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248B1 -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248B1
KR102192248B1 KR1020200053404A KR20200053404A KR102192248B1 KR 102192248 B1 KR102192248 B1 KR 102192248B1 KR 1020200053404 A KR1020200053404 A KR 1020200053404A KR 20200053404 A KR20200053404 A KR 20200053404A KR 102192248 B1 KR102192248 B1 KR 102192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information
cut
storage box
rfid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수형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니스트초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니스트초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니스트초이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세절육을 낱개로 분류하여 보관 가능하며, 보관 공간마다 세절육 관리를 위한 RFID 태그가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 카트; 상기 스마트 카트로부터 수신되는 세절육에 대한 정보 및 RFID 리더기 고유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RFID 리더기;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세절육에 대한 정보 및 RFID 리더기 고유정보를 기초로 세절육의 상태 및 유통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관리를 수행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및 관리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세절육 관리 서버; 및 상기 세절육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및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정보 확인 및 제어 요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카트는, 제1 보관함 및 제2 보관함을 포함하는 복수의 보관함 및 랙(rack)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관함 및 제2 보관함을 포함하는 복수의 보관함은 각각 i)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되어 있어 외부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내부에 보관되는 세절육으로 하여금 외부 충격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ii) 신호 또는 정보 송수신,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 측정, 세절육 입고/출고 감지가 가능한 RFID 태그인 제1 태그가 구비되어 있으며, iii) 일측면에 상기 제1 태그와 연동되어 제어가 수행되는 제1 냉각장치(cooler) 또는 제1 히팅장치(heater)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랙(rack)은 격자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격자의 공간마다 보관함의 적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RFID 리더기는, 가공 공장, 포장 공장, 이송 차량 및 유통업체 진열장을 포함하는 유통 과정에서 육류가 이송되는 장소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는, 세절육의 입고 시간, 출고 시간, 보관 기간, 종류, 부위, 실시간 위치 정보, 보관되고 있는 공간의 습도 및 온도 정보, 보관되고 있는 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RFID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A SMART CART AND SYSTEM FOR MANAGING SLICED MEAT DISTRIBUTION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낱개로 보관되는 보관함 및 랙(rack)으로 구성된 스마트 카트를 통해 세절육이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세절육의 신선도가 유지될 뿐만 아니라 세절육 보관 상태 등의 육류 유통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육가공 유통은 일반적으로 도축장에서 1차 가공하여 부분육을 만들고, 2차 가공으로 부분육을 랩핑(wrapping) 및 진공 팩하여 기계 또는 사람의 손으로 세절하며, 이후 세절된 세절육을 이송수단을 통해 마트 등의 진열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유통하게 된다.
기존의 2차 가공 및 세절육 이동 방식으로는, 사람이 부분육을 세절한 후 보관 바구니에 세절육을 던져 쌓아두고 롤러를 통해 이동시키거나, 세절육을 트레일러에 쌓아서 이동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2차 가공 및 세절육 이동 방식으로는, 세절육이 외부 습도 및 온도 등 외부 환경에 쉽게 노출되어 신선도가 유지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보관 방법이 불안정하여 세절육이 추락하거나 이송 중에 충격을 받을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충격이 가해지면 육즙이 빠져나오고 마르게 되면서 중량이 떨어지고 맛이 없어지는 육류의 특성 상 신선도의 유지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절육이 보관 바구니에 무분별하게 쌓인 상태로 보관 및 이동되는 경우, 세절육 각각의 상태 및 전체 수량을 육안으로 파악하기 어렵고, 이동 시 세절육의 수량을 다시 세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절육의 충격 및 외부 노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분육을 마트에 유통시켜 마트에서 자체적으로 세절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러한 방식은 육가공 유통에 있어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육가공 유통 과정에서 육류의 외부 환경 및 충격에 대한 노출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유통 시 육류의 전반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낱개로 보관되는 보관함 및 랙(rack)으로 구성된 스마트 카트를 통해 세절육이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세절육의 신선도가 유지될 뿐만 아니라 세절육 보관 상태 등의 육류 유통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세절육을 낱개로 분류하여 보관 가능하며, 보관 공간마다 세절육 관리를 위한 RFID 태그가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 카트; 상기 스마트 카트로부터 수신되는 세절육에 대한 정보 및 RFID 리더기 고유정보를 세절육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RFID 리더기;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세절육에 대한 정보 및 RFID 리더기 고유정보를 기초로 세절육의 상태 및 유통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관리를 수행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및 관리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세절육 관리 서버; 및 상기 세절육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및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정보 확인 및 제어 요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카트는, 제1 보관함 및 제2 보관함을 포함하는 복수의 보관함 및 랙(rack)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관함 및 제2 보관함을 포함하는 복수의 보관함은 각각 i)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되어 있어 외부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내부에 보관되는 세절육으로 하여금 외부 충격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ii) 신호 또는 정보 송수신,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 측정, 세절육 입고/출고 감지가 가능한 RFID 태그인 제1 태그가 구비되어 있으며, iii) 일측면에 상기 제1 태그와 연동되어 제어가 수행되는 제1 냉각장치(cooler) 또는 제1 히팅장치(heater)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랙(rack)은 격자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격자의 공간마다 보관함의 적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RFID 리더기는, 가공 공장, 포장 공장, 이송 차량 및 유통업체 진열장을 포함하는 유통 과정에서 육류가 이송되는 장소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는, 세절육의 입고 시간, 출고 시간, 보관 기간, 종류, 부위, 실시간 위치 정보, 보관되고 있는 공간의 습도 및 온도 정보, 보관되고 있는 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RFID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냉각장치 및 상기 제1 히팅장치는, 관리자에 의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냉각 요청 신호 또는 히팅 요청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세절육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보관함 내 세절육의 입고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제1 태그로부터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i)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보관함의 상기 제1 태그로 상기 제1 냉각장치 또는 상기 제1 히팅장치에 대한 냉각 요청 신호 또는 히팅 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ii)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제어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보관함의 상기 제1 태그로 상기 제1 냉각장치 또는 상기 제1 히팅장치에 대한 냉각 요청 신호 또는 히팅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냉각 요청 신호 또는 히팅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도, 상기 제1 보관함 내 세절육 입고에 따라 상기 제1 냉각장치 또는 상기 제1 히팅장치가 자동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태그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보관함 내 세절육이 입고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 활성화되어 상기 RFID 리더기로 주기적으로 RF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세절육 관리 서버는,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세절육의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RFID 리더기 고유정보에 대한 변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보관함 또는 세절육의 이송 경로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절육의 이송 장치인 스마트 카트의 보관함 내 RFID를 통해 육류의 상태 정보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고, 유통 과정의 전반적인 정보 관리가 동시에 수행되며, 모니터링을 통해 육류의 상태에 따라 보관함 내 히팅 또는 쿨링에 대한 제어가 수행됨에 따라,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를 통해 세절육 신선도 유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절육이 한꺼번에 보관 및 이송되지 않고, 낱개로 보관함에 각각 보관되어 이송되는 바, 재고 수량의 파악이 용이하고, 세절육마다 상이한 상태에 따른 개별적인 관리가 가능하므로, 보다 효율적이고 신선도 유지가 확보되는 유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한 형태의 이송 장치인 스마트 카트를 통해 육류가 이동되며, 세절 후 이송 시 세절육을 이송 차량에 별도 이동시키지 않고, 카트 자체를 이송 차량에 싣어 마트 등으로 유통하는 바, 육류의 외부 환경에 대한 노출 및 충격에 대한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하므로, 신선도 유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을 통해 육류가 유통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은, 제1 보관함(111) 및 제2 보관함(112)를 포함하는 복수의 보관함(110)과 랙(rack)(120)을 포함하는 스마트 카트(100), RFID 리더기(200), 세절육 관리 서버(300) 및 관리자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보관함(110) 각각은 RFID 태그를 구비하고 있어, 제1 보관함(111) 및 제2 보관함(112) 각각은 RFID 태그인 제1 태그(131) 및 제2 태그(132)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카트(100) 내 제1 보관함(111) 및 제2 보관함(112)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제1 태그(131) 및 제2 태그(132)와 RFID 리더기(20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ID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를 이용하여 물건이나 사람 등과 같은 대상을 식별(Identification)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을 말하며, 안테나와 칩으로 구성된 RFID 태그에 정보를 저장하여 적용 대상에 부착한 후, RFID 리더를 통하여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활용되는 기술이다.
또한, RFID 리더기(200), 세절육 관리 서버(300) 및 관리자 단말기(400)는 각각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카트(100)는 세절육을 보관하고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세절육을 낱개로 분류하여 보관 가능하며, 보관 공간마다 세절육 관리를 위한 RFID 태그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카트(100)는 제1 보관함(111) 및 제2 보관함(112)을 포함하는 복수의 보관함(110) 및 랙(120)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관함(111) 및 제2 보관함(112)을 포함하는 복수의 보관함(110)은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되어 있어 외부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내부에 보관되는 세절육으로 하여금 외부 충격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신호 또는 정보 송수신,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 측정, 세절육 입고/출고 감지가 가능한 RFID 태그인 제1 태그(1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상기 제1 태그(131)와 연동되어 제어가 수행되는 제1 냉각장치(cooler) 또는 제1 히팅장치(heater)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태그(131)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제1 보관함(111) 내 세절육이 입고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 활성화되어 RFID 리더기(200)로 주기적으로 RF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장치 및 상기 제1 히팅장치는, 관리자에 의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냉각 요청 신호 또는 히팅 요청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랙(120)은 격자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격자의 공간마다 보관함의 적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RFID 리더기(200)는 가공 공장, 포장 공장, 이송 차량 및 유통업체 진열장을 포함하는 유통 과정에서 육류가 이송되는 장소 각각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스마트 카트(100)로부터 수신되는 세절육에 대한 정보 및 RFID 리더기 고유정보를 세절육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는, 세절육의 입고 시간, 출고 시간, 보관 기간, 종류, 부위, 실시간 위치 정보, 보관되고 있는 공간의 습도 및 온도 정보, 보관되고 있는 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RFID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세절육 관리 서버(300)는 RFID 리더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세절육에 대한 정보 및 RFID 리더기 고유정보를 기초로 세절육의 상태 및 유통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관리를 수행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및 관리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절육 관리 서버(300)는 제1 보관함(111) 내 세절육의 입고가 감지됨에 따라 제1 태그(131)로부터 RFID 리더기(200)를 통해 세절육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RFID 리더기(200)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어 이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보관함(111)의 상기 제1 태그(131)로 제1 냉각장치 또는 제1 히팅장치에 대한 냉각 요청 신호 또는 히팅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상기 냉각 요청 신호 또는 히팅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도, 상기 제1 보관함(111) 내 세절육 입고에 따라 제1 냉각장치 또는 제1 히팅장치가 자동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세절육 관리 서버(300)는 제1 보관함(111) 내 세절육의 입고가 감지됨에 따라 제1 태그(131)로부터 RFID 리더기(200)를 통해 세절육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RFID 리더기(200)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소정의 제어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보관함(111)의 상기 제1 태그(131)로 제1 냉각장치 또는 제1 히팅장치에 대한 냉각 요청 신호 또는 히팅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냉각 요청 신호 또는 히팅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도, 상기 제1 보관함(111) 내 세절육 입고에 따라 제1 냉각장치 또는 제1 히팅장치가 자동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세절육 관리 서버(300)는 세절육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세절육의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세절육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여 RFID 리더기(200)로부터 수신되는 RFID 리더기 고유정보에 대한 변경 정보를 기초로 제1 보관함(111) 또는 세절육의 이송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세절육 유통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400)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이 업로드 되어 있는 앱 스토어 서버(미도시)에 접속한 후, 세절육 유통 관리 프로그램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절육 유통 관리 프로그램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세절육 유통 관리 정보 제공, 스마트 카트 내 냉각 장치 또는 히팅 장치 제어, 세절육 상태 모니터링 등 세절육 유통 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제어 프로그램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세절육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및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정보 확인 및 제어 요청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100) 및 이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을 통해 육류가 유통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설명상 편의를 위해, 스마트 카트(100) 내 제1 보관함(111)에서 수집 및 전송되는 세절육에 대한 정보를 제1 관리정보라 하고, 도 2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는 제1 보관함(111)에서 실시되는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스마트 카트(100) 내 제1 보관함(111)에 세절육이 입고됨에 따라 제1 태그(131)는 세절육의 입고를 감지하여 세절육에 대한 정보, 즉, 제1 관리정보를 신호로 방출함으로써 RFID 리더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201).
이 때, 세절육에 대한 정보, 다시 말해, 제1 관리정보는 세절육의 입고 시간, 출고 시간, 보관 기간, 종류, 부위, 실시간 위치 정보, 보관되고 있는 공간의 습도 및 온도 정보 등 세절육에 대한 유통 관련 정보, 출고지 정보 및 제1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 태그 정보는, RFID 태그인 제1 태그(131)의 고유식별정보일 수 있다.
RFID 리더기(200)는 제1 태그(131)로부터 수신한 제1 관리정보와 해당 RFID 리더기 정보를 세절육 관리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RFID를 통해 송수신된 세절육에 대한 정보로 세절육의 유통에 대한 관리 또는 모니터링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S202).
세절육 관리 서버(300)는 상기 수신한 제1 관리정보 및 RFID 리더기 정보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을 실시함으로써 세절육 및 세절육 유통에 대한 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S2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절육 관리 서버(300)는 세절육 및 세절육 유통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또는 관리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하여, 관리자 단말기(400)에 해당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세절육 유통 관리자로 하여금 관리자 단말기(400)를 통해 세절육 및 세절육 유통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S203-1).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관리자는 스마트 카트(100) 내 복수의 보관함(110)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냉각장치 또는 히팅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관리자 단말기(400)는 제1 보관함(111)에 구비되어 있는 제1 냉각장치 또는 제1 히팅장치로 냉각 요청 신호 또는 히팅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S204), 이에 따라 제1 보관함(111)의 제1 냉각장치 또는 제1 히팅장치가 제어되어, 제1 보관함(111) 내 보관되어 있는 세절육이 관리자 판단에 의한 신선도가 유지되는 조건으로 보관 및 유통될 수 있다(S205).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100)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카트(100)는 복수의 보관함(110) 및 랙(120)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단에 바퀴가 부착되어 이송이 용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면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보관함(110) 각각에는 세절육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냉각장치 및 히팅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냉각장치 및 히팅장치는 보관함 내 함께 구비되어 있는 RFID 태그와 연동되어 제어될 수 있다.
복수의 보관함(110) 각각에 구비된 RFID 태그는, 온도/습도 등 환경 정보의 취득 또는 감지가 가능하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세절육에 대한 입고/출고 감지 또한 가능하다.
상기 RFID 태그는 자체적으로 세절육의 입고/출고 감지가 가능함에 따라 세절육의 입고 시간 및 출고 시간 기록이 가능하며, 실시간 위치 정보도 자체적인 기록이 가능할 수 있다. 온도/습도 등의 보관함 내 환경 정보와 세절육의 온도 또는 강직도 등도 자체적인 측정 및 기록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RFID 태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체적인 정보 수집 및 기록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지만, 각각 정보를 취득하는 별개의 모듈과 연동되어 복수의 모듈 각각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 및 기록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세절육에 대한 정보 중 세절육에 대한 종류, 부위 등의 정보는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입력 및 수신된 정보일 수 있으며, RFID 태그 내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40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400)를 통해 스마트 카트(100) 내 복수의 보관함(110)에 대한 재고 관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카트(100)에 대한 정보와 해당 스마트 카트(100) 내 복수의 보관함(110)에 대한 모식도가 간략하게 표현되고, 보관함 내 세절육의 입고 유무에 따라 별도 표기되어, 관리자로 하여금 스마트 카트(100) 내 세절육 재고 현황 파악이 용이하도록 관리자 단말기(400)에 디스플레이 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400)는 세절육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세절육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400)를 통해 특정 스마트 카트(100)의 특정 보관함을 선택하면, 관리자 단말기(400)는 선택된 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 세절육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는, 관리자 단말기(400)가 관리자로부터 선택된 보관함의 정보를 세절육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면, 세절육 관리 서버(300)가 상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세절육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함으로써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는 일 이상의 관리자 단말기(400)를 통해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일 수 있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400)는 보관함 내 구비되어 있는 RFID 태그를 통해 수집된 보관함의 정보 및 세절육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기(400)는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보관함의 온도 및 습도 등의 환경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보관함 내 구비되어 있는 냉각장치 또는 히팅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입력 버튼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자에 의해 "냉각" 입력 버튼이 선택되면, 관리자 단말기(400)는 세절육 관리 서버(300)를 통해 상기 RFID 태그로 냉각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보관함 내 냉각장치가 구동 제어됨으로써 보관함 내 온도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보관함(110)이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아닌 복수의 보관함(110) 각각 개별적으로 관리자의 판단, 조건 또는 환경에 따라 제어될 수 있음으로써, 신선도 유지 조건이 상이한 부위의 세절육에 대해 동일한 카트 내 보관이 가능함으로써 보관 공간이 효율적으로 확보됨에 따라, 세절육의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할 수도 있다.
또한, 세절육에 대한 정보 확인 및 모니터링이 가능함에 따라 세절육 유통에 있어서 관리가 용이하고, 신선도가 향상된 육류의 유통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상 편의를 위해 스마트 카트(100) 내 일 이상의 보관함에서 선택적으로 실시되는 동작들을 제1 보관함(111) 또는 제2 보관함(112)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복수의 RFID 태그 각각에서 선택적으로 실시되는 동작들을 제1 태그(131) 또는 제2 태그(132)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는 제1 보관함(111) 또는 제2 보관함(112)과 제1 태그(131) 또는 제2 태그(132)로 한정되지 않고 제1 보관함(111) 및 제2 보관함(112)을 포함하는 복수의 보관함(110) 및 제1 태그(131) 및 제2 태그(132)를 포함하는 복수의 RFID 태그로 이해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절육의 이송 장치인 스마트 카트의 보관함 내 RFID를 통해 육류의 상태 정보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고, 유통 과정의 전반적인 정보 관리가 동시에 수행되며, 모니터링을 통해 육류의 상태에 따라 보관함 내 히팅 또는 쿨링에 대한 제어가 수행됨에 따라,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를 통해 세절육 신선도 유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절육이 한꺼번에 보관 및 이송되지 않고, 낱개로 보관함에 각각 보관되어 이송되는 바, 재고 수량의 파악이 용이하고, 세절육마다 상이한 상태에 따른 개별적인 관리가 가능하므로, 보다 효율적이고 신선도 유지가 확보되는 유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한 형태의 이송 장치인 스마트 카트를 통해 육류가 이동되며, 세절 후 이송 시 세절육을 이송 차량에 별도 이동시키지 않고, 카트 자체를 이송 차량에 싣어 마트 등으로 유통하는 바, 육류의 외부 환경에 대한 노출 및 충격에 대한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하므로, 신선도 유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스마트 카트
110 : 복수의 보관함
111 : 제1 보관함
112 : 제2 보관함
120 : 랙(rack)
131 : 제1 태그
132 : 제2 태그
200 : RFID 리더기
300 : 세절육 관리 서버
40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3)

  1.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세절육을 낱개로 분류하여 보관 가능하며, 보관 공간마다 세절육 관리를 위한 RFID 태그가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 카트;
    상기 스마트 카트로부터 수신되는 세절육에 대한 정보 및 RFID 리더기 고유정보를 세절육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RFID 리더기;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세절육에 대한 정보 및 RFID 리더기 고유정보를 기초로 세절육의 상태 및 유통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관리를 수행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및 관리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세절육의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RFID 리더기 고유정보에 대한 변경 정보를 기초로 제1 보관함 또는 세절육의 이송 경로를 파악하는 세절육 관리 서버; 및
    상기 세절육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및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정보 확인 및 제어 요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카트는,
    상기 제1 보관함 및 제2 보관함을 포함하는 복수의 보관함 및 랙(rack)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관함은 각각 i)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되어 있어 외부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내부에 보관되는 세절육으로 하여금 외부 충격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ii) 신호 또는 정보 송수신,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 측정, 세절육 입고/출고 감지가 가능한 RFID 태그인 제1 태그가 구비되어 있으며, iii) 일측면에 상기 제1 태그와 연동되어 제어가 수행되는 제1 냉각장치(cooler) 또는 제1 히팅장치(heater)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태그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보관함 내 세절육이 입고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 활성화되어 상기 RFID 리더기로 주기적으로 RF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랙(rack)은 격자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격자의 공간마다 보관함의 적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RFID 리더기는,
    가공 공장, 포장 공장, 이송 차량 및 유통업체 진열장을 포함하는 유통 과정에서 육류가 이송되는 장소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는,
    세절육의 입고 시간, 출고 시간, 보관 기간, 종류, 부위, 실시간 위치 정보, 보관되고 있는 공간의 습도 및 온도 정보, 보관되고 있는 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RFID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장치 및 상기 제1 히팅장치는,
    관리자에 의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냉각 요청 신호 또는 히팅 요청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절육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보관함 내 세절육의 입고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제1 태그로부터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i)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어 이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보관함의 상기 제1 태그로 상기 제1 냉각장치 또는 상기 제1 히팅장치에 대한 냉각 요청 신호 또는 히팅 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ii)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세절육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제어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보관함의 상기 제1 태그로 상기 제1 냉각장치 또는 상기 제1 히팅장치에 대한 냉각 요청 신호 또는 히팅 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냉각 요청 신호 또는 히팅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도, 상기 제1 보관함 내 세절육 입고에 따라 상기 제1 냉각장치 또는 상기 제1 히팅장치가 자동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 이력 정보는, 상기 제1 보관함의 상기 제1 냉각장치 또는 상기 제1 히팅장치에 대한 냉각 요청 신호 또는 히팅 요청 신호의 전송 이력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세절육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정의 제어 설정 정보는, 상기 제1 보관함에 대하여 쿨링 또는 히팅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
KR1020200053404A 2019-11-13 2020-05-04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 KR1021922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099 2019-11-13
KR20190145099 2019-1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248B1 true KR102192248B1 (ko) 2020-12-16

Family

ID=7404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404A KR102192248B1 (ko) 2019-11-13 2020-05-04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2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657B1 (ko) * 2021-01-28 2021-09-03 주식회사 승기 건어물 유통 관리시스템
KR102423066B1 (ko) 2021-08-12 2022-07-21 농업회사법인 디에이치팩토리 주식회사 정보기술을 이용한 육류 종합 관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6872A (ja) * 2004-10-18 2008-05-22 フードキャッ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生鮮食品の加工と流通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10537345A (ja) * 2007-08-24 2010-12-02 ウォル−マート ストア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増強rfid輸送デバイスセンサーネットワークのシステムと方法
KR20140145043A (ko) * 2013-06-12 2014-12-22 자바무선기술(주) 주류관리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및 방법
KR101638401B1 (ko) * 2015-01-30 2016-07-20 전자부품연구원 물류 추적 시스템에 적용되는 능동형 rfid 태그 및 그 통신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6872A (ja) * 2004-10-18 2008-05-22 フードキャッ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生鮮食品の加工と流通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10537345A (ja) * 2007-08-24 2010-12-02 ウォル−マート ストア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増強rfid輸送デバイスセンサーネットワークのシステムと方法
KR20140145043A (ko) * 2013-06-12 2014-12-22 자바무선기술(주) 주류관리 알에프아이디 시스템 및 방법
KR101638401B1 (ko) * 2015-01-30 2016-07-20 전자부품연구원 물류 추적 시스템에 적용되는 능동형 rfid 태그 및 그 통신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657B1 (ko) * 2021-01-28 2021-09-03 주식회사 승기 건어물 유통 관리시스템
KR102423066B1 (ko) 2021-08-12 2022-07-21 농업회사법인 디에이치팩토리 주식회사 정보기술을 이용한 육류 종합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3918B2 (en) Actively managed food delivery
KR101308620B1 (ko) 실시간 물품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
JP4774631B2 (ja) 生鮮食料品の管理システム
US101301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retail display
US201800052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reshness information
KR102192248B1 (ko)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세절육 유통 관리 시스템
US20180181906A1 (en) Stock management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20140313055A1 (en) Sensing device and method to monitor perishable goods
CN103310381A (zh) 一种实现农产品安全可追溯的方法及系统
KR101717595B1 (ko) Iot 기반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분석기법을 통한 신선 상품유통 방법
CN104864654A (zh) 储物柜及其控制方法和控制系统
US11941679B1 (en) Notifying users of item expiration
US10951269B2 (en) Smart packaging and display system
Hsueh et al. A model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of perishable products
KR20140039833A (ko) Rfid 태그와 nfc 태그를 이용한 실시간 물품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
US10860976B2 (en) Inventory tracking
US20140136430A1 (en) Product integrity monitor
US20190026689A1 (en) Data warehouse for a cold chain system
US20190205835A1 (en) Refrigeration management system
KR20150121415A (ko)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농산물 수확량 및 유통량 모니터링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농산물 데이터 처리 시스템
CN103364109B (zh) 一种用于采集粮食温度的温度采集系统及方法
KR102610852B1 (ko) 배양 장치, 자동 판매 장치 및 이들의 동작 방법
CN109902776A (zh) 一种温度监控方法及装置
KR102544789B1 (ko) 제품 배송 시스템용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패널(epd)
US20230245039A1 (en) Tracking system for food commodity supply 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