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813B1 - 내열성이 향상된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 Google Patents

내열성이 향상된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813B1
KR102191813B1 KR1020180173581A KR20180173581A KR102191813B1 KR 102191813 B1 KR102191813 B1 KR 102191813B1 KR 1020180173581 A KR1020180173581 A KR 1020180173581A KR 20180173581 A KR20180173581 A KR 20180173581A KR 102191813 B1 KR102191813 B1 KR 102191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yrene
block copolymer
sensitive adhesive
styren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720A (ko
Inventor
김현중
박지원
김경민
장성욱
송현석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삼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삼지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3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8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은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40~60중량%; 점착 부여 수지 35~58중량%; 및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와 금속할로젠화물의 혼합물 0.05~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열성이 향상된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SOLVENT TYPE ADHESIVE COMPOSITION IMPROVED HEAT RESISTANC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ADHESIVE FIL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여 내열성이 향상된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점착제는 작은 압력으로 짧은 시간에 강하게 접착할 수 있는 점탄성적 특성을 지닌 물질이다. 점착제는 전기전자산업, 자동차산업, 보호필름산업, 목질복합재료 및 가구산업, 토목건축 산업 및 코팅소재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고, 최근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점착제의 이용 및 중요성이 다방면에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부품 및 완제품의 표면 보호를 위한 보호필름용 점착제 산업은 합성고무계와 아크릴계 점착제가 주를 이루고 있고 수입의존성이 큰 산업분야이다.
점착제는 원료에 따라 크게 고무계, 핫멜트계, 아크릴계 및 실리콘계로 분류된다. 이 중, 고무계 점착제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를 원료로 하는데, 고무는 탄성이 있어서 자체만으로는 점착 특성을 발현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점착 부여 수지(tackifier)를 첨가해야 한다.
점착제에 사용되는 합성고무는 주로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는 2가지 혹은 그 이상의 성분들이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분자로, 중간에는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이나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 등이 있고 말단에 폴리스티렌 블록을 지니고 있는 형태인데, 각각의 블록은 상용성이 없어 스티렌 블록이 도메인을 형성하는 가교점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천연고무계 점착제보다 높은 응집성을 나타내므로 고정용 양면 테이프, 포장용 테이프, 기저귀용 테이프 등의 원료로 사용되며 특수용 점착제로서의 용도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합성고무를 사용한 점착제는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및 폴리이소프렌 각각의 용해도 파라미터가 다르므로 첨가하는 점착 부여 수지와 블록과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제조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방향족계 점착 부여 수지는 스티렌 블록상에 잘 용해되고 지방족계 점착 부여 수지는 고무상에 잘 용해되는 특성을 보인다.
국제출원 PCT/JP2001/003627호는 점착성 및 내후성이 높은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180~350℃에서 비닐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은 점착 부여제를 제안하였다. 또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6-0046099호는 뛰어난 대전방지성을 지닌 표면보호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필름을 제공하기 위하여, 양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과염소산염을 점착제용 중합체 속에 함유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무 점착제에 열 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금속할로젠화물을 도입하여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불포화 결합과 페놀 포름알데히드수지 간의 가교를 제어하여 내열성이 향상된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여 내열성이 향상된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은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40~60중량%; 점착 부여 수지 35~58중량%; 및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와 금속할로젠화물의 혼합물 0.05~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 함량이 13~30중량%, 디블록(diblock) 함량이 0~29중량%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35~45중량%; 및 스티렌 함량이 10~26중량%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연화점이 80~150℃인 수소 첨가된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탄화수소 수지, C5 탄화수소계 수지, C9 탄화수소계 수지, 수소 첨가된 로진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와 금속할로젠화물의 중량비는 3: 1~1:3일 수 있다.
상기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는 다수의 옥틸페놀기를 가지면서 말단부가 알데하이드, 알콕시 또는 하이드록시로 치환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금속할로젠화물은 산화아연, 염화아연 및 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제형 고무 점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합성고무인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점착 부여 수지를 방향족계 유기용제와 알코올류 유기용제의 혼합용액에 용해시켜 합성고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를 방향족계 유기용제 또는 알코올류 유기용제에 용해시켜 경화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고무용액, 상기 경화제용액 및 금속할로젠화물을 혼합하여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필름은 상기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고무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와 점착 부여 수지의 조성을 갖는 고무 점착제에 열 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수지 및 금속 할로젠화물을 도입함으로써,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불포화 결합과 페놀 포름알데히드수지간의 가교를 제어하여 내열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은 핫멜트형이 아닌 용제형으로 제조됨으로써, 박막의 두께를 가지는 필름을 제조하는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 필름의 전단점착파괴온도(Shear Adhesion Failure Temperature, SAFT)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 필름의 전단점착파괴온도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점착 필름의 전단점착파괴온도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은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점착 부여 수지;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금속할로젠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점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0~6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5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낮아져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초기 점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아져 레벨링성이 저하되어 점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선형의 구조로, 스티렌 함량이 13~30중량%, 디블록(diblock)의 함량이 0~29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크라톤폴리머(Kraton Polymer) 사의 G-1650, G1652, G1657 등이 있다. 이러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은 점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5~4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선형의 트라이블록(triblock) 공중합체로 스티렌 함량이 10~26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예로는 TSRC사의 VECTOR 4111A/4111N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은 점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열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점착 부여 수지는 점착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성분으로, 분자량이 수백에서 수천인 무정형 올리고머로서, 상온에서 액상 또는 고형인 열가소성 수지이다. 고무 자체로는 점착성이 없으나, 첨가되는 점착 부여 수지의 작용에 의해 유동성이 부여되어 고무 점착제가 초기 점착력, 점착력 및 유지력이 조절되므로 점착 부여 수지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점착 부여 수지로 연화점이 80~150℃인 수소 첨가된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탄화수소 수지(Hydrogenated dicyclopentadiene, DCPD), C5 탄화수소계 수지, C9 탄화수소계 수지, 수소 첨가된 로진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수지계인 로진(rosin)계는 주성분이 아비에트산(abietic acid)과 그 이성체로 공역화된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어서 산화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낮다. 따라서 이를 개량하기 위해서 수소화반응, 불균등반응, 이량체 등으로 안정화한 변성 로진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천연수지계인 테르펜 수지는 소나무로부터 얻어지는 테르펜유를 원료로 하여 루이스 산 촉매로 중합하여 테르펜 수지를 얻는다. 이것은 이소프렌 중합체이므로 상용성이 뛰어나고 넓은 수지농도범위로 점착특성의 균형을 얻기 쉽고 점착제의 개발 설계가 용이하며 저온에서의 점착 부여 효과가 현저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합성수지계로는 지방족계(C5), 방향족계(C9), 디시클로펜타디엔(dicyclopentadiene, DCPD)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지방족계는 고무계 점착제의 점착 부여 수지로 사용되어 균형이 좋은 점착 특성을 발현하고 안정된 수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크라프트 테이프 등에 대량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방향족계는 고무계 점착제와 상용성이 떨어지므로 주로 지방족계와 공중합된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점착 부여 수지는 합성고무에 점착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연화점(softening point)이 40~150℃인 수소 첨가된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탄화수소 수지를 사용한다. 초기 점착력 및 박리 강도 측면에서 80~150℃의 연화점을 가지는 수소 첨가된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탄화수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의 구체적 예로는, A-1100, A-1100S, A-1115, C-1100, C-100W, C-115R, H-2100, H-2110, H-2120, H-2130, H-2140 H-2200, H-2300, R-1100, T-1080, T-1095 등을 들 수 있고, 수소 첨가된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탄화수소 수지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KORON INDUSTRY사의 SUKOREZ 시리즈가 있으며, SU-90, SU-500, SU-525, SU-640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점착 부여 수지의 함량에 따라 점착제의 물성이 달라지며, 특히 초기 점착력이 일정 함량까지는 증가하지만, 어느 함량 이상에서는 급격하게 낮아진다. 초기 점착력의 물성을 고려하면 점착 부여 수지의 함량은 점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5~5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49~5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불포화 결합의 가교를 제어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다수의 옥틸페놀기를 가지면서 말단부가 알데하이드, 알콕시 또는 하이드록시로 치환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옥틸페놀기는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와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조합하여 가교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내열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SI GROUP INC사의 SP-1045 등이 있다. 또한,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와 점착 부여 수지의 총 함량은 점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0~6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5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할로젠화물은 산화아연, 염화아연 및 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와 금속할로젠화물의 총 함량은 점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5~2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와 금속할로젠화물의 중량비는 3: 1~1:3인 것이 바람직하며, 1: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은 합성고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경화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합성고무용액, 경화제용액 및 금속할로젠화물을 혼합하여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합성고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합성고무인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점착 부여 수지를 방향족계 유기용제와 알코올류 유기용제의 혼합용액에 용해시켜 합성고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방향족계 유기용제와 알코올류 유기용제는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점착 부여 수지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용제에 팽윤(Sweeling)시킬 경우, 고형분 20 중량%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용제에 팽윤(Swelling)시킬 경우, 고형분 20 중량%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의 경우 용제에 용해(Soluble)시킬 경우, 고형분 5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용제로는 용해도 파라미터(Solubility parameter)을 참고하여 사용되며, 방향족계 유기용제는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이 바람직하고, 알코올류 유기용제는 메탄올, 에탄올 및 메틸에틸케톤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방향족계 유기용제인 톨루엔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경화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를 방향족계 유기용제 또는 알코올류 유기용제에 용해시켜 경화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와 유기용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열 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의 경우 용제에 용해(Soluble)시킬 경우, 고형분 5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후,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합성고무용액, 경화제용액 및 금속할로젠화물을 혼합하여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제조된 용제형 고무 점착제의 농도는 20 중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할로젠화물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고무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와 점착 부여 수지의 조성을 갖는 고무 점착제에 열 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수지 및 금속 할로젠화물을 도입함으로써,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불포화 결합과 페놀 포름알데히드수지간의 가교를 제어하여 내열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은 핫멜트형이 아닌 용제형으로 제조됨으로써, 박막의 두께를 가지는 필름을 제조하는데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점착제는 점착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점착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는 본 발명의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제층을 가진다. 필름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가장 바람직하다. 필름에 도포되는 점착제 층의 두께는 1~100㎛가 바람직하다. 점착제가 도포된 필름을 90~200℃에서 3~10분 동안 경화하는 것이 점착력 면에서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G1650) 40중량%,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VECTOR 4111N) 10중량% 및 수소 첨가된 DCPD(SU-90) 49.8중량%를 톨루엔과 에탄올의 혼합 용액에 용해시켜 합성고무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합성고무용액의 농도는 20중량%였다.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SP-1045) 0.1중량%(SIS 함량 대비 1phr)를 톨루엔과 에탄올의 혼합 용액에 용해시켜 경화제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경화제용액의 농도는 50중량%였다.
이후, 제조된 합성고무용액과 경화제용액 및 산화아연 0.1중량%를 블렌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의 농도는 20중량%였다.
이후,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75㎛의 PET 필름 3장에 각각 도포하여 90℃, 150℃, 200℃에서 각각 10분 동안 경화시킨 후, 이형 필름을 덮어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수소 첨가된 DCPD,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산화아연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점착 필름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고무
(wt%)
SEBS 40 40 40 40 40
SIS 10 10 10 10 10
점착 부여 수지
(wt%)
SU-90 49.8 49 48 47 46
가교제
(wt%)
SP-1045
(SIS 함량 대비)
0.1
(1phr)
0.5
(5phr)
1.0
(10phr)
1.5
(15phr)
2.0
(20phr)
ZnO 0.1 0.5 1.0 1.5 2.0
[비교예 1-1 내지 3-2]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G1650),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VECTOR 4111N) 및 수소 첨가된 DCPD(SU-90 또는 SU-500)를 하기 표 2에 기재된 함량으로 조절하여 톨루엔과 에탄올의 혼합 용액에 용해시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의 농도는 20중량%였다.
이후,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75㎛의 PET 필름에 각각 도포하여 90℃에서 각각 3분 동안 경화시킨 후, 이형 필름을 덮어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2-1 비교예 2-2 비교예 3-1 비교예 3-2
고무
(wt%)
SEBS 45 45 40 40 35 35
SIS 5 5 10 10 15 15
점착 부여 수지
(wt%)
SU-90 50 - 50 - 50 -
SU-500 - 50 - 50 - 50
[실험예]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에 1-1 내지 3-2에서 각각 제조한 점착 필름의 전단점착파괴온도(Shear Adhesion Failure Temperature, SAFT)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편을 ASTM D4498에 따라 유지력시험기(광명 이화화학)을 이용하여 SAFT을 측정하였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SUS304)을 사용하였으며, 기판에 시편을 일정한 면적(25mmⅹ25mm)으로 붙인 후, 2kg 롤러를 2번 왕복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후, 필름에 일정 하중(1kg)을 가하여 일정한 승온 속도(0.5℃/min)를 가하였을 때, 점착 필름이 기판에서 떨어진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의 측정 결과는 도 2에 도시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점착 필름의 전단점착파괴온도는 100℃ 이상으로 내열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의 측정 결과는 도 3에 도시하였으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착 필름의 전단점착파괴온도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대비 전단점착파괴온도도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8)

  1.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40~60중량%;
    점착 부여 수지 35~58중량%; 및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와 산화아연 또는 산화마그네슘의 혼합물 0.05~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 함량이 13~30중량%, 디블록(diblock) 함량이 0~29중량%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35~45중량%; 및
    스티렌 함량이 10~26중량%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1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연화점이 80~150℃인 수소 첨가된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탄화소수 수지이고,
    상기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는, 다수의 옥틸페놀기를 가지면서 말단부가 알데히드로 치환된 구조인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와 산화아연 또는 산화마그네슘의 중량비는 3: 1~1:3인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기재된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8. 합성고무인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점착 부여 수지를 방향족계 유기용제와 알코올류 유기용제의 혼합용액에 용해시켜 합성고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를 방향족계 유기용제 또는 알코올류 유기용제에 용해시켜 경화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고무용액, 상기 경화제용액 및 산화아연 또는 산화마그네슘을 혼합하여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40~60중량%;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35~58중량%; 상기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와 산화아연 또는 산화마그네슘의 혼합물은 0.05~5중량%로 포함되고,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 함량이 13~30중량%, 디블록(diblock) 함량이 0~29중량%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35~45중량%; 및
    스티렌 함량이 10~26중량%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1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연화점이 80~150℃인 수소 첨가된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탄화소수 수지이고,
    상기 열반응형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는, 다수의 옥틸페놀기를 가지면서 말단부가 알데히드로 치환된 구조인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73581A 2018-12-31 2018-12-31 내열성이 향상된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KR102191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581A KR102191813B1 (ko) 2018-12-31 2018-12-31 내열성이 향상된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581A KR102191813B1 (ko) 2018-12-31 2018-12-31 내열성이 향상된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720A KR20200082720A (ko) 2020-07-08
KR102191813B1 true KR102191813B1 (ko) 2020-12-17

Family

ID=7160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581A KR102191813B1 (ko) 2018-12-31 2018-12-31 내열성이 향상된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35999A (zh) * 2023-01-16 2023-08-04 江苏晶华新材料科技有限公司 压敏胶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5599A1 (en) * 1997-09-19 1999-04-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Uv resistant adhesive tape
JP2004516338A (ja) 2000-08-11 2004-06-0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親水性および疎水性感圧接着剤を含む接着剤配合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094B1 (ko) * 2000-01-25 2002-06-10 박정수 전기 절연 테이프용 점착제
KR20070031344A (ko) * 2004-06-29 2007-03-19 도세로 가부시끼가이샤 점착제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 적층 필름 및 그 용도
EP1791575B1 (en) * 2004-08-05 2014-10-08 Corium International, Inc. Adhesive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5599A1 (en) * 1997-09-19 1999-04-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Uv resistant adhesive tape
JP2004516338A (ja) 2000-08-11 2004-06-0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親水性および疎水性感圧接着剤を含む接着剤配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720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5876B2 (ja) ブロックコポリマーとアクリル接着剤とのブレンド
JP3824658B2 (ja) 低粘度低適用温度ホットメルト接着剤用スチレン−イソプレン−スチレンブロックコポリマー組成物
KR101596049B1 (ko) 다수의 점착성 부여제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블렌드 접착제
EP3374408B1 (de) Kationisch polymerisierbare polyacrylate enthaltend alkoxysilangruppen und deren verwendung
KR100813217B1 (ko) Semi-IPN 구조 형성에 의한 UV 경화형 아크릴점착제 점착물성 개선방법
JP6204633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EP2475715B1 (en) Dual crosslinked tackifi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N101517027A (zh) 高剪切压敏粘合剂组合物
TW201207063A (en) High melt flow block copolymers for non-woven adhesives
JP4557305B2 (ja) ゴム系粘着剤組成物とその粘着シート
CN109054688A (zh) 热老化不失粘热熔型压敏胶及其制备方法
CN103773293A (zh) 一种可低温涂布的苯乙烯系热塑弹性体基热熔压敏胶
KR20090068132A (ko) 무극성 기재용 접착제
KR102191813B1 (ko) 내열성이 향상된 용제형 고무 점착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CN110088219A (zh) 粘合剂组合物和制品
CN114292622A (zh) 一种房屋内装饰墙贴用热熔压敏胶及其制备方法
EP1576068B1 (en) Packaging tape adhesive composition and packaging tape comprising it
CN110546225B (zh) 具有改善的流变性能的热熔压敏粘合剂组合物
EP3612611B1 (en) Blended block copolymer/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KR20150115862A (ko) 가소제 이동을 최소화하는 감압성 접착제, 이러한 감압성 접착제를 지닌 감압성 접착제 물품, 및 그러한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 방법
JP2014159526A (ja) ホットメルト型粘着剤組成物及び該粘着剤組成物を用いた再剥離性積層体
KR102208996B1 (ko) 내열성이 향상된 유사-상호침투 중합체 네트워크 구조의 고무 점착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WO2007063812A1 (ja) 粘着剤組成物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表面保護材
KR20170097059A (ko) 다중모드 비대칭 다중암 탄성중합체성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KR100905934B1 (ko) 광기능성 시트 보호필름용 점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