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264B1 -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 - Google Patents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264B1
KR102191264B1 KR1020190066642A KR20190066642A KR102191264B1 KR 102191264 B1 KR102191264 B1 KR 102191264B1 KR 1020190066642 A KR1020190066642 A KR 1020190066642A KR 20190066642 A KR20190066642 A KR 20190066642A KR 102191264 B1 KR102191264 B1 KR 102191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shroud
blade
airfoil blade
composi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010A (ko
Inventor
김석래
Original Assignee
(주)니코
김석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니코, 김석래 filed Critical (주)니코
Priority to KR1020190066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264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4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 B29C70/342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using isostatic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1/00Air-cushion
    • B60V1/14Propulsion; Control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2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4D29/023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72Prepr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30Manufacture with deposition of material
    • F05D2230/31Layer de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에 관한 것으로,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 시트가 특정두께로 적층되어 진공포장된 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되어 진공상태로 열압착을 통해 형성되며, 제1블레이드 결합홀부가 형성되는 제1복합재 슈라우드와,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 시트가 특정두께로 적층되어 진공포장된 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되어 진공상태로 열압착을 통해 형성되며, 제2블레이드 결합홀부가 형성되어 제1복합재 슈라우드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복합재 슈라우드와, 제1복합재 슈라우드와 상기 제2복합재 슈라우드 사이에 위치하도록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 시트가 특정두께로 적층되어 진공포장된 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되어 진공상태로 열압착됨에 따라 형성되며, 제3블레이드 결합홀부가 관통 형성되는 복합재 디스크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판 형태의 프리프레그 복합패드를 익형 모양으로 적층하고 열간 금형을 이용한 열간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제1복합재 슈라우드와 복합재 디스크 사이에 결합되며, 볼트의 체결을 위한 제1체결홈부가 형성되는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판 형태의 프리프레그 복합패드를 익형 모양으로 적층하고 열간 금형을 이용한 열간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제2복합재 슈라우드와 복합재 디스크 사이에 결합되며, 볼트의 체결을 위한 제2체결홈부가 형성되는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CARBON-COMPOSITE MATERIAL LIGHTWEIGHT IMPELLER OF AIR-CUSHION VEHICLE}
본 발명은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소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를 이용하여 프레임과 익형 블레이드를 각각 제작하고 상호 조립하여 중량을 줄이고, 프레임에 익형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결합홈부 및 걸림홈부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부양정은 선체에서 공기를 아래쪽으로 분사하여 선체가 물에 닿지 않고 뜬 상태에서 운행하는 선박으로, 물의 밀도에 의한 저항이 적고 추진기가 없어서 일반 선박이 운행할 수 없는 지형과 수초나 해초가 있는 늪이나 해안, 눈과 진흙, 모래 같은 곳에서도 운행할 수 있다.
통상의 공기부양정은 크게 추진용 프로펠러와 공기 압축용 임펠러(Lift Pan), 스커트(Skirt) 등으로 구성된다. 추진용 프로펠러와 공기 압축용 임펠러가 회전하면 대량의 공기가 배 아래쪽으로 들어가 수면 사이에 공기층(Air Cushion)이 생겨 선체를 띄우는 방식이다. 선체 아래에는 고무와 같이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스커트가 있어 공기층을 유지하기 위한 차단막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공기부양선은 부양을 위한 공기 압축용 임펠러가 금속에 의해 제작되므로, 그 무게가 무거워 연료비 등과 같은 운용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물에 의한 부식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10-1492373호(등록일:2015.02.04)에는 "공기 부양정"이 개시되어 있고, 국내 공개특허 제10-2018-0042473호(공개일:2018.04.26)에는 "공기부양정 기능을 겸비한 에어제트 추진방식의 선박 및 그 구성방법"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탄소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를 이용하여 프레임과 익형 블레이드를 각각 제작하고 상호 조립하여 중량을 줄이고, 프레임에 익형 블레이드가 안착되어 걸림 지지되는 결합홈부 및 걸림홈부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는,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 시트가 특정두께로 적층되어 진공포장된 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되어 진공상태로 열압착을 통해 형성되며, 제1블레이드 결합홀부가 형성되는 제1복합재 슈라우드와,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 시트가 특정두께로 적층되어 진공포장된 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되어 진공상태로 열압착을 통해 형성되며, 제2블레이드 결합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복합재 슈라우드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복합재 슈라우드와, 상기 제1복합재 슈라우드와 상기 제2복합재 슈라우드 사이에 위치하도록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 시트가 특정두께로 적층되어 진공포장된 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되어 진공상태로 열압착됨에 따라 형성되며, 제3블레이드 결합홀부가 관통 형성되는 복합재 디스크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판 형태의 프리프레그 복합패드를 적층하고 열간 금형을 이용한 열간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제1복합재 슈라우드와 상기 복합재 디스크 사이에 결합되며, 볼트의 체결을 위한 제1체결홈부가 형성되는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판 형태의 프리프레그 복합패드를 적층하고 열간 금형을 이용한 열간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제2복합재 슈라우드와 상기 복합재 디스크 사이에 결합되며, 볼트의 체결을 위한 제2체결홈부가 형성되는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복합재 슈라우드는, 상기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는 제1결합홈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복합재 슈라우드는, 상기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는 제2결합홈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재 디스크는, 상기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도록 상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걸림홈부와, 상기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도록 하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재 디스크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걸림홈부 사이에 상기 제2걸림홈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는 종래 발명과 달리 슈라우드와 디스크 및 익형 블레이드가 탄소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에 의해 각각 제작되어 상호 조립되므로,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슈라우드 및 디스크에 익형 블레이드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는 결합홈부 및 걸림홈부가 형성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디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익형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디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재 익형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100)는 제1복합재 슈라우드(110)와, 제2복합재 슈라우드(120)와, 복합재 디스크(130)와,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와,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100)는, 복합재 디스크(130)의 일측에 제1복합재 슈라우드(110)와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가 조립되고, 복합재 디스크(130)의 타측에 제2복합재 슈라우드(120)와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가 조립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100)는 복합재 디스크(130)를 기준으로 양측에 제1복합재 슈라우드(110)와 제2복합재 슈라우드(120)가 각각 배치되며, 복합재 디스크(130)와 제1복합재 슈라우드(110) 사이에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가 조립되고, 복합재 디스크(130)와 제2복합재 슈라우드(120) 사이에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가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100)는 공기 부양정의 선체에 설치되어, 선체의 부양을 위한 공기를 흡입하여 선체의 아래쪽으로 배출하여 공기층(Air Cushion)을 생성하게 된다.
제1복합재 슈라우드(110)는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 시트가 특정두께로 적층되어 진공포장된 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되어 진공상태로 열압착됨에 따라 형성되어 복합재 디스크(130)의 일측에서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복합재 슈라우드(110)는 볼트의 체결을 통해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1블레이드 결합홀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제1복합재 슈라우드(110)는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가 더욱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제1결합홈부(113)가 형성되며, 제1결합홈부(113)에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의 일단부가 안착되어 걸림 지지된다. 이때, 제1블레이드 결합홀부(111)가 제1결합홈부(113)에서 관통 형성된다.
제2복합재 슈라우드(120)는 제1복합재 슈라우드(110)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작되며, 복합재 디스크(130)의 타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복합재 슈라우드(120)는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 시트가 특정두께로 적층되어 진공포장된 후 오토클레이브에서 열성형을 통해 형성된다.
이러한 제2복합재 슈라우드(120)는 볼트의 체결을 통해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2블레이드 결합홀부(121)가 형성된다. 또한, 제2복합재 슈라우드(120)는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가 더욱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제2결합홈부(123)가 형성되며, 제2결합홈부(123)에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의 일단부가 안착되어 걸림 지지된다. 이때, 제2블레이드 결합홀부(121)가 제2결합홈부(123)에서 관통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복합재 슈라우드(110) 및 제2복합재 슈라우드(120)는 오토클레이브에서 90 내지 100psi의 압력과, 120 내지 130℃의 온도에서 성형된다.
복합재 디스크(130)는 제1복합재 슈라우드(110)와 제2복합재 슈라우드(120) 사이에 위치하며, 양측면에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와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가 볼트의 체결을 통해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복합재 디스크(130)는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 시트가 특정두께로 적층되어 진공포장된 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되어 진공상태로 열압착됨에 따라 형성된다.
또한 복합재 디스크(130)는 볼트의 체결을 통해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와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가 각각 결합되도록 제3블레이드 결합홀부(131)가 관통 형성된다.
더하여 복합재 디스크(130)는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 및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제1걸림홈부(133)와 제2걸림홈부(135)가 양면에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복합재 디스크(130)는 상면에 제1걸림홈부(133)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제1걸림홈부(133)에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지지된다. 그리고 복합재 디스크(130)는 하면에 제2걸림홈부(135)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제2걸림홈부(135)에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지지된다.
이때 제1걸림홈부(133)와 제2걸림홈부(135)는 복합재 디스크(130)를 상면에서 볼 때 제1걸림홈부(133) 사이에 제2걸림홈부(135)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판 형태의 프리프레그 복합패드기 익형 형태로 적층되고, 열간 금형에 의해 익형 모양으로 열간 성형된다. 또한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는 제1블레이드 결합홀부(111)와 연통하는 제1체결홈부(141)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제1결합홈부(113)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제1걸림홈부(133)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의 체결을 통해 제1복합재 슈라우드(110) 및 복합재 디스크(130)에 결합된다. 더하여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는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중량저감 공간부가 형성된다.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판 형태의 프리프레그 복합패드기 익형 형태로 적층되고, 열간 금형에 의해 익형 모양으로 열간 성형된다. 또한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는 제2블레이드 결합홀부(121)와 연통하는 제2체결홈부(151)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제2결합홈부(123)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타단부가 제2걸림홈부(135)에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의 체결을 통해 제2복합재 슈라우드(120) 및 복합재 디스크(130)에 결합된다. 이때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는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와 마찬가지로 중량저감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 및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 각각은 열간 금형에서 150도 ~ 155도씨의 온도와 70 ~ 100kg/cm2의 압력으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열간 성형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슈라우드 금형에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 시트를 특정 두께로 적층하고, 적층된 프리프레그 시트가 밀폐되도록 진공백을 슈라우드 금형에 접합하여 프리프레그 시트를 진공 포장한다.
그리고 프리프레그 시트를 진공포장한 슈라우드 금형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진공상태로 열압착하여 복합재 제1복합재 슈라우드(110)와 제2복합재 슈라우드(120)를 각각 성형한다. 이후, 제1복합재 슈라우드(110)에 제1블레이드 결합홀부(111) 및 제1결합홈부(113)를 각각 형성하고, 제2복합재 슈라우드(120)에도 제2블레이드 결합홀부(121) 및 제2결합홈부(123)를 각각 형성한다.
또한, 디스크 금형에 다른 형상의 복합재 프리프레그 시트를 적층하고, 프리프레그 시트를 적층한 디스크 금형을 진공포장하고, 디스크 금형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여 진공상태로 열압착하여 복합재 디스크(130)를 성형한다. 이때 디스크 금형은 상형과 하형으로 이루어지며, 원형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특정두께를 가지도록 복수개 적층하고, 상형과 하형을 합형하고 진공백으로 밀폐한다.
이후 복합재 디스크(130)를 가공하여 제3블레이드 결합홀부(131)와 제1걸림홈부(133) 및 제2걸림홈부(135)를 가공한다.
또한,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와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판 형태의 프리프레그 복합패드를 하프 익형 형태로 적층한다. 이때 하프 익형은 다른 익형을 모양을 가지도록 2개를 제작하고, 2개의 하프 익형을 예비금형을 이용하여 상호 접합하여 블레이드 적층체를 형성한다.
이후, 블레이드 적층체를 이형필름으로 커버하고 열간 금형에 삽입하여 열과 압력을 가하여 열압착하여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와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를 각각 성형한다. 그리고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40)와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150)를 가공하여 제1체결홈부(141) 및 제2체결홈부(151)를 각각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100)는 슈라우드와 디스크 및 익형 블레이드가 탄소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에 의해 각각 제작되어 상호 조립되므로,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 따른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100)는 슈라우드 및 디스크에 익형 블레이드의 견고한 조립을 위한 결합홈부 및 걸림홈부가 형성되므로, 조립 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
110 : 제1복합재 슈라우드 111 : 제1블레이드 결합홀부
113 : 제1결합홈부 120 : 제2복합재 슈라우드
121 : 제2블레이드 결합홀부 123 : 제2결합홈부
130 : 복합재 디스크 131 : 제3블레이드 결합홀부
133 : 제1걸림홈부 135 : 제2걸림홈부
140 :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 141 : 제1체결홈부
150 :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 151 : 제2체결홈부

Claims (2)

  1.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 시트가 특정두께로 적층되어 진공포장된 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되어 진공상태로 열압착을 통해 형성되며, 제1블레이드 결합홀부가 형성되는 제1복합재 슈라우드;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 시트가 특정두께로 적층되어 진공포장된 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되어 진공상태로 열압착을 통해 형성되며, 제2블레이드 결합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복합재 슈라우드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복합재 슈라우드; 상기 제1복합재 슈라우드와 상기 제2복합재 슈라우드 사이에 위치하도록 복합소재인 프리프레그 시트가 특정두께로 적층되어 진공포장된 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되어 진공상태로 열압착됨에 따라 형성되며, 제3블레이드 결합홀부가 관통 형성되는 복합재 디스크;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판 형태의 프리프레그 복합패드를 익형 모양으로 적층하고 열간 금형을 이용한 열간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제1복합재 슈라우드와 상기 복합재 디스크 사이에 결합되며, 볼트의 체결을 위한 제1체결홈부가 형성되는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 및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판 형태의 프리프레그 복합패드를 익형 모양으로 적층하고 열간 금형을 이용한 열간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제2복합재 슈라우드와 상기 복합재 디스크 사이에 결합되며, 볼트의 체결을 위한 제2체결홈부가 형성되는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 및 상기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는, 중량 줄일 수 있는 중량저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복합재 슈라우드는, 상기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는 제1결합홈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복합재 슈라우드는, 상기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는 제2결합홈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합재 디스크는, 상기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도록 상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걸림홈부; 및 상기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도록 하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걸림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복합재 슈라우드 및 상기 제2복합재 슈라우드는 오토클레이브에서 90 내지 100psi의 압력과, 120 내지 130℃의 온도에서 성형되고,
    상기 제1복합재 익형 블레이드 및 상기 제2복합재 익형 블레이드는 열간 금형에서 150도 ~ 155도씨의 온도와 70 ~ 100kg/cm2의 압력으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열간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
  2. 삭제
KR1020190066642A 2019-06-05 2019-06-05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 KR102191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642A KR102191264B1 (ko) 2019-06-05 2019-06-05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642A KR102191264B1 (ko) 2019-06-05 2019-06-05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010A KR20200140010A (ko) 2020-12-15
KR102191264B1 true KR102191264B1 (ko) 2020-12-16

Family

ID=7378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642A KR102191264B1 (ko) 2019-06-05 2019-06-05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2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446B1 (ko) 2022-09-23 2023-06-13 경진부로아 주식회사 복합 소재형 임펠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358B1 (ko) * 2010-06-03 2012-12-13 한국기계연구원 유연 프로펠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8602B1 (ko) * 2005-09-27 2013-08-26 우모에 만달 에이에스 원심 팬
KR101492373B1 (ko) 2014-04-29 2015-02-12 김용재 공기 부양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687A (ja) * 1998-01-30 1999-08-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シュラウド付インペラ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602B1 (ko) * 2005-09-27 2013-08-26 우모에 만달 에이에스 원심 팬
KR101211358B1 (ko) * 2010-06-03 2012-12-13 한국기계연구원 유연 프로펠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2373B1 (ko) 2014-04-29 2015-02-12 김용재 공기 부양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446B1 (ko) 2022-09-23 2023-06-13 경진부로아 주식회사 복합 소재형 임펠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010A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2192B2 (en) Method for producing honeycomb sandwich panel
US6234423B1 (en) Composite airfoil structures and their forming methods
JP5456473B2 (ja) 航空機用の複合翼スラット
KR101621275B1 (ko) 터빈 블레이드 절반부의 제조 방법, 터빈 블레이드 절반부, 터빈 블레이드의 제조 방법 및 터빈 블레이드
KR102191264B1 (ko) 공기 부양선용 복합소재 경량 임펠러
US7531058B2 (en) Reinforced rampdown for composite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for same
EP0805747B1 (en) Method for making honeycomb core composite articles
CN102308083B (zh) 高效风轮机叶片
US5639535A (en) Composite interleaving for composite interfaces
US7238409B1 (en) Structural element with rib-receiving member
US6708642B1 (en) Tri-sponson boat hull and method of making boat hulls
US20070013109A1 (en) Boat hull and method of manufacture
EP1013886B1 (en) Interblade filler platform
US7867928B2 (en) Fluid resistant composite sandwich panel
JP2010131991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8046421A1 (en) Structura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JP3769194B2 (ja) 複合材サンドイッチ構造体及びその補修方法
CN110355920B (zh) 一种用于制备板材主梁的模具及板材主梁制造方法
EP2948367B1 (en) An aerial skin article with reinforced fastening holes
KR102004977B1 (ko)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 제조방법
CN107901518A (zh) 一种带金属柔性接头的l型复合材料夹芯板连接结构
JP4765332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パネルの接続方法
KR102013121B1 (ko) 공기 부양선용 임펠러의 익형 블레이드 제조방법
KR102213059B1 (ko) 선박용 복합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427330Y1 (ko) 선박용 방향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