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398B1 -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398B1
KR102192398B1 KR1020180165295A KR20180165295A KR102192398B1 KR 102192398 B1 KR102192398 B1 KR 102192398B1 KR 1020180165295 A KR1020180165295 A KR 1020180165295A KR 20180165295 A KR20180165295 A KR 20180165295A KR 102192398 B1 KR102192398 B1 KR 102192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
capacitance
change
measuring
e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6316A (ko
Inventor
서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to KR1020180165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3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G21C17/108Measuring reactor flux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capaci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내핵계측기에서 검출기를 국부적으로 가열한 후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검출기 배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치 검사 방법은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에 정정용량 측정수단을 연결하는 단계와, 측정위치에서 검출기를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단계와, 소정 주파수 대역에서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정전용량의 변화가 클 경우에 해당 측정위치에 해당 검출기의 이미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와, 정전용량의 변화가 작을 경우 가열위치를 이동하여 다음 측정위치에 대해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검사 방법은, 측정위치 부분을 가열할 때 정전용량의 변화가 작으면 해당 측정위치가 신호선 부분이고, 정전용량의 변화가 클 경우에는 해당 측정위치가 이미터 부분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POSITION OF EMITTER IN NEUTRON DETECTOR}
본 발명은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출기를 국부적으로 가열한 후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검출기 배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는 원자로 내의 핵연료의 분열 반응 즉, 연소 작용을 통하여 발생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그 주위로 순환되는 1차 냉각수를 높은 온도로 가열시킨다. 이 가열된 1차 냉각수는 다시 증기발생기에서 열 교환을 통해 2차 냉각수를 가열시켜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 발생된 고온 고압의 증기가 터빈을 움직여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원자로 내의 연쇄적인 핵분열을 일으키는 매개체가 바로 중성자인데, 중성자 선속을 측정함으로써 원자로 내의 출력을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다. 원자로 노심의 중성자 선속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검출기는 자기출력형 중성자 검출기(self-powered neutron detector)이다. 이러한 중성자 검출기는 일반적으로 독립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하우징 내에 다수가 집합되어 하나의 어셈블리인 집합체로 구성되어 사용된다. 이렇게 다수의 중성자 검출기로 구성되어 최종적으로 원자로 내부에 삽입 및 장착되는 장치가 노내핵계측기이다.
한편, 노내핵계측기 내부의 각 검출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 노심의 특정 위치(즉, P1~P5)의 중성자 또는 감마선을 검출하도록 내부에 이와 반응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터(Emitter; 21)를 가지고 있다. 통상 각 검출기의 외형은 동일하지만 내부 이미터(21)의 위치에 따라 분류(P1~P5)되고, 해당 분류에 따라 노내핵계측기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각 검출기는 최종적으로 노내핵계측기의 말단에 위치한 커넥터에 연결되는데, 이때 각 검출기가 정해진 커넥터 핀에 연결되어야 한다. 즉, 각 검출기의 배치가 식별되어 최종적으로 해당 커넥터 핀에 연결되어야 하고, 최종 조립 단계에서는 검출기의 배치가 정확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일단 검출기들이 조립된 이후에는 이미터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식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마킹 등을 통해 검출기의 배치를 식별하여 관리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작업자에 의한 인적 실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를 통해 검출기의 배치를 검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검출기(20)의 특성상 내부 이미터(22)는 방사선에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므로, 방사선 소스(60)를 특정 위치에서 조사한 후 신호선(22)과 금속 시스(23) 사이에 전류계(62)를 연결하여 전류(A1,A2)를 검출하여 해당 위치에 이미터(22)가 배치된 검출기를 식별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방사선을 사용하는 종래 방식은 이리듐 선원을 통한 감마선(Gamma ray)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리듐은 방사선 동위원소로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지 않으며, 검출기에 최소한의 식별 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조사되는 감마선량이 매우 높아 피폭시 인체에 매우 위험하고, 고방사선은 일반 산업시설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이를 대체하는 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
KR 10-1443363 B1 KR 10-096022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내핵계측기에서 내부에 위치한 검출기들의 배치를 검사함에 있어서 위치를 변경해가면서 국부적으로 검출기를 가열한 후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검출기의 배치를 검사할 수 있는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국부적으로 검출기를 가열한 후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검출기의 배치를 검사할 수 있는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배치 검사 방법은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에 정정용량 측정수단을 연결하는 단계와, 측정위치에서 국부적으로 검출기를 가열하는 단계와, 소정 주파수 대역에서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정전용량의 변화가 클 경우에 해당 측정위치에 해당 검출기의 이미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와, 정전용량의 변화가 작을 경우 가열위치를 이동하여 다음 측정위치에 대해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검사 방법은, 측정위치 부분을 가열할 때 정전용량의 변화가 작으면 해당 측정위치가 신호선 부분이고, 정전용량의 변화가 클 경우에는 해당 측정위치가 이미터 부분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국부적으로 검출기를 가열한 후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검출기의 배치를 검사할 수 있는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검사 장치는 검출기의 신호선과 금속 시스 사이에 연결되어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정전용량 측정수단과, 검출기의 측정위치를 국부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과, 상기 가열원을 측정위치 단위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측정위치를 변경하고, 측정위치를 가열할 때 정전용량의 변화가 작으면 해당 측정위치를 신호선 부분으로 판단하고, 정전용량의 변화가 클 경우에는 해당 측정위치를 이미터 부분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내핵계측기에 있어서 내부에 위치한 특정 검출기의 이미터 위치를 측정함에 있어 소정 온도로 검출기의 측정위치를 가열하고, 소정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여 검출기의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검출기의 배치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노내핵계측기의 검사기술을 제공하여 품질 신뢰성 및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통상의 노내핵계측기의 외관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검출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노내핵계측기에서 검출기의 일반적인 배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 배치 검사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 배치 검사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온도에 따른 유전상수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검출기 배치 검사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통상의 노내핵계측기의 외관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3은 노내핵계측기에 사용되는 검출기의 측 단면도이다.
통상의 노내핵계측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1), 플렉서블 호스(12), 씰 플러그(13), 계측봉(14)으로 구성된다. 계측봉(14)은 원자로와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튜브를 통해 원자로 내부로 삽입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보호관(141), 내부 중심관(142), 및 외부 보호관(141)과 내부 중심관(142)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검출기(20)와 신호보상용 검출기(30), 열전대(40), 필러 케이블(50)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열전대(40)는 원자로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고, 필러 케이블(50)은 빈 공간을 채워 타 검출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씰 플러그(13)는 고온, 고압이 작용하는 원자로 내부와 외부의 경계면을 형성하여 압력 누출을 방지하며, 각 검출기(20)에서 측정된 신호는 커넥터(11)를 통해 전송 케이블과 연결된다.
검출기(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성자와 반응하여 연소되면서 전자를 방출하는 이미터(Emitter)(21)와, 이미터와 연결되는 신호선(22; signal wire) 및 방출된 전자를 수집하는 콜렉터(Collector)의 역할을 하는 금속 시스(23; sheath)로 구성되며, 그 사이의 공간은 알루미나와 같은 무기절연재(24; mineral insulator)가 충전되어 있다. 검출기(20)의 양단은 밀봉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검출기(20)의 이미터(21)로는 백금, 바나듐, 은 또는 로듐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 중 로듐은 중성자에 대한 반응 단면적이 다른 재질에 비하여 커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 신호를 얻을 수가 있다.
신호보상용 검출기(30)는 이미터(21) 부위가 제거된 점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검출기(2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이미터(21)를 제외한 신호선(22) 및 금속시스(23)에서 중성자 및 기타 방사선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검출기(20,30)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터(21)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해당 위치에서 원자로에서 생성되는 중성자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원자로 최종 조립 단계에서는 검출기(20,30)들이 정확하게 배치되어 있는지 검사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 배치 검사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 배치 검사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7은 온도에 따른 유전상수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 배치 검사 개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검출기들(20)의 신호선(22)과 금속 시스(23) 사이에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용량측정기(120)를 설치한 후, 외부에서 가열원(110)으로 특정 위치에서 각 검출기(20)들을 가열한 후 용량변화를 모니터링하여 해당 위치에 이미터(21)가 배치된 검출기(20)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5에서는 2개의 검출기(SPND 1, SPND 2)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용이한 검사진행을 위해 필요에 따라 정전용량을 동시에 측정하는 검출기 수를 노내핵계측기의 최대 검출기 수량까지 확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검출기(20)에서 신호선(22)의 특정 구간에는 방사선(중성자, 감마 등)과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미터(21)가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검출기 구조는 특성상 동축케이블의 구조와 동일하여 특정한 정전용량을 갖게 된다. 정전용량은 내부 도선의 직경에 비례하고, 절연재의 직경에 반비례하며, 절연재(24)의 유전상수에 비례하게 된다.
특히 유전상수의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높은 주파수 대역(예컨대, 100KHz 이상)에서 절연재(24)의 온도가 상승하여도 그 값이 거의 변하지 않지만 주파수 대역을 낮추게 되면 특정 온도 이상에서 값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검출기(20)의 내부는 이미터(21) 부분과 이미터(21)에 접합되어 있는 신호선(22) 부분으로 크게 나뉘어 있는데, 이미터(21) 부분은 신호선(22) 부위에 비해 내부도체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절연재(24)의 유전율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크다.
더욱이 검출기(20) 전체 길이에 대해 국부적인 측정위치의 정전용량 기여도는 매우 작지만, 측정부위를 가열하여 측정할 경우 가열부위가 국부적이라 할지라도 신호선(22) 부분에 대비하여 이미터(21) 부분의 정전용량 값이 크게 상승하므로 이로 인한 검출기 전체에 대한 정전용량의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측정 개념은 측정하고자 하는 검출기(20)의 이미터(21) 부분이 가열되고 있는지 신호선(22) 부분이 가열되고 있는지를 정전용량의 변화 및 비교로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검출기(20) 이미터의 배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검출기(20)에서 측정 위치 부분을 가열할 때 정전용량의 변화가 작으면 해당 측정위치가 신호선 부분이고, 정전용량의 변화가 클 경우에는 해당 측정위치가 이미터 부분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검출기의 정전용량은 절연체의 종류, 부피, 이미터의 종류 및 그 크기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음 표 1과 같이 검출기가 5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 검출기(SPND1~SPND5)의 가열 후 측정한 정전용량값(Ch1~Ch5)과 상온에서 측정한 각 검출기(SPND1~SPND5)의 정전용량값(Cm1~Cm5)의 차이(△1~△5)를 구해 그 차가 평균차(CR1)보다 클 경우에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큰 것으로 판단하고, 작을 경우에 정전용량의 변화가 작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분 SPND1 SPND2 SPND3 SPND4 SPND5 평균
상온
정전용량
Cm1 Cm2 Cm3 Cm4 Cm5
가열
정전용량
Ch1 Ch2 Ch3 Ch4 Ch5 CR2
차이값 △1(Ch1-Cm1) △2 △3 △4 △5(Ch5-Cm5) CR1
여기서, CR1=(△1+..+△5)/5; CR2=(Ch1+..+Ch5)/5
또한, 보다 간편한 방식으로 가열 후 측정한 각 검출기(SPND1~SPND5)의 정전용량값(Ch1~Ch5)의 평균(CR2)을 구한 후 해당 검출기의 가열 후 측정한 정전용량값과 평균(CR2)을 비교하여 평균(CR2)보다 클 경우에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큰 것으로 판단하고, 작을 경우에 정전용량의 변화가 작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검출기(20)의 신호선(22)과 금속 시스(23) 사이에 정정용량 측정수단을 각각 연결하는 단계(S1)와, 측정위치에서 전체 검출기를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단계(S2)와, 소정 주파수 대역에서 전체 검출기의 정전용량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S3)와, 각 검출기의 측정 정전용량값을 평균값과 비교하여 정전용량의 변화가 클 경우에 해당 측정위치에 해당 검출기의 이미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정전용량의 변화가 작을 경우에는 신호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4~S6)와, 검사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다음 측정위치에 대해 반복하는 단계(S8)와, 검사가 완료되면 종료하는 단계(S7)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검출기(20)의 신호선(22)과 금속시스(23) 사이에 연결되어 정전용량(C1,C2)을 측정하기 위한 정전용량 측정수단(120)과, 전체 검출기의 측정위치를 국부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110; Heating Source)과, 가열원(110)을 측정위치 단위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도시 생략함)과,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측정위치를 변경하고, 측정위치를 가열할 때 정전용량의 변화가 작으면 해당 측정위치를 신호선 부분으로 판단하고, 정전용량의 변화가 클 경우에는 해당 측정위치를 이미터 부분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수단(도시 생략함)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열온도는 150℃ 이상 5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전용량 측정 주파수로는 100 Khz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KHz 이하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노내핵계측기 11: 커넥터
20,30: 검출기 21: 이미터
22: 신호선 23: 금속시스
24: 무기절연재 110: 가열원
120: 정전용량 측정기

Claims (3)

  1. 삭제
  2.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에 정전용량 측정수단을 연결하는 단계;
    측정위치에서 검출기를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단계;
    소정 주파수 대역에서 해당 검출기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정전용량의 변화가 클 경우에 해당 측정위치에 검출기의 이미터가 존재하고, 정전용량의 변화가 작을 경우에 신호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는,
    각 검출기의 측정된 정전용량값을 평균값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평균값보다 작으면 정전용량의 변화가 작은 것으로 판단하고, 평균값보다 클 경우에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방법.
  3. 검출기의 신호선과 금속시스 사이에 연결되어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정전용량 측정수단;
    검출기의 측정위치를 국부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
    상기 가열원을 측정위치 단위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측정위치를 변경하고, 측정위치를 가열할 때 정전용량의 변화가 작으면 해당 측정위치를 신호선 부분으로 판단하고, 정전용량의 변화가 클 경우에는 해당 측정위치를 이미터 부분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장치.
KR1020180165295A 2018-12-19 2018-12-19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방법 및 장치 KR102192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295A KR102192398B1 (ko) 2018-12-19 2018-12-19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295A KR102192398B1 (ko) 2018-12-19 2018-12-19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316A KR20200076316A (ko) 2020-06-29
KR102192398B1 true KR102192398B1 (ko) 2020-12-17

Family

ID=7140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295A KR102192398B1 (ko) 2018-12-19 2018-12-19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3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228B1 (ko) * 2009-12-30 2010-06-01 주식회사 우진 고정형 노내핵계측기
JP2015219163A (ja) * 2014-05-20 2015-1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核計装センサシステム及び原子炉出力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275B2 (ja) * 1991-11-19 2001-06-18 有限会社中島製作所 放射線計測計
KR101443363B1 (ko) 2013-12-27 2014-09-29 유저스(주) 실드 튜브를 이용한 노내핵계측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228B1 (ko) * 2009-12-30 2010-06-01 주식회사 우진 고정형 노내핵계측기
JP2015219163A (ja) * 2014-05-20 2015-1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核計装センサシステム及び原子炉出力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316A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8430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ocal power generation rate in a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US4313792A (en) Miniature gamma thermometer slideable through bore for measuring linear heat generation rate
US5015434A (en) Fixed in-core calibration devices for BWR flux monitors
JP7030129B2 (ja) 原子炉システム、当該システム用の送信器装置、および関連する環境状態測定方法
US439302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ower distribution in nuclear reactor cores
CN109712725B (zh) 一种用于屏蔽伽玛射线的装置及方法
US3716450A (en) Device for remote positioning of thermocouples in a nuclear reactor
CN112698381A (zh) 自给能中子探测器
KR102192398B1 (ko)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방법 및 장치
JP5038158B2 (ja) 中性子束測定システム及び方法
RU2178211C2 (ru) Малоинерционное миниатюр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собственным источником энергии для ярус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нейтронного потока в ядерном реакторе
US4087693A (en) Sensors for use in nuclear reactor cores
CN111326269A (zh) 一种基于自给能探测器及热电偶的堆芯测量传感器
JP4625557B2 (ja) 原子炉出力監視装置
Dalla Palma et al. Design and R&D of thermal sensors for ITER neutral beam injectors
KR20100004572U (ko) 장수명 실시간 국부과출력보호용 노내 계측기 조립체
Pettigrew The behaviour of weldable strain gauges under nuclear reactor core conditions
Leyse et al. Gamma thermometer developments for light water reactors
JP2000258586A (ja) 原子炉出力測定装置
US3999067A (en) High speed radiation scanning technique for simultaneously determining the pitch and eccentricity of an encased oil
US20210372957A1 (en) Optical fiber-based gamma calorimeter (ofbgc)
JP2015219163A (ja) 核計装センサシステム及び原子炉出力監視システム
Popper et al. FARET IN-CORE INSTRUMENT DEVELOPMENT.
Dalla Palma et al. Design and R&D for MITICA thermal sensors
Birri et al. Testing of an Optical Fiber--Based Gamma Thermometer in the High Flux Isotope Reactor Gamma Irradiation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