이 저장된 소독함(21)이 구비되고, 상기 소독함(21)에 의해 소독 중인 연어 생물이 부력(浮力)에 의해 상측으로 뜨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부상억제봉(22)이 구비된다.The disinfection module 20 is disposed on the base frame 10 and is provided with a disinfection box 21 in which a disinfectant for disinfecting salmon organisms is stored, and the salmon organisms being sterilized by the disinfection box 21 are buoyant. ) Is provided with an anti-floating rod 22 for suppressing floating upwards.

상기 소독함(2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일측에는 소독 전 연어 생물이 진입하는 진입구역(211)과, 길이 방향 타측에는 소독 후 연어 생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역(212)과, 상기 진입구역(211)과 배출구역(212)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양 구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이송된 연어 생물이 침지(浸漬)된 상태에서 소독되는 소독구역(213)이 형성되고, 상기 소독구역(213)에는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214)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terilization box 21 is formed in the form of a case with an empty inside, and an entry area 211 for salmon creatures to enter before disinfection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infection at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formed between the discharge zone 212 from which the salmon creatures are discharged, and the entry zone 211 and the discharge zone 212, but extends relatively downward compared to the two zones so that the transferred salmon creatures are immersed. A disinfection zone 213 that is sterilized in the state is formed, and a discharge means 214 for discharging the stored disinfectant solution to the outside is provided in the disinfection zone 213.

상기 소독함(21)에 저장되는 소독액은 연어 생물의 표면 및 내부를 살균할 수 있도록 차아염소산나트륨을 100~200ppm의 농도를 가지도록 희석한 상태에서 pH8~10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소독 이후 대장균 불검출, 리스테리아모노사이토제네스, 장출혈성대장균, 장염비브리오, 살모넬라 및 황색포도상구균은 음성으로 나타나며 바실러스레레우스는 g당 100이하로 나타나면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소독액이 사용될 수 있다.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disinfection box 21 preferably has a pH of 8 to 10 in a state in which sodium hypochlorite is diluted to have a concentration of 100 to 200 ppm so as to sterilize the surface and the interior of salmon organis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after disinfection, Escherichia coli is not detected, Listeria monocytogenes,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nterocolitis vibrio, salmonella and Staphylococcus aureus appear negative, and when Bacillus reus is less than 100 per gram, disinfectant solutions made of other materials can be used.

상기 소독함(2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소독액이 저장되는 것으로, 이송되는 연어 생물이 소독액에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소독이 이루어지되 소독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소독구역(213)을 진입구역(211)과 배출구역(212)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disinfectant container 21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an open upper part, and has an empty interior to store the disinfectant solution, and the disinfection is performed while the transferred salmon organisms are completely immersed in the disinfectant solution, but increases disinfection time. In order to do so, the disinfection zone 213 is formed to extend relatively downward from the entry zone 211 and the discharge zone 212.

즉, 소독함(21)이 직선 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우 동일한 소독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소독함(21)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고, 이는 이송모듈(30)의 이송벨트(31)와 변위억제모듈(40)의 변위억제벨트(41)의 길이 또한 길어짐은 물론이며,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50)의 용량도 커져야 하고 상기 각 벨트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력유지롤러가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설치 장소의 제한은 물론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when the disinfectant box 21 is extended in a straight line, the total length of the disinfecting box 21 is lengthened in order to expect the same disinfection effect, which is the transfer belt 31 of the transfer module 30 and the displacement control module. Not only the length of the displacement suppression belt 41 of 40 is also longer, the capacity of the drive module 50 for driving them must also be increased, and the length of each belt is increased, so that an additional tension holding roller for maintaining the tension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provid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site is limited and maintenance cost increases.

특히, 종래 소독함의 경우 저장된 소독액이 연어 생물을 소독하는 과정에서 희석되어 농도가 낮아짐은 물론 수위도 낮아지는데, 길이가 길게 형성된 소독함의 경우 내부에 저장된 소독액을 교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공정 효율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되는 소독액의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disinfection boxes, the stored disinfectant is diluted in the process of disinfecting salmon organisms, resulting in a lower concentration as well as lowering the water level.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is very low,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the used disinfectant is also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의 소독함(21)은 상기 소독구역(213)을 진입구역(211)과 배출구역(212) 사이에 형성하되 하방으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이송되는 연어 생물이 소독구역(213)에서 소독액에 침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동일거리에서 최대화하여 소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소독함(21)의 전체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disinfection box 2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infection area 213 is formed between the entry area 211 and the discharge area 212, but by extending downwardly, the transferred salmon organisms are transferred to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disinfection area 213.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disinfection effect by maximizing the time to maintain the immersed state at the same distance, and by minimiz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disinfection bin 21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상기 배출수단(214)은 상기 소독함(21)에 저장된 소독액을 소독함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소독함에 저장된 소독액이 연어 생물을 소독하는 과정에서 농도가 희석되거나 일정 시간 사용한 경우 새로운 소독액을 교체하기 위하여 기존 소독액을 소독함에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The discharging means 214 is for discharging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disinfectant container 21 from the disinfection box, and when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disinfectant container is diluted in concentration or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process of disinfecting salmon organisms, replacing a new disinfectant solution This is to discharge the existing disinfectant solution from the disinfection box.

상기 배출수단(214)은 상기 소독구역(213)에 형성된 배출공(215)과, 상기 배출공(215)에 결합된 배출라인(216)과, 상기 배출라인(216)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펌프(217)와, 상기 배출라인(216)을 통해 배출되는 소독액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배출밸브(218)를 포함한다.The discharge means 214 includes a discharge hole 215 formed in the disinfection area 213, a discharge line 216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215, and power applied by being disposed in the discharge line 216 And a pump 217 operated by a signal and a discharge valve 218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disinfectant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line 216.

상기 배출공(215)은 소독함(21)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독함(21)의 소독구역(213)에서 최하단의 위치에서 천공 형성된다.The discharge hole 215 is formed to communicate the disinfection box 21 and the outside, and is preferably a perforation formed at the lowest position in the disinfection zone 213 of the disinfection box 21.

상기 배출라인(216)은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배출공(215)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배출공(215)에 결합되는 부위는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실링, 오링과 같은 수밀수단이 구비된다.The discharge line 216 is formed of an empty tube and has one end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215, and a portion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215 is provided with watertight means such as sealing and O-ring to maintain watertightness. do.

상기 펌프(217)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흡입력을 형성하여 상기 소독함에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이러한 펌프(217)의 구조 및 동작관계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도록 한다.The pump 217 is operated by an applied power source and a signal to form a suction force to discharge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disinfection box to the outside. Sinc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pump 217 is known,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are provided. It should be omitted.

상기 배출밸브(218)는 상기 배출라인(216)에 결합되어 배출라인(216)에 의해 배출되는 소독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배출밸브(218)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전동식 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동작시키는 수동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출밸브(218)의 종류 및 종류에 따른 구조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discharge valve 218 is coupled to the discharge line 216 to control the flow of the disinfectant discharged by the discharge line 216, and the discharge valve 218 is an electric motor operated by an applied power source and a signal. Alternatively, it may be made of any one of a manual type operated by a worker manually, and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type and type of the discharge valve 218 is known, so detailed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부상억제봉(22)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져 양단이 소독함(21)의 폭 방향에 각각 결합되어 소독함(21)으로 이송된 연어 생물이 소독액의 부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The injury suppression rod 22 is formed in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rilization box 21 so that the salmon organisms transferred to the sterilization box 21 move upward by the buoyancy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t is to suppress that.

이러한 부상억제봉(22)은 소독함(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변위억제모듈(40)의 변위억제벨트(41)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A plurality of such injury suppression rods 22 are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infectant box 21 to prevent the displacement suppression belt 41 of the displacement suppression module 40 described later from moving upward. .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부상억제봉(22)은 연어 생물을 소독함에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연어 생물의 상방에 배치되는 변위억제벨트(41)가 연어 생물이 부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할려는 압력 때문에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상기 부상억제봉(22)이 변위억제벨트(41)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almon organisms from the disinfection box, the displacement inhibiting belt 41 disposed above the salmon organisms moves upward due to the pressure to move the salmon organisms upward by buoyancy. In this case, the floatation restraint rod 22 restricts the displacement restraining belt 41 from moving upward.

상기 이송모듈(30)은 상기 소독모듈(20)로 연어 생물을 일정 속도로 이송시키는 엔드리스 타입의 이송벨트(31)를 포함한 것으로, 상기 이송벨트(31)는 소독액이 통과할 수 있는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측에 지지축(32)이 배치되어 이송벨트(31)의 일측이 결합된다.The transfer module 30 includes an endless type transfer belt 31 for transferring salmon creatures to the disinfection module 20 at a constant speed, and the transfer belt 31 is a mesh network through which the disinfectant can pass. It is made of and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upport shaft 32 is dispo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one side of the transfer belt 31 is coupled.

이러한 이송벨트(31)는 금속재의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져 연어 생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합성수지재를 통해 이송벨트(31)를 형성하는 경우 소독액에 의한 녹는 등의 문제가 있어 2차 감염의 우려가 있다.This transfer belt 31 is preferably made of a mesh network of metal to support the load of salmon organisms. When the transfer belt 31 is formed through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re is a problem such as melting by a disinfectant solution, so secondary infection There is a concern.

한편 상기 이송벨트(3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소독함(21)에 구비된 이송용레일(1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져 소독액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transfer belt 31 is disposed to be movable on the transfer rail 11 provided in the base frame 10 and the disinfection box 21, and consists of a mesh network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상기 변위억제모듈(40)은 상기 이송모듈(30)의 상측에 배치되며 엔드리스 타입의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진 변위억제벨트(41)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변위억제벨트(4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구비된 안내레일(12)에 폭 방향 양단이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The displacement suppression module 4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er module 30 and includes a displacement suppression belt 41 formed in an endless type mesh network, and the displacement suppression belt 41 includes the base frame (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re arranged to be movable on the guide rail 12 provided in 10).

상기 변위억제벨트(41)는 금속재의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일측에 지지축(도면 중 미도시됨)에 결합되며 후술하는 구동모듈(50)을 통해 일정 속도로 구동한다.The displacement suppression belt 41 is formed in the form of a mesh mesh made of metal, is coupled to a support shaft (not shown in the drawing)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driven at a constant speed through a driving module 50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변위억제벨트(41)는 상기 이송모듈(30)의 이송벨트(31)와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송벨트(31)의 상면에 올려진 채 이동하는 연어 생물을 상방에서 눌러주어 이동시 위치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Here,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41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transfer belt 31 of the transfer module 30, and when moving by pressing the salmon creature moving while being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belt 31 It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positional displacement.

이때 상기 변위억제벨트(41)는 이송벨트(31)의 상면에 올려진 연어 생물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송 및 소독 중 연어 생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벨트(3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41 prevents direct contact with the salmon creature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belt 31 and moves upward from the transfer belt 31 to prevent damage to the salmon creatures during transport and disinfection. It is arranged to be movable in a spaced position.

한편 상기 변위억제벨트(41)에는 상기 소독함(21)을 통해 소독 중 연어 생물로부터 이탈하는 각종 이물질이 메쉬망에 부착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이 변위억제벨트(41)의 이동에 의해 소독함으로 다시 인입되는 경우 이로 인한 2차 감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변위억제벨트(41)를 세척하기 위해서 소독장치의 전체 라인을 정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공정 효율의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to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41, various foreign substances that are separated from the salmon organisms during disinfection through the disinfection box 21 are attached to the mesh net, and these foreign substances are brought back into the mesh network by disinf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41.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secondary infection occurs due to this, and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entire line of the disinfecting device must be stopped in order to clean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41, thereby reducing process efficiency.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변위억제모듈(40)에는 상기 변위억제벨트(4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수단(42)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세정수단(42)은 상기 변위억제벨트(41)와 맞닿도록 배치되는 브러쉬롤러(421)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브러쉬롤러(4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브라켓(422)과, 상기 브러쉬롤러(421)의 하방에 배치되어 브러쉬롤러(421)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함(423)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cement control module 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leaning means 42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41, and the cleaning means 42 includes the displacement control A brush roller 421 disposed to abut the belt 41, a pair of brackets 422 dispos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on the base frame 10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brush roller 421, and the It includes a collection box 423 disposed below the brush roller 421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removed by the brush roller 421.

상기 브러쉬롤러(421)는 외주면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분리용 브러쉬가 배치되며 길이 방향 양단이 상기 브라켓(4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변위억제벨트(41)가 이동할 때 브러쉬가 맞닿으면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e brush roller 421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brush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bracket 422 so that when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41 moves, the brush contacts It is configured to rotate.

상기 한 쌍의 브라켓(422)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상호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되어 상기 브러쉬롤러(421)의 길이 방향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때 상기 한 쌍의 브라켓(422)에는 상기 브러쉬롤러(421)가 변위억제벨트(41)으로부터 전달된 이동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도면 중 미도시됨)이 구비될 수 있다.The pair of brackets 422 are arrang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on the base frame 10 so that both ends of the brush roller 4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otatably coupled. At this time, the pair of brackets 422 has the A bearing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provided so that the brush roller 421 can rotate by the mo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displacement suppression belt 41.

상기 수거함(423)은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브러쉬롤러(421)에 의해 변위억제벨트(41)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수거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브라켓(422)에 양측면이 결합되되 엔드리스 타입의 상기 변위억제벨트(41)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배치된다.The collection box 423 is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displacement suppression belt 41 by the brush roller 421, and both sides are coupled to the pair of brackets 422. It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ndless type displacement suppression belt 41.

그리고 상기 수거함(423)은 수거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서랍의 형태로 이루어져 서랍의 외부하우징은 상기 브라켓(422)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하우징에 출납 가능하게 배치된 내부몸체로 이루어져 수거된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And the collection box 423 is in the form of a drawer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collected foreign matter to the outside, and the outer housing of the drawer is coupled to the bracket 422 and consists of an inner body disposed to be in and out of the outer housing.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collected foreign matter.

상기 구동모듈(50)은 상기 이송벨트(31)와 상기 변위억제벨트(41)를 일정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모터(51)와, 상기 구동모터(51)의 모터축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벨트(31)를 이동시키는 구동축(54)이 결합된 구동기어(52)와, 상기 구동기어(52)와 맞물리며 상기 변위억제벨트(41)를 이동시키는 피동기어(53)와, 상기 구동축(54)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벨트(31)를 이동시키는 이송기어(55)와, 상기 구동기어(52)와 상기 피동기어(53)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56) 및 상기 구동기어(52)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며 감지한 감지값을 상기 제어모듈(70)로 전송하는 이동속도감지센서(57)를 포함한다.The drive module 50 is for moving the transfer belt 31 and the displacement suppression belt 41 at a constant speed, and as shown in FIG. 6, a drive motor 51 operated by an applied power and a signal. ), a drive gear 52 coupled to a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51 and a drive shaft 54 for moving the transfer belt 31, and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engaged with the drive gear 52 A driven gear 53 for moving 41, a transfer gear 55 coupled to the drive shaft 54 and moving the transfer belt 31, the drive gear 52 and the driven gear 53 It includes a protective cover 56 for protecting the motor and a movement speed detection sensor 57 that sen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gear 52 and transmits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module 70.

상기 구동모터(51)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51)는 후술하는 제어모듈(7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The driving motor 51 is operated by the applied power and signals, and the driving motor 51 is controlled by a control module 7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구동기어(52)는 상기 구동모터(51)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고, 상기 이송벨트(31)를 이동시키는 구동축(54)이 결합된다.The drive gear 52 is coupled to the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51 to rot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e motor, and a drive shaft 54 for moving the transfer belt 31 is coupled.

상기 피동기어(53)는 상기 구동기어(52)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고 상기 변위억제벨트(41)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피동기어(53)와 변위억제벨트(41)는 축봉,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체를 통해 결합된다.The driven gear 53 is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52 to receive power and rotates and moves the displacement inhibiting belt 41, wherein the driven gear 53 and the displacement inhibiting belt 41 are shaft rods, It is coupled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system such as a chain.

상기 구동기어(52)와 피동기어(53)는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52)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피동기어(53)가 회전하기 때문에 양 기어는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The driving gear 52 and the driven gear 53 are arranged to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since the driven gear 53 rotates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gear 52 as shown in the drawing. .

상기 이송기어(55)는 상기 구동축(54)에 결합되어 구동축의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이송벨트(31)를 이송시키는 이동력을 전달한다.The transfer gear 55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54 to transmit a moving force for transferring the transfer belt 31 while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drive shaft.

이러한 이송기어(55)는 중앙이 상기 구동축이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고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형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메쉬망 형태의 이송벨트(31)에서 구멍에 끼워져 이를 밀어냄으로써 이송벨트를 이동시키는 것이다.This transfer gear 55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so that the drive shaft can be coupled, and protruding protrusions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the holes in the mesh mesh-shaped transfer belt 31 and pushed through It is to move the belt.

상기 보호커버(56)는 상기 구동기어(52)와 상기 피동기어(53)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보호커버(56)는 구동기어(52)와 피동기어(53)가 맞물려 동작하는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양 기어가 동작할 때 작업자의 신체 또는 의류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한다.The protective cover 56 is to protect the driving gear 52 and the driven gear 53 from the outside, and this protective cover 56 is operated by engaging the driving gear 52 and the driven gear 53 In the process, it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from outside and prevents a worker's body or clothing from getting caught when both gears operate,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상기 이동속도감지센서(57)는 상기 구동기어(52)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감지한 감지값을 제어모듈(70)로 전송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구동기어(52)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여 이송벨트(31)의 이동 속도를 조절한다.The movement speed detection sensor 57 sen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gear 52 and transmits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module 70, which controls the movement speed of the driving gear 52 and transfers it. Adjusts the moving speed of the belt 31.

이러한 이동속도감지센서(57)는 상기 구동기어(52)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모듈(7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구동기어(52)가 동작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The movement speed detection sensor 57 may detec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gear 52 and check whether the driving gear 52 is operating b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70.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구동모듈(50)은 후술하는 제어모듈(7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면서 이송벨트(31)와 변위억제벨트(41)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면서 소독함을 통해 소독되는 연어 생물의 속도를 제어하여 소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50 made as described above controls the movement speed of the transfer belt 31 and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41 while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70 to be described later. The disinfection effect can be maximized by controlling the speed.

상기 소독수 공급모듈(60)은 상기 소독함(21)에 소독액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독함(21)에 저장된 소독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61)와, 상기 소독함(21)에 저장된 소독액의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감지센서(62)와, 상기 소독함(21)으로 공급되는 소독액이 저장된 소독액 저장탱크(63)와,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63)와 상기 소독함(21)을 연결하는 이송관(64)과, 상기 이송관(64)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이송된 소독액을 배출하는 배출노즐(65)과, 상기 이송관(64)에 배치되어 소독액의 이송을 제어하는 밸브(66)를 포함한다.The disinfectant water supply module 60 is for supplying a disinfectant solution to the disinfectant container 21, and as shown in FIG. 7,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61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disinfection container 21 and , A concentration sensing sensor 62 for sen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disinfectant container 21, a disinfectant storage tank 63 in which the disinfectant solution supplied to the disinfection container 21 is stored, and the disinfectant storage tank 63 And a transfer pipe 64 connecting the disinfectant box 21, a discharge nozzle 65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pipe 64 to discharge the transferred disinfectant, and the transfer pipe 64 And a valve 66 that controls the transfer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상기 수위감지센서(61)는 상기 소독함(21)에 저장된 소독액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독함을 통해 소독되는 과정 중 소독액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지한 감지값을 제어모듈(70)로 전송한다.The water level sensor 61 is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disinfectant container 21, and detects the level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real time during the disinfection process through the disinfection container, and detects the detected value by the control module 70 ).

상기 농도감지센서(62)는 상기 소독함(21)에 저장된 소독액의 농도를 감지한 후 감지값을 제어모듈(70)로 전송하는 것으로, 이는 소독 과정에서 소독액의 농도는 지속적으로 낮아질 수 밖에 없는데 일정 농도 이하로 농도가 낮아져 소독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를 감지하여 소독액을 교체하기 위한 것이다.The concentration sensor 62 senses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disinfection box 21 and transmits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module 70, which inevitably lowers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continuously during the disinfection process. This is to replace the disinfectant by detecting a case where the disinfection effect cannot be expected because the concentration is lowered below a certain concentration.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63)는 상기 소독함(21)으로 공급하기 위한 소독액이 저장된 것이며, 상기 이송관(64)은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63)와 소독함(21)을 연결하여 소독액을 소독액 저장탱크(63)로부터 소독함(21)으로 이송한다.The disinfectant storage tank 63 stores a disinfectant solution for supply to the disinfectant container 21, and the transfer pipe 64 connects the disinfectant storage tank 63 and the disinfection container 21 to store the disinfectant solution. It is transferred from the tank 63 to the disinfection bin 21.

그리고 상기 배출노즐(65)은 상기 이송관(64)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이송관(64)을 통해 이송된 소독액을 소독함(21)으로 배출한다.And the discharge nozzle 65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pipe 64 and discharges the disinfectant liquid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pipe 64 to the disinfectant box 21.

여기서 상기 배출노즐(65)은 상기 이송관(64)을 통해 소독함으로 배출되는 소독액이 희석되었어도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소독함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접촉하는 경우 화상, 염증 등 다양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배출되는 경로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배출노즐(65)이 구비된 것이다.Here, the discharge nozzle 65 contains a component for sterilizing bacteria even if the disinfectant discharged through the transfer pipe 64 is diluted, so whe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infection box and the worker contacts, burns, inflammation, etc. Since various accidents can occur, the discharge nozzle 65 is provided to control the discharge path.

상기 밸브(66)는 상기 이송관(64)에 배치되어 이송관(64)을 통해 이송되는 소독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밸브(66)의 구조 및 동작관계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valve 66 is disposed in the transfer pipe 64 to control the flow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pipe 64, and the structure and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valve 66 are known, so detailed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Should be omitted.

상기 제어모듈(70)은 상기 구동모듈(50)과 상기 소독수 공급모듈(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속도감지센서(57)와 상기 수위감지센서(61)와 상기 농도감지센서(62)로부터 각각의 감지값을 전달 받고, 전달 받은 감지값을 이용하여 소독함(21)에 저장된 소독액의 수위와 농도를 확인하고 이송벨트(31)와 변위억제벨트(41)의 이동 속도를 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70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dule 50 and the disinfectant water supply module 60, and the movement speed detection sensor 57, the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61, and the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Each detection value is received from 62, and the level and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disinfection box 21 are checked using the received detection value, and the moving speed of the transfer belt 31 and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41 is adjusted. Control.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어모듈(70)은 상기 수위감지센서(61)와 상기 농도감지센서(62)를 통해 소독함에 저장된 소독액의 수위와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수위와 농도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50)의 구동모터(5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제어된 구동모터(51)의 회전 속도는 상기 이동속도감지센서(57)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높은 소독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control module 70 detects in real time the level and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disinfection box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61 and the concentration sensor 62,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51 of the driving module 50 and check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ontrolled driving motor 51 through the movement speed detection sensor 57, high disinfection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즉, 상기 수위감지센서(61)와 농도감지센서(62)를 통해 소독함의 소독액의 수위가 낮고 농도가 낮은 경우 상기 구동모터(51)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조절함으로써 낮은 수위 및 낮은 농도에서도 소독 효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level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disinfection box is low and the concentration is low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61 and the concentration sensor 62,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motor 51 is slowly adjusted, thereby disinfecting efficiency even at a low water level and a low concentration.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한편, 상기 제어모듈(70)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제어판넬(72)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소독 효율을 유지하고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odule 70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panel 72 of a touch screen method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from the outside, and control the operation as necessary to maintain disinfection efficiency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To prevent i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is is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If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all thing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 연어 생물의 자동 소독장치
10 : 베이스프레임
20 : 소독모듈
21 : 소독함 22 : 부상억제봉
211 : 진입구역 212 : 배출구역
213 : 소독구역
30 : 이송모듈
31 : 이송벨트 32 : 지지축
40 : 변위억제모듈
41 : 변위억제벨트 42 : 세정수단
50 : 구동모듈
51 : 구동모터 52 : 구동기어
53 : 피동기어 54 : 구동축
55 : 이송기어 56 : 보호커버
57 : 이동속도감지센서
60 : 소독수 공급모듈
61 : 수위감지센서 62 : 농도감지센서
63 : 소독수 저장탱크 64 : 이송관
65 : 배출노즐 66 : 밸브
70 : 제어모듈
72 : 제어판넬
1: Automatic sterilization device for salmon organisms
10: base frame
20: disinfection module
21: disinfection box 22: injury suppression rod
211: entry area 212: discharge area
213: disinfection area
30: transfer module
31: transfer belt 32: support shaft
40: displacement suppression module
41: displacement suppression belt 42: cleaning means
50: drive module
51: drive motor 52: drive gear
53: driven gear 54: drive shaft
55: transfer gear 56: protective cover
57: movement speed sensor
60: disinfectant water supply module
61: water level sensor 62: concentration sensor
63: disinfectant water storage tank 64: transfer pipe
65: discharge nozzle 66: valve
70: control module
72: control panel

Claims (7)

상호 이격된 위치에 수직하게 배치된 다수 개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를 연결하는 수평대를 포함한 베이스프레임(1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배치되며 소독액이 저장된 소독함(21)이 구비된 소독모듈(20);
상기 소독모듈(20)로 연어 생물을 일정 속도로 이송시키는 엔드리스 타입의 이송벨트(31)를 포함한 이송모듈(30);
상기 이송모듈(30)을 통해 이송되는 연어 생물이 상기 소독모듈(20)에 저장된 소독액에 의해 부상(浮上)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엔드리스 타입의 변위억제벨트(41)를 포함한 변위억제모듈(40);
상기 이송모듈(30)과 상기 변위억제모듈(4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듈(50);
상기 소독모듈(20)로 소독액을 공급하는 소독수 공급모듈(60);
상기 구동모듈(50)과 소독수 공급모듈(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70);을 포함하되,
상기 변위억제모듈(40)에는,
상기 변위억제벨트(41)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세정수단(4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세정수단(42)은,
상기 변위억제벨트(41)와 맞닿도록 배치되는 브러쉬롤러(421)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브러쉬롤러(4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브라켓(422)과,
상기 브러쉬롤러(421)의 하방에 배치되어 브러쉬롤러(421)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함(423)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어 생물의 자동 소독장치.
A base frame 10 including a plurality of posts vertically disposed at mutually spaced positions and a horizontal bar connecting the posts;
A disinfection module 20 disposed on the base frame 10 and provided with a disinfection box 21 in which a disinfectant solution is stored;
A transfer module 30 including an endless type transfer belt 31 for transferring salmon organisms to the sterilization module 20 at a constant speed;
Displacement control module 40, including an endless type of displacement control belt 41 for inhibiting the salmon organism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module 30 from being injured by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disinfection module 20 ;
A driving module 50 for driving the transfer module 30 and the displacement suppression module 40;
A disinfectant water supply module 60 for supplying a disinfectant solution to the disinfection module 20;
Including; a control module 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dule 50 and the disinfectant water supply module 60,
In the displacement suppression module 40,
A cleaning means 42 for filtering out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41 is further provided,
The cleaning means 42,
A brush roller 421 dispos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displacement suppression belt 41,
A pair of brackets 422 dispos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on the base frame 10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brush roller 421,
And a collection box 423 disposed below the brush roller 421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removed by the brush roller 4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독함(21)은,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일측에는 소독 전 연어 생물이 진입하는 진입구역(211)과,
길이 방향 타측에는 소독 후 연어 생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역(212)과,
상기 진입구역(211)과 배출구역(212)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양 구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이송된 연어 생물이 침지(浸漬)된 상태에서 소독되는 소독구역(213)이 형성되고,
상기 소독구역(213)에는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21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어 생물의 자동 소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infection box (21),
It is made in the form of an empty enclosure,
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ntry zone 211 for salmon organisms to enter before disinfection,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ischarge area 212 from which salmon organisms are discharged after disinfection,
A disinfection zone 213 is formed between the entry zone 211 and the discharge zone 212, which extends downward compared to the two zones and is sterilized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red salmon organisms are immersed,
An automatic disinfection apparatus for salmon organism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infection zone 213 includes a discharge means 214 for discharging the stored disinfectant to the out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50)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모터(51)와,
상기 구동모터(51)의 모터축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벨트(31)를 이동시키는 구동축(54)이 결합된 구동기어(52)와,
상기 구동기어(52)와 맞물리며 상기 변위억제벨트(41)를 이동시키는 피동기어(53)와,
상기 구동축(54)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벨트(31)를 이동시키는 이송기어(55)와,
상기 구동기어(52)와 상기 피동기어(53)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56) 및
상기 구동기어(52)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며 감지한 감지값을 상기 제어모듈(70)로 전송하는 이동속도감지센서(57)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어 생물의 자동 소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ing module 50,
A driving motor 51 operated by the applied power and signal,
A drive gear 52 coupled to a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51 and to which a drive shaft 54 for moving the transfer belt 31 is coupled,
A driven gear 53 that meshes with the drive gear 52 and moves the displacement suppression belt 41,
A transfer gear 55 coupled to the drive shaft 54 and moving the transfer belt 31,
A protective cover 56 for protecting the driving gear 52 and the driven gear 53, and
Automatic sterilization apparatus for salmon organism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vement speed sensor (57) for sen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gear (52)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module (70).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31)와 상기 변위억제벨트(41)는 각각 격자형의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져 연어 생물이 상기 소독함(2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소독액의 메쉬망을 통과하면서 연어 생물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어 생물의 자동 소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ransfer belt 31 and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41 are each formed in a grid-shaped mesh network, so that the salmon organisms can contact the salmon organisms while passing through the mesh network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disinfection box 21. Automatic sterilization device for salmon organisms, characterized in that so that.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는,
상기 이송벨트(31)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이송용레일(11)과,
상기 변위억제벨트(41)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1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어 생물의 자동 소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ase frame (10),
A transfer rail 11 for gui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transfer belt 31,
An automatic sterilization apparatus for salmon organisms,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rail (12) for gui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displacement control belt (41) is provided.
삭제delete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수 공급모듈(60)은,
상기 소독함(21)에 저장된 소독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61)와,
상기 소독함(21)에 저장된 소독액의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감지센서(62)와,
상기 소독함(21)으로 공급되는 소독액이 저장된 소독액 저장탱크(63)와,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63)와 상기 소독함(21)을 연결하는 이송관(64)과,
상기 이송관(64)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이송된 소독액을 배출하는 배출노즐(65)과,
상기 이송관(64)에 배치되어 소독액의 이송을 제어하는 밸브(6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어 생물의 자동 소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disinfectant water supply module (60),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61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disinfection box 21,
A concentration sensor 62 for sen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disinfection box 21,
A disinfectant storage tank 63 in which a disinfectant solution supplied to the disinfection box 21 is stored,
A transfer pipe 64 connecting the disinfectant storage tank 63 and the disinfection box 21,
A discharge nozzle 65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pipe 64 to discharge the transferred disinfectant solution,
Automatic sterilization apparatus for salmon organism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lve (66) disposed in the transfer pipe (64) to control the transfer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KR1020200103882A 2020-08-19 2020-08-19 Automatic disinfection device for salmon KR1021926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882A KR102192612B1 (en) 2020-08-19 2020-08-19 Automatic disinfection device for salm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882A KR102192612B1 (en) 2020-08-19 2020-08-19 Automatic disinfection device for salm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612B1 true KR102192612B1 (en) 2020-12-17

Family

ID=7408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882A KR102192612B1 (en) 2020-08-19 2020-08-19 Automatic disinfection device for salm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61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4635A (en) * 2022-07-20 2022-10-11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Liquid flowing and washing type gynecological nursing tool disinfection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356A (en) * 1995-04-28 1996-11-12 Daishin Kiko Kk Apparatus for washing fish body
JP2002360158A (en) * 2001-06-04 2002-12-17 Nippon Fillester Co Ltd Fish sterilizing method and fish sterilizing apparatus
KR20140105890A (en) * 2013-02-25 2014-09-03 신영식 washing system for vegetables
KR200482344Y1 (en) * 2015-03-19 2017-01-13 장회식 Chives and spring onion cleaning device
KR101980493B1 (en) 2018-12-03 2019-05-20 남춘희 Immersion Steriliz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356A (en) * 1995-04-28 1996-11-12 Daishin Kiko Kk Apparatus for washing fish body
JP2002360158A (en) * 2001-06-04 2002-12-17 Nippon Fillester Co Ltd Fish sterilizing method and fish sterilizing apparatus
KR20140105890A (en) * 2013-02-25 2014-09-03 신영식 washing system for vegetables
KR200482344Y1 (en) * 2015-03-19 2017-01-13 장회식 Chives and spring onion cleaning device
KR101980493B1 (en) 2018-12-03 2019-05-20 남춘희 Immersion Steriliz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4635A (en) * 2022-07-20 2022-10-11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Liquid flowing and washing type gynecological nursing tool disinfection device
CN115154635B (en) * 2022-07-20 2023-11-10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Liquid flowing flushing type gynecological nursing appliance steriliz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2612B1 (en) Automatic disinfection device for salmon
US7387736B2 (en) Pathogen reduction using chloramines
US6050391A (en) Self-cleaning conveyor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produce
KR101133521B1 (en) Cleaning device for a wsted drum
JP2001169934A (en) Washing machine
KR100654570B1 (en) Green Vegetables Cleaning apparatus
KR101831248B1 (en) Strawberry skimmer washing machine
KR20220067413A (en) The straight type fruit washing machine using the sterilized water
KR100502027B1 (en) Automatic washing for box
JP2005065626A (en) Sterilization apparatus
KR101534264B1 (en) Rise and full system horticultual precooler system
CN213127842U (en) Chicken claw production is with degassing unit that disinfects
KR101143669B1 (en) A precooling system for farm products
KR102077045B1 (en) Sterilizng package and sterilizer thereof
CN212940743U (en) Disinfection treatment device is bred to pigeon
KR102172775B1 (en) Three washing tubs connected Bubble Automatic Washer
KR101980493B1 (en) Immersion Sterilizer
CN207383404U (en) A kind of fillet ozonization slot
ES2728200T3 (en) Belt carriage
KR101271452B1 (en) Device for sensing position of underwater cart sweeping sludge
KR101394505B1 (en) Unheated purified sterilized injection equipment
KR101786845B1 (en) Automatic Cup Washer
WO2016186993A1 (en) Shell egg pasteurizer with automated clean-in-place system
US20160332896A1 (e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process water sanitation
JP2002360158A (en) Fish sterilizing method and fish steriliz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