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206B1 -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 - Google Patents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206B1
KR102190206B1 KR1020200130711A KR20200130711A KR102190206B1 KR 102190206 B1 KR102190206 B1 KR 102190206B1 KR 1020200130711 A KR1020200130711 A KR 1020200130711A KR 20200130711 A KR20200130711 A KR 20200130711A KR 102190206 B1 KR102190206 B1 KR 102190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nel
protruding
contact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철
최지애
Original Assignee
비오엠코스메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오엠코스메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오엠코스메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0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herein the stirrers or the receptacles are moved in order to bring them into operative position; Means for fixing the receptacle
    • B01F27/806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herein the stirrers or the receptacles are moved in order to bring them into operative position; Means for fixing the receptacle with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tirrer, e.g.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pivoting the stirrer about a vertical axis in order to co-operate with different receptacles
    • B01F7/16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B01F15/00123
    • B01F15/00779
    • B01F15/06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5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3Heating or cooling systems arranged inside the receptacle
    • B01F7/22
    • B01F2015/0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1Mixing of ingredients for cosmetic or perfume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2Mixing of ingredients for pharmaceutical or medical compositions
    • B01F2215/0031
    • B01F2215/003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으로서, 배합을 위한 교반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및 교반장치를 가동하여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성분을 적절하게 배합하는 배합수단을 다양한 조건별로 다수로 운용하여 가장 좋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조건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렇게 다수의 배합수단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각종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어 현장의 작업환경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충격이 가해지면 그에 따른 유동으로 인한 파손 내지 오작동의 위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Composition mixing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본 발명은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며, 이러한 교반장치의 운용에 있어 충격과 진동을 억제하고 다수의 교반장치를 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반장치가 위치되는 현장의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날로 늘어가는 탈모 증상 발현 인구로 인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연구개바로디고 있다. 물리적인 모발 이식과 가발 등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며 탈모를 억제하는 성분 개발을 위한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각종 성분을 적절하게 배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배합수단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단일의 배합수단을 운용하기 보다는 다양한 조건별로 다수의 배합수단을 운용하여 가장 좋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조건을 획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배합수단의 운용에 다양한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어 연구자들의 연구수행력을 저해하게 된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충격이 가해지면 그에 따라 파손 내지 오작동의 위험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때문에, 조성물 배합을 위한 배합수단 자체의 안정적인 다수 운용이 가능한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은 현재로서 부재 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93543호
본 발명은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며, 이러한 교반장치의 운용에 있어 충격과 진동을 억제하고 다수의 교반장치를 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반장치가 위치되는 현장의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으로서, 배합을 위한 교반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및 교반장치를 가동하여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합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통(9)을 포함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성분을 적절하게 배합하는 배합수단을 다양한 조건별로 다수로 운용하여 가장 좋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조건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렇게 다수의 배합수단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각종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어 현장의 작업환경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충격이 가해지면 그에 따른 유동으로 인한 파손 내지 오작동의 위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교반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교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교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으로서, 배합을 위한 교반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및 교반장치를 가동하여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교반장치는 도 2는 배합을 위한 교반장치 타입의 예시를 참고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반장치에 있어서, 내용물이 수용되는 통형상체인 제1 구조물(A1); 및 상기 제1 구조물(A1)의 상부를 덮는 뚜껑부(A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7는 배합을 위한 교반장치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결합몸체(1)의 상부에는 전원스위치(2) 및 온도조절스위치(3)가 형성된 제어박스(5)가 결합되어 있고, 그 결합몸체(1)의 좌우측에는 결합요홈(4),(4')을 다수개 형성하고 있다. 이 결합요홈(4),(4')은 후술하는 통 유닛(9)의 몸체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제어박스(5)의 상부에는 결합몸체(1)를 관통하여 살포연결관(7)이 고정되어 있으며, 결합몸체(1)의 하부에는 히터(6) 및 교반봉(8)이 장착되어있다. 이 교반봉(8)의 하단에는 교반판(20)이 결합되고, 그 교반봉 내부 살포 연결파이프의 하단에 마감부재(12)가 고정되어 구성한다. 미설명 부호 S는 온도센서이며, 31는 살포기와 연결시 오버플로워 되는 양이 통으로 오버플로워파이프이다. 이 관계를 도 2의 분해사시도에 보다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결합몸체(1)의 상부에는 도시하지아니한 전원장치 및 모터 등을 포함하고 있는 제어박스(5)가 결합되며, 결합몸체(1)에는 히터 (6) 및 기어(13)를 통하여 교반봉(8)이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한 기어는 도시하지 아니한 제어박스(5)내 모터와 연결된다.
상기 기어(13)에 의하여 회전하는 교반봉(8)의 내부에는 살포 연결파이프(11)가 삽입되고, 상하 안내가이드판(21),(22)을 통하여 교반판(20)이 체결되는 구조이며, 교반봉(8)에 마감부재(12)를 고정하여 완성된다. 이와같이 안내가이드판(21),(22)을 통하여 교반판(20)이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용접이 불필요하다. 이 연결관계는 도 3에 의하여 명백히 나타나는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교반장치 하단에 장착된 살포연결파이프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가이드판(21),(22) 및 교반판(20)의 구멍이 볼트나 나사를 통하여 체결되면서(도 2 참조) 교반판(20)의 고정구멍(23)에 교반봉(8)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안내가이드판(21),(22)이 경사각에 의하여 교반봉(8)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교반봉(8)의 내부에 설치된 살포 연결파이프(11)가 마감부재(12)를 통하여 고정되어(나사맞춤) 교반봉(8)의 회전시 살포연결파이프(11)와 추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 교반장치의 결합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결합몸체(1)의 한쪽에 접고 펼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통이 적은 경우 (a)와 같이 접힌상태에서 결합요홈(4)을 통하여 결합몸체가 통과 고정되고, 큰 통의 사용시에는 손잡이로 그 길이를 늘려 결합요홈(4)에 결합요홈(4)을 통하여 결합몸체가 통과 고정되도록 하여 다양한 통의 크기에 상관없이 교반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통 유닛(9)의 두께(19) 부분에 결합몸체(1)의 결합요홈(4),(4')이 결합되어 교반장치(10)가 작동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통의 크기에 따라 결합요홈이 형성되는 위치를 결정한다.
이와 같은 전원이 투입된 상태에서 교반장치를 작동시키면, 도 5와 같이 제어박스(5)내 모터가 회전하여 교반봉(8)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히터(6)를 가동하여 원하는 온도를 유지할 수가 있다. 특히, 제어박스(5)내 전원회로에 콘트롤 기능을 부가시키는 경우 교반판이 일정시간 정,역회전을 반복하도록 설정할 수가 있으며, 다단계 설정된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콘트롤 제어회로를 별도로 구성하여 제어할 수가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공지된 회로를 사용할 수 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연설명하며 상기 교반장치는 배합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통 유닛(9)과, 양측에 결합요홈이 형성된 결합몸체(1)와, 상기 결합몸체(1)에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 전원회로 및 외부 살포 연결관(7)을 형성하고 있는 제어박스(5)와, 상기 결합몸체(1)를 통하여 제어박스(5)와 연결되며, 하부로 연이어 설치되는 히터(6) 및 교반판(20)이 설치되어 상기 통 유닛(9)에 내용물을 배합하기 위한 교반봉(8)과, 상기 통 유닛(9)을 상부에 거치하도록 구비된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교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교반장치에 있어서, 배합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통 유닛(9)과, 양측에 결합요홈이 형성된 결합몸체(1)와, 상기 결합몸체(1)에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 전원회로 및 외부 살포 연결관(7)을 형성하고 있는 제어박스(5)와, 상기 결합몸체(1)를 통하여 제어박스(5)와 연결되며, 하부로 연이어 설치되는 히터(6) 및 교반판(20)이 설치되어 상기 통 유닛(9)에 내용물을 배합하기 위한 교반봉(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 유닛(9)의 하면에는 다수의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교반장치는, 상기 통 유닛(9)과 장착되는 지지고정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 유닛(9)은 하부 중앙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각형의 연장몸체(115)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고정유닛(110)은, 상기 지지대중 일측의 제1 지지대(120)와 타측의 제2 지지대(130)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받침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받침구(140)는 상부에 상기 제1 지지대(120)의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대(120)와 접하는 제1-1 돌출패널(151)와, 상부에 상기 제1 지지대(120)의 타측에 높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대(120)와 접하는 제1-2 돌출패널(152)와, 상부에 상기 제2 지지대(130)의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대(130)와 접하는 제2-1 돌출패널(161)와, 상부에 상기 제2 지지대(130)(130)의 타측에 높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대(130)와 접하는 제2-2 돌출패널(1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1 돌출패널(151)와 상기 제1-2 돌출패널(152)는 상기 제1 지지대(120)를 양측에서 눌러 홀딩시키며, 상기 제2-1 돌출패널(161)와 상기 제2-2 돌출패널(162)는 상기 제2 지지대(130)를 양측에서 눌러 홀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받침구(140)는, 상부에 상기 제1-1 돌출패널(151)의 외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1 접면패널(171)이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제1-2 돌출패널(152)의 외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2 접면패널(172)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접면패널(171)은 상기 제1-1 돌출패널(151)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대(120) 내부로 삽입되는 다각의 제1-1 관통체(1711, 17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2 접면패널(172)은 상기 제1-2 돌출패널(152)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대(120) 내부로 삽입되는 다각의 제1-2 관통체(1721, 1722)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관통체(1711, 1712)는 상기 제1-1 접면패널(171)로부터 축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1 돌출패널(151)과 상기 제1 지지대(120)에 대하여 회전에 의한 고정력을 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관통체(1721, 1722)는 상기 제1-2 접면패널(172)로부터 축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2 돌출패널(152)과 상기 제1 지지대(120)에 대하여 회전에 의한 고정력을 가하며, 상기 통 유닛(9)의 양측 중 일측에는 플레이트형상의 제1 사이드구동유닛(213)을 상하 유동시키는 제1 사이드구동몸체(212)가 용접방식으로 설치되며, 타측에는 플레이트형상의 제2 사이드구동유닛(313)을 상하 유동시키는 제2 사이드구동몸체(312)가 용접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이드구동유닛(213)의 일측 높이방향 상에는 상기 제1 지지대(120)의 높이방향 상에 외삽되어 설치되는 제1-1 구동모듈(221) 및 상기 제1 지지대(120)의 높이방향 상에 외삽되어 설치되는 제1-2 구동모듈(2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1 구동모듈(221)과 상기 제1-2 구동모듈(222)은 상기 제1 사이드구동유닛(213)에서 상하유동 가능하며, 상기 제2 사이드구동유닛(313)의 일측 높이방향 상에는 상기 제2 지지대(130)의 높이방향 상에 외삽되어 설치되는 제2-1 구동모듈(321) 및 상기 제2 지지대(130)의 높이방향 상에 외삽되어 설치되는 제2-2 구동모듈(32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1 구동모듈(321)과 상기 제2-2 구동모듈(322)은 상기 제2 사이드구동유닛(313)에서 상하유동 가능하며, 상기 제1-1 구동모듈(221)과 상기 제2-1 구동모듈(321) 사이에는 상기 연장몸체(115)를 관통하는 봉형상의 제1 연결체(B1)가 설치되며, 상기 제1-2 구동모듈(222)과 상기 제2-2 구동모듈(322) 사이에는 상기 연장몸체(115)를 관통하는 봉형상의 제2 연결체(B2)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체(B1)는 상기 제1-1 구동모듈(221)과 상기 제2-1 구동모듈(321)에서 일정범위로 축회전구동되어 상기 연장몸체(115) 내주면에 가압고정되며, 상기 제2 연결체(B2)는 상기 제1-2 구동모듈(222)과 상기 제2-2 구동모듈(322)에서 일정범위로 축회전구동되어 상기 연장몸체(115) 내주면에 가압고정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1 구동모듈(221), 상기 제1-2 구동모듈(222), 상기 제2-1 구동모듈(321) 및 상기 제2-2 구동모듈(322)은 상기 제1 연결체(B1)와 상기 제2 연결체(B2)의 축회전구동상태에서, 하부로 유동되어 상기 연장몸체(115)와 상기 통 유닛(9)을 하부로 당기도록 가압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 유닛(9)의 하부로는 제1 체결플레이트(CP1)가 바 형태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1 구동모듈(221)과 상기 제1-2 구동모듈(222)은 유동이 최종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체결플레이트(CP1)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플레이트(CP1)의 하강으로 고정힘이 가해지며, 상기 통 유닛(9)의 하부로는 제2 체결플레이트(CP2)가 바 형태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1 구동모듈(321)과 상기 제2-2 구동모듈(322)은 유동이 최종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플레이트(CP2)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 체결플레이트(CP2)의 하강으로 고정힘이 가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받침구(140)는, 상부에 상기 제2-1 돌출패널(161)의 외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2-1 접면패널(181)이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제2-2 돌출패널(162)의 외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2-2 접면패널(18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1 접면패널(181)은 상기 제2-1 돌출패널(161)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지지대(130) 내부로 삽입되는 다각의 제2-1 관통체(1811, 1812)가 구비되며, 상기 제2-2접면패널은 상기 제2-2 돌출패널(162)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지지대(130) 내부로 삽입되는 다각의 제2-2 관통체(1821, 18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1 관통체(1811, 1812)는 상기 제2-1 접면패널(181)로부터 축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2-1 돌출패널(161)과 상기 제2 지지대(130)에 대하여 회전에 의한 고정력을 가하며, 상기 제2-2 관통체(1821, 1822)는 상기 제2-2 접면패널(182)로부터 축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2-2 돌출패널(162)과 상기 제2 지지대(130)에 대하여 회전에 의한 고정력을 가하며, 상기 연장몸체(115)의 하부로는 보조지지대(410)가 구비되어 상기 삽입받침구(140)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받침구(140)는, 상부에 상기 보조지지대(410)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보조지지대와 접하는 제3-1 돌출패널(411)과, 상부에 상기 보조지지대(410)의 타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보조지지대와 접하는 제3-2 돌출패널(4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1 돌출패널(411)과 상기 제3-2 돌출패널(412)는 상기 보조지지대를 양측에서 눌러 홀딩시키며, 상기 삽입받침구(140)는, 상부에 상기 제2-1 돌출패널(161)의 외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3-1 접면패널(511)이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제3-2 돌출패널(412)의 외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3-2 접면패널(512)이 구비되며, 상기 제3-1 접면패널(511)은 상기 제3-1 돌출패널(411)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지지대(410) 내부로 삽입되는 다각의 제3-1 관통체(4111, 4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2접면패널은 상기 제3-2 돌출패널(412)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지지대(410) 내부로 삽입되는 다각의 제3-2 관통체(4121, 4122)가 구비되며, 상기 제3-1 관통체(4111, 4112)는 상기 제3-1 접면패널(511)로부터 축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3-1 돌출패널(411)과 상기 제2 지지대(130)에 대하여 회전에 의한 고정력을 가하며, 상기 제3-2 관통체(4121, 4122)는 상기 제3-2 접면패널(512)로부터 축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3-2 돌출패널(412)과 상기 제2 지지대(130)에 대하여 회전에 의한 고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대(120)의 일측에는 하강이동을 통해 상기 제1-1 돌출패널(151)을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는 제1-1 푸싱부(P1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대(120)의 타측에는 하강이동을 통해 상기 제1-2 돌출패널(152)을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는 제1-2 푸싱부(P1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대(130)의 일측에는 하강이동을 통해 상기 제2-1 돌출패널(161)을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는 제2-1 푸싱부(P2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대(130)의 타측에는 하강이동을 통해 상기 제2-2 돌출패널(162)을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는 제2-2 푸싱부(P22)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지지대(410)의 일측에는 하강이동을 통해 상기 제3-1 돌출패널(411)을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는 제3-1 푸싱부(P31)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지지대(410)의 타측에는 하강이동을 통해 상기 제3-2 돌출패널(412)을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는 제3-2 푸싱부(P32)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푸싱부(P11)와 상기 제1-2 푸싱부(P12)는 각기 상기 제1-1 관통체(1711, 1712)와 상기 제1-2 관통체(1721, 1722)의 회전동작 이후에 상부에서 하부를 누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1 푸싱부(P21)와 상기 제2-2 푸싱부(P22)는 각기 상기 제2-1 관통체(1811, 1812)와 상기 제2-2 관통체(1821, 1822)의 회전동작 이후에 상부에서 하부를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3-1 푸싱부(P31)와 상기 제3-2 푸싱부(P32)는 각기 상기 제3-1 관통체(4111, 4112)와 상기 제3-2 관통체(4121, 4122)의 회전동작 이후에 상부에서 하부를 누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결합몸체
5 : 제어박스
6 : 히터
7 : 연결관
9 : 통

Claims (2)

  1. 교반장치에 있어서,
    배합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통(9)과, 양측에 결합요홈이 형성된 결합몸체(1)와, 상기 결합몸체(1)에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 전원회로 및 외부 살포 연결관(7)을 형성하고 있는 제어박스(5)와, 상기 결합몸체(1)를 통하여 제어박스(5)와 연결되며, 하부로 연이어 설치되는 히터(6) 및 교반판(20)이 설치되어 상기 통 유닛(9)에 내용물을 배합하기 위한 교반봉(8)을 포함하되, 상기 통 유닛(9)의 하면에는 다수의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교반장치는, 상기 통 유닛(9)과 장착되는 지지고정유닛(110)을 포함하되,
    상기 통(9)은 하부 중앙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각형의 연장몸체(115)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고정유닛(110)은, 상기 지지대중 일측의 제1 지지대(120)와 타측의 제2 지지대(130)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받침구(140)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받침구(140)는, 상부에 상기 제1 지지대(120)의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대(120)와 접하는 제1-1 돌출패널(151)와, 상부에 상기 제1 지지대(120)의 타측에 높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대(120)와 접하는 제1-2 돌출패널(152)와, 상부에 상기 제2 지지대(130)의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대(130)와 접하는 제2-1 돌출패널(161)와, 상부에 상기 제2 지지대(130)의 타측에 높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대(130)와 접하는 제2-2 돌출패널(162)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돌출패널(151)와 상기 제1-2 돌출패널(152)는 상기 제1 지지대(120)를 양측에서 눌러 홀딩시키며,
    상기 제2-1 돌출패널(161)와 상기 제2-2 돌출패널(162)는 상기 제2 지지대(130)를 양측에서 눌러 홀딩시키며,
    상기 삽입받침구(140)는, 상부에 상기 제1-1 돌출패널(151) 외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1 접면패널(171)이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제1-2 돌출패널(152)의 외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2 접면패널(172)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접면패널(171)은 상기 제1-1 돌출패널(151)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대(120) 내부로 삽입되는 다각의 제1-1 관통체(1711, 17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접면패널(172)은 상기 제1-2 돌출패널(152)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대(120) 내부로 삽입되는 다각의 제1-2 관통체(1721, 1722)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관통체(1711, 1712)는 상기 제1-1 접면패널(171)로부터 축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1 돌출패널(151)과 상기 제1 지지대(120)에 대하여 회전에 의한 고정력을 가하며,
    상기 제1-2 관통체(1721, 1722)는 상기 제1-2 접면패널(172)로부터 축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2 돌출패널(152)과 상기 제1 지지대(120)에 대하여 회전에 의한 고정력을 가하며,
    상기 통(9)의 양측 중 일측에는 제1 사이드구동유닛(213)이 용접방식으로 설치되며, 타측에는 제2 사이드구동유닛(313)이 용접방식으로 설치되는, 교반장치.
  2. 삭제
KR1020200130711A 2020-10-11 2020-10-11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 KR102190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711A KR102190206B1 (ko) 2020-10-11 2020-10-11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711A KR102190206B1 (ko) 2020-10-11 2020-10-11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206B1 true KR102190206B1 (ko) 2020-12-11

Family

ID=7378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711A KR102190206B1 (ko) 2020-10-11 2020-10-11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2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5594A (ja) * 2016-10-19 2018-04-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撹拌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93543B1 (ko) 2018-01-17 2020-03-25 주식회사 네이처프론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모발 및 두피 세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5594A (ja) * 2016-10-19 2018-04-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撹拌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93543B1 (ko) 2018-01-17 2020-03-25 주식회사 네이처프론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모발 및 두피 세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7455A1 (en) Apparatus for mixing and discharging bone cement
US7059763B2 (en) Gyroscopic mixer
KR102190206B1 (ko)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배합방법
WO2007063153A3 (es) Maquina dosificadora y mezcladora de productos líquidos y su método de funcionamiento
KR20110083317A (ko) 실험대
RU2476259C2 (ru)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мешивающих устройств с погружным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м
DE102007040571A1 (de) Zentrifuge
DE102021102973B4 (de) Orbitaloszillator-Inkubator
CN107670560A (zh) 一种荧光粉用胶搅拌机构
CN108275865A (zh) 一种污泥固化搅拌装置
CN109283038B (zh) 一种化学试剂的震荡混匀装置
EP3711867B1 (en) Outpouring assembly
CN207402784U (zh) 一种自动化设备夹具
CN207913572U (zh) 搅拌器
EP2328676B1 (de) Rührwerksständer
CN202044328U (zh) 脊柱复位装置
EP2325520B1 (de) Standfuß, insbesondere für eine Tisch-Küchenmaschine
CN209696794U (zh) 一种加热磁力搅拌器
EP2202343B1 (d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Wäsche sowie hierzu geeignete Waschmaschine
CN112619528A (zh) 猪饲料混合装置
CN208824383U (zh) 血液混匀器
DE202004007924U1 (de) Ultraschallvernebelungsgerät
JP7343113B2 (ja) 応力伝達装置
CN105761556A (zh) 一种新型建筑工程造价预算演练装置
CN214553195U (zh) 一种皮革助剂搅拌机料桶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