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782A -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및 계측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및 계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782A
KR20080011782A KR1020060072194A KR20060072194A KR20080011782A KR 20080011782 A KR20080011782 A KR 20080011782A KR 1020060072194 A KR1020060072194 A KR 1020060072194A KR 20060072194 A KR20060072194 A KR 20060072194A KR 20080011782 A KR20080011782 A KR 20080011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measuring instrument
platinum
vanadium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균호
박동환
이은기
이용관
이창섭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60072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1782A/ko
Publication of KR2008001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3/00Measuring neutron radiation
    • G01T3/02Measuring neutron radiation by shielding other 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G21C17/108Measuring reactor flu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백금, 바나듐 및 백그라운드 계측기의 적용과 계측기의 절연체와 피복관의 재질변경으로 계측기 조립체의 신뢰도 및 성능향상과 수명의 연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및 계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자로의 노내 계측기 조립체에 있어서, 집전자 전극을 구성하는 피복관의 내부 중앙에 방사체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방사체전극 일단에 연결되어 신호전달을 위한 동축케이블이 형성되며, 상기 피복관과 동축케이블이 연결된 방사체전극의 사이 공간은 절연체로 채워 형성된 백금 계측기; 집전자 전극을 구성하는 피복관의 내부 중앙에 방사체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방사체전극 일단에 연결되어 신호전달을 위한 동축케이블이 형성되며, 상기 피복관과 동축케이블이 연결된 방사체전극의 사이 공간은 절연체로 채워 형성된 바나듐 계측기 및 집전자 전극을 구성하는 피복관의 내부에 신호전달을 위한 동축케이블이 형성되며, 상기 피복관과 동축케이블 사이 공간은 절연체로 채워 형성된 백그라운드 중성자 계측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중수로, 백금 계측기, 바나듐 계측기, 인코넬 690, 산화알루미늄

Description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및 계측 방법{HYBRID TYPE IN-CORE MEASURING INSTRUMENT ASSEMBLY AND MEASURING METHOD}
도 1은 종래의 백금 계측기의 구조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조립전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를 일체화 한 후의 3-3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4-4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내에 포함되는 백금 계측기에 대한 구성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내에 포함되는 바나듐계측기에 대한 구성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내에 포함되는 백그라운드 중성자 계측기에 대한 구성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10 : 백금계측기 11 : 백금계측기의 커넥터 핀
12 : 백금계측기의 피복관 14 : 백금계측기의 방사체전극
15 : 백금계측기의 동축케이블 20 : 바나듐계측기
21 : 바나듐계측기의 커넥터 핀 22 : 바나듐계측기의 피복관
24 : 바나듐계측기의 방사체전극 25 : 바나듐계측기의 동축케이블
30 : 백그라운드 중성자 계측기
31 : 백그라운드 중성자 계측기의 커넥터 핀
32 : 백그라운드 중성자 계측기의 피복관
34 : 백그라운드 중성자 계측기의 방사체전극
40 : 필러 와이어
50 : 커넥터
본 발명은 원자로의 노내 계측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 백금, 바나듐 및 백그라운드 계측기의 적용과 계측기의 절연체와 피복관의 재질변경으로 계측기 조립체의 신뢰도 및 성능향상과 수명의 연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및 계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로에는 원자로 노심의 특정 지점에서 중성자 선속(neutron flux)을 주기적으로 및 원격 방식으로 측정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다양한 유형의 방사선(주로, 중성자와 감마선) 측정을 위해서 계측 계기와 센서가 원자력 발전소에 설치된다. 이외에도, 예를 들면 온도, 압력, 유량, 등과 같은 공정 패러미터(process parameter)를 측정하기 위해서 비핵(non-nuclear) 계측 장치가 설치된다. 각각의 계측기는 타 단부에 센서, 신호 전송라인, 증폭기, 또는 다른 전자장치, 및 계량기, 지시기, 및 기록기를 포함하는 채널의 일부분이다. 측정된 패러미터는 그 유형과 중요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될 수 있다.
노심 내 계측장치는 노심 내부 출력 레벨의 보다 상세한 화상(picture)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원자로의 국부적인 출력 밀도는 다수의 이와 같은 노심 내 탐지기의 사용에 의해서 종종 측정되는데, 이들 탐지기 각각은 계측기를 핵연료 집합체로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튜브에 삽입된다. 함께, 계측기와 가이드 튜브는 전형적으로 노심 내 계측기 또는 계측기 조립체라 지칭된다. 노심 내 계측기(ICI; in-core instrument)는 매우 높은 수준의 방사선에 노출된다. 이러한 방사능은 소모된 계측기를 처리해야할 때, 보통 원자로의 연료 공급을 위한 작동 정지 중에 ICI 튜브와 계측기를 취급하는 것을 매우 위험하게 만든다. 노심 내 계측기는 연료의 부적절한 장전(misloading)을 탐지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노심의 출력 최대값(peak)과 노심의 출력 틸트(tilt)를 제어하고 이를 감시하는 기능을 위해서 사용된다. 특히, ICI는 이와 같이 계산된 각종 수치(quantity)의 불확정 값이 미국 원자력 규제 위원회(USNRC; 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에 의해 발전소에 인가된 한계치 내에 있도록 각 작동 주기 동안에 노심 출력 최대값과 노심 출력 틸트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ICI는 각 작동 주기의 시작 시점에 노심 내의 임의의 핵연료 집합체의 부적절한 장전을 탐지할 수 있어야 한다.
가압중수로의 원자로(Calandria)에는 완만한 제어상실 사고 또는 노심내 국부 과출력(ROP) 발생 시 핵연료의 손상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기출력형 백금-피복 (Pt-clad) 인코넬(Inconel) 계측기가 설치되어 있다.
백금-피복 인코넬 계측기는 즉발응답의 특성으로 인하여 원자로 제어 및 보호계통에 주로 사용되는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백금-피복 인코넬 계측기를 자세히 살펴본다.
종래의 백금-피복 인코넬 계측기(100)는 집전자 전극을 구성하는 외부의 피복관(110)/절연체(120)/내부의 방사체전극(130)/백금피복재(140)/신호전달을 위한 동축케이블(150)로 구성된다. 상기의 집전자 전극을 구성하고 있는 계측기 케이블의 외부 피복관(110)은 원자로급 인코넬 600(니켈(Ni) 79%, 크롬(Cr) 15.5%, 철(Fe) 8% 합금)으로 제작되었으며, 그 외경은 3.0㎜이다. 또한, 절연체(120)는 94.4% 순도의 산화마그네슘(MgO)으로 채우는데, 강한 방사선장하에서 훌륭한 절연 특성과 낮은 잡음 특성 때문이다. 백금-피복 인코넬 계측기의 방사체(130) 부분은 백금의 얇은 피복재(0.05㎜ 두께)(140)로 싸여진 인코넬 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사체(130)의 길이는 3 lattice pitch(857㎜)이다. 이것은 일정영역의 국부적 중성자속 천이(local flux perturbation)를 완만하게 하고, 연료장전 효과에 대한 계측 기의 민감성을 낮추게 한다. 방사체부분은 직경 1.12mm 금속보호관(mineral insulated) cable 내에 있는 0.25mm 직경의 인코넬 600 동축케이블(coaxial cable)(150)과 연결된다.
인코넬(Inconel)이란 니켈을 주체로 하여 15%의 크롬, 6∼7%의 철, 2.5%의 티탄, 1% 이하의 알루미늄·망간·규소를 첨가한 내열합금으로 내열성이 좋고, 900℃ 이상의 산화기류(酸化氣流) 속에서도 산화하지 않고, 황을 함유한 대기에도 침지되지 않는다. 신장(伸長)·인장강도·항복점(降伏點) 등 여러 성질도 600℃ 정도까지 대부분 변화하지 않는 등 기계적 성질에 우수하며, 유기물·염류용액에 대해서도 부식하지 않는다. 또한, 고온 내열 설비에 우수한 강재특성을 지내고 있으며 주 사용용도를 보면 열처리로, 초고온 전기로, 세라믹 소성로, 연구소 시험로, 진공로, 공업로, 보일러 등 내열을 요구하는 설비 등에 사용되고 있다.
백금 계측기는 노심내 중성자속 및 방사선속에 반응한다. 정상상태의 주어진 노심구조에 대하여 중성자속과 감마선속은 서로 비례하며 둘 다 핵분열율 또는 원자로 출력과 관계가 있다. 방사선속에 대한 백금계측기의 반응은 거의 모두 즉발로 반응하지만 원자로내의 감마 신호는 핵분열 생성물에 의한 β-반응으로 부분적으로 지연되며(약 30%) 출력변동에 따라 계측기는 약 90%가 즉발로 반응한다.
피복관과 방사체 역할을 하는 인코넬도 중성자 민감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인코넬의 중성자 흡수단면적이 5barn으로 비교적 작아 연소가 느리다는 측면에서는 좋은 점이 있지만, 백금의 흡수단면적은 27barn으로 계측기의 연소를 지배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그다지 좋다고 할 수 없다. 즉, 중성자 신호의 약 50%가 백금의 경우는 4년 안에 연소되는 반면, 인코넬의 경우는 22년이 소요된다. 또한 연소에 따른 민감도는 15% 감소에 약 5년이 소요되며 30% 감소에 약 15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80%의 즉발분율로 초기 민감도의 약 60% 정도 되면 계측기의 수명이 다 한 것으로 고려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금-피복 인코넬 계측기는 백금과 인코넬의 연소속도 차이로 인한 제한적인 계측기 수명(약 8∼10년)과 보정절차 없이 사용되는 백금신호로 인한 계측기 신뢰도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체형 백금, 바나듐 및 백그라운드 계측기의 적용을 통하여 노심 내 중성자속 감시의 성능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계측기의 절연체와 피복관의 재질변경으로 계측기 조립체의 신뢰도 및 성능향상과 수명의 연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및 계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자로의 노내 계측기 조립체에 있어서, 집전자 전극을 구성하는 피복관의 내부 중앙에 방사체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방사체전극 일단에 연결되어 신호전달을 위한 동축케이블이 형성되며, 상기 피복관과 동축케이블이 연결된 방사체전극의 사이 공간은 절연체로 채워 형성된 백금(Pt-solid) 계측기; 집전자 전극을 구성하는 피복관의 내부 중앙에 방사체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방사체전극 일단에 연결되어 신호전달을 위한 동축케이블이 형성되며, 상기 피복관과 동축케이블이 연결된 방사체전극의 사이 공간은 절연체로 채워 형성된 바나듐(Vanadium) 계측기 및 집전자 전극을 구성하는 피복관의 내부에 신호전달을 위한 동축케이블이 형성되며, 상기 피복관과 동축케이블 사이 공간은 절연체로 채워 형성된 백그라운드(Background) 중성자 계측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고압 상태에서 계측기 조립체의 형태유지를 위해 필러 와이어(Filler Wire)를 더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일체로 형성된 백금 계측기, 바나듐 계측기 및 백그라운드 계측기의 신호를 전달하는 각각의 계측기에 연결된 커넥터 핀이 일체로 형성된 커넥터가 계측기의 일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에 여유분의 커넥터 핀이 추가로 형성된 것이 더욱 좋다.
또한, 상기 백금 계측기, 바나듐 계측기 및 백그라운드 계측기의 절연체의 재질은 산화알루미늄(Al2O3)인 것을 특징한다.
그리고, 백금 계측기, 바나듐 계측기 및 백그라운드 계측기의 피복관의 재질은 인코넬 6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백금 계측기 및 바나듐 계측기의 직경은 1.0mm∼1.5mm, 상기 백그라운드 중성자 계측기 및 필러 와이어의 직경은 0.6mm∼0.9mm인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원자로의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계측 방법에 있어서, 백금 계측기의 신호 계측 단계; 피복케이블에 의한 백그라운드 영향 제거 단계; 바나듐 계측기의 신호 보상 단계 및 백금 계측기의 보상 처리된 완성신호 출력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계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계측은 아래 계산식
Figure 112006055132310-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06055132310-PAT00002
: 피복케이블에 의한 백그라운드 신호,
Figure 112006055132310-PAT00003
: 바나듐 계측기 신호,
Figure 112006055132310-PAT00004
: 백금 계측기 신호,
Figure 112006055132310-PAT00005
Figure 112006055132310-PAT00006
: B/G 보정된 바나듐 계측기 신호,
Figure 112006055132310-PAT00007
Figure 112006055132310-PAT00008
: B/G 보정된 백금 계측기 신호,
Figure 112006055132310-PAT00009
:
Figure 112006055132310-PAT00010
로부터 계산된 보정값이다.)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 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조립전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를 일체화 한 후의 3-3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4-4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내에 포함되는 백금 계측기에 대한 구성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내에 포함되는 백그라운드 중성자 계측기에 대한 구성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내에 포함되는 바나듐계측기에 대한 구성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집전자 전극을 구성하는 피복관(12)의 내부 중앙에 방사체전극(14)이 형성되고, 상기 방사체전극 일단에 연결되어 신호전달을 위한 동축케이블(15)이 형성되며, 상기 피복관(12)과 동축케이블(15)이 연결된 방사체전극의 사이 공간은 절연체(13)로 채워 형성된 백금(Pt-solid) 계측기(10);
집전자 전극을 구성하는 피복관(22)의 내부 중앙에 방사체전극(24)이 형성되고, 상기 방사체전극 일단에 연결되어 신호전달을 위한 동축케이블(25)이 형성되며, 상기 피복관(22)과 동축케이블(25)이 연결된 방사체전극(24)의 사이 공간은 절 연체(23)로 채워 형성된 바나듐(Vanadium) 계측기(20) 및
집전자 전극을 구성하는 피복관(32)의 내부에 신호전달을 위한 동축케이블(34)이 형성되며, 상기 피복관(32)과 동축케이블(34) 사이 공간은 절연체(33)로 채워 형성된 백그라운드(Background) 중성자 계측기(30)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노내 계측 환경이 상당히 고압 상태이기 때문에 계측기 조립체의 형태유지를 위해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필러 와이어(Filler Wire)(40)를 더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일체로 형성된 백금 계측기(10), 바나듐 계측기(20) 및 백그라운드 계측기(30)의 신호를 전달하는 각각의 계측기에 연결된 커넥터 핀(11, 21, 31)이 일체로 형성된 커넥터(50)가 계측기의 일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50)에 여유분의 커넥터 핀(41)이 추가로 형성된 것이 더욱 좋다.
또한, 상기 백금 계측기(10), 바나듐 계측기(20) 및 백그라운드 계측기(30)의 절연체(13, 23, 33)의 재질은 산화알루미늄(Al2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종래에는 상기 백금 계측기(10)와 바나듐계측기(20)의 절연체 재료 산화마그네슘(MgO)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계속된 중성자 조사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는 이른바 절연감쇄(Insulation degradation) 현상이 발생하여 계측기의 성능뿐만 아니라 수명에도 문제가 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산화알루미늄(Al2O3)으로 변경하여 Insulation degradation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결국 계측기의 성능향상 및 수명연장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백금 계측기, 바나듐 계측기 및 백그라운드 계측기의 피복관의 재질은 인코넬 6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종래에 사용하던 인코넬 600은 부식저항성이 좋지만 계속되는 중성자 조사로 인한 수명이 약 10년 이내였다. 하지만 크롬 함량을 두 배로 하여 응력부식균열성능(stress corrosion cracking capability)을 개선한 인코넬 690으로 대체하면 수명을 종래보다 50% 증가시켜 약 15년 이내로 연장할 수 있다. 물론 현재 인코넬 825까지 출시되어 있으나, 현재까지 출시된 인코넬 중에서 효과나 안정성 등 다양한 면에서 사용 검증된 최상위 버전은 현재 인코넬 690이므로 이를 적용한 것이다.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길이는 기존의 계측기와 동일한 길이로 정한다.
이와 더불어, 백금 계측기 및 바나듐 계측기의 직경은 1.0mm∼1.5mm로, 상기 백그라운드 중성자 계측기 및 필러 와이어의 직경은 0.6mm∼0.9mm로 하는데, 그 이유는 백금 및 바나듐계측기의 최적성능을 위하여 최소한 1.0mm이상의 직경을 가져야하며 1.5mm의 직경을 초과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 집합체의 전체 직경이 너무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백그라운드계측기는 0.6mm∼0.9mm 직경에서도 충분히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필러 와이어의 경우는 상기 3 종류의 계측기를 고압환경에서 형태유지 및 고정시키는 역할만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직경이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원자로의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계측 방법에 있어서, 백금 계측기의 신호 계측 단계; 피복케이블에 의한 백그라운드 영향 제거 단 계; 바나듐 계측기의 신호 보상 단계 및 백금 계측기의 보상 처리된 완성신호 출력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계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계측은 아래 계산식
Figure 112006055132310-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06055132310-PAT00012
: 피복케이블에 의한 백그라운드 신호,
Figure 112006055132310-PAT00013
: 바나듐 계측기 신호,
Figure 112006055132310-PAT00014
: 백금 계측기 신호,
Figure 112006055132310-PAT00015
Figure 112006055132310-PAT00016
: B/G 보정된 바나듐 계측기 신호,
Figure 112006055132310-PAT00017
Figure 112006055132310-PAT00018
: B/G 보정된 백금 계측기 신호,
Figure 112006055132310-PAT00019
:
Figure 112006055132310-PAT00020
로부터 계산된 보정값이다.)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체형 백금, 바나듐 및 백그라운드 계측기의 적용을 통하여 노심 내 중성자속 감시의 성능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계측기의 절연체와 피복관의 재질을 변경하여 계측기 조립체의 신뢰도 및 성능향상과 수명의 연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원자로의 노내 계측기 조립체에 있어서,
    집전자 전극을 구성하는 피복관의 내부 중앙에 방사체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방사체전극 일단에 연결되어 신호전달을 위한 동축케이블이 형성되며, 상기 피복관과 동축케이블이 연결된 방사체전극의 사이 공간은 절연체로 채워 형성된 백금(Pt-solid) 계측기;
    집전자 전극을 구성하는 피복관의 내부 중앙에 방사체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방사체전극 일단에 연결되어 신호전달을 위한 동축케이블이 형성되며, 상기 피복관과 동축케이블이 연결된 방사체전극의 사이 공간은 절연체로 채워 형성된 바나듐(Vanadium) 계측기;
    집전자 전극을 구성하는 피복관의 내부에 신호전달을 위한 동축케이블이 형성되며, 상기 피복관과 동축케이블 사이 공간은 절연체로 채워 형성된 백그라운드(Background) 중성자 계측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압 상태에서 계측기 조립체의 형태유지를 위해 필러 와이어(Filler Wire)를 더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체로 형성된 백금 계측기, 바나듐 계측기 및 백그라운드 계측기의 신호를 전달하는 각각의 계측기에 연결된 커넥터 핀이 일체로 형성된 커넥터가 계측기의 일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여유분의 커넥터 핀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금 계측기, 바나듐 계측기 및 백그라운드 계측기의 절연체의 재질은 산화알루미늄(Al2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금 계측기, 바나듐 계측기 및 백그라운드 계측기의 피복관의 재질은 인코넬 6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금 계측기 및 바나듐 계측기의 직경은 1.0mm∼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8. 청구항 1항 및 청구항 2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 중성자 계측기 및 필러 와이어의 직경은 0.6mm∼0.9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9. 원자로의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계측 방법에 있어서,
    백금 계측기의 신호 계측 단계;
    피복케이블에 의한 백그라운드 영향 제거 단계;
    바나듐 계측기의 신호 보상 단계 및
    백금 계측기의 보상 처리된 완성신호 출력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계측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계측은
    아래 계산식
    Figure 112006055132310-PAT00021
    (여기서,
    Figure 112006055132310-PAT00022
    : 피복케이블에 의한 백그라운드 신호,
    Figure 112006055132310-PAT00023
    : 바나듐 계측기 신호,
    Figure 112006055132310-PAT00024
    : 백금 계측기 신호,
    Figure 112006055132310-PAT00025
    Figure 112006055132310-PAT00026
    : B/G 보정된 바나듐 계측기 신호,
    Figure 112006055132310-PAT00027
    Figure 112006055132310-PAT00028
    : B/G 보정된 백금 계측기 신호,
    Figure 112006055132310-PAT00029
    :
    Figure 112006055132310-PAT00030
    로부터 계산된 보정값이다.)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의 계측 방법.
KR1020060072194A 2006-07-31 2006-07-31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및 계측 방법 KR20080011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194A KR20080011782A (ko) 2006-07-31 2006-07-31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및 계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194A KR20080011782A (ko) 2006-07-31 2006-07-31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및 계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782A true KR20080011782A (ko) 2008-02-11

Family

ID=3934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194A KR20080011782A (ko) 2006-07-31 2006-07-31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및 계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178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557B1 (ko) * 2012-01-30 2014-09-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노심감시 및 노심보호용 하이브리드 노내계측기 집합체
KR101443363B1 (ko) * 2013-12-27 2014-09-29 유저스(주) 실드 튜브를 이용한 노내핵계측기
WO2014192995A1 (ko) * 2013-05-29 2014-12-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노심감시 및 노심보호용 하이브리드 노내계측기 집합체
WO2014192997A1 (ko) * 2013-05-29 2014-12-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노심감시 및 노심보호 융합형 노내계측기 집합체
KR101484000B1 (ko) * 2012-05-04 2015-01-1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노심감시 및 노심보호 융합형 노내계측기 집합체
WO2016068461A1 (ko) * 2014-10-30 2016-05-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내구성이 향상된 노내계측기
WO2016068462A1 (ko) * 2014-10-30 2016-05-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장수명 노내계측기
US10416022B2 (en) 2014-10-30 2019-09-17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water level within pipe
CN116543939A (zh) * 2023-05-10 2023-08-04 兰州大学 一种中子能谱测量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557B1 (ko) * 2012-01-30 2014-09-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노심감시 및 노심보호용 하이브리드 노내계측기 집합체
KR101484000B1 (ko) * 2012-05-04 2015-01-1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노심감시 및 노심보호 융합형 노내계측기 집합체
CN105247620A (zh) * 2013-05-29 2016-01-13 韩国水力原子力株式会社 用于堆芯监测和保护的混合反应堆堆芯内探测器组件
WO2014192997A1 (ko) * 2013-05-29 2014-12-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노심감시 및 노심보호 융합형 노내계측기 집합체
WO2014192995A1 (ko) * 2013-05-29 2014-12-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노심감시 및 노심보호용 하이브리드 노내계측기 집합체
CN105247619A (zh) * 2013-05-29 2016-01-13 韩国水力原子力株式会社 用于堆芯监视和保护的聚合反应堆堆芯内探测器组件
KR101443363B1 (ko) * 2013-12-27 2014-09-29 유저스(주) 실드 튜브를 이용한 노내핵계측기
WO2016068461A1 (ko) * 2014-10-30 2016-05-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내구성이 향상된 노내계측기
WO2016068462A1 (ko) * 2014-10-30 2016-05-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장수명 노내계측기
CN107112060A (zh) * 2014-10-30 2017-08-29 韩国水力原子力株式会社 长寿命堆芯测量仪表
US10416022B2 (en) 2014-10-30 2019-09-17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water level within pipe
CN116543939A (zh) * 2023-05-10 2023-08-04 兰州大学 一种中子能谱测量装置
CN116543939B (zh) * 2023-05-10 2024-04-26 兰州大学 一种中子能谱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1782A (ko) 하이브리드형 노내 계측기 조립체 및 계측 방법
KR100960228B1 (ko) 고정형 노내핵계측기
WO2016068462A1 (ko) 장수명 노내계측기
US5015434A (en) Fixed in-core calibration devices for BWR flux monitors
Laurie et al. Ultrasonic high-temperature sensors: Past experiments and prospects for future use
KR101376704B1 (ko) 중성자 선속 검출 민감도가 개선된 노내 계측기
KR20100004572U (ko) 장수명 실시간 국부과출력보호용 노내 계측기 조립체
SE458405B (sv) Anordning foer maetning av lokalt alstrad effekt i en kaernreaktors braenslepatron
KR101484000B1 (ko) 노심감시 및 노심보호 융합형 노내계측기 집합체
WO2014192995A1 (ko) 노심감시 및 노심보호용 하이브리드 노내계측기 집합체
US4140911A (en) Self-powered in-core neutron detector assembly with uniform perturbation characteristics
EP1842205B1 (en) Neutron detector assembly with variable length rhodium emitters
RU2178211C2 (ru) Малоинерционное миниатюр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собственным источником энергии для ярус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нейтронного потока в ядерном реакторе
WO2014192997A1 (ko) 노심감시 및 노심보호 융합형 노내계측기 집합체
KR101071416B1 (ko) 고온 조사 시험용 캡슐
US4567013A (en) Hydrogen measuring device
Leyse et al. Gamma thermometer developments for light water reactors
Sepold et al. Severe fuel damage experiments with advanced cladding materials to be performed in the QUENCH facility (QUENCH-ACM)
Arrestad Fuel rod performance measurements and re-instrumentation capabilities at HALDEN project
KR101445557B1 (ko) 노심감시 및 노심보호용 하이브리드 노내계측기 집합체
CN113984243B (zh) 温度检测装置
CN112652412B (zh) 核电站中子及温度监测装置
KR102192398B1 (ko) 노내핵계측기의 검출기 배치 검사 방법 및 장치
JP2597917Y2 (ja) 炉内中性子検出器
Lynch et al. A Sheath Breach Detector For Use In Fixed In-vessel Instrumentation Assemb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