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034B1 - 폐기물 자원화 설비 - Google Patents

폐기물 자원화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034B1
KR102192034B1 KR1020190018044A KR20190018044A KR102192034B1 KR 102192034 B1 KR102192034 B1 KR 102192034B1 KR 1020190018044 A KR1020190018044 A KR 1020190018044A KR 20190018044 A KR20190018044 A KR 20190018044A KR 102192034 B1 KR102192034 B1 KR 102192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movable ring
screw
shaf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9868A (ko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박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철 filed Critical 박영철
Priority to KR102019001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0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 폐기물, 유기성 폐기물, 무기성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폐기물을 압축 및 이송시키면서 수분을 제거하는 등의 처리를 거쳐 자원화하는 폐기물 자원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폐기물의 압축 이송 시, 피치에 변화를 주는 스크류 날개 그룹 및 스크류 날개 그룹 간에 스페이서를 조성한 다단 압축 이송식의 스크류 장치, 서로 엉켜있는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끊어주고 또 압착할 수 있는 커팅 및 압착 장치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폐기물 자원화 설비를 구현함으로써, 폐기물의 압축 효율 및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섬유질을 많이 포함하면서 엉켜있는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끊어서 헤쳐줄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우수한 탈수 효율을 확보할 수 있는 폐기물 자원화 설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기물 자원화 설비{Waste recycling equipment}
본 발명은 폐기물 자원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 폐기물, 유기성 폐기물, 무기성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폐기물을 압축 및 이송시키면서 수분을 제거하는 등의 처리를 거쳐 자원화하는 폐기물 자원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로 이루어지는 현대사회는 산업 폐기물, 유기성 폐기물, 무기성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대량의 폐기물의 의해 심각한 환경오염문제를 초래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환경오염문제로는 대량의 폐기물에 의한 토양ㆍ수질오염문제와 에너지의 대량소비에 의한 공기오염문제 등이 있다.
이러한 토양ㆍ수질오염문제와 관련하여 농업분야에서도 자유로운 입장만은 아니며, 생산의 효율성이 우선시되면서 집약적 농업이 추진된 결과 농약ㆍ화학비료의 과다한 투하 및 가축분뇨의 부적절한 관리로 인하여 토양ㆍ수질오염문제가 야기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폐기물의 처리와 관련하여 폐기물을 소각이나 건조하는 경우에 폐기물에 직접적인 화염을 가하거나 스팀 등을 가하는 경우에 폐기물의 적재량, 밀도, 수분 함유량, 소각로 크기, 가열온도 등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완전연소나 완전건조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불완전 연소나 건조에 따른 악취, 그을음, 먼지, 대기오염 공해배출가스 등이 다량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가축분뇨, 음식물 쓰레기, 오폐수 슬러지 등의 유기성 및 무기성 폐기물은 물론 각종 산업 폐기물은 탈수 후 소각, 매립 등의 방법으로 처분되며, 일부는 재활용하고 있으나, 대부분 해양에 배출하여 처리한다.
그러나, 최근 해양오염 방지를 위해 해양배출이 금지되었고, 소각의 경우에는 막대한 시설 투자가 필요함은 물론 주변 거주민들의 민원이 극심하며, 혐기성 소화를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의 경우 에너지 효율면에서 효과가 크지 않고 소화폐액의 처리 문제가 잔존한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는 각 가정의 주방에서 주로 발생되며,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 배출된다.
이렇게 각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일반 쓰레기와 분리된 상태에서 종량제 봉투에 담아 공동주택 앞의 정해진 장소에 모아두는 방식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별도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 넣어 두었다가 수거 날짜가 되면 차량에 의한 수거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처리한다.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 방식은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의 경우 일일이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무거운 쓰레기 봉투를 들고 원거리의 정해진 장소에 버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의 함량이 많기 때문에 일정시간 방치할 경우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하게 되고, 음식물 쓰레기 적치로 인해 미관상 좋지 않은 등 환경 및 위생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매립장이나 소각장에서 일반 쓰레기와 함께 처리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 경우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의 함량 때문에 어려움이 있고, 처리 비용의 증가는 물론 환경 오염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음식물 쓰레기 등을 포함하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장치는 발효식, 소멸식, 압착 탈수식, 원심 탈수식, 가열 건조식, 소각식, 위의 방식을 조합한 복합식 등의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폐기물 처리장치는 폐기물를 가열, 분쇄 및/또는 건조하는 일련의 과정을 모두 포함하며, 가열 건조식 폐기물 처리장치는 밀폐된 챔버 내에서 공기를 내부 순환시켜 처리물을 반복적으로 건조시키고, 처리물에서 발생된 습증기를 응축하여 습기를 제거함과 더불어 건조된 공기로 다시 처리물을 건조하며, 응축과정의 응축수를 이용하여 처리가스 중의 악취를 수집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폐기물을 처리한다.
일 예로서, 폐기물 처리장치는 크게 압축 진행기와 건조기로 구성되는데, 압축 진행기는 폐기물 투입구를 통해서 들어오는 폐기물을 압축 및 진행시켜서 건조기측으로 보내고, 건조기는 압축 진행기측에서 진행되어오는 폐기물을 일정한 시간 동안 건조시켜 배출하며, 이렇게 압축 및 이송되고 일정한 시간 동안 수분이 제거된 폐기물는 비료나 사료로 사용되거나 일반 쓰레기 소각장에서 소각 처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류 장치 및 그 주변 장치의 구조 및 성능을 개선하여 폐기물의 압축 효율과 이송 효율, 그리고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폐기물 자원화 설비를 그 안출의 대상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10-2016-0092358호 한국 공개특허 10-2018-0007482호 한국 공개특허 10-2018-0016025호 한국 공개특허 10-2018-0033258호 한국 공개특허 10-2018-013662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폐기물의 압축 이송 시, 피치에 변화를 주는 스크류 날개 그룹 및 스크류 날개 그룹 간에 스페이서를 조성한 다단 압축 이송식의 스크류 장치, 서로 엉켜있는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끊어주면서 압착할 수 있는 커팅 및 압착 장치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폐기물 자원화 설비를 구현함으로써, 폐기물의 압축 효율 및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섬유질을 많이 포함하면서 엉켜있는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끊어서 헤쳐줄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우수한 탈수 효율을 확보할 수 있는 폐기물 자원화 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폐기물 자원화 설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폐기물 자원화 설비는 앞쪽의 폐기물 투입구와 뒷쪽의 폐기물 배출구, 그리고 아래쪽의 처리수 저장부를 가지는 설비 본체와, 상기 설비 본체의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 사이에 수평 설치되면서 폐기물 투입구 및 폐기물 배출구와 통하는 타공관과, 상기 타공관의 내측에 동축 구조로 나란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설비 본체의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수평 설치되고, 모터 동력으로 회전하면서 폐기물을 압축 및 이송시키는 스크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장치는 모터 동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주부 둘레에 동축 구조로 결합되면서 직경을 달리하는 다단계의 단차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샤프트 중공관과, 상기 샤프트 중공관의 외주면상에 샤프트 중공관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형성되면서 폐기물을 압축 및 이송하는 스크류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날개는 피치를 달리하는 다수의 스크류 날개 그룹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각 스크류 날개 그룹 사이에는 스크류 날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빈 영역으로 되어 있는 스페이스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 중공관은 폐기물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뒷쪽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다단계의 단차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스는 다단계의 단차진 구조로 이루어진 샤프트 중공관의 단차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스크류 날개 그룹은 폐기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뒷쪽으로 배치되는 그룹일수록 작은 스크류 날개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폐기물 자원화 설비는 샤프트 중공관의 후단부에 동축 구조로 설치되면서 폐기물을 끊어줌과 더불어 압착시켜주는 수단으로서, 내주면측으로 샤프트 중공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폐기물 배출통로를 가지는 동시에 외주면을 이용하여 타공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고 폐기물을 압착하는 가동 링과, 내주면측으로 샤프트 중공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폐기물 통로를 가지는 동시에 가동 링의 뒷쪽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고정 링과, 상기 가동 링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면서 폐기물을 끊어주는 다수 개의 커터와, 상기 가동 링에 결합됨과 더불어 뒷쪽으로 연장되면서 고정 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되어 가동 링의 유동을 안내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의 둘레에 동축 구조로 끼워져 배치됨과 더불어 가동 링의 후면과 고정 링의 전면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가동 링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다수 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커팅 및 압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팅 및 압착 장치의 커터 및 가동 링은 타공관의 후단부 내측에 위치되어 가동 링에 의해 압착되는 폐기물 속의 처리수는 타공관을 통해 배출됨과 더불어 처리수가 빠져나간 폐기물은 커팅 및 압착 장치의 폐기물 통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팅 및 압착 장치의 폐기물 통로에 인접한 샤프트 중공관의 후단부 외주면은 폐기물의 용이한 배출을 위한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폐기물 자원화 설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피치를 달리하는 그룹별 스크류 날개 사이에 스페이스를 조성함과 더불어 직경이 순차적으로 커지는 3단계의 단차진 구조를 가지는 샤프트 중공관을 포함하는 새로운 스크류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폐기물의 압축 효율 및 이송 효율은 물론 폐기물에 대한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전후 방향을 따라 탄력적으로 유동가능한 동시에 폐기물 속으로 진입가능한 커터 및 가압링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커팅 및 압착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섬유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서로 엉켜있는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끊어서 헤쳐줄 수 있고, 폐기물을 최종적으로 압착하여 잔여 수분을 짜낼 수 있는 등 폐기물 압축 효율 및 탈수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타공관의 후단 위치에 커팅 및 압착 장치를 배치하여 폐기물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압축만되면서 탈수되도록 함과 더불어 탈수를 마친 폐기물이 테이퍼 구간을 통해 곧바로 배출되도록 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처리수와 폐기물이 배출이 용이하고 적은 에너지 소비로 상대적으로 큰 탈수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설비의 기능성 향상 및 처리 용량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타공관에 형성되는 홀 구조를 개선하여 막힘을 방지함과 더불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폐기물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자원화 설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자원화 설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자원화 설비의 스크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자원화 설비의 커팅 및 압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자원화 설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자원화 설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자원화 설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폐기물 자원화 설비는 산업 폐기물, 유기성 폐기물, 무기성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각종 폐기물의 압축 이송 시 압축 효율 및 이송 효율, 그리고 탈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폐기물의 대량 처리는 물론 설비의 전반적인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폐기물 자원화 설비는 현장 바닥에 놓여지는 설비 바닥체(31)와, 상기 설비 바닥체(31)의 앞쪽과 뒷쪽에 각각 세워지는 전방 벽체(14)와 후방 벽체(15)를 가지는 설비 본체(13)를 포함한다.
상기 설비 본체(13)의 앞쪽, 즉 전방 벽체(14)의 후면부에는 폐기물의 상부 투입을 위한 폐기물 투입구(10)가 설치되고, 설비 본체(13)의 뒷쪽, 즉 후방 벽체(14)의 내부에는 탈수과정을 마친 폐기물의 하부 또는 측부 배출을 위한 폐기물 배출구(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비 본체(13)의 아래쪽, 즉 설비 바닥체(31)의 내측에는 폐기물에서 빠져나온 처리수를 모았다가 드레인시키기 위한 처리수 저장부(1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설비 본체(13)의 폐기물 투입구(10)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은 후술하는 스크류 장치(17)가 속해 있는 타공관(16)의 내부로 들어간 후, 뒷쪽으로 압축 및 이송되면서 탈수과정을 겪게 되고, 계속해서 수분이 제거된 폐기물은 폐기물 배출구(11)를 통해 배출되어 후속 공정이나 후속 설비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폐기물의 탈수과정에서 발생되는 처리수는 처리수 저장부(12)의 내부에 수집된 후에 드레인(미도시)을 통해 배출 처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폐기물 자원화 설비는 폐기물의 이송 통로 역할은 물론 폐기물은 가두어두고 처리수만 빠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 타공관(16)을 포함한다.
상기 타공관(16)은 타공망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앞뒷쪽 단부가 뚫려 있는 원통형의 관 형태로서, 설비 본체(13)의 전방 벽체(14)와 후방 벽체(15) 사이에 수평자세로 배치되면서 타공관 프레임(32)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타공관 프레임(32)은 세워진 자세로 타공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링부재(32a)와 타공관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평 자세로 배치됨과 더불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되면서 각각의 링부재(32a)을 이어주는 다수의 바부재(32b)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타공망 프레임(32)은 수평 자세를 취하면서 설비 본체(13)의 전방 벽체(14)의 후면과 후방 벽체(15)의 전면 사이에 양단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타공관 프레임(32)의 내부에 타공관(16)이 동축 구조로 배치됨과 더불어 타공관 프레임(32)의 내주면과 타공관(16)이 외주면이 용접 등으로 결합되므로서, 타공관(16)은 타공관 프레임(32) 내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공관(16)과 타공관 프레임(32)의 앞쪽 외주부 일부는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절개된 부분으로 폐기물 투입구(10)의 하단부가 삽입 위치되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되며, 타공관(16)의 후단부는 폐기물 배출구(11)와 연통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폐기물 투입구(10)를 통해 타공관(16)의 내부로 들어온 폐기물은 통로 역할을 하는 타공관(16)을 따라 진행될 수 있게 되고, 계속해서 타공관(16)을 빠져나온 폐기물은 폐기물 배출구(11)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폐기물 자원화 설비는 실질적으로 폐기물을 압축하면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 스크류 장치(17)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 장치(17)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미도시)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18)와 샤프트 중공관(19), 그리고 상기 샤프트 중공관(19)의 외주면상에 샤프트 중공관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폐기물을 압축하면서 폐기물을 앞쪽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 날개(20)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18)는 샤프트 중공관(19)의 내부에 동축 구조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샤프트로서, 이러한 샤프트(18)의 앞쪽 단부는 설비 본체(13)의 전방 벽체(14)를 관통함과 더불어 베어링을 수용하면서 전방 벽체(14) 상에 설치되는 베어링 블록(33a)에 의해 지지되고, 샤프트(18)의 뒷쪽 단부 역시 설비 본체(13)의 후방 벽체(15)를 관통함과 더불어 베어링을 수용하면서 후방 벽체(15) 상에 설치되는 베어링 블록(33b)에 의해 지지된다.
즉, 상기 샤프트(18)는 베어링 블록(33a,33b)을 매개로 하여 설비 본체(13)의 전후방 벽체(14,15)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8)의 앞쪽 단부는 전방 벽체(14)의 앞쪽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이렇게 연장되는 부분과 모터 사이에는 체인/스프로킷 또는 벨트/풀리 등과 같은 전동수단(미도시)이 연결 설치되며, 이에 따라 모터의 동력이 전동수단을 통해 샤프트(18)측으로 전달되므로서 샤프트(18)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샤프트 중공관(19)은 샤프트(18)의 외주부 둘레에 동축 구조로 결합되며, 이러한 샤프트 중공관(19)은 직경을 달리하는 다단계의 단차진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샤프트 중공관(19)은 직경이 다른 3개의 샤프트 중공관(19), 즉 제1샤프트 중공관(19a), 제2샤프트 중공관(19b) 및 제3샤프트 중공관(19c)을 직경이 작은 순서대로 차례차례 배치한 구조, 즉 3개의 샤프트 중공관(19a∼19c) 중에서 앞쪽에서부터 직경이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제1샤프트 중공관(19a), 그 다음에 제2샤프트 중공관(19b), 그리고 직경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제3샤프트 중공관(19c)을 순차적으로 배치한 3단계의 단차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중공관(19)은 다수 개의 마감 링(34)에 의해 샤프트(18)측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샤프트 중공관(19)의 내주면과 샤프트(18)의 외주면 사이의 제1샤프트 중공관(19a) 내지 제3샤프트 중공관(19c)의 단부 위치에 링 모양의 마감 링(34)이 개재되고, 이렇게 개재된 마감 링(34)이 용접에 의해 샤프트 중공관(19)측과 샤프트(18)측에 고정되므로서, 샤프트 중공관(19)은 마감 링(34)을 매개로 하여 샤프트(18)에 일체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샤프트 중공관(19)의 후단부 외주면, 예를 들면 커팅 및 압착 장치(29)의 가동 링(24)과 고정 링(25)에 있는 폐기물 통로(23a,23b)에 인접한 후단부 외주면은 뒷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태의 테이퍼면(30)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커팅 및 압착 장치(29)측의 폐기물 통로(23a,23b)를 통해 빠져나오는 폐기물이 테이퍼면(30)에 의해 미끄러지듯이 유도되면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류 날개(20)는 샤프트 중공관(19)의 외주면상에서 샤프트 중공관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날개로서, 샤프트(18) 및 샤프트 중공관(19)의 회전 시에 나선 형태의 날개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압축하면서 뒷쪽(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시켜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 날개(20)는 피치를 달리하는 다수의 스크류 날개 그룹(21)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더불어 각 스크류 날개 그룹(21) 사이에는 스크류 날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빈 영역, 즉 스크류 날개가 이어져 있지 않고 끊어져 있는 빈 영역으로 되어 있는 스페이스(22)가 형성되므로서, 폐기물의 이송 효율은 물론 폐기물의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서로 엉켜있는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끊어서 헤쳐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크류 날개 그룹(21)은 3개의 그룹, 예를 들면 제1샤프트 중공관(19a)의 외주면 상에서 중공관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나선형의 이어지는 제1스크류 날개 그룹(21a)과, 제2샤프트 중공관(19b)의 외주면 상에서 중공관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나선형의 이어지는 제2스크류 날개 그룹(21b)과, 제3샤프트 중공관(19c)의 외주면 상에서 중공관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나선형의 이어지는 제3스크류 날개 그룹(21c)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스크류 날개 그룹(20a∼20c) 사이의 단차 구간, 예를 들면 제1스크류 날개 그룹(21a)과 제2스크류 날개 그룹(21b) 사이의 단차 구간, 제2스크류 날개 그룹(21b)과 제3스크류 날개 그룹(21c) 사이의 단차 구간에는 각 그룹 간의 스크류 날개가 끊어짐으로 인해 조성되는 스페이스(22)가 형성된다.
이때의 스페이스(22)는 나선 형태로 회전하면서 앞쪽을 향해 이송되는 폐기물을 적절히 끊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 결국 이러한 스페이스(22)의 역할로 인해 서로 엉켜있는 폐기물이 쉽께 끊어지면서 풀어 해쳐질 수 있게 된다.
즉, 폐기물이 스크류 날개(20)에 의해 앞쪽으로 밀리면서 회전하는 모양으로 이송되고, 그룹 간의 스크류 날개가 끊어져 있는 구간인 스페이스(22)가 조성되어 있는 구간에서는 직선상으로 이송되는 모양으로 전환되므로서, 이렇게 회전하는 모양새로 오다가 직선 흐름으로 바뀌는 시점(회전 흐름과 직선 흐름의 경계부위)에서 폐기물이 끊어질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서로 엉켜있는 폐기물이 풀어지면서 서로 간에 잘 섞일 수 있게 되며, 결국 잘게 부서지거나 끊어진 폐기물은 스크류 날개(20)의 회전에 의해 밀리면서 압축됨과 더불어 원활하게 진행 및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샤프트 중공관(19)에 형성되는 스크류 날개(20)의 피치는 폐기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뒷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각 스크류 날개 그룹(21)에 속해 있는 스크류 날개(20)의 피치는 은 폐기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뒷쪽으로 배치되는 그룹일수록 작은 스크류 날개 피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샤프트 중공관(19)의 가장 앞쪽에 배치되는 제1스크류 날개 그룹(21a)에 속해 있는 스크류 날개(20), 즉 제1샤프트 중공관(19a)에 형성되는 스크류 날개(20)의 피치는 상대적으로 가장 큰 피치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샤프트 중공관(19)의 가장 뒷쪽에 배치되는 제3스크류 날개 그룹(21c)에 속해 있는 스크류 날개(20), 즉 제3샤프트 중공관(19c)에 형성되는 스크류 날개(22)의 피치는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피치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샤프트 중공관(19)의 중간에 배치되는 제2스크류 날개 그룹(21b)에 속해 있는 스크류 날개(20), 즉 제2샤프트 중공관(19b)에 형성되는 스크류 날개(20)의 피치는 제1샤프트 중공관(19a)측의 스크류 날개(20)의 피치보다는 상대적으로 작고 제3샤프트 중공관(19c)측의 스크류 날개(20)의 피치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피치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크류 날개 그룹(21a), 제2스크류 날개 그룹(21b) 및 제3스크류 날개 그룹(21c)의 각 그룹 내의 스크류 날개(20)의 피치는 동일한 피치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스크류 날개 그룹(21a), 제2스크류 날개 그룹(21b) 및 제3스크류 날개 그룹(21c)의 스크류 날개(20)의 직경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제1스크류 날개 그룹(21a)에 속해 있는 스크류 날개(20)의 폭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폭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계속해서 제2스크류 날개 그룹(21b)에 속해 있는 스크류 날개(20)의 폭이 그 다음으로 큰 폭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계속해서 제3스크류 날개 그룹(2`c)에 속해 있는 스크류 날개(20)의 폭이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폭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스크류 장치(17)의 초기 구간(제1스크류 날개 그룹이 배치되어 있는 구간으로서 샤프트 중공관 길이를 세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앞쪽의 1/3 정도 길이에 해당하는 구간)에 투입되는 폐기물은 피치가 큰 스크류 날개(11)에 의해 약하게 압축되면서 빠르게 이송되다가 피치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중기 구간(제2스크류 날개 그룹이 배치되어 있는 구간으로서 샤프트 중공관 길이를 세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중간의 1/3 정도 길이에 해당하는 구간)과 말기 구간(샤프트 중공관 길이를 세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뒷쪽의 1/3 정도 길이에 해당하는 구간)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점차 압축률이 높아짐과 동시에 진행속도가 느려진 상태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스크류 장치(17) 내에 투입된 폐기물이 초기 구간을 경유하는 동안에는 낮은 압축률로 인해 폐기물의 이송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중기 구간과 말기 구간을 경유하는 동안에는 압축률이 점차 강해짐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이송속도가 느려지면서 진행 효율이 낮아져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대량을 빠지게 되고, 즉 말기 구간에서는 폐기물에 대한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고, 계속해서 최대한의 수분이 빠진 폐기물이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스크류 날개(20)의 피치에 변화를 줌으로써 압축 효율은 물론 이송 효율, 그리고 탈수 효율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폐기물에 대한 탈수 효과는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많은 양의 폐기물을 신속하게 진행 및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폐기물 자원화 설비는 서로 엉켜 있는 폐기물을 끊어주는 역할은 물론 최종적으로 폐기물을 압착하여 폐기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거의 완전히 빼내주는 수단으로 커팅 및 압착 장치(29)를 포함한다.
상기 커팅 및 압착 장치(29)는,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 중공관(19)의 후단부에 동축 구조로 설치되면서 앞쪽에서 밀려오는 폐기물을 막아줌으로써 폐기물이 상대적으로 압착되도록 하고, 또 어느 정도 회전력을 가지면서 돌아가려는 폐기물에 원주방향으로의 간섭을 줌으로써 폐기물의 엉킴을 끊어줌과 더불어 폐기물이 원주방향으로도 압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커팅 및 압착 장치(29)는 가동 링(24)과 고정 링(25), 그리고 커터(26), 가이드 바(27) 및 스프링(28)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가동 링(24)은 원판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가동 링(24)은 세워진 자세로 타공관(16)의 후단부 내주면과 샤프트 중공관(19)의 후단부 내주면 사이에 동축 구조로 배치되면서 앞뒤로 유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가동 링(24)이 후단부 내주면과 샤프트 중공관(19)의 후단부 내주면 사이에 설치됨에 따라 이때의 가동 링(24)은 타공관(16)의 후단부를 가로막고 있는 상태가 되고, 따라서 타공관(16)의 뒷쪽으로 계속해서 밀려오는 폐기물은 가동 링(24)에 부딪혀서 압착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이때의 압착작용에 의해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잔여 수분이 효과적으로 탈수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타공관(16)을 따라 뒷쪽으로 이송되는 폐기물은 가동 링(24)에 의해 부딪혀 가동 링(24)의 바로 앞쪽에서 정체되고, 이렇게 정체되는 과정에서 꽉 짜지면서(뒷쪽으로 계속해서 밀려오는 폐기물에 의해 눌려서) 폐기물 속의 잔여 수분이 자연스럽게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링(24)의 내주면에는 샤프트 중공관(19)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조성되는 틈새 형태로 이루어지는 폐기물 배출통로(23a)가 형성되며, 이때의 폐기물 배출통로(23a)를 통해 타공관(16) 내의 폐기물이 뒷쪽으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가동 링(24)은 전후 유동 시에 그 외주면 둘레를 통해 타공망(16)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슬라이드될 수 있게 되고, 그 내주면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폐기물 배출통로(23a)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폐기물 배출부(11)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 링(24)의 일측에는 링 두께를 관통하는 다수 개의 홀(36a)이 형성되며, 이때의 홀(36a)에는 가이드 바(27)가 관통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 링(25)은 원판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고정 링(25)은 세워진 자세을 유지하면서 후방 벽체(15)에서 폐기물 배출구(11) 내로 연장 형성되는 링고정용 관(35)의 후단부 내주면과 샤프트 중공관(19)의 후단부 내주면 사이에 동축 구조로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 링(25)의 내주면에는 샤프트 중공관(19)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조성되는 틈새 형태로 이루어지는 폐기물 배출통로(23b)가 형성되며, 이때의 폐기물 배출통로(23b)를 통해 타공관(16) 내에서 빠져나온 폐기물, 즉 가동 링(24)에 있는 폐기물 배출통로(23a)를 지나서 뒷쪽으로 밀려나오는 페기물이 폐기물 배출구(11)측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 링(25)에 형성되는 폐기물 배출통로(23b)는 가동 링(24)에 형성되는 폐기물 배출통로(23a) 대비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앞쪽의 폐기물 배출통로(23a)를 빠져나온 폐기물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되어 있는 뒷쪽의 폐기물 배출통로(23b)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링(25)의 일측에는 링 두께를 관통하는 다수 개의 홀(36b)이 형성되며, 이때의 홀(36b)에는 가이드 바(27)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터(26)는 직사각형의 판체로서, 가동 링(24)의 전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면서 가동 링(24)의 앞쪽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며, 가동 링(24)과 함께 앞뒤로 유동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커터(26)는 가동 링(24)의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커터(26)는 가동 링(24)의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45°간격마다 하나씩 배치되는 8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커터(26)가 가동 링(24)의 앞쪽으로 돌출되면서 폐기물이 적체되면서 압착되어 있는 영역 내에 위치되므로서, 회전되려는 경향을 보이는 폐기물의 서로 엉켜있는 부분들을 끊어줄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원주방향으로의 폐기물 진행을 간섭하면서 폐기물을 압착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서로 엉켜있는 폐기물이 커터(26)에 의해 끊어짐과 더불어 원주방향으로도 압착되면서 폐기물 속의 수분이 보다 효과적으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 바(27)는 후단의 헤드부분을 가지는 원형의 바 형태로서, 가동 링(24)의 후면쪽에서 그 선단부를 통해 가동 링(24)의 홀(36a)에 체결 또는 용접되는 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그 후단부를 통해 고정 링(24)의 홀(36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되는 가이드 바(27)는 각 커터(26)에 하나씩 배속되는 8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가동 링(24)이 뒤로 밀리거나 앞으로 복귀될 때 가동 링(24)의 직선 움직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바(27)는 후단부의 헤드부분을 통해 고정 링(25)의 홀(36b)에 걸려지게 되므로, 가이드 바(27)의 앞쪽으로의 탈거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28)은 각 가이드 바(27)의 둘레에 동축 구조로 끼워져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가동 링(24)의 후면과 고정 링(25)의 전면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가동 링(24)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가동 링(24)의 앞쪽에서 폐기물이 압착되고 있는 상태에서, 폐기물의 이송력이 스프링 힘을 넘어서게 되면 커터(26) 및 가이드 바(27)를 포함하는 가동 링(24) 전체가 스프링(28)을 압축하면서 뒷쪽으로 이동되고, 반대로 폐기물의 이송력이 스프링 힘에 못미치게 되면 스프링(28)의 복원력에 의해 커터(26) 및 가이드 바(27)를 포함하는 가동 링(24) 전체가 앞쪽으로 이동된다(가이드 바 헤드 부분이 고정 링 후면에 걸릴 때까지).
이렇게 앞쪽에서 뒷쪽으로 밀려나는 폐기물의 이송력에 상응하여 가동 링(24)이 적절히 앞뒤로 움직이면서 폐기물을 압착함으로써, 설비의 과부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도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압착하여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커팅 및 압착 장치(29)의 커터(26) 및 가동 링(24)은 타공관(16)의 후단부 내측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가동 링(24)에 의해 압착되는 폐기물 속의 처리수는 타공관(16)을 통해 배출되고, 처리수가 빠져나간 폐기물은 커팅 및 압착 장치(29)의 폐기물 통로(23a,23b)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즉, 폐기물이 압착되는 존(Zone)을 타공관(16)의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처리수가 타공관(16)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되며, 또 처리수가 빠져나간 폐기물도 폐기물 통로(23a,23b)를 이용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되므로, 폐기물와 처리수를 모두 효율적으로 배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자원화 설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기물 투입구(10)에 폐기물을 투입하게 되면, 폐기물은 타공관(16)의 앞쪽 영역으로 들어가게 되고, 스크류 장치(17)의 가동 시 회전하는 샤프트(18) 및 샤프트 중공관(19)에 의해 스크류 날개(20)가 회전하게 되고, 이렇게 회전하는 스크류 날개(20)에 의해 밀려나는 폐기물은 나선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뒷쪽으로 진행되면서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되는 폐기물은 스크류 장치(17)의 각각의 스크류 날개 그룹(21)을 경유하는 동안에 압축되고, 또 스페이스(22)가 있는 구간을 거치면서 끊어지거나 풀어헤쳐지게 되므로서, 폐기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타공망(16)을 빠져나와 처리수 저장부(12)에 모이게 된다.
특히, 스크류 날개(20)에 의해 압축 및 이송되면서 타공관(16)을 따라 이송되는 폐기물은 타공관(16)의 후단구간, 즉 커팅 및 압착 장치(29)의 가동 링(24)에 부딪혀 가동링 앞쪽에 적체되면서 압착되고, 이와 동시에 폐기물은 커터(26)에 의해 끊어짐과 더불어 원주방향으로도 압착된다.
이에 따라, 폐기물이 가동 링(24)의 앞쪽에서 잠시 적체되면서 압착되는 동안에 폐기물 속의 수분이 거의 완전히 탈수되어 타공관(16)을 통해 아래쪽의 처리수 저장부(12)로 떨어지게 된다.
계속해서, 수분이 거의 제거된 폐기물은 가동 링(24)과 고정 링(25)의 폐기물 배출통로(23a,23b)를 빠져나옴과 동시에 테이퍼면(30)의 안내를 받으면서 뒷쪽으로 밀려나게 되고, 최종적으로 폐기물 배출구(11)측으로 보내진 후에 후속 처리 공정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폐기물을 압축과 동시에 이송시키면서 탈수할 때, 스크류 날개 간에 스페이스를 조성한 구조 및 직경 차이를 부여한 3단계의 샤프트 중공관 구조 등을 갖춘 스크류 장치, 폐기물의 이송 압력을 받아내면서 서로 엉켜있는 폐기물을 끊어주면서 압착하는 커팅 및 압착 장치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폐기물 자원화 설비를 제공함으로써, 폐기물의 압축 효율 및 이송 효율, 그리고 탈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폐기물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폐기물 처리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폐기물 자원설비의 우수한 성능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10 : 폐기물 투입구 11 : 폐기물 배출구
12 : 처리수 저장부 13 : 설비 본체
14 : 전방 벽체 15 : 후방 벽체
16 : 타공관 17 : 스크류 장치
18 : 샤프트 19 : 샤프트 중공관
20 : 스크류 날개 21 : 스크류 날개 그룹
22 : 스페이스 23a,23b : 폐기물 배출통로
24 : 가동 링 25 : 고정 링
26 : 커터 27 : 가이드 바
28 : 스프링 29 : 커팅 및 압착 장치
30 : 테이퍼면 31 : 설비 바닥체
32 : 타공관 프레임 33a,33b : 베어링 블록
34 : 마감 링 35 : 링고정용 관
36a,36b : 홀

Claims (7)

  1. 앞쪽의 폐기물 투입구(10)와 뒷쪽의 폐기물 배출구(11), 그리고 아래쪽의 처리수 저장부(12)를 가지는 설비 본체(13)와, 상기 설비 본체(13)의 전방 벽체(14)와 후방 벽체(15) 사이에 수평 설치되면서 폐기물 투입구(10) 및 폐기물 배출구(11)와 통하는 타공관(16)과, 상기 타공관(16)의 내측에 동축 구조로 나란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설비 본체(13)의 전방 벽체(14)와 후방 벽체(15)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수평 설치되고, 모터 동력으로 회전하면서 폐기물을 압축 및 이송시키는 스크류 장치(17)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장치(17)는 모터 동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18)와, 상기 샤프트(18)의 외주부 둘레에 동축 구조로 결합되면서 직경을 달리하는 다단계의 단차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샤프트 중공관(19)과, 상기 샤프트 중공관(19)의 외주면상에 샤프트 중공관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형성되면서 폐기물을 압축 및 이송하는 스크류 날개(20)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날개(20)는 피치를 달리하는 다수의 스크류 날개 그룹(21)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각 스크류 날개 그룹(21) 사이에는 스크류 날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빈 영역으로 되어 있는 스페이스(22)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중공관(19)의 후단부에 동축 구조로 설치되면서 폐기물을 끊어줌과 더불어 압착시켜주는 수단으로서, 내주면측으로 샤프트 중공관(19)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폐기물 배출통로(23a)를 가지는 동시에 외주면을 이용하여 타공관(16)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고 폐기물을 압착하는 가동 링(24)과, 내주면측으로 샤프트 중공관(19)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폐기물 통로(23b)를 가지는 동시에 가동 링(24)의 뒷쪽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고정 링(25)과, 상기 가동 링(24)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면서 폐기물을 끊어주는 다수 개의 커터(26)와, 상기 가동 링(24)에 결합됨과 더불어 뒷쪽으로 연장되면서 고정 링(2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되어 가동 링(24)의 유동을 안내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 바(27)와, 상기 가이드 바(27)의 둘레에 동축 구조로 끼워져 배치됨과 더불어 가동 링(24)의 후면과 고정 링(25)의 전면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가동 링(2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다수 개의 스프링(28)으로 구성되는 커팅 및 압착 장치(29)를 포함하며,
    상기 커터(26)는 직사각형의 판체로서, 가동 링(24)의 전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면서 가동 링(24)의 앞쪽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며, 가동 링(24)과 함께 앞뒤로 유동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커터(26)는 가동 링(24)의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로 이루어지고, 이렇게 커터(26)가 가동 링(24)의 앞쪽으로 돌출되면서 폐기물이 적체되면서 압착되어 있는 영역 내에 위치되므로서, 회전되려는 경향을 보이는 폐기물의 서로 엉켜있는 부분들을 끊어줄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원주방향으로의 폐기물 진행을 간섭하면서 폐기물을 압착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서로 엉켜있는 폐기물이 커터(26)에 의해 끊어짐과 더불어 원주방향으로도 압착되면서 폐기물 속의 수분이 보다 효과적으로 빠져나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자원화 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중공관(19)은 폐기물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뒷쪽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다단계의 단차진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자원화 설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22)는 다단계의 단차진 구조로 이루어진 샤프트 중공관(19)의 단차 구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자원화 설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스크류 날개 그룹(21)은 폐기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뒷쪽으로 배치되는 그룹일수록 작은 스크류 날개 피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자원화 설비.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팅 및 압착 장치(29)의 커터(26) 및 가동 링(24)은 타공관(16)의 후단부 내측에 위치되어 가동 링(24)에 의해 압착되는 폐기물 속의 처리수는 타공관(16)을 통해 배출됨과 더불어 처리수가 빠져나간 폐기물은 커팅 및 압착 장치(29)의 폐기물 통로(23a,23b)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자원화 설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팅 및 압착 장치(29)의 폐기물 통로(23a,23b)에 인접한 샤프트 중공관(19)의 후단부 외주면은 폐기물의 용이한 배출을 위한 테이퍼면(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자원화 설비.
KR1020190018044A 2019-02-15 2019-02-15 폐기물 자원화 설비 KR102192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44A KR102192034B1 (ko) 2019-02-15 2019-02-15 폐기물 자원화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44A KR102192034B1 (ko) 2019-02-15 2019-02-15 폐기물 자원화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868A KR20200099868A (ko) 2020-08-25
KR102192034B1 true KR102192034B1 (ko) 2020-12-17

Family

ID=7224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044A KR102192034B1 (ko) 2019-02-15 2019-02-15 폐기물 자원화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0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2648B2 (ja) 1998-04-16 2001-04-03 清安 山川 脱水機
KR101468602B1 (ko) 2014-03-07 2014-12-03 호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압착스크류와 타공망의 간극 조절이 용이한 스크류 탈수 장치
KR200482420Y1 (ko) * 2016-05-31 2017-01-19 전희철 압착식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025A (ko) * 2001-04-16 2001-07-13 손정원 탈수장치
KR101843553B1 (ko) 2015-01-27 2018-05-14 (주)케이아이 슬러지 탈수 및 고형화 장치
JP5925945B1 (ja) 2015-08-24 2016-05-25 株式会社ケンテック研究所 廃棄物処理装置及び廃棄物処理方法
KR101883051B1 (ko) 2016-07-13 2018-08-2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KR20180016025A (ko) 2016-08-05 2018-02-14 주식회사 환우 일종의 유기물 압착형 탈수 감용 장치
KR101933864B1 (ko) 2017-06-15 2019-01-02 한광성 스크류 유압프레스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2648B2 (ja) 1998-04-16 2001-04-03 清安 山川 脱水機
KR101468602B1 (ko) 2014-03-07 2014-12-03 호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압착스크류와 타공망의 간극 조절이 용이한 스크류 탈수 장치
KR200482420Y1 (ko) * 2016-05-31 2017-01-19 전희철 압착식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868A (ko)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5187B1 (en) Horizontal solids recycler
CN106082570B (zh) 一种应用于生态河道的淤泥处理机及其处理方法
CN103398383A (zh) 一种固体垃圾焚烧系统
CN208604028U (zh) 一种畜禽养殖废弃物资源化处理设备
CN109231756A (zh) 一种用于污泥干化处理装置
KR10183891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14101B1 (ko) 축산분뇨 및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KR102192034B1 (ko) 폐기물 자원화 설비
CN208603985U (zh) 一种环保高效离心式水处理污泥干燥装置
KR20160091655A (ko) 소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753808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KR200484850Y1 (ko) 소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216909B1 (ko) 폐기물 자원화설비의 스크류장치
KR1003379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91133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CN218202578U (zh) 一种生物质垃圾资源转化设备
KR10103926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51691B1 (ko) 원심건조방식피건조물건조시스템및그방법
KR1007164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216912B1 (ko) 폐기물 자원화설비의 스크류장치
CN105366913B (zh) 高效污泥脱水干燥处理系统
CN102310073B (zh) 生活垃圾循环处理法
KR100228535B1 (ko) 다목적 음식물 및 생활쓰레기 처리장치
KR10133984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CN1146478C (zh) 食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