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300B1 - 현장용 유전체 추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현장용 유전체 추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300B1
KR102192300B1 KR1020190087065A KR20190087065A KR102192300B1 KR 102192300 B1 KR102192300 B1 KR 102192300B1 KR 1020190087065 A KR1020190087065 A KR 1020190087065A KR 20190087065 A KR20190087065 A KR 20190087065A KR 102192300 B1 KR102192300 B1 KR 102192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buffer
dielectric
extrac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5377A (ko
Inventor
이민영
정병호
이규성
박현주
조희수
우아영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PCT/KR2019/00948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027544A1/ko
Publication of KR2020001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12N15/100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06Preparing nucleic acids for analysis, e.g.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72Integrated pierc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01L2300/087Multiple sequential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6Surface properties and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는 유전체 추출 장치의 내측에 일 방향으로 형성되어 버퍼(buffer)가 수용되는 복수개의 챔버(chamber)들, 장치의 일측 단면에 부착되거나 각각의 챔버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버퍼가 각각의 챔버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막 및 분리막을 침투하여 각각의 챔버 내에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고, 각각의 챔버 내에서 시료(sample)와 버퍼가 믹싱(mixing)되도록 함으로써 유전체가 추출되도록 하는 검사부가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현장용 유전체 추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THE GENOME EXTRACTORFOR POINT-OF-CARE-TESTING AND GENOME EXTRACTINGMETHODFOR OPERATING BY THE SAME}
본 발명은 유전체 추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이시스(lysis) 버퍼, 바인딩(binding) 버퍼, 워싱(washing) 버퍼 및 일루션(elution) 버퍼가 수용된 챔버들이 구비되고, 각 챔버 사이에는 검사부의 침투에 따라 버퍼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분리막이 있으며, 실리카(SiO2)와 같은 핵산 결합 물질이 코팅된 검사부가 분리막을 통해 버퍼가 수용된 챔버에 침투함으로써 시료와 버퍼가 믹싱되도록 하여 유전체가 추출되도록 하는 유전체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전체의 추출은 분자생물학, 생명공학, 생화학, 진단검사의학 등의 실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작업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추출된 유전체 또는 핵산의 퀄리티(quality)에 따라 중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자 진단(Molecular Diagnostics) 등의 실험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유전체의 추출 방법은 대표적으로 필터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과 자성 비드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필터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은 시료(sample)를 필터링 하기 위해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가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필터링을 통해 걸러진 잔여물이 담긴 튜브는 제거하고 새로운 튜브로 변경해야 하는 과정이 반복된다.
또한, 자성 비드를 이용한 방법은 별도로 비드(bead)를 추가한 후 소정의 횟수만큼 피펫팅(pipetting)을 통해 시약을 추가하고, 외부의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내부의 비드를 고정시킨 후 남겨진 시약을 제거하는 반복적인 과정이 진행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유전체 추출 방법들은 각 단계마다 버퍼(buffer)를 갈아주는 등의 절차가 반복되어 피검사자(Ex. 환자) 가까이에서 신속하게 시행하여 진단 및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현장현시검사(Point Of Care Testing, POCT)에는 부적절한 실정이다.
또한, 원심분리기와 같은 의료기기 등은 대형 병원이나 연구실에 갖추어져 있는 경우가 많아 상기와 같은 기존의 방법에 의한 현장진단을 위한 유전체 추출은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5001호 "핵산 추출 또는 증폭을 위한 휴대용 장치" (2014.06.27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체형 유전체 추출 장치를 개발함으로써 원심분리 과정이나 자성비드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한 방법으로 유전체만 분리해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반복적인 피펫팅 과정이 제거되고, 검사부의 믹싱 과정을 통해서 유전체가 추출되도록 함으로써 훈련 받은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한 사용자의 범위를 넓히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유전체 추출을 위한 장치를 손쉽게 휴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료가 있는 현장에서 간단하고 용이한 방법으로 유전자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현장용 유전체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유전체 추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는 유전체 추출 장치의 내측에 일 방향으로 형성되어 버퍼(buffer)가 수용되는 복수개의 챔버(chamber)들, 장치의 일측 단면에 부착되거나 각각의 챔버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버퍼가 각각의 챔버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막 및 분리막을 침투하여 각각의 챔버 내에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고, 각각의 챔버 내에서 시료(sample)와 버퍼가 믹싱(mixing)되도록 함으로써 유전체가 추출되도록 하는 검사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검사부에는 양단에 개방부가 구비된 케이스 및 케이스 내부에서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한 몸체부가 포함되고, 몸체부에는 일측 단부에 핵산 결합 물질이 코팅되거나 표면개질 된 복수개의 섬유(fabric)가 부착된 추출부 및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케이스의 일 개방부에 노출되고,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가압에 따라 몸체부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추출부가 케이스의 타 개방부로 출몰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핵산 결합 물질에는 실리카(SiO2), 이미다졸(imidazole), 폴리도파민(polydopamine) 및 poly(3,4-dihydroxy-L-phenylalanine)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섬유는 핵산 결합 물질이 균질하게 코팅되도록 하기 위한 코팅 물질이 먼저 코팅된 후 핵산 결합 물질이 코팅되거나 표면개질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더 포함되고, 돌기부는 추출부 측에서부터 구동부 측으로 갈수록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의 돌기부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외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표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장치의 분리막에는 복수개의 챔버들의 배열 방향으로 돌출되어 원뿔형태로 형성된 바디부 및 바디부의 중앙에 검사부가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동공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장치의 분리막에는 바디부의 돌출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밴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장치에서 복수개의 챔버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이시스(lysis) 버퍼, 바인딩(binding) 버퍼, 워싱(washing) 버퍼 및 일루션(elution) 버퍼가 수용된 챔버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유전체 추출 장치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은 라이시스(lysis) 버퍼가 수용된 라이시스 챔버에 시료(sample)를 주입시키는 단계, 라이시스 챔버에 검사부를 침투시켜 시료와 라이시스 버퍼를 믹싱(mixing) 하는 단계, 검사부를 라이시스 챔버로부터 분리막을 통과하도록 하여 바인딩(binding) 버퍼가 수용된 바인딩 챔버에 침투시키는 단계, 바인딩 챔버에서 검사부를 바인딩 버퍼와 믹싱하는 단계, 검사부를 바인딩 챔버로부터 분리막을 통과하도록 하여 워싱(washing) 버퍼가 수용된 워싱 챔버에 침투시키는 단계, 워싱 챔버에서 검사부를 워싱 버퍼와 믹싱하는 단계, 검사부를 워싱 챔버로부터 분리막을 통과하도록 하여 일루션(elution) 버퍼가 수용된 일루션 챔버에 침투시키는 단계 및 일루션 챔버에서 검사부를 일루션 버퍼와 믹싱함으로써 유전체를 추출해내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에 있어서, 검사부에는 양단에 개방부가 구비된 케이스 및 케이스 내부에서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한 몸체부가 포함되고, 몸체부에는 일측 단부에 핵산 결합 물질이 코팅되거나 표면개질 된 복수개의 섬유(fabric)가 부착된 추출부 및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케이스의 일 개방부에 노출되고,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가압에 따라 몸체부를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추출부가 케이스의 타 개방부로 출몰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에 있어서, 섬유는 핵산 결합 물질이 균질하게 코팅되도록 하기 위한 코팅 물질이 먼저 코팅된 후 핵산 결합 물질이 코팅되거나 표면개질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버퍼를 갈아주는 과정 혹은 반복되는 피펫팅 작업에 의하지 않고 핵산 결합 물질(Ex. 실리카 등)이 코팅된 섬유(fabric)를 사용함으로써 현장에서 곧바로 유전체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료만 수집되면 매우 간단하고 빠른 조작 방법(Ex. 믹싱, 볼텍싱 등)으로 유전체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어 신속성 및 편리성이 확보되어 현장검사(POCT)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검사부가 분리막을 침투하여 챔버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검사부를 통해 챔버 내에서 시료와 버퍼가 믹싱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검사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검사부에 돌기부가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검사부에 표시부가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분리막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검사부가 분리막을 통과하여 챔버에서 믹싱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분리막에 밴드부가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에 있어서, 섬유의 코팅 전과 코팅 후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L-DOPA 코팅된 검사부를 이용한 DNA 분리 시 용출 완충액의 UV-vis 스펙트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와 자성비드(magnetic bead)를 이용하여 DNA 분리 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와 실리카겔 필터(silica gel filter)를 이용하여 DNA 분리 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유전체 추출 장치는 유전체 추출 장치의 내측에 일 방향으로 형성되어 버퍼(buffer)가 수용되는 복수개의 챔버(chamber)들, 장치의 일측 단면에 부착되거나 각각의 챔버(100)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버퍼가 각각의 챔버(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막(200) 및 분리막(200)을 침투하여 각각의 챔버(100) 내에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고, 각각의 챔버(100) 내에서 시료(sample)와 버퍼가 믹싱(mixing)되도록 함으로써 유전체가 추출되도록 하는 검사부(30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는 시료(sample)로부터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모든 유전자(Ex. DNA, RNA 등)에 해당하는 유전체(genome)를 현장현시에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챔버(100)들, 분리막(200) 및 검사부(30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시료(sample)에는 검사대상(Ex. 환자, 피검사자 등)의 검체, 배양세포, 동물 조직 및 식물 조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버퍼(buffer)는 완충용액(緩衝溶液)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버퍼에는 세포를 파괴할 때 사용되는 완충용액인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 유전체와 특이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작용기를 부착할 때 사용되는 완충용액인 바인딩버퍼(binding buffer), 유전체 외의 물질을 씻어내기 위해 사용되는 완충용액인 워싱 버퍼(washing buffer) 및 유전체를 용출해내기 위해 사용되는 완충용액인 일루션 버퍼(elution buffer)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버퍼(buffer)가 수용되는 복수개의 챔버(100)들에 대해 먼저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정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챔버(100)들이 유전체 추출 장치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데, 각각의 챔버(100)에는 유전체 추출에 있어서 특정 기능(Ex. 세포 파괴, 용출 등)을 수행하기 위한 버퍼(buffer)가 수용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이시스 챔버(110)에는 조직 또는 세포 파괴를 위한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뿐만 아니라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프로테이나아제 K(proteinase K)나 유전체 분해효소인 DNase 또는 RNase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인딩 챔버(120)에는 유전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부착하기 위한 바인딩 버퍼(binding buffer)외에도 다른 물질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워싱 챔버(130)에는 유전체 외의 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워싱 버퍼뿐만 아니라 세척을 위한 다른 다양한 물질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루션 챔버(140)에는 유전체를 용출해내기 위한 일루션 버퍼 외에도 유전체 추출을 위한 다른 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장치에서 복수개의 챔버(100)들은 유전체 추출 단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이시스(lysis) 챔버(110), 바인딩(binding) 챔버(120), 워싱(washing) 챔버(130) 및 일루션(elution) 챔버(140)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라이시스 챔버에서 시료의 세포가 파괴되고, 바인딩 챔버에서 추출부에 유전체가 특이적으로 결합되고, 워싱 챔버에서 유전체 외의 물질이 씻겨지고, 일루션 챔버에서 유전체가 추출되는 순서로 상기의 복수개의 챔버들이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순서로 배치된다면, 바인딩 챔버(120) 및 일루션 챔버(140)의 사이에 워싱 챔버(130)가 두 개가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과 같이 특정 챔버(10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유전체 추출 장치의 구성요소 중 검사부(300)에 대하여 이하에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검사부(300)가 분리막(200)을 침투하여 챔버(100)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검사부(300)에는 양단에 개방부가 구비된 케이스(310) 및 케이스(310) 내부에서 케이스(3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한 몸체부(320)가 포함되고, 몸체부(320)에는 일측 단부에 핵산 결합 물질이 코팅되거나 표면개질(reforming) 된 복수개의 섬유(fabric)가 부착된 추출부(330) 및 몸체부(32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케이스(310)의 일 개방부에 노출되고,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가압에 따라 몸체부(320)를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추출부(330)가 케이스(310)의 타 개방부로 출몰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부(34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검사부(300)는 케이스(310), 추출부(330) 및 구동부(340)가 포함된 몸체부(320)가 구비됨으로써 분리막(200)을 침투하여 각각의 챔버(100) 내에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검사부(300)에 의해서 각각의 챔버(100) 내에 위치하는 경우 시료(sample)와 버퍼가 믹싱되도록 함으로써 유전체가 추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섬유는 소정 길이의 가늘고 굽어질 수 있는 물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섬유는 스레드(thread), 실, 가닥, 줄기 등 다양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검사부(300)에서는 핵산 결합 물질이 코팅된 복수개의 섬유(fabric)가 부착된 추출부를 통해서 시료와 버퍼의 믹싱(mixing)이 이루어짐으로써 유전체가 추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챔버(100) 내에서 상기 검사부(300)의 추출부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시료 및 버퍼가 섞이도록 하여 각 챔버(100) 내에서 세포 파괴, 바인딩, 워싱 및 일루션 등의 유전체 추출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섬유에 코팅되거나 표면개질되는 핵산 결합 물질은 핵산과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모든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핵산 결합 물질에는 실리카(SiO2), 양성 고분자, 이미다졸(imidazole), 폴리도파민 (polydopamine) 및 poly(3,4-dihydroxy-L-phenylalanine)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oly(3,4-dihydroxy-L-phenylalanine) (이하, L-DOPA 중합체)는 도파민 중합체(poly(dopamine))보다 중합체들 사이의 비공유결합이 적고 나일론(nylon)에 대하여 더욱 안정성 있는 코팅능력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 핵산 결합 물질로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에 대하여 3,4-dihydroxy-L-phenylalanine(L-DOPA) 용액에 담근 상태로 소정의 시간 동안 코팅이 진행되면 산화 반응에 따라 5,6-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DHICA)가 형성됨으로써 L-DOPA 중합체가 코팅된 섬유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L-DOPA 중합체를 이용하여 코팅이 진행된 이후에도 상기 코팅된 섬유에 대하여 추가적인 산화 공정, 중화 공정 및 세척 공정을 통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에도 코팅 전과 코팅 후의 섬유에 대하여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L-DOPA 중합체를 이용하여 코팅된 복수개의 섬유들이 포함된 검사부를 이용하여 DNA 분리 실험 결과를 설명한다. 결합 완충액(binding buffer)의 pH는 약 5.8으로, 용출 완충액(elution buffer)의 pH는 약 8.53으로 설정하였다. PC-3M 세포를 용해 완충액(lysis buffer)에 첨가하여 2 X 106, 1 X 106, 5 X 105, 1 X 105 개수의 실험 대상 세포들을 준비하였다. L-DOPA 중합체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코팅되지 않은 검사부도 함께 사용되었다. L-DOPA 코팅된 검사부(poly(L-DOPA)-coated swab)를 이용하여 DNA를 분리한 후 용출 완충액(elution buffer)의 UV-vis 스펙트럼은 도 12의 (a) 와 같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흡수 피크는 DNA의 최대흡수파장인 약 260nm에 해당되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PC-3M 세포에서 L-DOPA 코팅된 검사부(poly(L-DOPA)-coated swab)에 의하여 분리된 DNA 농도는 2 X 106의 세포의 경우 144.23ng/㎕이고, 1 X 106의 경우에는 86.50ng/㎕이며, 5 X 105의 경우에는 40.27ng/㎕이며, 1 X 105의 경우에는 5.93ng/㎕로 측정되었다. 즉, 세포 수가 증가함에 따라 분리되는 DNA의 농도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코팅되지 않은 검사부(uncoated swab)를 이용하여서는 DNA가 거의 분리되지 않았다. 결국, DNA는 L-DOPA 중합체가 코팅된 검사부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2의 (c)를 참조하면, 260nm/280nm의 흡광도 비는 1.7 이상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분리된 DNA가 고순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전체 추출 장치에서 L-DOPA 코팅된 검사부를 이용하여 DNA를 분리한 결과와 자성비드를 이용한 DNA를 분리한 실험 결과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와 자성비드(magnetic bead)를 이용하여 DNA 분리 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의 (a)를 살펴보면, L-DOPA 코팅된 검사부(poly(L-DOPA)-coated swab), 자성비드(magnetic beads) 및 코팅되지 않은 검사부(negative control)를 이용하여 DNA 분리 시 UV-vis 스펙트럼이 도시되어 있다. 즉, L-DOPA 코팅된 검사부(poly(L-DOPA)-coated swab) 및 자성비드(magnetic beads)를 이용하여 DNA를 분리한 경우에는 거의 동일한 패턴으로 스펙트럼이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코팅되지 않은 검사부(negative control)의 경우에는 세포 용액으로부터 DNA 분리 시 UV 스펙트럼에서 거의 흡수되는 영역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3의 (b)를 참조하여 DNA의 농도를 살펴보면 L-DOPA 코팅된 검사부(poly(L-DOPA)-coated swab)를 이용한 경우 44.7ng/㎕이었고, 자성비드(magnetic beads)를 이용한 경우에는 39.2ng/㎕로 나타났다. 즉, L-DOPA 코팅된 검사부(poly(L-DOPA)-coated swab)의 DNA 분리 효율은 자성 비드(magnetic beads)에 비하여 약 14% 정도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도 13의 (c)를 참조하면, 260nm/280nm의 흡광도 비는 L-DOPA 코팅된 검사부(poly(L-DOPA)-coated swab)의 경우에는 1.96로, 자성 비드(magnetic beads)의 경우에는 1.95로 나타났으며 결국 두 경우 모두 분리된 DNA가 고순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와 실리카겔 필터(silica gel filter)를 이용하여 DNA 분리 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의 (a)를 살펴보면, L-DOPA 코팅된 검사부(poly(L-DOPA)-coated swab), 실리카겔 필터(silica gel filter) 및 코팅되지 않은 검사부(negative control)를 이용하여 DNA 분리 시 UV-vis 스펙트럼이 도시되어 있다. 즉, L-DOPA 코팅된 검사부(poly(L-DOPA)-coated swab) 및 실리카겔 필터(silica gel filter)를 이용하여 DNA를 분리한 경우에는 거의 동일한 패턴으로 스펙트럼이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코팅되지 않은 검사부(negative control)의 경우에는 세포 용액으로부터 DNA 분리 시 UV 스펙트럼에서 거의 흡수되는 영역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4의 (b)를 참조하여 DNA의 농도를 살펴보면 L-DOPA 코팅된 검사부(poly(L-DOPA)-coated swab)를 이용한 경우 55.9ng/㎕이었고, 실리카겔 필터(silica gel filter)를 이용한 경우에는 19.0ng/㎕로 나타났다. 즉, L-DOPA 코팅된 검사부(poly(L-DOPA)-coated swab)의 DNA 분리 효율은 실리카겔 필터(silica gel filter)에 비하여 약 3배 정도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도 14의 (c)를 참조하면, 260nm/280nm의 흡광도 비는 L-DOPA 코팅된 검사부(poly(L-DOPA)-coated swab)의 경우에는 1.99로, 실리카겔 필터(silica gel filter)의 경우에는 2.00로 나타났으며 결국 두 경우 모두 분리된 DNA가 고순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면개질(reforming)이라 함은 섬유(fabric)의 표면 조직 및 구조를 바꾸거나 다른 물질을 피복함으로써 보다 고도의 기능이 부가된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표면개질의 방법은 본 발명의 섬유에 핵산과 특이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섬유의 표면을 개질(modification)시키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섬유는 핵산 결합 물질이 균질하게 코팅되도록 하기 위한 코팅 물질이 먼저 코팅된 후 핵산 결합 물질이 코팅되거나 표면개질 될 수 있다.
즉, 실리카(SiO2)와 같은 핵산 결합 물질이 섬유에 균질하게 코팅되도록 하기 위해 섬유에 폴리도파민(Polydopamine)과 같은 코팅 물질을 먼저 코팅한 후에 실리카 나노 입자 또는 이미다졸(Imidazole)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폴리도파민만으로도 핵산과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섬유에 실리카, 폴리도파민, 이미다졸 또는 L-DOPA 중합체를 코팅하기 위한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코팅 또는 결합 방법을 통해 섬유의 표면이 개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사부(300)의 구동부(340)는 상기 추출부의 섬유를 보호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가압에 따라 몸체부(320)의 왕복이동에 따른 출몰이 가능하다. 즉, 추출부의 복수개의 섬유를 통해 유전체 추출 과정이 진행되는데 섬유는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 분리막(200)이나 챔버(100) 등에 침투하는 경우 손상 등을 통해 유전체 추출 과정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의 (a)에서와 같이 분리막(200)에 침투하는 경우에는 구동부(340)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몸체부(320)가 케이스(310) 내에 이동되도록 하여 추출부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부(300)가 챔버(100) 내에 위치할 때에 사용자에 가압에 의해 몸체부(320)가 전방(Ex. 침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추출부가 케이스(310)의 개방부를 통해 출몰되어 챔버(1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340)의 동작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추출부의 출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검사부(300)를 통해 챔버(100) 내에서 시료와 버퍼가 믹싱(mixing) 또는 볼텍싱(vortexing) 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에서 구동부(340)를 통해 안전하게 추출부가 챔버(100) 내에 위치하는 경우 시료와 버퍼가 섞임으로써 유전체가 추출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검사부(300)가 챔버(100) 내에 진입하는 경우 구동부(340)를 가압함으로써 추출부가 출몰되도록 하고, 추출부가 출몰된 상태에서 시료와 버퍼를 섞음으로써 유전체 추출이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믹싱 혹은 쉐이킹 과정을 통해서 라이시스 챔버(110)에서는 시료 내 세포가 파괴되고, 바인딩 챔버(120)에서는 핵산 작용기가 결합하며, 워싱 챔버(130)에서는 핵산 외 물질들이 씻겨나가고, 일루션 챔버(140)에서는 유전체가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검사부(300)에 대한 여러 형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340)가 몸체부(32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와 달리 도 4의 (b)에는 구동부(340)가 케이스(310)의 측면의 일 부분에 형성된 형태가 나타나 있는데, 사용자는 구동부(340)를 홈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추출부가 출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c)에는 구동부(340)가 구비되지 않은 검사부(300)의 형태가 나타나 있다. 다만,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의 보호를 위해 보호부(335)가 추출부를 둘러싸는 반구 형태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알맞도록 형성된 골무부(370)가 몸체부(3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골무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넣은 후 분리막(200) 및 챔버(100)에 진입하여 믹싱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검사부(300)에 돌기부(350)가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31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350)가 더 포함되고, 돌기부(350)는 추출부(330) 측에서부터 구동부(340) 측으로 갈수록 케이스(310)의 외면으로부터의 돌기부(350)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돌기부(350)는 검사부(300)가 분리막(200)을 침투하여 챔버(100)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검사부(300)를 침투 방향 반대로 잡아당기게 되는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검사부(300)가 해당 챔버(100)로부터 탈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은 돌기부(350)의 형태에 의해서 챔버(100)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유전체 추출 과정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돌기부(350)는 도 5와 같은 경사진 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검사부(300)가 챔버(100) 내에 진입한 경우 진입 방향과는 반대로 되돌아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검사부(300)에 표시부(360)가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310)의 외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표시부(3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360)는 검사부(300)가 분리막(200) 및 챔버(1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에 따라 검사부(300)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에 대비하기 위하여 검사부(300) 케이스(310)에 구분가능한 모양을 표시함으로써 검사부(300)의 장치 내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즉, 검사부(300)의 케이스(310) 외면에 검사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구분가능한 모양의 표시를 통해 검사부(300)의 장치 내 침투에 따른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상기에서 소정의 간격은 유전체 추출 장치의 챔버(100) 및 분리막(200)의 길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배치되는 표시부(360)의 개수 또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60)는 도 6의 (a) 및 (b) 와 같이 검사부(300)의 케이스(310)에 표시될 수도 있지만, 챔버(100)나 분리막(200)의 외면을 투명하게 내부가 보이도록 제작함으로써 검사부(300)의 침투 위치가 확인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유전체 추출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현재 어떠한 프로세스(Ex. 세포파괴, 세척 등)가 진행 중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구성은 어떠한 것이든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분리막(20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분리막(20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막(200)은 유전체 추출 장치의 일측 단면에 부착되거나 복수개의 챔버(100)들 중 각각의 챔버(100)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검사부(300)의 침투에 따라 버퍼가 각각의 챔버(10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막(200)은 검사부(300)의 추출부(330) 측 단부가 챔버(100) 내에 위치한 경우 검사부(300)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추출부(330)의 믹싱(mixing)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분리막(2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 및 도 8은 그 예시적인 형태에 불과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장치의 분리막(200)에는 복수개의 챔버(100)들의 배열 방향으로 돌출되어 원뿔형태로 형성된 바디부(210) 및 바디부(210)의 중앙에 검사부(300)가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동공부(2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210) 및 동공부(220)를 제외한 부분은 검사부(300)의 침투에도 파손이나 손상되지 않도록 유연한 물질로 채워질 수도 있고, 아니면 개방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분리막(200)의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분리막(200)은 도 7에서와 같이 원뿔의 꼭지점 부분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된 바디부(210) 및 바디부(210)의 중심부가 원형으로 개방된 동공부(220)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의 동공부(220)를 바디부(210)가 지지해주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검사부(300)의 진입 시 검사부(300)는 개방된 동공부(220)에 삽입되며, 검사부(300)가 동공부(220)에 삽입된 상태를 바디부(210)가 지지함으로써 검사부(300)의 추출부(330)가 챔버(100) 내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7과는 다른 형태의 분리막(200)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8을 참조하면, 분리막(200)은 속이 빈 원뿔 형태의 일측에 원기둥 형태가 연장되어 형성된 바디부(210) 및 바디부(210)의 원기둥 부분의 중심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동공부(220)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동공부(220)를 통해 검사부(300)가 통과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동공부(220)를 바디부(210)가 지지함으로써 검사부(300)의 통과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분리막(200)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므로 상기의 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분리막(200)은 검사부(300)가 챔버(100)들을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고 챔버(100) 내 수용된 버퍼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검사부(300)가 분리막(200)을 통과하여 챔버(100)에서 믹싱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분리막(200)의 형태를 검사부(300)가 통과하여 챔버(100) 내에서 믹싱이 이루어지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검사부(300)가 분리막(200)의 동공부(220)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를 분리막(200)의 바디부(210)가 지지함으로써 검사부(300)의 추출부(330)를 통해 믹싱이 이루어질 때, 챔버(100) 내 수용된 버퍼가 역류하거나 챔버(10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검사부(300)를 통해챔버(100) 내에서 믹싱이 이루어지는 경우 추출부(330)가 상하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검사부(300)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도 믹싱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바디부(210)는 유연한(flexible)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의 분리막(200)에 밴드부가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장치의 분리막(200)에는 바디부(210)의 돌출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밴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밴드부는 바디부(210)에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검사부(300)가 상기 분리막(200)을 통과할 때 더욱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검사부(300)가 동공부(220)에 위치하여 추출부(330)를 통해 믹싱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검사부(300)와 분리막(200)이 고정되도록 보조함으로써 추출부(330)의 움직임에도 믹싱이 유지되도록 하고, 버퍼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밴드부 외에도 분리막(200)과 검사부(300)가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적인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상기 도 10과 같은 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막(200)의 동공부(220)에는 판막 혹은 패킹부재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판막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막으로 테이핑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이러한 판막을 통해 음압환경이 제공되어 버퍼의 챔버(100) 외 유출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의 판막 혹은 패킹부재는 검사부(300)의 침투 시 자연스럽게 분해될 수 있으며, 분해되어 챔버(100)의 버퍼와 접촉되어도 유전체 추출에는 영향이 없도록 하기 위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유전체 추출 장치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은 라이시스(lysis) 버퍼가 수용된 라이시스 챔버(110)에 시료(sample)를 주입시키는 단계, 라이시스 챔버(110)에 검사부(300)를 침투시켜 시료와 라이시스 버퍼를 믹싱(mixing) 하는 단계, 검사부(300)를 라이시스 챔버(110)로부터 분리막(200)을 통과하도록 하여 바인딩(binding) 버퍼가 수용된 바인딩 챔버(120)에 침투시키는 단계, 바인딩 챔버(120)에서 검사부(300)를 바인딩 버퍼와 믹싱하는 단계, 검사부(300)를 바인딩 챔버(120)로부터 분리막(200)을 통과하도록 하여 워싱(washing) 버퍼가 수용된 워싱 챔버(130)에 침투시키는 단계, 워싱 챔버(130)에서 검사부(300)를 워싱 버퍼와 믹싱하는 단계, 검사부(300)를 워싱 챔버(130)로부터 분리막(200)을 통과하도록 하여 일루션(elution) 버퍼가 수용된 일루션 챔버(140)에 침투시키는 단계 및 일루션 챔버(140)에서 검사부(300)를 일루션 버퍼와 믹싱함으로써 유전체를 추출해내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에 있어서, 검사부(300)에는 양단에 개방부가 구비된 케이스(310) 및 케이스(310) 내부에서 케이스(3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한 몸체부(320)가 포함되고, 몸체부(320)에는 일측 단부에 핵산 결합 물질이 코팅되거나 표면개질 된 복수개의 섬유(fabric)가 부착된 추출부(330) 및 몸체부(32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케이스(310)의 일 개방부에 노출되고,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가압에 따라 몸체부(320)를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추출부(330)가 케이스(310)의 타 개방부로 출몰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부(340)가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에 있어서, 섬유는 핵산 결합 물질이 균질하게 코팅되도록 하기 위한 코팅 물질이 먼저 코팅된 후 핵산 결합 물질이 코팅되거나 표면개질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챔버 110 : 라이시스 챔버
120 : 바인딩 챔버 130 : 워싱 챔버
140 : 일루션 챔버 200 : 분리막
210 : 바디부 220 : 동공부
300 : 검사부 310 : 케이스
320 : 몸체부 330 : 추출부
335 : 보호부 340 : 구동부
350 : 돌기부 360 : 표시부
370 : 골무부

Claims (13)

  1. 유전체 추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추출 장치의 내측에 일 방향으로 형성되어 버퍼(buffer)가 수용되는 복수개의 챔버(chamber)들;
    상기 장치의 일측 단면에 부착되거나 각각의 챔버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버퍼가 상기 각각의 챔버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침투하여 상기 각각의 챔버 내에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챔버 내에서 시료(sample)와 상기 버퍼가 믹싱(mixing)되도록 함으로써 유전체가 추출되도록 하는 검사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추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에는 양단에 개방부가 구비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한 몸체부가 포함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일측 단부에 핵산 결합 물질이 코팅되거나 표면개질 된 복수개의 섬유(fabric)가 부착된 추출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 개방부에 노출되고,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가압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추출부가 상기 케이스의 타 개방부로 출몰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추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 결합 물질에는 실리카(SiO2), 이미다졸(imidazole), 폴리도파민(polydopamine) 및 poly(3,4-dihydroxy-L-phenylalanine)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추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상기 핵산 결합 물질이 균질하게 코팅되도록 하기 위한 코팅 물질이 먼저 코팅된 후 핵산 결합 물질이 코팅되거나 표면개질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추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추출부 측에서부터 상기 구동부 측으로 갈수록 상기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의 상기 돌기부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추출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표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추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에는 상기 복수개의 챔버들의 배열 방향으로 돌출되어 원뿔형태로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앙에 상기 검사부가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동공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추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에는 상기 바디부의 돌출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밴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추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챔버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이시스(lysis) 버퍼, 바인딩(binding) 버퍼, 워싱(washing) 버퍼 및 일루션(elution) 버퍼가 수용된 챔버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추출 장치.
  10. 유전체 추출 장치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에 있어서,
    라이시스(lysis) 버퍼가 수용된 라이시스 챔버에 시료(sample)를 주입시키는 단계;
    상기 라이시스 챔버에 검사부를 침투시켜 상기 시료와 상기 라이시스 버퍼를 믹싱(mixing) 하는 단계;
    상기 검사부를 상기 라이시스 챔버로부터 분리막을 통과하도록 하여 바인딩(binding) 버퍼가 수용된 바인딩 챔버에 침투시키는 단계;
    상기 바인딩 챔버에서 상기 검사부를 상기 바인딩 버퍼와 믹싱하는 단계;
    상기 검사부를 상기 바인딩 챔버로부터 분리막을 통과하도록 하여 워싱(washing) 버퍼가 수용된 워싱 챔버에 침투시키는 단계;
    상기 워싱 챔버에서 상기 검사부를 상기 워싱 버퍼와 믹싱하는 단계;
    상기 검사부를 상기 워싱 챔버로부터 분리막을 통과하도록 하여 일루션(elution) 버퍼가 수용된 일루션 챔버에 침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일루션 챔버에서 상기 검사부를 상기 일루션 버퍼와 믹싱함으로써 유전체를 추출해내는 단계;가 포함되는 유전체 추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에는 양단에 개방부가 구비된 케이스;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한 몸체부;가 포함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일측 단부에 핵산 결합 물질이 코팅되거나 표면개질 된 복수개의 섬유(fabric)가 부착된 추출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 개방부에 노출되고,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가압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추출부가 상기 케이스의 타 개방부로 출몰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추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상기 핵산 결합 물질이 균질하게 코팅되도록 하기 위한 코팅 물질이 먼저 코팅된 후 핵산 결합 물질이 코팅되거나 표면개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추출 방법.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90087065A 2018-08-02 2019-07-18 현장용 유전체 추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 KR102192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9481 WO2020027544A1 (ko) 2018-08-02 2019-07-30 현장용 유전체 추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325 2018-08-02
KR20180090325 2018-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377A KR20200015377A (ko) 2020-02-12
KR102192300B1 true KR102192300B1 (ko) 2020-12-21

Family

ID=6956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065A KR102192300B1 (ko) 2018-08-02 2019-07-18 현장용 유전체 추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3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7631A1 (en) 2001-04-26 2002-12-26 Lawrence Nathan P. Multichamber device and uses thereof for processing of biological sampl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684B1 (ko) * 2003-01-29 2005-04-18 (주)바이오넥스 핵산 또는 다양한 생물학적 물질을 분리 및 정제하기 위한키트와, 이러한 키트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물질의 분리또는 정제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시스템
KR101415001B1 (ko) 2012-10-30 2014-07-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핵산 추출 또는 증폭을 위한 휴대용 장치
KR101817671B1 (ko) * 2016-04-22 2018-01-12 (주)어핀텍 추출물 분리 및 정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7631A1 (en) 2001-04-26 2002-12-26 Lawrence Nathan P. Multichamber device and uses thereof for processing of biological samp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377A (ko) 202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76468B (zh) 一种全自动核酸检测方法及试管
CN101415813B (zh) 微流体装置
ES2578263T3 (es) Dispositivo para una PCR directa usando un material polimérico como soporte de la muestra
US20210372988A1 (en) Whole blood separation sampling apparatus
KR20180048558A (ko) 생물학적 샘플로부터 바이오분자를 정제하고 테스트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요소,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955708B1 (ko) 핵산 추출튜브 및 이를 이용한 핵산 추출방법
JP2007531894A (ja) 血塊保持具
US20160290902A1 (en) Preparation of samples for analysis and sampling device therefor
WO2018071296A1 (en) Point of care isothermal diagnostic
CN105772124B (zh) 用于阵列化核酸检测的微流控芯片
KR102192300B1 (ko) 현장용 유전체 추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
US20180299360A1 (en) Methods for selectively analyzing biological samples
US9463461B2 (en) Self-contained cartridge and methods for integrated biochemical assay at the point-of-care
WO2023137139A2 (en) Mechanical microfluidic manipulation
WO2014065758A1 (en) A method of isolating nucleic acids in an aqueous sample using microfluidic device
WO2007131138A2 (en) Swab extraction device and methods of using
CN110023758A (zh) 用于从体液样本中分离分析物的设备、系统、方法和套件
KR102177634B1 (ko) 분자진단용 전처리 키트
KR102458032B1 (ko) Rt-pcr 디바이스
KR20220139264A (ko) 가압식 검체 샘플링 장치
CN210945545U (zh) 一种高通量微流控快速核酸提取及检测装置
CN106148184B (zh) 一种设置有磁珠转移结构的试剂卡盒
KR20150107374A (ko) 오일과 친수성 자성 비드를 이용한 핵산 추출 및 증폭 방법
WO2020027544A1 (ko) 현장용 유전체 추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전체 추출 방법
WO2022125071A1 (en) Input port se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