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488B1 -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488B1
KR102190488B1 KR1020190138415A KR20190138415A KR102190488B1 KR 102190488 B1 KR102190488 B1 KR 102190488B1 KR 1020190138415 A KR1020190138415 A KR 1020190138415A KR 20190138415 A KR20190138415 A KR 20190138415A KR 102190488 B1 KR102190488 B1 KR 10219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bundle
exchanger bundle
modu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김종일
이재건
권기두
Original Assignee
비씨태창산업(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씨태창산업(유) filed Critical 비씨태창산업(유)
Priority to KR1020190138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488B1/ko
Priority to JP2021523892A priority patent/JP7130286B2/ja
Priority to EP19916543.2A priority patent/EP4024000A4/en
Priority to PCT/KR2019/016439 priority patent/WO2021085728A1/ko
Priority to US17/004,269 priority patent/US1145446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9/00Cleaning by flushing or washing, e.g. with chemical solv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03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2Supports for cleaning appliances, e.g.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2015/006Arrangements for processing a cleaning fluid after use, e.g. filtering and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카마레에 의해 튜브 홀의 위치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세척모듈과 내부세척모듈의 설정된 동작 패턴에 따라 열교환기의 외부 번들 및 내부 튜브를 자동 세척할 수 있으며, 열교환기 세척시 사용된 세척수를 재처리하여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Heat exchanger bundle automatic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 번들에 구성된 수십 개의 튜브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튜브를 세척할 수 있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발전소에서 터빈 윤활유 냉각기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터빈 윤활유의 온도를 떨어뜨리거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냉장고에서 음식이 상하지 않도록 저온으로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응축기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열교환기를 세척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압력 공기를 이용하여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번들과 튜브를 세척하거나, 공기분사식 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작업을 수행하였다. 공기분사식 세척기는 세척제를 가득 채운 용기 안에 냉각기의 튜브를 넣고 공기방울을 발생시켜 공기방울과 세척제의 밀도차를 이용하여 세척제를 유동시킴으로써 열교환기의 튜브를 세척하는 장치이다.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열교환기의 튜브를 세척하는 경우에는 세척제 분사에 따른 미세먼지 발생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세척작업을 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였으며, 완전히 세척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분사식 세척기를 통하여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경우 용기 안에 세척제를 가득 채워야 하며, 공기방울 발생에 따른 세척제의 증발로 용기 안에 추가로 세척제를 주입하여야 했기 때문에 세척제가 너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기방울이 발생되어 세척제가 유동되는 부위만 세척되기 때문에 균일하게 세척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774호에 냉각기의 튜브 번들 세척기가 게시되어 있으나, 열교환기 튜브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양단에 회전장치가 고정된 상태로 갖추어져 설정된 크기의 열교환기 제품만을 세척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교환기의 각각의 튜브를 선택적으로 정밀하게 세척할 수 없어 많은 양의 세척수를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77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열교환기 번들 튜브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맵을 통해 좌표화하여 빠르고 신속하게 튜브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부세척모듈과 내부세척모듈의 설정된 동작 패턴에 따라 열교환기의 외부 번들 및 내부 튜브를 제어모듈에 자동 세척할 수 있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열교환기의 길이에 관계없이 열교환기 번들의 하부를 지지하는 간격을 조절하는 동시에 열교환기 번들을 회전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열교환기 튜브의 위치를 자동 인식하여 내부세척모듈의 노즐피더가 튜브의 정확한 위치에 삽입 또는 후퇴되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열교환기 세척시 사용된 세척수를 재처리하여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교환기 번들을 내부로 수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프레임이 설치된 챔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며, X,Y,Z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튜브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 가능하게 하는 내부세척모듈;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튜브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튜브를 촬영한 이미지가 입력되고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각각의 튜브를 좌표로 변환하여 맵을 만들게 하고 상기 맵을 근거로 상기 내부세척모듈의 작동을 제어되게 하는 제어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이미지를 좌표를 변환하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의 좌표를 전달받아 상기 내부세척모듈을 제어하고 오차 발생 시 이동 오차 보정이 가능한 PLC로 구성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열교환기 번들의 튜브의 이미지에서 튜브 내부를 홀로 인식하고, 상기 홀의 직경과 홀 사이 간의 거리를 수치화하며, 상기 홀의 직경이 평균값에서 설정한 오차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홀의 거리의 평균값에서 설정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홀을 오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에 의하면, 열교환기 번들의 튜브를 카메라로 인식하고, 맵을 통해 좌표를 지정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열교환기 번들의 튜브 내부를 자동으로 세척하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설정한 세척위치 및 세척순서에 따라 외부세척모듈과 내부세척모듈을 구동시켜 열교환기의 외부 번들 및 내부 튜브를 자동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번들을 지지하는 번들회전모듈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길이의 열교환기 번들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번들을 자동 회전시켜 열교환기 번들의 전체면을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이 미흡하거나 세척이 필요한 위치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튜브의 위치를 자동 인식하여 내부세척모듈의 노즐피더가 튜브의 정확한 위치에 삽입 또는 후퇴되어 작업시간을 단축하며 자동화하여 작업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열교환기 세척시 사용된 세척수를 재처리하여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으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단면에서 측면의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D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번들회전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의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유닛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2,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는 챔버(100), 내부세척모듈(200), 카메라(300) 및 제어모듈(400)를 포함하는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세척모듈(500)과 번들회전모듈(600) 그리고 폐수처리유닛(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챔버(100)는 열교환기 번들(1)을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상기 챔버(100)에는 내부로 수용된 열교환기 번들(1)을 세척하기 위해 챔버(100), 내부세척모듈(200), 카메라(300) 및 제어모듈(400)을 설치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프레임(120)이 설치되어 상기 내부세척모듈(20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챔버(100)는 길이가 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열교환기 번들(1)을 수용하고 내부 암실을 제공하여 상기 카메라(300)에 의한 촬영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세척시 세척오염물이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챔버(100)를 일측과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갖추어져 작업자가 세척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챔버(100)의 일측이 개폐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열교환기 번들(1)을 챔버(100) 내부로 이동시켜 세척하고 세척 완료 후 열교환기 번들(1)을 챔버(100)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챔버(100)의 하부에 가이드레일(601)이 설치되어 번들회전모듈(600)에 의해 열교환기 번들(1)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내부세척모듈(200)은 열교환기 번들(1)의 튜브(2)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내부세척모듈(200)은 챔버(100)의 내부에 프레임(120)에 배치된다. 이러한 내부세척모듈(200)은 모터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열교환기 번들(1)의 튜브(2)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와 5를 참조하면, 내부세척모듈(200)은 내부세척기(210), 노즐피더 이동용 액츄에이터(220, 도 3), 튜브 Y축 이동용 액츄에이터(230), 튜브 Z축 이동용 액츄에이터(2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내부세척기(210)는 열교환기 번들(1)의 튜브(2)의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피더가 갖추어진 것으로, 노즐피더 이동용 액츄에이터(220, 도3), 튜브 Y축 이동용 액츄에이터(230) 및 튜브 Z축 이동용 액츄에이터(240)에 의해 이동된다.
노즐피더 이동용 액츄에이터(220, 도3)는 내부세척기(210)를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노즐피더를 열교환기 번들(1)의 튜브(2) 측으로 삽입 또는 후퇴시킨다.
튜브 Y축 이동용 액츄에이터(230)는 내부세척기(210)를 번들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Y축 이동용 액츄에이터(230)에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연장샤프트(250)가 설치되어 연장샤프트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치차가 맞물려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렘에 형성된 레일에 맞물려 돌아갈 수 있다.
튜브 Z축 이동용 액츄에이터(240)는 내부세척기(210)를 번들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내부세척모듈(200)은 축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레일, 구동휠, 구름구를 더 포함하며,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카메라(300)는 열교환기 번들의 튜브를 촬영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챔버(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100)의 암실 조건에서 열교환기 번들(1)의 튜브(2)를 촬영할 수 있어 튜브(2)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300)의 상하부와 후부에는 별도의 조명(31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300)에 의해서 상기 열교환기 번들(1)의 튜브(2)의 캡쳐하여 튜브(2)의 개수, 형상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모듈(400)는 열교환기 번들의 세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400)는 컴퓨터(410)와 PLC(420)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410)는 상기 카메라(300)와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기 번들(1)의 튜브(2)를 촬영한 이미지가 입력되고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 번들(1)의 각각의 튜브(2)를 좌표로 변환하여 맵을 만들게 하여 좌표를 상기 PLC(420)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410)는 딥러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열교환기 번들(1)의 튜브(2) 내부 즉 홀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으며, 맵 저장 기능이 있다. 홀 인식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튜브 또는 홀을 좌표로 지정하고, 좌표를(Ym,Zm)으로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m은 순번이며, 기준순번 1로 지정하고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410)는 상기 카메라(300)로부터 전달받은 열교환기 번들(1)의 튜브(2)의 이미지에서 튜브 내부를 홀로 인식하고, 상기 홀의 직경과 홀 사이 간의 거리를 수치화하며, 상기 홀의 직경이 평균값에서 설정한 오차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홀의 거리의 평균값에서 설정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홀을 오류로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오류가 표시된 것은 작업자가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LC(420)는 상기 맵을 근거로 좌표를 따라 상기 내부세척모듈(200)을 Y,Z축으로 작동을 제어되게 하여 열교환기 번들(1)의 튜브(2) 내부를 순차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세척모듈(200)의 노즐피더의 개수가 제어모듈에 프로그램 선택 설정되게 하여 노즐피더 개수에 맞게 튜브가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리고, 중복 세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리고, 외부세척모듈(500)의 이동 거리는 각 모듈에 설치된 엔코더에 의해 확인하고 이동 거리에 오차가 있는 경우에는 오차 만큼 재이동을해 위치 보정을 한다.
상기 PLC(420)로 상기 열교환기 번들(1)의 튜브(2) 중 세척 완료된 튜브를 상기 컴퓨터(410)에 전달하여 세척이 완료된 튜브(2)를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다.
외부세척모듈(500)은 열교환기 번들(1)의 외부를 세척하기 위하여 프레임(110)의 전후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외부세척모듈(500)은 모터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세척수를 분사하여 열교환기 번들 외부를 세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외부세척모듈(500)은 외부세척기(510), 번들 X축 이동용 액츄에이터(520), 번들 Y축 이동용 액츄에이터(530), 번들 Z축 이동용 액츄에이터(5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외부세척기(510)는 열교환기 번들(1)의 외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헤드(511)가 갖추어진 것으로, 번들 X축 이동용 액츄에이터(520), 번들 Y축 이동용 액츄에이터(530) 및 번들 Z축 이동용 액츄에이터(540)에 의해 이동된다.
번들 X축 이동용 액츄에이터(520)는 외부세척기(510)를 열교환기 번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번들 Y축 이동용 액츄에이터(530)는 외부세척기(510)를 열교환기 번들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번들 Z축 이동용 액츄에이터(540)는 외부세척기(510)를 열교환기 번들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외부세척모듈(500)은 축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레일, 구동휠, 구름구를 더 포함한다. 레일은 X, Y, Z 축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이동안내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구동휠은 기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레일의 이동안내홀에 기어치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구름구는 레일의 일면과 타면에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구동휠의 부하를 분산시켜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도 1에서 번들회전모듈(600)은 프레임(110)의 하부 양측에 배치되며, 열교환기 번들을 지지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구동되고, 가이드레일(601)을 따라 열교환기를 챔버(10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번들회전모듈(600)은 도 7을 참조하면, 번들 회전체(610), 연결브라켓(620), 번들 이동체(6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번들 회전체(610)는 롤러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번들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대칭되게 배치되어 번들을 지지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체(610)에는 모터(50)와 감속기(640)가 연결되어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번들 회전체(610)는 열교환기 번들의 양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교환기의 길이에 따라 번들의 중앙에 추가로 배치되어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620)은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번들 회전체(610)의 하부에 장착되어 번들 회전체(610)를 연결하는 것으로, 열교환기 번들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번들 이동체(630)는 한 쌍의 번들 회전체(610)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연결브라켓(620)의 전후 양측 하단에 배치되며, 열교환기 번들의 길이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갖추어진다.
그리고 도 8 내지 10을 참고하면 제어모듈(400)은 내부세척모듈(200), 외부세척모듈(500) 및 번들회전모듈(600)을 설정된 동작 패턴에 따라 구동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모듈(400)은 전기제어, PLC 전자제어, 공압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결과가 출력패널(420)에 표시되어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 내지 10을 참고하면 작업자에 의해 제어모듈(400)의 입력패널(430)로 외부세척 패턴모드(441)와 내부세척 패턴모드(442)가 입력되어 내부세척모듈(200), 외부세척모듈(500) 및 번들회전모듈(600)의 구동동작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외부세척 패턴모드(441)는 열교환기 번들의 세척위치 및 세척순서에 따라 외부세척모듈(500)의 동작 패턴이 설정된다. 또한, 제어모듈(400)은 열교환기 번들 세척시 외부세척 패턴모드(441)에 따라 번들회전모듈(600)을 구동하여 번들을 설정간격으로 회전시켜 번들의 전체면을 균일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내부세척 패턴모드(442)는 제어모듈(400)의 컴퓨터로 부터 입력받은 좌표를 근거로 튜브의 세척위치 및 세척순서에 따라 내부세척모듈(200)의 동작 패턴이 설정된다. 특히, 카메라 의해 튜브의 위치를 인식하고 컴퓨터에 의해 좌표화하여 맵을 만들어 PLC 설정에 의해 내부세척모듈(200)의 내부세척기가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어모듈(400)에 설정된 외부세척 패턴모드(441)와 내부세척 패턴모드(442)에 따라 내부세척모듈(200), 외부세척모듈(500) 및 번들회전모듈(600)의 동작이 자동 제어되어, 열교환기를 단시간 내에 대량 세척할 수 있으며, 설정지점을 정확하고 완벽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과 11을 참조하면, 폐수 처리유닛(700)은 내부세척모듈(200)과 외부세척모듈(500)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여과하는 것으로, 집수조, 유수분리기(720), 필터기(730), 세척 송풍기(740), 역세수조(750), 처리수조(7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집수조는 내부세척모듈(200)과 외부세척모듈(500)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수집하여 유수분리기(720)로 공급한다.
유수분리기(720)는 집수조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물과 오일로 분리하는 것으로, 달걀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구조로 갖추어져 세척수를 단시간에 물과 오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필터기(730)는 유수분리기(720)에서 분리된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으로, 복수의 섬유필터가 적층되어 넓은 여과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세척 송풍기(740)는 필터기(730)의 유입구측에 장착되며, 세척수의 유동량을 증대시킨다.
역세수조(750)는 필터기(730)에 연결되어 필터기(730)에 여과된 부유물질을 세정하기 위해 공급된다.
처리수조(760)는 필터기(730)의 배출구측에 설치되어 내부세척모듈(200)과 외부세척모듈(500)로 여과된 세척수를 재공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내부세척모듈과 외부세척모듈의 설정된 동작 패턴에 따라 열교환기 번들 외부 및 튜브 내부를 자동 세척할 수 있으며, 열교환기 세척시 사용된 세척수를 재처리하여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열교환기 번들
2 : 튜브
10 : 모터
100 : 챔버
110: 프레임
200 : 내부세척모듈
210 : 내부세척기
211 : 노즐피더
220 : 노즐피더 이동용 액츄에이터
230 : 튜브 Y축 이동용 액츄에이터
240 : 튜브 Z축 이동용 액츄에이터
300: 카메라
400: 제어모듈
410: 컴퓨터
420: PLC
440 : 입력패널
441 : 외부세척 패턴모드
442 : 내부세척 패턴모드
450 : 출력패널
500 : 외부세척모듈
510 : 외부세척기
511 : 노즐헤드
520 : 번들 X축 이동용 액츄에이터
530 : 번들 Y축 이동용 액츄에이터
540 : 번들 Z축 이동용 액츄에이터
600 : 번들회전모듈
610 : 번들 회전체
620 : 연결브라켓
630 : 번들 이동체
700 : 폐수 처리유닛
710 : 집수조
720 : 유수분리기
730 : 필터기
750 : 역세수조
760 : 처리수조

Claims (10)

  1. 열교환기 번들을 내부로 수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프레임이 설치된 챔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며, X,Y,Z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튜브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 가능하게 하는 내부세척모듈;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튜브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튜브를 촬영한 이미지가 입력되고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각각의 튜브를 좌표로 변환하여 맵을 만들게 하고 상기 맵을 근거로 상기 내부세척모듈의 작동을 제어되게 하는 제어모듈;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이미지를 좌표를 변환하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의 좌표를 전달받아 상기 내부세척모듈을 제어하고 오차 발생 시 이동 오차 보정이 가능한 PLC로 구성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열교환기 번들의 튜브의 이미지에서 튜브 내부를 홀로 인식하고, 상기 홀의 직경과 홀 사이 간의 거리를 수치화하며, 상기 홀의 직경이 평균값에서 설정한 오차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홀의 거리의 평균값에서 설정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홀을 오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세척모듈은,
    상기 튜브의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피더가 갖추어지는 내부세척기;
    상기 노즐피더를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튜브 측으로 삽입 또는 후퇴시켜 X축으로 이동 가능한 노즐피더 이동용 액츄에이터;
    상기 내부세척기를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튜브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튜브 Y축 이동용 액츄에이터; 및
    상기 내부세척기를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튜브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튜브 Z축 이동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X,Y,Z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열교환기 번들 외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외부세척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세척모듈과 내부세척모듈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물과 오일로 분리하는 유수분리기와, 상기 유수분리기에서 분리된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기가 갖추어져, 상기 필터기에서 여과된 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세척모듈과 내부세척모듈로 재공급하여 순환시키는 폐수 처리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세척모듈은,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외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헤드가 갖추어지는 외부세척기;
    상기 외부세척기를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번들 X축 이동용 액츄에이터;
    상기 외부세척기를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번들 Y축 이동용 액츄에이터; 및
    상기 외부세척기를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번들 Z축 이동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는,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세척위치 및 세척순서에 따라 상기 외부세척모듈의 동작 패턴이 설정되는 외부세척 패턴모드;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튜브의 세척위치 및 세척순서에 따라 상기 내부세척모듈의 동작 패턴이 설정되는 내부세척 패턴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 번들을 지지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구동되는 번들회전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회전모듈은 상기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배치되되,
    롤러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길이방향으로 놓여지고, 상기 열교환기 번들 하부에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번들 회전체;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번들회전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연결브라켓;
    한 쌍의 번들 회전체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연결브라켓의 좌우양측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 번들의 길이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갖추어지는 번들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KR1020190138415A 2019-11-01 2019-11-01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KR10219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415A KR102190488B1 (ko) 2019-11-01 2019-11-01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JP2021523892A JP7130286B2 (ja) 2019-11-01 2019-11-27 熱交換器バンドルの自動洗浄装置
EP19916543.2A EP4024000A4 (en) 2019-11-01 2019-11-27 DEVICE FOR AUTOMATICALLY CLEANING A HEAT EXCHANGER BUNDLE
PCT/KR2019/016439 WO2021085728A1 (ko) 2019-11-01 2019-11-27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US17/004,269 US11454466B2 (en) 2019-11-01 2020-08-27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heat exchanger bu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415A KR102190488B1 (ko) 2019-11-01 2019-11-01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488B1 true KR102190488B1 (ko) 2020-12-11

Family

ID=73786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415A KR102190488B1 (ko) 2019-11-01 2019-11-01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0488B1 (ko)
WO (1) WO20210857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5412A (zh) * 2021-10-25 2021-12-31 山东舜业压力容器有限公司 一种换热器在线自动清洗装置
KR20230128767A (ko) 2022-02-28 2023-09-05 비씨태창산업(유) 이동식 열교환기 번들 세척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804B1 (ko) * 2001-10-11 2005-02-21 임호권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KR200476774Y1 (ko) 2013-10-31 2015-03-31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냉각기의 튜브 번들 세척기
US20160033210A1 (en) * 2014-07-31 2016-02-04 Altex Industries Inc. Support for a heat exchanger tube bundle
JP2017104811A (ja) * 2015-12-10 2017-06-15 関電プラント株式会社 細管洗浄システム
US20180010867A1 (en) * 2016-07-11 2018-01-11 David C. Van Fleet Mobile Hydro-Blasting Equipment and Tube Lancing Contain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3396B2 (ja) * 2013-10-24 2018-04-04 栗田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チューブバンドル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804B1 (ko) * 2001-10-11 2005-02-21 임호권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KR200476774Y1 (ko) 2013-10-31 2015-03-31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냉각기의 튜브 번들 세척기
US20160033210A1 (en) * 2014-07-31 2016-02-04 Altex Industries Inc. Support for a heat exchanger tube bundle
JP2017104811A (ja) * 2015-12-10 2017-06-15 関電プラント株式会社 細管洗浄システム
US20180010867A1 (en) * 2016-07-11 2018-01-11 David C. Van Fleet Mobile Hydro-Blasting Equipment and Tube Lancing Containment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5412A (zh) * 2021-10-25 2021-12-31 山东舜业压力容器有限公司 一种换热器在线自动清洗装置
KR20230128767A (ko) 2022-02-28 2023-09-05 비씨태창산업(유) 이동식 열교환기 번들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728A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5036A (ko) 폐수 재처리 기반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KR102190488B1 (ko)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US1082148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tube bundles
KR101103820B1 (ko)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
DE102015106725B4 (de) Verfahren zur maschinellen Reinigung von Werkstücken und/oder Maschinenbauteilen sowie Reinigungsanlage
KR200476774Y1 (ko) 냉각기의 튜브 번들 세척기
JP7130286B2 (ja) 熱交換器バンドルの自動洗浄装置
EP3289338A1 (de) Verfahren sowie inspektionssystem zur ermittlung und überprüfung des oberflächenreinheitsgrades von industriell gereinigten werkstücken oder maschinenbauteilen
US20080053382A1 (en) Upper bundle cleaning system of steam generator
KR100575110B1 (ko)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 발생기 전열관 검사 및 세정이가능한 랜싱장치
CN109158360A (zh) 一种用于汽车齿轮的清洗设备及清洗方法
CN115445349B (zh) 一种动态调节式脉冲除尘器
CN215965385U (zh) 一种气瓶清洗设备
CN209205919U (zh) 药品残留溶剂清洗设备
KR100431560B1 (ko) 증기발생기의 침전물 제거장치
CN202356752U (zh) 共享型加工液供应装置
CN214052840U (zh) 一种全自动浸泡式脱膜清洗机
CN212760023U (zh) 一种用于异形件的吹扫装置
RU275297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теплообменных труб парогенератора атомной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водяными струями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CN218945381U (zh) 一种机床用零部件加工喷漆装置
CN218963386U (zh) 清洗剂供给机构以及全自动刷板清洁设备
CN112605050A (zh) 一种全自动浸泡式脱膜清洗机
CN208261353U (zh) 一种电磁阀清洗控制系统
RU169641U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комплекс очистки деталей и узлов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CN117983909A (zh) 核电厂阀门法兰螺孔检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