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007B1 - 에코 프로바이오틱스 솔루션을 활용한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코 프로바이오틱스 솔루션을 활용한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007B1
KR102192007B1 KR1020180145627A KR20180145627A KR102192007B1 KR 102192007 B1 KR102192007 B1 KR 102192007B1 KR 1020180145627 A KR1020180145627 A KR 1020180145627A KR 20180145627 A KR20180145627 A KR 20180145627A KR 102192007 B1 KR102192007 B1 KR 102192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pig
terminal
certific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095A (ko
Inventor
허재영
이학교
김영훈
최연재
장성용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두지프로바이오틱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두지프로바이오틱스(주)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5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007B1/ko
Priority to PCT/KR2019/015992 priority patent/WO2020106067A2/ko
Publication of KR2020006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G06F3/1243Variable data printing, e.g. document forms, templates, labels, coupons, advertisements, logos, watermarks, transactional printing, fixed content vers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8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delegation of authentication, e.g. a proxy authenticates an entity to be authenticated on behalf of this entity vis-à-vis an authentication e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Zo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코 프로바이오틱스 솔루션을 활용한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은, 양돈 농가의 인증 기준에 대한 만족 여부를 평가한 평가 정보를 인증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1 단말; 제1 단말에서 전송된 평가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인증 기준을 만족하는 양돈 농가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여 관리하는 인증 관리 서버; 및 인증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를 수신 가능한 판매자 또는 소비자 측의 제2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 기준은 돼지 분변에서 분리 동정된 미생물과 동일 종류인 대상 미생물을 포함한 음수/사료, 슬러리 냄새 저감제 및 돈사 내부 소독제의 사용 여부와 관련된 제1 인증 기준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코 프로바이오틱스 솔루션을 활용한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및 방법{Cer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uxury pork production using eco-probiotics solution}
본 발명은 에코 프로바이오틱스 솔루션을 활용한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이하,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이라 지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품질 명품 돈육을 위한 인증 기준에 부합하는 양돈 농가에 대한 인증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양돈 환경은 밀집 사육 환경에 따라 항생제 사용이 남용되었으며, 그 결과 잔류 및 항생제 내성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2011년 배합사료 내 항생제 사용이 전면금지 되었다.
한편, 종래에 친환경 인증을 관리하는 시스템이 있다. 이때, 친환경 인증은 항생제 미사용에 대한 인증 기준만을 만족하더라도 부여되는 인증이다. 하지만, 양돈 농가는 돼지의 특성 상 타 가축에 비해 사육 환경이 더 열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돈 농가에 대해 보다 강화된 인증 기준에 따라 부여되는 새로운 인증을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 들어, 미생물제, 유기산제, 식물추출물 등 다양한 소재가 국내외에서 개발되어 양돈에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생균제는 지속적으로 급여할 경우 장내 미생물의 균형 향상, 유해 미생물의 경쟁적 배제, 성장촉진, 면역강화, 가축분뇨 악취 저감 등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균제의 투여의 효과를 반영한 인증 기준에 따라 부여되는 인증을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품질 명품 돈육을 위해 검증된 대상 미생물의 사용과 관련된 인증 기준에 부합하는 양돈 농가에 대한 인증을 관리하는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은, (1) 양돈 농가의 인증 기준에 대한 만족 여부를 평가한 평가 정보를 인증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1 단말, (2) 제1 단말에서 전송된 평가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인증 기준을 만족하는 양돈 농가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여 관리하는 인증 관리 서버, (3) 인증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를 수신 가능한 판매자 또는 소비자 측의 제2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인증 기준은 돼지 분변에서 분리 동정된 미생물과 동일 종류인 대상 미생물을 포함한 음수/사료, 슬러리 냄새 저감제 및 돈사 내부 소독제의 사용 여부와 관련된 제1 인증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증 기준은 상기 대상 미생물을 기준 이상 포함하는 품질 보증된 미생물제의 사용 여부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인증 관리 서버는 상기 미생물제에 대한 품질 보증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품질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품질 보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
상기 인증 기준은 돈사 내부에서 측정된 암모니아 수치가 기준 이하인지 여부와 관련된 제2 인증 기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기준은 모돈 및 자돈의 구제역 백신 항체 형성률이 기준 이상인지 여부와 관련된 제3 인증 기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기준은 돈사 내부의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준 이하인지 여부와 관련된 제4 인증 기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기준은 돈사 슬러리에서 중 차지하는 분뇨의 높이가 기준 이하인지 여부와 관련된 제5 인증 기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기준은 항생제, 화학성장촉진제, 또는 호르몬제의 비사용 여부와 관련된 제6 인증 기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은 양돈 농가에 허여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로 인증 관리 서버에 접속 가능한 제3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관리 서버는 자신에게 접속한 제3 단말이 인증 마크 이미지의 다운로드 또는 인쇄가 가능하도록 인증 마크 이미지 정보를 제3 단말에 제공하되, 접속한 제3 단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에 매칭되는 양돈 농가가 기 인증된 양돈 농가인 경우, 해당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인증 마크 이미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관리 서버는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에서 양돈된 돈육을 온라인 회원제로 판매하는 판매 서버로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방법은, (1) 제1 단말이 양돈 농가의 인증 기준에 대한 만족 여부를 평가한 평가 정보를 인증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2) 인증 관리 서버가 제1 단말에서 전송된 평가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인증 기준을 만족하는 양돈 농가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여 관리하는 단계, (3) 판매자 또는 소비자 측의 제2 단말이 인증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를 확인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은 검증된 대상 미생물의 사용과 관련된 인증 기준에 부합하는 양돈 농가에 대한 인증을 관리함으로써 고품질 명품 돈육 제공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돼지 분변에서 분리 동정된 미생물의 유전자 전장 검사 결과(Whole genome sequencing)를 나타낸다.
도 3은 모돈 및 자돈의 분변 미생물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유용 미생물 소독 처리에 따른 돈사 냄새 저감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유용미생물 섭취 돼지의 육질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마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또는 B”“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등에 따르는 설명은 인용된 특성, 변수, 또는 값과 같이 제시한 정보들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허용 오차, 측정 오차, 측정 정확도의 한계와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타 요인을 비롯한 변형과 같은 효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한정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위 용어는 각 구성요소의 순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은 인증 기준에 부합하는 양돈 농가에 대한 인증을 부여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10), 인증 관리 서버(20) 및 제2 단말(30)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품질 관리 서버(40), 판매 서버(50) 및 제3 단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증 기준은 양돈 농가에 대한 인증 부여를 위한 평가 기준으로서, 명품 돈육을 위해 검증된 미생물과 동일 종류인 대상 미생물의 사용과 관련 기준이다. 특히, 대상 미생물은 돼지의 분변에서 분리 동정된 미생물과 동일 종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돼지가 양돈의 대상 가축이므로, 돼지의 성장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을 양돈에 사용하기 위함이다.
제1 단말(10)은 양돈 농가에 방문하여 해당 양돈 농가의 인증 기준의 만족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인증 관리 서버(20), 품질 관리 서버(40), 또는 판매 서버(50)에 접속 가능하다. 특히, 제1 단말(10)은 평가자에게 인증 기준의 내용을 알리는 화면과, 각 인증 기준의 만족 여부에 대한 평가 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 및 입력부를 평가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10)은 양돈 농가의 인증 기준에 대한 만족 여부를 평가한 결과 정보(이하, “평가 정보”라 지칭함)를 인증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관리 서버(20)는 제1 단말(10)에서 전송된 평가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양돈 농가에 대한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즉, 인증 관리 서버(20)는 인증 기준을 만족하는 양돈 농가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며, 해당 인증 내용에 대한 정보(이하, “인증 정보”라 지칭함)를 저장 관리한다. 예를 들어, 인증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내용의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인증 관리 서버(20)는 해당 인증 정보의 양돈 농가에 대해 인증을 부여할 수 있다.
제2 단말(30)은 인증된 양돈 농가에서 양돈된 돈육의 판매자 또는 소비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인증 관리 서버(20), 품질 관리 서버(40), 또는 판매 서버(50)에 접속 가능하다. 특히, 제2 단말(30)은 인증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의 수신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2 단말(30)을 이용하는 판매자 또는 소비자는 인증된 돈육 제품에 대한 인증을 확인할 수 있다.
제3 단말(미도시)은 양돈 농가에서 사용되는 단말로서, 인증 관리 서버(20), 품질 관리 서버(40), 또는 판매 서버(50)에 접속 가능하다. 특히, 제3 단말은 인증 관리 서버(20)에 접속하기 위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3 단말은 해당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통해 인증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 양돈 과정에 관련된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는 양돈 농가의 명칭, 주소 및 양돈자 인적 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증 관리 서버(20)에서 저장 관리되는 인증 정보는 인증 마크에 대한 정보,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증 마크에 대한 정보는 본 발명의 인증을 표시하기 위한 마크로서, 제1 단말(10), 제2 단말(2) 또는 제3 단말에서 해당 인증 마크의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또는 인쇄 가능하도록 저장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10) 내지 제3 단말의 사용자는 해당 인증 마크의 이미지를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의 돈육 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제2 단말(2)의 사용자는 판매자로 한정될 수 있다.
특히, 인증 관리 서버(20)에 아이디 및 비밀번호로 접속한 제3 단말이 인증 마크의 이미지를 다운로드 또는 인쇄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인증 관리 서버(20)는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에서 보다 용이하게 인증 마크를 활용할 수 있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인증 관리 서버(20)는 접속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에 매칭되는 양돈 농가가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이면 해당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를 함께 포함한 인증 마크의 이미지 정보를 해당 제3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제3 단말의 사용자는 인증이 부여된 자신의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인증 마크 이미지를 다운로드 또는 인쇄하여 활용할 수 있다.
품질 관리 서버(40)는 미생물제에 대한 품질 보증에 대한 정보(이하, “품질 보증 정보”라 지칭함)를 저장 관리한다. 이때, 품질 보증된 미생물제는 미생물제에 대한 분석 결과, 기준 이상의 미생물제를 포함하는 미생물제를 지칭한다. 이에 따라, 품질 관리 서버(40)는 이러한 품질 보증된 미생물제의 명칭, 품질 보증된 날짜 등에 대한 정보인 품질 보증 정보를 제1 단말(10) 또는 인증 관리 서버(2)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10) 또는 인증 관리 서버(2)는 품질 관리 서버(40)에 접속하여 품질 보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품질 보증 정보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평가자가 인증 기준 만족 여부의 평가 시에 참고하도록 할 수 있다.
판매 서버(50)는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에서 양돈된 돈육을 온라인 회원제로 판매하는 서버로서, 인증 관리 서버(20)에 접속 가능하다. 특히, 판매 시 인증에 대한 정보를 참고할 수 있도록, 인증 관리 서버(20)는 판매 서버(50)로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0) 내지 제3 단말은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단말(10) 내지 제3 단말과, 인증 관리 서버(20), 품질 관리 서버(40) 및 판매 서버(50)는 입력부, 저장부, 통신부 및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키보드 및 마우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다양한 통신 방식의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유선 통신 모듈은 유선 통신 모듈은 LANs(Local Area Networks) 모듈, WANs(Wide Area Networks) 모듈,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모듈 및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 BAN(Body Area Network)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사물 인터넷 통신 모듈(LoRaWAN, SigFox, W-MBUS, Wi-SUN 등), 기타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이동 통신 모듈(LET-M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저장부는 그 유형에 따라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그네틱 매체 타입(Sagnetic media type),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광기록 매체 타입(Optical Media type), 자기-광 매체 타입(Sagneto-optical media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Sultimedia card micro type),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롬 타입(read only memory type) 및 램 타입(random access memory typ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장부는 그 용도/위치에 따라 캐시(cache), 버퍼, 주기억장치, 또는 보조기억장치이거나 별도로 마련된 저장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출력부는 각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인증 기준 설정을 위해 수행된 다양한 실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돼지 분변에서 분리 동정된 미생물의 유전자 전장 검사 결과(Whole genome sequencing)를 나타낸다.
(1) 제1 실험
먼저, 돼지 분변에서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는 제1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로 분리 동정된 미생물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actobacillus fermentum JDFM216'과 'Lactobacillus plantarum JDFM LP11'로 명명하였다.
(2) 제2 실험
다음으로, 돼지의 음수 첨가용 미생물을 제조하는 제2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적용 균종은 대상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산균, 바실러스균 및 효모균을 포함한다. 즉, 유산균은 'Lactobacillus salivarius', 'Lactobacillus plantarum' 및 'Lactobacillus fermentum'이고, 바실러스균은 'Bacillus subtilis'이며, 효모균은 'Saccharomyces cerevisiae'이다.
구체적으로, 음수 첨가용 미생물의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 1,000L 용량의 발효기에 깨끗한 물 1,000L를 채운다.
- 미생물 배양을 위한 배지로 포도당 1%, 당밀 1%, 천일염 0.2%, 효모추출물 0.2%를 넣는다.
- 물 온도를 32℃~35℃로 맞춘다.
- 배양하고자 하는 미생물 종균 2%(1,000L 배양기에 미생물 20L)를 넣는다.
- 유산균은 공기는 주입하지 않고 교반만 수행하여 혐기 배양하고, 바실러스균과 효모균은 호기 배양한다(공기주입량 100L/분).
- 육안으로 세포수를 관찰하여 2일~3일간 배양한다.
- 배양이 완료된 미생물은 종류별로 20L 플라스틱 용기에 2통씩 담아서 별도 보관하고 향후 배양 시 배양원액으로 사용하고, 남는 배양액은 2,000L 용량의 혼합탱크에 저장하여 후술할 발효사료, 슬러리 냄새 저감제 및 돈사 내부 소독제에 사용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음수 첨가용 제품과 기존 제품에 대해 생균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참고로, [표 1]에서 수치의 단위는 log cfu/mL 이다.
구분 유산균 바실러스 효모
음수 첨가용 8.84 8.45 8.89
기존 제품 1 7.79 7.14 7.30
기존 제품 2 5.56 6.01 6.23
즉,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수 첨가용 제품은 기존 제품에 비해 생균수가 10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3) 제3 실험
다음으로, 돼지의 사료 첨가용 미생물을 제조하는 제3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사료 첨가용 미생물은 음수 첨가용 미생물 3종을 포함하되, 사료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유산균을 중심으로 바실러스균과 효모균이 혼합된 분말형태의 제품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료 첨가용 미생물의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 500kg 용량의 고형 발효기에 양돈용 배합사료와 제2 실험에 따른 음수 첨가용 미생물 3종을 이용하여 혼합 배양하며 주로 유산균수의 증대를 목표로 배양한다.
- 500kg용량의 발효사료기에 배합사료(200kg)를 채운다.
- 포도당 2kg(총량의 1%)를 넣는다.
- 천연소금 0.4kg(총량의 0.2%)를 넣는다.
- 유산균 혼합액 10L(사료량의 5%), 바실러스균 배양액 5L(사료량의 2.5%). 효모균 배양액 5L(사료의 2.5%)를 넣는다.
- 깨끗한 물(지하수) 60L를 넣는다(수분함량 40% 전후로 제조).
- 발효기 온도는 35℃5시간 간격으로 10분간 교반으로 장치를 설정하고 생산일시를 기록한다.
- 배양을 시작한지 3일~4일 이후 배합사료의 수분함량이 20% 전후가 되면 발효기의 뚜껑을 열고 4시간 간격으로 1시간씩 교반하여 발효사료의 수분함량이 12% 전후가 될 때까지 발효사료를 건조한다.
- 발효사료의 수분함량이 12% 이내가 되면 발효사료를 지대포대에 20kg씩 담고 밀봉한 후 생산일자를 기록하고 냉장 보관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사료 첨가용 분말 제품의 생균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과 같다. 참고로, [표 2]에서 수치의 단위는 log cfu/g 이다.
구분 유산균 바실러스 효모
발효 완료 후 9.43 7.38 8.10
건조 공정 후 9.50 7.52 6.23
저온 보관(1개월) 8.32 4.39 7.16
상온 보관(1개월) 7.81 4.22 4.12
즉,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료 첨가용 분말 제품은 건조 공정 완료 후에 유산균이 9.50, 바실러스가 7.52, 효모가 6.23으로, 생균수가 고농도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다만, 사료 첨가용 분말 제품은 저장기간과 보관방법에 따라 생균수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제품생산 1개월 이내에 사용이 바람직할 수 있다.
(4) 제4 실험
다음으로, 제2 실험에 따른 음수 첨가용 제품을 이용해 제작한 환경 개선용 제품과 기존 제품을 돈사 슬러리 냄새 저감제로 사용하는 제4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4 실험에 따른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돈사 냄새 저감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참고로, [표 3]에서 수치의 단위는 % 이다.
구분 암모니아 황화수소 아민류
환경 개선용 33.93 33.93 9.62
기존 제품 1 21.43 -46.43 -7.69
기존 제품 2 7.14 25.00 -9.62
즉,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수 첨가용 제품을 이용한 환경 개선용 제품은 기존 제품에 비해 돈사 슬러리의 가스 저감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제5 실험
다음으로, 제1 실험 내지 제3 실험에 따른 음수 첨가용 제품 및 사료 첨가용 분말 제품을 사용하여, 음수/사료를 제공하면서 사육한 돼지의 모돈 및 자돈의 장내 미생물 및 유전자발현을 분석하는 제5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음수/사료의 제공은 양돈 농가의 환경에 따라 돼지에게, 음수를 제공하거나, 사료를 제공하거나, 또는 음수 및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모돈 및 자돈의 분변 미생물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도 3에서 막대 그래프는 평균 개체수를 나타내며, 막대 그래프 상의 'T'자 형의 그래프는 해당 막대 그래프의 편차를 나타낸다.
이후, 제5 실험을 수행한 대상 농가와, 제5 실험을 수행하지 않은 일반 농가의 모돈 및 자돈의 분변 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농가의 모돈 및 자돈의 돼지 분변 미생물수는 개체마다 상이하게 나타난다. 반면, 대상 농가의 모돈 및 자돈의 분변 미생물수는 개체 별 균일한 미생물 분포를 보인다. 즉, 제1 실험 내지 제3 실험에 따른 음수 첨가용 제품 및 사료 첨가용 분말 제품을 사용한 대상 농가에서 양돈된 모든 돼지들에 대한 균일성을 확인할 수 있다.
(6) 제6 실험
유용 미생물 무첨가 농장과 유용 미생물 급여 농장 2곳을 선정하고 각 농장의 비육돈 5두씩 분변을 무작위로 채취하여 미생물을 정량 분석하는 제6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유용 미생물 급여 농장은 60일 동안 사료빈에 제3 실험에 따른 사료 첨가용 분말 제품을 1% 첨가하여 양돈하였다. 돼지 분변은 항문 마사지법을 이용하여 채취한 후 냉장 보관하여 실험실로 운반하였다.
구체적으로, 돼지 분변 gDNA는 QiAmpDNA Stool mini kit 를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real time PCR은 BioRad CFX384를 이용하였다. SYBR®을 이용한 Real-time PCR 반응액은 Template genomic DNA 50ng, SYBR No-Rox kit 10㎕, forward 및 reverse primer 각각 1㎕를 넣은 후 최종 부피가 20㎕가 되도록 멸균된 3차 증류수를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Taqman®를 이용한 Real-time PCR 반응액은 Template genomic DNA 10ng, probe No-Rox kit 10㎕, forward 및 reverse primer 각각 0.8㎕, Probe 0.4㎕를 넣은 후 최종 부피가 20㎕가 되도록 멸균된 3차 증류수를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제6 실험의 결과는 [표 4]와 같다.
구분 0일 (log copies/g) SEM 60일 (log copies/g) SEM
Control Probiotics Control Probiotics
Total bacteria 9.23 9.32 0.08 9.65 10.20a 0.06
Bacteriodes 8.48 8.76 0.14 10.00 10.36a 0.09
Firmicutes 8.81 8.91 0.08 8.94b 9.32a 0.06
Bifidobacterium 4.66 4.58 0.20 3.99 3.86 0.14
Lactobacillus spp. 8.31 8.12 0.14 7.68 8.86a 0.19
Faecalibacterium spp. 5.75 5.62 0.30 6.68 7.35a 0.14
E.coli 4.19 4.83 0.25 4.37 4.51 0.19
Salmonella spp. 4.73 5.07 0.35 5.09 5.95 0.28
즉,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0일차 총 세균수, Bacteriodes, Firmicutes,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Faecalibacterium, E.coli, Salmonella는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유용 미생물 60일 급여농장의 비육돈의 경우, 총 세균수 10.20 log copies/g, Bacteriodes 10.36 log copies/g, Firmicutes 9.32 log copies/g, Lactobacillus 8.86 log copies/g, Faecalibacterium 7.35 log copies/g로 각각 유용 미생물 무첨가 농장의 비육돈보다 높은 미생물수를 나타냈다(P<0.05). 즉, 유용 미생물 60일 급여농장의 비육돈은 유용 미생물 무첨가 농장의 비육돈에 비해 총 세균수 및 Bacteriodes, Firmicutes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장내 유익균인 비피도박테리움, 락토바실러스 장내 염증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진 페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가 증가하였다.
(7) 제7 실험
제6 실험과 동시에, 2곳의 유용 미생물 급여 농장에 90일 동안 돈사 내부에 제2 실험에 따른 음수용 첨가제 제품을 돈사 내부 소독제로 사용하는 제7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제2 실험에 따른 음수용 첨가제 제품에 따른 유용 미생물을 돈사 내부에 살포하여, 돈사 내의 냄새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돈사 냄새농도 측정 검지채취기는 Gastec GV110S를 이용하였으며, 암모니아 농도측정은 3La, 아민 농도측정은 180, 황화수소 농도측정은 4LT를 각각 이용하였다. 돈사 냄새 농도 측정을 위해 돈사의 환기 팬을 정지시킨 후 5분 후에 돈사 중앙 1m 높이에서 측정하였다.
도 4는 유용 미생물 소독 처리에 따른 돈사 냄새 저감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7 실험 결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곳 농장 자돈사에서, 암모니아 가스 농도는 0일차의 56ppm 및 32ppm에서 90일차의 20ppm 및 18ppm으로 각각 감소하였고, 아민 가스 농도는 0일차의 170ppm 및 124ppm에서 90일차의 80ppm 및 77ppm으로 각각 감소하였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곳 농장의 육성사에서, 암모니아 가스 농도는 0일차의 38ppm 및 80ppm에서 90일차의 19ppm 및 28ppm으로 각각 감소하였고, 아민 가스 농도는 124ppm 및 184ppm에서 90일차의 79ppm 및 120ppm으로 각각 감소하였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곳 농장의 비육사에서, 암모니아 가스 농도는 0일차의 22ppm 및 28ppm에서 90일차의 32ppm 및 10ppm으로 각각 증가/감소하였고, 아민 가스 농도는 0일차의 75ppm 및 116ppm에서 90일차의 90ppm 및 40ppm으로 각각 감소하였다.
돈사 내부 환경 및 돈사 환기 방식이 다른 농장의 차이에 따라 어느 정도의 차이는 보였지만, 비육사 1곳을 제외하고 모든 돈사의 암모니아 및 아민 가스 농도가 저감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8) 제8 실험
사양 구간 동안 제2 실험 및 제3 실험에 따른 제품의 유용 미생물을 섭취한 대상 돼지와 일반관행으로 사육된 일반 돼지의 육질을 분석하는 제8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5는 유용미생물 섭취 돼지의 육질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8 실험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용 미생물을 섭취한 돼지에서, 고기 전단력 감소, 지방산패도 감소, 다가불포화지방산 함유량 증가, 필수지방산 증가, 고기의 맛을 대표하는 리놀렌산 증가, 유리아미노산 증가, 비타민 C 함량 증가 등의 개선 효과가 있었다.
제1 실험 내지 제8 실험의 결과, 대상 미생물을 포함한 음수/사료를 양돈에 사용할 경우, 개선된 균일 육질을 갖는 돼지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대상 미생물을 포함한 슬러리 냄새 저감제 및 돈사 내부 소독제를 사용할 경우, 슬러리 및 돈사 내부의 냄새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반영하여, 제1 인증 기준은 대상 미생물을 포함한 음수/사료, 슬러리 냄새 저감제 및 돈사 내부 소독제의 사용 여부에 관련된다. 이때, 제1 인증 기준은 대상 미생물을 기준 이상 포함하는 품질 보증된 미생물제의 사용 여부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증 기준에 따르면, 음수 시설이 구축된 농가의 경우, 물 섭취량 대비 음수 첨가용 미생물제를 일정 이상 첨가하여 급여해야 하고, 음수 시설 미 구축 농가는 배합사료에 사료 첨가용 미생물제를 일정 이상 첨가하여 급여해야 한다. 이때, 음수 첨가용 미생물제는 생균수 108 cfu/mL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1.0% 이상이 첨가될 수 있고, 사료 첨가용 미생물제도 생균수 108 cfu/g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0.5% 이상이 첨가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돼지 1마리당 일일 미생물 섭취가 일정 이상, 즉 108 cfu/g 또는 cfu/mL 이상이 되어야 한다.
특히, 제1 인증 기준은 대상 미생물을 기준 이상 포함하는 품질 보증된 미생물제의 사용 여부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이때, 품질 보증된 미생물제에 대한 정보는 제1 단말(10)이 품질 보증 서버(40)에 접속하여 획득될 수 있다. 특히, 대상 미생물의 품질관리를 위해, 해당 미생물제는 제조일로부터 2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품질 관리 서버(40)는 다음의 조건에 따라 품질 보증된 미생물제를 등록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다.
- 음수 또는 사료 첨가제, 슬러리 냄새 저감제, 돈사 내부 소독제의 품질관리 및 평가는 기본적으로 공시균주의 생균수, 병원성미생물 검출유무 및 우점미생물로 평가한다.
- 제품의 평가의 공시균주의 생균수 측정은 고체배지평판희석법으로 수행하되, 총 세균수는 plate count agar, 유산균은 MRS agar, 고초균은 TS agar, 효모는 YGC agar를 이용하여 계수하며, 공시균주의 생균수가 108 cfu/g 또는 cfu/mL 이상이어야 한다.
- 병원성 미생물 검출유무는 대장균 및 살모넬라의 검출 유무로 평가하며 고체배지 평판희석법 또는 3M Petrifilm 을 이용하여 평가하며 대장균 및 살모넬라 생균수가 102 cfu/g 또는 cfu/mL이어야 한다.
- 우점미생물 평가는 plate count agar에서 최대 단계희석배수에서 최소 5개 집락을 이룬 plate를 이용하여 공시균주의 검출유무로 평가한다. 최대 단계희석배수에서 5개 colony를 분리하고, 27F, 1492R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16S region을 증폭하여 동정하며, 사용균주가 50% 이상 일치하여야 한다.
- 슬러리 냄새 저감제는 간이시험을 통해 암모니아, 아민, 황화수소 등 항목에 30% 이상 냄새 저감율이 확보된 제품 사용해야 한다.
- 돈사 내부 미생물 소독제는 항균활성 결과가 객관적으로 확보된 제품에 한하여 사용해야 한다.
한편, 제1 실험 내지 제8 실험의 결과, 대상 미생물을 포함한 슬러리 냄새 저감제 및 돈사 내부 미생물 소독제를 사용할 경우, 돈사 내부의 냄새가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으며, 이는 암모니아 수치 측정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제2 인증 기준은 돈사 내부에서 측정된 암모니아 수치가 기준 이하인지 여부와 관련된다. 즉, 슬러리 피트에 대상 미생물이 포함된 슬러리 냄새 저감제를 지속적으로 투입하여 돈사 가스 발생량이 저감 되어야 하며, 주기적으로 대상 미생물이 포함된 돈사 내부 소독제를 사용하여 돈사에서 미생물 공생화가 되도록 함으로써, 돈사 내의 암모니아 수치가 기준 이하로 유지되도록 관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2 인증 기준 만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슬러리액비재순환 또는 주기적 슬러리 처리 시스템에 관계없이 돈사 내부 냄새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되, 환기시설을 중단한 후 10분 후 돈사 내부 중앙 돼지 코높이에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암모니아 기준 돈사 내부 가스농도가 30ppm 이하로 유지되는 양돈 농가에 한하여 제2 인증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험 내지 제8 실험의 결과, 양돈 중에 대상 미생물을 포함한 음수/사료 및 돈사 내부 소독제를 사용할 경우, 돼지 내의 유익균 증대로 인해 돼지 면역력이 증대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면역력 증대 효과는 모든 돼지들에게 균일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제3 인증 기준은 모돈 및 자돈의 구제역 백신 항체 형성률이 기준 이상인지 여부와 관련된다. 즉, 대상 미생물이 포함된 음수 또는 사료 첨가제 및 돈사 내부 소독제를 사용함에 따라 모돈 및 자돈의 구제역 백신 항체 형성률이 기준 이상을 유지하도록 관리해야 한다.
예를 들어, 농장 전년대비 구제역 백신 항체 형성률이 모돈 및 비육돈에서 평균 70% 이상으로 관리되는 양돈 농가에 한하여 제3 인증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험 내지 제8 실험의 결과, 대상 미생물을 포함한 슬러리 냄새 저감제 및 돈사 내부 미생물 소독제를 사용할 경우, 암모니아 등의 가스가 효과적으로 줄어들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암모니아 등의 가스가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제4 인증 기준은 돈사 내부의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준 이하인지 여부와 관련된다. 즉, 대상 미생물을 포함한 슬러리 냄새 저감제 및 돈사 내부 미생물 소독제를 사용하되 일정 수준의 청결함을 유지함에 따라 돈사 내부의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준 이하로 유지되도록 관리함으로써, 돈사 작업자 및 돼지의 건강을 보호하고, 대기환경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한국환경공단 미세먼지 안전기준에 따라 24시간 평균치로 돈사 내부의 미세먼지가 PM10 100㎍/m3, 초미세먼지가 PM2.5 35㎍/m3의 기준 이하로 유지되는 양돈 농가에 한하여 제4 인증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험 내지 제8 실험의 결과 외에의 효과를 반영한 제5 인증 기준 및 제6 인증 기준이 있을 수 있다.
제5 인증 기준은 축사 및 사육조건에 관련된다. 즉, 제5 인증 기준은 돈사 슬러리에서 차지하는 분뇨의 높이가 기준 이하인지 여부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돈사 슬러리 피트의 총 높이에 60% 이하로 분뇨가 적재되도록 유지하는 양돈 농가에 한하여 제5 인증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제5 인증 기준은 축사 · 농기계 및 기구 등의 청결 상태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결 상태를 1 내지 5 등과 같은 단계로 표시하여, 일정 단계 이상을 유지하는 양돈 농가에 한하여 제5 인증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제6 인증 기준은 사료 및 영양관리에 관련된 것으로서, 항생제, 화학성장촉진제, 또는 호르몬제의 비사용 여부와 관련된다. 예를 들어, 항생제, 화학성장촉진제, 또는 호르몬제가 첨가되지 않은 사료를 급여해야 하며 반추 가축, 단위가축 및 포유동물에서 유래한(육골분 등) 사료를 어떠한 경우에서도 급여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유지하는 양돈 농가에 한하여 제6 인증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때, 제6 인증 기준의 만족 여부는 돈육의 정밀한 품질 검사를 통해 평가할 수도 있지만, 비용적인 면을 고려하여 해당 사항에 대한 일지 또는 양돈 농가 주인에 의해 서명된 확인서 등을 통해 평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일지 또는 확인서는 제3 단말을 통해 인증 관리 서버(20)로 전송되어 저장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10)은 인증 관리 서버(20)로 접속하여 해당 일지 또는 확인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평가자가 인증 기준 만족 여부의 평가 시에 참고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방법은 도 1에 따라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 내지 S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S10은 평가 정보 전송 단계로서, 제1 단말(10)이 양돈 농가의 인증 기준에 대한 만족 여부를 평가한 평가 정보를 인증 관리 서버(2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이때, S10은 제1 단말(10)이 평가자에게 인증 기준의 내용을 알리는 화면과, 각 인증 기준의 만족 여부에 대한 평가 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 및 입력부를 평가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20은 인증 관리 단계로서, 인증 관리 서버(20)가 제1 단말(10)에서 전송된 평가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인증 기준을 만족하는 양돈 농가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여 저장 관리하는 단계이다. 이때, S20은 인증 관리 서버(20)가 인증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20은 인증 관리 서버(20)가 인증 마크의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또는 인쇄 가능하도록 인증 관리 서버(20)가 인증 마크의 이미지 파일을 저장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30은 인증 확인 단계로서, 제2 단말(20)이 인증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방법은 제3 단말이 인증 관리 서버(20)에 접속하기 위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방법은 제3 단말이 해당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통해 인증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 양돈 과정에 관련된 정보 등을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방법은 제1 단말(10), 제2 단말(2) 또는 제3 단말이 인증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인증 마크의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또는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품 돈육 생산 인증 방법은 인증 관리 서버(20)에 접속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에 매칭되는 양돈 농가가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인 경우, 해당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를 함께 포함한 인증 마크의 이미지 정보를 해당 제3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제1 단말 20: 인증 관리 서버
30: 제2 단말 40: 품질 관리 서버
50: 판매 서버

Claims (9)

  1. 양돈 농가의 인증 기준에 대한 만족 여부를 평가한 평가 정보를 인증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1 단말;
    제1 단말에서 전송된 평가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인증 기준을 만족하는 양돈 농가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여 관리하는 인증 관리 서버; 및
    인증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를 수신 가능한 판매자 또는 소비자 측의 제2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 기준은,
    돼지 분변에서 분리 동정된 미생물과 동일 종류인 대상 미생물을 포함한 음수/사료, 슬러리 냄새 저감제 및 돈사 내부 소독제의 사용 여부와 관련되며, 대상 미생물을 기준 이상 포함하는 품질 보증된 미생물제의 사용 여부에 따라 평가되는 제1 인증 기준;
    돈사 내부에서 측정된 암모니아 수치가 기준 이하인지 여부와 관련된 제2 인증 기준;
    모돈 및 자돈의 구제역 백신 항체 형성률이 기준 이상인지 여부와 관련된 제3 인증 기준; 및
    돈사 내부의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준 이하인지 여부와 관련된 제4 인증 기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인증 관리 서버는,
    대상 미생물을 기준 이상 포함하는 품질 보증된 상기 미생물제에 대한 품질 보증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품질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품질 보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며, 인증 기준 만족 여부의 평가 시 해당 품질 보증 정보를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기준은,
    돈사 슬러리에서 차지하는 분뇨의 높이가 기준 이하인지 여부와 관련된 제5 인증 기준과,
    항생제, 화학성장촉진제, 또는 호르몬제의 비사용 여부와 관련된 제6 인증 기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양돈 농가에 허여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로 인증 관리 서버에 접속 가능한 제3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증 관리 서버는,
    자신에게 접속한 제3 단말이 인증 마크 이미지의 다운로드 또는 인쇄가 가능하도록 인증 마크 이미지 정보를 제3 단말에 제공하되, 접속한 제3 단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에 매칭되는 양돈 농가가 기 인증된 양돈 농가인 경우, 해당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인증 마크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관리 서버는,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에서 양돈된 돈육을 온라인 회원제로 판매하는 판매 서버로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9. (a) 제1 단말이 양돈 농가의 인증 기준에 대한 만족 여부를 평가한 평가 정보를 인증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인증 관리 서버가 제1 단말에서 전송된 평가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인증 기준을 만족하는 양돈 농가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c) 판매자 또는 소비자 측의 제2 단말이 인증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이 부여된 양돈 농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기준은,
    돼지 분변에서 분리 동정된 미생물과 동일 종류인 대상 미생물을 포함한 음수/사료, 슬러리 냄새 저감제 및 돈사 내부 소독제의 사용 여부와 관련되며, 대상 미생물을 기준 이상 포함하는 품질 보증된 미생물제의 사용 여부에 따라 평가되는 제1 인증 기준;
    돈사 내부에서 측정된 암모니아 수치가 기준 이하인지 여부와 관련된 제2 인증 기준;
    모돈 및 자돈의 구제역 백신 항체 형성률이 기준 이상인지 여부와 관련된 제3 인증 기준; 및
    돈사 내부의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준 이하인지 여부와 관련된 제4 인증 기준;을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제1 단말이 대상 미생물을 기준 이상 포함하는 품질 보증된 상기 미생물제에 대한 품질 보증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품질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품질 보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며 인증 기준 만족 여부의 평가 시 해당 품질 보증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명품 돈육 생산 인증 방법.
KR1020180145627A 2018-11-22 2018-11-22 에코 프로바이오틱스 솔루션을 활용한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192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627A KR102192007B1 (ko) 2018-11-22 2018-11-22 에코 프로바이오틱스 솔루션을 활용한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9/015992 WO2020106067A2 (ko) 2018-11-22 2019-11-21 에코 프로바이오틱스 솔루션을 활용한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627A KR102192007B1 (ko) 2018-11-22 2018-11-22 에코 프로바이오틱스 솔루션을 활용한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095A KR20200060095A (ko) 2020-05-29
KR102192007B1 true KR102192007B1 (ko) 2020-12-16

Family

ID=7077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627A KR102192007B1 (ko) 2018-11-22 2018-11-22 에코 프로바이오틱스 솔루션을 활용한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2007B1 (ko)
WO (1) WO20201060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0799B (zh) * 2020-12-31 2022-07-29 毛战胜 猪粪检测处理装置及其检测、处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4688A (ja) * 2002-08-30 2004-03-25 Natl Fedelation Of Agricult Coop Assoc 農畜産物生産・加工・流通検査認証情報管理・公開システム
JP2006202241A (ja) * 2005-01-17 2006-08-03 Noriko Morinaga 生菌配合醗酵飼料及び免疫賦活配合飼料により良好な魚場で育った養殖魚介類を、生育初期段階(種苗導入から出荷までの養殖期間)その養殖魚介類に関するデーター(イケス周辺の海底質・1イケス内の匹数・生育開始・魚種・生産者・有害物質状況・投薬状況・生菌配合醗酵飼料の内容・免疫賦活配合飼料・生産担当者名)トレーサビリティの養殖魚介類の体外又は、体内に識別表を装着してその養殖魚介類の生育状況を「養殖魚介類取引所」に登録する。「養殖魚介類取引所」においては、登録された養殖魚介類をその種類毎に銘柄分けを行い、「養殖魚介類取引所」のホームページを通じてインターネット上に公開し、投資ファンドを公募するシステムを構築して販売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382B1 (ko) * 2006-02-28 2008-06-26 강호일 농수축산물의 인증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08687B1 (ko) * 2006-06-12 2008-02-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농축산물 및 가공식품 인증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311825B1 (ko) * 2011-08-08 2013-09-25 평창영월정선축산업협동조합 한우 품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4688A (ja) * 2002-08-30 2004-03-25 Natl Fedelation Of Agricult Coop Assoc 農畜産物生産・加工・流通検査認証情報管理・公開システム
JP2006202241A (ja) * 2005-01-17 2006-08-03 Noriko Morinaga 生菌配合醗酵飼料及び免疫賦活配合飼料により良好な魚場で育った養殖魚介類を、生育初期段階(種苗導入から出荷までの養殖期間)その養殖魚介類に関するデーター(イケス周辺の海底質・1イケス内の匹数・生育開始・魚種・生産者・有害物質状況・投薬状況・生菌配合醗酵飼料の内容・免疫賦活配合飼料・生産担当者名)トレーサビリティの養殖魚介類の体外又は、体内に識別表を装着してその養殖魚介類の生育状況を「養殖魚介類取引所」に登録する。「養殖魚介類取引所」においては、登録された養殖魚介類をその種類毎に銘柄分けを行い、「養殖魚介類取引所」のホームページを通じてインターネット上に公開し、投資ファンドを公募するシステムを構築して販売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095A (ko) 2020-05-29
WO2020106067A2 (ko) 2020-05-28
WO2020106067A3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áñez-Ruiz et al. The persistence of bacterial and methanogenic archaeal communities residing in the rumen of young lambs
Hernandez-Sanabria et al. Impact of feed efficiency and diet on adaptive variations in the bacterial community in the rumen fluid of cattle
EFSA Panel on Nutrition, Novel Foods and Food Allergens (NDA) et al. Safety of pasteurised Akkermansia muciniphila as a novel food pursuant to Regulation (EU) 2015/2283
Ziemer et al. Comparison of microbial populations in model and natural rumens using 16S ribosomal RNA‐targeted probes
Miquel et al. A proposed framework for an appropriate evaluation scheme for microorganisms as novel foods with a health claim in Europe
Kim et al. A meta-analysis of bacterial diversity in the feces of cattle
Ghosh et al. Metagenomic analysis reveals distinct patterns of gut lactobacillus prevalence, abundance, and geographical variation in health and disease
Wang et al. Characteristics of gut microbiota in pigs with different breeds, growth periods and genders
Pascher et al. Effects of a probiotic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ain on feed tolerance in dogs with non-specific dietary sensitivity
Zarei et al. Effects of probiotic and whey powder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microflora population, and ileum morphology in broilers
KR102192007B1 (ko) 에코 프로바이오틱스 솔루션을 활용한 명품 돈육 생산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aul et al. Effect of feeding isolates of anaerobic fungus Neocallimastix sp. CF 17 on growth rate and fibre digestion in buffalo calves
Xu et al. The fecal microbiota of dogs switching to a raw diet only partially converges to that of wolves
Rybarczyk et al. Effect of BioPlus YC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gut microbiota, production performance, carcass and meat quality of pigs
Pedersen et al. Performance, feeding behaviour and microbial diversity in weaned piglets fed liquid diets based on water or wet wheat-distillers grain
EFSA Panel on Additives and Products or Substances used in Animal Feed (FEEDAP)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GalliPro® Fit (Bacillus subtilis DSM 32324, Bacillus subtilis DSM 32325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DSM 25840) for all poultry species for fattening or reared for laying/breeding
Fuma et al. Use of bean husk as an easily digestible fiber source for activating the fibrolytic rumen bacterium Fibrobacter succinogenes and rice straw digestion
Checcucci et al. Assessment of Biolog Ecoplate TM method for functional metabolic diversity of aerotolerant pig fecal microbiota
Mei et al.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copper on growth performance and cecal ecosystem of newly weaned piglets
Walter et al. Microbe Profile: The Lactobacillaceae
EFSA Panel on Additives and Products or Substances used in Animal Feed (FEEDAP) et al. Efficacy of Saccharomyces cerevisiae (NBRC 0203), Lactobacillus plantarum (NBRC 3070) and Lactobacillus casei (NBRC 3425) as a silage additive for all species
EFSA Panel on Additives and Products or Substances used in Animal Feed (FEEDAP)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a feed additive consisting on Ligilactobacillus animalis ATCC PTA‐6750 (formerly Lactobacillus animalis) for all animal species (Chr. Hansen A/S)
Dong et al. Effects of phenyllactic acid on fermentation parameters, nitrogen fractions and bacterial community of high-moisture stylo silage
CN108330166A (zh) 一种酶制剂的饲用活性评估方法
EFSA Panel on Additives and Products or Substances used in Animal Feed (FEEDAP)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Lactobacillus plantarum DSM 29024 as a silage additive for all animal spe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